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4969A -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4969A
KR20050064969A KR1020030096585A KR20030096585A KR20050064969A KR 20050064969 A KR20050064969 A KR 20050064969A KR 1020030096585 A KR1020030096585 A KR 1020030096585A KR 20030096585 A KR20030096585 A KR 20030096585A KR 20050064969 A KR20050064969 A KR 20050064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guide
block
wir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6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8136B1 (ko
Inventor
박양호
강명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30096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8136B1/ko
Publication of KR20050064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4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1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6Special arrangements with regard to simultaneous or subsequent treatment of the material
    • B21C47/262Treatment of a wire, while in the form of overlapping non-concentric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대구경의 공형소재를 코일형태로 권취시키는 때에 공형소재의 권취기 치입을 가이드하는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는, 권취드럼의 상부측에 경사지게 설치된 베이스상에 후단부가 힌지되어 이를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불록;과, 상기 작동블록의 내측으로 구동수단으로서 수축 및 확대토록 설치되고 내측으로 상기 이송되어 권취드럼에 치입되는 이송 공형소재가 통과되는 다단 가이드봉; 및, 상기 베이스와 작동블록의 바닥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작동블록의 승강정도를 조정토록 제공된 블록각도 조정수단을 포함하여 권취드럼에 치입되는 공형소재의 치입각도 조정을 용이토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압연된 대경의 공형소재를 권취시키는 권취드럼의 권취 치입각을 선재소재의 압연이나 권취조건에 따라 원활하게 조정하도록 함은 물론, 가이드장치의 수축 및 확장의 가변조정이 가능하여 권취된 선재코일을 권취드럼에서 바로 선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대경선재의 권취공정을 보다 간소화시키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AN APPARATUS FOR GUIDING WINDED WIRE-RODS}
본 발명은 압연된 공형소재를 권취드럼으로 권취시키는 때에 선재의 권취이동을 가이드 하는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는 특히 직경이 14-42mm 정도의 대구경인 공형소재의 권취를 위한 소재의 드럼치입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은 물론, 특히 권취드럼의 치입각을 소재의 압연이나 권취조건에 따라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가이드장치의 자체적인 수축 및 확장이 가능하여 권취된 선재코일을 권취드럼에서 바로 선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대경선재의 권취공정을 보다 간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공장에서 생산되는 선재제품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160 x 160mm 정도인 빌렛소재(BILLET)를 가열로에서 빌렛의 강종에 따라서 다음의 압연공정을 가능하게 하는 대략 940 - 1200℃의 온도로 가열시킨 후(S1), 가열된 소재를 압연(S2)하는데, 이와같은 압연공정(S2)은 조압연(S21), 중간 사상압연 (S22) 및, 사상압연(S23)의 연속압연단계로 이루어 진다.
이때, 가열되고 압연된 선재소재는 대략 그 직경이 14-42mm 정도의 선재제품으로 생산되는데, 이와 같은 압연공정을 통하여 생산된 선재제품의 직경이 14mm 이상이면 대구경 선재라하며, 이와 같은 대구경선재는 이후 1차 수냉 열처리(S3)를 통하여 그 권취온도를 조절하게 되고, 그 다음 권취드럼에 유도 투입되면서 권취되어 선재권취(S4)가 수행되고, 이후 압연되고 권취된 선재코일의 야금학적 조직생산을 위하여 2차 열처리(S5)가 수행되게 되면, 롤라콘베아로 이송되면서 정정라인으로 진행된다.
이때, 압연된 공형소재를 코일형태로 권취하는 권취공정은 직선상의 공형소재를 회전하는 권취드럼의 내경부에서 코일형태의 선재코일 제품으로 권취하는데, 이와 같이 권취된 코일선재는 드럼에서 이탈되어 롤라콘베아를 통하여 선회 이송된다.
