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0406B1 - 박스 세척기 - Google Patents

박스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0406B1
KR101370406B1 KR1020120113391A KR20120113391A KR101370406B1 KR 101370406 B1 KR101370406 B1 KR 101370406B1 KR 1020120113391 A KR1020120113391 A KR 1020120113391A KR 20120113391 A KR20120113391 A KR 20120113391A KR 101370406 B1 KR101370406 B1 KR 101370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water
washing
recovery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병환
Original Assignee
타프기계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프기계공업(주) filed Critical 타프기계공업(주)
Priority to KR1020120113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04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B08B9/2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splash, spray, or jet application, with or without soaking
    • B08B9/3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splash, spray, or jet application, with or without soaking and having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스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박스를 세척하는 것으로, 박스가 안착되는 이송수단의 구동에 의해 박스를 이송시키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장착되며 입구부와 출구부가 개구되어 형성된 터널부와, 상기 터널부의 상부에 형성된 저수탱크와, 상기 저수탱크의 물을 흡입하여 노즐로 공급시키는 공급펌프와, 상기 공급펌프에 연결되며 다수의 노즐이 형성된 세척관으로 구성된 세척부; 상기 세척부에서 세척 후 배출되는 세척수를 회수하여 저장하는 회수탱크와, 상기 회수탱크에 연결되어 저장된 세척수를 다시 상기 저수탱크로 공급하는 회수펌프로 구성된 물 회수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고압의 세척수 분사에 의해 박스의 내,외부를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고, 대량의 박스를 연속 세척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세척된 물을 회수하여 재사용함으로써 물의 낭비를 방지하고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박스 세척기{BOX CLEAN APPARATUS}
본 발명은 박스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채나 과일 등을 수납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박스를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고, 대량의 박스를 연속 세척할 수 있는 박스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채나 과일과 같은 식자재 또는 음료수는 정해진 갯수만큼 박스에 수납되어 유통된다.
따라서 이러한 박스는 유통과정에서 오염될 우려가 높아 주기적으로 세척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박스를 세척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세척부가 제안된 바 있다. 즉 박스에 대해 고압수를 분사하여 세척하였으나 물의 낭비가 심하고, 외부에 오물이 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제안된 선행기술로는 국내 등록특허 제1178131호의 "연속 박스 세척건조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박스를 뒤집어서 세척하도록 한 것으로 이는 구성이 복잡하여 부피가 커지게 되고,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박스가 세척터널을 지나가는 동안 내부 및 외부에 대한 세척수 분사에 의해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세척수를 회수하여 재사용함으로써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여 비용 절감과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박스 세척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척수를 분사하여 박스를 세척하는 것으로, 박스가 안착되는 이송수단의 구동에 의해 박스를 이송시키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장착되며 입구부와 출구부가 개구되어 형성된 터널부와, 상기 터널부의 상부에 형성된 저수탱크와, 상기 저수탱크의 물을 흡입하여 노즐로 공급시키는 공급펌프와, 상기 공급펌프에 연결되며 다수의 노즐이 형성된 세척관으로 구성된 세척부; 상기 세척부에서 세척 후 배출되는 세척수를 회수하여 저장하는 회수탱크와, 상기 회수탱크에 연결되어 저장된 세척수를 다시 상기 저수탱크로 공급하는 회수펌프로 구성된 물 회수장치;를 포함하는 박스 세척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구동축과 타측에 형성된 종동축; 상기 구동축 및 종동축의 양단에 결합된 구동스프로켓 및 종동스프로켓; 상기 구동스프로켓 및 종동스프로켓을 연결하며 양측 단부에 각기 결합된 제1 및 제2체인;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발휘하는 구동모터; 상기 제1 및 제2체인의 각 체인링크의 상부에 각기 어태치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어태치부재를 연결하도록 가로봉이 장착되어 구성된 가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로봉에는 박스를 고정시키도록 복수의 걸림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동부의 하부에는 세척수를 집수하기 위해 경사를 갖는 트레이가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의 일측에 수로가 형성되며, 상기 수로는 상기 회수탱크의 입구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수탱크의 입구에는 상기 수로에서 유입된 세척수를 걸러내도록 필터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압의 세척수 분사에 의해 박스의 내,외부를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고, 대량의 박스를 연속 세척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세척된 물을 회수하여 재사용함으로써 물의 낭비를 방지하고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박스 세척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 세척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박스 세척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 세척기의 '출구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 세척기의 '회수탱크'를 확대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박스 세척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 세척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박스 세척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 세척기의 '출구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 세척기의 '회수탱크'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세척기(A)는, 세척수를 분사하여 박스(100)를 세척하는 것으로, 박스(100)가 안착되는 이송수단(3)의 구동에 의해 박스(100)를 이송시키는 본체(2); 상기 본체(2)의 상부에 장착되며 입구부(20)와 출구부(22)가 개구되어 형성된 터널부(24)와, 상기 터널부(24)의 상부에 형성된 저수탱크(26)와, 상기 저수탱크(26)의 물을 흡입하여 노즐(N)로 공급시키는 공급펌프(28)와, 상기 공급펌프(28)에 연결되며 다수의 노즐(N)이 형성된 세척관으로 구성된 세척부(4); 상기 세척부(4)에서 세척 후 배출되는 세척수를 회수하여 저장하는 회수탱크(62)와, 상기 회수탱크(62)에 연결되어 저장된 세척수를 다시 상기 저수탱크(26)로 공급하는 회수펌프(64)로 구성된 물 회수장치(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2)는 다수의 프레임을 연결하여 직육면체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박스(100)가 투입되는 입구부(20)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출구부(22)가 마련된다.
