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803B1 - 꾸지뽕 엑기스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꾸지뽕 엑기스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803B1
KR101359803B1 KR1020110129766A KR20110129766A KR101359803B1 KR 101359803 B1 KR101359803 B1 KR 101359803B1 KR 1020110129766 A KR1020110129766 A KR 1020110129766A KR 20110129766 A KR20110129766 A KR 20110129766A KR 101359803 B1 KR101359803 B1 KR 101359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kujippong
cudrania
weight
days
carried 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9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3316A (ko
Inventor
김복술
Original Assignee
김복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복술 filed Critical 김복술
Priority to KR1020110129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803B1/ko
Publication of KR20130063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3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3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cleaning, e.g. washing or pee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5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e.g. chopping up, cutting or gr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7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drying, e.g. sun-drying or wil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꾸지뽕 열매를 비롯한 꾸지뽕 잎, 꾸지뽕 가지, 꾸지뽕 뿌리를 적절히 혼합하여 최상의 추출효율을 구현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꾸지뽕 엑기스의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5월 말에서 6월 초경 꾸지뽕 잎, 가지, 뿌리, 열매를 채취하고 수세하는 제1단계;와, 수세한 채취물을 두 달간 음지에서 송풍 건조하여 수분 함유율이 0%가 되도록 하는 제2단계;와, 송풍 건조된 채취물을 파쇄기로 하여금 30~50mm가 되도록 절단하고, 잘게 잘린 채취물 조각을 압연롤러에 의해 가압하여 연성으로 가공하는 제3단계;와, 연성으로 가공된 채취물을 선별하여 압력솥에 충진시켜 밀폐된 상태가 되게 한 후, 100℃의 온도를 부여하여 48시간 동안 달이는 제4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꾸지뽕 엑기스 추출방법{PROCESS FOR EXTRACTING OF CUDRANIA TRICUSPIDATA}
본 발명은 꾸지뽕 엑기스의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꾸지뽕 열매를 비롯한 꾸지뽕 잎, 꾸지뽕 가지, 꾸지뽕 뿌리를 적절히 혼합하여 최상의 추출효율을 구현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꾸지뽕 엑기스의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꾸지뽕 나무의 우수한 약리적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꾸지뽕 나무(Cudrania tricuspidata (Carr.) Bureau ex Lavallee)는 속명으로서 구지뽕나무, 굿가시나무, 활뽕나무라 불리우고, 뽕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이다.
꾸지뽕 나무의 뿌리껍질, 나무질부, 나무껍질 및 잎에는 인체에 유효한 다양한 [0005]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서, 전래로부터 꾸지뽕 나무는 그 뿌리, 껍질, 줄기, 잎, 나무껍질, 열매 등 부위에 따라 혈압강하제, 결핵치료제, 해열제, 건해제, 거담제, 이뇨제, 지혈제, 거풍제 등의 약재로 이용되었으며, 항진균제로서 무좀에 사용하고 소화기관의 허약에 의한 만성소화불량에 이용되고 있다.
