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6967A - 굴삭기의 내마모 버켓 - Google Patents

굴삭기의 내마모 버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6967A
KR19990056967A KR1019970077000A KR19970077000A KR19990056967A KR 19990056967 A KR19990056967 A KR 19990056967A KR 1019970077000 A KR1019970077000 A KR 1019970077000A KR 19970077000 A KR19970077000 A KR 19970077000A KR 19990056967 A KR19990056967 A KR 19990056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welded
wear
long shovel
jo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7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3532B1 (ko
Inventor
김기열
류영석
신윤섭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1019970077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3532B1/ko
Publication of KR19990056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6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5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25Mountings therefor using adap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의 버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삽(4)을 경도 HB300~ HB600의 고강도 내마모강을 사용하였고, 옆날(12)과 장삽(4)을 용접할 때 장삽(4)의 양측 선단이 각각 옆날(12) 외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용접하여 옆날(12)과 장삽(4)의 용접부위를 가림으로써 토사와 직접마찰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였으며, 등판(2)에 가로방향으로 덧댄 다수개의 등판보강대(9)의 각각의 폭을 줄여서 곡면을 이루는 등판(2)과 이 등판보강대(9) 저면과의 틈새를 줄임으로써 등판보강대(9)의 접합강도를 증대시켰다.
그리고 투스어뎁터(5)를 장삽(4)에 용접할 때 그 용접부(11)가 오목비이드형태로 되도록 용접하되 버켓(1)안쪽에서 장삽(4) 선단쪽으로 용접함으로써 용접열에 의한 장삽선단부위의 언더컷발생을 억제하여 접합강도를 증가시키는 한편, 측판(3)에 접합되는 측판 하부보강대(10c)를 내마모강재를 사용하여 내마모성을 증대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굴삭기의 내마모 버켓( Wear resistant bucket of an excavator)
본 발명은 굴삭기의 버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굴삭기의 버켓에서 내마모성이 요구되는 부분에 내마모성 재료를 사용하고 작업시 큰 부하를 받는 부분의 구조를 개선하여 내마모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수명이 연장된 굴삭기의 내마모 버켓에 관한 것이다.
굴삭기,도오져,로더 등 건설장비의 버켓은 단단한 지표의 광물을 굴삭하거나 석산의 파쇄석을 긁어 모으는 석산작업, 바다모래를 퍼담는 해사작업을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부분이어서 가장 마모가 잘되는 부품이다.
이 버켓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2)의 좌우측에 측판(3)이 접합되고, 이 좌우 측판(3)의 앞쪽선단에는 각각 옆날(12)이 용접되며,상기 등판(2)의 하부 선단에는 장삽(4)이 가로질러 접합되며 이 장삽(4)에는 다수개의 투스어뎁터(5)가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용접되어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굴삭기의 버켓에서 마모가 가장 잘 일어나는 부분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버켓의 장삽(4) 부분은 굴삭작업시 흙과 같은 작업 대상물과 직접 맞닿게 되는 부분으로서 마모가 가장 심하게 일어나는 부분이다. 그리고 이 장삽(4)부분에 일어나는 마모는 장삽(4) 선단에서 안쪽으로 잠식하는 방향으로 일어나게 된다.
둘째, 버켓의 장삽(4)과 옆날(12)이 연결되는 부분은 버켓으로 굴삭작업을 하는 과정중 토사나 돌맹이와 마찰을 하여 마모가 일어나는 부분인 데, 종래 장삽(4)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이 옆날(12) 외측으로 돌출하지않도록 그 옆날(12)의 바깥부분과 거의 일치된 상태에서 옆날(12)과 용접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따라서 이 용접부위가 옆날(12)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굴삭작업시 토사나 돌맹이와 반복하여 마찰하면서 마모되어 떨어져 나가게 되고 이 용접부위가 손상되면 장삽(4)은 옆날(12)에서 분리되는 것이다.
