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364B1 - 굴삭기용 삽 - Google Patents

굴삭기용 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364B1
KR101716364B1 KR1020150155559A KR20150155559A KR101716364B1 KR 101716364 B1 KR101716364 B1 KR 101716364B1 KR 1020150155559 A KR1020150155559 A KR 1020150155559A KR 20150155559 A KR20150155559 A KR 20150155559A KR 101716364 B1 KR101716364 B1 KR 101716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blades
shovel
excavator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은만
Original Assignee
주은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은만 filed Critical 주은만
Priority to KR1020150155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3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2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 E02F5/025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with scraper-buckets, dippers or shov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6Uprooting or pulling up trees; Extracting or eliminating st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용 삽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원하는 만큼의 땅을 파낼수 있는 것으로 범용적으로는 땅속으로 소정 깊이만큼 꽂혀 땅을 가르기에 용이하고, 관로 또는 배수로 정리작업이 가능하고, 수목의 굴취 작업에서는 수목 주변의 땅을 가르는 것과 함께 수목의 주된 뿌리를 훼손하지 않고 불필요한 잔뿌리를 임의로 쉽게 절단할 수 있는 굴삭기용 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굴삭기용 삽은, 브라켓을 포함하는 링크; 상기 브라켓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된 삽날;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삽날 사이에 연결된 다수의 보강대를 포함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날은, 상기 보강부와 연결된 보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판은 특수강 재질이고, 상기 삽날은 상기 보강판에 끼워진다.

Description

굴삭기용 삽{SHOVEL USING EXCAVATOR}
본 발명은 굴삭기용 삽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원하는 만큼의 땅을 파낼수 있는 것으로 범용적으로는 땅속으로 소정 깊이만큼 꽂혀 땅을 가르기에 용이하고, 관로 또는 배수로 정리작업이 가능하고, 수목의 굴취 작업에서는 수목 주변의 땅을 가르는 것과 함께 수목의 주된 뿌리를 훼손하지 않고 불필요한 잔뿌리를 임의로 쉽게 절단할 수 있는 굴삭기용 삽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이식할 수목의 굴취 작업은 성숙한 수목의 뿌리 주위에 붙어있는 흙까지 함께 파내는 작업인데, 과거에는 괭이나 삽 등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수목의 뿌리 주위를 둥글게 파서 굴취한 다음, 뿌리 주위의 흙이 떨어지지 않도록 마대를 감싸고 새끼줄을 감아서 마무리하였다(분뜨기 작업). 그러나, 괭이나 삽 등에 의한 수작업으로 토양을 파는 경우, 인력 및 시간 등의 증가로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단점들이 있었다.
최근에는 인력과 작업자들의 과도한 노동력을 줄이고자 굴삭기를 이용하여 수목의 굴취 작업이 행해지고 있다. 굴삭기를 이용한 수목 굴취 작업 시에는 수목의 뿌리 주위를 버켓(Bucket)으로 어느 정도 깊게 파서 기초작업을 수행한 다음 괭이나 삽 등을 이용한 수작업으로 마무리 작업을 실시함으로써 인력과 작업자들의 노동력을 줄이고 있다.
상기 버켓은 흙, 모래, 자갈 등을 담을 수 있는 바가지 형태의 기구로서, 상기 버켓으로 수목의 굴취 작업을 하게 되면, 수목 주변의 땅이 너무 많이 파헤쳐지는 문제가 있고, 땅속으로 박히는 상기 버켓의 체적이 크기 때문에 수목의 주위의 땅을 깊게 파는 과정에서 주된 뿌리가 심하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주된 뿌리 주위의 흙이 다량 떨어지는 문제점이 야기되어 수목의 이식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버켓에 의한 굴취 시에는 별도의 추가적인 수작업이 뒤따라야 하는 관계로 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상기 버켓과 삽의 기능적 차이와 관련하여, 버켓은 지반의 흙을 퍼내는 특징에 있고 삽은 삽날의 구성적 특징으로 임의의 지반 지점을 도려낸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굴삭기에 장착가능하며, 범용적으로는 땅속으로 소정 깊이만큼 꽂혀 땅을 가르기에 유용하고, 관로 또는 배수로 정리작업이 용이하며, 수목의 굴취 작업과 같은 특별한 작업 시에는 인력과 작업자의 노동력을 줄이고, 이식에 필수적인 뿌리의 손상을 최소한으로 줄이며, 뿌리 주위의 흙이 떨어지지 않도록 최대한 방지하여 이식작업 후 수목의 활착력과 이식율을 높일 수 있고, 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굴삭기용 삽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KR 10-1264977 B1
본 발명의 목적은 범용적으로는 삽날의 구성적 특징으로 임의의 지반 지점을 도려낼수 있는 것으로서, 삽날을 땅속으로 삽입해 소정의 깊이 만큼 땅을 가르기에 용이한 굴삭기용 삽을 제공한다.
