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4770B1 - 전자 릴레이 - Google Patents

전자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4770B1
KR100404770B1 KR10-2001-7011018A KR20017011018A KR100404770B1 KR 100404770 B1 KR100404770 B1 KR 100404770B1 KR 20017011018 A KR20017011018 A KR 20017011018A KR 100404770 B1 KR100404770 B1 KR 100404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coil
spool
terminal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1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4360A (ko
Inventor
마츠다카즈히사
나카타무네오
쿠보타노부요시
마츠오켄이치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59506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58016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05964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260284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05957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260285A/ja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4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4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4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47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01H2050/446Details of the insulating support of the coil, e.g. spool, bobbin, form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H01H50/042Different parts are assembled by insertion without extra mounting facilities like screws, in an isolated mounting part, e.g. stack mounting on a coil-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24Parts rotatable or rockable outside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01H50/443Connections to coils

Abstract

스풀(10)의 한쪽 플랜지(13)가 케이스 개구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이 스풀(10)에 고정단자(55)가 부착되는 전자 릴레이에 있어서, 고정단자(55)의 부착에 의해 발생하는 불순물의 문제를 해소하고, 고정단자(55)(특히, 고정접점(56)이 마련된 부분)의 양호한 부착 상태를 실현한다. 그것을 위해 플랜지(13)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고정단자(55)로부터 신장되는 돌출부를 압입하고, 다른 쪽의 플랜지에 형성된 걸어 맞춤부에 고정단자(55)의 고정 접점(56) 부근을 결합함으로써 고정단자(55)를 부착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Description

전자 릴레이{ELECTROMAGNETIC RELAY}
일반적으로, 전자 릴레이는 단자의 접속용 단부가 도출되는 단자측과 반대측(이하, 경우에 따라 케이스 안쪽이라 한다)에 가동접점이나 고정접점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릴레이에서는 가동접점이 코일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접점에 대한 도통상태(접촉상태)의 전환이 행하여지는 구조가 많다. 이러한 전자 릴레이에서는,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56-93234호 (제1 종래예)에서도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단측에 고정접점이 고정장착되는 고정단자를, 코일을 감는 수지제의 스풀 케이스 안쪽에 위치하는 플랜지에 마련된 후육부(厚肉部)에 압입 등으로 고정장착하여 부착되는 타입이 통상이었다. 단, 일본 실용신안공보 평3-12198호 (제2종래예)의 제2 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풀의 단자측의 플랜지의 또한 외측에 배치되는 베이스(기판)에, 고정단자의 타단측(접속용 단부)을 끼워 통과시키는 상태로 압입하고, 고정단자를 지지 고정하는 타입의 경우도 있다.
또한 근래, 차량 탑재용의 회로기판 등에 탑재되는 소형 전자 릴레이(높이 치수가 예를 들면 20mm 이하의 소형인 것)에 있어서는, 소형화와 저비용화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그 때문에, 부품 개수의 보다많은 삭감과 각 부품의 고밀도의 조립 구조가 중요하게 된다. 그래서,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10-162712호 (제3 종래예)에도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풀의 한쪽 플랜지를 베이스로서도 기능시킨 타입의 릴레이가 등장되고 있다. 즉, 종래, 조립의 기본으로 되어 있던 베이스라고 불리는 부재를 폐지하고, 전자석의 코일을 감는 스풀의 한쪽 플랜지를 케이스의 개구부 내측에 배치되는 릴레이이다.
또한, 통상, 이 종류의 소형 전자 릴레이에 있어서는, 기판 탑재 후의 세정 등에 견딜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또는, 소정의 방수성이나 방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밀봉된 타입의 릴레이(즉, 밀폐형 릴레이)가 주류로 되어 있다. 특히, 상기 세정은, 기판 탑재를 위한 납땜질 후에 행하여진다. 이 때문에, 릴레이는 가열된 상태로부터 세정액에 의해 급격히 냉각되게 된다. 이 결과, 릴레이 내외에 기압차가 생기고, 근소한 틈이라 하여도 그곳으로부터 세정액이 내부로 흡입되기 쉽기 때문에 고도의 기밀성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스풀의 한쪽 플랜지가 케이스 개구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이 스풀에 고정단자가 부착되는 전자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히, 고정단자를 부착할 때 발생하던 불순물(refuse)의 문제를 해소하고, 고정단자(특히, 고정접점이 마련된 부분)의 양호한 부착 상태를 실현할 수 있는 전자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전자 릴레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은 도 1의 횡단면도.
도 3은 전자 릴레이 전체의 분해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스풀에 코일단자를 조립하는 공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5a 및 도5b는 스풀에 코일을 감은 후의 코일단자의 만곡이 생기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스풀에 철심, 요크 및 가동접점 스프링을 조립하는 공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스풀에 고정단자를 조립하는 공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스풀에 고정단자를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a 내지 도 9c는 도 8의 고정단자가 조립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로서, 도 9a는 도 8에 있어서의 상부 걸어 맞춤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9b는 도 8에 있어서 하부 압입부 1을 도시한 단면도(A 전개도), 도 9c는 도 8에 있어서 하부 압입부 2를 도시한 단면도(B 전개도).
