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169B1 - 초미세 홍삼분말을 이용한 홍삼농축액알갱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초미세 홍삼분말을 이용한 홍삼농축액알갱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169B1
KR101357169B1 KR1020120026767A KR20120026767A KR101357169B1 KR 101357169 B1 KR101357169 B1 KR 101357169B1 KR 1020120026767 A KR1020120026767 A KR 1020120026767A KR 20120026767 A KR20120026767 A KR 20120026767A KR 101357169 B1 KR101357169 B1 KR 101357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ginseng concentrate
ultra
powder
f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6422A (ko
Inventor
신명곤
이규희
오춘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홍삼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홍삼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홍삼단
Priority to KR1020120026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169B1/ko
Publication of KR20130116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16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미세 홍삼분말을 이용한 홍삼농축액알갱이의 제조방법에 관해, 보다 상세하게는, 초미세 홍삼분말액을 유동층코팅기를 이용하여 100% 홍삼농축액알갱이의 외부에 도포함으로써, 홍삼농축액알갱이 제품의 섭취시 장점인 부드러운 조직감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홍삼농축액알갱이끼리의 뭉침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초미세 홍삼분말을 이용한 홍삼농축액알갱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초미세 홍삼분말을 이용한 홍삼농축액알갱이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the spherical granules of red ginseng extract concentrates by using micronized red ginseng powder}
본 발명은 초미세 홍삼분말을 이용한 홍삼농축액알갱이의 제조방법에 관해, 보다 상세하게는, 초미세 홍삼분말액을 유동층코팅기를 이용하여 100% 홍삼농축액알갱이의 외부에 도포함으로써, 홍삼농축액알갱이 제품의 섭취시 장점인 부드러운 조직감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홍삼농축액알갱이끼리의 뭉침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초미세 홍삼분말을 이용한 홍삼농축액알갱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홍삼제품은 '부형제 첨가 없이 홍삼농축액만으로 100% 홍삼농축액알갱이 제조방법(등록특허 10-0813387)' 등을 통해, 기존의 홍삼제품 유형인 홍삼농축액, 원형홍삼, 홍삼분말, 홍삼절편 등과 차별화된, 홍삼기능성분이 고농축되어 일일섭취량이 아주 작고, 알갱이 형태로 휴대가 간편하면서 물에도 아주 잘 녹아 손쉽게 섭취할 수 있는 100% 홍삼농축액알갱이(홍삼단) 제품이라는 새로운 홍삼제품 유형을 만들어, 홍삼농축액의 음용과정시의 불편함 및 사용용기의 관리상 어려움, 그리고 액상제품의 유통상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홍삼의 국내 소비 촉진을 통한 농가 소득 증대와 함께 수출 증대에 따른 고려홍삼의 위상제고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100% 홍삼농축액알갱이는 습도 및 온도가 높은 하절기나 동남아 지역과 같이 더운 지역에서는 제품포장 해체 후 보관 부주의시 홍삼농축액알갱이끼리의 뭉침 현상이 부분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바, 세계적으로 자랑거리인 홍삼농축액알갱이(홍삼단)제품의 국내 소비촉진 및 수출확대를 위해서라도 이와 같은 뭉침 현상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이나 의약품에서는 제품의 흡습방지를 위해 HPMC(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 와 같은 흡습방지제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식품첨가물에 