또한, 관로 또는 배수로작업 수목의 굴취 작업 등에서 땅을 가름과 동시에 지반을 도려낼수 있는 형태로 수목의 주된 뿌리는 훼손하지 않고 불필요한 잔뿌리를 쉽게 절단할 수 있는 굴삭기용 삽을 제공한다.
또한, 굴삭기에서 분리하지 않고, 삽날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굴삭기용 삽을 제공한다.
또한, 삽날과 리퍼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굴삭기용 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굴삭기용 삽은, 브라켓을 포함하는 링크; 상기 브라켓에 연결된 삽날;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삽날 사이에 연결된 다수의 보강대를 포함하는 보강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링크의 브라켓과 상기 삽날 사이에 배치된 회전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굴삭기용 삽은, 브라켓을 포함하는 링크;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고, 제1 회전축을 축으로 회전가능한 제1 회전판; 상기 제1 회전판에 연결된 제1 보강부; 상기 제1 보강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회전축과 교차하는 제2 회전축을 축으로 회전가능한 제2 회전판; 상기 제2 회전판에 연결된 제2 보강부; 및 상기 제2 보강부에 연결된 삽날;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삽날의 상단부에 배치된 리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퍼는 상기 삽날의 상단부에서 탈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퍼는 상기 삽날의 상단부에서 상기 링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날은, 상기 삽날의 끝단부에 장착된 특수강 투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날은 상기 보강부와 연결된 보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판은 특수강 재질이고, 상기 삽날은 상기 보강판에 끼워진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날의 끝단부는 둥근 형상 또는 사각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날의 끝단부는 사각 형상의 평평한 판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날의 끝단부의 폭은 상기 삽날의 나머지 부분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삽날의 구성적 특징으로 임의의 지반 지점을 도려낼수 있는 것으로서, 삽날을 땅속으로 삽입해 소정의 깊이 만큼 땅을 가르기에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관로 또는 배수로작업 수목의 굴취 작업 등에서 땅을 가름과 동시에 지반을 도려낼수 있는 형태로 수목의 주된 뿌리는 훼손하지 않고 불필요한 잔뿌리를 쉽게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굴삭기에서 분리하지 않고, 삽날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삽날과 리퍼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굴삭기용 삽이 굴삭기의 아암(15)에 결합된 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굴삭기용 삽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굴삭기용 삽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삽날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보강부의 변형 예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삽날(300)의 변형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굴삭기용 삽이 굴삭기(10)에 장착되어 땅(20)속에 소정 깊이만큼 꽂힌 모습을 보여주는 참고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굴삭기용 삽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굴삭기용 삽의 측면도이다.
도 14은 도 13에 도시된 굴삭기용 삽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면들 중 인용부호들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인용부호들로 표시됨을 유의해야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 질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 형태에 따른 굴삭기용 삽을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굴삭기용 삽이 굴삭기의 아암(15)에 결합된 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굴삭기용 삽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굴삭기용 삽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삽날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굴삭기용 삽은 링크(100), 삽날(300) 및 보강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100)는 굴삭기에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한 쌍의 봉(110)과 브라켓(130)을 포함한다. 한 쌍의 봉(110)의 양 단은 브라켓(130)에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봉(110)의 모양과 크기는 굴삭기에 장착될 수 있는 범용의 규격을 갖는다.
