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626B1 - 피부맛사지기능을 가지는 때밀이용구의 원단 - Google Patents

피부맛사지기능을 가지는 때밀이용구의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626B1
KR101372626B1 KR1020120046314A KR20120046314A KR101372626B1 KR 101372626 B1 KR101372626 B1 KR 101372626B1 KR 1020120046314 A KR1020120046314 A KR 1020120046314A KR 20120046314 A KR20120046314 A KR 20120046314A KR 101372626 B1 KR101372626 B1 KR 101372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yarn
skin
weaving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6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3133A (ko
Inventor
정 준 배
Original Assignee
정 준 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 준 배 filed Critical 정 준 배
Priority to KR1020120046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626B1/ko
Publication of KR20130123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7/00Woven pile fabrics
    • D03D27/02Woven pile fabrics wherein the pile is formed by warp or weft
    • D03D27/06Warp pile fabrics
    • D03D27/08Terry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3Hand-held or hand-driven devic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02G3/28Doubled, plied, or cabled threa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1/00Teasing, napping or otherwise roughening or raising pile of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06C7/02Se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Dermat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맛사지기능을 가지는 때밀이용구의 원단에 관한 것으로서,30 ~ 300 데니어(denier)의 섬유사 두 가닥을 각각 1차 S방향 또는 Z방향으로 1200-2700TPM으로 연사하고, 1차 연사된 두 가닥의 섬유사(S1,S2)를 한 가닥이 600-1300TPM으로 Z방향 또는 S방향으로 2차 복합 연사하여 가공한 것을 제직사로 하는 피부맛사지기능을 가지는 때밀이용구의 원단에 있어서; 상기 제직사(S)를 사용하여 때밀이용구용원단(T)을 제직기를 사용하여 제직하고, 상기 때밀이용구용원단(T)의 일면에 파일형성기(FM)로써 2 ~ 10mm 길이의 파일(F:file)을 더 형성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마찰을 감소시켜 부드러운 감촉을 부여한 타월(W)로서 제공하거나, 30 ~ 300 데니어(denier)의 섬유사 두 가닥을 각각 1차 S방향 또는 Z방향으로 1200-2700TPM으로 연사하여 1차 연사된 섬유사만을 사용하여, 2차 복합 연사없이 1차 섬유사만을 제직사로서 연사하여 때밀이용구용원단(T)을 제직하고, 상기 때밀이용구용원단(T)에 대하여 일면 또는 양면에 파일(F:file)을 5 mm 이하의 길이의 범위에서 생성하는 파일형성면(FS)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부맛사지기능을 가지는 때밀이용구의 원단{A TOWEL HAVING THE FUNCTION OF MASSAGE OF SKIN}
본 발명은 피부맛사지기능을 가지는 때밀이용구의 원단에 관한 것으로서,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피부에 적용하여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때밀이 타월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때밀이 기능에 부가하여 쿠션감 있는 피부맛사지감을 부여함으로써 세정 및 맛사지 효과를 동시에 부여하게 하는 구성의 타월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샤워나 목욕 시에 사용하는 타월 또는 장갑형상의 때밀이용구용의 원단이 일반적인 의류원단과는 별도의 구성으로서 안출되어 제조되고 있다.