대한 소비자의 기피 현상뿐만 아니라 홍삼만을 사용하여 제조된 본 제품의 특성을 고려할 때, 초미세 홍삼분말액을 유동층코팅기를 이용하여 홍삼농축액알갱이의 외부를 도포하여, 홍삼농축액알갱이 제품의 섭취시 장점인 부드러운 조직감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홍삼농축액알갱이끼리의 뭉침 현상을 최대한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초미세 홍삼분말을 이용한 100% 홍삼농축액알갱이의 물성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잇점 및 특징, 그리고 이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특히 별도로 정의되지 않는 한, '홍삼'은 인삼을 포함하고, '농축액알갱이'는 농축액환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HPMC와 같은 식품첨가물 흡습방지제 사용하지 않고 방습 효과가 있는 홍삼분말을 사용하여, 고온 다습조건하에서도 홍삼농축액알갱이끼리의 뭉침 현상을 최대한 방지하도록 한, 초미세 홍삼분말을 이용한 홍삼농축액알갱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홍삼분말을 초미세 분쇄하여 부드러운 조직감을 가진 초미세 홍삼분말액을 홍삼농축액알갱이의 외부에 도포하여 홍삼농축액알갱이 제품의 장점인 섭취시 부드러운 조직감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초미세 홍삼분말을 이용한 홍삼농축액알갱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초미세 홍삼분말을 이용한 홍삼농축액알갱이의 제조방법은, 유동층조립건조 조건하에서 분무용 홍삼농축액을 바텀스프레이(bottom spray) 형태로 분무하면서 반복적인 유동화를 통해 홍삼농축액환(알갱이)을 제조하는 제 1 공정; 초미세 분쇄기로 제조된 초미세 홍삼분말을 사용하여 홍삼농축액환 코팅물질인 초미세 홍삼분말액을 제조하는 제 2 공정; 및 상기 제 1 공정에서 제조한 홍삼농축액환(알갱이)에 상기 제 2 공정에서 제조된 초미세홍삼분말액을 바텀스프레이 형태로 분무하면서 코팅함량이 전체 홍삼농축액환(알갱이) 중량의 1% 내지 9% 가 되도록 코팅하여 흡습이 방지된 홍삼농축액환(알갱이)을 제조하는 제 3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홍삼농축액환(알갱이)의 입자크기는 700-5,000㎛가 되도록 하고, 초미세 홍삼분말의 입자크기는 5-100㎛가 되도록 하고, 상기 초미세 홍삼분말액의 고형분 농도는 0.1-20%가 되도록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100% 홍삼농축액알갱이 제조를 통해, 홍삼농축액의 음용과정시 불편함 및 사용용기의 관리상 어려움, 그리고 액상제품의 유통상 문제점을 해결함은 물론, 홍삼의 국내 소비 촉진을 통한 농가 소득 증대와 함께 수출 증대에 따른 고려홍삼의 위상제고에 크게 기여하는 효과를 가져 온다.
특히, 습도 및 온도가 높은 하절기 또는 고온 다습한 동남아 지역에서 제품포장 해체 후 보관 부주의로 인해 부분적으로 발생하는 홍삼농축액알갱이끼리의 뭉침 현상도 손 쉽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홍삼농축액알갱이(홍삼단)제품의 국내 소비촉진 및 수출확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들에만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도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미세 홍삼분말을 이용한 홍삼농축액알갱이의 제조단계를 도시한 공정도.
본 발명은 5-100㎛ 입자크기의 인삼 혹은 홍삼 초미세분말을 인삼 혹은 홍삼농축액환(알갱이) 중량의 1-9% 가 되도록 코팅하여 섭취시 부드러운 조직감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흡습이 방지된 홍삼농축액환(알갱이)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미세 홍삼분말을 이용한 홍삼농축액알갱이의 제조단계(공정)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미세 홍삼분말을 이용한 홍삼농축액알갱이의 제조방법은 홍삼농축액알갱이 제조하는 단계(S11), 초미쇄 홍삼분말을 사용하여 분무용 홍삼분말액을 제조하는 단계(S12), 및 흡습방지된 홍삼농축액알갱이를 제조하는 단계(S13)로 이루어지며, 이를 각 단계 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홍삼농축액알갱이 제조 (S11: 제 1 공정)
흡입공기온도 80-150℃, 분무공기압력 0.5-5.0 bar, 투입관온도 20-80℃, 투입속도 5-5,000g/min 등의 유동층코팅조건하에서, 고형분함량이 10-50% 범위의 분무용 홍삼농축액을 바텀스프레이(bottom spray) 형태로 분무하면서 반복적인 유동화를 통해 700-5,000㎛ 입자크기의 홍삼농축액알갱이를 제조한다.