저수탱크(26)는 세척수를 저장하게 되며, 외부로부터 급수관(미도시)을 통해 물이 공급되고, 아울러 회수펌프(64)를 통해서도 물이 공급되며, 내부에는 저수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수위조절장치가 형성된다.
수위조절장치는 통상의 볼탭(ball tap)이 적용된다.
또한 저수탱크(26)의 내부에는 전기히터장치(264)가 형성되어 물을 약 50~70℃로 가열하도록 한다.
따라서 세척을 온수로 하기 때문에 세척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이송수단(3)은 박스(100)를 안착한 후 컨베어벨트와 같이 구동되면서 연속적으로 입구부(20)에서 출구부(22)로 이송시키는 작동을 하게 된다.
이송수단(3)은, 상기 본체(2)의 일측에 형성된 구동축(31)과 타측에 형성된 종동축(32); 상기 구동축(31) 및 종동축(32)의 양단에 결합된 구동스프로켓(33) 및 종동스프로켓(34); 상기 구동스프로켓(33) 및 종동스프로켓(34)을 연결하며 양측 단부에 각기 결합된 제1 및 제2체인(35,36); 상기 구동축(31)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발휘하는 구동모터(37); 상기 제1 및 제2체인(35,36)의 각 체인링크의 상부에 각기 어태치부재(38)가 형성되고, 상기 어태치부재(38)를 연결하도록 가로봉(39)이 장착되어 구성된 가동부(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로봉(39)에는 박스(100)를 고정시키도록 복수의 걸림부재(392)가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걸림부재(392)는 마찰력을 갖는 고무재질의 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박스(100)를 가로봉(39)의 상부에 엎어놓은 상태로 이송되는 동안 걸림부재(392)가 박스(100)의 하단 테두리에 걸려져 마찰 접촉되어 있어 박스(10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기능이 발휘되어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세척부(4)는 터널부(24)의 내부에 형성되며, 박스(100)의 외면을 세척하는 상부 세척관(43)과, 박스(100)의 내면을 세척하는 하부 세척관(45)을 포함하고, 상부 세척관(43)의 노즐(N)은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하부 세척관(45)의 노즐(N)은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가동부(C)의 하부에는 세척수를 집수하기 위해 경사를 갖는 트레이(7)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트레이(7)는 중앙을 향해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세척 후 흘러내린 세척수가 집중적으로 모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7)의 일측에 수로(72)가 형성되며, 상기 수로(72)는 상기 회수탱크(62)의 입구에 연결되어 트레이(7)에 집수된 세척수를 회수탱크(62)로 이송시킨다.
여기서 상기 회수탱크(62)의 입구에는 상기 수로(72)에서 유입된 세척수를 걸러내도록 필터부재(8)가 형성된다.
필터부재(8)는 세척수에 섞여 나오는 이물질을 걸러내어 제거하도록 하고, 필터부재(8)에 잔재된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필터부재(8)는 분리 가능한 구조로 회수탱크(62)의 상단에 결합된다.
즉 필터부재(8)는 수로(72)의 하부에 배치되는 1차 타공판(81)과, 회수탱크(62)의 내부에 수직되게 결합되는 2차 타공판(82)으로 구성된다.
1차 타공판(81) 및 2차 타공판(82)에는 손잡이(83)가 형성되어 분리 및 결합 작업이 용이해지도록 한다.
2차 타공판(82)은 회수탱크(62)의 내부에 수직되게 장착된 가이드레일(623)에 결합된다.