셋째, 종래 투스어댑터(5)를 장삽(4)에 용접할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장삽(4)의 선단에서 그 투스어댑터(5)의 모서리를 따라 버켓 안쪽으로 볼록비드형태로 용접하였기 때문에 장삽(4) 선단부위에 용접열에 의한 언더컷(undercut) 용접불량이 발생하여 취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버켓의 등판(2) 부위는 굴삭작업시 흙과 직접 미끄럼접촉하면서 마모가 발생하는 곳으로, 종래에는 이 등판(2) 부위에 등판보강대(9)을 덧대어 강도와 내마모성을 보강하였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등판보강대(9)는 넓은 판재를 말아서 사용하던지, 넓은 평판을 사용하였으므로, 등판(2)의 곡면과 보강대(9) 사이에 틈새가 크게 발생하여 보강대(9)의 접합강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다섯째, 버켓의 측면은 굴삭작업할 때 토사와 직접 마찰하면서 마모가 심하게 발생하는 곳으로서, 이 측면이 마모되면 버켓의 측면 강도가 저하되어 버켓이 옆으로 벌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마모에 취약한 상기 종래 굴삭기 버켓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버켓의 마모발생을 줄여서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된 굴삭기의 내마모 버켓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장삽을 경도 HB300~ HB600의 고강도 내마모강을 사용하였고, 옆날과 장삽을 용접할 때 그 옆날 선단이 측판 외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용접하여 옆날과 장삽의 용접부위를 가림으로써 토사와 직접마찰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였으며, 등판에 가로방향으로 덧댄 다수개의 등판보강대의 각각의 폭을 줄여서 곡면을 이루는 등판과 이 등판보강대 저면과의 틈새를 줄임으로써 등판보강대의 접합강도를 증대시켰다.
그리고 투스어댑터를 장삽에 용접할 때 그 용접부가 오목비이드형태로 되도록 용접하되 버켓안쪽에서 장삽 선단쪽으로 용접하여 용접끝부분에 크레이타 처리를 함으로써 용접열에 의한 장삽선단부위의 언더컷발생을 억제하여 접합강도를 증가시키는 한편, 측판에 접합되는 측판 하부보강대를 내마모강재를 사용하여 내마모성을 증대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로 된 본 발명의 버켓은 장삽과 측판의 용접부가 마모되는 것이 줄어들며, 내마모강으로 된 측판보강대에 의해 측판의 강도가 증대하며, 등판보강대와 등판과의 틈새가 줄어들어 이 틈새에 토사가 퇴적하면서 등판보강대의 접합강도를 저하시키는 것이 방지되고, 투스어댑터의 용접부위에 언더컷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투스어댑터의 접합강도가 증대함으로써 버켓 전체의 수명이 증대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버켓의 사시도,
도 2 는 도 1의 길이방향 측면도,
도 3 은 도 2 의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장삽과 옆날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버켓의 등판에 등판보강대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도 5 는 도 4 의 "B-B"선을 따라 절단하여 등판보강대와 등판과의 부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 은 도 2 의 "C-C"선을 따라 절단하여 장삽에 투스어댑터가 용접된 상태를 확대도시한 확대단면도,
도 7 은 도 2 의 "D-D"선을 따라 절단하여 측판에 하부보강대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단면도,
도 8 은 종래 굴삭기의 버켓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버켓 2: 등판
3: 측판 4: 장삽
5: 투스어뎁터 6: 포인트
7: 핀 8: 측판과 장삽의 용접부
9: 등판보강대 10a: 상부보강대
10b:중앙보강대 10c: 하부보강대
11: 투스어댑터의 용접부 12: 옆날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버켓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버켓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버켓(1)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2)의 좌우측에 측판(3)이 접합되고, 이 좌우 측판(3)의 앞쪽선단에는 각각 옆날(12)이 용접되며,상기 등판(2)의 하부 선단에는 장삽(4)이 가로질러 접합되며 이 장삽(4)에는 다수개의 투스어뎁터(5)가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용접되어 골격을 이루게 된다.