분무용 홍삼분말액 제조 (S12: 제 2 공정)
홍삼을 공기분사 분쇄기(air-jet mill)로 1차, 2차, 3차 분쇄한 후, 입도분석기(particle size analyzer,Mavern,Master sizer)를 이용하여 입자의 크기를 분석을 통해 5-100㎛로 분쇄하여 제조한다. 홍삼분말의 크기가 100㎛ 이상이면 코팅표면이 거칠고 섭취시 조직감이 나빠 제품 품질에 문제점이 있으며, 분말크기가 5㎛ 이하인 경우에는 분쇄비용이 과다하여 제품의 경제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홍삼분말의 크기는 가급적, 8-60㎛가 바람직하다.
또한, 홍삼분말액의 고형분농도는 0.1-20% 범위가 적당하며, 바람직하기로는 10%가 분무하기 최적이고, 20% 이상에서는 죽형태로 되어 분무가 어렵고, 0.1% 이하는 경제성이 없다.
흡습이 방지된 홍삼농축액알갱이 제조 (S13: 제 3 공정)
제 1 공정에서 제조한 홍삼농축액알갱이에 제 2 공정에서 제조된 홍삼분말액을 바텀스프레이(bottom spray) 형태로 분무하면서 코팅함량이 전체 홍삼농축액알갱이 중량의 1-9% 범위, 즉 1%, 3%, 6% 및 9% 가 되도록 코팅하여 부드러운 조직감과 흡습이 방지된 인삼농축액알갱이를 제조한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하기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흡입공기온도 90℃, 분무공기압력 2.0 bar, 투입관온도 60℃, 투입속도 300g/min 등의 유동층코팅조건하에서, 고형분함량이 40%인 분무용 홍삼농축액을 바텀스프레이(bottom spray) 형태로 분무하면서 반복적인 유동화를 통해 700-5,000㎛ 입자크기의 홍삼농축액환(알갱이)을 제조한 후(제 1 공정), 입자크기 8㎛인 홍삼초미세분말의 농도가 10% 용액으로 홍삼농축액환 코팅물질을 제조하였다(제 2 공정). 그런 다음, 제 1 공정에서 제조한 홍삼농축액환에 제 2 공정에서 제조된 입자크기 8㎛인 홍삼초미세분말 10% 용액(홍삼농축액환 코팅물질)을 바텀스프레이(bottom spray) 형태로 분무하면서 코팅함량이 전체 홍삼농축액환 중량의 3%가 되도록 코팅하여 "조직감이 부드러우면서 흡습이 방지된 홍삼농축액환"을 제조하였다(제 3 공정).
실시예 2
제 1 공정과 제 2 공정은 상기한 실시예 1과 동일하고, 제 3 공정은 제 1 공정에서 제조한 홍삼농축액환에 제 2 공정에서 제조된 입자크기 8㎛인 홍삼초미세분말의 농도가 10% 용액을 바텀스프레이(bottom spray) 형태로 분무하면서 코팅함량이 전체 홍삼농축액환 중량의 6%가 되도록 코팅하여 "조직감이 부드러우면서 흡습이 방지된 홍삼농축액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제 1 공정과 제 2 공정은 상기한 실시예 1과 동일하고, 제 3 공정은 제 1 공정에서 제조한 홍삼농축액환에 제 2 공정에서 제조된 입자크기 8㎛인 홍삼초미세분말의 농도가 10% 용액을 바텀스프레이(bottom spray) 형태로 분무하면서 코팅함량이 전체 홍삼농축액환 중량의 9%가 되도록 코팅하여 "조직감이 부드러우면서 흡습이 방지된 홍삼농축액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제 1 공정은 상기한 실시예 1 과 동일하고, 제 2 공정은 입자크기 20㎛인 홍삼초미세분말의 농도가 10% 용액으로 홍삼농축액환 코팅물질을 제조하였으며, 제 3 공정은 제 1 공정에서 제조한 홍삼농축액환에 제 2 공정에서 제조된 입자크기 20㎛인 홍삼초미세분말의 농도가 10% 용액을 바텀스프레이(bottom spray) 형태로 분무하면서 코팅함량이 전체 홍삼농축액환 중량의 3%가 되도록 코팅하여 "조직감이 부드러우면서 흡습이 방지된 