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4952B1 - 통 크레인용 써포팅블록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통 크레인용 써포팅블록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4952B1
KR101354952B1 KR1020120049557A KR20120049557A KR101354952B1 KR 101354952 B1 KR101354952 B1 KR 101354952B1 KR 1020120049557 A KR1020120049557 A KR 1020120049557A KR 20120049557 A KR20120049557 A KR 20120049557A KR 101354952 B1 KR101354952 B1 KR 101354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junction
supporting block
cable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5927A (ko
Inventor
최인수
정재호
최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049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4952B1/ko
Publication of KR20130125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2Safety gear for retaining load-engaging elements in the event of rope or cable brea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릴을 사용하지 않고 상부접합부와 하부접합부의 접합을 통해 전원을 인가받아 써포팅블록이 작동되도록 한 통 크레인용 써포팅블록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통 크레인용 써포팅블록 작동장치는 케이블 릴을 사용하지 않고 통 크레인의 써포팅블록을 작동하는 장치로서, 그라브 하부로 연장되는 통 케이블과, 상기 통 케이블이 연결되면서 회동 동작되는 접합바가 설치되는 상부접합부와, 상기 써포팅블록이 고정된 통 상부에 설치되어 승강동작을 통해 상기 상부접합부의 접합바와 접합 또는 미접합되어 상기 써포팅블록으로 전원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하부접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 크레인용 써포팅블록 작동장치{Supporting block operation apparatus for tongcrane}
본 발명은 통 크레인용 써포팅블록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 릴을 사용하지 않고 상부접합부와 하부접합부의 접합을 통해 전원을 인가받아 써포팅블록이 작동되도록 한 통 크레인용 써포팅블록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 공정에서 생산된 슬라브는 통 크레인을 이용하여 목적지로 이동시키고 있으며, 상기 통 크레인으로 슬라브를 이동시킬 때에는 1매 내지 3매의 슬라브를 1회에 이동시키고 있다.
일반적인 통 크레인 설비의 구성 및 작동관계에 대해서는 "센터빔 추락 방지기능을 갖는 천정기중기의 통스(공개특허 10-2003-0092428)", "장입주편 추락 방지장치(등록실용 20-0331472)" 및 "통 크레인용 슬라브 파지배수 확인장치(등록특허 10-0879355)" 등에서 구체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통 크레인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장크레인과 연결되는 호이스트(1)에 통(2)이 연결되고, 상기 통(2)에는 천장크레인에 설치된 케이블 릴(3)에 감겨있는 통 케이블(4)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블 릴(3)에 감겨있는 통 케이블(4)은 슬라브의 이동을 위하여 통(2)을 권상 또는 권하 동작시키는 경우에 케이블 릴(3)에 감기거나 풀리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통 케이블이 케이블 릴(3)에서 풀리고 감기는 동작을 반복함에 따라 스트레스에 의해 통 케이블이 단선되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또 케이블 릴 내부에 부착된 감김 동작용 판 코일 스프링이 소손되어 통이 권상하는 경우 통 케이블이 권상한 높이만큼 케이블 릴에 감겨지지 않은 채 늘어지게 됨으로써 통이 권하하는 경우에 늘어진 통 케이블이 설비에 간섭되어 절단되는 사례가 있었으며, 이로 인해 설비를 가동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설비 가동중단으로 작업상의 물류를 정체시키고, 후공정의 작업을 지연시키게 되어 제품생산이 감소되며, 정비비의 증가로 원가상승으로 실효성이 없어지는 경우가 파생되게 된다.
