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434B1 - 금속 캐리어 타입의 발포패드 - Google Patents

금속 캐리어 타입의 발포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434B1
KR102368434B1 KR1020210045659A KR20210045659A KR102368434B1 KR 102368434 B1 KR102368434 B1 KR 102368434B1 KR 1020210045659 A KR1020210045659 A KR 1020210045659A KR 20210045659 A KR20210045659 A KR 20210045659A KR 102368434 B1 KR102368434 B1 KR 102368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plates
vehicle body
plate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영
이충익
김대인
Original Assignee
대우공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공업 (주) filed Critical 대우공업 (주)
Priority to KR1020210045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4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1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characterised by combining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캐리어 타입의 발포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 소재로서 상호 대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제2 플레이트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1, 제2 플레이트 간에 개재되는 발포체를 포함하여, 차체의 일측면에 상기 제1, 제2 플레이트의 일측면이 고정되어 고온조건에서 상기 발포체가 발포되면서, 상기 발포체가 상기 제1, 제2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차체 표면에 충진 및 경화되는 금속 캐리어 타입 발포패드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플레이트는 양측면이 상호 밀착되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용접대상면이 형성되고, 상기 용접대상면의 외연으로 상기 발포체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발포체의 두께만큼 상호 이격되는 발포체 밀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발포체 밀착면의 외연으로 상기 제1, 제2 플레이트간 상호 간격이 확장되도록 가이드 날개면이 형성되어, 상기 발포체가 고온조건에서 발포되면서 상기 제1, 제2 플레이트 내측에서 상기 가이드 날개면을 따라 양측으로 확장되면서 부풀어 올라 상기 차체 표면으로 충진 및 상기 차체 표면에 경화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소재의 캐리어로 이루어져, 고온에서의 형상변형이 방지되어, 발포층이 캐리어의 변형에 의해 하부로 흘러내리지 않고 차체 표면 및 코너부에서의 미충진 없이 안정적으로 부착경화됨에 의해, 발포층 접착 불량률을 줄이도록 하며, 더욱이, 발포체가 캐리어의 외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날개면을 따라 발포층이 확장되면서 부풀어 올라 차체 표면에 보다 넓은 면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하며, 캐리어가 용접되지 않는 차체 표면으로는 발포량을 증대시켜 차체 표면으로 발포체의 부착면적을 보다 넓히도록 하여 소음차단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캐리어가 차체의 3면을 둘러싸도록 용접됨에 의해 외부충격이 흡수되도록 하여 차체 강성이 보강되는 효과가 있으며,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캐리어를 차체에 조립할 필요없이 기존 차체 용접공정에 포함시켜 작업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금속 캐리어 타입의 발포패드{FOAM PAD OF METAL CARRIER}
본 발명은 금속 캐리어 타입의 발포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에 결합력을 높혀 발포패드가 정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캐리어의 강성을 높혀 EVA 발포체의 발포과정에서 도장 오븐의 높은 온도에 캐리어의 외형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여 발포체가 하부로 흘러내리지 않고 코너부 등의 단부에 발포체가 균일하게 충전되도록 하는 금속 캐리어 타입의 발포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캐리어 타입의 발포패드는 자동차의 필러(Pillar), 휠 하우스(Wheel House), 루프 레일(Roof Rail), 왁싱 홀(Waxing Hole) 등의 이중구조 내부에 적용되어, 소음 및 진동을 차단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도 1은 차량 전륜에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차단시키기 위해 차량 패널 내부에 플라스틱 캐리어 타입의 발포패드가 설치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플라스틱 캐리어 타입의 발포패드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발포패드가 발포과정을 거쳐 경화된 상태를 살펴보기 위해 A-A'선으로 절단시킨 제품의 단면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플라스틱 캐리어 타입의 발포패드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플라스틱 재질의 캐리어(10) 내측에 EVA 소재의 발포물(20)을 삽입시켜, 차체에 조립한 다음 전착 건조(도장라인) 오븐에 의해 발포물(20)이 발포, 경화되면서 해당부위를 충전시키도록 하여 주행시 발생되는 엔진 및 주행소음 등이 공명현상에 의해 전달되는 경로를 차단시켜 차량 실내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한다.