홍삼농축액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제 1 공정과 제 2 공정은 상기한 실시예 4와 동일하고, 제 3 공정은 제 1 공정에서 제조한 홍삼농축액환에 제 2 공정에서 제조된 입자크기 20㎛인 홍삼초미세분말의 농도가 10% 용액을 바텀스프레이(bottom spray) 형태로 분무하면서 코팅함량이 전체 홍삼농축액환 중량의 6%가 되도록 코팅하여 "조직감이 부드러우면서 흡습이 방지된 홍삼농축액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제 1 공정과 제 2 공정은 상기한 실시예 4와 동일하고, 제 3 공정은 제 1 공정에서 제조한 홍삼농축액환에 제 2 공정에서 제조된 입자크기 20㎛인 홍삼초미세분말의 농도가 10% 용액을 바텀스프레이(bottom spray) 형태로 분무하면서 코팅함량이 전체 홍삼농축액환 중량의 9%가 되도록 코팅하여 "조직감이 부드러우면서 흡습이 방지된 홍삼농축액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제 1 공정은 상기한 실시예 1 과 동일하고, 제 2 공정은 입자크기 35㎛인 홍삼초미세분말의 농도가 10% 용액으로 홍삼농축액환 코팅물질을 제조하였으며, 제 3 공정은 제 1 공정에서 제조한 홍삼농축액환에 제 2 공정에서 제조된 입자크기 35㎛인 홍삼초미세분말의 농도가 10% 용액을 바텀스프레이(bottom spray) 형태로 분무하면서 코팅함량이 전체 홍삼농축액환 중량의 3%가 되도록 코팅하여 "조직감이 부드러우면서 흡습이 방지된 홍삼농축액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제 1 공정과 제 2 공정은 상기한 실시예 7과 동일하고, 제 3 공정은 제 1 공정에서 제조한 홍삼농축액환에 제 2 공정에서 제조된 입자크기 35㎛인 홍삼초미세분말의 농도가 10% 용액을 바텀스프레이(bottom spray) 형태로 분무하면서 코팅함량이 전체 홍삼농축액환 중량의 6%가 되도록 코팅하여 "조직감이 부드러우면서 흡습이 방지된 홍삼농축액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제 1 공정과 제 2 공정은 상기한 실시예 7과 동일하고, 제 3 공정은 제 1 공정에서 제조한 홍삼농축액환에 제 2 공정에서 제조된 입자크기 35㎛인 홍삼초미세분말의 농도가 10% 용액을 바텀스프레이(bottom spray) 형태로 분무하면서 코팅함량이 전체 홍삼농축액환 중량의 9%가 되도록 코팅하여 "조직감이 부드러우면서 흡습이 방지된 홍삼농축액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제 1 공정은 상기한 실시예 1 과 동일하고, 제 2 공정은 입자크기 52㎛인 홍삼초미세분말의 농도가 10% 용액으로 홍삼농축액환 코팅물질을 제조하였으며, 제 3 공정은 제 1 공정에서 제조한 홍삼농축액환에 제 2 공정에서 제조된 입자크기 52㎛인 홍삼초미세분말의 농도가 10% 용액을 바텀스프레이(bottom spray) 형태로 분무하면서 코팅함량이 전체 홍삼농축액환 중량의 3%가 되도록 코팅하여 "조직감이 부드러우면서 흡습이 방지된 홍삼농축액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제 1 공정과 제 2 공정은 상기한 실시예 1과 동일하고, 제 3 공정은 제 1 공정에서 제조한 홍삼농축액환에 제 2 공정에서 제조된 입자크기 52㎛인 홍삼초미세분말의 농도가 10% 용액을 바텀스프레이(bottom spray) 형태로 분무하면서 코팅함량이 전체 홍삼농축액환 중량의 6%가 되도록 코팅하여 "조직감이 부드러우면서 흡습이 방지된 홍삼농축액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제 1 공정과 제 2 공정은 상기한 실시예 10과 동일하고, 제 3 공정은 제 1 공정에서 제조한 홍삼농축액환에 