또한 2차 타공판(82)은 타공된 전면판(821)과 후면판(822)의 사이에 삽입홈(823)이 형성된 것으로, 내부에 미세공을 갖는 필터막(86)이 삽입홈(823)에 결합된 것으로, 세척시에는 필터막(86)을 분리하여 털어내어 세척하게 된다.
상기 회수탱크(62)에서 회수펌프(64)로 이송되는 배관에는 2차 여과기(85)가 더 형성된다.
2차 여과기(85)는 마이크로 필터 장치가 바람직하며, 회수탱크(62)에서 회수되는 물을 회수펌프(64)로 펌핑하기 전에 재차 필터링하여 이물질을 제거하여 수질을 더욱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2)의 일측에 형성된 콘트롤박스(200)의 스위치를 온(ON) 작동시키면 이송수단(T)의 구동모터(37)가 작동되어 가동부(C)가 회전 작동하기 시작한다.
아울러 세척부(4)의 공급펌프(28)가 구동되어 세척관(43,45)의 노즐(N)을 통해 세척수가 분사된다.
또한 물 회수장치(6)의 회수탱크(62)가 구동되어 트레이(7)를 통해 회수탱크(62)로 유입된 세척수를 다시 상부의 저수탱크(26)로 공급되도록 순환시킨다.
이렇게 본 발명의 박스 세척기(A)의 정상적인 작동이 시작된 후 본체(2)의 입구부(20)에 대응되는 이송수단(3)의 가로봉(39)의 상부에 박스(100)를 안착하여 세척부(4)의 터널부(24)로 인입되도록 한다. 여기서 박스(100)는 엎어놓은 상태로 안착시킴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터널부(24)로 인입된 박스(100)는 세척부(4)를 통과하면서 상부 세척관(43) 및 하부 세척관(45)의 노즐(N)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내,외면에 묻은 이물질이 제거된다.
이렇게 세척을 마친 박스(100)는 출구부(22)를 통해 외부로 이송된다.
한편 세척 후 세척수는 하방으로 낙하된 후 트레이(7)에 집수되고 수로(72)를 통해 회수탱크(62)로 이송된다.
그리고 회수탱크(62)의 필터부재(8)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고, 비교적 깨끗하게 처리되어 회수탱크(62)에 집수된 세척수는 다시 회수펌프(64)에 의해 상부의 저수탱크(26)로 공급되어 순환된다.
따라서 세척수를 연속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어 자원을 절약할 수 있고, 세척수가 외부로 튀지 않아 청결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본체 3 : 이송수단
4 ; 세척부 6 : 물 회수장치
20 : 입구부 22 : 출구부
24 : 터널부 26 ; 저수탱크
28 : 공급펌프 35, 36 : 제1 및 제2체인
38 : 어태치부재 39 ; 가로봉
62 : 회수탱크 64 : 회수펌프
C : 가동부 N ; 노즐
85 ; 2차 여과기 264 : 전기히터장치

Claims (10)

  1. 세척수를 분사하여 박스를 세척하는 것으로, 박스가 안착되는 이송수단의 구동에 의해 박스를 이송시키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장착되며 입구부와 출구부가 개구되어 형성된 터널부와, 상기 터널부의 상부에 형성된 저수탱크와, 상기 저수탱크의 물을 흡입하여 노즐로 공급시키는 공급펌프와, 상기 공급펌프에 연결되며 다수의 노즐이 형성된 세척부; 상기 세척부에서 세척 후 배출되는 세척수를 회수하여 저장하는 회수탱크와, 상기 회수탱크에 연결되어 저장된 세척수를 다시 상기 저수탱크로 공급하는 회수펌프로 구성된 물 회수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구동축과 타측에 형성된 종동축; 상기 구동축 및 종동축의 양단에 결합된 구동스프로켓 및 종동스프로켓; 상기 구동스프로켓 및 종동스프로켓을 연결하며 양측 단부에 각기 결합된 제1 및 제2체인;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발휘하는 구동모터; 상기 제1 및 제2체인의 각 체인링크의 상부에 각기 어태치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어태치부재를 연결하도록 가로봉이 장착되어 구성된 가동부; 를 포함하되,
    상기 가동부의 하부에는 세척수를 집수하기 위해 경사를 갖는 트레이가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의 일측에 수로가 형성되며, 상기 수로는 회수탱크에 연결된 것과,
    상기 회수탱크에는 상기 수로에서 유입된 세척수를 걸러내도록 필터부재가 형성된 것과,
    상기 필터부재는 수로의 하부에 배치되는 1차 타공판과, 회수탱크의 내부에 수직되게 결합되는 2차 타공판으로 구성된 것과,
    상기 1차 타공판 및 2차 타공판에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2차 타공판은 회수탱크의 내부에 수직되게 장착된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며, 상기 2차 타공판은 타공된 전면판과 후면판의 사이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에는 필터막이 결합된 것과,
    상기 가로봉에는 박스를 엎어놓은 상태로 이송시 박스의 하단 테두리에 걸려져 박스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복수의 걸림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는 마찰력을 갖는 고무재질의 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세척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박스의 외면을 세척하도록 노즐이 형성된 상부 세척관과, 상기 박스의 내면을 세척하도록 노즐이 형성된 하부 세척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세척관의 노즐은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 세척관의 노즐은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세척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의 내부에는 전기히터장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세척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탱크에서 회수펌프로 이송되는 배관에는 2차 여과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세척기.




