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894B1 - 몰드 코일 및 몰드 코일을 이용한 전자 밸브 - Google Patents

몰드 코일 및 몰드 코일을 이용한 전자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894B1
KR101352894B1 KR1020120010806A KR20120010806A KR101352894B1 KR 101352894 B1 KR101352894 B1 KR 101352894B1 KR 1020120010806 A KR1020120010806 A KR 1020120010806A KR 20120010806 A KR20120010806 A KR 20120010806A KR 101352894 B1 KR101352894 B1 KR 101352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rame
earth terminal
bobbin
terminal
mold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0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0817A (ko
Inventor
카즈히코 오사와
아키오 마루야마
히로토 요시노야
히사시 후루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사기노미야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사기노미야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사기노미야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20090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Electromagnets (AREA)
  • Insulating Of Coils (AREA)

Abstract

[과제] 급전 단자와 소켓 조립체의 급전 단자 소켓과의 전기적 접속, 어스 단자와 소켓 조립체의 어스 단자 소켓과의 전기적 접속을 확실하게 도모할 수 있어, 전자 밸브의 작동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몰드 코일 및 몰드 코일을 이용한 전자 밸브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전자 밸브의 밸브체를 구동하기 위해 이용되고, 수지로 몰딩된 몰드 코일로서, 권선이 권취된 보빈과, 보빈에 부착되고 권선의 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한 쌍의 급전 단자와, 보빈을 둘러싸는 자기 프레임과, 자기 프레임에 접속된 어스 단자를 구비하고, 어스 단자를 자기 프레임의 내벽에 접속고정하였다.

Description

몰드 코일 및 몰드 코일을 이용한 전자 밸브{MOLDED COIL AND SOLENOID CONTROLLED VALV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 밸브의 밸브체를 구동하기 위해 이용되고, 수지로 몰딩된 몰드 코일 및 몰드 코일을 이용한 전자 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 밸브에 이용되는 코일에 방수성을 갖게 하기 위해, 코일 전체를 수지로 피복한 몰드 코일이 이용되고, 몰드 코일의 밸브 본체 장착용 홀에 밸브 본체가 장착되어 전자 밸브가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방수 목적으로 사용되는 전자 밸브에서는, 이른바 규격화된 ‘DIN 소켓(또는 DIN 커넥터)’으로 불리는 소켓 조립체를 접속하게 되어 있다.
즉, 보빈에 부착되고 권선의 단부(端部)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한 쌍의 급전 단자와, 소켓 조립체의 급전 단자 소켓, 그리고 보빈을 둘러싸는 자기(磁氣) 프레임에 접속된 어스 단자와, 소켓 조립체의 어스 단자 소켓을, 몰드 코일에 소켓 조립체를 접속함으로써,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어스 단자와 급전 단자의 상대 위치, 돌출 거리 등이 규격으로 정해져 있으며, 또한 어스 단자를 자기 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에는, 종래 코일 권선의 어스 단자, 급전 단자와의 접속을, 단자 기판과 리드선에 의해 행하고 있어 접속이 약했기 때문에, 급전 단자와 어스 단자를 수지제의 코일 보빈에 직접 부착함으로써 접속을 견고하게 하고, 또한 단자 기판(프린트 기판)이 불필요해진 몰드 코일이 개시되어 있다.
즉,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의 몰드 코일(100)에서는 어스 단자(102)의 기단부(基端部)(104)를 몰드 코일(106)의 전자 밸브 장착용 홀(108)까지 연장함으로써, 전자 밸브(110)와 몰드 코일(106) 사이에 어스 단자(102)를 개재하여, 전자 밸브(110)와 어스 단자(102)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의 몰드 코일(200)이 개시되어 있다. 즉, 이 몰드 코일(200)에서는 프린트 기판(202)에 급전 단자(204)를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어스 단자(206)의 끼움편(208)을 자기 프레임(210)의 끼움 홀(211)에 끼움으로써, 어스 단자(206)를 자기 프레임(210)의 외벽 측에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자기 프레임(210)의 외벽과 어스 단자(206) 사이에 프린트 기판(202)을 삽입하여 고정함과 함께, 스페이서(212)를 개재하여 암나사(214)를 나사결합함으로써, 자기 프레임(210)에 급전 단자(204)를 고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4-34936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7-208177호 공보
그렇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몰드 코일에서는, 어느 경우든 용융 수지의 주입 시, 보빈과 보빈을 둘러싸는 자기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보빈 조립품이 금형 내에서 어긋나서 피복부의 두께가 부분적으로 얇아지거나, 자기 프레임이 피복부의 표면에 노출되거나, 어스 단자와 급전 단자의 상대 위치, 돌출 거리 등이 어긋나게 된다.
그 결과, 소켓 조립체를 몰드 코일에 고정할 수 없어서, 급전 단자와 소켓 조립체의 급전 단자 소켓과의 전기적 접속, 어스 단자와 소켓 조립체의 어스 단자 소켓과의 전기적 접속을 도모할 수 없기 때문에, 전자 밸브가 작동 불량이 될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몰드 코일(100)에서는, 전자 밸브(110)와 몰드 코일(106) 사이에 어스 단자(102)를 개재함으로써, 전자 밸브(110)와 어스 단자(102)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으므로, 전자 밸브(110)와 몰드 코일(106)의 탈착을 반복하면, 탈착 시마다 어스 단자(102)와 전자 밸브(110)가 닿기 때문에 접촉면이 마모되어 전기적 접촉이 나빠지고, 그 결과 전자 밸브(110)가 작동 불량이 될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몰드 코일(200)에서는, 급전 단자(204)와 어스 단자(206)를 자기 프레임(210)의 외벽에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프린트 기판(202)이 필요해져, 프린트 기판(202)이 필요한 만큼 몰드 코일(200)이 대형화되게 된다.