대부분의 때밀이용구인 샤워타월, 장갑 등은 신체의 때를 기계적인 마찰력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피부에 통증을 주지않으면서 거칠기를 부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비스코스사 등을 연사하고 이 연사방법을 다양하게 하여 제조하는 구성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로부터의 때밀이용구의 원단의 경우는 타월 또는 장갑 등으로 가공되어 사용되는 경우, 연사된 돌출부가 신체에 접촉하여 마찰을 부여함으로써 때를 제거하는 구성이나 돌출부가 신체에 무리한 마찰력을 줌으로써 최근의 부드러운 세정을 원하는 소비자의 욕구에는 부합하지 아니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의 발명자이자 출원인이 기히 특허 출원번호 10-1999-0054032로 출원하고 2002 년 04 월 26 일자로 등록된 등록특허 10-0334464호의 '피부맛사지용 섬유사의 복합연사 가공방법'에서는,
피부 맛사지용 섬유사의 복합연사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며 동 섬유사로 편직물이나 장갑 등을 편직하여 피부맛사지용으로 사용시 마찰로 인한 피부의 손상이 생기지 않고 때가 잘 빠질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을 둔 것으로,
본 선출원에서는 루프상의 섬유사 구조로 인하여 통기상태가 우수하고 피부와의 마찰시 쿳션을 갖게 되므로 피부에 있는 때와 이물질이 잘 빠지고 피부의 손상이 없어지며 또 이와 같이 가공된 섬유사를 고정시키기 위한 셋팅작업이 해소되고 선염할 수 있게 되어 고품질의 피부맛사지용 편직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선출원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70-150데니어(denier)의 섬유사 두 가닥을 각각 1차 S방향 또는 Z방향으로 1200-2700TPM으로 연사하고, 1차 연사된 두 가닥의 섬유사를 한 가닥이 600-1300TPM으로 Z방향 또는 S방향으로 2차 복합 연사하여 가공한 기술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또 본 선출원의 섬유사를 이용하여 피부 맛사지용으로 루프 상태의 구조를 갖게 되는 편직물이나 장갑형태로 편직을 하게 될 경우 제편된 편직물이나 장갑은 루프상으로 인하여 통기공이 조밀하게 형성되고 루프구조는 변형이 생기지 않아 피부와의 마찰시에 루프 구조의 섬유사로 편직된 직물은 통기공과 쿳션을 갖게 되어 피부의 손상을 해소할 수 있게 하고 피부에 묻은 이물질이나 때는 통기공으로 유입되었다가 통기공에서 세척시 쉽게 분리되는 효과를 가지는 구성을 안출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출원인의 선원에서는 루프상의 섬유사 구조를 구성하기 위하여 70-150데니어(denier)의 섬유사 두 가닥을 각각 1차 S방향 또는 Z방향으로 1200-2700TPM으로 연사하고, 1차 연사된 두 가닥의 섬유사를 한 가닥이 600-1300TPM으로 Z방향 또는 S방향으로 2차 복합 연사하여 가공한 구성은 신체의 첨착한 때를 밀기에는 적합한 것으로서 판단되고, 때밀이용구로서 타월, 장갑, 때밀이 수건 등의 구성으로서 제조되어 실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 각 가정에 목욕시설이 대부분 보급되고 샤워 등으로 간단한 몸의 세정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서 가정에서 일상적으로 때를 미는 경우는 매우 적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상술한 선원 구성의 때밀이용으로 안출된 구성은 여러가지의 다양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때를 밀지 않는 샤워용, 목욕용의 타월 등으로 사용하기에는 매우 거칠어 사용자의 피부에 과도한 마찰력을 부여하여 적합하지 아니한 것이 판명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는 그 선출원의 기술적인 바람직한 효과는 그대로 채용하면서 샤워 시의 사용에 적합한 구성 즉, 사용자의 몸의 세정시에 피부에 쿠션에 의한 가벼운 피부맛사지기능과 세정기능을 동시에 부여하는 구성을 더 안출하여 개선된 효과의 피부맛사지기능을 가지는 때밀이용구에 적합한 원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피부맛사지기능을 가지는 때밀이용구의 원단은 타월, 장갑등으로 가공되어 사용되는 경우, 종래 본 발명자의 선원의 다양한 특성 즉,