한편, 도 2에서는 이와 같은 공형소재 특히, 직경이 14-42 mm 정도로 압여된 공형소재의 종래 권취작업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상압연(도 1의 S23) 공정에서 최종 압연된 공형소재(100)가 핀치롤(110)로서 수평 진행하여 곡선상의 가이드(120)들의 안내를 받아 회전 작동하는 권취드럼(130)의 내경부 끝단((132)으로 일정한 치입각(θ)을 이루면서 상기 권취드럼(130)의 바닥측이 도시하지 않은 실린더에 의하여 점진적으로 상승하면서 코일형상으로 권취되면, 코일선재(100')로 생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곡선상의 가이드(120)들과 권취드럼(130)사이에는 공형선재 (100)를 직선에서 곡선으로 통과되는 부하를 흡수하면서 소재(100)의 통과를 원활하게 하도록 조정하는 권취 가이드장치(140)가 배치되는데, 상기 권취 가이드 장치(140)는 실린더(142)로서 전후 이동하는 이동블록(144)상에 배치된 핀치롤 (146)과 가이드(148) 및 가이드롤(150)로 구성되어 있다.
즉, 곡선상의 가이드(120)에서 인출되는 공형소재(100)는 실린더(142)의 작동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이동블록(144)상의 핀치롤(146)과 가이드(148) 및 가이드롤(150)을 통하여 권취드럼(130)에 치입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148)와 가이드롤(150)의 이동된 위치에 따라 공형소재(100)의 권취드럼 치입각(θ)이 조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공형소재(100)의 권취드럼 치입각(θ)은 소재(100)의 선단부 가 상기 권취드럼(130)의 내경부 끝단(132)에서 최초 접촉위치등을 결정하게 하는데, 통상 치입되는 소재(100)의 압연속도, 선재품종, 권취온도, 생산사이즈 별로 조정되면서 치입각이 가이드장치(140)를 통하여 조정되는 소재의 권취가 이루어 진다.
한편, 가이드장치(140)를 통한 공형소재(100)의 권취드럼 치입각은 실제로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장치(140)의 가이드롤(150)에서 부터 권취드럼(130)의 최초 접촉지점까지의 거리 L과 연관이 있는데, 예를 들어 가이드롤 (150)에서 부터 인출되는 소재(100)의 이송속도와 소재의 직경이 같다면, 상기 거리 L이 클수록 소재(100)의 자중에 의한 처짐량은 더 크게 되기 때문이다.
이때, 도 2에서 가이드장치(140)의 가이드롤(150)에서 권취드럼(130) 내부권 끝점(132)까지의 거리 L과 소재(100)의 이송속도 및 소재(100) 자체의 중량에 따라 권취드럼(130)에 치입되는 소재(100)는 100-1,100-2 및 100-3으로 다르게 치입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가이드장치(140)의 가이드롤(150)로 부터 권취드럼(130)에 치입되는 형태가 100-3 이면, 소재(100)의 선단부가 심하게 꺽이는 형태로 권취되고, 선재완료된 후단부는 늘어지는 상태로 권취되게 된다.
그리고, 종래 가이드장치(140)의 가이드롤(150)로 부터 권취드럼(130)에 치입되는 형태가 100-2이면, 소재(100)의 선,후단부는 모두 심하게 꺽이는 상태로 권취되고, 이 경우 이송롤(150)을 통한 선재코일(100')의 이동을 불량하게 한다.
다음, 종래 가이드장치(140)의 가이드롤(150)로 부터 권취드럼(130)에 치입되는 형태가 100-1이면, 권취된 선재코일(100')의 권취높이(H)가 필요이상으로 높아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그런데,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대경선재 가이드 장치(140)는, 이동블록(144)이 실린더(142)의 작동시 직선상으로 이동하고, 이 이동블록(144)에 공형소재(100)의 권취드럼 치입각을 결정하는 가이드(148)와 가이드롤(150)이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롤(150)에서 권취드럼(130)의 내권부 끝단부(132)까지의 거리 L 을 일정하게 한 상태에서 가이드롤 (150)로 부터 인출되어 권취드럼(130)에 칩입되는 소재(100)의 치입각을 원활하게 조정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여러 형태의 문제가 되는 권취형태(100-1,2,3)로 소재(100)가 권취되면 이를 쉽게 조정할 수 없고, 이외의 조건 예를 들어, 소재 이송속도를 늦추거나 빠르게 하여 소재의 권취형태를 조정할 수 밖에 없고, 이와 같은 조정작업은 매우 어려운 것이다.