또한, 소켓 조립체를 고정, 탈착할 때, 스페이서(212) 선단의 암나사(214)에 회전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스페이서(212)가 함께 회전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스페이서(212)가 회전하면, 어스 단자(206)와 자기 프레임(210)에 틈이 생겨 어스 단자(206)의 견고한 접속이 불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현상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별도로 위치 결정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 보빈과 자기 프레임을 소정의 위치에서 위치 결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용융 수지의 주입 시, 보빈 조립품이 금형 내에서 어긋나서 피복부의 두께가 부분적으로 얇아지거나, 자기 프레임이 피복부의 표면에 노출되거나, 어스 단자와 급전 단자의 상대 위치, 돌출 거리 등이 어긋나는 일이 없이, 어스 단자와 급전 단자의 상대 위치, 돌출 거리 등이 일정하고, 그 결과, 급전 단자와 소켓 조립체의 급전 단자 소켓과의 전기적 접속, 어스 단자와 소켓 조립체의 어스 단자 소켓과의 전기적 접속을 확실하게 도모할 수 있어, 전자 밸브의 작동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몰드 코일 및 몰드 코일을 이용한 전자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린트 기판이 불필요하고 몰드 코일을 소형화할 수 있어서, 전자 밸브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는 몰드 코일 및 몰드 코일을 이용한 전자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기 효율의 저하를(자기 손실을) 초래하는 일 없이 몰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몰드 코일 및 몰드 코일을 이용한 전자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몰드 코일은,
전자 밸브의 밸브체를 구동하기 위해 이용되고, 수지로 몰딩된 몰드 코일로서,
권선이 권취된 보빈과,
상기 보빈에 부착되고 권선의 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한 쌍의 급전 단자와,
상기 보빈을 둘러싸는 자기 프레임과,
상기 자기 프레임에 접속된 어스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어스 단자를 자기 프레임의 내벽에 접속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어스 단자를 자기 프레임의 내벽에 접속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자기 프레임 자체가 어스 단자로서 기능한다.
그 때문에, 종래와 같이 전자 밸브와 몰드 코일 사이에 어스 단자를 개재하는 구조보다 어스 단자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자기 프레임과 전자 밸브의 접촉면 전체에서 접지할 수 있고 전기적 접촉이 보다 확실해진다.
또한, 프린트 기판이 불필요하고, 또한 어스 단자를 자기 프레임의 내벽에 접속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어스 단자를 자기 프레임의 외벽에 접속고정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몰드 코일을 소형화할 수 있어서, 전자 밸브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몰드 코일은,
상기 보빈에 어스 단자 위치 결정용 홈이 형성되고, 보빈과 어스 단자가 접속된 자기 프레임이 소정의 위치에서 위치 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보빈에 형성된 어스 단자 위치 결정용 홈에 자기 프레임에 접속된 어스 단자가 끼워맞춰지므로, 어스 단자 위치 결정용 홈이 스토퍼(stopper)로서 기능함과 함께, 자기 프레임 내에서 보빈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어스 단자와 보빈 사이의 위치 결정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로 위치 결정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 보빈과 자기 프레임을 소정의 위치에서 위치 결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용융 수지의 주입 시, 보빈 조립품이 금형 내에서 어긋나서 피복부의 두께가 부분적으로 얇아지거나, 자기 프레임이 피복부의 표면에 노출되거나, 어스 단자와 급전 단자의 상대 위치, 돌출 거리 등이 어긋나는 일이 없이, 어스 단자와 급전 단자의 상대 위치, 돌출 거리 등이 일정하다.
또한, 어스 단자의 자기 프레임에 대한 고정 위치가 다소 어긋나더라도, 어스 단자와 급전 단자의 위치 관계가 일정해진다.
그 결과, 급전 단자와 소켓 조립체의 급전 단자 소켓과의 전기적 접속, 어스 단자와 소켓 조립체의 어스 단자 소켓과의 전기적 접속을 확실하게 도모할 수 있어, 전자 밸브의 작동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몰드 코일은,
상기 자기 프레임에는 복수의 관통 홀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관통 홀이 자기 프레임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위치가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몰딩 시에 용융 수지가 자기 프레임의 내부에 침투하기 쉬워지도록 자기 프레임에 관통 홀을 마련하고 있는데, 복수의 관통 홀을 마련하면 단면적이 극단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이 생겨 자기 손실이 된다. 자기 손실이 클 경우 코일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몰드 코일에 따르면, 복수의 관통 홀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이들 관통 홀이 자기 프레임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위치가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면적이 최소한으로 감소되고, 그 결과 자기 효율의 저하를(자기 손실을) 초래하지 않고 몰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몰드 코일은,
상기 자기 프레임에는 급전 단자가 자기 프레임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급전 단자용 노치(notch)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자기 프레임에 급전 단자가 자기 프레임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급전 단자용 노치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급전 단자(26)를 보빈(24)에 근접시킬 수 있어, 몰드 코일을 콤팩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몰드 코일은,
상기 자기 프레임에는 어스 단자를 자기 프레임의 내벽에 접속고정하는 지그용 관통 홀 또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어스 단자를 자기 프레임의 내벽에 접속고정하는 지그를 관통 홀 또는 노치를 통해 삽입하여 어스 단자를 자기 프레임의 내벽에 확실하게 접속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몰드 코일은,
상기 보빈의 상면에 자기 프레임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빈과 급전 단자로 이루어지는 보빈 조립체를 자기 프레임에 삽입했을 때, 상기 돌출부가 자기 프레임에 의해 압축변형되어 보빈 조립체와 자기 프레임의 틈을 메움으로써, 보빈 조립체와 자기 프레임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보빈과 급전 단자로 이루어지는 보빈 조립체를 자기 프레임에 삽입하여 코일 조립체를 조립하는데, 이때 코일 조립체를 옆으로 넘어뜨리면, 보빈 조립체와 자기 프레임 사이에 틈이 있기 때문에, 보빈 조립체가 자기 프레임으로부터 빠지거나, 자기 프레임에 대한 보빈 조립체의 위치가 어긋나는 일이 있어, 조립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이 보빈의 상부에 이와 같은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보빈과 급전 단자로 이루어지는 보빈 조립체를 자기 프레임에 삽입(압입(壓入))했을 때, 돌출부가 압축변형됨으로써 압착된다. 즉, 보빈 조립체와 자기 프레임의 틈을 압축변형된 돌출부가 메우게 되므로, 보빈 조립체와 자기 프레임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의 압축변형의 힘에 의해, 자기 프레임에 보빈 조립체가 꽉 눌린 상태로 고정되므로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몰드 코일의 밸브 본체 장착용 홀에 밸브 본체가 장착된 전자 밸브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스 단자를 자기 프레임의 내벽에 접속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자기 프레임 자체가 어스 단자로서 기능한다.