마찰로 인한 피부의 손상을 극소화하고, 때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하고, 루프상의 섬유사 구조로 인하여 통기상태가 우수하고 피부와의 마찰시 쿳션을 갖게 되므로 피부에 있는 때와 이물질이 잘 빠지고 피부의 손상이 없어지는 효과는 그대로 가지면서,
사용자의 피부에 무리를 주지않고 쿠션감의 부여에 의한 부드러운 세정이 가능한 구성의 샤워용, 목욕용의 타월로서 적합한 구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제1실시예의 피부맛사지기능을 가지는 때밀이용구의 원단을 제조하는 공정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부맛사지기능을 가지는 때밀이용구의 원단의 파일형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부맛사지기능을 가지는 때밀이용구의 원단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부맛사지기능을 가지는 때밀이용구의 원단에서의 파일 형성면을 도시하는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부맛사지기능을 가지는 때밀이용구의 원단에서의 파일 비형성면을 도시하는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부맛사지기능을 가지는 때밀이용구의 원단을 사용하여 구성한 장갑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 및 사진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부맛사지기능을 가지는 때밀이용구의 원단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제조하는 공정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부맛사지기능을 가지는 때밀이용구의 원단의 파일형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부맛사지기능을 가지는 때밀이용구의 원단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부맛사지기능을 가지는 때밀이용구의 원단를 파일 형성면을 도시하는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부맛사지기능을 가지는 때밀이용구의 원단를 파일 비형성면을 도시하는 사진이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는 본 출원인의 선원 발명인 등록특허 10-0334464호의 '피부맛사지용 섬유사의 복합연사 가공방법에서 제조되는 섬유사를 이용하는 이용발명으로서,
70-150데니어(denier)의 섬유사 두 가닥을 각각 1차 S방향 또는 Z방향으로 1200-2700TPM으로 연사하고, 도 3에서와 같이, 1차 연사된 두 가닥의 섬유사(S1,S2)를 한 가닥이 600-1300TPM으로 Z방향 또는 S방향으로 2차 복합 연사하여 가공한 것을 기본적인 피부맛사지기능을 가지는 때밀이용구의 원단의 제직사로서 사용한다.
선원에서는 기본사로서 70-150데니어(denier)의 섬유사 두 가닥을 각각 1차 S방향 또는 Z방향으로 1200-2700TPM으로 연사하였으나 그 이후의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피드백적인 반응에서 30 ~ 300 데니어의 섬유사를 사용하여 1차 연사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는 범위에 있음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피부맛사지기능을 가지는 때밀이용구의 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다.
30 ~ 300 데니어(denier)의 섬유사 두 가닥을 각각 1차 S방향 또는 Z방향으로 1200-2700TPM으로 연사하고, 1차 연사된 두 가닥의 섬유사(S1,S2)를 한 가닥이 600-1300TPM으로 Z방향 또는 S방향으로 2차 복합 연사하여 가공한 것을 제직사로서 채용한다(100).
상기와 같은 제직사를 사용하여 때밀이용구용원단(T)을 제직기를 사용하여 제직한다.(110).
상기의 제직된 때밀이용구용원단(T)에 대하여 통상적인 파일형성기(FM)에 투입하여 일면에 파일(F:file)을 2 ~ 10mm 길이의 범위에서 생성하는 파일형성면(FS)을 만든다.(120)
상기 파일형성면(FS)이 생성된 때밀이용구용원단(T)을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예를 들면 80 * 20 cmm 정도의 길이와 폭으로 재단하고 모서리를 박음질(E) 등으로 마무리하여 전체 타월(W)을 구성한다.(130).
위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파일형성기(FM)는 통상적인 가공기로서 도 2에서와 같이 다수의 칼날(K)이 왕복동하도록 장착되는 파일형성기(FM)에 때밀이용구용원단(T)이 투입되어 파일(F)이 기모형성된다.
