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3157A - 블록로더 - Google Patents

블록로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3157A
KR20150023157A KR20130100376A KR20130100376A KR20150023157A KR 20150023157 A KR20150023157 A KR 20150023157A KR 20130100376 A KR20130100376 A KR 20130100376A KR 20130100376 A KR20130100376 A KR 20130100376A KR 20150023157 A KR20150023157 A KR 20150023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cable
block
lifting
wire
lo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0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귀평
임현진
이준영
정준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0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3157A/ko
Publication of KR20150023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31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Abstract

크레인을 이용한 선박의 블록 조립에 이용되는 블록로더가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로더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하부에 이격되어 연결되는 스내치, 상단은 상기 스내치에 연결되고 하단은 들어올릴 대상물에 연결되는 인양케이블 및 상기 인양케이블을 접는 인양케이블 폴딩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로더{BLOCK LOADER}
본 발명은 블록로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의 주문으로 시작하여 설계, 건조, 인도로 이루어지는 조선공업은, 그 과정에서 빚어지는 영업상의 채산성이 그 산업의 생존 및 성공을 좌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채산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는 배의 건조과정에서의 생산성이며, 모든 조선사들은 이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경쟁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다양한 선박건조공법이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일반적으로 블록건조법이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블록건조법은 우선 선체를 수십개 혹은 수백개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그 개개의 블록들을 지상에서 조립제작하고, 제작된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선대 위에 탑재하여 하나의 선체로 조립해내는 방법이다.
위와 같은 블록건조법에 따른 선박 건조는 크게 소조립, 중조립, 대조립을 포함한 내업 제작 공정과, 대조립된 대조 블록의 선탑재(PE, Pre-Erection), 도크 블록 탑재를 포함한 외업 제작 공정에 이르는 전 공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선박 건조에서는 조립된 블록 단위의 중간제품을 서로 쌓으며 연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크레인이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조선소의 크레인은 골리앗 크레인, 도크마스터, 지상크레인, 지브크레인 등이 있고, 이 같은 조선소의 크레인은 해당 크레인의 중량과 안전율을 고려한 리프팅 능력에 맞게 인양대상물인 블록 또는 의장품 등을 들어 올릴 수 있다.
일반적인 크레인은 메인와이어와, 메인와이어에 결합되는 후크와, 후크에 연결되는 블록로더(block load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블록로더는 스내치(snatch), 인양케이블, 샤클(shackle) 등을 구비하여 인양대상물을 인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평빔 구조의 본체부에 마련된 시브(sheave)에는 로더 메인 와이어가 연결되고, 로더 메인 와이어의 중간 중간에는 다수의 스내치(또는 풀리 블록(pulley block))가 연결되어 있다. 인양하려는 블록은 샤클에 연결되고, 샤클은 케이블 및 스내치를 통해 본체부에 연결된다.
한편, 블록건조법에 있어서, 대상 블록의 일면에 대한 용접 등의 작업이 완료된 후 타면에 대한 작업을 위해 대상 블록을 180도 뒤집는 작업이 매우 빈번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턴오버(turn-over) 작업이라고 부른다.
턴오버 작업 과정 중 블록로더가 대상 블록을 넘나들며 그 위치를 이동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 길이가 긴 인양케이블이 블록을 넘어가는데 있어서 장애로 작용할 수 있다.