도 10은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1은 제2 실시형태의 저면도.
도 12는 도 11의 Ⅶ-Ⅶ선 단면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에 관한 전자 릴레이의 비교예 조립공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전자 릴레이의 다른 비교예를 도시한 사시도.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과제)
상기 종래의 릴레이에서는, 고정단자의 부착에 의해 발생하는 불순물에 기인하여 성능 불량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릴레이에서는, 고정단자(특히 고정접점이 마련된 부분)의 양호한 부착 상태가 실현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우선 제1 종래예의 경우에는 고정접점 부근에 위치하는 스풀의 케이스 안쪽의 플랜지에 고정단자를 압입 등으로 고정장착 한다. 이 때문에, 이 고정장착할 때 스풀을 구성하는 수지재료가 금속인 고정단자에 깎여서 절연성의 불순물(깎인 부스러기)이 발생하고, 이 불순물이 접점 사이에 침입하기 쉽다. 이 결과, 상기 불순물에 의한 접점 장해(접점 저항의 변동, 접점의 도통 불량 등)의 발생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제1 종래예에서는, 케이스 안쪽의 플랜지에 고정단자의 고정접점 부근을 고정장착하는 구성이다. 이 때문에, 상기 플랜지의 코일 축방향의 변형(휘어짐)에 의해 고정접점의 위치(특히 코일 축방향의 위치)가 변하여 접점 압력이 변화되기 때문에 동작 특성에 과도한 편차가 쉽게 발생되었다.
즉, 통상 전자 릴레이의 스풀에는 치밀하게 권취된 코일이 외측으로 빠져나가려고 하는 힘(즉, 코일 축방향 압력)이 작용하고 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은 소형 전자 릴레이에서는 스풀의 플랜지가 얇은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풀의 플랜지에는, 상기 코일 축방향 압력에 의해 상당량의 만곡면 형상의 변형(휘어짐)이 생긴다. 이 결과, 상기 변형에 의해 고정 접점도 변위되기 때문에, 설계치와크게 다른 특성으로 되어 버릴 우려가 있었다.
또한, 접점의 접촉 위치의 가로방향으로의 어긋남은, 접점 저항 등의 특성에 주는 영향이 비교적 적고, 또한 접점 사이즈에 따라 흡수될 수 있다. 그러나, 가동접점이 이동하는 접촉방향(즉, 코일 축방향)에 있어서의 고정접점의 변위는, 접점 압력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고, 동작 특성에 큰 변동을 야기하기 때문에, 특히 문제였다.
한편, 제2 종래예의 경우에 있어서, 고정단자를 압입 등으로 고정장착하는 개소는, 스풀의 단자측의 플랜지의 또한 외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로서, 고정접점이나 가동접점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불순물에 의한 접점 장해 발생의 가능성은 비교적 낮다. 또한, 플랜지의 변형에 의한 특성 변동의 문제도 없다. 그러나, 제2 종래예는, 길이가 긴 고정단자 전체를 일단측(접속용 단부측)에서 만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 때문에, 고정단자 전체를 충분히 강고하게 자세 유지(지지강도의 확보)하는 것은 곤란하며, 타단측에 있는 고정접점의 위치 결정 정밀도가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압입에 의해 베이스에 끼워 마련되는 부분을 길게 하여 지지강도를 충분히 확보하려면, 베이스의 두께 치수를 크게하지 않을 수 없다. 이 때문에, 릴레이 전체의 치수가 증가하여 대형화 되거나, 코일 베이스가 감소하여 전자석의 흡인 특성이 나빠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소형화의 필요성이 강한 기판 탑재용의 전자 릴레이에 있어서는, 베이스를 극력 얇게 하여야 한다. 이 때문에, 상술한 제2 종래예의 것과 같은 고정단자의 부착 구조에서는, 고정접점의 위치 결정 정밀도가 특히 나빠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가 삭제된 타입에서는, 상술한 제1 종래예의 것과 같은 베이스에의 부착이 불가능하며, 고정단자를 스풀에 부착하여야 한다. 이 때문에, 고정단자의 스풀에의 새로운 부착 구조로서, 상술한 제1 종래예 및 제2 종래예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부착 구조가 요구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스풀의 한쪽 플랜지가 케이스 개구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이 스풀에 고정단자가 부착되는 전자 릴레이를 제공한다. 특히, 고정단자를 부착할 때 발생한 불순물 문제를 해소하고, 또한, 고정단자(특히 고정접점이 마련된 부분)의 양호한 부착 상태가 실현될 수 있는 전자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해결방법과 종래 기술보다 유효한 효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1항에 기재된 전자 릴레이는 일단측이 개구한 케이스로 덮이고, 전자석의 코일이 감겨지는 스풀의 한쪽 플랜지가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풀의 다른 쪽 플랜지가 상기 케이스의 안쪽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안쪽으로 신장되는 선단에 고정접점이 마련된 고정단자를 갖는 전자 릴레이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플랜지에 형성된 구멍에 상기 고정단자로부터 신장되는 돌출부를 압입하고, 상기 다른 쪽의 플랜지에 형성된 걸어 맞춤부에 상기 고정단자의 고정접점 부근을 걸어 맞춤으로써, 상기 고정단자를 스풀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자 릴레이에서는, 케이스 개구측에 배치되는 스풀의 한쪽 플랜지에 형성된 구멍에 고정단자로부터 신장되는 돌출부를 압입하고, 케이스 안쪽에 배치되는 다른 쪽의 플랜지에 형성된 걸어 맞춤부에 고정단자의 고정접점 부근을 걸어 맞춤에 의해, 상기 고정단자를 스풀에 부착하였다.
