KR102364823B1 - 피부 세포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세포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823B1
KR102364823B1 KR1020200054033A KR20200054033A KR102364823B1 KR 102364823 B1 KR102364823 B1 KR 102364823B1 KR 1020200054033 A KR1020200054033 A KR 1020200054033A KR 20200054033 A KR20200054033 A KR 20200054033A KR 102364823 B1 KR102364823 B1 KR 102364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wth factor
skin
present
ppm
conta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6217A (ko
Inventor
용동은
박철순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마이크로바이오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마이크로바이오틱스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54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823B1/ko
Publication of KR20210136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4Amides, e.g. hydroxamic acids of a carboxylic acid with an aminoalcohol, e.g. cer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8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8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61K38/1808Epidermal growth factor [EGF] urogast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8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61K38/1825Fibroblast growth factor [FG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Abstract

본 발명은 표피성장인자(EGF),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4(FGF4), 세라마이드 및 쿠퍼펩타이드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섬유아세포를 활성화시키고 피부 재생 및 상처 치유 효과를 가지는 유전자를 활성화시켜 피부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 세포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s for Skin Cell Regeneration}
본 발명은 피부 상태를 개선, 특히는 피부 세포 재생을 위한 화장료 또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 환경과 항상 접하고 있는 기관으로서, 수분 손실을 막는 보호 장벽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피부 수분의 건조를 막기 위하여 표피층에서 분화 과정을 통하여 수분을 함유하면서 얇은 각질층으로 발달하게 된다.
각질층은 외부 환경과 직접 접촉하는 피부 최외각층으로서 기계적, 화학적으로 유해한 성분의 침입을 방지하고, 생체 내보다 건조한 외부환경에서 내부 수분이 손실되는 것을 막아주는 동시에, 각질층 자신도 적당한 수분을 보유하여 유연성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피부의 이러한 기능에도 불구하고, 악한 날씨, 강한 자외선, 과도한 세안제 사용, 스트레스와 자연적인 피부 노화 현상으로 보습력을 잃고 건조해지고 이에 따라 잔주름 발생, 탄력 저하 등의 피부 노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노화된 피부는 외피층(epidermis)과 진피층(dermis) 두께의 감소, 피부 표면의 거칠어짐, 모공의 확대, 주름의 형성, 황색, 청동 빛, 갈색의 반점 등을 포함하는 피부색 변화, 모세혈관확장증 또는 "broken vein" 등의 특징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피부 노화 현상을 막기 위해 세포 재생인자를 포함한 화장품 조성물이 개발되고 있으나, 최적의 효과를 내는 화장품 조성물의 개발이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표피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EGF),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4(Fibroblast growth factor 4; FGF4), 세라마이드(Ceramide) 및 쿠퍼펩타이드(Copper peptide; GHK-Cu)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표피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EGF),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4(Fibroblast growth factor 4; FGF4), 세라마이드(Ceramide) 및 쿠퍼펩타이드(GHK-Cu)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치유 또는 피부 재생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구현예가 도면을 참조로 기재된다.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서, 다양한 특이적 상세사항, 예컨대, 특이적 형태, 조성물 및 공정 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정의 구현예는 이들 특이적 상세 사항 중 하나 이상 없이, 또는 다른 공지된 방법 및 형태와 함께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공지된 공정 및 제조 기술은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특정의 상세사항으로 기재되지 않는다. "한 가지 구현예" 또는 "구현예"에 대한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한 참조는 구현예와 결부되어 기재된 특별한 특징, 형태, 조성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친 다양한 위치에서 표현된 "한 가지 구현예에서" 또는 "구현예"의 상황은 반드시 본 발명의 동일한 구현예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추가로, 특별한 특징, 형태, 조성,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어떠한 적합한 방법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 내 특별한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에 사용된 모든 과학적 및 기술적인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당 업자에 의하여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 콜라겐은 부분의 동물, 특히 포유동물에서 많이 발견되는 섬유 단백질로, 피부와 연골 등 체내의 모든 결합조직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콜라겐은 폴리펩타이드 세 분자가 서로 삼중나선으로 꼬인 밧줄과 같은 형태를 이루고 있다. 각각의 폴리펩타이드 사슬은 글라이신과 프롤린이 서로 번갈아가면서 배치되고 중간에 여러 다른 아미노산이 군데군데 삽입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콜라겐은 콜라겐 1 내지 5 일 수 있다. 상기 콜라겐 1은 피부 진피층의 약 90%, 힘줄의 80%, 관(도관, 맥관, 혈관 등), 결찰사, 장기, 뼈의 약 20% (뼈의 주성분), 치아 상아질의 주성분이며, 인간 17번 염색체의 COL1A1, 인간 7번 염색체의 COL1A2에 의해 코딩된다. 상기 콜라겐 5는 세포 표면, 머리카락의 주성분, 태반에 존재하며 인간 9번 염색체에 위치한 COL5A1, 인간 2번 염색체에 위치한 COL5A2 유전자에 의해 코딩된다.
