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5401B1 - 도어용 보강빔의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도어용 보강빔의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5401B1
KR101355401B1 KR1020120077162A KR20120077162A KR101355401B1 KR 101355401 B1 KR101355401 B1 KR 101355401B1 KR 1020120077162 A KR1020120077162 A KR 1020120077162A KR 20120077162 A KR20120077162 A KR 20120077162A KR 101355401 B1 KR101355401 B1 KR 101355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door
reinforcing beam
outer panel
mastic sea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0644A (ko
Inventor
남용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7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5401B1/ko
Publication of KR20140010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2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 B60J5/0429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the elements being arranged diago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8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ongated elements
    • B60J5/0443Beams
    • B60J5/0444Beams characterised by a special cross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021/0206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 B60R2021/0246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mounted on side wall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내부에 장착되어 아우터패널과 인접배치되되, 상기 아우터패널과의 사이에는 마스틱실러가 도포되는 도어용 보강빔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판 모양을 갖는 연결부의 일측에서 제1날개부가 연장되고 타측에서 제2날개부가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날개부과 제2날개부는 서로 나란하게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 사이로 보강빔이 끼워지며 연결부에 마스틱실러가 도포되어 아우터패널과 마주하게 되도록 장착되되, 상기 연결부에는 마스틱실러가 도포되는 오목한 모양의 도포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마스틱실러 도포시 상기 마스틱실러의 응고 전에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 사이에서 보강빔이 탄성력에 의해 가고정될 수 있으므로 조립시 접착제의 도포공정이 삭제되어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용 보강빔의 장착구조{Mounting structure of reinforcement beam for door}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내부에 강성 향상을 목적으로 장착되는 도어용 보강빔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돌출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을 구비하여 부품의 공용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도어용 보강빔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도어에는 측면 충돌에 대한 적정 기준 이상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도어 내부에 (임팩트 빔, 사이드 도어 빔 또는 사이드 빔이라 불리는) 보강빔이 하나 이상 장착된다.
상기 보강빔은 일반적으로 굽힘강성이 높고 중량이 가벼운 고장력강으로 제조되되 내부가 빈 파이프모양으로 성형되며, 도 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한 승객의 히프(hip)가 위치하는 부분과 도어의 힌지 결합 부분의 강성을 고려하여 도어 내의 적절한 위치에 장착된다.
상기 보강빔(1)은 도어의 내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아우터패널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인접하여 배치되되(도 3 참조), 그 사이의 갭(gap)을 매우기 위하여 합성고무를 주성분으로하며 가류제, 첨가제 및 발포제 등이 혼합되어 제조된 마스틱실러(mastic sealer)가 도포된다. 상기 마스틱실러는 보강빔(1)과 아우터패널 사이를 접착시키며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포된다.
한편, 종래의 보강빔(1)은 도 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용브라켓(2)과 결합되어 마스틱실러가 도포될 수 있는 갭을 확보하였었다. 즉, 차체의 디자인에 따라서 도어의 아우터패널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한 평판이 아니기 때문에 마스틱실러가 도포되기 위한 조건(즉, 보강빔과 아우터패널 사이의 갭이 3 내지 7 mm 를 유지할 조건)이 충족되지 못할 경우, 마스틱실러가 도포되는 전용브라켓(2)이 장착되었다.
종래 구조의 전용브라켓(2)은 도 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빔(1)이 끼워지도록 개구된 구조를 갖되 양측 각 끝단은 보강빔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전용브라켓(2)은, 일측의 접촉면에 상온경화용 접착제를 도포하여 위치를 고정시킨 후, 타측의 접촉면을 CO2 용접 등으로 고정시키는 구조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전용브라켓(2)은 마스틱실러가 도포되면 (마스틱실러가 도포되는) 면의 돌출길이를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즉,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아우터패널의 형상에 따라서 돌출 길이가 다른 여러 개의 전용브라켓들(2a, 2b, 2c, 2d)을 따로 제작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생산비용을 증가시키고 조립의 편이성을 저해하는 원인이 되어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브라켓의 돌출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제품의 공용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도어용 보강빔의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주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내부에 장착되어 아우터패널과 인접배치되되, 상기 아우터패널과의 사이에는 마스틱실러가 도포 또는 충진되는 도어용 보강빔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판 모양을 갖는 연결부의 일측에서 제1날개부가 연장되고 타측에서 제2날개부가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날개부과 제2날개부는 서로 나란하게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 사이로 보강빔이 끼워지며 연결부에 마스틱실러가 도포되어 아우터패널과 마주하게 되도록 장착되되, 상기 연결부에는 마스틱실러가 도포되는 오목한 모양의 도포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의 길이는 보강빔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되, 상기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 각 끝단들 사이의 거리는 보강빔의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 사이에서 보강빔이 끼워진 상태에서 접촉지점의 용접을 통해 브라켓과 보강빔이 영구접합된다.