이 때문에, 고정단자가 양단측에서 지지되게 되어, 플랜지를 두껍게 하여 끼워 마련하는 치수를 크게하지 않고 충분한 위치 결정 정밀도가 얻어진다. 더구나, 접점 부근에서는 압입을 하지 않고, 고정단자를 단지 걸어 맞추어 지지할 뿐이다. 이 때문에, 압입에 의해 생긴 깎인 부스러기(불순물)가, 접점 사이에 침입하여 접점 장해를 일으킬 가능성이 각별히 저감된다.
또한, 제 2항에 기재된 전자 릴레이는 상기 걸어 맞춤부가, 상기 고정단자의 코일 축방향으로 직교하는 가로방향의 이동만을 규제하는 것으로서, 이 걸어 맞춤부에서 상기 고정단자는 적어도 코일 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술한 코일 축방향 압력에 의해 플랜지가 만곡면 형상으로 휘도록 변형하여도 플랜지가 변형될 뿐이며, 상기 플랜지의 변형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변형이 생겨도, 고정단자가 변위하지는 않는다. 이 결과, 접점 압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게 하는 고정접점의 축 방향의 변위가 없어지고, 접점 특성이 각별히 안정된다.
또한, 제 3항에 기재된 전자 릴레이는, 상기 한쪽 플랜지의 구멍과 이 구멍에 압입되는 상기 고정단자의 돌출부를, 상기 한쪽 플랜지 및 상기 고정단자에 있어서의 가로방향이 다른 위치에 복수조 마련되고, 이 중 일부의 구멍과 돌출부로서는 부착 상태에 있어서 돌출부의 압입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며, 다른 구멍과 돌출부에서는 부착 상태에 있어서 돌출부의 압입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해지는 구성으로 하고, 이밖에의 돌출부의 압입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르는 상기 고정단자 전체의 회전운동이 상기 다른 쪽의 플랜지의 걸어 맞춤부에 의해 규제됨으로써, 압입시에 상기 고정단자에 가해진 상기 회전운동 방향으로의 토크가 유지된 채, 상기 고정단자 전체가 위치 결정되어 자세 유지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고정단자의 고정접점 부근이 걸어 맞춤부에 가로방향으로 눌린 상태로 부착된다. 이 때문에, 고정접점 부근을 플랜지에 압입하지 않는 구성이면서, 고정단자의 고정접점 부근이 가로방향으로도 이동 곤란한 상태로 지지된다. 이 결과, 고정접점의 가로방향의 위치 어긋남도 생기기 어렵고, 이 점에서도 접점 특성의 안정화가 도모된다.
또한, 제 4항에 기재된 전자 릴레이는, 상기 케이스의 개구측에 밀폐재를 충전함으로써 릴레이 전체를 밀폐함과 동시에, 상기 돌출부가 압입되는 구멍을 상기 케이스의 개구측에 개구한 관통구멍으로 하고, 이 관통구멍과 상기 돌출부 사이의 틈새에 상기 밀폐재를 침입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 4항에 기재된 릴레이에서는, 상기 돌출부가 압입되는 한쪽 플랜지의 구멍을 케이스 개구측에 개구한 관통구멍으로서 형성하고, 이 관통구멍과 상기 돌출부 사이의 틈새에 밀폐재를 침입시킨다. 이 때문에, 이 돌출부의 압입에 의해 생기는 불순물의 대부분은 밀폐재로 굳어 버리고, 케이스 안쪽에의 이동이 저지된다. 이 결과, 불순물에 의한 접점 장해의 발생의 가능성이 보다 저감된다. 또한,압입된 상기 돌출부가 밀폐재의 접착 효과로 한층 더 강고하게 고정된다. 이 때문에, 적정한 압입상태가 신뢰성 높게 유지되고, 고정단자의 위치 자세가 한층 더 안정적으로 적정상태로 유지된다.