즉, 블록을 세로로 세워 놓은 상태에서 블록로더가 블록의 반대편으로 이동할 경우, 인양케이블이 블록에 걸려 이동이 제한될 수 있으며, 무리하게 이동을 강행할 경우 블록에 스크래치, 파손 등의 결함이 발생됨은 물론이고 인양케이블이 꼬이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작업 현장에서는 위와 같은 상황 시 작업자가 직접 인양케이블을 절반 정도로 접어 결속하는 작업을 한 후 이동을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인양케이블 결속 작업이 특별한 기계적 장치 없이 작업자에 의해 손수 이루어지다 보니 작업자의 안전이 위협 받을 수 있고, 시간 및 인력의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2627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박 블록의 턴오버 작업 시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는 크레인의 블록로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선박의 건조 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크레인의 블록로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선박의 건조 시 작업자의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는 크레인의 블록로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로더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하부에 이격되어 연결되는 스내치, 상단은 상기 스내치에 연결되고 하단은 들어올릴 대상물에 연결되는 인양케이블 및 상기 인양케이블을 접는 인양케이블 폴딩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양케이블의 하단에는 샤클이 제공되고, 상기 대상물은 상기 샤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로더는 상기 인양케이블 폴딩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장치는 외부에서 무선으로 조작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양케이블 폴딩 장치는, 상기 인양케이블 및 상기 샤클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권취함으로써 상기 인양케이블을 접는 권취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양케이블 및 와이어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권취장치는 복수의 드럼을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와이어를 일거에 권취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인양케이블을 일거에 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양케이블 폴딩 장치는 본체부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되되, 상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본체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본체부의 하면 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선박 블록의 턴오버 작업 시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는 크레인의 블록로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선박의 건조 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크레인의 블록로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선박의 건조 시 작업자의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는 크레인의 블록로더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로더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인양케이블 폴딩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로더(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인양케이블 폴딩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 블록로더(10)의 상부에 위치하는 크레인 붐(boom) 및 크레인 메인와이어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로더(10)는 본체부(110), 스내치(120), 인양케이블(130) 및 인양케이블 폴딩 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리프팅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수평빔 형태의 구조물로서, 후술할 스내치(120)가 연결되는 도르래(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내치(120)는 다지점 방식의 크레인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블록로더용 하중 분산 수단일 수 있다. 이러한 스내치(120)는 본체부(110)의 하부에 이격되어 연결되고, 본체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으로 상호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로더메인와이어(20)는 스내치(120)와 도르래(30)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그 양단은 본체부(110)에 마련된 고정부(12, 14)에 고정될 수 있다. 로더메인와이어(20)가 고정부(12, 14)에 고정되고, 스내치(120) 및 도르래(30)를 경유하여 연장됨으로써, 블록로더(10)에 의해 인양될 대상물(1)의 하중이 분산될 수 있다.
스내치(120)의 하부에는 인양케이블(130)이 연결되며, 인양케이블(130)의 단부에는 대상물(1)이 연결 고정될 수 있는 샤클(135)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샤클(135)은 대상물(1)에 제공된 러그(lug)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샤클(135)이 인양케이블(130)에 연결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인양케이블(130)이 직접 인양대상물에 고정될 수도 있다.
블록, 의장품 등의 대상물(1)이 샤클(135)에 연결된 상태에서 크레인의 붐(미도시)이 위로 상승하면, 본체부(110)가 상승되고, 메인로더와이어(20) 및 인양 케이블(130)이 팽팽해지면서 대상물(1)이 인양될 수 있다.
전술하였듯이,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대상물(1)의 턴오버 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있어서, 블록로더(10)는 대상물(1)을 넘나들며 이동할 필요가 많다. 특히, 대상물(1)이 세로로 세워져 있을 때 대상물(1)을 넘어 이동해야 하는 경우, 대상물(1)의 스크래치 및 파손 방지와 인양케이블(130)의 꼬임 방지를 위해 인양케이블(130)을 일정 부분 접어 그 길이를 줄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로더(10)는 인양케이블 폴딩 장치(140)를 포함한다. 인양케이블 폴딩 장치(140)는 인양케이블(130)의 하단을 상승시켜 인양케이블(130)을 접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양케이블 폴딩 장치(140)가 샤클(135)을 잡아당겨 인양케이블(130)의 하단을 상승시킴으로써 인양케이블(130)을 접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인양케이블 폴딩 장치(140)는 인양케이블(130) 특정 지점을 직접 잡아당김으로써 인양케이블(130)을 접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인양케이블 폴딩 장치(140)는 권선 가능한 와이어(146)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와이어(146)의 일단은 인양케이블(130, 131)의 하단에 제공된 샤클(135)에 연결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 하에서, 인양케이블 폴딩 장치(140)는 와이어(146)를 끌어당기고, 이로써 와이어(146)의 일단과 연결된 인양케이블(131)의 하단 역시 상승될 수 있어, 결국 인양케이블(131)이 접힐 수 있다.
보다 자세히 도 2를 참조하면, 인양케이블 폴딩 장치(140)는 권취장치(145), 와이어(146)을 포함할 수 있다.
권취장치(145)는 와이어(146)를 감거나 풀어 와이어(146)를 끌어올리거나 내리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윈치(winch)일 수 있다. 권취장치(145)는 드럼을 포함하여 상기 드럼에 와이어(146)가 권취될 수 있다.