그 때문에, 종래와 같이 전자 밸브와 몰드 코일 사이에 어스 단자를 개재하는 구조보다 어스 단자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자기 프레임과 전자 밸브의 접촉면 전체에서 접지할 수 있고 전기적 접촉이 보다 확실해진다.
또한, 프린트 기판이 불필요하고, 또한 어스 단자를 자기 프레임의 내벽에 접속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어스 단자를 자기 프레임의 외벽에 접속고정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몰드 코일을 소형화할 수 있어서, 전자 밸브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보빈에 형성된 어스 단자 위치 결정용 홈에 자기 프레임에 접속된 어스 단자가 끼워맞춰지므로, 어스 단자 위치 결정용 홈이 스토퍼로서 기능함과 함께, 자기 프레임 내에서 보빈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어스 단자와 보빈 사이의 위치 결정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로 위치 결정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 보빈과 자기 프레임을 소정의 위치에서 위치 결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용융 수지의 주입 시, 보빈 조립품이 금형 내에서 어긋나서 피복부의 두께가 부분적으로 얇아지거나, 자기 프레임이 피복부의 표면에 노출되거나, 어스 단자와 급전 단자의 상대 위치, 돌출 거리 등이 어긋나는 일이 없이, 어스 단자와 급전 단자의 상대 위치, 돌출 거리 등이 일정하다.
또한, 어스 단자의 자기 프레임에 대한 고정 위치가 다소 어긋나더라도, 어스 단자와 급전 단자의 위치 관계가 일정해진다.
그 결과, 급전 단자와 소켓 조립체의 급전 단자 소켓과의 전기적 접속, 어스 단자와 소켓 조립체의 어스 단자 소켓과의 전기적 접속을 확실하게 도모할 수 있어, 전자 밸브의 작동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몰드 코일의 밸브 본체 장착용 홀에 밸브 본체가 장착된 전자 밸브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몰드 코일의 자기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몰드 코일의 자기 프레임에 어스 단자를 접속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몰드 코일의 자기 프레임에 어스 단자를 접속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몰드 코일의 자기 프레임에 어스 단자를 접속고정하고, 보빈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몰드 코일의 자기 프레임에 어스 단자를 접속고정한 상태의 자기 프레임의 밑판부의 부분 확대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몰드 코일의 보빈의 어스 단자 위치 결정용 홈을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몰드 코일의 보빈에 형성된 어스 단자 위치 결정용 홈에, 자기 프레임에 접속된 어스 단자를 끼워맞춰, 어스 단자 위치 결정용 홈이 스토퍼로서 기능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몰드 코일의 자기 프레임에 어스 단자를 접속고정하고, 보빈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몰드 코일의 자기 프레임에 어스 단자를 접속고정하고, 보빈을 장착하고, 용융 수지로 몰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B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몰드 코일의 소켓 조립체의 몰드 코일과의 접속부의 단면(端面)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몰드 코일의 밸브 본체 장착용 홀에 밸브 본체가 장착된 전자 밸브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A-A선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몰드 코일의 자기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몰드 코일의 보빈의 상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몰드 코일의 보빈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몰드 코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도 19의 (A)는 도 18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9의 (B)는 도 10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0은 종래의 몰드 코일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종래의 몰드 코일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몰드 코일의 밸브 본체 장착용 홀에 밸브 본체가 장착된 전자 밸브의 부분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몰드 코일의 자기 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몰드 코일의 자기 프레임에 어스 단자를 접속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몰드 코일의 자기 프레임에 어스 단자를 접속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몰드 코일의 자기 프레임에 어스 단자를 접속고정하고, 보빈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몰드 코일의 자기 프레임에 어스 단자를 접속고정한 상태의 자기 프레임의 밑판부의 부분 확대 상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몰드 코일의 보빈의 어스 단자 위치 결정용 홈을 나타내는 하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몰드 코일의 보빈에 형성된 어스 단자 위치 결정용 홈에, 자기 프레임에 접속된 어스 단자를 끼워맞춰, 어스 단자 위치 결정용 홈이 스토퍼로서 기능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몰드 코일의 자기 프레임에 어스 단자를 접속고정하고, 보빈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몰드 코일의 자기 프레임에 어스 단자를 접속고정하고, 보빈을 장착하고, 용융 수지로 몰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B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몰드 코일의 소켓 조립체의 몰드 코일과의 접속부의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참조부호 10은 전체로서 본 발명의 몰드 코일을 장착한 상태의 전자 밸브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 밸브(10)는 밸브 본체(12)와, 밸브 본체(12)의 구동부(14)가 장착된 몰드 코일(16)과, 몰드 코일(16)에 접속된 소켓 조립체(18)로 구성되어 있다.