제 5항의 전자 릴레이는, 일단측이 개구한 케이스로 덮이고, 전자석의 코일이 감겨지는 스풀의 한쪽 플랜지가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 내측에 배치되며, 이 한쪽 플랜지의 단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L자형 요크의 가로방향 판 형상부가 끼워지고, 이 L자형 요크의 세로방향 판 형상부가 상기 한쪽 플랜지의 오목부 저면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상기 스풀의 코일 축방향을 따라 상기 스풀의 다른 쪽 플랜지측으로 신장되도록 배치되며, 가동접점 스프링이 상기 요크의 세로방향 판 형상부의 외면에 고정장착되며, 이 가동접점 스프링의 일단측이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로부터 돌출상태로 신장되어 가동접점 단자의 접속용 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개구측에 밀폐재가 충전됨으로서 밀폐된 전자 릴레이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플랜지에 있어서의 상기 세로방향 판 형상부가 배치되는 쪽의 측면에, 상기 오목부 및 개구부를 임하는 노치를 형성하고, 이 노치가 상기 케이스와 요크로 둘러쌓여 이루어지는 창부에 상기 가동접점 스프링의 일단측을 끼워 통과시킨 상태로 배치하고, 상기 창부 내에도 상기 밀폐재를 충전한 것이다.
따라서, 제 5항의 전자 릴레이는, 스풀의 한쪽 플랜지에 있어서의 측면에, 요크가 끼워지는 오목부 및 개구부를 임하는 노치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노치를 케이스와 요크로 둘러쌓여 이루어지는 창부에 가동접점 스프링의 일단측(가동접점 단자의 접속용 단부)을 끼워 통과시킨 상태로 배치하고, 이 창부 내에도 밀폐재를충전한 구성으로 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는, 가동접점 단자의 접속용 단부의 도출부를 구성하고, 이 도출부를 밀폐되도록 하였다. 이 때문에, 밀폐재의 필요없는 침입을 방지하도록, 스풀에 특별한 형상부분을 부가할 필요가 없으며, 릴레이 전체의 높이 치수가 커지지 않는다.
게다가, 가동접점 스프링의 조립시에, 그 일단 측을 좁은 틈에 끼워 통과시키는 동작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사람 손에 의한 조립작업의 경우에도 조립작업이 각별히 편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요크가 부착된 상태의 상기 스풀의 측방으로부터, 코일 축방향으로 직교하는 가로방향으로서 상기 노치 및 상기 세로방향 판 형상부의 외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접점 스프링을 직선적으로 평행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가동접점 스프링의 일단측을 상기 노치에 끼우면서, 상기 가동접점 스프링을 상기 요크의 세로방향 판 형상부의 외면에 고정장착시킴으로써, 상기 가동접점 스프링을 부착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케이스 부착 전의 가동접점 스프링의 조립이, 가동접점 스프링을 가로방향으로 직선적으로 평행 이동시킴으로써 가능해지기 때문에 용이하게 된다. 이 결과, 자동조립이 가능하게 되어, 높은 생산성(낮은 생산 비용)을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소형 전자 릴레이(밀폐형 릴레이)에 적용한 경우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케이스의 개구측(도 1, 3에 있어서의 하측)을 경우에 따라 케이스 개구측 또는 단자측이라 하고, 케이스의 안쪽(도 1, 3에 있어서의 상측)을 경우에 따라 케이스 안쪽이라고 한다. 또한, 스풀의 축심에 따르는 방향, 즉 코일 축방향(도 1, 3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을 경우에 따라 세로방향이라 하고, 상기 코일 축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경우에 따라 가로방향이라 한다.
제1 실시형태가 도 1 내지 도 9c에 개시되어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10)과 코일(20)(도 1 참조)과 1쌍의 코일단자(21, 25)와 철심(30)과 요크(40)와 한 쌍의 고정단자(50, 55)와 가동철편(70)을 구비한 거의 L자 모양의 가동접점 스프링(60)과 케이스(8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 스풀(10)은, 그 몸통부(11)에 코일(20)을 감아 전자석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몸통부(11)의 상하 양단에 플랜지(12, 13)를 가지고 있다. 상기 코일단자(21, 25)는, 상기 스풀(10)의 플랜지부(13)에 각각 압입됨과 동시에, 상기 코일(20)의 각 구출선(口出線)이 각각 접속된다.
상기 철심(30)은, 상기 스풀(10)의 몸통부(11) 내에 형성된 세로방향의 관통구멍(11a)에 끼워 통과되며, 돌출하는 일단부(32)(체결용 돌기)를 L자형 요크(4)의 수평부(41)에 마련된 체결구멍(42)에 체결 고정된다.
상기 제1, 제2 고정접점 단자(50, 55)는 각각 제1, 제2 고정접점(51, 56)을 구비하고, 상기 스풀(10)의 플랜지부(12, 13)에 각각 부착된다. 특히, 상기 제1 고정접점(51)은 코일 비통전시에 후술하는 가동접점이 압접하는 NC접점이다. 또한, 제2 고정접점(56)은 코일 통전시에 가동접점이 압접하는 NO접점이다.