결국, 종래의 권취 가이드장치(140)를 이용한 소재(100)의 권취시 문제가 되는 형태로 권취되면서 코일선재의 제품불량이 빈번하게 발생되었으며, 코일선재의 형태불량은 코일선재의 콘베아 이송시 롤손상이나 이송불량등의 여러 문제점들을 발생시키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대구경인 공형소재의 권취를 위한 소재의 드럼치입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은 물론, 특히 권취드럼의 치입각을 소재의 압연이나 권취조건에 따라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가이드장치의 자체적인 수축 및 확장이 가능하여 권취된 선재코일을 권취드럼에서 바로 선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대경선재의 권취공정을 보다 간소화시키는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압연된 공형소재를 권취드럼에서 권취시키도록 이송되는 공형소재를 가이드하는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취드럼의 상부측에 경사지게 설치된 베이스상에 후단부가 힌지되어 이를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불록;
상기 작동블록의 내측으로 구동수단으로서 수축 및 확대토록 설치되고 내측으로 상기 이송되어 권취드럼에 치입되는 이송 공형소재가 통과되는 다단 가이드봉; 및
상기 베이스와 작동블록의 바닥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작동블록의 승강정도를 조정토록 제공된 블록각도 조정수단;
을 포함하여 권취드럼에 치입되는 공형소재의 치입각도 조정을 용이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정면 구조도이며, 도 5는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의 가이드봉을 도시한 요부 구조도이고, 도 6은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7은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8의 (a)-(c)는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에서 블록각도 조정수단인 편심캠의 작동에 따른 대경선재 권취작동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9의 (a)-(c)는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를 통한 권취드럼의 소재 치입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인데, 공형소재(100)와 곡선가이드 (120) 및 권취드럼(130)등의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부호로서 나타낸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압연된 공형소재(100)를 권취드럼(130)에서 권취시키도록 이송되는 공형소재(100)를 가이드하는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1)는, 크게 작동블록(10)과, 다단 가이드봉(30) 및, 블록각도 조정수단(50)으로 나누어 질 수 있는데, 이들 구성요소(10)(30)(50)들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 내지 도 5에서는 본 발명인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1)의 상기 작동블록(1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동블록(10)은, 상기 권취드럼(130)의 상부측에 경사지게 설치된 베이스(12)상에 후단부가 힌지 (16)되어 이힌지(16)를 축으로 앞부분이 들리는 선회작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12)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드럼 (130)의 상부 일측으로 곡선 가이드(120)에서 인출되는 공형소재(100)의 이송경로(P)에 맞추어 설치된 경사블록(14)상에 장착되는데, 상기 경사블록(14)은 대략 40-55°정도로 경사지면 되고, 바람직하기는 45°정도이다.
이때 상기 작동블록(10)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10a)과 그 양측으로 수직한 양측벽부(10b)로서 전체적으로 U자 형상으로 형성된 구조물인데, 이는 다음에 설명하는 다단 가이드봉(30) 즉, 내경 및 외경측 가이드봉 (30a)(30b)이 내부에 안착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고,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바닥(10a)의 후방으로 베이스(12)에 설치된 블록 (16a)에 핀(16b)이 끼워져 연결되는 힌지(16)로서 베이스(12)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힌지를 축으로 다음에 설명하는 블록각도 조정수단(50)의 작동시 작동블록 (10)의 앞부분이 들려지면서 일체로 다단 가이드봉(30)의 권취드럼 치입각도(θ)가 조정되게 되는데, 이는 다음에 도 7 및 도 8을 토대로 다시 설명한다.