제 2 공정에서 제조된 입자크기 52㎛인 홍삼초미세분말의 농도가 10% 용액을 바텀스프레이(bottom spray) 형태로 분무하면서 코팅함량이 전체 홍삼농축액환 중량의 9%가 되도록 코팅하여 "조직감이 부드러우면서 흡습이 방지된 홍삼농축액환"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 "조직감이 부드러우면서 흡습이 방지된 홍삼농축액환"의 홍삼성분함량, 관능특성 및 흡습방지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직감이 부드러우면서 흡습이 방지된 홍삼농축액환'에 대한 홍삼성분함량, 관능특성 및 방습성을 측정하였으며, 실험결과는 표 1, 표 2 및 표 3에 각각 나타내었다.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직감이 부드러우면서 흡습이 방지된 홍삼농축액환"이 "일반 홍삼농축액환"(대조구)과 진세노사이드 알지원(ginsenoside Rg1) 과 알비원(Rb1) 의 함량을 비교하였을 때, 코팅된 홍삼분말함량을 고려하면 제조과정중 홍삼기능성분의 변화는 거의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초미홍삼분말의 입자크기가 작아질수록 조직감 및 거친정도는 좋아짐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20㎛ 이하의 초미세 홍삼분말은 조직감과 거친정도에서 100% 홍삼농축액환(대조구)과 거의 유사한 값을 보여주어 관능특성이 아주 우수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험의 조건하에서 "흡습이 방지된 홍삼농축액환"이 '일반 홍삼농축액환"(대조구)보다 저장 중 흡습이 적게 일어나 습한 공기 중 노출되었을 때 뭉침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1 : "흡습이 방지된 홍삼농축액환"의 홍삼성분함량 측정
"일반 홍삼농축액환"(대조구) 및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직감이 부드러우면서 흡습이 방지된 홍삼농축액환"의 홍삼성분함량은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프 방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시료는 각각 2g을 정밀히 달아 증류수 50mL 에 완전히 용해한 다음 여과(0.45㎛)하여 시험용액으로 하였다.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프 방법으로 홍삼성분을 측정하기 위한 표준원액은, 진세노사이드 알지원(ginsenoside Rg1) 과 알비원(Rb1) 표준품 각각을 메탄올에 녹여 여과(0.45㎛)하여 각각 표준원액(1mg/mL)을 만들고, 표준원액을 메탄올로 희석하여 표준용액을 만든다. 표준용액과 시험용액을 각각 20μL씩 주입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피크를 분리하고, 표준용액의 피크의 면적에 의해 구한 검량선을 사용하여 시험용액 중 진세노사이드 알지원(ginsenoside Rg1) 과 알비원(Rb1)의 농도를 구하고, 다음의 식에 의하여 시료 중 진세노사이드 알지원(ginsenoside Rg1) 과 알비원(Rb1) 함량을 구했다. 결과는 진세노사이드 알지원(ginsenoside Rg1) 과 알비원(Rb1) 합의 함량(mg/g)으로 표시하였다.
[계산식]
진세노사이드 알지원(Rg1)= s×{(a×b)/시료채취량(g)}×1/1000)
진세노사이드 알비원(Rb1)= s×{(a×b)/시료채취량(g)}×1/1000)
이 때, s 는 시험용액 중 개별 진세노사이드 농도(μg/mL),
a 는 시험용액의 전량(mL),
b 는 희석배수를 의미한다.