공개특허 10-2003-0092428 (2003. 12. 06) 등록실용 20-0331472 (2003. 10. 17) 등록특허 10-0879355 (2009. 01. 12)
본 발명은 케이블 릴 없이 써포팅블록을 작동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조 공장에서 생산된 슬라브를 목적지로 이동시키는 설비인 통 크레인으로 슬라브를 운반할 때 통의 상승시 상부접합부와 하부접합부의 접합을 통해 전원을 인가받아 써포팅블록이 작동되도록 한 통 크레인용 써포팅블록 작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통 크레인용 써포팅블록 작동장치는 케이블 릴을 사용하지 않고 통 크레인의 써포팅블록을 작동하는 장치로서, 그라브 하부로 연장되는 통 케이블과, 상기 통 케이블이 연결되면서 회동 동작되는 접합바가 설치되는 상부접합부와, 상기 써포팅블록이 고정된 통 상부에 설치되어 승강동작을 통해 상기 상부접합부의 접합바와 접합 또는 미접합되어 상기 써포팅블록으로 전원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하부접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접합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중공의 원통체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절개되어 절개홈이 다수 개 형성되며, 그 절개홈에 상기 접합바가 힌지결합되게 마련되고, 상기 상부접합부의 내부에는 상기 하부접합부의 승하강동작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면서 상기 접합바를 접힘 또는 펼침동작하도록 하는 누름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름추는 상기 상부접합부의 내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되고, 하강동작시 상기 접합바의 일측에 걸리도록 외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접합부의 내측면 하부에는 상기 걸림턱이 걸려져 누름추의 하강을 차단하도록 단턱이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합바의 내측면에는 상기 통 케이블이 연결되는 한 쌍의 전도성 패드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접합부는,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넓어지는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통의 상승동작시 상기 접합바의 전도성 패드와 접합되도록 전도성 패드의 설치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접합패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합패드는 상기 하부접합부의 외주면에 패드고정판에 덮혀져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패드고정판에는 상기 접합패드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접합패드의 갯수만큼 패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접합부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통 케이블이 연결되고, 그 통 케이블로부터 전달받은 전원을 다수 개의 상기 접합바로 각각 전달하도록 상부단자박스가 설치되며, 상기 하부접합부의 외주면 일측에는 다수 개의 상기 접합바를 통해 전달받은 전원을 상기 써포팅블록으로 전달하도록 하부단자박스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 릴 없이 접합을 통해 써포팅블록을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 릴의 동작불능이나 부품손상으로 설비의 가동중단으로 인해 발생되는 제품생산 감소 및 정비비 증가를 해소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케이블 릴이 설치된 크레인 설비를 보인 개략적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 크레인용 써포팅블록 작동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 크레인용 써포팅블록 작동장치의 상부접합부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 크레인용 써포팅블록 작동장치의 상부접합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 크레인용 써포팅블록 작동장치의 하부접합부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 크레인용 써포팅블록 작동장치의 하부접합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 크레인용 써포팅블록 작동장치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 크레인용 써포팅블록 작동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 크레인용 써포팅블록 작동장치의 상부접합부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 크레인용 써포팅블록 작동장치의 상부접합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 크레인용 써포팅블록 작동장치의 하부접합부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 크레인용 써포팅블록 작동장치의 하부접합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 크레인용 써포팅블록 작동장치는 케이블 릴을 사용하지 않고 통 크레인의 써포팅블록을 작동하는 장치로서, 그라브(10) 하부로 연장되는 통 케이블(20)과, 상기 통 케이블(20)이 연결되는 접합바(35)가 설치되는 상부접합부(30)와, 상기 써포팅블록(15)이 고정된 통(17) 상부에 설치되어 승강동작을 통해 상기 상부접합부(30)의 접합바(35)와 접합 또는 미접합되어 상기 써포팅블록(15)으로 전원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하부접합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접합부(3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중공의 원통체로 형성되고, 상부 외주면에는 고정편(31)이 다수 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편(31)을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그라브(10) 하부에 고정시킴에 의해 상기 상부접합부(30)가 그라브(10)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상부접합부(30)의 하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절개되어 절개홈(32)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고, 그 절개홈의 상부에 접합바(35)가 각각 힌지결합되게 마련되어 진다.