다음, 도 3 내지 도 5에서는 본 발명인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1)의 상기 다단 가이드봉(30)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단 가이드봉(30)은, 상기 작동블록(10)의 내측으로 구동수단(32)으로서 수축 및 확대토록 설치되고 내측으로 상기 이송되어 권취드럼(130)에 치입되는 이송 공형소재(100)가 통과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다단 가이드봉(30)은 서로 겹쳐지는 내경측 가이드봉(30a)과 외경측 가이드봉(30b)으로 구성되어 상기 외경측 가이드봉(30b)은 내경측 가이드봉 (30a)의 외측에서 상기 구동수단(32)의 작동시 도 6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이동하여 공형소재(100)의 가이드장치(1)로 부터 권취드럼(130)까지의 가이드길이(도 1의 "L")를 조정하게 한다.
즉, 상기 내경측 및 외경측 가이드봉(30a)(30b)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경측 가이드봉(30a)은 상기 베이스 (12)에 연결되는데, 상기 베이스(12)의 후방에 수직한 브라켓트(12a)사이에 그 후단부가 고정되어 신장되면서 상기 작동블록(10)의 내측에 안착된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경측 가이드봉 (30b)은 상기 작동블록(10)의 내측으로 이송가이드부재(34a)(34b)들을 통하여 상기 구동수단(32)과 연결되어 전후 이동토록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이송가이드부재중 상측의 이송가이드부재(34a)은 T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측의 이송가이드부재(34b)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각각 상기 작동블록(10)의 양측벽부 (10b) 및 바닥(10a)에 형성된 가이드홈(35a)(35b)에 안착되어 외경측 가이드봉 (30b)의 이동시 그 이동을 작동블록의 내측에서 안정적으로 이루어 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작동블록(10)의 양측벽부(10b)에 끼워진 상부측 이송가이드부재 (34a)는 그 벽부에 설치된 윤할공급홈(37)을 통하여 공급되는 윤할유로서 이동시 마찰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상측 이송가이드부재(34a)의 이동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한다.
즉,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경측 가이드봉(30b)이 다음에 설명하는 구동수단(32)으로서 전진 및 후진 이동할때, 상기 이송가이드부재 (34a)(34b)들은 상기 외경측 가이드봉(30b)의 상부 및 저부에 연결되어 있어 그 이동을 일정하게 하여 이를 통한 공형소재(100)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도록 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경측 가이드봉(30b)은 그 단면으로 볼때 내경측 가이드봉(30a)과 접촉하는 부분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외경측 가이드봉(30b)이 후진하면, 상기 내경측 가이드봉(30a)과 접촉하면서 이와 같은 경사진 단면구조는 상기 내경측 가이드봉(30a)이 외경측 가이드봉(30b)의 후진을 어느정도에서 차단하는 스톱퍼역할을 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외경측 가이드봉(30b)의 선단부에는 도 1의 가이드롤(150)과 같이 이송되는 공형소재(100)를 권취드럼(130)에 흔들림없이 이송 치입되도록 하는 가이드롤(42)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32)은, 상기 베이스(12)에 연결된 구동실린더로 구성되는데,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2)의 후방에 수직한 수직판(32a)에 몸체부분이 연결되어 이를 통하여 로드가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2)에 하단부가 핀(37a)으로서 연결된 작동링크(36a)의 중앙측에 상기 구동실린더(32)의 로드가 연결블록등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작동링크(36a)의 상단부에 핀(37b)으로 연결된 수평바아(36b)는 상기 작동블록(10)에 형성된 장홈(11)을 통과하고, 상기 외경측 가이드봉(30b)과 연결되는 연결봉(38)의 외곽단부에 장착된 이동블록(40)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3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32)인 구동실린더가 작동하면, 상기 작동링크(36a)와 일체로 수평바아(36b)가 전진하고, 이에 이동블록(40)과 알체로 연결봉(38)이 외경측 가이드봉(30b)을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키는 것이다.
결국,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경측 가이드봉(30b)은 다음에 설명하는 블록각도 조정수단(50)의 작동시 힌지(16)를 축으로 승강되는 작동블록(10)에 의하여 들려지면서 선단의 가이드롤(42)을 통하여 이송되는 공형소재 (100)의 권취드럼 치입각도(θ)가 조정되게 된다.
그리고,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경측 가이드봉(30b)의 후진시에는 권취드럼(130)에서 권취된 선재코일(100')이 간섭되지 않고 드럼에서 부터 선회 이동될 수 있어 선재코일의 처리작업도 원활하게 한다.