삽날(300)은 링크(100)에 연결된다. 삽날(300)은 링크(100)의 브라켓(130)에 용접되어 연결될 수 있거나, 브라켓(130)에 삽날(300)을 부착할수 있는 돌출부인 보강판(330)에 주물(특수강)로 제작된 삽(날)을 끼워 구성하는 것과 한 쌍의 봉(110)을 제외하고 브라켓(130)과 삽날(300)은 주물(특수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굴삭기용 삽은 삽날(300)을 포함하기 때문에, 땅속으로 소정 깊이만큼 삽입되어 꽂기에 용이하고, 땅을 가르기에 용이하다. 종래의 버켓(bucket)은 땅속으로 소정 깊이만큼 꽂기가 수월하지 않고, 땅을 가른다기보다는 땅의 흙을 퍼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굴삭기용 삽의 삽날(300)은 종래의 버켓과는 확연히 대비된다.
삽날(300)은 브라켓(130)의 일 면에서 일 방향(도 2 내지 도 3에서는 아래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날(300)은 브라켓(130)의 일 면에서 일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삽날(300)의 끝단부는 뾰족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날(300)은 강도를 포함한 재질, 또는 철의 재질로 소정의 두께를 형성하고, 외면(301)과 내면(302) 및 두 개의 측면(303)을 포함할 수 있다. 외면(301)은 위로 볼록한 면일 수 있다. 외면(301)이 위로 볼록하면 휨강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내면(302)은 2개의 평평한 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평평한 면들 사이에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서는 내면(302)이 평평한 2개의 면으로 구성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내면(302)는 3개 이상의 평평한 면들로 구성될 수도 있고, 내면(302)은 굴곡진 면이되 외면(301)과 반대로 오목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측면(303)이 평평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5와 같이, 측면(303)은 각진 형태일 수 있다. 각진 형태는 측면(303)이 2개의 평면들로 구성된 것일 수도 있고, 3개 이상의 측면들로 구성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측면(303)은 등근 형태일 수 있고, 위로 볼록하거나 뾰족할 수도 있다.
삽날(300)의 끝단부는 내면(302)이 외면(301)보다 먼저 지면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비스듬이 절단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보강부(500)는 도 4에 도시된 내면(302)에 용접되어 연결되거나 주물(특수강)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다수의 보강대(510, 530)는 내면(302) 위에서 서로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보강대(510), 530’)의 일측은 서로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은 내면(302)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다수의 보강대(510, 530’)는 도 4에 도시된 다수의 보강대(510, 530)보다 더 큰 보강력을 삽날(300)에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삽날(300)의 휨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삽날(300)의 오른?P부터 왼쪽으로 곡선의 형태, 또는 각진 형태와 링크(100)에 연결된 일단부부터 삽날(300)의 끝단부 사이는 완만히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삽날(300)의 끝단부에는 다수의 홈과 돌출부가 교대로 배치된, 즉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는 삽날(300)의 휨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삽날(300)의 변형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삽날(300)의 변형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삽날(300a)은 특수강(주물) 투스(special steel tooth, 310)를 포함할 수 있다. 특수강 투스(310)는 삽날(300a)의 끝단부에 다수로 장착될 수 있다. 특수강 투스(310)는 삽날(300a)의 끝단부로부터 교체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수강 투스(310)는 삽날(300a)의 끝단부에 나사와 같은 체결 수단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 수단을 제거함으로써 특수강 투스(310)는 삽날(300a)의 끝단부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삽날(300b)은 보강판(330)을 포함할 수 있다. 보강판(330)의 재질은 특수강이고, 보강판(330)에 보강대(500)가 연결될 수 있다. 삽날(300b)은 보강판(330)에 교체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삽날(300b)과 보강판(330)은 나사와 같은 체결 수단을 통해 결합될 수 있고, 체결 수단을 제거함으로써 삽날(300b)은 보강판(33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삽날(300c)의 끝단부는 둥근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삽날(300c)은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삽날(300c)의 끝단부를 변경하거나 용접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삽날(300d)의 끝단부는 사각 형상의 평평한 판이고, 상기 끝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둥근 형상의 굴곡진 판일 수 있다. 