본 발명에서 엘라스틴은 세포 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의 핵심 단백질이다. 상기 엘라스틴은 탄력성이 높고 결합 조직에 존재하여 신체의 많은 조직이 스트레칭 또는 수축 후에 모양을 재개할 수 있고, 척추 동물 신체에서 중요한 내력 조직이며 기계적 에너지를 저장해야하는 곳에서 사용된다. 상기 엘라스틴은 인간 7번 염색체의 ELN 유전자에 의해 코딩된다.
본 발명에서 호메오박스 단백질(Homeobox protein)은 척추 동물에서, 호메오박스 유전자라 불리는 전사 인자 클래스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4 개의 별개의 염색체상의 A, B, C 및 D로 명명된 클러스터(HOXA, HOXB, HOXC, HOXD)에서 발견된다. 상기 호메오박스 단백질들의 발현은 배아 발생 동안 조절된다.
본 발명에서, HOXA3 유전자는 인간 7번 염색체에 존재하고, HOXA 클러스터의 부분으로, 정상적인 태아 발달 동안 세번째 인두 주머니에서 발견되는 중간엽 신경 능선 세포와 내배엽 세포에서 발현된다. 이들 세포에서 HOXA3의 발현은 흉선, 갑상선 및 부갑상선 기관의 적절한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에서, HOXD3 유전자는 인간 2번 염색체에 존재하고, HOXD 클러스터의 부분으로, 상기 HOXD3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은 세포 부착 과정의 조절에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신호변환자-전사활성자 3(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3; STAT3)는 STAT 슈퍼패밀리의 구성원이고, STAT3 유전자에 의해 코딩된다. 상기 STAT3 유전자는 세포자극에 반응하여 다양한 유전자의 발현을 매개하므로, 세포성장 및 세포자멸사와 같은 많은 세포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케라티노사이트 성장 인자(keratinocyte growth factor; KGF)는 FGF7로도 알려져 있으며, 인간 15번 염색체의 KGF 유전자에 의해 코딩된다. 상기 FGF7은 상처치유의 상피화 단계에 존재하는 성장 인자이다.
본 발명에서, 실시간 정량 역전사 PCR(Real-Time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CR; qRT-PCR)은 PCR 각주기 동안 생성된 생성물을 신뢰성있게 검출하고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다. 표적 서열 내에서 혼성화되도록 설계된 올리고 뉴클레오티드 프로브의 도입으로 상기 qRT-PCR이 가능해졌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르면, 표피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EGF),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4(Fibroblast growth factor 4; FGF4), 세라마이드(Ceramide) 및 쿠퍼펩타이드(Copper peptide GHK-Cu)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표피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EGF)는 수용체 EGFR에 결합하여 세포 성장, 증식, 분화를 촉진하며, 인간 EGF는 53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다(Exp Cell Res., 284(1):2-13, 2003).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표피성장인자(EGF)의 농도는 100 내지 1000 ng/ml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피성장인자(EGF) 농도는 250 내지 750 ng/ml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표피성장인자(EGF)의 농도가 250 ng/ml 미만인 경우 상기 표피성장인자(EGF)의 첨가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상기 농도가 750 ng/ml를 초과하는 경우 첨가에 따른 더 이상의 상승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워 첨가에 따른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4(Fibroblast growth factor 4; FGF 4)는 인간에서 염색체 11번에 위치한 FGF4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로, 상기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4(FGF4) 단백질의 마우스 상동체는 연구에서 뼈 형성 및 사지 발달 기능을 암시한다. 다능성 줄기 세포에서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4(FGF4)의 상향 조절은 장관 오가노이드 생성을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4(FGF4)의 농도는 10 내지 500 ng/ml이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 ng/ml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FGF4의 농도가 50 ng/ml 미만인 경우 상기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4(FGF4)의 첨가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상기 농도가 200 ng/ml를 초과하는 경우 첨가에 따른 더 이상의 상승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워 첨가에 따른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세라마이드(Ceramide)는 지질(waxy lipid) 패밀리로, 스핑고신과 지방산으로 구성된다. 