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0659B1 -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0659B1
KR101070659B1 KR1020110026910A KR20110026910A KR101070659B1 KR 101070659 B1 KR101070659 B1 KR 101070659B1 KR 1020110026910 A KR1020110026910 A KR 1020110026910A KR 20110026910 A KR20110026910 A KR 20110026910A KR 101070659 B1 KR101070659 B1 KR 101070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rinsing
water
energy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6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숙주
Original Assignee
동건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건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건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6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06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37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rockery cleaned by brushes
    • A47L15/39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rockery cleaned by brushes with brushes on movabl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 A47L15/241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the dishes moving in a horizont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1Recovery arrangements, e.g. for the recovery of energy or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04Pan or pot cleaning utensils
    • A47L17/08Pads; Balls of steel wool, wire, or plastic mesh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의 헹굼에 이용되는 깨끗한 물을 세척수로서 활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물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하며, 복수의 헹굼실을 구비하여 화학세제 및 건조촉진용 린스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완벽한 식기의 헹굼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경 오염의 방지와 열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되며,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투입구로부터 배출구로 식기를 이송하여 세척이 이루어지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 사이에서 나란히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세척실과 헹굼실을 포함하되 각 세척실 및 헹굼실은, 그 하부에 마련되어 세척수 또는 헹굼수를 수용하는 수용탱크와; 상기 수용탱크와 연통되어 해당 수용탱크에 수용된 세척수 또는 헹굼수를 식기로 분사하는 분사봉과; 사용되는 세척수 또는 헹굼수를 상기 배출구에서 투입구 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타 세척실 또는 헹굼실의 수용탱크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 및; 상기 세척수 또는 헹굼수를 여과하기 위한 여과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인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장치{A DISH WASHER FOR ENERGY SAVING}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식기의 헹굼에 이용되는 깨끗한 물을 세척수로서 활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물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하며, 복수의 헹굼실을 구비하여 화학세제 및 건조촉진용 린스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완벽한 식기의 헹굼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경 오염의 방지와 열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세척실과 헹굼실로 구성되고 세척실에서는 식기 세척용 세제를 물에 용해시킨 세제용액을 복수의 노즐을 통해 분사하면서 식기를 세척하게 되며, 헹굼실에서는 고온용 건조촉진제인 린스를 물에 희석 용해시킨 린스용액을 노즐로 분사하여 헹굼없이 건조기로 보내어 건조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식기 세척기는 세척 후 헹굼 수에 고온용 건조촉진제인 린스를 희석한 물로 식판이나 그릇에 부사 후, 건조시켜서 사용하게 되므로 헹굼이 부족하여 식기에 고온용 세제가 잔류하게 되고, 헹굼실에서 사용하는 고온건조촉진제인 린스도 식기에 함께 잔류하게 된다.
현 보건복지부 고시에 따르면 위생용품의 규격 및 기준에는 고온용 세척제 및 린스는 절대 잔류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바, 고온용 세제의 잔류 및 린스가 식기에 잔류하지 않도록 해야함에도 불구하고, 종래 식기 세척기의 경우 상기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한편, 식판 및 식기에 1종 세제를 사용하여도 세제가 잔류하지 않도록 하려면 세척 후 적어도 3~4회 이상 깨끗한 물로 헹굼을 반복해 주어야 하는데 이는 많은 물을 소모하게 되는 요인이 된다.
또한, 부족한 헹굼으로 인해 세척된 식기에 세제와 린스가 잔류하여도 세척시에 화학세제(식기세척용 화공세제 또는 합성세제)를 사용하여 세척을 하게되면 세제와 린스의 잔류에도 불구하고 그 식기에는 얼룩 등의 흔적이 보이지 않고 광택 및 건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외관상 깨끗하게 보이는 식기에 대한 사용이 사용자로부터 거의 거부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에 식기 세적 시에 무공해 세제인 식물성 세제를 사용하게 되면 그 헹굼이 부족할 경우 그 식기에 얼룩이 남게 되므로 세척한 식기의 사용이 사용자로부터 거부되어진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헹굼이 부족한 종래 식기세척기는 애벌세척(식기를 세척기에 투입하기 전에 사람의 손으로 하는 세척)에서부터 식기세척기 내의 세척실에서 이루어지는 세척까지 얼룩이 남게 되는 식물성 세제를 사용하지 못하고 화학세제를 사용할 수밖에 없으므로 공해 물질이 배출되어 환경을 오염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 헹굼이 부족한 종래 식기세척기에서는 헹굼용 물에 건조촉진제인 린스를 희석시켜 분사방식 등으로 린스용액이 도포될 정도만 헹구어 주고 그 후 식기에 도포된 린스용액에 의하여 식기나 식판 건조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화공약품인 린스가 헹굼 후에 배출되어 환경오염을 유발하게 되고 식기에도 잔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식기나 식판에 잔류하는 세제와 린스는 식기를 사용하는 사람의 몸속으로 음식과 함께 들어가게 되어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다. 이는 세제와 린스가 잔류하는 식기에 뜨거운 밥이나 국을 담으면 고온 용해성을 갖게 됨으로 인해 더욱 쉽게 음식 속으로 녹아 들어가게 되고 배식받은 사람들은 잔류 세제와 린스를 음식과 함께 섭취하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식기세척기를 사용하는 작업자에게도 직, 간접적으로 피해를 주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으며,이러한 식기세척기가 주로 단체급식을 하는 학교나 직장의 구내식당에서 사용되고 있는 바, 그 문제가 더욱 중대한 것이다.