이때, 도 3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블록(40)의 하측에는 센서작동편(40a)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이동블록(40)의 전후진 최종위치에서 그 하측으로 배치된 근접센서(S1,S2)중 하나가 작동되면 상기 구동수단(30)인 구동실린더(32)의 작동이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중단되고, 결국 상기 외경측 가이드봉(30b)의 전후 이동폭은 상기 센서 (S1,S2)들로서 조정되게 된다.
다음, 도 3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1)의 상기 블록각도 조정수단(5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블록각도 조정수단(50)은, 상기 베이스(12)와 작동블록(10)의 바닥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작동블록(10)의 승강정도(각도)를 조정토록 제공되어 있다.
이때, 상기 블록각도 조정수단(50)은, 상기 베이스(12)와 작동블록(10)의 바닥(10a)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홈(52)(54)에 삽입되고, 베이스(12)상에 설치된 모터(56)와 연결되면서 베이스(12)상의 베어링블록(58)에 지지되는 회전축(60)에 설치되는 편심캠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3 및 도 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56)를 구동시키면, 상기 블록각도 조정수단(50)인 편심캠의 작동에 따라 그 상부에 얹혀진 상태의 작동블록(10)은, 후방으로 힌지(16)를 축으로 그 들려지는 각도가 조정되게 된다.
결국,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경측 가이드봉(30b)의 가이드롤(42)을 통과하는 이송되는 공형소재(100)는 그 권취드럼 치입각도(θ) 가 조정될 수 있게 되고, 도 8a-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치입각도의 변환에 따라 공형소재(100)의 권취드럼(130)의 끝단부(132) 접촉위치가 다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경측 가이드봉(30b)의 전진과 블록각도 조정수단(50)의 편심캠(50)의 작동이 조합되면, 도 9a-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형소재(100)의 권취드럼 끝단부(132) 접촉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블록(10)의 일측에는 센서작동아암(T)이 설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근접센서(S3,4,5)들이 배치되어 있어, 사전에 설정된 각도로 상기 작동블록(10)은 들려지는데, 예를 들어 S3에 작동아암 (T)이 근접할때 까지 구동모터(56)를 구동시키어 작동블록(10)이 최대한 들려지게 하면, 도 9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형소재(100)는 권취드럼의 끝단부 (132)에 보다 높이 치입될 것이고, 중앙측 센서S4에 작동아암이 근접하여 모터구동이 중지되면, 공형소재(100)는 권취드럼(130)의 내경측 끝단부(132)에 일치되어 치입되고, 마지막으로 센서 S5에 작동아암(T)이 근접하면 작동블록(10)의 들려짐은 가장작아 공형소재(100)는 권취드럼 끝단부(132)에서 보다 하측으로 치입될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공형소재(100)의 권취드럼은 본 발명의 가이드장치(1)를 통하여 그 권취드럼 치입각을 적정하게 조정하면서 치입시키지만, 이때에는 권취드럼의 권취속도나 소재성분에 따라 다르게 조정되어야 할 것이다.
즉, 도 9a에서와 같은 공형소재(100)의 드럼치입형태는 소경생산, 고온권취,저강도 품종일경우에 바람직하고, 도 9b의 드럼 치입형태인 경우에는 생산경, 권취온도, 품종 연신율 정도가 중간정도가 되는 소재에 적당하고, 도 9c의 드럼치입형태는 대경선재, 저온권취, 고강도 품종의 선재인 경우에 적당한 각각의 권취드럼 치입형태가 될 것이다.
