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614B1 - 굴삭기의 버킷 구조 - Google Patents

굴삭기의 버킷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614B1
KR101366614B1 KR1020130108703A KR20130108703A KR101366614B1 KR 101366614 B1 KR101366614 B1 KR 101366614B1 KR 1020130108703 A KR1020130108703 A KR 1020130108703A KR 20130108703 A KR20130108703 A KR 20130108703A KR 101366614 B1 KR101366614 B1 KR 101366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slit
plate member
plate portion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8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정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정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정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30108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6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7/00Equipment for conveying or separating excavated material
    • E02F7/06Delivery chutes or screening plants or mixing plants mounted on dredgers or exca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의 버킷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측판부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슬릿 내에 각각 개별적으로 끼워 고정되는 끼움판부의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복수의 상기 끼움판부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끼움판부의 운반 및 보관이 매우 용이하고, 나아가 상기 슬릿 내에 복수의 상기 끼움판부를 개별적으로 보다 용이하게 끼워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끼움판부의 미사용시에는 상기 슬릿의 외부로 복수의 상기 끼움판부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굴삭기의 버킷 구조{A Structure Of Bucket For An Excavator}
본 발명은 측판부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슬릿(Slit) 내에 각각 개별적으로 끼워 고정되는 끼움판부의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복수의 상기 끼움판부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끼움판부의 운반 및 보관이 매우 용이하고, 나아가 상기 슬릿 내에 복수의 상기 끼움판부를 개별적으로 보다 용이하게 끼워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끼움판부의 미사용시에는 상기 슬릿의 외부로 복수의 상기 끼움판부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굴삭기의 버킷(Bucket)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 등과 같은 건설중장비는 특성상 작업조건에 따라 버킷을 이용한 굴삭, 덤프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브레이커(Breaker)를 이용한 암반굴삭, 건축물의 파괴작업, 건축 폐기물의 수거작업 등과 같은 복합적인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굴삭기의 버킷의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배수홀이 복수개 형성되어 물이 빠질 수 있도록 하고, 끝단부에는 버킷을 장착하여 굴삭작업을 도와준다. 이러한 구조의 버킷을 이용하여 다량의 굴삭물을 손쉽게 퍼올릴 수 있고, 특히, 해사와 같은 모래 등을 채취할 경우에는 신속히 굴삭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굴삭기를 이용하여 폐기물 등을 수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폐기물을 담은 상태에서 흙이나 모래들을 폐기물과 분리하기 위해 체가 구비된 버킷으로 교체한 후에 작업을 실시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버킷에 체만 구비된 상태의 굴삭기를 이용하여 폐기물 의 수거작업을 실시하면 흙이나 모래 등이 폐기물과 섞여 있으므로 이들을 분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작업효율에도 한계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등록특허공보 10-1030675호(2011. 4. 22)에는 폐기물과 섞인 모래나 흙과 같은 작은 입체를 걸러낼 수 있는 체가 형성된 버킷; 상기 버킷에 담겨진 폐기물에 진동을 가하여 작은 입체들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버킷의 내부에 장착되는 진동수단; 및 상기 버킷에 장착되고 상기 진동수단의 진동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수단은, 버킷 이가 형성된 버킷의 저면 하단부 측 양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회동축; 상기 회동축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버킷 내부의 저면을 둘러싸는 진동판; 및 상기 진동판의 타측에 연결되고, 버킷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상기 진동발생수단에 연결되는 지지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버킷의 진동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공보의 버킷 내부에 장착되는 진동수단 및 진동판에는 메시를 교체 가능토록 체결되는데, 금속 재질의 상기 진동수단 및 메시의 무게가 무거울 뿐만 아니라 부피가 너무 크므로 불편하며, 나아가 다양한 구멍을 갖는 메시를 탈,부착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운반 및 보관에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03067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측판부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슬릿 내에 각각 개별적으로 끼워 고정되는 끼움판부의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복수의 상기 끼움판부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끼움판부의 운반 및 보관이 매우 용이하고, 나아가 상기 슬릿 내에 복수의 상기 끼움판부를 개별적으로 보다 용이하게 끼워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끼움판부의 미사용시에는 상기 슬릿의 외부로 복수의 상기 끼움판부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굴삭기의 버킷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판부와; 상기 바닥판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일측판부재와, 상기 바닥판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타측판부재로 