특히, 종래 식기세척기는 화학세제를 사용하여 식기를 세척하게 되는 경우 세척실은 55℃ ~ 56℃의 온도를, 헹굼실에서는 건조촉진을 위한 린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82℃ ~ 92℃의 고온을 유지해야만 한다. 이에 따라 세척실 및 헹굼실을 가동 및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가열장치를 구비하여 가열시킴에 따른 상당하는 열 에너지를 소비해야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예산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화학세제 및 건조촉진용 린스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세척 및 헹굼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유해물질이 발생하지 않아 환경오염의 방지는 물론 인체에 무해한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식기 세척 과정에 있어 물의 소비를 최소화하고, 별도의 가열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에너지 절감을 이룰 수 있는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기는 투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되며,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투입구로부터 배출구로 식기를 이송하여 세척이 이루어지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 사이에서 나란히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세척실과 헹굼실을 포함하되 각 세척실 및 헹굼실은, 그 하부에 마련되어 세척수 또는 헹굼수를 수용하는 수용탱크와; 상기 수용탱크와 연통되어 해당 수용탱크에 수용된 세척수 또는 헹굼수를 식기로 분사하는 분사봉과; 사용되는 세척수 또는 헹굼수를 상기 배출구에서 투입구 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타 세척실 또는 헹굼실의 수용탱크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 및; 상기 세척수 또는 헹굼수를 여과하기 위한 여과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수용탱크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며 인접하는 타 세척실 또는 헹굼실의 수용탱크를 향하게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이송판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여과수단은 각 이송판과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이송판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다공성 여과판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여과수단은 상기 수용탱크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 2 다공성 여과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경우, 상기 수용탱크는 그 상단에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다공성 여과판은 상기 슬라이드 홈에 삽입되어 탈,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세척실 및 헹굼실은 그 측면을 감싸며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분사봉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분사 노즐이 형성되며, 상기 분사 노즐은 3개가 하나의 분사 범위를 갖도록 구성되되, 중심부의 분사 노즐을 기준으로 좌, 우에 위치하는 분사 노즐이 상기 분사봉의 길이방향으로부터 각각 10°내지 20°각도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삭제
하나의 예로써, 상기 수용탱크와 인접하는 타 수용탱크 사이에는 수용탱크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구획벽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획벽은 그 상부가 개구되도록 드레인홈이 형성되되 상기 드레인홈은 상기 배출구에서 투입구 방향으로 갈수록 단차가 낮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기는 상기 투입구의 전단에 설치되는 애벌세척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애벌세척기는 내부에 세척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세척공간과 연통하도록 인입구와 인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인입구에서 인출구를 따라 상기 세척공간의 양 내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각 가이드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본체 내부를 순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인 입구로부터 인출구 방향으로 식기를 이송시키기 위한 핑거부와; 상기 핑거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상기 핑거부를 가이드레일 상에서 순환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프라켓과; 상기 스프라켓으로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모터; 및 상기 세척공간의 전단에 설치되어 인입구로부터 투입된 상기 식기에 잔류하는 잔반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세척부는 상기 인입구에 설치되되 그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식기가 통과되도록 통공이 형성된 차단벽과; 상기 차단벽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상기 식기의 상부면에 잔류하는 음식물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한 브러쉬와 상기 차단벽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브러쉬를 향하여 물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부 및 상기 브러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브러쉬에 의해 제거되는 음식물찌꺼기를 잔반수거함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관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차단벽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브러쉬에 의해 제거되는 음식물찌꺼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튼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핑거부는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나란히 결합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면에 접하는 롤러와; 상기 롤러의 내측면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롤러와 핀 결합되어 회동하게 되며 상기 식기의 어느 일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식기를 이송하는 걸림돌기; 및 상기 롤러와 인접하는 타 핑거부의 롤러 간을 연결하며 상기 롤러의 내측면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롤러와 핀 결합되며, 일측에는 인접하는 타 핑거부와 함께 상기 걸림돌기를 수용하면서 핀 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기가 식판의 이송방향으로부터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링크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핑거부는 상기 링크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상기 링크 및 롤러의 각 외측면과, 상기 링크와 롤러 사이에 구성되는 구획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식판의 일측면과 접하는 부위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세척공간에 설치되는 제2세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2세척부는 상기 세척공간 상에서 잔반수거함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핑거부에 의해 이송되는 식기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세척하기 위한 복수의 상부 세척브러쉬 및 복수의 하부 세척브러쉬와; 상기 상부 세척브러쉬의 상단 및 상기 하부 세척브러쉬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세척브러쉬 및 하부 세척브러쉬를 향하도록 물을 분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2분사부와; 상기 상부 세척브러쉬 및 하부 세척브러쉬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2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상부 세척브러쉬 및 하부 세척브러쉬로 전달하되, 상기 상부 세척브러쉬 및 하부 세척브러쉬가 상기 식기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연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한 바에 따른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기는 화학세제 및 건조촉진용 린스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세척 및 헹굼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유해물질이 발생하지 않아 환경오염의 방지는 물론 인체에 무해하게 작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기 세척 과정에 있어 물의 소비를 최소화하고, 별도의 가열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에너지 절감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세척실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헹굼실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여과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사봉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애벌 세척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따른 애벌세척기의 일 구성인 세척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도 7에 따른 애벌세척기의 일 구성인 핑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7에 따른 애벌세척기의 일 구성인 제2세척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세척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헹굼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여과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사봉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컨베이어를 통해 식기(1)가 이송되어 세척이 이루어지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1)가 장치 내로 투입되는 투입구(10)와 세척 및 헹굼이 완료되어 식기(1)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2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식기세척기는 상기 투입구(10)와 배출구(20) 사이에 식기(1)의 세척을 위한 세척실(30, 31)과 세척된 식기(1)에 잔류하는 세제 등을 맑은 물로 헹구도록 하는 헹굼실(40, 41, 42)이 배치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세척실(30, 31)과 헹굼실(40, 41, 42)은 종래와 다르게 복수 개가 서로 연통하도록 나란히 결합되어 있는데, 도 1 등에서는 2개의 세척실(30, 31)과 3개의 헹굼실(40, 41, 42)이 배치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세척실(30, 31)과 헹굼실(40, 41, 42)은 그 갯 수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되는 현장의 여건 및 규모에 따라 다양하게 변동되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척실(30, 31)은 1개 이상, 헹굼실(40, 41, 42)은 적어도 2개 이상의 구비되는 것이 타당하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안착돌기가 형성된 컨베이어가 구동모터에 의해 장치 상에서 순환한다. 이에 따라 상기 식기(1)를 컨베이어에 형성된 안착돌기에 안착시키게 되면 자동으로 투입구(10)로부터 배출구(20) 방향으로 식기(1)가 이송되면서 장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세척실(30, 31) 및 헹굼실(40, 41, 42)에 의해 세척과 헹굼이 순차적으로 실시된다.