상기 접합바(35)는 일정 길이의 봉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절개홈(32)에 끼워져 힌지결합되고, 그 힌지결합되는 부위의 일측으로는 상기 상부접합부(30)의 내부로 돌출되게 걸림돌기(35a)가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합바(35)의 타측은 상기 하부접합부(4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접합바(35)는 통(17)의 상승동작시 하부접합부(40)에 의해 회동 동작되면서 그 하부접합부(40)의 외주면에 접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에서는 상기 절개홈(32)과 접합바(35)는 상부접합부(30)의 하부 4개소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접합바(35)로 전원을 전달하도록 상기 상부접합부(30)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부단자박스(37)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단자박스(37)에는 상기 통 케이블(20)이 연결되고, 상기 통 케이블(20)로부터 전달받은 전원을 다수 개의 상기 접합바(35)로 각각 전달하도록 분할하여 전선연결하게 된다. 상기 전선은 접합바(35)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도 있으나 가능하면 접합바(35)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그 공간으로 삽입되게 포설한다.
상기 접합바(35)의 내측면에는 상부단자박스(37)를 통해 분할되는 전선에 각각 연결되도록 한 쌍의 전도성 패드(36)가 설치되어 그 전도성 패드(36)를 통해 상기 하부접합부(40)에 전원을 전달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 케이블(20)은 상부단자박스(37)에 연결되고, 그 상부단자박스(37)에는 8개의 전선이 연결되어 상기 접합바(35)에 설치된 전도성 패드(36)와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접합부(30)의 내부에는 상기 하부접합부(40)의 상부와 접촉되면서 그 하부접합부(40)의 승하강동작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 이동되는 누름추(50)가 설치된다. 상기 누름추(50)는 상승 또는 하강 동작되면서 상기 걸림돌기(35a)를 누르거나 누르는 압력을 해제하여 상기 접합바(35)가 펼쳐지도록 하거나 접혀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하부접합부(40)의 외주면에 상기 접합바(35)를 접합 또는 접합해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누름추(5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접합바(35)의 일측이 걸리도록 걸림턱(52)이 형성되게 하부가 상부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도록 제작된다.
따라서 누름추(50)는 상기 상부접합부(30)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하강동작되는 경우에 상기 접합부(35)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35a)를 가압함으로써 접합부를 펼쳐지게 함은 물론, 상부접합부(30)의 개구된 하부를 통해 이탈하지 않게 된다.
상기 누름추(50)의 하강을 차단하여 누름추(50)가 상부접합부(30)의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부접합부(30)의 내측면 하부에는 상기 걸림턱(52)이 걸려지도록 단턱(33)이 돌출형성된다.
상기 하부접합부(40)의 외부 형상은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넓어지는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통(17)의 권상에 의한 상승동작시 상기 누름추(50)를 밀어올리도록 하고, 이때 하부접합부(40)의 상부가 상부접합부(30)의 하부에 위치되거나 상기 상부접합부(30)의 하부를 통해 일부 삽입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접합부(40)의 외주면에는 상기 통(17)의 권상으로 인한 상승동작시 상기 접합바(35)에 설치된 전도성 패드(36)와 접합되도록 전도성 패드(36)의 설치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접합패드(42)가 설치된다. 상기 접합패드(42)는 상기 하부접합부(40)의 외주면에 패드고정판(44)에 덮혀져 고정수단(47)으로 고정되고, 그 패드고정판(44)에는 상기 접합패드(42)의 가장자리가 덮혀진 채 중앙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접합패드(42)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도록 접합패드(42)의 개수만큼 패드공(45)이 형성된다.
또 상기 하부접합부(40)에는 상기 접합패드(42)와 전선연결되어 접합패드(42)로 전달된 각 전원을 합쳐 써포팅블록(15)으로 전달하도록 하부단자박스(46)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단자박스(46)은 상기 하부접합부(40)의 외주면 일측에 설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하부접합부(40)과 인접한 부위, 예를 들어 통(17)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하부단자박스(46)에 설치된 전선은 상기 하부접합부(40)의 안쪽 공간에 포설되어 상기 접합패드(42)와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통 크레인용 써포팅블록 작동장치의 작동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 크레인용 써포팅블록 작동장치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17)이 하강된 상태에서는 상부접합부(30)와 하부접합부(40)가 서로 이격된 상태이기 때문에 누름추(50)가 자중에 의해 상부접합부(30)의 내부에서 하강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에 따라 누름추(50)가 접합바(35)의 걸림돌기(35a)를 눌러 접합바(35)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크레인의 권상동작에 의하여 권상 종료시점까지 통(17)이 상승하게 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접합부(40)의 상부가 상부접합부(30)의 내부에 설치된 누름추(50)를 밀어올리게 되고, 누름추(50)에 의해 눌러져 펼쳐져 있던 접합바(35)가 접혀지면서 하부접합부(40)에 설치된 접합패드(42)에 전도성 패드(36)가 접촉된다.
