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1010A - 상자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상자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1010A
KR20040071010A KR1020030007505A KR20030007505A KR20040071010A KR 20040071010 A KR20040071010 A KR 20040071010A KR 1020030007505 A KR1020030007505 A KR 1020030007505A KR 20030007505 A KR20030007505 A KR 20030007505A KR 20040071010 A KR20040071010 A KR 20040071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chain
conveyor
wat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7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2027B1 (ko
Inventor
임덕희
Original Assignee
임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덕희 filed Critical 임덕희
Priority to KR10-2003-0007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2027B1/ko
Publication of KR20040071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1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0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2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유 및 음료 팩 또는 각종 병을 담는 박스를 이동시키면서 연속적으로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상자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세척대상 상자를 뒤집은 상태에서 평면상 4각 형태로 연속 공급하는 컨베이어가 설치된 상자공급수단; 상기 상자공급수단의 중심부와 어긋나게 설치되고 상기 상자공급수단으로부터 평면상 4각 형태로 공급되는 세척대상 상자를 마름모형태로 방향전환하며 견인하는 상자견인구가 설치된 체인이 리턴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체인의 상부에는 그 체인의 진행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상자를 받쳐주는 가이드를 설치하여 된 체인컨베이어가 마련된 상자이송수단; 상기 체인컨베이어가 저부를 통과함과 동시에 상자가 통과될 수 있는 형태의 파이프로 된 링이 마련되고, 그 링의 사방에는 다수의 물분사노즐이 설치되며, 상기 링은 물공급관을 매개로 펌프가 연결 설치되고, 그 펌프는 여과스크린을 갖는 집수조와 연결 설치하여 된 세척수공급수단; 상기 체인컨베이어의 출측 끝 부분에 설치되어 세척완료 후 체인컨베이어로부터 배출되는 상자를 공급받아 그를 180°회전시켜 목적지로 이송하는 배출컨베이어에 안내하는 상자회전수단; 상기 체인의 진행방향을 따라 물분사노즐이 설치된 링이 수용되게 설치되고, 저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상기 집수조와 통하는 배수부가 형성되며 상면 및 측면은 투명부재가 설치된 터널형태의 보호틀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Description

상자 세척장치{Automatic washing for box}
본 발명은 각종 빈 상자를 세척하는 상자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유 및 음료 팩 또는 각종 병을 담는 박스를 이동시키면서 연속적으로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상자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상자 세척장치는 세척대상 상자를 적재하고 직선 이동하는 컨베이어를 따라 상/하부에 수 개의 세척액 분사노즐을 설치한 것으로서, 상기 상자를 직선적으로 이동시키며 세척액을 분사하여 세척하는 방식은 세척효율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그 이유는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상자에 대해 그 상자의 구조상 곳곳에 세척액을 분사하기가 곤란하였기 때문이며, 특히 세척액이 동일방향으로 분사되므로 사각지대 즉 세척액이 닿지 않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상자의 세척부분이 고르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자를 골고루 세척하기 위하여 도 7에 나타낸 실용신안등록 제283208호와 같은 상자 세척장치가 제공되어 있고, 이의 구성은, 세척액이 분사되는 노즐(10)과, 얹혀진 세척용 상자를 수평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20)와, 상기 컨베이어를 기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어 오는 상자의 놓여진 자세를 변경시키기 위하여 상기 컨베이어 중간 1지점 이상에 설치되는 반전수단(3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반전수단(30)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십(十)자 형태로 연결되어 풍차식으로 회전되는 것으로서, 이송되어 오는 상기 상자를 그의 진행하는 방향으로 90°씩 회전시킬 수 있는 로테이터이며, 상기 컨베이어 후방 일부 구간은 진동이송부가 형성됨으로써, 이송되는 박스에 진동을 가하여 세척액을 물리적으로 떨구어낼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상자 세척장치는 컨베이어(20)가 여러 단계로 설치되어야 함으로 설치면적이 너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세척액의 낭비가 심하고 수질오염을 제공하는 원인이 되며, 세척 또한 그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빠른 시간에 많은 량의 상자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음은 물론, 세척 액(물)의 낭비 및 수질오염을 방지하도록 사용되는 세척 액을 계속적으로 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또 세척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자를 평면상 마름모 형태로 방향전환 하여 세척 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한 상자 세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자 세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상자 세척장치 중 상자이송부 발췌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상자 세척장치 중 세척수공급부 발췌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상자 세척장치 중 가이더 발췌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자 세척장치 중 물비산방지틀 발췌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상자 세척장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발췌도.