몰드 코일(16)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을 사각으로 절곡하여 단면을 대략 ‘口’자 형상으로 한 자기 프레임(20)과, 권선(22)이 감긴 보빈(24)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빈(24) 주위를 둘러싸도록 자기 프레임(20)이 보빈(24)의 외부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보빈(24)에는 도 1, 도 6,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권선(22)의 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한 쌍의 급전 단자(26)가 압입에 의해 보빈(24)에 고정되어 있다. 급전 단자(26)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단부(26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부(26b)와, 연장부(26b)로부터 소켓 조립체(18)의 방향으로 돌출된 급전 단자부(26c)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9의 (A), 도 10, 및 도 17 내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빈(24)의 상부에는, 상방 즉, 자기 프레임(20) 측에, 자기 프레임(20)의 상판부(20d)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즉, 보빈(24)과 급전 단자(26)로 이루어지는 보빈 조립체를 자기 프레임(20)에 삽입하여 코일 조립체(15)를 조립하는데, 이때 코일 조립체(15)를 옆으로 넘어뜨리면, 보빈 조립체와 자기 프레임(20) 사이에 틈이 있기 때문에, 보빈 조립체가 자기 프레임(20)으로부터 빠지거나, 자기 프레임(20)에 대한 보빈 조립체의 위치가 어긋나는 일이 있어, 조립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도 1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빈(24)의 상부에 이와 같은 돌출부(21)를 형성함으로써, 도 1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빈(24)과 급전 단자(26)로 이루어지는 보빈 조립체를 자기 프레임에 삽입(압입)했을 때, 돌출부(21)가 압축변형됨으로써 압착된다. 즉, 보빈 조립체와 자기 프레임(20)의 틈을 압축변형된 돌출부(21)가 메우게 되므로, 보빈 조립체와 자기 프레임(2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21)의 압축변형의 힘에 의해, 자기 프레임(20)에 보빈 조립체가 꽉 눌린 상태로 고정되므로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한, 도 10,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빈(24)의 상부에는 그 외주(外周) 단부(端部)에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는 대략 예각(銳角) 삼각형상의 제1의 예각 돌출부(25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빈(24)의 하부에도 그 외주 단부에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는 대략 예각 삼각형상의 제1의 예각 돌출부(25a)가 형성되어 있다.
제1의 예각 돌출부(25a)는 용융 수지로 몰딩할 때, 용융 수지의 열에 의해 이 제1의 예각 돌출부(25a)의 예각인 부분이 녹게 된다. 이에 의해, 용융 수지와 보빈(24)이 일체가 되어 보빈(24)과 몰드 수지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특히, 보빈(24)의 재료와 용융 수지의 밀착성이 나쁜 경우에는, 이와 같은 예각 돌출부에 의한 예각부의 수를 늘리면 밀착성이 향상된다. 예를 들어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빈(24)의 상부에는, 그 외주 단부 근방에 제1의 예각 돌출부(25a)의 돌출 방향에 대하여 수직(90도)인 방향 즉, 상향으로(자기 프레임(20)의 상판부(20d)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의 예각 돌출부(25b)를 마련하면, 용융 수지의 몰딩 시의 흐름에 좌우되지 않고 밀착성이 향상된다.
한편,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빈(24)의 하부에도, 그 외주 단부에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는 대략 예각 삼각형상의 제1의 예각 돌출부(25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 경우, 이들 돌출부(21), 제1의 예각 돌출부(25a), 제2의 예각 돌출부(25b)의 수, 형상, 배치 위치 등은 상기 작용을 발휘하는 것이면 적절하게 선택 가능하다.
또한, 도 3, 도 4, 및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 프레임(20)의 밑판부(20a)의 소켓 조립체(18)의 방향으로 내벽 측에는 어스 단자(28)가 접속고정되어 있다.