상기 가동접점 스프링(60)은, 가로방향으로 연장하는 판 형상부(61)에 가동철편(70)을 체결 고정함과 동시에, 그 자유 단부에 가동접점(62)을 고정한 것이다. 그리고, 가동접점 스프링(60)의 세로방향으로 연장하는 판 형상부(63)에 마련한 체결구멍(64, 65)을, 상기 요크(40)의 수직부(43)의 배면에 형성한 돌기(44, 45)에 각각 끼워 맞추어 체결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가동접점(62)이 고정접점(51, 56)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가동철편(70)은, 그 기단측이 상기 요크(4)의 수직부(43)에 접합하고, 코일 통전시에 철심(30)의 자극부(磁極部)(31)에 끌어 당겨져 선단측이 요동한다. 이 때문에, 상기 가동접점(62)이 고정접점(51, 56)에 번갈아 접촉 분리된다.
상기 케이스(80)는, 조립측(도 3에서는 하측)이 개구하고, 또한, 상기 스풀(10)의 아래쪽 플랜지(13)에 끼워 맞춤이 가능한 상자형상으로서, 릴레이 전체(단자의 접속용 단부는 제외한다)를 덮도록 씌워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릴레이는, 스풀(10)의 아래쪽의 플랜지(13)가 케이스(80)의 개구테두리부 내측에 배치되며, 베이스로서도 기능한 타입이다.
다음에, 상술한 구성 부품, 부착 구조에 관하여 개별적, 구체적으로 상술한다.
제1 코일단자(21) 및 제2 코일단자(25)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 전에 있어서는 전체로서 측면이 거의 L자형상의 것이다. 그리고, 폭이 넓은 베이스판부(22, 26)의 외단면에서 코일접속 단부(23, 27)가 각각 가로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판부(22, 26)의 내단면에서 외부접속용 단부(24, 28)가 각각 세로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이들 제1 코일단자(21) 및 제2 코일단자(25)의 코일접속 단부(23, 27)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착공정에서 세로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이 때문에, 코일접속 단부(23, 27)는, 최종적으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한쪽의 플랜지(13)의 내면상이고, 상기 접점용 판 형상부(50a, 55a)의 코일 축방향 내측(도 1에서는 아래 쪽측)의 스페이스 내에 세로로 배치되어 있다.
종래부터, 고정단자(50, 55)의 구조상, 상기 접점용 판 형상부(50a, 55a)의 도면중 아래측에, 고정단자(50, 55)의 세로방향 판 형상부(50b, 55b)로 둘러쌓인 비교적 큰 스페이스가 생기는 것을 회피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릴레이에 의하면, 상기 스페이스 내에 상기 코일접속 단부(23, 27)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들 제1 코일단자(21) 및 제2 코일단자(25)의 외부접속용 단부(24, 28)는, 조립 상태에 있어서 플랜지(13)보다도 케이스 개구측으로 신장되어 있으며, 기판 탑재시에 소정의 회로 도체에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코일단자(21) 및 제2 코일단자(25)의 부착 구조는, 대칭의 동일 구조로서, 아래와 같이 되어 있다.
즉, 상기 한쪽 플랜지(13)의 양측에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신장되고, 또한, 상기 플랜지(13)의 외면과 내면에 각각 개구하는 홈(13a, 13b)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홈(13a, 13b)에 코일단자(21, 25)를 각각 끼움으로써, 각 코일단자(21, 25)가 플랜지(13)에 부착된다. 이 결과, 이들 홈(13a, 13b)의 내면측 개구로부터 각 코일 접속 단부(23, 27)가 내측으로 도출된다. 한편, 이들 홈(13a, 13b)의 외면측 개구로부터 각 외부 접속용 단부(24, 28)가 외측으로 도출된다.
상기 홈(13a, 13b)은, 플랜지(13)의 측면에서 보아, 전체로서 L자형상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상기 홈(13a, 13b)은 플랜지(13)의 내면에 개구하는 쪽이 플랜지(13)에 평행한 가로방향으로 신장되어, 외면으로 개구하는 쪽이 플랜지(13)에 직각인 코일 축방향(세로방향)으로 신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코일단자(21, 25)의 코일접속 단부(23, 27)는 각 홈(13a, 13b)의 내면측 개구에 있어서 직각으로 구부러져(도 1, 7 참조), 코일 축방향에 따라 상기 접점용 판 형상부(50a, 55a)의 이면측을 향하도록 신장되어 있다.
각 코일단자(21, 25), 코일(20) 및 고정단자(50, 55)는 다음과 같이 하여 간단하게 부착되어 있다.
즉, 예를 들면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코일단자(21, 25)(부착 전의 L자형상의 것)를 플랜지(13)의 옆쪽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직선적으로 평행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홈(13a, 13b)에 각각 속까지 끼워 넣는다. 이어서, 이 상태 그대로, 코일접속 단부(23 또는 27)에 구출선을 접속시키고, 코일(20)을 감는 코일공정을 실행한다. 이 때, 각 코일접속 단부(23, 27)는, 홈(13a, 13b)의 내측 개구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신장되어, 플랜지(13)의 한측면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권선공정은, 다음과 같이 하여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즉, 코일(20)의 일단측의 구출선을 코일접속 단부(23)에 맨 후, 스풀(10)의 몸통부(11)에 감기를 한다. 계속해서, 코일(20)의 타단측의 구출선을 코일접속 단부(27)에 맨다. 최후에, 플랜지(13)의 한측면으로부터 돌출한 2개의 코일접속 단부(23, 27)를 동시에 땜납통에 담구어 납땜한다.