여기서, 상기 식기(1)를 장치 내에서 이송시키기 위한 상기 안착돌기를 포함한 컨베이어는 공지 기술 등을 통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컨베이어의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세척실(30, 31) 및 헹굼실(40, 41, 42)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기 수용탱크(60)를 갖는 모듈화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각 세척실(30, 31) 및 헹굼실(40, 41, 42)은 인접하는 타 세척실 또는 헹굼실과 결합하기 위한 지지프레임(50)을 포함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50)은 상기 세척실(30, 31) 및 헹굼실(40, 41, 42)의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직 프레임(500)과 수평 프레임(5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50)의 하단에는 지면과 접하는 지지대(520)가 장착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대(520)는 선택적으로 고정 및 이동 가능한 바퀴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상기 세척실(30, 31) 및 헹굼실(40, 41, 42)을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타당하다.
그리고, 상기 각 세척실(30, 31) 및 헹굼실(40, 41, 42)은 도면에 도시된바 없으나 그 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커버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커버는 상기 세척실 및 헹굼실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추후 발생되는 유지 보수를 위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타당하다.
특히, 각 세척실(30, 31) 및 헹굼실(40, 41, 42)은 각기 그 하부에 수용탱크(60)가 마련되어 있다. 즉, 하나 이상의 세척실(30, 31) 및 헹굼실(40, 41, 42)이 연계됨에 있어 사용되는 물을 공유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다 위생적인 세척 및 헹굼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용탱크(60)에는 펌프(600)가 장착되는 바, 상기 펌프(60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분사봉(70)으로 수용탱크(600) 내에 저수된 물을 펌핑시켜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분사봉(70)은 상기 수용탱크(60)와 연통되어 해당 수용탱크(60)에 수용된 세척수 또는 헹굼수를 식기(1)로 분사한다. 이러한 분사봉(70)은 식기(1)의 상부, 하부 및 측면으로 세척수 또는 헹굼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500) 내지 수평 프레임(510) 상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사봉(7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용탱크(60)에 장착된 펌프(600)의 펌핑 작용에 따라 물을 공급받게 되는 것으로, 물의 공급라인은 외관상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500) 내지 수평 프레임(510)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공급된 물을 식기(1)를 향해 분사시키도록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분사 노즐(70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분사 노즐(700)은 상기 분사봉(7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가 하나의 분사 범위(A)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중심부의 분사 노즐(700-1)을 기준으로 좌, 우에 위치하는 분사 노즐(700-2)이 상기 분사봉의 길이방향으로부터 각각 10°내지 20°각도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 내에 최초로 공급되는 깨끗한 물은 마지막에 위치하는 헹굼실(42)에서 헹굼수로 사용되도록 공급됨과 더불어 해당 헹굼실(42)에서 헹굼이 완료된 헹굼수는 인접하는 타 헹굼실(41)의 수용탱크(60)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최초로 공급되는 깨끗한 물은 배출구(20)에서부터 투입구(10) 방향으로 따라 순차적으로 이송하게 되는 것이며, 이 과정에서 헹굼실(40, 41, 42)에서는 헹굼수로 활용되었다가 이후 세척실(30, 31)에서는 세척수로 활용되는 것이다.
