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663B1 - 선재 출구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선재 출구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663B1
KR101372663B1 KR1020120089965A KR20120089965A KR101372663B1 KR 101372663 B1 KR101372663 B1 KR 101372663B1 KR 1020120089965 A KR1020120089965 A KR 1020120089965A KR 20120089965 A KR20120089965 A KR 20120089965A KR 101372663 B1 KR101372663 B1 KR 101372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d
guide
support holder
rolling rol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3695A (ko
Inventor
김기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089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663B1/ko
Publication of KR20140023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21B39/16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immediately before entering or after leaving the pass
    • B21B39/165Guides or guide rollers for rods, bars, rounds, tubes ; Aligning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24Hydrostatic bearings o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롤의 출구측에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압연롤의 캐리버 사이로 신장되며 선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 및 압연롤의 캐리버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유닛의 위치를 조정토록, 압연롤의 출구측에서 상기 가이드유닛과 연결되는 위치 조정유닛을 포함한 선재 출구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선재가 원활히 압연롤에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재 출구 가이드장치{Apparatus for rear guiding of wire rod}
본 발명은 선재 출구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선재 압연롤의 부하 또는 무부하 구동시 선택적으로 압연롤의 캐리버 사이로 신장되어, 선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선재 출구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재 압연공정은 단면이 160×160mm인 빌렛 소재를 열간 압연이 가능하도록 가열로에서 950 ~ 1050℃로 가열한 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압연롤(6,7) 간의 공형 캐리버(8)를 거치게 하면서 소재의 단면적을 점차 줄여 희망하는 크기의 선재 제품을 생산하게 된다.
도 1은 상하의 압연롤(6,7), 입구가이드(2) 및 출구가이드(3) 등을 포함하는 압연기(1)의 주요 구성요소를 도시한 것으로서, 압연롤(6,7)의 외측 둘레를 따라 복수의 캐리버(8)가 형성되어 있고, 이때 압연롤(6,7)은 일정한 높이 간격을 유지하며 캐리버(8)에 의한 공형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선재(P)가 이 공형공간을 통과하여 그 직경이 점차 축소되면서 열간 압연이 이뤄지게 된다.
여기서 입구가이드(2)는 전 단계의 압연기에서 토출되는 선재를 다음 단계의 압연롤(6,7)의 캐리버(8)로 정확히 투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출구가이드(3)는 해당 압연롤(6,7)의 캐리버(8)에서 배출되는 선재를 받아 차후 단계의 압연기의 입구가이드(2)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도 1은 압연롤(6,7)이 선재 부하 작동시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것인데, 이는 압연롤(6,7)의 캐리버(8)의 간격을 서로 맞물리도록 하고 회전시키면서, 선재의 단면적을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며 열간 압연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에는 입구가이드(2)에서 투입된 선재가 압연롤(6,7)의 캐리버(8)의 간격(D1)이 좁음에 따라 열간 압연된 후 정확히 출구가이드(3)의 방향으로 유도되게 된다.
그리고 도 2는 압연롤(6,7)이 선재 무부하 작동시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는 압연롤(6,7)의 간격을 멀어지도록 하고 각각 공회전시켜 선재(P)를 압연하지 않고 통과시키는 것이다. 이때에는 압연롤(6,7)의 캐리버(8)의 간격(D2)이 넓으므로, 입구가이드(2)로 투입된 선재는 압연롤(6,7)의 캐리버(8)에 의해 이동방향이 바로잡히지 않게 되어 출구가이드(3)로 정확하게 취입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압연롤(6,7)의 캐리버(8)와 출구가이드(3) 사이의 거리(A)보다 도 2에 도시된 입구가이드(2)와 출구가이드(3) 간의 거리(B)가 더 멀기 때문에, 선재의 생산과정에서 압연기 자체의 진동이나 중력 등에 의해 선재의 방향은 비틀어지게 되고, 이는 선재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해주는 입구가이드(2)와 출구가이드(3)의 간격이 멀어질수록 더 심해지게 된다. 결국, 입구가이드(2)에서 투입된 선재(P)가 정확히 출구가이드(3)로 배출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선재 압연롤의 부하 또는 무부하 구동시 선택적으로 압연롤의 캐리버 사이로 신장되어, 선재가 원활히 압연롤에서 배출될 수 있도록 선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선재 출구 가이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 출구 가이드장치는 압연롤의 캐리버 형상에 대응하도록 상하부가 만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압연롤의 선재 무부하 구동시에 상기 압연롤의 캐리버 사이에 투입되어 상기 선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판, 상기 가이드판으로 유입되는 상기 선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가이드판의 내면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롤러부, 및 상기 압연롤의 출구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판을 지지하는 지지홀더를 구비한 가이드유닛; 및 상기 지지홀더를 고정하는 고정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압연롤의 캐리버 위치에 대응하게 상기 가이드유닛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상기 압연롤의 