다음에,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13)의 1측면으로부터 돌출한 각 코일접속 단부(23, 27)에 다시 일으키는 방향의 힘을 가함으로써, 각 코일접속 단부(23, 27)를 홈(13a, 13b)의 내측 개구에 있어서 거의 직각으로 구부린다. 이 결과, 각 코일접속 단부(23, 27) 전체를 상술한 스페이스 내에 수납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고정단자(50) 및 제2 고정단자(55)를 코일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유지한 채 세로방향으로 바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판 형상부(50b, 55b)의 옆테두리를 플랜지(12)의 걸어 맞춤부(예를 들면, 걸어 맞춤부(12a))에 각각 걸어 맞추면서, 상술한 돌출부(예를 들면, 돌출부(55e, 55f))를 플랜지(13)의 관통구멍(예를 들면, 관통구멍(13c, 13d))에 압입하고, 제1 고정단자(50) 및 제2 고정단자(55)를 부착하면 된다. 또한, 제1, 제2 고정단자(50, 55)의 형상, 부착 구조에 관해서는 후에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릴레이에서는, 코일단자(21, 25)의 코일접속 단부(23, 27)를, 스풀(10)의 한쪽 플랜지(13)의 내면상으로서, 고정단자(50, 55)의 접점용판 형상부(50a, 55a)의 코일 축방향 내측의 스페이스에 배치하였다. 이 때문에, 별도 부재를 마련하지 않고, 종래 비어 있던 스페이스에 코일접속 단부(23, 27)가 배치 수납된다. 이 결과,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릴레이 전체를 소형화 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스페이스 내에 배치하면, 고정단자(50, 55)의 폭 치수를 크게 확보하면서, 코일단자(21, 25)와 고정단자(50, 55) 사이의 절연 거리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고정단자와 코일단자와의 도통에 의한 불합리함을 회피하고 신뢰성을 높일수 있는 것과 함께, 고정단자의 전류 용량의 증가(즉, 발열량의 저감)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일접속 단부(23, 27)를, 플랜지(13)의 내면상에 직립상태로 세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고정단자(50, 55)의 서로 직각을 이루는 2개의 세로방향 판 형상부(50b, 50c 또는 55b, 55c)가, 이들 코일접속 단부(23, 27)를 각각 둘러쌓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큰 절연 거리를 확보하면서, 고정단자(50, 55)의 도전부의 폭 치수(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W1, W2)를 보다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한쪽 플랜지(13)에는,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신장되어 상기 플랜지(13)의 외면과 내면에 각각 개구하는 홈(13a, 13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홈(13a, 13b)에 끼워 넣어짐에 의해, 코일단자(21, 25)가 상기 플랜지(13)에 부착되어 있다. 이 결과, 이들 홈(13a, 13b)의 내면측 개구로부터 내측으로 도출된 각 코일단자(21, 25)의 일단측이 코일접속 단부(23, 27)로 되어 있다. 한편, 이 홈(13a, 13b)의 외면측 개구로부터 외측으로 도출되는 각 코일단자(21,25)의 타단측이 외부접속용 단부(24, 28)로 되어 있다. 요컨대, 상기 홈(13a, 13b)의 내면측 개구가 상기 스페이스 내로 신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코일단자(21, 25)를 구성하는 부재를 상기 홈(13a, 13b)의 속까지 끼워 넣는다고 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코일단자(21, 25)의 위치 결정을 실현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코일접속 단부(23, 27) 및 외부접속용 단부(24, 28)의 플랜지(13)로부터의 도출 부분의 위치 결정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의 용이화에 공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랜지(13)의 상기 스페이스 내의 위치에 관통구멍을 마련하고, 이 관통구멍에 코일단자(21, 25)를 구성하는 부재를 삽입 또는 압입하여 부착되는 구조라면, 다른 쪽의 플랜지(12)가 방해되어 부착 작업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관한 구성이라면, 이러한 조립상의 장해는 하등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홈(13a, 13b)이, 한쪽 플랜지(2b)의 측면에서 보아 전체로서 L자형상으로 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특히, 내면에 개구하는 쪽이 플랜지에 평행한 가로방향으로 신장되며, 외면으로 개구하는 쪽이 플랜지에 직각인 코일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단자(21, 25)의 일단측이, 이들 홈(13a, 13b)의 내면측 개구에 있어서 구부러지고, 상기 접점용 판 형상부(50a, 55a)의 이면측을 향하도록 신장됨으로써, 코일접속 단부(23, 27)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조립 방법과 같이, 고정단자(21, 25)(구부리기 전의 L자형상의 것)를 우선 상기 홈(13a, 13b)에 끼워 넣는다. 