와이어(146)는 권취장치(145)에 권취되되, 전술한 바와 같이 일단은 인양케이블(130, 131)의 하단에 제공된 샤클(135)에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146)가 권취장치(145)에 의해 권취됨에 따라 인양케이블(131)의 하단 역시 상승하여 인양케이블(131)은 접힐 수 있다.
한편, 권취장치(145) 및 이에 권취된 와이어(146)는 케이스(144)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케이스(144)의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하측)에는 와이어(146)가 케이스(144)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로더(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록로더(10)의 좌측 2개의 인양케이블(130)은 접히지 않은 상태로서, 그 길이가 길어 블록로더(10)가 비교적 큰 높이를 가지는 대상물(1) 위를 이동할 때 상기 대상물(1)에 의해 간섭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인양케이블 리프팅 장치(140)는 인양케이블(131)의 하단을 상승시켜 도 1의 우측에 도시된 것처럼 인양케이블(131)을 접을 수 있다.
이로써, 블록로더(10)는 블록, 의장품 등의 대상물(1)에 의한 간섭 없이 대상물(1) 위를 넘어 이동할 수 있으며, 인양케이블 리프팅 장치(140)라는 기계적 구성을 통해 작업자가 손수 인양케이블(130)을 접어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또한, 선박 블록의 턴오버 작업 시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는 크레인의 블록로더(1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양케이블(130, 131) 및 와이어(146)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권취장치(145)는 복수의 드럼을 포함하여 복수의 와이어(146)를 일거에 권취함으로써 복수의 인양케이블(131)을 일거에 상승시켜 접을 수 있다.
권취장치(145)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위와 같은 구성을 위해 복수의 모터가 복수의 드럼에 각각 연결될 수 있고, 또는 한 개의 모터에 복수의 드럼이 연결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양케이블(130, 131) 및 와이어(146)가 각각 4개인 구성을 예로 들었으며, 이 때 권취장치(145)는, 예를 들어 2개의 드럼을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총 2개의 인양케이블 폴딩 장치(140)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로더(10)는 제어장치(147)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장치(147)는 인양케이블 폴딩 장치(1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147)는 인양케이블 폴딩 장치(140)의 권취장치(145)에 포함된 모터의 작동을 on/off할 수 있다.
이 때, 제어장치(147)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소정의 콘트롤러를 휴대하고 제어장치(147)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147)에는 외부의 콘트롤러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미도시)이 내장될 수 있고, 상기 콘트롤러의 조작을 통해 제어장치(147)의 조작이 가능할 수 있다. 또는, 제어장치(147)의 통신모듈이 외부의 안테나와 유선 방식으로 연결되고, 외부의 콘트롤러가 상기 안테나를 경유하여 통신모듈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로써, 블록로더(10)가 지상까지 내려오지 않아도 공중에서 간단한 방식으로 인양케이블(130, 131)을 접어 전력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한편, 작업장의 환경에 따라 블록로더(10)의 인양케이블(130, 131)은 대상물(1)을 넘어서 이동하는 것뿐만 아니라, 복수의 대상물 또는 구조물 사이의 좁은 공간을 통과해야 할 필요도 있다. 즉, 좁은 간격을 블록로더(10)의 길이 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블록과 블록 사이의 거리가 매우 좁고, 그 사이를 블록로더(10)가 길이 방향으로 통과해야 하는 경우, 인양케이블(130, 131)을 접었을 때 본체부(10)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는 인양케이블(130, 131) 또는 샤클(135) 등의 구성이 블록에 간섭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위와 같은 경우에도, 블록로더(10)는 해당 대상물 또는 구조물 사이를 이동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인양케이블 폴딩 장치(140)는 본체부(11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양케이블 폴딩 장치(140)가 본체부(110)의 하면에 배치되어 와이어(146)와 인양케이블(130, 131)이 본체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른 동일 선상에 존재한다면 인양케이블(130, 131)의 하단이 상승하여 인양케이블(130, 131)이 접힌 경우에도 인양케이블(130, 131)은 상기 본체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른 동일 선상에 존재할 것이다. 따라서, 인양케이블(130, 131)과 와이어(146)가 본체부(110)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보다 더 좁은 틈새로도 인양케이블(130, 131)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취지로, 인양케이블 폴딩 장치(140)는 본체부(1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인양케이블 폴딩 장치(140)가 본체부(110)의 상면에 위치할 때 와이어(146)가 본체부(110)의 측면을 타고 내려온다면 와이어(146)와 인양케이블(130, 131)은 본체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른 동일 선상에 존재하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본체부(110)의 폭 방향으로 일정 부분 돌출될 수 있으며, 결국 블록로더(10)는 좁은 간격을 본체부(10)의 길이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에 제한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1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홀(115)을 구현하였다. 인양케이블 폴딩 장치(140)로부터 배출된 와이어(146)는 관통홀(115)을 통해 본체부(110)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본체부(110)의 하면 측으로 배출될 수 있어,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고, 그와 같은 실시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블록로더 110: 본체부