도 7은 종래의 상자 세척장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상자이송수단 110 : 체인컨베이어 111 : 체인
112 : 상자견이구 113,114 : 스프라켓 115 : 상자가이드
116 : 체인보호구 200 : 세척수공급수단 210 : 링
211 : 물분사노즐 220 : 물공급관 230 : 펌프
240 : 집수조 241 : 뚜껑 242 : 여과스크린
243,244 : 레일 300 : 상자회전수단 310 : 가이드바
320 : 보호링 330 : 배출컨베이어 400 : 보호틀
410 : 저면 411 : 배수부 420 : 상면
421,431 : 투명부재 430 : 측면 440 : 지지프레임
500 : 상자공급수단 510 : 컨베이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은, 세척대상 상자를 뒤집은 상태에서 평면상 4각 형태로 연속 공급하는 컨베이어가 설치된 상자공급수단; 상기 상자공급수단의 중심부와 어긋나게 설치되고 상기 상자공급수단으로부터 평면상 4각 형태로 공급되는 세척대상 상자를 마름모형태로 방향전환하며 견인하는 상자견인구가 설치된 체인이 리턴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체인의 상부에는 그 체인의 진행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상자를 받쳐주는 가이드를 설치하여 된 체인컨베이어가 마련된 상자이송수단; 상기 체인컨베이어가 저부를 통과함과 동시에 상자가 통과될 수 있는 형태의 파이프로 된 링이 마련되고, 그 링의 사방에는 다수의 물분사노즐이 설치되며, 상기 링은 물공급관을 매개로 펌프가 연결 설치되고, 그 펌프는 여과스크린을 갖는 집수조와 연결 설치하여 된 세척수공급수단; 상기 체인컨베이어의 출측 끝 부분에 설치되어 세척완료 후 체인컨베이어로부터 배출되는 상자를 공급받아 그를 180°회전시켜 목적지로 이송하는 배출컨베이어에 안내하는 상자회전수단; 상기 체인의 진행방향을 따라 물분사노즐이 설치된 링이 수용되게 설치되고, 저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상기 집수조와 통하는 배수부가 형성되며 상면 및 측면은 투명부재가 설치된 터널형태의 보호틀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체인컨베이어는, 2열 설치되고, 상기 세척수공급수단은, 체인컨베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다수 개 설치되며, 상기 투명부재는, 투명합성수지 또는 투명유리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보호틀의 측면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집수조는 뚜껑의 내면과 집수조의 내부 및 펌프와 연결되는 부분에 1중 또는 2중의 여과스크린이 설치되며, 상기 집수조의 뚜껑은 열은 상태에서 그 내면이 상기 보호틀의 배수부에 위치하게 배치시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상자 세척시스템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먼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척대상 상자를 뒤집은 상태에서 평면상 4각 형태로 하기에서 설명되는 체인컨베이어(110)의 입 측에 공급하도록 컨베이어(510)가 마련된 상자공급수단(500)이 설치된다. 단, 상기 컨베이어(510)는 체인컨베이어나 벨트컨베이어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상자공급수단(500)의 출 측에는 도1 및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측 스프라켓(113)과 리턴 측 스프라켓(114)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를 유지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각 스프라켓(113,114)에는 그 스프라켓(113,114)의 구동과 함께 체인(111)이 리턴 회전되게 설치되며, 상기 체인(111)에는 등 간격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상자견인구(112)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자견인구(112)가 설치된 체인(111)의 중심부와 상자공급수단(500)인 컨베이어(510)의 중심부는 약간 어긋나게 설치되는데, 그 어긋나는 정도는 상자견인구(112)가 상자의 면과 면이 만나는 코너부분을 걸어 견인할 수 있는 정도이다.
한편, 상기 구동 측 스프라켓(113)에는 모터(M)가 연결 설치되어 있고, 그 모터(M)가 설치된 구동 측 스프라켓(113)의 위치는 상자(B)가 공급되는 입측 또는 상자(B)가 배출되는 출측 중 어느 곳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참고로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상자(B)가 배출되는 출측에 위치한 스프라켓에 모터(M)를 설치하였다.