이러한 삽날(300d)은 관로 매설 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삽날(300d)의 끝단부는 사각 형상의 평평한 판이고, 상기 끝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둥근 형상의 굴곡진 판일 수 있다. 그리고, 삽날(300e)의 끝단부의 폭이 나머지 부분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이러한 삽날(300e)은 소똥이나 흙을 긁어내거나 바닥의 평탄화 작업 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삽날(300b, 300c, 300d, 300e)의 끝단부에는 도 6에 도시된 특수강 투스(310)가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보강부(500)는 링크(100)와 삽날(30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보강부(500)는 삽날(300)이 링크(100)에 단단히 부착되도록 하며 삽날(300)의 휨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보강부(500)는 다수의 보강대(510, 5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보강대(510, 530)는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소정의 용접 면적을 확보하고 삽날(300)을 더 단단히 보강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보강대(510, 530)의 크기는 모두 동일하지 않고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보강대(510, 530)는 삽날(300)의 끝단부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얇아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는 다수의 보강대(510, 530)가 삽날(300)과 함께 땅에 꽂힐 때 다수의 보강대(510, 530)가 저항으로 작용하는 것을 줄이기 위함이다.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굴삭기용 삽이 굴삭기(10)에 장착되어 땅(20)속에 소정 깊이만큼 꽂힌 모습을 보여주는 참고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굴삭기용 삽에 의해 땅(20)을 파헤치지 않고 손쉽게 가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굴삭기용 삽의 측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굴삭기용 삽은 링크(100), 삽날(300), 보강부(500) 및 회전판(700)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100), 삽날(300) 및 보강부(50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링크(100), 삽날(300) 및 보강부(50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앞서 설명한 것으로 대체한다.
회전판(700)은 링크(100)와 삽날(300) 사이, 링크(100)와 보강부(500) 사이에 배치된다.
회전판(700)의 상면은 링크(100)와 연결되고, 회전판(700)의 하면은 삽날(300) 및 보강부(500)와 연결될 수 있다.
회전판(700)은 회전축(X)을 기준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판(700)의 회전에 따라 삽날(300)과 보강부(500)는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도 1과 같은 회전판(700)이 없는 굴삭기용 삽이 굴삭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삽날(300)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는 굴삭기용 삽을 굴삭기에 분리시킨 후 방향을 바꿔서 굴삭기에 재장착해야 하지만, 도 12에 도시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굴삭기용 삽은 회전판(700)을 회전시켜 삽날(300)의 방향을 바꿀 수 있기 때문에, 굴삭기에서 이를 분리시키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2에 도시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굴삭기용 삽은 도 11에 도시된 굴삭기(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삽날(300a, 300b, 300c, 300d, 300d)과 다수의 보강대(510, 530, 530’)가 적용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굴삭기용 삽의 측면도이고, 도 14은 도 13에 도시된 굴삭기용 삽의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굴삭기용 삽은 링크(100), 삽날(300), 보강부(500’), 회전판(700’) 및 리퍼(900)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100)와 삽날(300)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링크(100) 및 삽날(30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앞서 설명한 것으로 대체한다.
보강부(500’)는 다수의 보강부(500a, 500b)를 포함한다. 다수의 보강부(500a, 500b)는 제1 보강부(500a)와 제2 보강부(5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강부(500a)는 제1 회전판(700a)과 제2 회전판(700b) 사이에 연결되어 제1 회전판(700a)과 제2 회전판(700b)을 보강한다. 제2 보강부(500b)는 제2 회전판(700b)과 삽날(300) 사이에 연결되어 제2 회전판(700b)과 삽날(300)을 보강한다.
회전판(700’)은 다수의 회전판(700a, 700b)을 포함한다. 다수의 회전판(700a, 700b)은 제1 회전판(700a)과 제2 회전판(7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판(700a)은 링크(100)와 연결되고, 제1 회전축(X1)을 축으로 회전가능하다. 제2 회전판(700b)은 제1 보강부(500a)와 제2 보강부(500b) 사이에 배치되고, 제2 회전축(X2)을 축으로 회전가능하다.