115: 관통홀 120: 스내치
130, 131: 인양케이블 135: 샤클
140: 인양케이블 폴딩 장치 145: 권취장치
146: 와이어 147: 제어장치

Claims (6)

  1. 크레인을 이용한 선박의 블록 조립에 이용되는 블록로더로서,
    본체부;
    상기 본체부 하부에 이격되어 연결되는 스내치;
    상단은 상기 스내치에 연결되고 하단은 들어올릴 대상물에 연결되는 인양케이블; 및
    상기 인양케이블을 접는 인양케이블 폴딩 장치;를 포함하는 블록로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케이블의 하단에는 샤클이 제공되고, 상기 대상물은 상기 샤클에 연결되는 블록로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케이블 폴딩 장치는,
    상기 인양케이블 및 상기 샤클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권취함으로써 상기 인양케이블을 접는 권취장치를 포함하는 블록로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케이블 및 와이어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권취장치는 복수의 드럼을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와이어를 일거에 권취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인양케이블의 하단을 일거에 접는 블록로더.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케이블 폴딩 장치는 본체부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되되, 상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본체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본체부의 하면 측으로 배출되는 블록로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로더는 상기 인양케이블 폴딩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외부에서 무선으로 조작 가능한 블록로더.
KR20130100376A 2013-08-23 2013-08-23 블록로더 KR201500231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0376A KR20150023157A (ko) 2013-08-23 2013-08-23 블록로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0376A KR20150023157A (ko) 2013-08-23 2013-08-23 블록로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3157A true KR20150023157A (ko) 2015-03-05

Family

ID=53020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0376A KR20150023157A (ko) 2013-08-23 2013-08-23 블록로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31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977A (ko) 2015-06-30 2017-01-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크레인용 블록 로더
KR20190073014A (ko) 2017-12-18 2019-06-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크레인용 블록 로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977A (ko) 2015-06-30 2017-01-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크레인용 블록 로더
KR20190073014A (ko) 2017-12-18 2019-06-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크레인용 블록 로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232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crane, and crane
CN103626058A (zh) 副臂变幅装置、起重机及副臂变幅方法
JP5961416B2 (ja) クレーンの複滑車機構
KR20150023157A (ko) 블록로더
CN112585077B (zh) 扬程延长式施工用电梯
EP3473582B1 (en) Mobile crane
JP2012184060A (ja) クレーン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068229B1 (ko) 타워크레인 해체 하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체 하역 방법
KR101775500B1 (ko) 밸런스 장치를 갖는 오토 통의 안전장치
JP2018193235A (ja) クレーン
WO2015152235A1 (ja) クレーンの製造方法及びクレーンの上架構造体の上架システム
JP2014047479A (ja) 解体建物への解体重機揚重方法
JP6223888B2 (ja) 橋形クレーン
JP2020111432A (ja) クレーンとワイヤリング方法
JP6166940B2 (ja) クレーンを用いた吊り上げ方法および吊り上げ補助装置
JP6778415B2 (ja) 移動式クレーン
JP3308488B2 (ja) 法面における施工設備
JP6504589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210019719A (ko) 해양관측을 위한 이동형 윈치
JP7220349B2 (ja) クレーン
KR101467257B1 (ko) 자동 샤클을 이용한 비계류 인양 장치 및 방법
JP2015189542A (ja) 岸壁クレーン
KR20140002823U (ko) 크레인의 승강도르래
JP2017178580A (ja) 岸壁クレーン
JP2023111751A (ja) 吊荷回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