그리고, 도 8a의 편심캠(50) 조정상태 즉, 편심캠(50)의 간격조정이 d이면, 고온권취, 저강도 품종일 경우 유리한데, 링간밀도를 높이어 균일한 권취를 가능하게 할 것이고, 도 8b의 편심캠 조정상태 즉, 편심캠(50)의 간격조정이 d'로 도 8a 보다 크면, 드럼의 접촉점이 끝단부(32) 상단으로 드럼과의 마찰력이 상승하여 선단링이 균일하게 권취되도록 할 것이고, 도 8c와 같이 최대로 높게 편심캠(50)이 조정되면, 고강도강, 저온권취시의 소재 권취에 유리할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1)는 상기 도 9와 같이 소재의 압연상태, 이송속도, 권취속도등을 감안하여 가장 최적으로 드럼 치입상태로 치입되도록 하는 것이고, 이는 결국 선재코일(100')의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에 의하면, 권취드럼에 치입되는 공형소재의 치입각을 용이하게 조정함으로서, 공형소재를 코일형태로 권취드럼을 통하여 권취할때, 권취 코일선채의 형태가 후 롤라콘베아를 통하여 이동시키는 경우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함은 물론, 소재 권취시 권취코일의 링간밀도를 높이여 선재코일의 제품 품질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선재 권취시 안정적인 코일권취가 가능하여 코일선재의 이동이나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권취 불량이 방지되어 소재 권취시 절사량을 감소시키어 실수율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이송장애를 방지시키어 원활한 이송으로 전체적인 선재코일의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또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대경선재의 권취공정을 도시한 개략 공정도
도 2는 종래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 및 권취기 치입불량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정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인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의 다단 가이드봉을 도시한 요부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인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인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8의 (a)-(c)는 본 발명인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에서 블록각도 조정수단인 편심캠의 작동에 따른 대경선재 권취작동을 도시한 개략도
도 9의 (a)-(c)는 본 발명인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를 통한 권취드럼의 소재 치입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 10.... 작동블록
12.... 베이스 30.... 다단 가이드봉
30a.... 내경측 가이드봉 30b....외경측 가이드봉
32.... 구동수단 34.... 이송가이드부재
36a.... 작동링크 36b.... 수평바아
38.... 연결봉 40.... 이동블록
42.... 가이드롤 50.... 블록각도 조정수단
52,54.... 가이드홈 56.... 모터
58.... 베어링블록 60.... 회전축

Claims (5)

  1. 압연된 공형소재(100)를 권취드럼(130)에서 권취시키도록 이송되는 공형소재 (100)를 가이드하는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1)에 있어서,
    상기 권취드럼(130)의 상부측에 경사지게 설치된 베이스(12)상에 후단부가 힌지(16)되어 이를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불록(10);
    상기 작동블록(10)의 내측으로 구동수단(32)으로서 수축 및 확대토록 설치되고 내측으로 상기 이송되어 권취드럼(130)에 치입되는 이송 공형소재(100)가 통과되는 다단 가이드봉(30); 및
    상기 베이스(12)와 작동블록(10)의 바닥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작동블록 (10)의 승강정도를 조정토록 제공된 블록각도 조정수단(50);
    을 포함하여 권취드럼에 치입되는 공형소재의 치입각도 조정을 용이토록 구성된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2)는 상기 권취드럼(130)의 상부 일측으로 곡선 가이드(120)에서 인출되는 공형소재(100)의 이송경로(P)에 맞추어 설치된 경사블록(14)상에 고정되고,
    상기 작동블록(10)은 바닥(10a)와 양측벽부(10b)의 U자형상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 가이드봉(30)은 서로 겹쳐지는 내,외경측 가이드봉(30a)(30b)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경측 가이드봉(30a)은 상기 베이스(12)에 연결되고, 상기 외경 가이드봉(30b)은 상기 작동블록(10)의 내측으로 이송가이드부재(34a)(34b)들을 통하여 상기 구동수단(32)과 연결되어 전후 이동토록 구성되며,
    상기 외경측 가이드봉(30b)의 선단부에는 이송 공형소재(10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롤(42)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32)은, 상기 베이스(12)에 연결된 구동실린더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12)에 하단부가 연결된 작동링크(36a)에는 상기 구동실린더 (32)의 로드가 연결되며, 상기 작동링크(36a)의 상단부에 연결된 수평바아(36b)는 상기 작동블록(10)에 형성되고 상기 외경측 가이드봉(30b)과 연결되는 연결봉(38)의 외곽단부에 연결된 이동블록(40)에 연결되어 구동실린더 작동시 외경측 가이드봉 (30b)이 이송가이드부재로서 지지되면서 전후 이동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각도 조정수단(50)은, 상기 베이스(12)와 작동블록(10)의 바닥(10a)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홈(52)(54)에 삽입되고, 베이스 (12)상에 설치된 모터(56)와 연결되면서 베이스(12)상의 베어링블록(58)에 지지되는 회전축 (60)에 설치되는 편심캠으로 구성되어 모터 구동시 작동블록의 승강각도에 따른 공형소재의 권취드럼 치입각을 조정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