이때, 자동차의 차체는 주로 금속(Steel) 부품으로 이루어지나, 발포 패드의 캐리어(10) 재질은 플라스틱으로, 차체에 조립시 용접이 아닌 클립(11) 체결에 의한 기계적 접합 방식으로, 클립 체결시 차체와의 유격이 발생되어, 수많은 차체 조립 공정간 클립(11) 이탈 가능성이 높으며, 일부 좁은 공간에 클립체결을 위한 구조를 적용할 경우 차체 강성 및 충돌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는 클립 도피 홀 등이 필요로 하며, 이러한 클립 체결 방식으로 인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조립해야 하는 단점이 발생된다.
더욱이,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 발포패드 캐리어는 플라스틱 재질로 융점이 215 ~ 220℃인데, 도장라인 오븐온도가 대략 200℃로서, 오븐 내에서 캐리어(10)의 변형이 발생되어, 도 3에서와 같이 발포력 부족으로 코너부에 제대로 충진되지 않거나, 도 4에서와 같이 캐리어의 단부가 늘어지면서 발포층이 흘러내려 소음 및 진동을 원활하게 차단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플라스틱 캐리어 타입 발포패드의 불합리한 점을 극복하고, 차체에 결합력을 높혀 발포패드가 정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캐리어의 강성을 높혀 EVA 발포체의 발포과정에서 도장 오븐의 높은 온도에 캐리어의 외형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여 발포체가 하부로 흘러내리지 않고 코너부 등의 단부에 발포체가 균일하게 충전되도록 하는 발포패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 0000-0000000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포패드가 금속소재의 캐리어로 강성을 높혀 변형에 의해 발포층이 흘러내리지 않고 도장오븐 내 고온조건에도 캐리어의 변형없이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포체가 캐리어의 외측면으로 형성된 가이드 날개면을 따라 발포층이 확장되면서 부풀어 올라 차체 표면에 더 넓은 면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체 표면에 3면으로 용접되도록 하여, 소음진동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위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용접고정되지 않는 차체면으로는 발포량을 높혀 차체 표면 부착면적을 넓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금속 소재로서 상호 대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제2 플레이트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1, 제2 플레이트 간에 개재되는 발포체를 포함하여, 차체의 일측면에 상기 제1, 제2 플레이트의 일측면이 고정되어 고온조건에서 상기 발포체가 발포되면서, 상기 발포체가 상기 제1, 제2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차체 표면에 충진 및 경화되는 금속 캐리어 타입 발포패드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플레이트는 양측면이 상호 밀착되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용접대상면이 형성되고, 상기 용접대상면의 외연으로 상기 발포체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발포체의 두께만큼 상호 이격되는 발포체 밀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발포체 밀착면의 외연으로 상기 제1, 제2 플레이트간 상호 간격이 확장되도록 가이드 날개면이 형성되어, 상기 발포체가 고온조건에서 발포되면서 상기 제1, 제2 플레이트 내측에서 상기 가이드 날개면을 따라 양측으로 확장되면서 부풀어 올라 상기 차체 표면으로 충진 및 상기 차체 표면에 경화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제2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접 플랜지가 형성되되, 상기 용접 플랜지는 상기 차체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일정 각도로 절곡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면과 대향되는 제2 측면 및 상기 제1, 제2 측면을 연결시키는 제3 측면에 제1, 제2 및 제3 용접 플랜지가 각각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외면으로 절곡형성되며, 상기 발포체는 중앙에 상기 용접대상면과 대응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상기 제1, 제2 플레이트의 외측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발포체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제3 측면과 대향되는 제4 측면으로는 일정 폭으로 상기 제4 측면에서 외측으로 더 연장된 발포연장면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제4 측면과 대응되는 제1 플레이트의 가이드 날개면에는 외면을 따라 상하로 물결형태의 굴곡진 굴곡형상면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굴곡형상면과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제4 측면이 이루는 최소간격은 상기 