구성되는 측판부;로 구성되는 버킷 구조로서, 상기 바닥판부는 상기 측판부의 전측에서 상기 측판부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된 상태로 상기 일측판부재의 하부와 상기 타측판부재의 하부사이에 상기 일측판에서 상기 타측판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배치되는 전후연장바와; 상기 전후연장바와 직교를 이루도록 상기 전 후연장바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일측판부재에서 상기 타측판부재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고, 상기일측판부재의 하부와 상기 타측판부재의 하부 사이에 상기 측판부의 전측에서 상기 측판부의 후측방향으로 일전간격으로 복수배치되는 좌우연장바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판부의 좌우연장바 사이마다 위치하도록 상기 측판부의 하부에 슬릿이 각각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판부의 타측판부재의 하부 외주면에 상기 슬릿을 폐쇄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측판부의 하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상기 슬릿내에 상기 일측판부재에서 상기 타측판부재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끼움판부가 각각 끼움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 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끼움판부의 일측에 고정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슬릿내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슬릿내에 상기 끼움판부를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부의 전후연장바 사이의 상기 전후연장바의 표면에 상기 슬릿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판부의 하부에 보강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슬릿은 상기 측판부의 상부와 예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슬릿은 십자(+)형상으로 되는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첫째, 측판부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슬릿 내에 각각 개별적으로 끼워 고정되는 끼움판부의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복수의 상기 끼움판부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끼움판부의 운반 및 보관이 매우 용이하다. 둘째, 상기 슬릿 내에 복수의 상기 끼움판부를 개별적으로 보다 용이하게끼워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끼움판부의 미 사용시에는 상기 슬릿의 외부로 복수의 상기 끼움판부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좌우연장바(120)의 사이에 끼움판부(40)가 밀착되어 결합됨으로써 좌우연장바(120)와 끼움판부(40)의 사이로 흙, 입자크기가 작은 모래 뿐만 아니라 반죽 형태의 시멘트가 흘러내리지 않게 되어 버킷으로 흙, 입자크기가 작은 모래 및 반죽 형태의 시멘트까지도 쉽게 운반할 수 있어 굴삭 등 모든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굴삭기의 진동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의 버킷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버킷으로부터 끼움판부를 분리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버킷에 장착되는 스토퍼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버킷에 장착되는 스토퍼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A - A선에 따른 고정부재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고정부재를 결합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끼움판부의 보관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에 의한 버킷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측판부에 십자형상으로 형성된 슬릿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십자형상의 슬릿 내에 끼워 고정된 상태의 끼움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굴삭기의 버킷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버킷으로부터 끼움판부를 분리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버킷 구조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바닥판부(10)와 측판부(2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바닥판부(10)는 단면의 형상이 상기 바닥판부(10)의 상부에서 상기 바닥판부(10)의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호(弧)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바닥판부(10)의 가장 앞쪽에는 굴삭대상물을 퍼 담을 수 있는 버킷 이(도면부호 미도시)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측판부(20)는 좌,우측에 각각 일측판부재(210)와 타측판부재(220)로 구성되는데, 상기 일측판부재(210)는 상기 바닥판부(10)의 좌측에 일체형으로 수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타측판부재(220)는 상기 바닥판부(10)의 우측에 일체형으로 수직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바닥판부(10)는 전후연장바(110)와 좌우연장바(120)로써 서로 직교되게 구성된다. 상기 전후연장바(110)는 단면형상이 사각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그 중 판(板)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후연장바(110)는 상기 측판부(20)의 전측에서 상기 측판부(2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 연장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전후연장바(110)는 상기 일측판부재(210)의 하부와 상기 타측판부재(220)의 하부 사이에서 일정간격으로 나란히 복수개 배치된다.
상기 좌우연장바(120)는 단면의 형상이 원(圓)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그 중 봉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우연장바(120)는 상기 전후연장바(110)의 직교를 이루도록 상기 전후연장바(110)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일측판부재(210)에서 상기 타측판부재(220)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 연장된다. 이어서 상기 좌우연장바(120)는 상기 일측판부재(210)의 하부와 상기 타측판부재(220)의 하부 사이에서 상기 측판부(20)의 전측으로부터 상기 측판부(2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복수개 배치된다.