상기 세라마이드는 진핵 세포의 세포막 내에서 고농도로 발견되는데, 이는 지질 이중층의 주요 지질 중 하나인 스핑고미엘린을 구성하는 성분이기 때문이다. 세포막에서 발견되는 다른 스핑고지질과는 달리, 세라마이드는 다양한 세포 신호 전달에 참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세라마이드는 1 내지 500ppm으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ppm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세라마이드의 농도가 10ppm 미만인 경우, 상기 세라마이드의 첨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농도가 200ppm을 초과하는 경우 오히려 피부 세포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쿠퍼펩타이드(Copper peptide GHK-Cu)는, 구리이온에 펩타이드가 결합한 물질로, 구체적으로는 글리신-히스티딘-리신의 3개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타이드의 C-말단에 구리이온이 결합된 형태의 쿠퍼펩타이드를 의미한다. 글리신-히스티딘-리신의 3개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타이드는 인간 혈청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타액이나 소변에서도 발견된다. 상기 쿠퍼펩타이드는 인간 혈청에서 자연적으로 20세는 200 ng/ml으로 존재하다가, 60세 때에는, 80 ng/ml까지 하락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퍼펩타이드는 1 내지 100ppm으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ppm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퍼펩타이드의 농도가 5ppm 미만인 경우, 상기 쿠퍼펩타이드의 첨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농도가 40ppm을 초과하는 경우 오히려 피부 세포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시조필란(Schizophyllan, Schizofiran), 태좌 추출물, 판테놀(panthenol) 및 태반유사 성장인자 복합체(PmGF-X)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내에 더 추가될 수 있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물, 식염수, DMSO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고,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정제수, 오일, 왁스, 지방산, 지방산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흡습제(humectant), 증점제, 항산화제, 점도 안정화제, 킬레이팅제, 완충제, 저급 알콜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미백제, 보습제, 비타민, 자외선 차단제, 향수, 염료, 항생제, 항박테리아제, 항진균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로서는 수소화 식물성유, 피마자유, 면실유, 올리브유, 야자인유, 호호바유, 아보카도유가 이용될 수 있으며, 왁스로는 밀랍, 경랍, 카르나우바, 칸델릴라, 몬탄, 세레신, 액체 파라핀, 라놀린이 이용될 수 있다.
지방산으로는 스테아르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올레산이 이용될 수 있고, 지방산 알콜로는 세틸 알콜, 옥틸 도데칸올, 올레일 알콜, 판텐올, 라놀린 알콜, 스테아릴 알콜, 헥사데칸올이 이용될 수 있으며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가 이용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는 당업계에 알려진 양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가능하며 가능한 한 천연물 유래의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그 외에도 화장품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흡습제, 증점제, 항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종류와 양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에 따른다.
본 발명에서, 시조필란(Schiziphyllan, Schizofiran)은 상품명 MC 글루칸이라고도 하며, 담자균(Schizophyrum commune Fr.)의 배양액에서 얻어 낸 분자량이 1만~8만의 다당이다. 색깔, 맛도 없는 가루로서 물에는 잘 녹지 않으나 서서히 녹으면서 점도가 큰 액체가 된다. 그 기본구조는 β-1,3-글루코피라노시드결합을 하는 직쇄인 포도당 3잔기에 대해 1분자인 포도당이 β-1,6-글루코피라노시드 결합으로 분지한다. 상기 시조필란은 면역계 자극, 수용액에서 금속 운반등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ony, David B.; Damm, Wolfgang; Stoll, Serge; Van Gunsteren, Wilfred F.; Hunenberger, Philippe H. (2007). "Explicit-Solvent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of the Polysaccharide Schizophyllan in Water". Biophysical Journal. 93 (2): 442-55.).