삭제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각 세척실(30, 31) 및 헹굼실(40, 41, 42)은 이송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수단은 각 수용탱크(60)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며 인접하는 타 세척실(30, 31) 또는 헹굼실(40, 41, 42)을 향하게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되는 이송판(8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세척실(30, 31) 또는 헹굼실(40, 41, 42)에서 식기(1)를 세척 및 헹굼하기 위해 분사되는 물은 식기(1)를 세척 및 헹군 후, 상기 이송판(80)으로 유도되어 인접하는 타 세척실(30, 31) 또는 헹굼실(40, 41, 42)의 수용탱크(60)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의 이송 경로가 배출구(20)에서 투입구(10)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이송판(80)의 기울어짐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판(80)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하나 이상 구비되어 단계적으로 인접하는 타 세척실(30, 31) 또는 헹굼실(40, 41, 42)로 물의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용탱크(60)와 인접하는 타 수용탱크(60) 사이에는 수용탱크(6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구획벽(81)이 설치되어 수용탱크(60) 간에 칸막이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구획벽(81)은 인접하는 타 세척실(30, 31) 또는 헹굼실(40, 41, 42)의 수용탱크(60)로 물이 월류되도록 그 상부가 개구된 드레인홈(81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의 드레인홈(810)은 상기 배출구(20)에서 투입구(10) 방향으로 갈수록 단차가 낮아지도록 구성됨으로써 해당 수용탱크(60)의 수위 이상 물이 저장되면 투입구(10) 방향으로 인접하게 되는 타 세척실(30, 31) 또는 헹굼실(40, 41, 42)의 수용탱크(60)으로 물이 월류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이송수단과 드레인홈(810)의 구성으로 인해 최초로 공급되는 물을 차례로 인접하는 타 세척실(30, 31) 또는 헹굼실(40, 41, 42)에서 재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식기(1)의 헹굼에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하지 않아 물의 소모량 역시 종래 세척기에 비해 증가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복수의 헹굼실(40, 41, 42)을 구비함에 따라 반복적으로 식기(1)를 세척하게 되므로 세척제가 잔류하지 않을뿐더러 식물성 세제를 사용하여 세척을 실시하여도 얼룩 없이 식기(1)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되며, 그로 인해 기름기 등의 음식 잔류물들이 모두 씻겨 헹굼 시 건조촉진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식기(1)의 건조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물이 이송됨에 있어 물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여과시키기 위해 각 세척실(30, 31) 및 헹굼실(40, 41, 42)은 여과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여과수단은 이송판(80)과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이송판(80)의 상부에 위치하는 다공성 여과판(9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이송판(80)이 복수로 구성될 경우 상기 다공성 여과판(90) 역시 각 이송판(80)에 대응하도록 그 갯 수가 구성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여과수단은 상기 수용탱크(60)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 2 다공성 여과판(9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직접적으로 수용탱크(60)로 유입되는 물을 여과하기 위한 것으로 앞서 다공성 여과판(90)에서 1차적으로 큰 이물질을 여과시킨 후, 제 2 다공성 여과판(91)에서는 보다 작은 입자를 가진 이물질을 여과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공성 여과판(90)의 경우 그 구멍의 직경이 1mm 내지 2mm로 형성되며, 제 2 다공성 여과판(91)의 구멍 직경은 0.3mm 내지 0.5mm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다공성 여과판(91)은 상기 수용탱크 상부에 설치됨에 있어 탈, 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다공성 여과판(91)에는 손잡이(910)가 장착되어 상기 수용탱크(60) 상부로부터 탈, 부착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써,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 2 다공성 여과판(91)은 여과망과 상기 여과망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테두리틀 및 상기 테두리틀의 어느 일측면에 장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탱크(60)는 그 상단에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다공성 여과판(91)이 삽입 설치됨으로써 탈, 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식기(1)세척기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로 하며, 이에 앞서 상기 세척실(30, 31) 및 헹굼실(40, 41, 42)은 복수로 구성됨에 따라 이를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투입구(10)에서부터 차례로 제 1 세척실(30), 제 2 세척실(31), 제 1 헹굼실(40), 제 2 헹굼실(41) 및 제 3 헹굼실(42)로 지칭하기로 한다.
먼저, 식기(1)의 세척 및 헹굼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식기(1)는 투입구(10)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의 안착돌기에 안착되어 식기세척기 내부로 투입하게 된다. 상기 제 1 세척실(30)에서는 40℃ 내지 50℃의 세척수를 상하좌우로 설치된 상기 분사봉(70)을 통해 분사시켜 강력한 물살로 식기(1)를 세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세척수에는 기름기 등의 음식물들을 세척하기 위해 소량의 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환경 오염을 고려하여 식물성 세제를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후, 상기 컨베이어의 작용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식기(1)는 상기 제 2 세척실(31)로 유입되어 2차 세척을 실시하게 된다. 이 경우도 상술한 세척 과정을 동일하게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세척실(30, 31)에서 세척이 완료된 식기(1)는 이후 제 1 헹굼실 내지 제 3 헹굼실(40, 41, 42)로 이송되어 순차적으로 헹굼수를 통해 헹굼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 1 헹굼실 내지 제 3 헹굼실(40, 41, 42)도 앞서 설명한 세척실(30, 3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 수용탱크(60)에 수용 및 저수된 헹굼수를 펌핑하여 분사봉(60)으로 공급함으로써 강력한 물살을 통한 헹굼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식기(1)의 세척 및 헹굼 과정에 있어 공급되는 물의 이송 과정을 살펴보면, 최초의 깨끗한 물은 외부로부터 상기 제 3 헹굼실(42)로 유입된다. 이러한 유입수는 제 3 헹굼실(42)의 헹굼 작용 시 헹굼수로 사용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헹굼실(42)처럼 제일 마지막에 구성되는 헹굼실(42)에는 외부로부터 해당 수용탱크(60)로 깨끗한 물을 공급받기 위한 급수설비가 마련되어 있어야함은 당연하다.
상기 제 3 헹굼실(42)에서 상기 식기(1)의 헹굼을 위해 사용된 헹굼수는 수용탱크(60) 상부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여과수단을 통해 이물질이 제거되며 하나 이상의 이송수단을 통해 인접하는 제 2 헹굼실(41)의 수용탱크(60)로 이송된다.
제 2 헹굼실(41)의 수용탱크(60)으로 이송된 물 역시 상기 제 2 헹굼실(41)에서 헹굼수로 활용되는 것이며, 앞서 설명한 여과 및 이송 과정을 거쳐 이물질이 여과됨과 더불어 인접하는 제 1 헹굼실(40)의 수용탱크(60)로 이송 및 저수되는 것이다.