발포체의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제1, 제2 측면과 만나게 되는 제4 측면의 양단부 가이드 날개면은 다른 측면에서의 제1, 제2 플레이트의 가이드 날개면이 이루는 간격보다 더 넓게 확장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제2 플레이트의 용접대상면에는 상기 제3 측면에서 제4 측면을 향하여 상기 발포체 삽입공간이 연통되도록 브릿지연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3, 제4 측면으로 발포되는 발포체가 상기 브릿지연결부 내측으로 상호 유동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소재의 캐리어로 이루어져, 고온에서의 형상변형이 방지되어, 발포층이 캐리어의 변형에 의해 하부로 흘러내리지 않고 차체 표면 및 코너부에서의 미충진 없이 안정적으로 부착경화됨에 의해, 발포층 접착 불량률을 줄이도록 하며, 더욱이, 발포체가 캐리어의 외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날개면을 따라 발포층이 확장되면서 부풀어 올라 차체 표면에 보다 넓은 면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하며, 캐리어가 용접되지 않는 차체 표면으로는 발포량을 증대시켜 차체 표면으로 발포체의 부착면적을 보다 넓히도록 하여 소음차단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캐리어가 차체의 3면을 둘러싸도록 용접됨에 의해 외부충격이 흡수되도록 하여 차체 강성이 보강되는 효과가 있으며,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캐리어를 차체에 조립할 필요없이 기존 차체 용접공정에 포함시켜 작업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볼풀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 캐리어 타입 발포패드가 차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 캐리어 타입 발포패드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구조를 나타내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 캐리어 타입 발포패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 캐리어 타입 발포패드는 금속 소재로 상호 대향되는 형상으로 성형되는 제1, 제2 플레이트(100, 200)와, 제1, 제2 플레이트(100, 2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1, 제2 플레이트(100, 200) 간에 개재되는 발포체(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제2 플레이트(100, 200)는 소음진동 방지를 위해 차체 내측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차체 내부 일측면에 제1, 제2 플레이트(100, 200)의 일측면이 고정된 상태에서 도장라인으로 이동하여 오븐 내 200℃ 정도의 고온조건에서 제1, 제2 플레이트(100, 200) 사이에 개재된 발포체(300)가 발포되며, 제1, 제2 플레이트(100, 200)의 외면으로 펼쳐지면서 발포체(300)가 차체 표면으로 충진 및 차체 표면에 부착경화되도록 한다.
제1, 제2 플레이트(100, 200)의 구조를 도 6 내지 도 8을 통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자면, 제1, 제2 플레이트(100, 200)는 양면이 상호 밀착되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용접대상면(110, 210)과, 용접대상면(110, 210)의 외연을 따라 발포체(30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간(120a, 220a)이 형성되도록, 발포체(300)의 두께만큼 제1, 제2 플레이트(100, 200)가 상호 이격되는 발포체 밀착면(120, 220)과, 발포체 밀착면(120, 220)의 외연으로 제1, 제2 플레이트(100, 200)간 상호 간격이 확장되도록 단부가 외측으로 벌려지는 가이드 날개면(130, 230)이 형성된다.
그리고 발포체(300)는 중앙에 용접대상면(110, 210)과 대응되는 형상의 중공(310)이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제1, 제2 플레이트(100, 200)의 외측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발포체(300)가 삽입공간(120a, 220a) 내로 삽입되어 고온조건에서 발포되면서 제1, 제2 플레이트(100, 200)의 내측에서 가이드 날개면(130, 230)을 따라 외측으로 확장되면서 부풀어 올라 차체 표면으로 충진되도록 한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제2 플레이트(100, 200)가 강성의 금속 소재로 이루어져 고온조건에서도 변형이 없으며, 차체의 일측면에 용접을 통해 고정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클립을 체결할 필요가 없으며, 더욱이 용접방식을 통해 유격이 전혀 발생되지 않으며, 아울러 다른 공정과 함께 용접로봇에 의한 자동화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제2 플레이트(100, 200) 중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접 플랜지(400)가 일체로 형성되며, 용접 플랜지(400)를 차체의 표면에 맞대어 용접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러한 용접 플랜지(400)는 제1, 제2 플레이트(100, 200)의 단부에서 차체 표면에 대응되도록 일정 각도록 절곡형성된다.