본 발명에서, 상기 시조필란은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시조필란의 농도가 0.5 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 시조필란의 첨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농도가 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오히려 피부 세포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태좌(phytoplacenta)는 씨방(자방)에서 밑씨가 달리는 부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태좌 추출물은 콩 유래 태좌 추출물일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서 태좌 추출물은 장미 유래 태좌 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태좌 추출물은 식물성 플라센터 C(Plant placenta C, Vegetable placenta C)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의, "추출물(extract)"은, 목적하는 물질을 용매에 침지한 다음, 상온, 저온 또는 가온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액상성분, 상기 액상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의 결과물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과물에 더하여, 상기 결과물의 희석액, 이들의 농축액, 이들의 조정제물, 정제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포괄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추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헥산의 용매를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2종 이상 혼합한 용매를 추출 용매로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다른 방법으로 추출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초고압 추출법에 의한 추출; 초음파 추출법에 의한 추출;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예를 들어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 등, 추가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상기 추출물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태좌 추출물은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태좌 추출물의 농도가 0.5 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 태좌 추출물의 첨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농도가 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오히려 피부 세포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판테놀(panthenol)은 판토텐산(비타민 B5)의 알코올 유도체로, 비타민 전구 물질에 해당하며, 생체 내에서 판토텐산으로 빠르게 산화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판테놀은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판테놀의 농도가 0.5 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 판테놀의 첨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농도가 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오히려 피부 세포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태반유사 성장인자 복합체(Placenta Mimetic Growth Factor complex; PmGF-X)는 태반성장인자(Placenta growth factor; PGF), 줄기세포성장인자(Stem cell factor; SGF), 형질전환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1; TGF-β1)의 혼합물이다. 상기 태반유사 성장인자 복합체(PmGF-X)는 상기 태반성장인자(PGF), 상기 줄기세포성장인자(SGF), 상기 형질전환성장인자(TGF-β1)가 1:1:1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태반성장인자(PGF)는 인간에서 PGF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로,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패밀리의 하위 구성원이고, 배 발생 동안 혈관 신생 및 혈관 생성의 주요 분자이다. 또한 상기 태반성장인자는 정상적인 생리조건에서 심장, 폐, 갑상선 및 골격근 등의 장기에서 낮은 수준으로 발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태반성장인자(PGF)는 0.001 내지 0.05ppm으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04ppm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태반성장인자(PGF)의 농도가 0.005ppm 미만인 경우, 상기 태반성장인자(PGF)의 첨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농도가 0.04ppm을 초과하는 경우 오히려 피부 세포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줄기세포성장인자(SGF)는 12번 염색체의 SGF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로, 배아 발달 동안 조혈기능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태아의 간이나 골수 등의 조혈기관에서는 상기 줄기세포성장인자가 발현된다. 발생 동안에 줄기세포성장인자는 멜라닌 세포 및 멜라닌 색소를 생성하여 색소 침착을 조절한다. 태아조혈줄기세포는 성인의 조혈줄기세포보다 줄기세포성장인자에 더 민감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줄기세포성장인자(SGF)는 0.001 내지 0.05ppm으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04ppm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줄기세포성장인자(SGF)의 농도가 0.005ppm 미만인 경우, 상기 줄기세포성장인자(SGF)의 첨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농도가 0.04ppm을 초과하는 경우 오히려 피부 세포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형질전환성장인자(TGF-β1)는 사이토카인의 형질전환성장인자 베타 슈퍼패밀리의 폴리펩티드 구성원이고, 인간 19번 염색체 TGFB1 유전자에 의해 코딩된다. 상기 형질전환성장인자는 면역계를 제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Letterio JJ, Roberts AB (1998). "Regulation of immune responses by TGF-beta". Annu. Rev. Immunol. 16: 137-61.).
본 발명에서, 상기 형질전환성장인자(TGF-β1)는 0.001 내지 0.05ppm으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04ppm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형질전환성장인자(TGF-β1)의 농도가 0.005ppm 미만인 경우, 상기 형질전환성장인자(TGF-β1)의 첨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농도가 0.04ppm을 초과하는 경우 오히려 피부 세포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표피성장인자(EGF),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4(FGF4), 세라마이드 및 쿠퍼펩타이드(Copper peptide GHK-Cu)를 필수 성분으로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시조필란, 태좌 추출물, 판테놀 및 태반유사 성장인자 복합체(PmGF-X)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함으로써 현저히 뛰어난 피부 개선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피부 개선"은 피부의 내재적 요인 또는 외인적인 요인에 의하여 유발되는 피부의 손상을 치료, 경감, 완화시키는 과정 또는 그의 효과 등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재생, 피부 보습, 노화 방지, 피부 자극 완화, 여드름 예방 또는 개선, 및/또는 아토피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재생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에센스, 마사지 크림, 미용 목욕물 첨가제, 바디로션, 바디밀크, 배스오일, 베이비오일, 베이비파우더, 샤워겔, 샤워크림, 선스크린로션, 선스크린크림, 선탠크림, 스킨로션, 스킨크림, 자외선차단용 화장품, 크렌징밀크, 탈모제{화장용}, 페이스 및 바디로션, 페이스 및 바디크림, 피부미백크림, 핸드로션, 헤어로션, 화장용크림, 쟈스민오일, 목욕비누, 물비누, 미용비누, 샴푸, 손세정제(핸드클리너), 약용비누{비의료용}, 크림비누, 페이셜 워시, 전신 세정제, 두피 세정제, 헤어린스, 화장비누, 치아미백용 겔, 