이러한 물의 이송 및 여과 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제 3 헹굼실(42)에서 사용된 헹굼수가 제 1 헹굼실(40)에서의 헹굼수로 활용됨은 물론 동일한 과정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세척실(30, 31)로 이송된 물은 세척수로 활용되며 최종적으로는 상기 제 1 세척실(30)에 설치된 배수 설비를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종래 식기세척기와 같이 장치 내부에 건조 과정을 위한 가열장치가 필요하진 않지만, 헹굼이 보다 잘되도록 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순간온수기를 이용해 약 50℃ 내지 60℃의 온수를 최초에 상기 제 3 헹굼실(42)로 급수하여 깨끗한 온수가 공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공급된 온수는 순차적으로 제 2, 제 1 헹굼실(41, 40)을 거쳐 세척실(30, 31)로 이동할 때까지 약 40℃정도의 온수가 유지됨으로 세척 효과상의 문제는 없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식기(1)의 세척 및 헹굼 과정 전에 식기(1)에 잔류하는 음식물찌꺼기를 애벌 세척하기 위한 애벌세척기가 상기 투입구 전단에 연계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애벌 세척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따른 애벌세척기의 일 구성인 세척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7에 따른 애벌세척기의 일 구성인 핑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7에 따른 애벌세척기의 일 구성인 제2세척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벌세척기는 식기(1) 표면에 잔류하는 잔반(음식물찌꺼기)을 포함한 이물질 등을 애벌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0)와, 가이드레일(2000)과, 핑거부(3000)와, 스프라켓(4000)과, 구동모터(5000) 및 세척부(60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본체(1000)는 그 내부에 세척공간(1100)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세척공간(1100)은 식기(1)가 핑거부(3000)에 의해 이송되면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세척부(6000) 내지 제2세척부(7000)를 통해 식기(1)의 애벌 세척이 실시되는 공간이다.
상기 본체(1000)는 상기 식기(1)가 투입되는 인입구(1110)와 식기(1)가 배출되는 인출구(11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입구(1110)와 인출구(1120)는 상기 세척공간(1100)과 연통하도록 본체(10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인입구(1110)와 인출구(1120)에는 평판 형상의 지지판(1140, 1150)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판(1140, 1150)은 상기 세척공간(1100)으로 투입 또는 세척공간(1100)에서 배출되는 상기 식기(1)를 안정적으로 유도하며 세척공간(1100) 내에서 하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가이드레일(2000)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핑거부(3000)를 유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세척공간(1100)의 양 내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200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공간(1100) 내에서뿐만 아니라 핑거부(3000)가 유동되는 모든 범위에 설치되는 바, 상기 인입구(1110)에서 인출구(1120)를 따라 설치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핑거부(3000)가 본체(1000) 상에서 순환하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도록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형성되는 양방향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20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세척공간(1100)의 양 내측면에 각각 설치되는데, 양 가이드레일(2000)이 설치되는 그 폭은 식기(1)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핑거부(3000)는 상기 각 가이드레일(2000)에 안착되어 상기 본체(1000) 내부를 순환하게 되며, 이러한 핑거부(3000)의 순환 작용으로 인해 인입구(1110)로 투입된 식기(1)를 인출구(1120) 방향으로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핑커부(3000)는 상기 식기(1)의 어느 일측면을 갈고리 식으로 걸어 이송시키게 된다.
일 예로써, 상기 핑거부(30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20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나란하게 결합된 형태를 취한다. 도 9을 참조하여 상기 핑거부(3000)를 설명하면,
상기 핑거부(3000)는 상기 가이드레일(2000)의 상부면에 접하면서 회전하는 롤러(33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롤러(3300)는 상기 핑거부(3000)가 상기 가이드레일(2000) 상에서 유동될 때, 상기 가이드레일(2000) 상부면에 밀착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레일(2000)의 폭과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3300)는 인접하는 타 핑거부(3000-1)가 연결되는 경우 양 롤러(3300, 3300-1)의 간격을 이하에서 설명하는 스프라켓(4000)의 피치와 대응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즉, 상기 스프라켓(4000)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핑거부(3000)는 유동되는 것으로 양 롤러(3300, 3300-1) 사이의 공간에 상기 스프라켓(4000)이 맞물려 상기 복수의 핑거부(3000)가 상기 가이드레일(2000)을 따라 순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핑거부(3000)는 상기 롤러(3300)의 내측면에 이격 배치되어 롤러(3300)와 핀(3330)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식기(1)의 어느 일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식기(1)를 이송하기 위한 걸림돌기(3310)와, 상기 롤러(3300)와 인접하는 타 핑거부(3000-1)의 롤러(3300-1) 간을 연결하며 상기 롤러(3300)의 내측면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롤러(3300)와 핀(3330) 결합되며 일측에는 인접하는 타 핑거부(3000-1)의 링크(3320-1)과 함께 상기 걸림돌기(3310)를 수용하면서 핀(3330) 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간(3321)이 형성된 링크(3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링크(3320)의 결합공간(3321)에는 상기 걸림돌기(3310)의 일방향에 대한 회동을 억제하는 스토퍼(332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스토퍼(3322)는 상기 걸림돌기(3310)가 식기(1)의 이송방향으로부터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3310)가 상기 식기(1)를 이송시킴에 있어 걸림돌기(3310)의 정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핑거부(3000)는 상기 링크(3320)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상기 링크(3320) 및 롤러(3300)의 각 외측면과, 상기 링크(3320)와 롤러(3300) 사이에 구성되는 구획판(3340)을 더 포함하여 상기 핑거부(3000)와 인접하는 타 핑거부(3000-1)가 연결될 시 마주하는 양 핑거부(3000, 3000-1)의 고정을 견고히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3310)는 상기 식기(1)의 일측면과 접하는 부위에 걸림홈(3311)이 형성되어 있어 고리식으로 상기 식기(1)의 일측면을 걸어 이송시키기 때문에 상기 식기(1)가 걸림돌기(33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스프라켓(4000)은 상기 본체(1000)에 설치되어 상술한 핑거부가 상기 가이드레일(2000)을 따라 순환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핑거부(3000)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프라켓(4000)은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는 바, 바람직하게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2000)의 최전단과 최후단에 각각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핑거부(3000)가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게 함이 타당하다.