KR1020030096585A 2003-12-24 2003-12-24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 KR101008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6585A KR101008136B1 (ko) 2003-12-24 2003-12-24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6585A KR101008136B1 (ko) 2003-12-24 2003-12-24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4969A true KR20050064969A (ko) 2005-06-29
KR101008136B1 KR101008136B1 (ko) 2011-01-13

Family

ID=37256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6585A KR101008136B1 (ko) 2003-12-24 2003-12-24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81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663B1 (ko) * 2012-08-17 2014-03-10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출구 가이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5499B (en) 2011-10-11 2019-02-06 Hs Products Ltd Hybrid spring
GB2506104B (en) 2012-08-10 2018-12-12 Hs Products Ltd Resilient unit with different major surfaces
GB201401597D0 (en) * 2014-01-30 2014-03-19 Harrison Spinks Components Ltd Coiling apparatus and method
GB201708639D0 (en) 2017-05-31 2017-07-12 Hs Products Ltd Transportation Apparatus and method
GB201708635D0 (en) 2017-05-31 2017-07-12 Hs Products Ltd Pocketed spring unit and method manufacture
KR101968023B1 (ko) 2017-12-08 2019-04-10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권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재 권취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0725A (ja) 1986-12-01 1988-06-13 Toshiba Corp 圧延設備のノズル制御装置
KR100406416B1 (ko) * 1999-11-11 2003-11-19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권취용 가이드장치
KR100797332B1 (ko) * 2001-09-26 2008-01-22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코일의 권취기 유도용 가이드장치
KR100775302B1 (ko) * 2001-11-14 2007-11-08 주식회사 포스코 대구경 선재코일의 권취 안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663B1 (ko) * 2012-08-17 2014-03-10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출구 가이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8136B1 (ko)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3652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hot rolled steel sheets
US4697446A (en) Roll forming apparatus
JP5523579B2 (ja) 成形方法と成形装置
CA1307681C (en) Seamless tube production
CS199587B2 (en) Rolling equipment for hot rolling of metallic belt by reduction of its thickness in two rolling operations
KR101008136B1 (ko)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
JP2005506202A (ja) 金属溶融物から圧延金属帯片を連続的に作る方法及び装置
US3328990A (en) Coiler for strip-like material
US9884355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seamless metal pipe, mandrel mill, and auxiliary tool
CN219490069U (zh) 一种铝合金连续退火生产线
KR20140080367A (ko) 스테인리스 소둔 루퍼의 와이어 쏠림 방지 시스템
EP1289687B1 (de) Verfahren und anlage zur herstellung eines metallbandes
EP1126935B1 (en) Device to form spirals in a coiling machine for rolled stock
KR100340552B1 (ko) 변화하는선재의규격에대응가능한선재인출기
CN100450658C (zh) 用于卷取轧制或拉拔线材/棒材的改进卷取机
JP3646216B2 (ja) ビレットのガイドレス連続圧延方法
CN111922124A (zh) 一种具有差速输送结构的拉矫生产线
CN217017978U (zh) 一种精轧机出口板坯导向机构
US4182146A (en) Hot rolling mill
CN219597715U (zh) 精轧机液压装置
CN219985774U (zh) 一种铜线收线成卷机
CN115283477B (zh) 热轧钢盘条生产流水线的收卷换卷设备
JP6408332B2 (ja) 曲がり矯正装置
KR101008151B1 (ko) 선재코일 집적기의 코일 정리장치
KR101417228B1 (ko) 압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