치약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용매나,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표피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EGF),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4(Fibroblast growth factor 4; FGF4), 세라마이드 및 쿠퍼펩타이드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치유 또는 피부 재생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표피성장인자(EGF) 농도는 100 내지 1000 ng/ml 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피성장인자(EGF) 농도는 250 내지 750 ng/ml 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표피성장인자(EGF)의 농도가 상기 250 내지 750 ng/ml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표피성장인자(EGF)의 첨가 효과가 미미하거나 첨가에 따른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4(FGF4) 농도는 10 내지 500 ng/ml 이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 ng/ml 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4(FGF4)의 농도가 상기 50 내지 200 ng/ml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4(FGF4)의 첨가 효과가 미미하거나 첨가에 따른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세라마이드는 1 내지 500ppm으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ppm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세라마이드의 농도가 10ppm 미만인 경우, 상기 세라마이드의 첨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농도가 200ppm을 초과하는 경우 오히려 피부 세포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퍼펩타이드는 1 내지 100ppm으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ppm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퍼펩타이드의 농도가 5ppm 미만인 경우, 상기 쿠퍼펩타이드의 첨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농도가 40ppm을 초과하는 경우 오히려 피부 세포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시조필란, 태좌 추출물, 판테놀 및 태반유사 성장인자 복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시조필란은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시조필란의 농도가 0.5 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 시조필란의 첨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농도가 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오히려 피부 세포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태좌 추출물은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태좌 추출물의 농도가 0.5 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 태좌 추출물의 첨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농도가 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오히려 피부 세포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판테놀은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판테놀의 농도가 0.5 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 판테놀의 첨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농도가 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오히려 피부 세포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태반성장인자(PGF)는 0.001 내지 0.05ppm으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04ppm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태반성장인자(PGF)의 농도가 0.005ppm 미만인 경우, 상기 태반성장인자(PGF)의 첨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농도가 0.04ppm을 초과하는 경우 오히려 피부 세포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줄기세포성장인자(SGF)는 0.001 내지 0.05ppm으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04ppm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줄기세포성장인자(SGF)의 농도가 0.005ppm 미만인 경우, 상기 줄기세포성장인자(SGF)의 첨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농도가 0.04ppm을 초과하는 경우 오히려 피부 세포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형질전환성장인자(TGF-β1)는 0.001 내지 0.05ppm으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04ppm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형질전환성장인자(TGF-β1)의 농도가 0.005ppm 미만인 경우, 상기 형질전환성장인자(TGF-β1)의 첨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농도가 0.04ppm을 초과하는 경우 오히려 피부 세포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표피성장인자(EGF), 쿠퍼펩타이드,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4(FGF4), 세라마이드, 시조필란, 태좌 추출물, 판테놀 및 태반유사 성장인자에 대한 설명은 앞서 기재된 바와 중복되어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을 피하기 위하여 이하 그 자세한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캡슐, 정제, 과립, 주사제, 연고제, 분말 또는 음료 형태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인간 또는 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치유"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각종 질환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되는 모든 행위라면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캡슐, 정제, 수성 현탁액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경구 투여 시에는 결합제, 활탁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색소, 향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안정화제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국소투여용의 경우에는 기제, 부형제, 윤활제, 보존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제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혼합하여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투여시에는 정제, 트로키, 캡슐, 엘릭서(elixir), 서스펜션, 시럽, 웨이퍼 등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단위 투약 앰플 또는 다수회 투약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기타, 용액, 현탁액, 정제, 캡슐, 서방형 제제 등으로 제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개선 효과를 통하여 화상 또는 창상 등에 의해 손상된 피부, 건조한 피부 또는 민감한 피부 등에서 피부 장벽 보호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다양한 방식 또는 형태로 인체에 적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피부에 국소적으로 도포되어 적용 가능한 피부 외용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우더, 용액제, 현탁제, 유액제, 겔제, 점적제, 좌제(坐劑), 크림제, 연고제, 패취제, 패드제 또는 분무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 제제화할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 외에 첨가물로 예를 들어, 부형제, 수화제, 유화 촉진제, 현탁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또는 완충제, 착색제, 향신료, 안정화제, 방부제, 보존제 또는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 등을 