또한, 꾸지뽕 나무의 열매는 취과로 둥글며 지름이 2.5cm 내외이며, 9월∼10월에 적색으로 성숙하며, 과육은 달고 식용이 가능하다. 그 열매에는 비타민 B, B1,B2, 비타민 C, 리놀레인산, 포도당, 말토스, 후럭토스, 사과산, 레몬산 등 유용한 유기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꾸지뽕 나무는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플라노보이드를 함유하고 있어서, 약재로 사용되고 있음이 동의보감, 약성감, 본초강목 등에서 고대로부터 널리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도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한국과학기술연구소 유전공학연구실의 "꾸지뽕 나무로부터 분리한 신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제니쿠드라닌의 화학구조 및 생물활성"이란 논문에 의하면, 꾸지뽕 나무의 줄기 껍질에 폐암, 대장암, 피부암, 자궁암 등에 효과가 놓은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꾸지뽕 나무는 화학 요법이나 방사선 요법을 이용할 수 없는 환자들한테 적용하여 좋은 효과를 보고 있는데, 종양을 더 자라지 못하게 하거나 줄어들게 할 뿐만 아니라 통증을 가볍게 하고 식욕을 증진시켜서 몸무게를 늘려주고 복수를 없애주는 유용한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전술한 다양한 효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꾸지뽕 나무로부터 수득된 추출물을 이용하여 약리적으로 이용하는 시도가 있으나, 꾸지뽕 나무의 잎, 줄기, 뿌리, 나무껍질, 및 가지를 이용하여 엑기스를 추출하는 방식이 현재까지 미비하여 대중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꾸지뽕 열매를 비롯한 꾸지뽕 잎, 꾸지뽕 가지, 꾸지뽕 뿌리를 적절히 혼합하여 최상의 추출효율을 구현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꾸지뽕 엑기스 추출방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꾸지뽕 엑기스 추출방법은 5월 말에서 6월 초경 꾸지뽕 잎, 가지, 뿌리, 열매를 채취하고 수세하는 제1단계;와, 수세한 채취물을 두 달간 음지에서 송풍 건조하여 수분 함유율이 0%가 되도록 하는 제2단계;와, 송풍 건조된 채취물을 파쇄기로 하여금 30~50mm가 되도록 절단하고, 잘게 잘린 채취물 조각을 압연롤러에 의해 가압하여 연성으로 가공하는 제3단계;와, 연성으로 가공된 채취물을 선별하여 물과 함께 압력솥에 충진시켜 밀폐된 상태가 되게 한 후, 100℃의 온도를 부여하여 48시간 동안 달이는 제4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2단계서의 송풍 건조는 냉풍기와 온풍기를 교차 반복하여 두 달간 실시하되, 상기 냉풍기의 설정 온도는 5~10℃를 부여하여 15일 동안 실시되고, 상기 온풍기의 설정 온도는 18~25℃를 부여하여 15일 동안 실시되며, 이후 동일한 조건의 냉풍기에 의해 재차 15일 동안 송풍 건조가 이루어진 다음, 동일한 조건의 온풍기에 의해 15일 동안 재차 송풍 건조가 실시되는 것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4단계에서 압력솥에 선별 충진되는 채취물은 물 85.74중량%와, 꾸지뽕 뿌리 3.05중량%와, 꾸지뽕 열매 3.28중량%와, 꾸지뽕 가지 3.85중량%와, 꾸지뽕 잎 4.08중량%을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방식으로 구현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냉풍기와 온풍기를 교차 반복하여 두 달간 실시되는 송풍건조를 통해 수분 함유율이 0%가 되도록 함과 아울러 꾸지뽕 나무를 이루는 가지, 뿌리, 잎, 열매를 적절히 혼합하여 그 구체적인 조건을 부여함으로써 일련의 추출행위가 가장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는 조건으로부터 엑기스를 수득할 수 있게 되므로, 꾸지뽕 열매를 비롯한 꾸지뽕 잎, 꾸지뽕 가지, 꾸지뽕 뿌리의 각 성분이 함유하는 좋은 약리 성분을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추출해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꾸지뽕 엑기스 추출방법의 개략적인 플로어 차트.
본 발명은 꾸지뽕 열매를 비롯한 꾸지뽕 잎, 꾸지뽕 가지, 꾸지뽕 뿌리를 적절히 혼합하여 최상의 추출효율을 구현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꾸지뽕 엑기스의 추출방법에 관련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그로 인해 파생되는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꾸지뽕 엑기스 추출방법의 개략적인 플로어 차트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꾸지뽕 열매, 뿌리, 가지, 잎 등을 획득하여 소정의 방식으로 건조하고, 이와 더불어 파쇄기 및 압연롤러를 통해 가공한 후, 압력솥으로 달이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하게는, 5월 말에서 6월 초경 꾸지뽕 잎, 가지, 뿌리, 열매를 채취하고 수세하는 제1단계;와, 수세한 채취물을 두 달간 음지에서 송풍 건조하여 수분 함유율이 0%가 되도록 하는 제2단계;와, 송풍 건조된 채취물을 파쇄기로 하여금 30~50mm가 되도록 절단하고, 잘게 잘린 채취물 조각을 압연롤러에 의해 가압하여 연성으로 가공하는 제3단계;와, 연성으로 가공된 채취물을 선별하여 물과 함께 압력솥에 충진시켜 밀폐된 상태가 되게 한 후, 100℃의 온도를 부여하여 48시간 동안 달이는 제4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단계서의 송풍 건조는 냉풍기와 온풍기를 교차 반복하여 두 달간 실시하되, 상기 냉풍기의 설정 온도는 5~10℃를 부여하여 15일 동안 실시되고, 상기 온풍기의 설정 온도는 18~25℃를 부여하여 15일 동안 실시되며, 이후 동일한 조건의 냉풍기에 의해 재차 15일 동안 송풍 건조가 이루어진 다음, 동일한 조건의 온풍기에 의해 15일 동안 재차 송풍 건조가 실시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건조 대상물인 꾸지뽕 잎, 가지, 뿌리, 열매의 수분율을 제거하여 소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함으로, 상기 송풍 건조 방식을 통해 꾸지뽕 잎, 가지, 뿌리, 열매의 수분 함유율은 완전한 전조 상태인 "0"가 된다.