또, 상기 체인컨베이어(110) 대신에 벨트컨베이어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있으나 상기 벨트컨베이어를 설치할 경우에는 구동 및 리턴 스프라켓을 구동 및 리턴 롤로 교체하여 사용해야 한다.
한편, 상기 체인컨베이어(110)에 실려지는 상자(B)의 형태는 해당물품이 수용되지 않은 빈 상자이고, 또, 입구가 하향하는 뒤집혀진 상태이며, 상기 체인컨베이어(110)는 필요에 따라 1열 또는 2열 및 그 이상을 열이 유지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2열로 설치하여 사용함이 좋다. 그 이유는 상자 세척시스템의 컨트롤 및 세척 완료되어 배출되는 상자의 적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또, 상기 체인(111)이 리턴 회전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그 체인(111)의 상부(이송부)에는 체인(111)의 진행은 저해하지 않으면서 상자(B)를 안전하게 지지하며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상자가이드(115)가 설치되어 있고 그 상자가이드(115)의 상면은 체인(111)의 상면보다 약간 높게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리턴부)에는 체인(111)의 진행방향을 따라 그 체인의 진행을 저해하지 않도록 체인보호구(116)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설명은 상자이송수단(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 것이고, 이하에서는 세척수공급수단(2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세척수공급수단(200)은 도1 및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방에 다수의 물분사노즐(211)이 설치된 링(210)이 마련되는데, 그 링(210)은 물이 유통될 수 있는 파이프로 형성되고, 또 상자(B)가 걸림 없이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링(210)의 일 측에는 물을 링(210)으로 공급하는 물공급관(220)의 선단이 연결 설치되고, 그 물공급관(220)의 끝단에는 펌프(230)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펌프(230)는 집수조(240)와 연결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집수조(240)는 개폐 가능한 뚜껑(241)이 마련되고 그 뚜껑(241)의 내부에는 1차 여과스크린(242a)이 설치되어 있으며, 집수조(240)내부에는 2차 여과스크린(242b)이 설치되어 있고, 집수조(240)와 펌프(230)가 연결 설치되는 부분에도 3차 여과스크린(242c)이 설치되어 있다. 단 상기 집수조(240) 내의 2차 여과스크린(242b)은 2중으로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여과스크린의 세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또, 상기 링(210)의 설치위치는 체인(111)의 상부(이송부)가 상기 링(210)의 내측 저부를 통과하도록 설치하였고, 체인(111)의 하부(리턴부)는 링(210)의 외측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수공급수단(200)은 체인컨베이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다수 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1차 및 2차 여과스크린(242a,242b)의 형태는 미세공이 무수히 형성된 패널형태이고, 이는 각 설치개소에 레일(243,244))이 형성되어 그 레일로부터 슬라이딩 형태로 삽입 설치되거나 인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3차 여과스크린(242c)은 집수조(240)와 펌프(230) 설치개소 사이에 스크린 망 형태로 개재되게 되어있다.
한편, 상기 체인컨베이어(110)가 2열로 설치될 때에는 링(210)도 체인컨베이어(110)의 설치 열과 동일하게 2개를 마련해야 하고, 체인컨베이어(110)가 3개 이상일 때에는 링도 상기 체인컨베이어(110)의 설치 열과 동일 개수를 마련해야 한다.
또한, 상기 체인컨베이어(110)의 출측 끝 부분에는 체인컨베이어(110)로부터 배출되는 상자(B)를 180°회전시켜 그를 목적지로 이송하는 배출컨베이어(330)에 안내하는 상자회전수단(300)이 설치되는데, 그 상자회전수단(300)의 구성은 도1 및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개의 가이드 바(310)를 반원형으로 구부려서 상기 상자(B)가 통과할 수 있는 반원형의 터널을 만들고 그 반원형의 터널에는 상기 가이드 바(310)를 감싸며 보호하는 보호 링(320)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일체화시킨다.
단, 상기 반원형의 터널 형태로 된 상자회전수단(300)의 내부 형태는 상기 상자회전수단(300)의 입 측에서 출 측으로 자중에 의해 집행은 할 수는 있지만 그 내부에서 회전이 되지는 못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반원형의 터널 형태로 된 상자회전수단(300)의 입 측으로 상자가 뒤집힌 상태로 공급되면 출 측으로 배출될 때에는 상자가 180°회전된 상태 즉 올바른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 이유는 상기 상자회전수단(300)이 반원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를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진행하게 되면 최종 배출된 곳에서는 올바른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배출된 상자(B)는 배출컨베이어(330)에 실려져 목적지로 이송된다.