적절하게 배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성물은 피부 섬유아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이동능을 높이며, 피부 재생 및 상처 치유와 관련된 유전자를 활성화시킴에 따라 피부 개선에 매우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피부 섬유아세포에 비교예 1의 조성물을 처리한 뒤 세포 이동능의 변화를 측정한 것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피부 섬유아세포에 비교예 2의 조성물을 처리하여 이동능을 측정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피부 섬유아세포에 제조예 1의 조성물을 처리하여 이동능을 측정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피부 섬유아세포에 제조예 2의 조성물을 처리하여 이동능을 측정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피부 섬유아세포에 제조예 1(#3), 제조예 2(#4), 비교예 1(#1), 비고예 2(#2)의 조성물을 처리한 뒤 세포의 양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피부 섬유아세포에 비교예 2(#2) 및 제조예 1(#3)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COL1A1 유전자 발현량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피부 섬유아세포에 비교예 2(#2) 및 제조예 1(#3)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COL1A2 유전자 발현량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피부 섬유아세포에 비교예 2(#2) 및 제조예 1(#3)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COL5A1 유전자 발현량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피부 섬유아세포에 비교예 2(#2) 및 제조예 1(#3)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COL5A2 유전자 발현량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피부 섬유아세포에 비교예 2(#2) 및 제조예 1(#3)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ELN유전자 발현량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피부 섬유아세포에 비교예 2(#2) 및 제조예 1(#3)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KGF 유전자 발현량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피부 섬유아세포에 비교예 2(#2) 및 제조예 1(#3)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HOXA3 유전자 발현량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피부 섬유아세포에 비교예 2(#2) 및 제조예 1(#3)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HOXD3 유전자 발현량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피부 섬유아세포에 비교예 2(#2) 및 제조예 1(#3)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STAT3 유전자 발현량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피부 섬유아세포에 제조예 1(#3) 및 2(#4)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COL1A1 유전자 발현량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는 피부 섬유아세포에 제조예 1(#3) 및 2(#4)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COL1A2 유전자 발현량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피부 섬유아세포에 제조예 1(#3) 및 2(#4)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COL5A1 유전자 발현량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피부 섬유아세포에 제조예 1(#3) 및 2(#4)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COL5A2 유전자 발현량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피부 섬유아세포에 제조예 1(#3) 및 2(#4)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ELN유전자 발현량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피부 섬유아세포에 제조예 1(#3) 및 2(#4)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KGF 유전자 발현량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1은 피부 섬유아세포에 제조예 1(#3) 및 2(#4)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HOXA3 유전자 발현량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2는 피부 섬유아세포에 제조예 1(#3) 및 2(#4)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HOXD3 유전자 발현량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3은 피부 섬유아세포에 제조예 1(#3) 및 2(#4)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STAT3 유전자 발현량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4는 피부 섬유아세포에 비교예 3의 조성물을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5는 피부 섬유아세포에 비교예 4의 조성물을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및 2]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으로, EGF, FGF4, 시조필란(MC 글루칸), 세라마이드, 식물성 플라센터 C, 판테놀, 쿠퍼펩타이드, 태반성장인자(Placenta growth factor; PGF), 줄기세포성장인자(Stem cell factor; SGF) 또는 형질전환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1; TGF-β1)를 조합하여 제조예 1 및 2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잔부는 정제수, 1,2-헥산다이올, 에틸헥실글리세린, 폴리소르베이트20, 레시틴, 부틸렌글라이콜이 포함된 용매이다.
성분 제조예 1 제조예 2
EGF 500 ng/ml 500 ng/ml
FGF4 100 ng/ml 100 ng/ml
시조필란(MC 글루칸) - 1중량%
세라마이드 수용성 액상 50ppm 50ppm
식물성 플라센터 C(Phylderm Vegetal C) - 0.68중량%
판테놀 - 0.75중량%
쿠퍼펩타이드 10ppm 10ppm
태반성장인자(PGF) - 0.01ppm
줄기세포성장인자(SGF) - 0.01ppm
형질전환성장인자(TGF-β1) - 0.01ppm
용매 잔부 잔부
[비교예 1 및 2]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 및 2에서 제조된 조성물과 이하에서 피부 재생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으로 EGF, FGF4, 세라마이드, 쿠퍼펩타이드를 조합하여 비교예 1 및 2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비교예 1 비교예 2
EGF 500 ng/ml 500 ng/ml
FGF4 100 ng/ml -
시조필란(MC 글루칸) - -
세라마이드 수용성 액상 - 50ppm
식물성 플라센터 C(Phylderm Vegetal C) - -
판테놀 - -
쿠퍼펩타이드 10ppm 10ppm
태반성장인자(PGF) - -
줄기세포성장인자(SGF) - -
형질전환성장인자(TGF-β1) - -
용매 잔부 잔부
[비교예 3 및 4]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 및 2에서 제조된 조성물과 이하에서 피부 재생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낸 조성으로 비교예 3 및 4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비교예 3 비교예 4
EGF 500 ng/ml 500 ng/ml
FGF4 100 ng/ml 100 ng/ml
시조필란(MC 글루칸) 5중량% 10중량%
세라마이드 수용성 액상 250ppm 500ppm
식물성 플라센터 C(Phylderm Vegetal C) 3.4중량% 6.8중량%
판테놀 3.75중량% 7.5중량%
쿠퍼펩타이드 50ppm 100ppm
태반성장인자(PGF) 0.05ppm 0.1ppm
줄기세포성장인자(SGF) 0.05ppm 0.1ppm
형질전환성장인자(TGF-β1) 0.05ppm 0.1ppm
용매 잔부 잔부
[실험예 1] 피부 섬유아세포(Skin fibroblast)의 이동성 평가
피부 섬유아세포에 상기 제조예 1 및 2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처리하여 세포 이동능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는 각각 도 3 및 4에 나타내었다. 또한 피부 섬유아세포에 상기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처리하여 세포 이동능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는 각각 도 1 및 2에 나타내었다.