그 후, 이 일단측을 구부려 코일접속 단부(23, 27)를 구성함으로써, 이들 코일접속 단부(23, 27)를 플랜지(13)에 고정장착한 상태로 부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단자(21, 25)의 일단측이 홈(13a, 13b)의 내면측 개구에 있어서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고정단자(21, 25)와 플랜지(13) 사이에서 충분한 마찰력이 생긴다. 이 때문에, 압입이나 코크(caulk)라는 고정장착을 위한 특별한 구성이나 작업은 불필요하며, 그 몫만큼 더욱 더 생산비용의 저감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코크」란, 2 이상의 부재를 서로 고정하는 등의 목적으로, 부재(주로 금속제의 부재)를 예를 들면 부분적으로 소성변형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통상, 이 종류의 전자 릴레이에 있어서의 「코크」라 함은, 한쪽의 부재에 마련한 돌기(볼록부)를 다른 쪽의 부재에 마련한 구멍(노치 등의 개구를 포함한다)에 끼워 넣어 관통시킨 후, 그 돌기의 선단부를 프레스기계 등으로 두드려 펴서 지름을 확장시킴으로써, 부재를 서로 고정장착하는 부착 방법을 의미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단자(21, 25)를 구성하는 부재(구부리기 전의 L자형상의 것)를, 그 일단측(즉, 코일접속 단부(23, 27))이 상기 스페이스(이 경우, 홈(13a, 13b)의 내면측 개구)로부터 도출하고, 한쪽의 플랜지(13)의 측면으로부터 이 플랜지(13)에 평행한 가로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부착한다(도 4b 참조). 그리고, 상기 부재의 일단측에 코일 구출선을 연결함과 함께, 스풀(10)의 몸통부(11)에 코일(20)을 감은 후, 코일 구출선을 상기 부재의 나머지 일단측에 묶어 납땜을 행한다. 이어서, 상기 일단측을 내측으로 구부려, 상기 일단측 전체를 상기 스페이스 내에 배치하여 코일접속 단부(12a, 13a)를 소정 위치에 구성하는 조립 순서를 채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코일(20)을 감을 때 코일접속 단부(23, 27)가 방해되지 않는다. 또한, 코일접속 단부(23, 27)가 돌출 상태이면, 이 선단부분만을 땜납통에 침지하여 납땜할 수 있고, 코일접속 단부(23, 27)의 선단부분(구출선 묶음부)의 납땜작업이 편하게 된다.
따라서, 접점(51, 56)의 아랫쪽에 위치하는 상술한 스페이스(스풀의 플랜지 사이의 내측의 위치)에 코일단자의 코일접속 단부(23, 27)를 배치하는, 언뜻 보아 조립하기 곤란하게 생각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종래와 같거나 또는 그 이상의 고도한 조립성(조립하기 쉬움)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13a 내지 도 14는 본 발명(또는 상기 실시형태)의 주요한 작용효과를 대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비교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 중, 도 13a 및 도 13b는 상기 실시형태와 유사한 부착 방법을 채용한 것이다. 즉, 플랜지(13)에 형성한 홈에 코일단자(100, 101)(구부리기 전)을 끼워 넣는다. 플랜지(13)의 양측에 각 코일단자(100, 101)의 코일접속 단부(100a, 101a)를 각각 돌출시킨 상태에서, 코일의 권취작업 및 납땜작업을 한다. 그 후, 코일접속 단부(100a, 101a)를 내측으로 거의 직각으로 구부린다. 이 구성에서도, 별도 부재를 마련하지 않고 케이스를 덮는 것만으로, 릴레이 전체의 밀폐가 가능하게 되고,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코일접속 단부(100a, 101a)가플랜지(13)의 양단 테두리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대로는, 여기에 배치되는 고정단자의 세로방향 판 형상부(예를 들면, 상술한 세로방향 판 형상부(50b, 55b))에 간섭한다. 따라서, 상기 세로방향 판 형상부에 노치를 마련하는 등으로 간섭을 피할 필요가 있고, 결과적으로 고정단자의 폭 치수를 저하시키지 않을 수 없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또는 상기 실시형태)은, 종래 비어있는 스페이스로 되어 있던 플랜지(13)의 내면상 내측의 스페이스(즉, 접점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상술한 스페이스)에 코일접속 단부를 배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간섭이 일어나지 않고, 고정단자에 노치 등을 마련할 필요도 없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14는 상술한 제2 종래예와 같이, 측면으로부터 돌출시킨 코일접속 단부를 별도 부재로 덮는 타입이다. 즉, 코일단자(102, 103)의 코일접속 단부(102a, 103a)를, 스풀(10)의 플랜지(13)의 측면으로부터 돌출시킨 상태로 마련하고, 이 부분을 별도 마련한 커버부재(104)로 덮는 것이다. 이 경우, 이 커버부재(104)를 포함하는 전체를 덮는 대형의 케이스를 덮어 씌움으로써 릴레이 전체의 밀폐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제2 종래예에서는, 별도로 마련한 커버부재(104) 분만큼, 릴레이 전체가 각별히 대형화하여 버린다고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또는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종래 비어있는 스페이스로 되어 있던 상술한 스페이스에 코일접속 단부를 배치한다.