도 4의 파일(F)이 형성된 파일형성기(FM)을 도시하는 도 3의 타월(W)의 A부 확대사진에서와 같이 연사된 섬유사의 일부가 절단되어 파일(F)로서 기모되어 있어 부드러움 마찰면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파일형성면(FS)이 때밀이용구용원단(T)의 어느 일면에 형성되고 타면은 파일비형성면(NF)으로 하여 선출원과 같은 가연된 섬유사를 그대로 노출하여 제직함으로써 때밀이용 및 비누세척용 등으로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파일(F)이 형성된 파일형성기(FM)을 도시하는 도 3의 타월(W)의 A부 확대사진이고, 도 5는 파일비형성면(NF)의 선출원과 같은 가연가공사로 만들어진 도3의 B부 확대도이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는 본 출원인의 선원 발명인 등록특허 10-0334464호의 '피부맛사지용 섬유사의 복합연사 가공방법'에서 제조되는 섬유사를 이용하되,
30 ~ 300 데니어(denier)의 섬유사 두 가닥을 각각 1차 S방향 또는 Z방향으로 1200-2700TPM으로 연사하여 1차 연사된 섬유사만을 사용하여, 2차 복합 연사없이 1차 섬유사 만을 제직사로서 연사한다.
이 1차 연사된 섬유사만을 사용하여 때밀이용구용원단(T)을 제직한다.
상기의 제직된 때밀이용구용원단(T)에 대하여 통상적인 파일형성기(FM)에 투입하여 일면에 파일(F:file)을 5mm 이하의 길이의 범위에서 생성하는 파일형성면(FS)을 만든다.
상기 파일형성면(FS)이 생성된 때밀이용구용원단(T)을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예를 들면 80 * 20 cmm 정도의 길이와 폭으로 재단하고 모서리를 박음질(G) 등으로 마무리하여 전체 타월(W)을 구성하거나, 도 6에서와 같이 장갑형상의 때밀이구(G)를 구성한다.
[제 3 실시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서는 만일 사용되는 섬유사가 레이온의 경우에는 30 ~ 300 데니어(denier)의 섬유사 두 가닥을 각각 1차 S방향 또는 Z방향으로 50 ~ 2,400 TPM 의 범위 내에서 파일의 길이와 레이온의 데니어값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선택하여 연사하여 1차 연사된 섬유사만을 사용하여,
2차 복합 연사없이 1차 섬유사만을 제직사로서 연사하여 때밀이용구용원단(T)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서 실험 결과 밝혀졌다.
[제 4 실시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서는 만일 사용되는 섬유사가 화학사의 일종이라면,
지그재그형상으로 권취하여 열세팅으로 처리하는 경우, 위의 실시예와 같이 연사공정없이 단사 만으로 제직하여 파일을 형성하여도 좋은 것으로서 밝혀졌다.
즉, 30 ~ 300 데니어(denier)의 화학사의 원사를 파마형상으로 권취하여 열세팅하고 50 ~ 2,400 TPM 의 범위 내에서 권취 연사값을 취하되 파일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TPM의 값을 크게 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실시방법으로 제조되는 피부맛사지기능을 가지는 때밀이용구의 원단은 본 출원인의 선원의 섬유사가 가지는 모든 효능을 그대로 간직하면서도,
파일이 형성되어 다수의 섬모(纖毛)처럼 작용하여 부드러운 사용면을 형성하여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부여하고 때밀이용이나 샤워용 또는 목욕용 등의 다양한 용도의 타월로 사용하기에 최적의 구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F: 파일
FS: 파일형성면
T: 타월원단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30 ~ 300 데니어(denier)의 섬유사 두 가닥을 각각 1차 S방향 또는 Z방향으로 1200-2700TPM으로 연사하고, 1차 연사된 두 가닥의 섬유사(S1,S2)를 한 가닥이 600-1300TPM으로 Z방향 또는 S방향으로 2차 복합 연사하여 가공한 제직사,
    또는 30 ~ 300 데니어(denier)의 화학사의 원사를 파마형상으로 권취하여 열세팅하고 50 ~ 2,400 TPM 의 범위 내에서 권취연사한 제직사의 어느 하나의 제직사로서 제직하여 때밀이용구용원단(T)을 구성하고;
    상기 때밀이용구용원단(T)의 일면 또는 양면에 파일을 5 ~ 10mm 범위에서 형성하고,
    상기 파일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상기 제직사의 연사값인 TPM의 값을 크게 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맛사지기능을 가지는 때밀이용구의 원단.