출구측에 배치되는 위치 조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위치 조정유닛은, 압연롤의 캐리버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유닛의 수평위치를 조정토록,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는 수평위치 조정수단; 및 압연롤의 캐리버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유닛의 상하위치를 조정토록, 상기 지지홀더에 연결되는 상하위치 조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평위치 조정수단은, 압연롤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 상단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평이동하도록 배치되는 이동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평위치 조정수단은, 상기 이동프레임을 고정토록, 상기 베이스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이동프레임이 밀착되는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와 연계하여 상기 이동프레임을 가압하고 고정토록 제공되는 클램핑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하위치 조정수단은, 상기 지지홀더의 하단 개구홈에 삽입되는 테이퍼진 승강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는 지지리브에 장착되는 조정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레버를 돌려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개구홈에 삽입 또는 배출시켜 상기 지지홀더의 상하위치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선재가 유입될 때 상기 지지홀더를 고정토록, 상기 고정프레임에서 상기 지지홀더에 밀착되며 설치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제1 안착홈에 안착되고, 상기 지지홀더의 상단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가압블럭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제2 안착홈에 안착되고, 상기 가압블럭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에 체결되는 고정블럭; 및 상기 고정블럭을 관통하며, 상기 가압블럭과 연결되고, 상기 가압블럭을 상기 지지홀더의 상단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지지홀더를 가압하고 고정토록 제공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선재 출구 가이드장치의 일 실시예에서는 선재 압연롤의 무부하 구동시에 압연롤의 캐리버 사이로 가이드판을 신장시켜, 선재가 안내를 받으며 입구가이드로부터 압연롤을 지나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이드롤러부를 통해 상기 가이드판 내부로 선재가 이동하는 동안에도 선재의 이동방향을 바로 잡아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상의 가이드레일을 이동하는 이동프레임과 지지홀더를 상하이동시키도록 제공되는 테이퍼진 승강부재에 의해, 상기 가이드판을 압연롤의 캐리버 사이로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프레임의 유동을 억제하는 클램핑부재와 상기 지지홀더의 유동을 제한하는 고정블럭 및 가압블럭을 통해, 선재의 이동간 발생되는 부하나 진동 등으로 인한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궁극적으로 선재의 이동이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선재 압연롤의 부하 구동시 선재가 출구가이드측으로 유도되는 상태가 도시된 도이다.
도 2는 종래 선재 압연롤의 무부하 구동시 선재가 출구가이드측으로 원활히 유도되지 않는 상태가 도시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선재 출구 가이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선재 출구 가이드장치의 조립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발명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발명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선재 출구 가이드장치가 선재 압연롤의 후단측에 장착되고 선재 압연롤의 무부하 구동시 선재의 배출을 가이드하는 상태가 도시된 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선재 출구 가이드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삭제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선재 압연롤의 부하 또는 무부하 구동시 선택적으로 압연롤의 캐리버 사이로 신장되어, 선재가 원활히 압연롤에서 배출될 수 있도록 선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인 선재 출구 가이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선재 출구 가이드장치의 조립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발명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발명의 측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선재 출구 가이드장치(100)의 일 실시예의 구성은 압연롤의 출구측에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압연롤의 캐리버 사이로 신장되며 선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200); 및 압연롤의 캐리버의 위치에 대응하여 가이드유닛(200)의 위치를 조정토록, 압연롤의 출구측에서 가이드유닛(200)과 연결되는 위치 조정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 조정유닛(300)은 상기 가이드유닛(200)을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위치 조정수단(310) 및 상기 가이드유닛(200)을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위치 조정수단(3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선 상기 수평위치 조정수단(310)은 베이스(320), 이동프레임(330) 및 클램핑부재(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20)는 선재 압연롤의 후단측, 즉 선재가 압연롤의 캐리버에서 배출되는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20)는 압연기에 볼트체결, 접합용접 등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320)의 일측 단부에는 상측으로 신장된 지지부(321)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320)의 상단에는 상기 베이스(320)의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가이드레일(323)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323)에는 상기 이동프레임(330)이 안착되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320)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클램핑부재(34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320)의 길이방향으로 걸림턱부(325)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20)의 상단에는 상기 이동프레임(330)이 안착된다. 