한편, 상기 좌우연장바(120)의 일측은 상기 일측판부재(210)의 하부 내주면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좌우연장바(120)의 타측은 상기 타측판부재(220)의 하부 내주면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부(10)의 좌우연장바(120) 사이마다 위치하도록 상기 측판부(20)의 하부에는 상기 측판부(20)의 전측에서 상기 측판부(2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되는 슬릿(30)이 상기 측판부(20)의 하부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도 4는 버킷에 장착되는 스토퍼(230)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버킷에 장착되는 스토퍼(230)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측판부(20)의 타측판부재(220)의 하부 외주면에는 상기 슬릿(30)을 폐쇄하는 스토퍼(230)가 일체로 형성된다.
일 예로서, 상기 스토퍼(230)가 상기 타측판부재(220)의 슬릿(30) 일부분 가령, 상기 타측판부재(220)의 슬릿(30) 중간부만을 폐쇄하기 위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230)의 상하폭은 상기 슬릿(30)의 상하폭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230)의 좌우폭은 상기 슬릿(30)의 좌우폭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서, 상기 스토퍼(230)가 상기 타측판부재(220)의 슬릿(30) 전체를 폐쇄하기 위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230)의 상하폭은 상기 슬릿(30)의 상하폭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230)의 좌우폭은 상기 슬릿(30)의 좌우폭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측판부(20)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상기 슬릿(30) 내에는 상기 일측판부재(210)에서 상기 타측판부재(220)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좌우연장되는 금속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끼움판부(40)가 각각 분리 가능하게 개별적으로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상기 스토퍼(230)로 인해 상기 끼움판부(40)가 상기 타측판부재(220)의 슬릿(30) 외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2의 A - A선에 따른 고정부재(50)의 분리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고정부재(50)를 결합하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끼움판부(40)의 일측 중간부에는 상기 끼움판부(40)의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 연장되며, 상측과 하측이 개방된 고정슬릿(41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슬릿(410) 내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슬릿(30) 내의 상기 끼움판부(40)가 상기 일측판부재(210)의 외측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고정부재(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5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삽입고정부재(510)와 헤드부재(520)로 구성되며, 상기 삽입고정부재(510)의 상하폭은 상기 삽입고정부재(51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고정부재(510)의 상부의 좌우폭은 상기 고정슬릿(410)의 좌우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헤드부재(520)는 상기 삽입고정부재(510)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며, 작업자는 해머 등의 타격도구를 사용하여 상기 헤드부재(520)를 타격함으로써 상기 삽입고정부재(510)를 상기 고정슬릿(410) 내에 끼워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50)는 반드시 상기 삽입고정부재(510)와 헤드부재(520)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슬릿(510) 내에 삽입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의 하측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끼움판부(40)의 일측 하부면에 밀착 고정되는 너트;로 구성될 수 있는 등 보다 다양하게 구성될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부(10)의 각각의 상기 전후연장바(110)에도 상기 끼움판부(4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슬릿(30)이 형성되어야만 한다.
한편, 상기 측판부(20)의 하부의 내구성 향상을 위해 상기 일측판부재(210) 및 타측판부재(220)의 하부 외주면 끝에는 각각 단면의 형상이 원(圓)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되, 그 중 봉형태 또는 관형태로서 도 2의 보강부(60)가 일체형으로 되기 위하여 용접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60)는 상기 보강부(6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호(弧)형상 등으로 만곡(彎曲)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끼움판부(40)의 보관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상기 슬릿(30) 내에서 개별적으로 각각 분리된 상기 끼움판부(40)는 서로 여러 개가 접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슬릿(410) 안으로 연결줄(420)이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줄(420)로서는 공지된 케이블 타이 또는 와이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중 와이어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고정슬릿(410)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의 일측과 상기 와이어의 타측은 서로 접한 상태에서 매듭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슬릿(30) 내에서 개별적으로 각각 분리된 상기 끼움판부(40)의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 보다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끼움판부(40) 각각의 무게가 종래의 메시 및 철판으로 된 진동수단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볍기 때문에 상기 끼움판부(40)의 운반 또는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도 2에 의한 버킷의 측면도인데,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자(一)형 슬릿(30)은 일 예로서, 상기 측판부(20)의 상부(U)와 예각(a)을 이루게 된다. 