도 1 내지 4의 점선은 섬유아세포가 이동하기 전을 표시한 것이고, 도 1 내지 4 각각의 상단 사진은 피부 섬유아세포에 배양액을 처리하여 이동하기 전을 촬영한 것이며, 하단 사진은 피부 섬유아세포에 조성물을 처리한 뒤 24 시간이 경과한 후를 촬영한 것이다.
도 1 내지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부 섬유아세포에 제조예 1(#3) 내지 2(#4)의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비교예 1(#1) 내지 2(#2)의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와는 달리 피부 섬유아세포의 이동이 관찰되었고, 특히 제조예 2의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피부 섬유아세포의 이동이 가장 활발하였다.
[실험예 2] 피부 섬유아세포(Skin fibroblast)의 세포 증식률 평가
피부 섬유아세포에 제조예 1 및 2, 비교예 1 및 2의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세포의 양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처음 세포를 24웰 세포 배양 접시(24 well cell culture plate)에 각각 60,000개씩 세포 시딩(seeding)후 24시간 이후 세포수를 측정하여 세포 증식률을 도 5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1) 및 비교예 2(#2)의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피부 섬유아세포가 대략 71,000개, 또는 64,000개로 증가하였으나, 제조예 1(#3) 및 제조예 2(#4)의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피부 섬유아세포가 대략 78,000개 또는 77,000개로 현저히 증가하였다. 즉 제조예 1과 2의 조성물이 비교예 1과 2의 조성물에 비해 피부 섬유아세포의 증식률 향상 능력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세포 활성화 유전자 발현 평가
제조예 1(#3) 내지 2(#4)의 조성물의 피부 재생 및 상처 치유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피부 섬유아세포에 상기 조성물들을 처리한 후, qRT-PCR로 피부 재생 및 상처 치유와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6 내지 23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피부 재생과 관련된 콜라겐 유전자는 COL1A1 및 COL1A2 유전자이고, 두피와 관련된 콜라겐 유전자는 COL5A1 및 COL5A2 유전자이며, 그 외에 엘라스틴과, 각질세포성장인자 관련 유전자로는 ELN 및 KGF 유전자이며, 상처 및 조직재생단계에서 재상피화 활성을 조절하는 전자 인자를 코딩하는 유전자로는 HOXA3, HOXD3 및 STAT3 유전자이다.
도 6 내지 도 14에서와 같이, 피부 섬유아세포에 비교예 2(#2)의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보다 제조예 1(#3)의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가 COL1A1, COL1A2, COL5A1, COL5A2, ELN, KGF, HOXA3, HOXD3 및 STAT3 유전자의 발현이 현저히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15 내지 도 23에서와 같이, 피부 섬유아세포에 제조예 2(#4)의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가 COL1A1, COL1A2, COL5A1, COL5A2, ELN, KGF, HOXA3, HOXD3 및 STAT3 유전자의 발현이 더욱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농도에 따른 피부 섬유아세포의 활성화 평가
피부 섬유아세포에 비교예 3 및 4의 조성물을 처리한 뒤 24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피부 섬유아세포의 상태를 관찰하여 그 결과를 도 24 및 25에 나타내었다.
도 24 및 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 3 및 4의 조성물을 처리하자 피부 섬유아세포가 증식하지 않고 오히려 모두 사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25)

  1. 250 내지 750 ng/ml의 표피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EGF), 50 내지 200 ng/ml의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4(Fibroblast growth factor 4; FGF4), 세라마이드 및 5 내지 40ppm의 쿠퍼펩타이드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마이드는 1 내지 500ppm으로 포함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시조필란, 식물성 플라센터 C(Phylderm Vegetal C), 판테놀, 태반성장인자 (Placenta growth factor; PGF), 줄기세포성장인자(Stem cell factor; SGF) 및 형질전환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1; TGF-β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조필란은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플라센터 C는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테놀은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태반성장인자(PGF)는 0.001 내지 0.05ppm으로 포함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성장인자(SGF)는 0.001 내지 0.05ppm으로 포함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형질전환성장인자(TGF-β1)는 0.001 내지 0.05ppm으로 포함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개선은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재생용인, 화장료 조성물.
  14. 250 내지 750 ng/ml의 표피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EGF), 50 내지 200 ng/ml의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4(Fibroblast growth factor 4; FGF4), 세라마이드 및 5 내지 40ppm의 쿠퍼펩타이드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치유 또는 피부 재생용 약학적 조성물.