또, 상기 보호틀(400)은 체인이 통과되는 다수의 물분사노즐(211)이 설치된 링(210)을 수용하도록 체인(111)의 진행방향을 따라 설치되는데, 이는 도1 및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면(410)은 일정간격으로 상기 집수조(240)의 뚜껑(241)과 통하는 배수부(411)가 형성되고, 그 배수부(411)가 형성된 보호틀(400)의 양 측면(430) 및 상면(420)은 투명합성수지 또는 투명유리 중 어느 하나인 투명부재(431,421)가 설치되며, 그 투명합성수지 또는 투명유리가 설치된 측면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호틀(400)은 다수의 지지프레임(440)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그 지지프레임(440)의 사이사이를 투명부재(431,421)로 설치하여 된 것으로서, 입 측과 출 측은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집수조(240)의 저면(410)에 형성된 배수부(411)에는 1차 여과스크린(242a)이 설치된 집수조(240)의 뚜껑(241)이 연결 설치되어 배수부(411)로 배출되는 물이 뚜껑(241)을 통하여 집수조(240)로 유입되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상자 세척장치 작용을 도 6a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먼저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척대상 상자를 뒤집은 상태에서 평면상 4각 형태로 상자공급수단(500)인 체인컨베이어나 벨트컨베이어 중 어느 하나인 컨베이어(510)에 의해 하기에서 설명되는 체인컨베이어(110)의 입 측에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세척대상 상자가 평면상 4각 형태로 체인컨베이어(110)의 입측에 공급되면 체인(111)이 회전하면서 체인견인구(112)가 상자(B)의 코너부분을 걸어 견인함과 동시에 상자가이드(115)상으로 이동시키고 그와 동시에 체인(B)의진행방향을 따라 계속 견인해 간다.
단 상기 체인견인구(112)가 상자(B)를 견인해 상자가이드(115)의 입측에 올려놓게 되면 이는 상기 평면상 4각 형태로 공급된 상자가 마름모 형태로 방향전환 된 상태이다, 상기 평면상 4각 형태의 상자가 마름모 형태로 방향전환 되는 원리는, 상자견이구(112)가 상자의 코너부분을 걸어 견인하게 되면 그 견인되는 상자의 중심이 상자견인구(112)가 걸리는 코너부분이 됨으로 체인(111)에 의해 이동되는 상자는 마름모형태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자의 평면상 4각형에서 마름모형상이 되게 방향전환 하는 이유는 상자가 평면상 4각형인 상태로 체인컨베이어(110)에 연속 진행되면 인접한 상자들끼리 면 접촉이 일어나 그 면 접촉부분이 정상적으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없음으로 그를 해소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상자가 평면상 마름모형상으로 연속해서 진행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면 접촉을 최소화 할 수 있기 때문에 상자의 세척을 효율적으로 함은 물론 깨끗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하여 체인컨베이어(110) 상에 상자가 평면상 마름모형상이 되게 연속해서 진행을 하게되면 링(210)에 설치된 다수의 물분사노즐(211)에서는 물이 고압으로 분사되어 상기 상자를 세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물분사노즐(211)에서 분사되는 물의 공급은 집수조(240)에 있는 물을 펌프(230)가 펌핑하여 물공급관(220)을 통하여 링(210)을 거쳐 물분사노즐(211)로 분사되는 것이고, 상기 물분사노즐(211)에서 분사되어 상자를 세척하고 발생하는 물은 보호틀(400)의 저면(410)에 형성된 배수부(411)를 통하여뚜껑(241)을 거쳐 집수조(240)로 다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상자를 세척하는 물은 집수조(240)의 물을 계속 순환시키며 사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배수부(411)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은 뚜껑(241)에 설치된 1차 여과스크린(242a)에서 이물질이 1차 걸러지고 다시 집수조(240)에 설치된 2차 여과스크린(242b)에서 이물질이 2차 걸러진 후 집수조(240)와 펌프(230) 설치개소 사이에 설치되는 3차 여과스크린(242c)에서 최종적으로 이물질을 걸러준 후 링(210)으로 공급된다.