실시예 진세노사이드 Rg1 과 Rb1 합의 함량 (mg/g)
대조구 23.0
실시예 1 22.2
실시예 2 22.1
실시예 3 21.8
실시예 4 22.0
실시예 5 21.9
실시예 6 22.8
실시예 7 23.2
실시예 8 20.9
실시예 9 21.6
실시예 10 22.6
실시예 11 21.4
실시예 12 22.3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직감이 부드러우면서 흡습이 방지된 홍삼농축액환"이"일반 홍삼농축액환"(대조구)과 진세노사이드 알지원(ginsenoside Rg1) 과 알비원(Rb1) 의 함량을 비교하였을 때, 코팅된 홍삼분말함량을 고려하면 제조과정 중 홍삼기능성분의 변화는 거의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조직감이 부드러우면서 흡습이 방지된 홍삼농축액환"의 관능평가
관능평가는 차이식별 능력이 뛰어나고 잘 훈련된 관능평가 요원 8명을 묘사분석요원으로 선발하여 조직감과 거친정도에 대하여 30분씩 네 차례의 훈련을 실시하고 각 용어에 대한 강도를 표준품의 점수와 비교하여 객관적인 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평가는 홍삼분말이 코팅된 홍삼농축액환 0.3g을 "입 안에 넣고 녹여 삼켰을 때 혀에서 느끼는 부드러운 정도(조직감)'와 "삼키고 난 후 입안에 남는 거친정도"를 평가하였다. 조직감은 시판되는 농축우유를 시음 할 때 입안에서 느끼는 부드러운 정도를 9점으로 했을 때 느끼는 강도이며, 거친정도는 시판되는 찹쌀 미숫가루 0.3g을 삼키고 난 후 입안에 남는 거친 정도를 9점으로 했을 때 느끼는 강도를 표현하였다. 평가는 9점 척도법을 사용하였으며, 이때 1점은 아주 약한 정도, 5점은 중간 정도, 9점은 아주 강한 정도로 평가되었으며 평가 결과는 8명의 결과를 수집하여 평균으로 표시하였다.
실시예 혀에서 느끼는 부드러운 정도* 거친정도**
대조구 8.6 1.1
실시예 1 8.5 1.1
실시예 2 8.4 1.3
실시예 3 8.2 1.2
실시예 4 8.3 1.3
실시예 5 8.2 1.3
실시예 6 8.0 1.4
실시예 7 6.4 4.7
실시예 8 6.3 4.5
실시예 9 6.4 4.8
실시예 10 4.2 6.4
실시예 11 4.3 6.1
실시예 12 4.1 6.3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홍삼분말의 입자크기가 작아질수록 조직감 및 거친정도는 좋아짐을 알 수 있었으며, 20㎛ 이하의 초미세 홍삼분말은 조직감과 거친정도에서 100% 홍삼농축액환(대조구)과 거의 유사한 값을 보여주어 관능특성이 아주 우수함을 보여주었다.
실험예 3. "일반 홍삼농축액환"(대조구) 및 "부드러우면서 흡습이 방지된 홍삼농축액환"의 흡습방지효과 측정
"일반 홍삼농축액환"(대조구) 및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부드러우면서 흡습이 방지된 홍삼농축액환'에 대한 흡습방지효과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각각의 시료 20g을 50 mL의 비이커에 담아 상대습도 83%로 조절되는 데시케이터에 넣어 밀봉한 후, 35oC에서 7일간 보관하면서 각 시료의 흡습정도를 평가하였으며, 흡습정도는 훈련된 관능요원 15명에게 5점 척도법을 이용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실시예 흡습정도*
대조구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
실시예 6 +
실시예 7 +++
실시예 8 ++
실시예 9 +
실시예 10 +++
실시예 11 ++
실시예 12 +
* 시료의 흡습정도 : +++++ (매우많음), ++++ (많음), +++ (보통),
++ (적음), + (매우적음)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험의 조건하에서 "흡습이 방지된 홍삼농축액환"이 "일반 홍삼농축액환"(대조구)보다 저장 중 흡습이 적게 일어나 습한 공기 중 노출되었을 때 뭉침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홍삼)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S11: 홍삼농축액알갱이를 제조하는 단계;
S12: 분무용 홍삼분말액을 제조하는 단계;
S13: 흡습방지된 홍삼농축액알갱이를 제조하는 단계

Claims (5)

1) 흡입공기온도 80-150℃, 분무공기압력 0.5-5.0bar, 투입관온도 20-80℃, 투입속도 5-5,000g/min의 유동층코팅조건하에서, 고형분함량이 10-50% 범위의 분무용 홍삼농축액을 바텀스프레이(bottom spray) 형태로 분무하면서 반복적인 유동화를 통해 홍삼농축액알갱이를 제조하는 단계;