이는, 종래의 방식에 비추어 개선된 것으로서, 일정 시간 동안 냉풍을 제공한 후 다른 온도가 부여된 온풍을 같은 시간 동안 제공하게 되므로 순간적인 온도 변화에 따라 남아있던 수분이 불안정한 상태에 놓여져 쉽게 증발될 수 있게 한 것이며, 종래와 같이 온풍에 의해서만 혹은 냉풍에 의해서만 건조를 행한 경우에 비해 그 건조율이 획기적으로 상향 조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냉풍에 의해서만 건조를 행할 경우에는 해당 냉풍의 지속적인 제공으로 구축되는 온도에 수분이 장시간 동안 적응되면서 잔여 수분을 쉽게 배출하지 못하게 하는 실정에 이를 수 있으며, 이는 온풍만을 제공할 경우에도 그러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주변 온도를 주기적으로 변경해 줌으로써 잔여 수분이 안정화된 상태가 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방식에 의해 100% 건조율을 달성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제4단계에서는 압력솥에 선별 충진되는 채취물을 물 85.74중량%와, 꾸지뽕 뿌리 3.05중량%와, 꾸지뽕 열매 3.28중량%와, 꾸지뽕 가지 3.85중량%와, 꾸지뽕 잎 4.08중량%으로 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을 실시 예에 따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시 예1]
상기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꾸지뽕 엑기스를 추출하기 위하여 꾸지뽕 나무를 이루는 꾸지뽕 잎, 꾸지뽕 가지, 꾸지뽕 뿌리, 꾸지뽕 열매를 구분하여 채취하였다. 시기는 5월 말에서 6월 초경으로 하였는바, 이 시기에는 채취 양은 적은데 비해 채취된 꾸지뽕 나무의 효능은 탁월하여 엑기스를 채취하는데 있어 유리한 측면이 있다.
상기에서 수득된 채취물을 흐르는 물에 깨끗하게 씻어 이물질 내지 먼지 등이 제거되도록 하였다.
[실시 예2]
상기 실시 예에서는 수세한 채취물을 두 달 동안 음지에서 송풍 건조하였다.
그 구체적인 조건은, 냉풍기와 온풍기를 교차 반복하여 두 달간 실시하였으며, 냉풍기의 설정 온도는 5~10℃를 부여하여 15일 동안 실시하였고, 온풍기의 설정 온도는 18~25℃를 부여하여 15일 동안 실시하였다.
이후에는, 상기와 동일한 조건의 온도가 부여된 냉풍기에 의해 재차 15일 동안 송풍 건조를 하였으며, 또한 상기와 동일한 조건의 온풍기를 통해 재차 15일 동안 송풍 건조하였다.
즉, 송풍 건조를 행하되 냉풍과 온풍을 번갈아가면서 일정 시간 동안 채취물에 제공토록 함으로써, 채취물의 수분 함유율은 0%가 되었다.
[실시 예3]
상기 실시 예에서는 송풍 건조된 채취물을 파쇄기와 압연롤러를 이용해 가공하였다.