즉, 도 4 및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 프레임(20)의 밑판부(20a)에는 내벽 측으로 돌출되는 코킹(caulking)용 볼록부(20b)가 돌출되어 있고, 어스 단자(28)의 기단부(28a)에는 코킹용 홀부(28b)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어스 단자(28)의 기단부(28a)에 마련된 코킹용 홀부(28b)에, 이 자기 프레임(20)의 밑판부(20a)의 코킹용 볼록부(20b)를 끼워맞추고, 자기 프레임(20)의 밑판부(20a)의 내벽 측으로부터 펀치 등의 지그에 의해 코킹 가공함으로써, 자기 프레임(20)의 밑판부(20a)의 내벽 측에 어스 단자(28)의 기단부(28a)를 전기적으로 견고하게 접속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자기 프레임(20)의 밑판부(20a)의 내벽 측에 어스 단자(28)의 기단부(28a)를 전기적으로 견고하게 접속고정하는 방법으로서, 도 5의 (A)에 나타낸 코킹 가공 이외에도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스 단자(28)의 기단부(28a)에 마련된 코킹용 홀부(28b)와, 자기 프레임(20)의 밑판부(20a)의 코킹용 볼록부(20b) 사이를 용접(33)에 의해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이 경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 프레임(20)의 상판부(20d)에는, 소켓 조립체(18)의 방향으로, 급전 단자(26)가 자기 프레임(20)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급전 단자용 노치(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급전 단자용 노치(30)의 중앙부에, 펀치 또는 용접 지그 등의 지그를 삽입관통하기 위한 지그용 노치(32)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자기 프레임(20)의 상판부(20d)에, 급전 단자(26)가 자기 프레임(20)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급전 단자용 노치(3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급전 단자(26)를 보빈(24)에 근접시킬 수 있어 몰드 코일(16)을 콤팩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급전 단자용 노치(30)의 중앙부에, 펀치 또는 용접 지그 등의 지그를 삽입관통하기 위한 지그용 노치(3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어스 단자(28)를 자기 프레임(20)의 내벽에 접속고정하는 펀치 또는 용접 지그 등의 지그를 지그용 노치(32)를 통해 삽입하여 어스 단자(28)를 자기 프레임(20)의 내벽에 확실하게 접속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스 단자(28)의 기단부(28a)에 코킹용 볼록부(28c)를 하방으로 돌출시킴과 함께, 자기 프레임(20)의 밑판부(20a)에 코킹용 홀부(20c)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즉, 어스 단자(28)의 기단부(28a)의 코킹용 볼록부(28c)를 자기 프레임(20)의 밑판부(20a)의 코킹용 홀부(20c)에 끼워맞추고, 자기 프레임(20)의 밑판부(20a)의 외벽 측으로부터 펀치 등의 지그에 의해 코킹 가공함으로써, 자기 프레임(20)의 밑판부(20a)의 내벽 측에 어스 단자(28)의 기단부(28a)를 전기적으로 견고하게 접속고정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도 5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스 단자(28)의 기단부(28a)의 코킹용 볼록부(28c)와, 자기 프레임(20)의 밑판부(20a)의 코킹용 홀부(20c) 사이를 용접(33)에 의해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의 (C) 및 (D)의 경우에는, 자기 프레임(20)의 외벽 측으로부터, 어스 단자(28)를 자기 프레임(20)의 내벽에 접속고정하는 펀치 또는 용접 지그 등의 지그를 이용하면 되므로, 자기 프레임(20)의 지그용 노치(32)가 불필요해져, 자기 프레임(20)의 구성이 간단해지고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어스 단자(28)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스 단자(28)의 기단부(28a)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연장부(28d)와, 이 연장부(28d)로부터 소켓 조립체(18) 방향으로 돌출된 어스 단자부(28e)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을 사각으로 절곡하여 단면을 대략 ‘口’자 형상으로 한 자기 프레임(20)은, 그 맞댐부(34)가 어스 단자(28)의 기단부(28a)의 접속 위치를 피하도록, 자기 프레임(20)의 일방의 측판부(20e)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맞댐부(34)는, 그 중앙부가 테이퍼 형상의 볼록부(34a)와, 이 테이퍼 형상의 볼록부(34a)와 상보적인 테이퍼 형상의 오목부(34b)로 구성되고, 이 볼록부(34a)와 오목부(34b)의 끼워맞춤에 의해 자기 프레임(20)이 일체화되어, 강도가 뛰어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 프레임(20)의 밑판부(20a), 상판부(20d) 및 측판부(20e)에는 복수의 관통 홀(36)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자기 프레임(20)의 측판부(20e)에 형성된 관통 홀(36)이 도 5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 프레임(20)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위치가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다.
즉,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자기 프레임(20)과 몰드 수지(38)는 젖음성이 다르므로, 몰딩 시에 용융 수지가 자기 프레임(20)의 내부에 침투하기 쉬워지도록 자기 프레임(20)에 관통 홀(36)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이 경우, 복수의 관통 홀(36)을 마련하면 단면적이 극단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이 생겨 자기 손실이 된다. 자기 손실이 클 경우 코일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 복수의 관통 홀(36)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이들 관통 홀(36)이 자기 프레임(20)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위치가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면적이 최소한으로 감소되고, 그 결과 자기 효율의 저하를(자기 손실을) 초래하는 일 없이 몰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 프레임(20)의 상판부(20d)에는, 그 중앙부에 밸브 본체(12)의 구동부(14)를 나사고정하기 위한 볼트 삽입관통 홀(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자기 프레임(20)의 밑판부(20a)에는, 그 중앙부에 밸브 본체(12)의 구동부(14)를 삽입관통하기 위한 구동부 삽입관통 홀(4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빈(24)의 하면에는 코일 조립체(15)의 자기 프레임(20)에 접속고정한 어스 단자(28)의 기단부(28a)에 대응하는 위치에 어스 단자 위치 결정용 홈(4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 9의 (A)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 프레임(20) 내에 코일 조립체(15)를 장착했을 때,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스 단자(28)의 기단부(28a)의 일단부(28f)에 어스 단자 위치 결정용 홈(42)의 스토퍼면(42a)이 접하여 스토퍼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한, 자기 프레임(20) 내에 코일 조립체(15)를 장착했을 때,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스 단자(28)의 기단부(28a)의 양측 측단부(28g)에 어스 단자 위치 결정용 홈(42)의 양측 스토퍼 측면(42b)이 각각 접하여 자기 프레임(20) 내에서 보빈(24)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토퍼 기능과 회전 방지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어스 단자(28)의 기단부(28a)의 일단부(28f)와 어스 단자 위치 결정용 홈(42)의 스토퍼면(42a)이 접하고, 어스 단자(28)의 기단부(28a)의 일방의 측단부(28g)와 어스 단자 위치 결정용 홈(42)의 일방의 스토퍼 측면(42b)이 접하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몰드 코일(16)은 이하와 같이 제작된다.