이러한 용접 플랜지(4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2 플레이트(200)의 제1 측면(201)과, 제1 측면(201)과 대향되는 제2 측면(202) 및 제1, 제2 측면(202)을 연결시키는 제3 측면(203)에 제1, 제2 및 제3 용접 플랜지(410, 420, 430)가 각각 외측면으로 절곡형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형성된 제1, 제2 및 제3 용접 플랜지(410, 420, 430)는 차체의 3면에 둘러싸도록 용접되며, 금속 캐리어 타입의 발포패드를 상기와 같이 차체 내측면에 고정시킨 다음, 제3 측면(430)과 대향되는 방향의 제4 측면(440)으로 차체 패널을 덮어 내부 공간을 형성시킨 후, 도장 오븐에서 열을 가해 발포체(300)가 발포되어 차체 내부의 4면으로 충진 및 경화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속 캐리어 타입 발포패드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A'선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의 B에서 바라본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 플레이트(200)의 3면을 둘러싸도록 절곡형성되는 제1, 제2 및 제3 용접 플랜지(410, 420, 430)가 차체의 3면에 용접되어 3면으로는 발포체(300)가 안정적으로 발포되면서 차체 표면에 충진 및 경화되나, 제2 플레이트(200)의 제4 측면(204)으로는 제1, 제2 플레이트(100, 200)가 차체 표면에 고정되지 않아, 충돌이나 진동등에 의해 차체 패널과의 유격이 발생되어 발포체(300)의 충진 및 부착력이 다른 3면에 비해 떨어질 수 있어,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4 측면(204)에는 발포체(300)가 일정 폭으로 제1, 제2 플레이트(100, 200) 내에서 외측으로 더 연장되는 발포연장면(320)이 형성되도록 하여, 발포체(300)가 차체 표면에 유격없이 압착되도록 하며, 고온에서 발포시 발포면적이 보다 넓게 형성되도록 하여, 부착 안정성을 높힐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제2 플레이트(100, 200)의 용접대상면(110, 210)에 제3 측면(203)에서 제4 측면(204)을 향하여 발포체 삽입공간(120a, 220a)이 상호 연통되도록 브릿지연결부(140, 240)가 형성되어, 제3, 제4 측면(203, 204)에 발포되는 발포체(300)는 브릿지연결부(140, 240) 내측으로 상호 유동가능 하도록 한다. 이러한 브릿지연결부(140, 240)는 제4 측면(204)으로 연장된 발포연장면(320)에서 발포량이 과다하게 발생될 경우, 차체 측면에서 과다한 발포체(300)의 유동이 브릿지연결부(140, 240)를 통해 제3 측면(203)으로 밀려져 제3 측면(203) 외측으로 유동이 이동되도록 하여, 차체 표면 전체로 균일한 발포층이 형성되도록 한다.
더욱이, 도 11에서와 같이, 제2 플레이트(200)의 제4 측면(204)과 대응되는 제1 플레이트(100)의 가이드 날개면(130, 230)에는 외면을 따라 상하로 물결형태의 굴곡진 굴곡형상면(150)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이러한 굴곡형상면(150)을 통해 발포체(300)가 차체 표면에 보다 넓은 면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굴곡형상면(150)과 상기 제2 플레이트(200)의 제4 측면(204)이 이루는 최소간격이 발포체(300)의 두께에 해당하는 발포체(300) 삽입공간(120a, 220a) 폭과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발포체(300)의 경화면적을 보다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플레이트(200)의 제1, 제2 측면(201, 202)과 만나게 되는 제4 측면(204)의 양단부 가이드 날개면(130, 230)은 다른 측면에서의 제1, 제2 플레이트(100, 200)의 가이드 날개면(130, 230)이 이루는 간격보다 더 넓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발포연장면(320)에서 발포되는 발포체(300)가 제4 측면(204)의 양단부측으로 충분히 유입되도록 하여 양단부측으로도 충진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어, 코너부위에서의 미충진에 의한 소음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 제1 플레이트 110 : 용접대상면
120 : 발포체 밀착면 120a : 삽입공간
130 : 가이드 날개면 140 : 브릿지연결부
150 : 굴곡형상면
200 : 제2 플레이트 210 : 용접대상면
220 : 발포체 밀착면 220a : 삽입공간
230 : 가이드 날개면 240 : 브릿지연결부
201 : 제1 측면 202 : 제2 측면
203 : 제3 측면 204 : 제4 측면
300 : 발포체 310 : 중공
320 : 발포연장면
400 : 용접 플랜지
410 : 제1 용접 플랜지 420 : 제2 용접 플랜지
430 : 제3 용접 플랜지

Claims (6)

  1. 금속 소재로서 상호 대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제2 플레이트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1, 제2 플레이트 간에 개재되는 발포체를 포함하여,
    차체의 일측면에 상기 제1, 제2 플레이트의 일측면이 고정되어 고온조건에서 상기 발포체가 발포되면서, 상기 발포체가 상기 제1, 제2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차체 표면에 충진 및 경화되는 금속 캐리어 타입 발포패드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플레이트는
    양측면이 상호 밀착되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용접대상면이 형성되고,
    상기 용접대상면의 외연으로 상기 발포체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발포체의 두께만큼 상호 이격되는 발포체 밀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발포체 밀착면의 외연으로 상기 제1, 제2 플레이트간 상호 간격이 확장되도록 가이드 날개면이 형성되어,
    상기 발포체가 고온조건에서 발포되면서 상기 제1, 제2 플레이트 내측에서 상기 가이드 날개면을 따라 양측으로 확장되면서 부풀어 올라 상기 차체 표면으로 충진 및 상기 차체 표면에 경화되되,