KR1020120113391A 2012-10-12 2012-10-12 박스 세척기 KR101370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391A KR101370406B1 (ko) 2012-10-12 2012-10-12 박스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391A KR101370406B1 (ko) 2012-10-12 2012-10-12 박스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0406B1 true KR101370406B1 (ko) 2014-03-06

Family

ID=50647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391A KR101370406B1 (ko) 2012-10-12 2012-10-12 박스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040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6115A (zh) * 2018-11-04 2019-01-18 湖南中航精工有限公司 立式深孔饱和蒸汽清洗机
CN112790696A (zh) * 2018-08-21 2021-05-14 东莞市凯勒帝数控科技有限公司 一种食堂用餐碟清洗机
CN113910110A (zh) * 2021-12-14 2022-01-11 杭州金固环保设备科技有限公司 轮辐清洗系统
CN114252096A (zh) * 2021-12-29 2022-03-29 深圳致信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精准度高的环境检测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3913A (ja) * 1998-09-21 2000-04-04 Ishinomaki Suisan Tekko:Kk 洗浄装置
JP3101256U (ja) * 2003-10-28 2004-06-10 森合精機株式会社 容器洗浄装置
KR20040071010A (ko) * 2003-02-06 2004-08-11 임덕희 상자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3913A (ja) * 1998-09-21 2000-04-04 Ishinomaki Suisan Tekko:Kk 洗浄装置
KR20040071010A (ko) * 2003-02-06 2004-08-11 임덕희 상자 세척장치
JP3101256U (ja) * 2003-10-28 2004-06-10 森合精機株式会社 容器洗浄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90696A (zh) * 2018-08-21 2021-05-14 东莞市凯勒帝数控科技有限公司 一种食堂用餐碟清洗机
CN112790696B (zh) * 2018-08-21 2022-01-25 东莞市凯勒帝数控科技有限公司 一种食堂用餐碟清洗机
CN109226115A (zh) * 2018-11-04 2019-01-18 湖南中航精工有限公司 立式深孔饱和蒸汽清洗机
CN113910110A (zh) * 2021-12-14 2022-01-11 杭州金固环保设备科技有限公司 轮辐清洗系统
CN113910110B (zh) * 2021-12-14 2022-05-03 杭州金固环保设备科技有限公司 轮辐清洗系统
CN114252096A (zh) * 2021-12-29 2022-03-29 深圳致信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精准度高的环境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406B1 (ko) 박스 세척기
KR101289333B1 (ko) 이물질 자동배출이 가능한 야채 자동세척기
KR100954634B1 (ko) 대파 탈피장치
JP2010508046A (ja) 野菜の洗浄装置とこれを利用した野菜の洗浄システム
KR20180010412A (ko) 농산물 세척 장치
CN206316067U (zh) 一种茶叶清洗机
CN107874287A (zh) 一种农副产品加工用气泡清洗机
JP2012249601A (ja) 茶生葉洗浄装置
KR102143204B1 (ko) 멸치자숙용 발 세척장치
KR101070659B1 (ko)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장치
KR101070658B1 (ko) 애벌 세척장치
KR20180101874A (ko) 모래 이송용 콘베이어벨트의 모래 회수장치
CN205512215U (zh) 豆芽清洗去壳机
JP2008056482A (ja) コンベア用洗浄ユニット
KR100987900B1 (ko) 양파 탈피장치
CN107364429B (zh) 一种轨道交通车辆大型柜体自动化清洗系统
KR101286739B1 (ko) 식판 애벌세척장치
KR102501664B1 (ko) 나물 세척장치
KR200394201Y1 (ko) 고추세척기
JP2004248602A (ja) 野菜洗浄方法及び装置
CN106766551B (zh) 水产清洗设备
KR101137674B1 (ko) 헹굼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식판 세척장치
KR101343564B1 (ko) 보온수단이 구비된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기
KR101746548B1 (ko) 열교환기의 열판 세척 장치
CN212754213U (zh) 一种卤制品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