상기 이동프레임(330)의 하단에는 한 쌍의 이동홈(330a)이 상기 이동프레임(330)의 길이방향으로 가공되며, 상기 가이드레일(323)에 안착되게 된다. 상기 가이드레일(323)은 상기 이동프레임(330)의 수평 이동시 정확히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프레임(330)의 일측은 상기 베이스(320)의 지지부(321)에 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프레임(330)의 타측은 상기 베이스(320)의 상단보다 폭이 좁게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램핑부재(340)는 상기 이동프레임(330)의 타측에 밀착되고 상기 베이스(320)의 걸림턱부(325)에 걸쳐지며, 상기 이동프레임(330)을 고정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클램핑부재(340)는 상,하부 블럭(341,343)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하부 블럭(341,343)은 계단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베이스(320)의 걸림턱부(325)에 걸쳐 지지된다. 상기 상,하부 블럭(341,343)은 볼트(345)와 너트(347)에 의해 단단히 조여지며, 상기 이동프레임(330)의 타측을 밀어주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프레임(330)의 일측은 상기 베이스(320)의 지지부(321)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프레임(330)의 타측은 상기 클램핑부재(340)에 의해 상기 지지부(321) 방향으로 가압되며 고정되는 것이다.
작업자는 상기 가이드유닛(200)의 수평위치를 잡기 위해 상기 베이스(320) 상단의 가이드레일(323)을 따라 상기 이동프레임(330)을 수평이동시킨 후, 상기 이동프레임(330)의 이동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클램핑부재(340)를 사용하여 상기 이동프레임(330)이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써, 상기 가이드유닛(200)의 수평위치를 잡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하위치 조정수단(350)은 지지리브(353), 승강부재(351) 및 조정레버(3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이동프레임(330)의 상단 일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지지리브(35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리브(353)는 상기 이동프레임(330)의 상단 일측에 볼트체결, 접합용접 등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중앙부에는 상기 조정레버(355)가 관통되며 삽입되는 홀(353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정레버(355)는 수스크류부(355c), 걸림부(355b) 및 손잡이부(355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수스크류부(355c)는 상기 승강부재(351)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승강부재(351)의 내측에 형성된 암스크류부(351a)에 결합되게 된다.
상기 걸림부(355b)는 상기 승강부재(351)와 상기 지지리브(353) 간에 위치하게 되며, 자세하게는 상기 지지리브(353)의 일측에 밀착되게 된다. 이는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부(355a)를 돌려 상기 수스크류부(355c)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351)의 내측에 형성된 암스크류부(351a)와의 작동으로 상기 승강부재(351)를 상기 가이드유닛(200) 방향으로 전진시키게 되는데, 이로써 상기 가이드유닛(200)으로부터 하중을 받게 될 때 상기 승강부재(351)가 테이퍼진 형상으로 인해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걸림부(355b)에 의해 상기 조정레버(355)가 지지되므로, 상기 조정레버(355)와 연결된 상기 승강부재(351)도 함께 지지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부재(351)는 상기 가이드유닛(200), 엄밀하게는 이하 검토할 지지홀더(250)의 개구홈(257)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테어퍼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조정레버(355)가 결합되는 측에서 상기 지지홀더(250)의 개구홈(257)을 바라보는 측으로 경사져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부재(351)는 하우징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상기 조정레버(355)의 수스크류부(355c)와 결합되는 상기 암스크류부(351a)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스크류부(355c)의 회전에 의해, 상기 암스크류부(351a)가 상기 수스크류부(355c)의 스크류 형성 방향에 따라 지지홀더(250) 방향으로 전진 또는 반대방향으로 후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승강부재(351)가 상기 지지홀더(250)의 하단에 있는 개구홈(257)에 투입되거나 배출되며 상기 지지홀더(250)의 상하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작업자가 상기 조정레버(355)의 손잡이를 돌리게 되면, 상기 승강부재(351)가 지지홀더(250)의 개구홈(257)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홀더(250)를 포함하는 상기 가이드유닛(200)의 상하위치를 조정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유닛(200)은 고정프레임(230), 가이드판(210) 및 상기 지지홀더(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고정프레임(230)은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프레임(330)의 상단에 한 쌍으로 볼트체결, 접합용접 등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230)의 내측에는 제1 안착홈(231)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지지홀더(250)의 양측에 설치된 제1 가이드바(253)가 상기 제1 안착홈(231)에 끼워지며 상기 지지홀더(250)가 상기 고정프레임(230)에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230)의 상측에는 제2 안착홈(233)이 가공되며, 상기 제2 안착홈(233)에는 이하 검토할 고정수단(400)이 설치되게 된다.