상기 전도성 패드(36)와 접합패드(42)의 접촉을 통해 통 케이블(20)의 전원을 포함하여 컨트롤 라인이 써포팅블록(15)과 연결되어 진다.
이에 따라, 크레인 운전실의 통 컨트롤부(미도시)에서 운전자가 슬라브 매수를 선택하게 되면, 모터가 동작하여 써포팅블록(15)을 선택한 매수로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통(17)을 권상하여 접합바(35)와 접합패드(42)의 접촉을 통해 전원과 컨트롤라인을 연결시켜 슬라브 매수선택을 하고 난 후 통(17)을 다시 권하하여 슬라브를 집어 이송하고, 그 후 다시 통(17)을 권상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슬라브를 목적지를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슬라브의 매수선택이 완료되면 통(17)을 권하하여 해당 위치로 이동되게 한 후 슬라브를 집게 되는데, 이때 하부접합부(40)가 통(17)의 권하동작으로 인하여 하강동작됨에 따라 누름추(50)가 상부접합부(30) 내부에서 하강하면서 접합바(35)의 걸림돌기(35a)를 가압하게 되고, 그로 인해 접합바(35)가 펼쳐져 접합패드(42)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하나의 통 케이블로 케이블 릴과 통을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케이블 릴에 의해 통 케이블이 감기고 풀리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케이블 릴 없이 상부접합부(30)와 하부접합부(40)를 마련하여 통(17)이 권상한 경우 상부접합부(30)와 하부접합부(40)가 접촉되면서 통 케이블(20)이 연결되어 크레인 운전실에서 통으로 전원과 컨트롤 신호를 전달하여 써포팅블록(15)을 작동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 그라브 15: 써포팅블록
17: 통 20: 통 케이블
30: 상부접합부 31: 고정편
32: 절개홈 33: 단턱
34: 고정브라켓 35: 접합바
35a: 걸림돌기 36: 전도성 패드
37: 상부단자박스 40: 하부접합부
42: 접합패드 44: 패드고정판
45: 패드공 46: 하부단자박스
47: 고정수단 50: 누름추
52: 걸림턱

Claims (7)

  1. 케이블 릴을 사용하지 않고 통 크레인의 써포팅블록을 작동하는 장치로서,
    그라브 하부로 연장되는 통 케이블과,
    상기 통 케이블이 연결되면서 회동 동작되는 접합바가 설치되는 상부접합부와,
    상기 써포팅블록이 고정된 통 상부에 설치되어 승강동작을 통해 상기 상부접합부의 접합바와 접합 또는 미접합되어 상기 써포팅블록으로 전원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하부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접합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중공의 원통체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절개되어 절개홈이 다수 개 형성되며, 그 절개홈에 상기 접합바가 힌지결합되게 마련되고,
    상기 상부접합부의 내부에는 상기 하부접합부의 승하강동작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면서 상기 접합바를 접힘 또는 펼침동작하도록 하는 누름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크레인용 써포팅블록 작동장치.
  2. 케이블 릴을 사용하지 않고 통 크레인의 써포팅블록을 작동하는 장치로서,
    그라브 하부로 연장되는 통 케이블과,
    상기 통 케이블이 연결되면서 회동 동작되는 접합바가 설치되는 상부접합부와,
    상기 써포팅블록이 고정된 통 상부에 설치되어 승강동작을 통해 상기 상부접합부의 접합바와 접합 또는 미접합되어 상기 써포팅블록으로 전원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하부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바의 내측면에는 상기 통 케이블이 연결되는 한 쌍의 전도성 패드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접합부는,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넓어지는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통의 상승동작시 상기 접합바의 전도성 패드와 접합되도록 전도성 패드의 설치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접합패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크레인용 써포팅블록 작동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름추는 상기 상부접합부의 내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되고, 하강동작시 상기 접합바의 일측에 걸리도록 외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크레인용 써포팅블록 작동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접합부의 내측면 하부에는 상기 걸림턱이 걸려져 누름추의 하강을 차단하도록 단턱이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크레인용 써포팅블록 작동장치.