상기 장삽(4)에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다수개의 투스어뎁터(5)가 용접으로 접합되어 포인트(6)가 핀(7)으로 설치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장삽(4)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도 HB300~HB600 정도의 내마모강을 사용하고 ,그 양측 선단이 각각 상기 옆날(12)의 외측으로 약간 돌출되게 접합되어 옆날(12)과 장삽(4)의 용접부(8)를 가림으로써 이 용접부(8)가 토사 등의 작업대상물과 직접 맞닿아 마모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장삽(4)의 돌출길이가 지나치게 길면 오히려 접합강도가 저하되므로 그 돌출길이를 5~100㎜ 내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등판(2)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등판보강대(9)가 서로 평행하게 가로방향으로 접합되어 있다.
상기 각 등판보강대(9)는 경도 HB300~HB600 정도의 내마모강을 사용하여 인접하는 등판보강대(9)와 소정간격을 두고 등판(2)에 접합되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은 15~100㎜을 유지하여 그 간격에 퇴적되는 토사의 량이 과대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각각의 등판보강대(9)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형의 등판(2)과 20 ㎜ 이하의 간극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이 간극 이상으로 지나치게 벌어지게 되면 오히려 등판보강대(9)의 접합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투스어뎁터(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삽(4)에 용접으로 접합되는 데, 그 용접부(11)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오목비이드를 형성하도록 하고, 용접은 버켓(1) 안쪽에서 시작하여 장삽(4)외측 선단쪽 방향으로 진행하여 용접열에 의한 언더컷이 장삽(4)선단부위에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으며, 용접마지막에 크레이타처리를 실시하였다.
따라서 투스어뎁터(5)가 접합되는 장삽(4) 선단부위는 언더컷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강도가 증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측판(3)에는 보강대가 접합되어 측판(3)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되어 있는 데, 상기 보강대는 측판(3) 상부의 상부보강대(10a)와, 측판(3) 증앙부분을 가로 질러 접합되는 중앙 보강대(10b) 및 측판(3) 하부에 접합되어 측판의 하부강성을 보강하는 하부보강대(10c)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하부보강대(10c)는 굴삭작업할 때 토사와 직접 맞닿으면서 마모가 가장 심하게 일어나는 부분이므로 이 하부보강대(10c)는 내마모강으로 되어 내마모성을 증대시키는 한편, 나머지 보강대는 일반강을 사용하였다.
상기한 구조로 된 본 발명의 버켓은 장삽(4)과 측판(3)의 용접부가 장삽(4)의 돌출부에 의해 가리워져 있으므로 토사와의 마찰에 의한 마모가 줄어들게 되고, 측판(3)에는 내마모강으로 된 보강대(10a,10b,10c)가 접합되어 측판(3)의 강도가 증대되며, 등판보강대(9)와 등판(2)과의 틈새가 줄어들어 이 틈새에 토사가 퇴적하면서 등판보강대(9)의 접합강도를 저하시키는 것이 방지되고, 투스어뎁터(5)의 용접부(11)에 언더컷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강도가 증대함으로써 버켓 전체의 수명이 증대되는 것이다.