상기 구동모터(5000)는 상기 스프라켓(4000)으로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스프라켓(4000)이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스프라켓(4000)에 걸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스프라켓(4000)에만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무동력 상태의 스프라켓(4000)은 동력을 전달받은 스프라켓(4000)으로부터 상기 핑거부(3000)가 순환함으로써 같이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구동모터(5000)로부터 스프라켓(4000)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되는 바, 이때의 동력전달수단은 벨트, 체인, 와이어 등 그 방식에 있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세척부(6000)는 상기 세척공간(1100)의 전단에 설치되어 인입구(1110)로부터 투입된 상기 식기(1)에 잔류하는 잔반을 제거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세척부(60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입구(1110)에 설치되되 그 내부에 공간부(6601)가 형성되며 그 하단에는 상기 식기(1)가 통과되도록 통공(6602)가 형성된 차단벽(6600)과, 상기 차단벽(6600)의 하부면에 고정 설치되어 이송되는 상기 식기(1)의 상부면에 잔류하는 음식물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한 브러쉬(6610) 및 상기 차단벽(660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브러쉬(6610)를 향하여 물을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분사노즐이 형성된 분사부(6620) 및 상기 브러쉬(66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브러쉬(6610)에 의해 제거되는 음식물찌꺼기를 잔반수거함(9000)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관(63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잔반수거함(9000)은 앞서 설명한 본체(1000)의 세척공간(1100)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장치 내에서 브러쉬(6610)에 의해 유출되는 잔반 등을 수용하게 된다. 이러한 잔반수거함(9000)은 그 상부에는 입자가 큰 잔반과 국물류를 분리 배출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름망(9900)이 구비되어 있어야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벌세척기는 상기 차단벽(6600)의 전단에는 커튼(800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커튼(8000)은 상기 차단벽(6600)의 전단 즉 식기(1)가 투입되는 유입구(1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브러쉬(6610)에 의해 제거되는 음식물찌꺼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커튼(8000)은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절개부를 형성하여 분할 구성된 것으로 상기 식기(1)가 유입구(1110)로 투입됨에 있어 전혀 제약을 받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세척부(6000)에 더하여 상기 식기(1)에 잔류하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세척공간(1100) 상에 설치되는 제2세척부(70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제2세척부(7000)는 세척공간(1100)으로 이송되는 상기 식기(1)에 대하여 상부면과 하부면에서 세척브러쉬(7700, 7710)와 강력한 물살에 의한 세척을 실시함으로써 보다 깨끗이 식기(1)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2세척부(7000)는, 상기 세척공간(1100) 상에서 상기 잔반수거함(90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핑거부(3000)에 의해 이송되는 식기(1)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세척하기 위한 복수의 상부 세척브러쉬(7700) 및 복수의 하부 세척브러쉬(7700)와, 상기 상부 세척브러쉬(7700)의 상단 및 상기 하부 세척브러쉬(771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세척브러쉬(7700) 및 하부 세척브러쉬(7710)를 향하도록 물을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분사노즐이 형성된 복수의 제2분사부(7720)와, 상기 상부 세척브러쉬(7700) 및 하부 세척브러쉬(7710)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2구동모터(7730) 및 상기 제2구동모터(7730)의 회전력을 상기 상부 세척브러쉬(7700) 및 하부 세척브러쉬(7710)로 전달하되, 상기 상부 세척브러쉬(7700) 및 하부 세척브러쉬(7710)가 상기 식판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연동수단(77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분사부(7720)는 독립적인 유입라인을 가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앞서 설명한 분사부(6620)와 연통되는 것으로 펌프(미도시)의 펌핑 작용에 따라 공급된 물을 분사시키게 된다.