  5. 삭제
KR1020120046314A 2012-05-02 2012-05-02 피부맛사지기능을 가지는 때밀이용구의 원단 KR101372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314A KR101372626B1 (ko) 2012-05-02 2012-05-02 피부맛사지기능을 가지는 때밀이용구의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314A KR101372626B1 (ko) 2012-05-02 2012-05-02 피부맛사지기능을 가지는 때밀이용구의 원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133A KR20130123133A (ko) 2013-11-12
KR101372626B1 true KR101372626B1 (ko) 2014-03-11

Family

ID=49852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6314A KR101372626B1 (ko) 2012-05-02 2012-05-02 피부맛사지기능을 가지는 때밀이용구의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6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170B1 (ko) * 2013-10-31 2014-05-14 예성주식회사 때밀이 장갑용 섬유사의 복합연사 가공방법
JP5963805B2 (ja) * 2014-05-27 2016-08-03 ジェオンジュン ベ 垢すり用具用生地の製造方法
KR101895451B1 (ko) * 2014-12-10 2018-09-06 김광우 무광택 및 경량의 한복안감 및 그 제조방법
KR101537957B1 (ko) * 2015-04-13 2015-07-20 김서연 때밀이 원단 제조용 사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때밀이 원단·장갑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3944A (ko) * 1999-12-02 2000-05-06 이영임 목욕용 타월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334464B1 (ko) * 1999-11-25 2002-04-26 정 준 배 피부맛사지용 섬유사의 복합연사 가공방법
JP2005103249A (ja) * 2003-09-10 2005-04-21 Gaadonaa:Kk 洗顔用クロスとその製造方法
JP2006241603A (ja) 2005-02-28 2006-09-14 Daiichi Orimono:Kk 複層タオル織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464B1 (ko) * 1999-11-25 2002-04-26 정 준 배 피부맛사지용 섬유사의 복합연사 가공방법
KR20000023944A (ko) * 1999-12-02 2000-05-06 이영임 목욕용 타월지 및 그 제조방법
JP2005103249A (ja) * 2003-09-10 2005-04-21 Gaadonaa:Kk 洗顔用クロスとその製造方法
JP2006241603A (ja) 2005-02-28 2006-09-14 Daiichi Orimono:Kk 複層タオル織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133A (ko) 2013-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2626B1 (ko) 피부맛사지기능을 가지는 때밀이용구의 원단
KR101517327B1 (ko) 때밀이용 장갑의 제조방법
US20160102422A1 (en) Towel product
KR100875433B1 (ko) 타월 직물
JP2009150027A (ja) 両面タオ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36114B1 (ko) 수세미 제조방법
JP3185867U (ja) 浴用タオル
JP4632007B2 (ja) 身体洗浄用具
KR101788000B1 (ko) 때밀이타월 제조방법
JP2009247789A (ja) クリーナー
KR20070111215A (ko) 직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9007711A (ja) 経編ベロア調パイル布帛
KR20150124767A (ko) 때밀이용구용 원단의 제조방법
JP4427018B2 (ja) 浴用ボディタオル
US11441246B2 (en) Towel product
KR100957842B1 (ko) 의장사를 이용한 닦이용 포의 제조방법
KR100554264B1 (ko) 세정성 및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세정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44648A (ko) 때밀이용구용 원단의 제조방법
KR20150143238A (ko) 촉감과 흡습성을 향상시킨 기능성 원단 및 그 제조방법
JP5342691B1 (ja) あかすりタオル
JP3238669U (ja) ボディタオル
KR101609328B1 (ko) 커트 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품
KR101367792B1 (ko) 목욕용구 제조용 사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목욕용구
JP5963805B2 (ja) 垢すり用具用生地の製造方法
KR20160100571A (ko) 목욕용구 제조용 섬유사의 복합연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목욕용구용 원단, 목욕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