아울러, 상기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의 각 끝단들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확장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확장부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와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홀이 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마스틱실러 도포시 상기 마스틱실러의 응고 전에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 사이에서 보강빔이 탄성력에 의해 가고정될 수 있으므로 조립시 접착제의 도포공정이 삭제되어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 중 어느 한 곳 이상에는 확장부가 형성되고 홀이 타공되므로, 보강빔이 놓여지는 선반 및 상기 홀에 끼워져 브라켓을 선반에 고정시키는 볼트나 핀(pin) 등이 추가되면 용접시 브라켓과 보강빔을 더욱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는 차량의 도어 내부에 보강빔이 장착된 모습을 투시하여 도시한 도면,
도 1b 는 종래의 전용브라켓이 보강빔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및 A-A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이 보강빔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및 B-B 의 단면도,
도 3 은 종래의 전용브라켓들이 결합된 보강빔이 도어 내에 장착된 모습 및 본 발명의 브라켓이 결합된 보강빔이 도어 내에 장착된 모습을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서 도어용 보강빔은 파이프 모양으로서 차량의 도어 내부에서 가로로 장착되어 아우터패널과 인접배치되되, 상기 아우터패널과의 사이에는 마스틱실러가 충진되는 구조를 가지며, 아우터패널의 형상에 따라 갭이 크게 형성된 부분에는 브라켓이 추가적으로 장착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보강빔의 장착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장착구조에서는 (아우터패널의 형상에 따라) 보강빔(1)에 장착되는 브라켓(10)이 제공된다. 도 2 를 참조하면, 상기 브라켓(10)은, 판 모양을 갖는 연결부(12)의 일측에서 제1날개부(11)가 연장되고 타측에서 제2날개부(14)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날개부(11)과 제2날개부(14)는 서로 나란하게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ㄷ" 자모양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10)은 제1날개부(11)와 제2날개부(14) 사이로 보강빔(1)이 끼워지며 연결부(12)에 마스틱실러가 도포되어 아우터패널과 마주하게 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10)은, 연결부(12)의 길이(즉, 도 2 에서 연장부의 세로길이)가 보강빔(10)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되, 탄성력에 의해 보강빔(1)이 그 사이에 물려질 수 있도록 상기 제1날개부(11)와 제2날개부(14) 각 끝단들 사이의 거리는 보강빔(1)의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날개부(11)와 제2날개부(14) 사이에서 보강빔(1)이 끼워진 상태에서 두 개의 접촉지점들은 CO2 용접 등을 통해 영구접합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12)에는 응고되지 않은 마스틱실러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스틱실러가 도포되는 오목한 모양의 도포홈(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날개부(11)와 제2날개부(14)의 각 끝단들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절곡된 확장부(15)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날개부(14)의 끝단에 아랫쪽으로 절곡된 확장부(15)가 형성되었다. 상기 확장부(15)는 브라켓(10)을 용접하기 위하여 임시고정(temporarily fixing)시킬 때 보강빔(1)이 놓여지는 선반(미도시) 등에 더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선반에서 볼트 또는 핀 등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확장부(15)에는 홀(16)이 타공된다.