상기 슬릿(30) 내에 수용된 상기 끼움판부(40) 또는 상기 측판부(20)의 상부와 예각(a)을 이룰 수 있게 되고, 이렇게 하여 상기 끼움판부(40)를 통하여 흙, 모래 등의 굴삭대상물이 낙하함으로써 굴삭작업 시에 이들의 분리작업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10는 측판부에 십자(+)형상으로 형성된 슬릿(3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상기 슬릿(30)은 도 9에 나타난 슬릿(30)과는 다른 예로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형상이 일자(一)형 대신에 십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십자(+)형상의 상기 슬릿(30)은 전후연장슬릿(310)과 상하연장슬릿(320)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전후연장슬릿(310)은 상기 측판부(20)의 전측에서 상기 측판부(2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연장슬릿(320)은 상기 전후연장슬릿(310)과 연통되도록 상기 전후 연장슬릿(310)의 중간부에 상기 측판부(20)의 상부에서 상기 측판부(2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상하 연장형성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은 도 10의 십자형상의 슬릿(30) 내에 끼워 고정된 상태인 끼움판부(4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끼움판부(40)는 상기 전후연장슬릿(310)과 상기 상하연장슬릿(320) 중 어느 하나에 끼워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암반굴삭, 건축물의 파괴작업, 건축 폐기물의 수거작업 등의 복합적인 작업을 위해 상기 끼움판부(40)는 상기 전후연장슬릿(310)에 끼워 고정될수 있다. 다른 예로서, 굴삭작업이 중지된 평상시 또는 하천 내에서 격자형태의 상기 바닥판부(10)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관통구(도 3의 10a)보다 크기가 큰 폐기물을 하천 내의 물, 모래, 흙 등으로부터 분별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해상기 끼움판부(40)는 상기 상하연장슬릿(320)에 끼워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측판부(20)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상기 슬릿(30) 내에 각각 개별적으로 끼워 고정되는 상기 끼움판부(40)의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복수의 상기 끼움판부(40)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기때문에 상기 끼움판부(40)의 운반 및 보관이 매우 용이하다. 나아가 상기 슬릿(30)내에 복수의 상기 끼움판부(40)를 개별적으로 보아 용이하게 끼워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끼움판부(40)의 미 사용시에는 상기 슬릿(30)의 외부로 복수의 상기 끼움판부(40)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도 2], [도 3]에서와 같이 좌우연장바(120)의 사이에 끼움판부(40)가 밀착되어 결합됨으로써 좌우연장바(120)와 끼움판부(40)의 사이로 흙, 입자크기가 작은 모래 뿐만 아니라 반죽 형태의 시멘트가 흘러내리지 않게 되어 버킷으로 흙, 입자크기가 작은 모래 및 반죽 형태의 시멘트까지도 쉽게 운반할 수 있어 굴삭 등 모든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10 : 바닥판부 20 : 측판부
30 : 슬릿 40 : 끼움판부
50 : 고정부재 60 : 보강부
110 : 전후연장바 120 : 좌우연장바
210 : 일측판부재 220 : 타측판부재
230 : 스토퍼 310 : 전후연장슬릿
320 : 상하연장슬릿 410 : 고정슬릿
420 : 연결줄 510 : 삽입고정부재
520 : 헤드부재 U : 상부

Claims (6)

  1. 바닥판부(10)와; 상기 바닥판부(10)의 좌측에 형성되는 일측판부재(210) 및 상기 바닥판부(10)의 우측에 형성되는 타측판부재(220)로 이루어지는 측판부(20);로 구성되는 굴삭기의 버킷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부(10)는 상기 측판부(20)의 전측에서 후측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된 상태를 갖되, 상기 일측판부재(210)의 하부와 상기 타측판부재(220)의 하부사이에서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되는 전후연장바(110)와;
    상기 전후연방바(110)와 직교를 이루도록 상기 전후연장바(110)를 관통한 상태를 갖되, 상기 일측판부재(210)에서 상기 타측판부재(220)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고, 상기 일측판부재(210)의 하부와 상기 타측판부재(220)의 하부 사이 및 상기 측판부(20)의 전측에서 상기 측판부(2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되는 좌우연장바(120);
    상기 전후연장바(110)마다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판부재(210) 및 상기 타측판부재(220)의 하부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슬릿(30);
    상기 타측판부재(220)의 하부 외주면에 상기 슬릿(30)을 폐쇄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스토퍼(230);
    상기 일측판부재(210)에서 상기 타측판부재(220)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 연장되어 상기 슬릿(30) 내에 각각 끼워 고정되되, 상기 좌우 연장바(120) 사이에 밀착되게 설치는 끼움판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버킷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판부(40)의 좌측에 고정슬릿(410)이 형성되되, 상기 고정슬릿(410) 내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슬릿(30) 내의 상기 끼움판부(40)를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부재(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버킷 구조.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판부재(210) 및 상기 타측판부재(220)의 하부 외주면 끝에는 각각 보강부(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버킷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30)은 상기 측판부(20)의 상부(U)와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버킷 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30)은 일자(一)형상 또는 십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버킷 구조.