먼저, 도 3, 도 4 및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스 단자(28)의 기단부(28a)에 마련된 코킹용 홀부(28b)에, 이 자기 프레임(20)의 밑판부(20a)의 코킹용 볼록부(20b)를 끼워넣고, 자기 프레임(20)의 밑판부(20a)의 내벽 측으로부터 펀치 등의 지그에 의해 코킹 가공함으로써, 자기 프레임(20)의 밑판부(20a)의 내벽 측에 어스 단자(28)의 기단부(28a)를 전기적으로 견고하게 접속고정한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 프레임(20) 내에 코일 조립체(15)를 장착할 때, 어스 단자(28)의 기단부(28a)의 일단부(28f)에 어스 단자 위치 결정용 홈(42)의 스토퍼면(42a)이 접하게 하여 스토퍼로서 기능시킨다.
또한, 자기 프레임(20) 내에 코일 조립체(15)를 장착할 때, 어스 단자(28)의 기단부(28a)의 양측 측단부(28g)에 어스 단자 위치 결정용 홈(42)의 양측 스토퍼 측면(42b)이 각각 접하게 하여, 자기 프레임(20) 내에서 보빈(24)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 기구로서 기능시킨다.
이에 의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스 단자(28)와 보빈(24) 사이의 위치 결정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금형 내에 배치하여 용융 수지를 주입함으로써, 보빈 조립품이 금형 내에서 어긋나서 피복부의 두께가 부분적으로 얇아지거나, 자기 프레임(20)이 몰드 수지(38)의 피복부의 표면에 노출되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용융 수지를 주입했을 때에도,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스 단자(28)와 급전 단자(26)의 상대 위치(어스 단자(28)와 급전 단자(26) 사이의 거리 L1, 급전 단자(26, 26) 사이의 거리 L2), 돌출 거리(어스 단자(28)의 선단과 급전 단자(26)의 선단 사이의 거리 L3) 등이 어긋나지 않아서, 어스 단자(28)와 급전 단자(26)의 상대 위치, 돌출 거리 등이 일정해진다.
또한, 어스 단자(28)의 자기 프레임(20)에 대한 고정 위치가 다소 어긋나더라도, 어스 단자(28)와 급전 단자의 위치 관계가 일정해진다.
그 결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전 단자(26)와 소켓 조립체(18)의 급전 단자 소켓(44)과의 전기적 접속, 어스 단자(28)와 소켓 조립체(18)의 어스 단자 소켓(46)과의 확실한 전기적 접속을 도모할 수 있어, 전자 밸브(10)의 작동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몰드 수지(38)로 몰딩한 몰드 코일(16)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본체(12)의 구동부(14)를 삽입관통하여 고정한다.
즉, 자기 프레임(20)의 밑판부(20a)에 형성한 구동부 삽입관통 홀(40), 보빈(24)의 구동부 삽입관통 홀(24a)에, 밸브 본체(12)의 구동부(14)를 삽입관통한다. 그리고, 자기 프레임(20)의 상판부(20d)에 형성한 볼트 삽입관통 홀(31)을 통하여, 체결 볼트(48)를 구동부(14)의 흡인자(吸引子)(50)에 형성한 나사 홀(52)에 나사결합시켜, 몰드 코일(16)에 밸브 본체(12)의 구동부(14)를 삽입관통하여 고정한다.
한편, 도 1 중, 참조부호 54는 도시하지 않은 밸브체에 접속된 플런저, 참조부호 56은 흡인자(50)와 플런저(54) 사이에 개재된 바이어스 스프링, 참조부호 58은 씰재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와 같이 밸브 본체(12)의 구동부(14)를 삽입관통하여 고정한 몰드 코일(16)에 소켓 조립체(18)를 접속한다.
즉, 급전 단자(26)와 소켓 조립체(18)의 급전 단자 소켓(44)과의 전기적 접속, 어스 단자(28)와 소켓 조립체(18)의 어스 단자 소켓(46)과의 전기적 접속을 행하면, 본 발명의 전자 밸브(10)가 구성된다.
한편, 몰드 코일(16)에 소켓 조립체(18)를 접속하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몰드 코일(16) 측에 마련한 암나사(60)와 급전 단자 소켓(44) 측에 마련한 수나사(62)를 나사결합하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몰드 코일(16) 및 몰드 코일(16)을 구비한 전자 밸브(10)에 따르면, 어스 단자(28)를 자기 프레임(20)의 내벽에 접속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자기 프레임(20) 자체가 어스 단자로서 기능한다.
그 때문에, 종래와 같이 전자 밸브와 몰드 코일 사이에 어스 단자를 개재하는 구조보다 어스 단자(28)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자기 프레임(20)과 전자 밸브(10)의 접촉면 전체에서 접지를 할 수 있고 전기적 접촉이 보다 확실해진다.