상기 지지홀더(250)는 양측에 상기 제1 가이드바(253)가 설치되어 상기 제1 안착홈(231)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상기 지지홀더(250)의 중앙부에는 관통홀(25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55)에는 상기 가이드판(210)이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255)의 내면 상단에는 상기 관통홀(255)의 길이방향으로 홈(25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판(210)의 제2 가이드바(214)가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홀더(250)의 하단에는 상기 개구홈(257)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홈(257)은 상기 지지홀더(250)의 하단에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이퍼진 형상의 승강부재(351)가 상기 수평하게 형성된 개구홈(257)에 삽입되게 되면, 상기 승강부재(351)의 경사면과의 접촉위치가 점차 상승함에 따라 상기 지지홀더(250)도 함께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판(210)은 압연롤을 바라보는 측이 압연롤의 캐리버 형상에 대응하여 상부 및 하부가 만곡부(211,213)로 되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홀더(250)에 장착되는 측은 상기 지지홀더(250)의 관통홀(255)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형(217)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판(210)의 원통형 둘레에는 상기 관통홀(255)과의 밀착력을 향상시켜 선재 압연과정 중의 유동을 감소토록 고무재질 등의 밀착패드(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210)은 압연롤의 선재 무부하 작동시에는 압연롤의 캐리버 사이로 신장, 즉 전진하여 압연기의 입구가이드로부터 투입되는 선재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판(210)의 내측에는 한 쌍의 사이드롤러부(27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롤러부(270)는 가이드롤(271) 및 지지대(273)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롤(271)은 선재의 형상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지지대(273)에 의해 상기 가이드판(210)에 볼트(275)로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판(210)의 상단에는 상기 제2 가이드바(214)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가이드바(214)는 상기 지지홀더(250)의 홈(256)에 끼워져, 상기 가이드판(21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작업자는 압연롤의 선재 무부하 작동시에는 상기 가이드판(210)을 상기 지지홀더(250)의 홈을 따라 전진시켜 압연롤의 캐리버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선재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압연롤의 선재 부하 작동시에는 다시 후방으로 이동시켜 압연롤의 캐리버 사이에서 제거한 후 통상적인 선재의 배출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인 선재 출구 가이드장치(100)의 일 실시예에서는 선재가 유입될 때 상기 지지홀더(250)를 고정토록, 상기 고정프레임(230)의 상단에서 상기 지지홀더(250)에 밀착하여 설치되는 고정수단(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400)은 가압블럭(410), 고정블럭(430) 및 고정볼트(4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선 상기 가압블럭(410)은 상기 지지홀더(250)의 상단에 밀착되며, 상기 고정프레임(230)의 제1 안착홈(231)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가압블럭(410)의 양측에는 상기 지지홀더(250)의 양측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안착홈(231)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제3 가이드바(410a)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블럭(410)의 상단에는 한 쌍의 볼트삽입홈(410b)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고정볼트(450)의 비나사부(453)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다음 상기 고정블럭(430)은 상기 가압블럭(410)의 상부에서 상기 고정프레임(230)의 제2 안착홈(233)에 안착되고, 상기 고정프레임(230)의 양측면에 제공된 홀(238)을 통해 상기 고정프레임(230)에 볼트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블럭(430)의 상,하단에는 한 쌍의 볼트체결홀(430a)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트체결홀(430a)에 상기 고정볼트(450)의 나사부(451)가 삽입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볼트(450)는 중앙부에 형성된 나사부(451)와 단부에 형성된 비나사부(45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부(451)는 상기 고정블럭(430)의 볼트체결홀(430a)에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토록 제공된다. 상기 비나사부(453)는 상기 가압블럭(410)의 볼트삽입홈(410b)에 삽입되며, 공회전하도록 제공되게 된다.