  15. 삭제
  16. 삭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마이드는 1 내지 500ppm으로 포함되는, 상처 치유 또는 피부 재생용 약학적 조성물.
  18. 삭제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시조필란, 식물성 플라센터 C(Phylderm Vegetal C), 판테놀, 태반성장인자(Placenta growth factor; PGF), 줄기세포성장인자(Stem cell factor; SGF) 및 형질전환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1; TGF-β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상처 치유 또는 피부 재생용 약학적 조성물.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시조필란은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상처 치유 또는 피부 재생용 약학적 조성물.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플라센터 C는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상처 치유 또는 피부 재생용 약학적 조성물.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판테놀은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상처 치유 또는 피부 재생용 약학적 조성물.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태반성장인자(PGF)는 0.001 내지 0.05ppm으로 포함되는, 상처 치유 또는 피부 재생용 약학적 조성물.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성장인자(SGF)는 0.001 내지 0.05ppm으로 포함되는, 상처 치유 또는 피부 재생용 약학적 조성물.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형질전환성장인자(TGF-β1)는 0.001 내지 0.05ppm으로 포함되는, 상처 치유 또는 피부 재생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200054033A 2020-05-06 2020-05-06 피부 세포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4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033A KR102364823B1 (ko) 2020-05-06 2020-05-06 피부 세포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033A KR102364823B1 (ko) 2020-05-06 2020-05-06 피부 세포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217A KR20210136217A (ko) 2021-11-17
KR102364823B1 true KR102364823B1 (ko) 2022-02-21

Family

ID=78702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033A KR102364823B1 (ko) 2020-05-06 2020-05-06 피부 세포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8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5623B1 (ko) * 1998-03-24 2001-09-06 서경배 치마버섯유래의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의제조방법및이방법에의해제조된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함유하는화장료조성물
KR102047808B1 (ko) 2019-05-10 2019-11-22 (주)이노진 특유의 성장인자들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재생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93139A1 (en) * 2008-06-30 2013-09-30 Orf Liftaekni Hf Use of plant-derived recombinant growth factors in skin care
KR101372789B1 (ko) * 2011-06-07 2014-03-12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장미 태좌 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KR101679310B1 (ko) * 2014-10-28 2016-11-25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신규 펩타이드 및 성장인자 콤플렉스를 함유한 상처 재생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45730B1 (ko) * 2016-07-28 2019-02-1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성장 인자 및 사이토카인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90001166A (ko) * 2017-06-26 2019-01-04 농업회사법인 엔제이바이오피아 주식회사 미선나무 추출물을 활용한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1920B1 (ko) * 2018-04-05 2020-05-18 주식회사 메타랩스 사람 상피세포 성장인자, 펩타이드 및 기능성 소재를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5623B1 (ko) * 1998-03-24 2001-09-06 서경배 치마버섯유래의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의제조방법및이방법에의해제조된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함유하는화장료조성물
KR102047808B1 (ko) 2019-05-10 2019-11-22 (주)이노진 특유의 성장인자들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재생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217A (ko)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24150A1 (en) Growth factor for hair and skin treatment
KR100796817B1 (ko) 모발과 피부의 치료를 위한 성장인자
KR101225205B1 (ko) 모노사카라이드 및 각질박리제 조합 및 그 미용적 용도
US8685391B2 (en) Skin care compositions
TWI682782B (zh) 用於皮膚保養之局部投與方法及組合物
KR101309076B1 (ko) 모노사카라이드 및 아스코르브산의 조합 및 그 미용적 용도
JP2008143903A (ja) 落屑を促進するためのアニス酸の美容的使用
KR101382112B1 (ko) 편백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369387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JP2010006844A (ja) インスリン様成長因子−1分泌促進剤
KR102364823B1 (ko) 피부 세포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108847A (ko) 튼살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JP2018145106A (ja) 皮膚外用組成物
KR20150119244A (ko) 피부의 표피 및 진피층을 자극하기 위한 국소적 조성물
JP2008280325A (ja) 皮膚外用剤、育毛又は発毛剤、及び唇外用剤
JP2021004237A (ja) N−アシルジペプチド誘導体及びグリコール酸を含有する局所用組成物
EP3888625A1 (en) Composition for scalp and hair
RU2784355C1 (ru) Рекомбинантный ангиогенин в косметических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х композициях
EP3366273A1 (en) Moisturizer and cosmetic containing same
KR101629504B1 (ko) 사이토카인 조합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80108254A (ko) 파리신 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067931A (ko) E2f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처치유 및 항노화 기능을 갖는 피부 치료용 연고 및 화장품 조성물
KR100996560B1 (ko) 프로테아제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JP2022044101A (ja) ニキビ改善用組成物
KR20170035658A (ko) 크립토클로로겐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