2) 홍삼을 초미세 분쇄기를 이용하여 초미세 홍삼분말로 제조한 후, 수용액으로 된 초미세 홍삼분말 코팅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1)단계에서 제조한 홍삼농축액알갱이에 상기 2)단계에서 제조된 초미세 홍삼분말 코팅물질을 바텀스프레이 형태로 분무하면서 코팅함량이 전체 홍삼농축액알갱이 중량의 1중량% 내지 9중량%가 되도록 코팅하여 조직감이 부드러우면서 흡습이 방지된 홍삼농축액알갱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초미세 홍삼분말을 이용한 홍삼농축액알갱이의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농축액알갱이의 입자크기는 700-5,000㎛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 홍삼분말을 이용한 홍삼농축액알갱이의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미세 홍삼분말 코팅물질의 입자크기는 5-100㎛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 홍삼분말을 이용한 홍삼농축액알갱이의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미세 홍삼분말 코팅물질 수용액 내 초미세 홍삼분말 고형분의 농도가 0.1-20중량%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 홍삼분말을 이용한 홍삼농축액알갱이의 제조방법.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 홍삼분말을 이용한 홍삼농축액알갱이.
KR1020120026767A 2012-03-15 2012-03-15 초미세 홍삼분말을 이용한 홍삼농축액알갱이의 제조방법 KR101357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767A KR101357169B1 (ko) 2012-03-15 2012-03-15 초미세 홍삼분말을 이용한 홍삼농축액알갱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767A KR101357169B1 (ko) 2012-03-15 2012-03-15 초미세 홍삼분말을 이용한 홍삼농축액알갱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422A KR20130116422A (ko) 2013-10-24
KR101357169B1 true KR101357169B1 (ko) 2014-02-03

Family

ID=49635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767A KR101357169B1 (ko) 2012-03-15 2012-03-15 초미세 홍삼분말을 이용한 홍삼농축액알갱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16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7978A (ko) 2014-08-07 2016-02-17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홍삼 분말을 이용한 홍삼 과립의 제조 방법
KR20160022138A (ko) 2014-08-19 2016-02-29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용해성, 항인습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홍삼농축액 과립의 제조 방법
KR101600836B1 (ko) * 2015-04-14 2016-03-08 (주)다정 농축액으로 코팅한 코팅 분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코팅분말
KR20160089304A (ko) 2016-07-12 2016-07-27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용해성, 항인습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홍삼농축액 과립의 제조 방법
WO2017131271A1 (ko) * 2016-01-29 2017-08-03 주식회사 홍삼단 홍삼농축액 알갱이와, 홍삼농축액분말과 유동층코팅기를 이용한 홍삼농축액 알갱이의 제조방법
KR20180050859A (ko) * 2016-11-07 2018-05-16 김신애 구절초 환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구절초 환
KR102121330B1 (ko) 2019-08-09 2020-06-11 (주)제이비 바이오 고기능성 인삼농축액 과립환과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89794B (zh) * 2013-12-03 2015-04-08 红云红河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香叶天竺葵多孔颗粒及其在卷烟中的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772B1 (ko) 2004-01-20 2006-12-15 씨제이 주식회사 초미세 인삼 분말을 이용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70117988A (ko) * 2006-06-09 2007-12-13 (주)라이브맥스 고농도의 인삼 성분을 함유하는 인삼 엑기스 그래뉼 및환제의 제조방법
KR100813387B1 (ko) 2007-06-26 2008-03-12 신명곤 부형제 첨가없이 인삼농축액으로 유동성 및 저장성이우수한 인삼농축액환 제조 방법
KR101062747B1 (ko) 2009-10-08 2011-09-06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색도 및 유동성이 증가된 홍삼농축액 과립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772B1 (ko) 2004-01-20 2006-12-15 씨제이 주식회사 초미세 인삼 분말을 이용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70117988A (ko) * 2006-06-09 2007-12-13 (주)라이브맥스 고농도의 인삼 성분을 함유하는 인삼 엑기스 그래뉼 및환제의 제조방법