종래의 보강빔 장착구조에서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길이가 상이한 다수 개의 전용브라켓들(2a, 2b, 2c, 2d)이 요구되었던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10)을 구비하는 장착구조에서는 보강빔(1)을 브라켓(10)의 연결부(12)에 인접하도록 내측으로(도 2 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동일한 모양의 브라켓(10)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보강빔의 장착구조는 아우터패널의 형상에 제한받지 않고 브라켓의 공용화를 도모할 수 있으므로,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용접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조립의 편이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마스틱실러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불량률을 더욱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보강빔
10 : 브라켓
11 : 제1날개부
12 : 연결부
13 : 도포홈
14 : 제2날개부
15 : 확장부

Claims (3)

  1. 차량의 도어 내부에 장착되어 아우터패널과 인접배치되되, 상기 아우터패널과의 사이에는 마스틱실러가 도포되는 도어용 보강빔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판 모양을 갖는 연결부의 일측에서 제1날개부가 연장되고 타측에서 제2날개부가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날개부과 제2날개부는 서로 나란하게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 사이로 보강빔이 끼워지며 연결부에 마스틱실러가 도포되어 아우터패널과 마주하게 되도록 장착되되, 상기 연결부에는 마스틱실러가 도포되는 오목한 모양의 도포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의 각 끝단들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확장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확장부는 연결부와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홀이 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보강빔의 장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길이는 보강빔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되, 상기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 각 끝단들 사이의 거리는 보강빔의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 사이에서 보강빔이 끼워진 상태에서 접촉지점의 용접을 통해 브라켓과 보강빔이 영구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보강빔의 장착구조.
  3. 삭제
KR1020120077162A 2012-07-16 2012-07-16 도어용 보강빔의 장착구조 KR101355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162A KR101355401B1 (ko) 2012-07-16 2012-07-16 도어용 보강빔의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162A KR101355401B1 (ko) 2012-07-16 2012-07-16 도어용 보강빔의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644A KR20140010644A (ko) 2014-01-27
KR101355401B1 true KR101355401B1 (ko) 2014-01-28

Family

ID=50143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162A KR101355401B1 (ko) 2012-07-16 2012-07-16 도어용 보강빔의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54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12218B2 (ja) * 2016-12-01 2020-06-1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自動車のドアビー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6860A (ja) * 1996-12-11 1998-06-23 Yamakawa Ind Co Ltd ガードビーム
JP2005041353A (ja) * 2003-07-23 2005-02-17 Suzuki Motor Corp 車両用ドアの補強ビームの取付構造
KR20100034469A (ko) * 2008-09-24 2010-04-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빔 브라켓
US20120163906A1 (en) 2009-09-17 2012-06-28 Toyota Shatai Kabushiki Kaisha Structure for attaching mounting member to door impact bea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6860A (ja) * 1996-12-11 1998-06-23 Yamakawa Ind Co Ltd ガードビーム
JP2005041353A (ja) * 2003-07-23 2005-02-17 Suzuki Motor Corp 車両用ドアの補強ビームの取付構造
KR20100034469A (ko) * 2008-09-24 2010-04-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빔 브라켓
US20120163906A1 (en) 2009-09-17 2012-06-28 Toyota Shatai Kabushiki Kaisha Structure for attaching mounting member to door impact be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644A (ko) 2014-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3645B1 (ko) 차체구조
US9963172B2 (en) Body structure of vehicle
US20200317149A1 (en) Bumper crossmember
JP2018203230A5 (ko)
US20130320713A1 (en) Vehicle lower section structure
JP2017039332A (ja) 車両の車体構造
JP2014121915A (ja) 車両用サイドドア構造
US9085307B2 (en) Vibration damping shaped aluminum extrusion
KR101558745B1 (ko)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
JP2008062696A (ja) 車体外板の補剛構造および補剛方法
KR101355401B1 (ko) 도어용 보강빔의 장착구조
US10589604B2 (en) Add-on part of a vehicle body
JP2019034643A (ja) 車体上部構造
CN204506391U (zh) 摆臂与副车架的安装支架
KR200472535Y1 (ko) 강화유리문용 프레임
JP2015189255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KR101575456B1 (ko)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
KR102368434B1 (ko) 금속 캐리어 타입의 발포패드
KR101760279B1 (ko) 차량용 도어 힌지 연결구조
ES2914392T3 (es) Conjunto de parachoques para un vehículo de motor
JP6209963B2 (ja) 車両用ドアビーム構造
JP2011153017A (ja) エレベータのレールブラケット装置
KR102298865B1 (ko) 차량용 도어 스트라이커 마운팅 유닛
CN109987146B (zh) 车身上部结构
CN209079633U (zh) 一种悬置安装结构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