또한, 프린트 기판이 불필요하고, 또한 어스 단자(28)를 자기 프레임(20)의 내벽에 접속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어스 단자를 자기 프레임의 외벽에 접속고정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몰드 코일을 소형화할 수 있어서, 전자 밸브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보빈(24)에 형성된 어스 단자 위치 결정용 홈(42)에 자기 프레임(20)에 접속된 어스 단자(28)가 끼워지므로, 어스 단자 위치 결정용 홈(42)이 스토퍼로서 기능함과 함께, 자기 프레임(20) 내에서 보빈(24)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어스 단자(28)와 보빈(24) 사이의 위치 결정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로 위치 결정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 보빈(24)과 자기 프레임(20)을 소정의 위치에서 위치 결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용융 수지의 주입 시, 보빈 조립품이 금형 내에서 어긋나서 피복부의 두께가 부분적으로 얇아지거나, 자기 프레임(20)이 피복부의 표면에 노출되거나, 어스 단자(28)와 급전 단자(26)의 상대 위치, 돌출 거리 등이 어긋나는 일이 없고, 어스 단자(28)와 급전 단자(26)의 상대 위치, 돌출 거리 등이 일정하다.
또한, 어스 단자(28)의 자기 프레임(20)에 대한 고정 위치가 다소 어긋나더라도, 어스 단자(28)와 급전 단자(26)의 위치 관계가 일정해진다.
그 결과, 급전 단자(26)와 소켓 조립체(18)의 급전 단자 소켓(44)과의 전기적 접속, 어스 단자(28)와 소켓 조립체(18)의 어스 단자 소켓(46)과의 확실한 전기적 접속을 도모할 수 있어, 전자 밸브(10)의 작동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몰드 코일의 밸브 본체 장착용 홀에 밸브 본체가 장착된 전자 밸브의 부분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A-A선에서 바라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몰드 코일의 자기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전자 밸브(10)는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한 전자 밸브(1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이며,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전자 밸브(10)에서는, 몰드 코일(16)의 자기 프레임(20)의 상판부(20d)에, 소켓 조립체(18) 방향으로 급전 단자(26)가 자기 프레임(20)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급전 단자용 노치(30)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급전 단자(26)가 자기 프레임(20)에 접촉하지 않게 소켓 조립체(18) 방향으로 자기 프레임(20)보다 더 돌출되어 있고, 이에 수반하여 어스 단자(28)도 소켓 조립체(18) 방향으로 더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자기 프레임(20)의 상판부(20d)에, 펀치 또는 용접 지그 등의 지그를 삽입관통하기 위한 지그용 관통 홀(6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자기 프레임(20)은 그 맞댐부(34)가 어스 단자(28)의 기단부(28a)의 접속 위치를 피하도록 자기 프레임(20)의 밑판부(20a)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자기 프레임(20)의 상판부(20d)에 형성된 볼트 삽입관통 홀(31)에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 홈(3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코킹 시, 용융 수지에 의한 몰딩 시에 지그 내에서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13에 나타낸 몰드 코일(16)보다 급전 단자(26)와 어스 단자(28)가 소켓 조립체(18) 방향으로 더 돌출된 만큼 약간 대형이 되어 있지만, 이 경우에도 도 1 내지 도 13에 나타낸 몰드 코일(16)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양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서는 자기 프레임(20)의 밑판부(20a)의 내벽 측에 어스 단자(28)의 기단부(28a)를 전기적으로 견고하게 접속고정하였지만, 자기 프레임(20)의 내벽 측이면 자기 프레임(20)의 상판부(20d)나 측판부(20e)에도 접속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자기 프레임(20)은 평판을 사각으로 절곡한 단면이 대략 ‘口’자 형상이라고 하였지만, 평판을 ‘ㄷ’자 모양으로 절곡한 형상이어도 되며, 또한 평판을 복수 조합함으로써 자기 프레임(20)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밸브 본체(12)로서 이방(二方) 밸브, 삼방(三方) 밸브 등 다양한 밸브 본체에 적용 가능한 등, 본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자 밸브의 밸브체를 구동하기 위해 이용되고, 수지로 몰딩된 몰드 코일 및 몰드 코일을 이용한 전자 밸브에 적용할 수 있다.
10…전자 밸브
12…밸브 본체
14…구동부
15…코일 조립체
16…몰드 코일
18…소켓 조립체
20…자기 프레임
21…돌출부
20a…밑판부
20b…코킹용 볼록부
20c…코킹용 홀부
20d…상판부
20e…측판부
22…권선
24…보빈
24a…구동부 삽입관통 홀
25a…제1의 예각 돌출부
25b…제2의 예각 돌출부
26…급전 단자
26a…기단부
26b…연장부
26c…급전 단자부
28…어스 단자
28a…기단부
28b…코킹용 홀부
28c…코킹용 볼록부
28d…연장부
28e…어스 단자부
28f…일단부
28g…측단부
30…급전 단자용 노치
31…볼트 삽입관통 홀
31a…키 홈
32…지그용 노치
33…용접
34…맞댐부
34a…볼록부
34b…오목부
36…관통 홀
38…몰드 수지
40…구동부 삽입관통 홀
42…어스 단자 위치 결정용 홈
42a…스토퍼면
42b…스토퍼 측면
44…급전 단자 소켓
46…어스 단자 소켓
48…체결 볼트
50…흡인자
52…나사 홀
54…플런저
56…바이어스 스프링
58…씰재
60…암나사
62…수나사
64…지그용 관통 홀
100…몰드 코일
102…어스 단자
104…기단부
106…몰드 코일
108…전자 밸브 장착용 홀
110…전자 밸브
200…몰드 코일
202…프린트 기판
204…급전 단자
206…어스 단자
208…끼움편
210…자기 프레임
211…끼움 홀
212…스페이서
214…암나사

Claims (7)

  1. 전자 밸브의 밸브체를 구동하기 위해 이용되고, 수지로 몰딩된 몰드 코일로서,
    중앙부에는 상기 밸브체를 구동하는 구동부가 삽입관통되어 장착되는 구동부 삽입관통 홀이 형성되고, 외주부에는 권선이 권취된 보빈과,
    상기 보빈에 부착되고 권선의 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한 쌍의 급전 단자와,
    상기 보빈을 둘러싸는 자기 프레임과,
    상기 자기 프레임에 접속된 어스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어스 단자를 자기 프레임의 내벽에 접속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코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에 어스 단자 위치 결정용 홈이 형성되고, 보빈과 어스 단자가 접속된 자기 프레임이 소정의 위치에서 위치 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코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프레임에는 복수의 관통 홀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관통 홀이 자기 프레임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위치가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코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프레임에는 급전 단자가 자기 프레임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급전 단자용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코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프레임에는 어스 단자를 자기 프레임의 내벽에 접속고정하는 지그용 관통 홀 또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코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상면에 자기 프레임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빈과 급전 단자로 이루어지는 보빈 조립체를 자기 프레임에 삽입했을 때, 상기 돌출부가 자기 프레임에 의해 압축변형되어 보빈 조립체와 자기 프레임의 틈을 메움으로써, 보빈 조립체와 자기 프레임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코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몰드 코일의 상기 구동부 삽입관통 홀에 밸브체의 구동부가 삽입관통되어 장착된 전자 밸브.