KR100813387B1 (ko) 2007-06-26 2008-03-12 신명곤 부형제 첨가없이 인삼농축액으로 유동성 및 저장성이우수한 인삼농축액환 제조 방법
KR101062747B1 (ko) 2009-10-08 2011-09-06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색도 및 유동성이 증가된 홍삼농축액 과립의 제조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7978A (ko) 2014-08-07 2016-02-17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홍삼 분말을 이용한 홍삼 과립의 제조 방법
KR101689436B1 (ko) * 2014-08-07 2016-12-23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홍삼 분말을 이용한 홍삼 과립의 제조 방법
KR20160022138A (ko) 2014-08-19 2016-02-29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용해성, 항인습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홍삼농축액 과립의 제조 방법
KR101600836B1 (ko) * 2015-04-14 2016-03-08 (주)다정 농축액으로 코팅한 코팅 분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코팅분말
WO2017131271A1 (ko) * 2016-01-29 2017-08-03 주식회사 홍삼단 홍삼농축액 알갱이와, 홍삼농축액분말과 유동층코팅기를 이용한 홍삼농축액 알갱이의 제조방법
KR20160089304A (ko) 2016-07-12 2016-07-27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용해성, 항인습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홍삼농축액 과립의 제조 방법
KR20180050859A (ko) * 2016-11-07 2018-05-16 김신애 구절초 환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구절초 환
KR101907562B1 (ko) * 2016-11-07 2018-10-12 김신애 구절초 환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구절초 환
KR102121330B1 (ko) 2019-08-09 2020-06-11 (주)제이비 바이오 고기능성 인삼농축액 과립환과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422A (ko) 201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7169B1 (ko) 초미세 홍삼분말을 이용한 홍삼농축액알갱이의 제조방법
CN105733918B (zh) 一种制备降血脂醋粉的方法
CN102781260A (zh) 分散性改善的氨基酸组合物
CN106389344A (zh) 碳酸钙颗粒及其制备方法
KR101667021B1 (ko) 니파야자를 이용한 기능성 환의 제조방법 및 그 기능성 환
CN108926717A (zh) 一种精氨酸颗粒及其制备方法
WO2011092852A1 (ja) 茶葉顆粒及び茶葉顆粒の製造方法
CN108935905A (zh) 刺梨糖片制备方法
CN112715759A (zh) 一种防结块小颗粒宠物营养补充剂及制作方法
JP6024899B2 (ja) 不快味低減方法
KR20170053536A (ko) 도라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관지질환 및 고지혈증 예방 효능의 도라지 함유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39695B1 (ko) 용해성, 항인습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홍삼농축액 과립의 제조 방법
CN106176872B (zh) 一种玛咖花超微粉及其制备方法
CN109198143A (zh) 具有预防和治疗癌症功效的超浓缩生物复合花青素压片糖果及制备方法
CN105410931B (zh) 一种莲子心清火咀嚼片及其制备方法
KR101600836B1 (ko) 농축액으로 코팅한 코팅 분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코팅분말
CN103609994A (zh) 一种含诺丽果成分的口服片剂及其制备方法
CN110771903B (zh) 一种乳清蛋白粉及其制备方法
CN102274203B (zh) 一种提高左旋肉碱茶多酚胶囊内容物防潮性能的方法
TWI721997B (zh) 含高含量精胺酸之錠劑
TWI402084B (zh) 微膠囊及其製造方法
Kingori et al. Effects of processing technologies on the levels of chlorogenic acid, gallic acid and theanine in selected kenyan tea cultivars by HPLC-PDA
CN105055353B (zh) 一种恩替卡韦片及其制备方法
CN113230189B (zh) 一种速溶型抑汗足浴盐及其制备方法
JP7185967B1 (ja) 造粒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