이처럼 복수의 상부 세척브러쉬(7700) 및 하부 세척브러쉬(7710)를 통해 투입된 상기 식기(1)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잔류하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한편 상, 하부에서 강력한 물살에 의해 세척용 물이 분사됨으로써 상기 식기(1)는 물론 상부 세척브러쉬(7700) 및 하부 세척브러쉬(7710)에 잔류하는 이물질들도 상시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세척브러쉬(7700) 및 하부 세척브러쉬(7710)는 연동수단(7740)에 의해 상기 식기(1)가 이송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 식기(1)가 밀리거나 조기 배출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여 보다 효과적인 브러쉬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동수단(7740)은 벨트, 체인 및 기어 방식 중 어느 한 방식 또는 둘 이상의 혼합된 방식을 통해 상호 회전 방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 내지 공지기술에 의해 다양하게 구현 가능한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바 없으나 상기 구동모터(5000)와 제2구동모터(77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모터(5000) 및 제2구동모터(7730)로 전원을 공급함과 더불어 그 회전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식판의 세척 시간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벌세척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상기 본체(1000)의 인입구(1110)로 식기(1)가 안착되면 상기 식기(1)의 하부면과 접하게 되는 위치에 해당되는 핑거부(3000)들의 걸림돌기(3310)는 상기 식기(1)의 하중에 의해 핑거부(3000)의 결합공간(3321)에서 식기(1)의 이송방향으로 눕혀지게 된다. 이때, 상기 핑거부(3000)는 구동모터(5000) 및 스프라켓(4000)에 의해 가이드레일(2000) 상에서 순환하는 바, 뒤이어 상기 인입구(1110)에 위치한 스프라켓(4000)을 선회한 타 핑거부(3000)의 걸림돌기(3310)는 상기 식기(1)의 일측면에 밀착하게 되고, 상기 식기(1)의 일측면에 밀착한 걸림돌기(3310)의 경우 상기 스토퍼(3322)에 의해 식기(1)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반대방향으로 꺽이지 않게 되어 상기 식기(1)는 걸림돌기(3310)에 의해 고정 및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세척공간(1100)의 전단에 설치되는 세척부(6000)에는 차단벽(6600)의 하부에 형성된 브러쉬(6610)에 의해 식기(1)의 상부면에 잔류하는 음식물찌꺼기들을 순차적으로 쓸어내고 상기 식기(1)가 통과하게 되면 브러쉬(6610)에 의해 쓸려간 음식물찌꺼기는 상기 유도관(6360)으로 낙하되어 잔반수거함(9000)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처럼 1차 잔반 처리 과정이 완료된 후, 상기 식기(1)는 세척공간(1100)으로 이송되어 제2세척부(7000)를 통해 2차 세척 과정을 실시하게 된다.
먼저, 복수의 제2분사부(7720)에서 분사되는 물과 상기 상부 세척브러쉬(7700) 및 하부 세척브러쉬(7710)의 회동 작용에 의해 상기 식기(1)에 잔류하는 잔반을 포함한 이물질 등은 신속하게 털어지게 되고, 이물질의 일부는 전단에 위치하는 세척부(6000)의 차단벽(6600)과 부딪치게 되면서 상기 유도관(6360)을 통해 잔반수거함(9000)으로 유도되거나 다른 일부는 바로 낙하되어 상기 잔반수거함(9000)에 수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분사부(7720)에서 사용되는 세척용 물은 40℃ 내지 50℃ 이상의 온수가 이용될 수 있으며 식판 내에 기름기가 존재하게 되므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세제가 혼합된 물이 이용되는 것이 타당하다. 이때의 세제 역시 환경 오염을 고려하여 화공세제보다는 친환경적인 식물성 세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잔반 처리 및 세척 과정이 완료된 식기(1)는 상기 핑거부(3000)에 의해 유출구(1120) 방향으로 이송되고, 이와 연계되도록 구성된 식기세척기의 투입구(10)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기(1)는 최종적으로 배출된 이후 상기 핑거부(3000)의 걸림돌기(3310)는 최후단에 설치된 스프라켓(4000)을 선회하면서 자중에 의해 회동되어 다시 식기(1)의 일측면에 걸림이 가능한 위치로 복원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투입구 20 : 배출구
30, 31 : 세척실 40, 41, 42 : 헹굼실
50 : 지지프레임 60 : 수용탱크
70 : 분사봉 80 : 이송판
81 : 구획벽 90 : 다공성 여과판
91 : 제 2 다공성 여과판

Claims (18)

  1. 삭제
  2. 투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되며,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투입구로부터 배출구로 식기를 이송하여 세척이 이루어지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 사이에서 나란히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세척실과 헹굼실을 포함하되 각 세척실 및 헹굼실은,
    그 하부에 마련되어 세척수 또는 헹굼수를 수용하는 수용탱크와;
    상기 수용탱크와 연통되어 해당 수용탱크에 수용된 세척수 또는 헹굼수를 식기로 분사하는 분사봉과;
    사용되는 세척수 또는 헹굼수를 상기 배출구에서 투입구 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타 세척실 또는 헹굼실의 수용탱크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수용탱크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며 인접하는 타 세척 또는 헹굼실의 수용탱크를 향하게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이송판을 포함하는 이송수단 및;
    상기 세척수 또는 헹굼수를 여과하기 위한 여과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단은 각 이송판과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이송판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다공성 여과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단은 상기 수용탱크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 2 다공성 여과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탱크는 그 상단에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다공성 여과판은 상기 슬라이드 홈에 삽입되어 탈, 부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실 및 헹굼실은 그 측면을 감싸며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봉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분사 노즐이 형성되며,
    상기 분사 노즐은 3개가 하나의 분사 범위를 갖도록 구성되되, 중심부의 분사 노즐을 기준으로 좌, 우에 위치하는 분사 노즐이 상기 분사봉의 길이방향으로부터 각각 10°내지 20°각도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기.