KR1020120010806A 2011-02-04 2012-02-02 몰드 코일 및 몰드 코일을 이용한 전자 밸브 KR1013528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22882 2011-02-04
JP2011022882A JP5286374B2 (ja) 2011-02-04 2011-02-04 モールドコイルおよびモールドコイルを用いた電磁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817A KR20120090817A (ko) 2012-08-17
KR101352894B1 true KR101352894B1 (ko) 2014-01-17

Family

ID=46587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0806A KR101352894B1 (ko) 2011-02-04 2012-02-02 몰드 코일 및 몰드 코일을 이용한 전자 밸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286374B2 (ko)
KR (1) KR101352894B1 (ko)
CN (1) CN1026295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80695B2 (ja) * 2013-01-18 2016-08-31 株式会社鷺宮製作所 モールドコイルおよびモールドコイルを用いた電磁弁、ならびに、モールドコイルの製造方法
CN104103407B (zh) * 2013-04-07 2019-07-09 库柏技术公司 集成有接地结构的电路板磁性元件及其制造方法
CN107620824B (zh) * 2016-07-14 2020-04-03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电子膨胀阀
JP6826552B2 (ja) * 2018-05-14 2021-02-03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磁コイルユニット
DE102018208608A1 (de) * 2018-05-30 2019-12-05 Robert Bosch Gmbh Anordnung und Ventil
JP7130601B2 (ja) * 2019-06-13 2022-09-05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磁コイル及び弁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9360A (ja) 2003-05-21 2004-12-09 Nachi Fujikoshi Corp ソレノイド組立体
JP2007208177A (ja) 2006-02-06 2007-08-16 Koganei Corp ソレノイド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2056A (ja) * 1983-08-31 1985-03-23 Nec Corp 半導体サイリスタ
JPH0333046Y2 (ko) * 1985-04-08 1991-07-12
JPH039297Y2 (ko) * 1985-06-28 1991-03-08
JPH0238143Y2 (ko) * 1985-08-26 1990-10-15
JPH01210674A (ja) * 1988-02-18 1989-08-24 Aisin Seiki Co Ltd ソレノイド装置
BR0208990A (pt) * 2001-04-19 2004-04-20 Asco Controls Lp Encapsulamento de atuador de válvula a solenóid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9360A (ja) 2003-05-21 2004-12-09 Nachi Fujikoshi Corp ソレノイド組立体
JP2007208177A (ja) 2006-02-06 2007-08-16 Koganei Corp ソレノイ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64752A (ja) 2012-08-30
CN102629510B (zh) 2015-04-15
JP5286374B2 (ja) 2013-09-11
CN102629510A (zh) 2012-08-08
KR20120090817A (ko) 201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2894B1 (ko) 몰드 코일 및 몰드 코일을 이용한 전자 밸브
US20170324188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waterproof performance
JP6418324B2 (ja) 多極コネクタ
KR100404770B1 (ko) 전자 릴레이
KR101486511B1 (ko) 몰드 코일 및 이를 이용한 전자 밸브, 그리고 몰드 코일의 제조 방법
WO2019244549A1 (ja) 電気コネクタ
US11167740B2 (en) Coil assembly and brake control device
US20170104272A1 (en) Antenna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ntenna device
CN107039769B (zh) 一种天线装置以及该天线装置的制造方法
US20130186986A1 (en) Fuel Injector Having a Reduced Number of Components
CN111316505B (zh) 电路装置
JP5448062B2 (ja) 電子部品装置
US20190194983A1 (en) Motor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with assembly aid
JP2017526917A (ja) センサ素子のための保持体、部品集合体及び回転数センサ
JP2015106436A (ja) 電気接続器
US20050059275A1 (en) High frequency right angle connector
JP6917157B2 (ja) コイル組立体およびブレーキ制御装置
JP4863954B2 (ja) 電子ユニ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00256095A1 (en) Motor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having an antenna
JP2007134553A (ja) 制御機器のアクチュエータ
JP2010129573A (ja) 樹脂封止電気部品
KR102276089B1 (ko) 차량의 자세 제어 장치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솔레노이드 코일 어셈블리
JP5691803B2 (ja) コネクタおよび電気接続箱
JP2009277881A (ja) 電子機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7476701B2 (ja) 樹脂成形品および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