제1 회전축(X1)과 제2 회전축(X2)는 서로 평행하지 않고,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제1 회전축(X1)과 제2 회전축(X2)는 수직하지 않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 회전축(X1)과 제2 회전축(X2)은 서로 수직할 수도 있다.
제1 회전판(700a)에 의해서는 제1 보강부(500a), 제2 회전판(700b), 제2 보강부(500b), 삽날(300) 및 리퍼(900)가 제1 회전축(X1)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제2 회전판(700b)에 의해서는 삽날(300)과 리퍼(900)가 제2 회전축(X2)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회전판(700b)에 의해 삽날(300)이 아래에서 위로 또는 위에서 아래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고, 리퍼(900)는 삽날(300)과 반대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리퍼(900)는 삽날(300)에 배치될 수 있다. 리퍼(900)는 삽날(300)의 끝단부의 반대편인 상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도면에는 하나의 리퍼(900)가 삽날(300)의 상단부에 장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수의 리퍼(900)가 삽날(300)의 상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리퍼(900)는 삽날(300)에 용접되어 연결될 수도 있고, 삽날(300)과 주물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리퍼(900)는 나사 또는 핀과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해 삽날(300)의 상단부에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리퍼(900)는 하단부가 삽날(300)의 상단부에 체결된 상태에서 리퍼(900)의 상단부가 링크(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이는 굴삭기의 붐과의 간섭 현상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리퍼(900)와 삽날(300) 사이에 힌지가 형성될 수 있다.
리퍼(900)는 1개 이상으로서 3개 내지 4개일 수 있고, 힌지를 통해 탈부착이 용이한 핀의 형태이거나 유압을 이용한 힌지와 실린더가 결합된 형태로서 호박돌 등 단단한 물체를 파내거나 밭, 야산, 및 논 등에서 칡, 고구마, 감자 및 특용작물 등을 캐기 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리퍼(900)는 특수강 투스(910)를 포함할 수 있다. 특수강 투스(910)는 리퍼(900)의 끝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굴삭기용 삽은 제1 회전판(700a)에 의해 굴삭기용 삽을 굴삭기에서 분리하지 않고서도 삽날(300)과 리퍼(900)의 방향을 손쉽게 바꿀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제2 회전판(700b)에 의해 굴삭기용 삽을 굴삭기에서 분리하지 않고서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삽날(300)과 리퍼(900)를 손쉽게 바꿀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굴삭기용 삽은 도 11에 도시된 굴삭기(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삽날(300a, 300b, 300c, 300d, 300d)과 다수의 보강대(510, 530, 530’)가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형태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형태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링크
300: 삽날
500: 보강부
700: 회전판
900: 리퍼

Claims (11)

  1. 브라켓을 포함하는 링크;
    상기 브라켓에 연결된 삽날;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삽날 사이에 연결된 다수의 보강대를 포함하는 보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삽날은, 상기 보강부와 연결된 보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판은 특수강 재질이고,
    상기 삽날은 상기 보강판에 끼워진, 굴삭기용 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의 브라켓과 상기 삽날 사이에 배치된 회전판을 더 포함하는, 굴삭기용 삽.
  3. 브라켓을 포함하는 링크;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고, 제1 회전축을 축으로 회전가능한 제1 회전판;
    상기 제1 회전판에 연결된 제1 보강부;
    상기 제1 보강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회전축과 교차하는 제2 회전축을 축으로 회전가능한 제2 회전판;
    상기 제2 회전판에 연결된 제2 보강부; 및
    상기 제2 보강부에 연결된 삽날;
    을 포함하고,
    상기 삽날은, 상기 제2 보강부와 연결된 보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판은 특수강 재질이고,
    상기 삽날은 상기 보강판에 끼워진, 굴삭기용 삽.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삽날의 상단부에 배치된 리퍼를 더 포함하는, 굴삭기용 삽.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퍼는 상기 삽날의 상단부에서 탈부착되는, 굴삭기용 삽.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퍼는 상기 삽날의 상단부에서 상기 링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접혀지는, 굴삭기용 삽.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날은, 상기 삽날의 끝단부에 장착된 특수강 투스를 더 포함하는, 굴삭기용 삽.