즉, 상기 고정볼트(450)를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볼트(450)의 나사부(451)가 상기 고정블럭(430)의 볼트체결홀(430a)을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가압블럭(410)을 승강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블럭(410)의 하강시 상기 지지홀더(250)는 하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승강부재(351)에 의해 조정된 상기 지지홀더(250)의 상하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은 상기와 같으며, 이하에서는 작동상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인 선재 출구 가이드장치가 선재 압연롤의 후단측에 장착되고 선재 압연롤의 무부하 구동시 선재의 배출을 가이드하는 상태가 도시된 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우선 압연롤(6,7)의 선재 부하 작동시에는 상기 가이드판(210)을 후방으로 밀어 압연롤의 캐리버(8)에 투입되는 선재의 열간 압연이 방해받지 않도록 운용한다. 이후 작업자는 압연롤의 선재 무부하 작동시 입구가이드(2)에서 투입된 선재가 압연롤 사이를 지나 정확히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판(210)을 압연롤(6,7)의 캐리버(8) 사이로 전진시키게 된다.
이때 우선 작업자는 상기 베이스(320) 상단에 안착된 이동프레임(330)을 상기 가이드레일(323)을 따라 이동시켜 압연롤의 캐리버와 상기 가이드판(210)의 수평위치를 잡아주게 된다. 상기 가이드판(210)의 수평위치와 상기 압연롤의 캐리버간의 수평위치가 일치되면, 작업자는 상기 클램핑부재(340)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프레임(330)이 유동되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한다.
이후 작업자는 상기 가이드판(210)과 상기 압연롤의 캐리버간의 상하위치를 일치시키기 위해 상기 조정레버(355)를 돌린다. 상기 조정레버(355)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조정레버(355)의 수스크류부(355c)와 맞물린 승강부재(351)의 암스크류부(351a)가 상기 수스크류부(355c)를 따라 전진하게 되고, 상기 승강부재(351)가 지지홀더(250)의 하단에 있는 개구홈(257)에 삽입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홀더(250)는 상승하며 상기 지지홀더(250)의 관통홀(255)에 끼워진 상기 가이드판(210)과 상기 압연롤의 캐리버간의 상하위치를 일치시키게 된다. 상기 가이드판(210)의 상하위치가 일치되게 되면, 이후 작업자는 상기 고정볼트(450)를 돌려 상기 가압블럭(410)을 사용하여 상기 지지홀더(250)의 상단에 하방향 압하력을 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홀더(250)는 상기 가압블럭(410) 및 상기 승강부재(351)와 더욱 밀착되며, 상하위치가 고정되게 됨으로써, 선재의 압연공정간에 발생되는 진동, 충격 등으로부터 유동이 최소화되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상기 가이드판(210)을 압연롤의 캐리버 사이로 밀어 배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입구가이드에서 투입된 선재(P)는 압연롤을 지나 배출되는 부분까지 본 발명의 선재 출구 가이드장치(100)에 의해 가이드되는 거리가 확대되어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정확히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사항은 선재 출구 가이드장치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200...가이드유닛 210...가이드판
230...고정프레임 250...지지홀더
270...사이드롤러부 300...위치 조정유닛
310...수평위치 조정수단 320...베이스
330...이동프레임 340...클램핑부재
350...상하위치 조정수단 400...고정수단
410...가압블럭 430...고정블럭
450...고정볼트

Claims (10)

  1. 압연롤의 캐리버 형상에 대응하도록 상하부가 만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압연롤의 선재 무부하 구동시에 상기 압연롤의 캐리버 사이에 투입되어 상기 선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판, 상기 가이드판으로 유입되는 상기 선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가이드판의 내면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롤러부, 및 상기 압연롤의 출구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판을 지지하는 지지홀더를 구비한 가이드유닛; 및
    상기 지지홀더를 고정하는 고정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압연롤의 캐리버 위치에 대응하게 상기 가이드유닛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상기 압연롤의 출구측에 배치되는 위치 조정유닛
    을 포함하는 선재 출구 가이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유닛은,
    상기 압연롤의 캐리버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유닛의 수평위치를 조정토록,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는 수평위치 조정수단; 및
    상기 압연롤의 캐리버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유닛의 상하위치를 조정토록, 상기 지지홀더에 연결되는 상하위치 조정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출구 가이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위치 조정수단은,
    상기 압연롤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 상단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평이동하도록 배치되는 이동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출구 가이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위치 조정수단은,