  8. 삭제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탱크와 인접하는 타 수용탱크 사이에 수용탱크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구획벽이 설치되며,
    상기 구획벽은 그 상부가 개구되도록 드레인홈이 형성되되 상기 드레인홈은 상기 배출구에서 투입구 방향으로 갈수록 단차가 낮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기.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의 전단에 설치되는 애벌세척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애벌세척기는
    내부에 세척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세척공간과 연통하도록 인입구와 인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인입구에서 인출구를 따라 상기 세척공간의 양 내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각 가이드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본체 내부를 순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인입구로부터 인출구 방향으로 식기를 이송시키기 위한 핑거부와;
    상기 핑거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상기 핑거부를 가이드레일 상에서 순환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프라켓과;
    상기 스프라켓으로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모터; 및
    상기 세척공간의 전단에 설치되어 인입구로부터 투입된 상기 식기에 잔류하는 잔반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인입구에 설치되되 그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식기가 통과되도록 통공이 형성된 차단벽과;
    상기 차단벽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상기 식기의 상부면에 잔류하는 음식물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한 브러쉬와;
    상기 차단벽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브러쉬를 향하여 물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부; 및
    상기 브러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브러쉬에 의해 제거되는 음식물찌꺼기를 잔반수거함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브러쉬에 의해 제거되는 음식물찌꺼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기.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부는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나란히 결합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면에 접하는 롤러와;
    상기 롤러의 내측면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롤러와 핀 결합되어 회동하게 되며 상기 식기의 어느 일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식기를 이송하는 걸림돌기; 및
    상기 롤러와 인접하는 타 핑거부의 롤러 간을 연결하며 상기 롤러의 내측면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롤러와 핀 결합되며, 일측에는 인접하는 타 핑거부와 함께 상기 걸림돌기를 수용하면서 핀 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기가 식판의 이송방향으로부터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부는
    상기 링크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상기 링크 및 롤러의 각 외측면과, 상기 링크와 롤러 사이에 구성되는 구획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기.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식판의 일측면과 접하는 부위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기.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공간에 설치되는 제2세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세척부는
    상기 세척공간 상에서 잔반수거함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핑거부에 의해 이송되는 식기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세척하기 위한 복수의 상부 세척브러쉬 및 복수의 하부 세척브러쉬와;
    상기 상부 세척브러쉬의 상단 및 상기 하부 세척브러쉬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세척브러쉬 및 하부 세척브러쉬를 향하도록 물을 분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2분사부와;
    상기 상부 세척브러쉬 및 하부 세척브러쉬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2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상부 세척브러쉬 및 하부 세척브러쉬로 전달하되, 상기 상부 세척브러쉬 및 하부 세척브러쉬가 상기 식기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연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기.
KR1020110026910A 2011-03-25 2011-03-25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장치 KR101070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910A KR101070659B1 (ko) 2011-03-25 2011-03-25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910A KR101070659B1 (ko) 2011-03-25 2011-03-25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0659B1 true KR101070659B1 (ko) 2011-10-07

Family

ID=45032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6910A KR101070659B1 (ko) 2011-03-25 2011-03-25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065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739B1 (ko) 2011-10-05 2013-07-16 주식회사 대양에스티 식판 애벌세척장치
KR101343564B1 (ko) 2011-07-19 2013-12-20 동건화학 주식회사 보온수단이 구비된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기
KR101343895B1 (ko) 2012-08-27 2013-12-20 류창환 식판 세척장치
KR101525835B1 (ko) * 2013-10-16 2015-06-09 동건화학 주식회사 물재활용기능을 가진 식기세척기
KR101770103B1 (ko) * 2017-01-20 2017-08-21 유명목 세척수 탱크 착탈형 범용 세척장치
CN109875477A (zh) * 2019-04-15 2019-06-14 深圳市荣创电器有限公司 全自动餐具洗涤机
KR20210152638A (ko) 2020-06-08 2021-12-16 이성관 식기 세척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564B1 (ko) 2011-07-19 2013-12-20 동건화학 주식회사 보온수단이 구비된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기
KR101286739B1 (ko) 2011-10-05 2013-07-16 주식회사 대양에스티 식판 애벌세척장치
KR101343895B1 (ko) 2012-08-27 2013-12-20 류창환 식판 세척장치
KR101525835B1 (ko) * 2013-10-16 2015-06-09 동건화학 주식회사 물재활용기능을 가진 식기세척기
KR101770103B1 (ko) * 2017-01-20 2017-08-21 유명목 세척수 탱크 착탈형 범용 세척장치
CN109875477A (zh) * 2019-04-15 2019-06-14 深圳市荣创电器有限公司 全自动餐具洗涤机
KR20210152638A (ko) 2020-06-08 2021-12-16 이성관 식기 세척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0659B1 (ko)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장치
KR101253000B1 (ko) 식기세척장치
CN105167727A (zh) 一种自动循环洗碗机
KR100935955B1 (ko) 식기세척 장치
KR101070658B1 (ko) 애벌 세척장치
KR200460298Y1 (ko) 식판 처리시스템
CN208513283U (zh) 一种周转箱清洗杀菌线
CN210902888U (zh) 一种洁净型餐具清洗装置
CN207734120U (zh) 一种家庭用餐具清洗装置
KR101343564B1 (ko) 보온수단이 구비된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기
KR101286739B1 (ko) 식판 애벌세척장치
KR101556518B1 (ko) 복합 식판세척기
KR100400176B1 (ko) 식판 및 불판 세척기
CN203841073U (zh) 干果蒸汽加热清洗杀菌装置
KR101265415B1 (ko) 자동식판세척장치
CN203841072U (zh) 干果电加热清洗杀菌装置
CN114403767B (zh) 一种自动控制的节能洗碗装置
US20150096599A1 (en) Filter cleaner for a dishwashing appliance
CN204889916U (zh) 一种自动循环洗碗机
KR101525835B1 (ko) 물재활용기능을 가진 식기세척기
KR101137674B1 (ko) 헹굼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식판 세척장치
CN205492519U (zh) 洗菜机
KR101052751B1 (ko) 자동 식기세척기
KR101363604B1 (ko) 식기 세척기
KR200471301Y1 (ko) 애벌세척기의 식판이송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