KR1020130108703A 2013-09-10 2013-09-10 굴삭기의 버킷 구조 KR101366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703A KR101366614B1 (ko) 2013-09-10 2013-09-10 굴삭기의 버킷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703A KR101366614B1 (ko) 2013-09-10 2013-09-10 굴삭기의 버킷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6614B1 true KR101366614B1 (ko) 2014-02-24

Family

ID=50271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8703A KR101366614B1 (ko) 2013-09-10 2013-09-10 굴삭기의 버킷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6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4543A1 (de) * 2018-11-20 2020-05-28 Reschke Schweisstechnik Gmbh Anbaugerät für eine arbeitsmaschine
EP3631098A4 (en) * 2017-05-23 2021-01-20 Austin Engineering Ltd BUCKET AND EARTH MOVING DEVICE INCLUDING THE BUCKET
KR102360921B1 (ko) * 2021-08-05 2022-02-08 이강준 굴삭기용 버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6967A (ko) * 1997-12-29 1999-07-15 추호석 굴삭기의 내마모 버켓
JP2000282504A (ja) * 1999-03-29 2000-10-10 Matsumoto Seisakusho:Kk スケルトンバケット
JP2002088794A (ja) * 2000-09-13 2002-03-27 Neo Knead:Kk バケットに取付けられる土漏れ防止用アタッチメン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6967A (ko) * 1997-12-29 1999-07-15 추호석 굴삭기의 내마모 버켓
JP2000282504A (ja) * 1999-03-29 2000-10-10 Matsumoto Seisakusho:Kk スケルトンバケット
JP2002088794A (ja) * 2000-09-13 2002-03-27 Neo Knead:Kk バケットに取付けられる土漏れ防止用アタッチメン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31098A4 (en) * 2017-05-23 2021-01-20 Austin Engineering Ltd BUCKET AND EARTH MOVING DEVICE INCLUDING THE BUCKET
US11952740B2 (en) 2017-05-23 2024-04-09 Austin Engineering Limited Bucket and a ground moving apparatus including the bucket
WO2020104543A1 (de) * 2018-11-20 2020-05-28 Reschke Schweisstechnik Gmbh Anbaugerät für eine arbeitsmaschine
KR102360921B1 (ko) * 2021-08-05 2022-02-08 이강준 굴삭기용 버켓
WO2023013925A1 (ko) * 2021-08-05 2023-02-09 이강준 굴삭기용 버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6614B1 (ko) 굴삭기의 버킷 구조
JP4763729B2 (ja) 掘削バケット
JP5527173B2 (ja) 通水性鋼矢板とそれを用いた通水性鋼製壁
JP2020002554A (ja) カッタービット
JP5976723B2 (ja) 掘削土砂圧密形オーガ
KR101353152B1 (ko) 굴삭기 버켓용 장삽날 탈부착구조
KR20140097793A (ko) 굴삭용 리퍼
JP5746803B2 (ja) 掘削バケット
JP5674582B2 (ja) 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の施工方法とコンクリート回収装置
KR101716364B1 (ko) 굴삭기용 삽
CN208996115U (zh) 一种具有滤水功能的挖机
CN113338370A (zh) 一种具有激振功能的挖掘机铲斗
CN213448601U (zh) 一种多用途挖掘机铲斗及挖掘机
JP2018131755A (ja) 受圧板、地盤補強構造及び地盤補強方法
CN210482406U (zh) 管线标示桩埋设用挖掘铲
JP6654961B2 (ja) 地中連続壁の施工方法および仕切構造
CN207760910U (zh) 一种绞吸式挖泥船挖掘珊瑚岩防石装置
JP2951293B2 (ja) ワイヤーロープの付着物飛散防止方法
CN219218955U (zh) 泄水管及具有其的挡土墙泄水结构
JPH04194226A (ja) 斜面補強排水管
CN214169196U (zh) 一种具有防物料洒落的装载机铲斗防护装置
KR20110122313A (ko) 지중 차수벽 형성용 강관
CN210491589U (zh) 一种多功能铰地松土机
JP5685446B2 (ja) 集水路と、該集水路に堆積する土砂の回収方法
CN208763095U (zh) 一种耕地用排水沟开挖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