    상기 이동프레임을 고정토록 상기 베이스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이동프레임이 밀착되는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와 연계하여 상기 이동프레임을 가압하고 고정토록 제공되는 클램핑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출구 가이드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위치 조정수단은,
    상기 지지홀더의 하단에 있는 개구홈에 삽입 또는 배출되는 테이퍼진 승강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는 지지리브에 장착되는 조정레버;
    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레버를 돌려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개구홈에 삽입 또는 배출시켜 상기 지지홀더의 상하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출구 가이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가 유입될 때 상기 지지홀더를 고정토록, 상기 고정프레임에서 상기 지지홀더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출구 가이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제1 안착홈에 안착되고, 상기 지지홀더의 상단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가압블럭;
    상기 고정프레임의 제2 안착홈에 안착되고, 상기 가압블럭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에 체결되는 고정블럭; 및
    상기 고정블럭을 관통하며, 상기 가압블럭과 연결되고, 상기 가압블럭을 상기 지지홀더의 상단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지지홀더를 가압하고 고정토록 제공되는 고정볼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출구 가이드장치.
KR1020120089965A 2012-08-17 2012-08-17 선재 출구 가이드장치 KR101372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965A KR101372663B1 (ko) 2012-08-17 2012-08-17 선재 출구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965A KR101372663B1 (ko) 2012-08-17 2012-08-17 선재 출구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695A KR20140023695A (ko) 2014-02-27
KR101372663B1 true KR101372663B1 (ko) 2014-03-10

Family

ID=50269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965A KR101372663B1 (ko) 2012-08-17 2012-08-17 선재 출구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6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328B1 (ko) * 2019-05-31 2020-11-04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기 가이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4969A (ko) * 2003-12-24 2005-06-29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
KR20060074366A (ko) * 2004-12-27 2006-07-03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공정 압연기의 입구 및 출구 가이드 이동장치
KR20090061212A (ko) * 2007-12-11 2009-06-16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가이드 장치
KR20100007540U (ko) * 2009-01-16 2010-07-26 현대제철 주식회사 철근 압연용 가이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4969A (ko) * 2003-12-24 2005-06-29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
KR20060074366A (ko) * 2004-12-27 2006-07-03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공정 압연기의 입구 및 출구 가이드 이동장치
KR20090061212A (ko) * 2007-12-11 2009-06-16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가이드 장치
KR20100007540U (ko) * 2009-01-16 2010-07-26 현대제철 주식회사 철근 압연용 가이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695A (ko) 201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2663B1 (ko) 선재 출구 가이드장치
KR101187221B1 (ko) 스트리퍼 치즐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
KR20170032539A (ko) 원심 주조장치
EP2711100B1 (en) Rolling mill bearing chock positioning device
US8021140B2 (en) Linear bearing assembly to guide movement of roll stand on apparatus for forming an extruded sheet product
KR101366495B1 (ko) 롤러 레벨러 및 그것에 이용하는 레벨링 롤 유닛
JPH0346210B2 (ko)
CN216095936U (zh) 一种校直机
KR101189061B1 (ko) 패널용 스크랩 제거장치
KR102468968B1 (ko) 사출성형기의 이동 형판의 위치 조절 장치
KR101962765B1 (ko) 코크스 오븐 탄화실 평탄화 장치
KR102369526B1 (ko) 철판 자동 면취장치
KR101387327B1 (ko) 강판 교정장치 및 교정방법
KR101705688B1 (ko) 판상 소재 유도 장치
KR101148942B1 (ko) 측면안내장치
KR101123999B1 (ko) 도광판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109433867B (zh) 一种建筑扣件折弯设备及使用方法
JP5217769B2 (ja) 厚鋼板の冷却装置
CN216027236U (zh) 一种整形装置
KR101290420B1 (ko) 슬라브 추출장치
KR102554617B1 (ko) 압출물 절단 시스템
KR101220561B1 (ko) 불량재 처리 장치
KR101517023B1 (ko) 만곡 교정 장치 및 방법
CN114603092B (zh) 一种铸坯固定锯切装置
CN215754624U (zh) 一种被动辊可调的输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