즉, 파쇄기를 사용하여 각 채취물이 30~50mm가 되도록 절단하였으며, 이렇게 잘게 잘린 채취물 조각은 압연롤러에 투입하여 가압함으로써, 채취물 조각이 연성화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성은, 통상의 꾸지뽕 나무가 참나무와 같이 그 강도가 지나치게 딱딱하여 엑기스 추출시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파쇄기로 잘게 절단한 채취물을 소정의 압연롤러로 하여금 가압하게 함으로써, 꾸지뽕 잎이나 가지, 뿌리 등을 솜처럼 소프트한 상태로 구현하여 엑기스 추출시 보다 유리한 상태가 되도록 하였다.
[실시 예4]
상기 실시 예에서는 연성으로 가공된 채취물을 선별하여 일정량의 물과 함께 압력솥에 충진시켜 밀폐된 상태가 되게 한 후, 100℃의 온도를 부여하여 48시간 동안 달였다.
이때, 압력솥을 사용하고자 함은 채취물을 달일 때 발생하는 증기가 세어나가 증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만약 증기가 세어나가 증발할 경우에는 꾸지뽕의 약리 성분이 소진되어 그 약효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특히, 압력솥에 선별 충진되는 채취물은 물 85.74중량%와, 꾸지뽕 뿌리 3.05중량%와, 꾸지뽕 열매 3.28중량%와, 꾸지뽕 가지 3.85중량%와, 꾸지뽕 잎 4.08중량%을 혼합한 것으로, 예컨대 물 60.02kg과, 꾸지뽕 뿌리 2.14kg과, 꾸지뽕 열매 2.30kg과, 꾸지뽕 가지 2.70kg과, 꾸지뽕 잎 2.86kg을 혼합하여 충진시켰다.
상기의 과정으로 추출되는 꾸지뽕 엑기스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포풀닌(populnin), 스타키드린(stachydrine), 프롤린(proline), 글루타믹산(glutamic acid), 아르기닌(arginine), 아스파라긴산(aspart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이러한 구성성분으로 하여금 항암 효과 및 고혈압 치료, 소염, 진통과 거풍작용 및 염증, 습진, 유행성이하선염, 폐결핵, 만성요통, 타박상, 관절의 급성염좌 치료에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더불어, 숙취해소와 함께 칼슘 흡수가 촉진되는 등의 기능성 성분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성분분석표 1 - 종래 방식으로 추출되는 꾸지뽕 엑기스)
Figure 112011096905241-pat00001

(성분분석표 2 - 본 발명에 의한 방식으로 추출되는 꾸지뽕 엑기스)
Figure 112011096905241-pat00002

종래의 추출 방식과 본 발명의 추출 방식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꾸지뽕 엑기스를 추출하였으며, 상기의 성분분석표에서와 같이 이들의 성분 함량을 직접 대비하였는바, 이에 종래 방식으로 꾸지뽕 엑기스를 추출하는 경우에 비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전술된 단계에 따라 꾸지뽕 엑기스를 추출하게 될 경우, 각각의 함유 성분이 현저하게 증대된 양으로 추출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성분분석표에 나타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방식으로 추출되는 꾸지뽕 엑기스에는 쿠드라플라바논 A(cudraflavanone A)라는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이러한 쿠드라플라바논 A는 토포이소머라제 Ⅰ을 저해하여 암 세포의 아폽토시스(apoptosis)를 유도함으로써 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이로운 구성성분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본 발명의 꾸지뽕 엑기스 추출방법에 의하여 보다 탁월한 항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꾸지뽕 엑기스 추출방법에 있어서,
    5월 말에서 6월 초경 꾸지뽕 잎, 가지, 뿌리, 열매를 채취하고 수세하는 제1단계;와,
    수세한 채취물을 두 달간 음지에서 송풍 건조하여 수분 함유율이 0%가 되도록 하는 제2단계;와,
    송풍 건조된 채취물을 파쇄기로 하여금 30~50mm가 되도록 절단하고, 잘게 잘린 채취물 조각을 압연롤러에 의해 가압하여 연성으로 가공하는 제3단계;와,
    연성으로 가공된 채취물을 선별하여 물과 함께 압력솥에 충진시켜 밀폐된 상태가 되게 한 후, 100℃의 온도를 부여하여 48시간 동안 달이는 제4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꾸지뽕 엑기스 추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서의 송풍 건조는 냉풍기와 온풍기를 교차 반복하여 두 달간 실시하되, 상기 냉풍기의 설정 온도는 5~10℃를 부여하여 15일 동안 실시되고, 상기 온풍기의 설정 온도는 18~25℃를 부여하여 15일 동안 실시되며, 이후 동일한 조건의 냉풍기에 의해 재차 15일 동안 송풍 건조가 이루어진 다음, 동일한 조건의 온풍기에 의해 15일 동안 재차 송풍 건조가 실시되는 것을 포함하는 꾸지뽕 엑기스 추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압력솥에 선별 충진되는 채취물은 물 85.74중량%와, 꾸지뽕 뿌리 3.05중량%와, 꾸지뽕 열매 3.28중량%와, 꾸지뽕 가지 3.85중량%와, 꾸지뽕 잎 4.08중량%을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꾸지뽕 엑기스 추출방법.