  8. 삭제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날의 끝단부는 둥근 형상 또는 사각 형상인, 굴삭기용 삽.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날의 끝단부는 사각 형상의 평평한 판인, 굴삭기용 삽.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삽날의 끝단부의 폭은 상기 삽날의 나머지 부분보다 더 넓은 폭을 갖는, 굴삭기용 삽.
KR1020150155559A 2015-11-06 2015-11-06 굴삭기용 삽 KR101716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559A KR101716364B1 (ko) 2015-11-06 2015-11-06 굴삭기용 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559A KR101716364B1 (ko) 2015-11-06 2015-11-06 굴삭기용 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6364B1 true KR101716364B1 (ko) 2017-03-14

Family

ID=58459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559A KR101716364B1 (ko) 2015-11-06 2015-11-06 굴삭기용 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3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443B1 (ko) 2017-02-06 2018-08-17 더자이언트 주식회사 조경수 굴취겸용 다기능 단근장치
KR20190044601A (ko) * 2017-09-18 2019-04-30 이승준 암반 수거용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1522A (ja) * 1997-11-04 1999-05-18 Katsunori Tanada 掘削機におけるバケット等の作業具の作動装置
KR20090015661A (ko) * 2007-08-09 2009-02-12 김영석 수목이식용 굴착장치
KR100987607B1 (ko) * 2010-02-09 2010-10-18 대한민국 야전삽
KR101264977B1 (ko) 2011-05-20 2013-05-15 김영수 수목 굴취 및 이식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1522A (ja) * 1997-11-04 1999-05-18 Katsunori Tanada 掘削機におけるバケット等の作業具の作動装置
KR20090015661A (ko) * 2007-08-09 2009-02-12 김영석 수목이식용 굴착장치
KR100987607B1 (ko) * 2010-02-09 2010-10-18 대한민국 야전삽
KR101264977B1 (ko) 2011-05-20 2013-05-15 김영수 수목 굴취 및 이식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443B1 (ko) 2017-02-06 2018-08-17 더자이언트 주식회사 조경수 굴취겸용 다기능 단근장치
KR20190044601A (ko) * 2017-09-18 2019-04-30 이승준 암반 수거용 장치
KR102286267B1 (ko) 2017-09-18 2021-08-06 주식회사 백양 이엔지 암반 수거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8389A (en) Scraper blade for toothed buckets of earth working machines
KR101264977B1 (ko) 수목 굴취 및 이식 장치
US7243690B1 (en) Tree grubber and push bar attachment device
KR101716364B1 (ko) 굴삭기용 삽
CA2515960C (en) Subsoiling excavator bucket
US2735197A (en) struemph
US7086184B2 (en) Subsoiling grapple rake
US9185855B2 (en) Tree removal—field reclamation attachment
CN211340922U (zh) 一种园林施工挖沟装置
KR20170056972A (ko) 포크레인용 버킷
KR20090015661A (ko) 수목이식용 굴착장치
KR200491013Y1 (ko) 수목 이식용 버킷
EP1921212A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osing of underground obstacles, and a knife for use with such a device
CN106471987B (zh) 挖掘装置以及应用该装置的山药种植挖掘机
CN204803937U (zh) 一种园林施工用推土机
KR100902439B1 (ko) 수목이식용 토양 커팅장치
CN213426899U (zh) 一种防泥土飞溅的农业用开沟装置
KR20130113228A (ko) 굴삭기 버켓
CN209787801U (zh) 一种樱桃苗栽培开沟犁
US20060283055A1 (en) Subsoiling brush cutter hitch
JP6314361B1 (ja) 掘削機及びゴルフカート用走行路を設置する方法
KR20120054265A (ko) 수목 이식용 굴취장치
JPH0974930A (ja) 樹木根切り掘り取りバケット
KR100981475B1 (ko) 수목이식용 토양 커팅장치
JPH0615453U (ja) 植木移植用掘削バ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