Claims (5)

  1. 등판(2)의 좌우측에 측판(3)이 접합되고, 이 좌우 측판(3)의 앞쪽선단에는 각각 옆날(12)이 용접되며,상기 등판(2)의 하부 선단에는 장삽(4)이 가로질러 접합되며 이 장삽(4)에는 다수개의 투스어뎁터(5)가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용접되어 이루어지는 굴삭기의 버켓에 있어서,
    상기 투스어뎁터(5)는 장삽(4)에 용접될 때 그 용접부(11)가 오목비이드를 형성하도록 되고, 버켓(1) 안쪽에서 장삽(4) 선단쪽으로 용접하여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내마모 버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2)에는 경도 HB300~HB600 정도의 내마모강으로 된 다수개의 등판보강대(9)가 서로 평행하게 등판(2)의 가로방향으로 추가로 접합되어 등판(2)의 강도를 보강하되, 상기 각 등판보강대(9)와 등판(2)과의 틈새가 20㎜이하를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내마모 버켓.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삽(4)은 그 선단이 옆날(12) 양단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옆날(12)과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내마모 버켓.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3)에는 상부에 그 테두리를 따라 상부보강대(10a)가 접합되고,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중앙 보강대(10b)가 접합되며, 하부에 그 테두리를 따라 경도 HB300~HB600의 내마모강으로 된 하부보강대(10c)가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내마모 버켓.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측판(3)에는 상부에 그 테두리를 따라 상부보강대(10a)가 접합되고,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중앙 보강대(10b)가 접합되며, 하부에 그 테두리를 따라 경도 HB300~HB600의 내마모강으로 된 하부보강대(10c)가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내마모 버켓.
KR1019970077000A 1997-12-29 1997-12-29 굴삭기의 내마모 버켓 KR100263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7000A KR100263532B1 (ko) 1997-12-29 1997-12-29 굴삭기의 내마모 버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7000A KR100263532B1 (ko) 1997-12-29 1997-12-29 굴삭기의 내마모 버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967A true KR19990056967A (ko) 1999-07-15
KR100263532B1 KR100263532B1 (ko) 2000-08-01

Family

ID=19529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7000A KR100263532B1 (ko) 1997-12-29 1997-12-29 굴삭기의 내마모 버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35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532B1 (ko) * 2007-04-26 2009-05-14 주식회사 에버다임 중장비용 어태치먼트의 투스 장치
KR101366614B1 (ko) * 2013-09-10 2014-02-24 주식회사 대정엔지니어링 굴삭기의 버킷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06492B (zh) * 2013-11-28 2016-08-17 柳州柳工挖掘机有限公司 一种挖掘机铲斗
KR102078029B1 (ko) * 2019-09-23 2020-02-17 이강준 굴삭기용 버켓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1686Y2 (ko) * 1972-06-23 1976-12-10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532B1 (ko) * 2007-04-26 2009-05-14 주식회사 에버다임 중장비용 어태치먼트의 투스 장치
KR101366614B1 (ko) * 2013-09-10 2014-02-24 주식회사 대정엔지니어링 굴삭기의 버킷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3532B1 (ko) 2000-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05423A (en) Bi-metal ripper tip for digging teeth
US3621594A (en) Cutting edge for excavating devices
US6751897B2 (en) Lip assembly
CA2501697C (en) Lip assembly including side portions with projections
RU2680620C1 (ru) Сменный режущий элемент землеройного орудия
RU2664986C2 (ru) Землеройное орудие в сборе
US20150191899A1 (en) Wear member
RU2722637C2 (ru) Изнашиваемый элемент
US3812608A (en) Dipper bucket corner member with integral shroud
KR100263532B1 (ko) 굴삭기의 내마모 버켓
JP2011058278A (ja) 作業バケット
JP2022510441A (ja) 土木作業機または資材運搬機のバケット
JP2001303607A (ja) 掘削バケット
CN210636486U (zh) 铲斗及挖掘机
JP2001342649A (ja) 建設機械の掘削バケット
JPS624492B2 (ko)
JP2006342664A (ja) 掘削兼用整地・整形用バケット
JP2001271371A (ja) 油圧ショベルの作業装置
JPH0523644Y2 (ko)
CN211665841U (zh) 一种挖掘机斗齿及挖掘机
JP3822450B2 (ja) 掘削バケット
JP2002054171A (ja) 建設機械における作業用アタッチメント
RU2019643C1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рыхления горных пород
JPH0414515Y2 (ko)
RU28135U1 (ru) Наконечник зуба рыхлител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