KR1020110129766A 2011-12-06 2011-12-06 꾸지뽕 엑기스 추출방법 KR101359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766A KR101359803B1 (ko) 2011-12-06 2011-12-06 꾸지뽕 엑기스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766A KR101359803B1 (ko) 2011-12-06 2011-12-06 꾸지뽕 엑기스 추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316A KR20130063316A (ko) 2013-06-14
KR101359803B1 true KR101359803B1 (ko) 2014-02-11

Family

ID=48860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766A KR101359803B1 (ko) 2011-12-06 2011-12-06 꾸지뽕 엑기스 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8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936B1 (ko) * 2015-01-23 2016-10-06 전라남도 옻나무의 피부염 유발 독성물질 제거 법제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옻나무 식품 첨가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3592A (ko) * 2000-01-18 2001-08-01 원인호 약쑥을 이용한 각종식품과 이의제조
KR20090075343A (ko) * 2008-01-04 2009-07-08 (주)케이엠제약 항당뇨 한방생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3592A (ko) * 2000-01-18 2001-08-01 원인호 약쑥을 이용한 각종식품과 이의제조
KR20090075343A (ko) * 2008-01-04 2009-07-08 (주)케이엠제약 항당뇨 한방생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316A (ko) 201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34410B2 (ja) 野草を利用した低ナトリウム、低塩素、高カリウムキムチ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るキムチ
CN106668144B (zh) 一种中草药降压茶及其制备方法
CN105231450B (zh) 一种南瓜含片及其制备方法
CN104886302A (zh) 一种保健瘦身茶
KR101603294B1 (ko) 파상된 산양산삼으로부터 최대함량 진세노사이드 추출방법
CN103976059A (zh) 一种香樟香气的茶叶及其制备方法
KR101359803B1 (ko) 꾸지뽕 엑기스 추출방법
CN108634157A (zh) 一种新鲜人参的真空冷冻干燥加工方法
CN101933549B (zh) 利用核桃叶、杜仲叶、松针制备复合茶的方法
CN107811902B (zh) 一种防脱发育发剂及其制备方法
CN103394042B (zh) 一种辅助治疗骨伤的中药酊剂
KR101334521B1 (ko) 쑥 발효물 제조방법 및 쑥 발효물을 이용한 한방 패치 장치
KR20040081932A (ko) 홍삼/인삼 신속추출 및 농축액 증대
KR20130102181A (ko) 향부자를 이용한 차 및 그 제조방법
KR102127706B1 (ko) 복합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KR20120037091A (ko) 소나무의 항균성분을 가지는 의류소재의 제조방법.
KR101723962B1 (ko) 친환경 천연성분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기능성 조성물
KR100829048B1 (ko) 높은 항산화성 쑥엑기스의 특성 및 제조법
KR102632013B1 (ko)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개선용 조성물 제조방법
KR20150067826A (ko) 관절염에 효능이 있는 부자사심 조성물
CN103798796A (zh) 一种蓝莓润喉止痛酒及生产方法
KR20110112270A (ko) 약용식물에서 추출한 성분을 이용한 발모제 경구 투여제 제조방법
CN109303075A (zh) 一种当归根腐病防治剂及其制备方法
Ghazanfar Plants of economic importance
CN106729015A (zh) 一种具有舒缓鼻塞的冷却凝胶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