또, 상기 집수조(240)의 물이 너무 탁해서 새로운 물로 교환하고자 할 때에는 체인컨베이어(110) 및 상자공급수단(500)의 작동을 정지시킨 후 교환하면 되고, 여과스크린(242)역시 이때 교환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하여 상자의 세척이 마무리되고 그 상자가 체인컨베이어(110)의 출 측으로 배출되면 그는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자회전수단(300)의 입 측으로 들어가면서 상기 평면상 마름모형태의 상자가 다시 상자공급수단(500)에 위치한 형태인 평면상 4각형 형태로 방향이 전환되어 상자회전수단(300)을 진행하게 된다.
단, 상기 상자회전수단(300)의 입 측으로 평면상 마름모 형태의 상자가 들어가면서 4각형 형태로 방향이 전환되는 이유는, 상기 상자회전수단(300)의 입구부분 및 그 내부를 평면상 마름모형태의 상자는 진행하지 못하고 평면상 4각형 형태의 상자만 진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 실시예로서 평면상 마름모형태의 상자에서 일측 모서리와 그와 대응되는 타측 모서리간의 폭(W)은 평면상 4각형 형태의 상자 최대 폭(W')보다 크기 때문에상기 체인컨베이어(11)의 출측에 위치한 평면상 마름모 형태의 상자가 상자회전수단(300)의 입 측으로 들어가면서 자동으로 상자의 방향이 4각형 형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자회전수단(300)의 입 측으로 공급되어 그 상자회전수단(300)의 출 측으로 배출된 상자는 180°회전(뒤집힌 상태에서 올바른 상태로 회전된 것을 의미함)된 상태이고, 그는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컨베이어(330)에 자동으로 올려져 목적지로 이송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보호틀(400)의 저면(410)을 제외한 상면(420) 및 측면(430)을 투명부재(421,431)로 하는 이유는 외부에서 보호틀(400)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또, 상기 보호틀(400)의 측면(430)을 개폐 가능하게 형성시킨 이유는 보호틀(400)내부의 구조물 훼손 또는 이상발생기 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보호틀(400)의 측면(430)은 지지프레임(440)을 매개로 사이사이를 하나의 유닛이 되는 칸으로 만들어 그 칸마다 투명부재를 삽입 또는 인출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었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칸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세척대상 상자를 평면상 4각형에서 마름모형태로 방향 전환시켜 체인컨베이어가 견인하며 연속적으로 세척함으로서 그 세척의 정도를 높임은 물론, 세척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보호틀을 투명부재로 형성시킴은 물론, 측면을 필요에 따라개폐되게 함으로서 상자의 세척상태를 외부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장점과 아울러, 보호틀내부의 구조물 훼손 또는 이상 발생시 용이하게 수리보수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세척대상 상자를 뒤집은 상태에서 평면상 4각 형태로 연속 공급하는 컨베이어(510)가 설치된 상자공급수단(500);
    상기 상자공급수단으로부터 평면상 4각 형태로 공급되는 세척대상 상자를 마름모형태로 방향전환하며 견인하는 상자견인구(112)가 설치된 체인(111)이 리턴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체인의 상부에는 그 체인의 진행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상자를 받쳐주는 상자가이드(115)를 설치하여 된 체인컨베이어(110)가 마련된 상자이송수단(100);
    상기 체인컨베이어가 저부를 통과함과 동시에 상자가 통과될 수 있는 형태의 파이프로 된 링(210)이 마련되고, 그 링의 사방에는 다수의 물분사노즐(211)이 설치되며, 상기 링은 물공급관(220)을 매개로 펌프(230)가 연결 설치되고, 그 펌프는 여과스크린(242)을 갖는 집수조(240)와 연결 설치하여 된 세척수공급수단(200);
    상기 체인컨베이어의 출측 끝 부분에 설치되어 세척완료 후 체인컨베이어로부터 배출되는 상자를 공급받아 그를 180°회전시켜 목적지로 이송하는 배출컨베이어(330)에 안내하는 상자회전수단(300);
    상기 체인의 진행방향을 따라 물분사노즐이 설치된 링이 수용되게 설치되고, 저면(410)에는 일정간격으로 상기 집수조와 통하는 배수부(411)가 형성되며 상면(420) 및 측면(430)은 투명부재(421,431)가 설치된 터널형태의 보호틀(400)을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재는, 투명합성수지 또는 투명유리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보호틀의 측면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세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조는 뚜껑의 내면과 집수조의 내부 및 펌프와 연결되는 부분에 1중 또는 2중의 여과스크린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세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조의 뚜껑은 열은 상태에서 그 내면이 상기 보호틀의 배수부에 위치하게 배치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세척시스템.