  5. 삭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합패드는 상기 하부접합부의 외주면에 패드고정판에 덮혀져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패드고정판에는 상기 접합패드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접합패드의 갯수만큼 패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크레인용 써포팅블록 작동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접합부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통 케이블이 연결되고, 그 통 케이블로부터 전달받은 전원을 다수 개의 상기 접합바로 각각 전달하도록 상부단자박스가 설치되며,
    상기 하부접합부의 외주면 일측에는 다수 개의 상기 접합바를 통해 전달받은 전원을 상기 써포팅블록으로 전달하도록 하부단자박스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크레인용 써포팅블록 작동장치.
KR1020120049557A 2012-05-10 2012-05-10 통 크레인용 써포팅블록 작동장치 KR101354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557A KR101354952B1 (ko) 2012-05-10 2012-05-10 통 크레인용 써포팅블록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557A KR101354952B1 (ko) 2012-05-10 2012-05-10 통 크레인용 써포팅블록 작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927A KR20130125927A (ko) 2013-11-20
KR101354952B1 true KR101354952B1 (ko) 2014-01-23

Family

ID=49854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557A KR101354952B1 (ko) 2012-05-10 2012-05-10 통 크레인용 써포팅블록 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49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5391A (ja) * 1991-10-16 1993-04-27 Murata Mach Ltd 天井走行車
JPH0752147Y2 (ja) * 1989-06-22 1995-11-29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天井クレーンの連結装置
KR200177127Y1 (ko) 1999-09-04 2000-04-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크레인용 강판코일 리프터의 전원 공급장치
KR100881202B1 (ko) * 2008-10-23 2009-02-06 금오테크(주)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2147Y2 (ja) * 1989-06-22 1995-11-29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天井クレーンの連結装置
JPH05105391A (ja) * 1991-10-16 1993-04-27 Murata Mach Ltd 天井走行車
KR200177127Y1 (ko) 1999-09-04 2000-04-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크레인용 강판코일 리프터의 전원 공급장치
KR100881202B1 (ko) * 2008-10-23 2009-02-06 금오테크(주)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927A (ko)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74140A1 (ja) ゴンドラ装置を備える作業用車両
RU2010112249A (ru) Способ сборки, разборки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мобильного подъемного крана
JP6076031B2 (ja) 仮設構造物の荷上げ装置
KR20070116222A (ko) 건설장치용 클램프
NZ573791A (en) Remote manipulator for individually moving and separating multiple sub-conductors in a live or energised single phase bundle
US10023444B2 (en) Construction machine and method for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a lifting element
KR20180053977A (ko)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
KR101354952B1 (ko) 통 크레인용 써포팅블록 작동장치
JP5884467B2 (ja) リフトアップ装置の線材の降下装置、及び、リフトアップ工法における線材の降下方法
KR101068229B1 (ko) 타워크레인 해체 하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체 하역 방법
JP5958764B2 (ja) 揚重装置、揚重方法および建物の解体方法
EP3197808B1 (en) Reel drive assembly
JP2014159331A (ja) 吊持装置、及び吊持補助具
JP2014047479A (ja) 解体建物への解体重機揚重方法
JP3655161B2 (ja) 橋梁の撤去・架設工法
JP2011240998A (ja) 吊り具及びこれを用いた吊り荷の吊り上げ搬送方法
JP5331539B2 (ja) 鉄塔組立・解体用デリック
KR20150023157A (ko) 블록로더
JP7224189B2 (ja) クレーンとワイヤリング方法
JP5098389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ケーブル吊手装置
JP6346573B2 (ja) 吊り具
JP2012001894A (ja) 連続揚重装置
JP7307652B2 (ja) 搬送方法及び搬送装置
KR101323793B1 (ko) 케이블 공급장치
JP3357917B2 (ja) ジブクレーンのワイヤロープ本数の切替え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