    상기 제1, 제2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접 플랜지가 형성되되, 상기 용접 플랜지는 상기 차체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일정 각도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면과 대향되는 제2 측면 및 상기 제1, 제2 측면을 연결시키는 제3 측면에 제1, 제2 및 제3 용접 플랜지가 각각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외면으로 절곡형성되며,
    상기 발포체는 중앙에 상기 용접대상면과 대응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상기 제1, 제2 플레이트의 외측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발포체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제3 측면과 대향되는 제4 측면으로는 일정 폭으로 상기 제4 측면에서 외측으로 더 연장된 발포연장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캐리어 타입 발포패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제4 측면과 대응되는 제1 플레이트의 가이드 날개면에는 외면을 따라 상하로 물결형태의 굴곡진 굴곡형상면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굴곡형상면과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제4 측면이 이루는 최소간격은 상기 발포체의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캐리어 타입 발포패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제1, 제2 측면과 만나게 되는 제4 측면의 양단부 가이드 날개면은 다른 측면에서의 제1, 제2 플레이트의 가이드 날개면이 이루는 간격보다 더 넓게 확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캐리어 타입 발포패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플레이트의 용접대상면에는 상기 제3 측면에서 제4 측면을 향하여 상기 발포체 삽입공간이 연통되도록 브릿지연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3, 제4 측면으로 발포되는 발포체가 상기 브릿지연결부 내측으로 상호 유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캐리어 타입 발포패드.
KR1020210045659A 2021-04-08 2021-04-08 금속 캐리어 타입의 발포패드 KR102368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659A KR102368434B1 (ko) 2021-04-08 2021-04-08 금속 캐리어 타입의 발포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659A KR102368434B1 (ko) 2021-04-08 2021-04-08 금속 캐리어 타입의 발포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434B1 true KR102368434B1 (ko) 2022-02-28

Family

ID=80497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659A KR102368434B1 (ko) 2021-04-08 2021-04-08 금속 캐리어 타입의 발포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4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1960A (ja) * 2001-05-08 2002-11-19 Neoex Lab Inc 中空構造物の中空部遮断具
KR20020090666A (ko) * 2001-05-29 2002-12-05 지엠대우자동차기술 주식회사 자동차 필러의 소음방지 구조
KR101750080B1 (ko) * 2017-03-30 2017-06-22 이근수 차량 구조물의 방음 및 방수용 필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1960A (ja) * 2001-05-08 2002-11-19 Neoex Lab Inc 中空構造物の中空部遮断具
KR20020090666A (ko) * 2001-05-29 2002-12-05 지엠대우자동차기술 주식회사 자동차 필러의 소음방지 구조
KR101750080B1 (ko) * 2017-03-30 2017-06-22 이근수 차량 구조물의 방음 및 방수용 필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8131B2 (en) Reinforcement structure and method employing bulkheads
JP5903454B2 (ja) 密閉型アルミニウム製ハニカム構造補強材
US6247287B1 (en) Structure and method for closing and reinforcing hollow structural members
US8276974B2 (en) Noise reduction member and system
US8020924B2 (en) Integrated reinforcing crossmember
US8535463B2 (en) Acoustic baffle members and methods for applying acoustic baffles in cavities
US6896320B2 (en) Reinforced structural body
US20020074827A1 (en) Structural reinforcing member with ribbed thermally expansible foaming material
KR101715310B1 (ko) 대상물을 보강하는 방법
US20110057392A1 (en) Acoustic baffle
US20060061115A1 (en) Structural reinforcement member and method of use therefor
US20140138388A1 (en) Baffle assembly
KR20110044887A (ko) 구조 보강 시스템
JP2010083248A (ja) 自動車車体の製造方法
JP2002173049A (ja) 発泡充填材を有するフレームの成形方法およびその構造
KR102368434B1 (ko) 금속 캐리어 타입의 발포패드
JP2003226261A (ja) 中空構造物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JP4451273B2 (ja) 発泡充填具
JP2003237624A (ja) 車体構造部材の仕切り具
JP7306239B2 (ja) 車体構造
JP6631878B2 (ja) キャブの部材間の接着構造
JPH044950Y2 (ko)
JP2023094905A (ja) ルーフパネルおよび車両用ルーフ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