KR10-2003-0007505A 2003-02-06 2003-02-06 상자 세척장치 KR100502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505A KR100502027B1 (ko) 2003-02-06 2003-02-06 상자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505A KR100502027B1 (ko) 2003-02-06 2003-02-06 상자 세척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3505U Division KR200313007Y1 (ko) 2003-02-06 2003-02-06 상자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010A true KR20040071010A (ko) 2004-08-11
KR100502027B1 KR100502027B1 (ko) 2005-07-20

Family

ID=37359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7505A KR100502027B1 (ko) 2003-02-06 2003-02-06 상자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202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473B1 (ko) * 2009-08-25 2012-04-13 (주)클레슨 상자 자동 세척 및 건조장치
KR101157717B1 (ko) * 2009-11-30 2012-06-21 주식회사 하림홀딩스 닭 운송모듈과 이를 통하여 산지에서 운송된 닭 분리장치
KR101341079B1 (ko) * 2012-09-11 2013-12-12 (주)클레슨 세척기용 상자 자동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
CN103480621A (zh) * 2013-09-12 2014-01-01 山东省博兴县龙升食品有限公司 一种洗筐机
KR101370406B1 (ko) * 2012-10-12 2014-03-06 타프기계공업(주) 박스 세척기
CN107876523A (zh) * 2017-12-04 2018-04-06 广州铭圣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化洗箱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797B1 (ko) 2015-11-17 2016-08-30 (주) 우리세차기 상자 자동 세척장치
KR101643765B1 (ko) * 2016-05-18 2016-07-29 김준형 어리장 p-박스를 통해 도계용 생계가 공급되며 공조 기능을 갖는 계류장 및 이를 포함하는 도계 시스템
KR20190081074A (ko) 2017-12-29 2019-07-09 (주) 우리세차기 상자 자동 세척장치용 불림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473B1 (ko) * 2009-08-25 2012-04-13 (주)클레슨 상자 자동 세척 및 건조장치
KR101157717B1 (ko) * 2009-11-30 2012-06-21 주식회사 하림홀딩스 닭 운송모듈과 이를 통하여 산지에서 운송된 닭 분리장치
KR101341079B1 (ko) * 2012-09-11 2013-12-12 (주)클레슨 세척기용 상자 자동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
KR101370406B1 (ko) * 2012-10-12 2014-03-06 타프기계공업(주) 박스 세척기
CN103480621A (zh) * 2013-09-12 2014-01-01 山东省博兴县龙升食品有限公司 一种洗筐机
CN107876523A (zh) * 2017-12-04 2018-04-06 广州铭圣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化洗箱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2027B1 (ko) 200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250238A (en) Industrial washing machine
US7980259B2 (en) Glass washing machine with broken glass removal system
US9616468B2 (en) Agricultural container washer and method
KR100502027B1 (ko) 상자 세척장치
US3504390A (en) Apparatus for washing cartons
KR101034978B1 (ko) 농수축산물 및 자동차 부품 박스 컨테이너 자동세척기
US3162204A (en) Apparatus for removing labels from bottle washers
KR100707978B1 (ko) 식판 세척장치
KR101833456B1 (ko) 프로파일 세척장치
US4577651A (en) Device for cleaning containers
US11178854B2 (en) Vertical egg washer and dryer such as integrated into an egg processing line
KR200313007Y1 (ko) 상자 세척장치
KR100424433B1 (ko) 용기 세척장치
JP2000343047A (ja) 旋回式洗浄機
US20090025759A1 (en) Washing apparatus for baskets, especially handheld shopping baskets and the like
JP3369354B2 (ja) コンベヤのベルト洗浄装置
US4880021A (en) Device for cleaning cans
US2846704A (en) Washer for pickles or the like
EP2799372A1 (en) A method and a processing station for processing shell eggs
US2292240A (en) Produce washer
KR101156090B1 (ko) 다목적 세척기
US3506022A (en) Conveyor filter apparatus for article washing apparatus
EP3599874B1 (en) Device for cleaning chicken feet
ITFI20060138A1 (it) Procedimento di trattamento di tessuti in corda e macchina relativa
JP4002589B2 (ja) ガス容器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