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같은 별도 부재는 전혀 불필요하며, 각별히 소형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코일단자의 코일접속 단부는, 반드시 스풀의 플랜지에 대하여 직각방향(즉, 코일 축방향)으로 직립할 필요는 없다. 즉, 고정단자와의 사이에 소정의 절연 거리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다른 부재(예를 들면 케이스)와의 간섭이 생기지 않는 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히 신장되도록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코일단자가 부착시(코일의 권취 작업 등을 행할 때)에 코일접속 단부가 돌출하는 방향은, 상술한 실시형태의 양태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3a,b에 도시한 비교예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하는 구성도 있을 수 있다. 즉, 도 13a,b와 같은 구성이라 하여도, 코일접속 단부의 굽힘 후의 최종 위치가, 접점 직하의 상술한 스페이스 내에 배치되면, 기본적으로 본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두개 있는 코일접속 단부가 스풀의 같은 측면에 나열하여 돌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술한 납땜 작업이 동시에 할 수 있게 되어 유리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스풀의 한쪽 플랜지가 케이스 개구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이 스풀의 한쪽 플랜지에 코일단자가 고정단자와 서로 이웃하여 부착되는 전자 릴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릴레이 전체를 소형으로 유지하면서, 고정단자의 폭 치수(전류 용량)가 크게 확보될 수 있는 동시에, 코일단자(특히 코일접속 단부)가 양호한 부착이나 수납이 가능한 전자 릴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은, 일단측이 개구한 케이스로 덮이고, 전자석의 코일이 감겨지는 스풀의 한쪽 플랜지가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풀의 다른 쪽 플랜지가 상기 케이스의 안쪽에 배치되고, 상기 다른 쪽 플랜지의 안쪽면상으로 신장되도록 L자형상으로 구부러진 고정단자의 접점용 판 형상부에 고정접점이 마련되고, 이 고정단자에 서로 이웃하도록 코일단자가 상기 한쪽 플랜지에 부착된 전자 릴레이에 있어서, 상기 코일단자의 상기 코일에 접속되는 코일접속 단부를, 상기 한쪽 플랜지의 내면상으로서, 상기 접점용 판 형상부의 코일 축방향 내측의 스페이스에 배치한 전자 릴레이에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특징에 의하면, 코일단자의 코일접속 단부를, 스풀의 한쪽 플랜지의 내면상으로서, 또한, 고정단자의 접점용 판 형상부의 코일 축방향 내측의 스페이스(즉, 종래 비어있는 스페이스로 되어 있던 접점 아래쪽의 공간)에 배치하였다. 이 때문에, 별도 부재를 마련하지 않고, 종래 비어 있던 스페이스에 코일접속 단부가 배치 수납되게 되고, 릴레이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더구나, 이 스페이스에 배치하면, 고정단자의 폭 치수를 크게 확보하면서, 코일단자와 고정단자 사이의 절연 거리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고정단자와 코일단자와의 도통에 의한 불량을 회피하고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고정단자의 전류 용량의 증가(즉, 발열량의 저감)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2 특징은, 상기 코일접속 단부가 상기 한쪽 플랜지의 내면상에 직립상태로 세로로 배치되어 있으며, 고정단자의 2개의 세로방향 판 형상부가, 상기 코일접속 단부를 둘러쌓도록 배치되어 있는 전자 릴레이에 있다.
따라서, 제2 특징에 관한 릴레이에 의하면, 코일접속 단부를 상기 한쪽 플랜지의 내면상에 직립상태로 세로로 배치함과 동시에, 고정단자의 2개의 세로방향 판형상부로 둘러쌓도록 배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큰 절연 거리를 확보하면서 고정단자의 도전부의 폭 치수를 보다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3 특징은, 상기 한쪽 플랜지에는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신장되어 상기 한쪽 플랜지의 외면과 내면에 각각 개구하는 홈이 형성되고, 이 홈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코일단자가 상기 한쪽 플랜지에 부착되고, 이 홈의 내면측 개구로부터 내측으로 도출된 상기 코일단자의 일단측이 상기 코일접속 단부로 되고, 이 홈의 외면측 개구로부터 외측으로 도출된 상기 코일단자의 타단측이 외부접속용 단부로 되고, 상기 홈의 내면측 개구가 상기 스페이스 내로 신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전자 릴레이에 있다.
따라서, 제 3항에 기재된 릴레이에 의하면, 코일단자를 구성하는 부재를 상기 홈의 안까지 끼운다고 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코일단자의 위치 결정(적어도 코일접속 단부 및 외부접속용 단부의 플랜지로부터의 도출부분의 위치 결정)을 실현할 수 있고, 조립의 용이화에 공헌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플랜지의 상기 스페이스 내의 위치에 관통구멍을 마련하고, 여기에 코일단자를 구성하는 부재를 삽입 또는 압입하여 부착하는 구조에서는, 다른 쪽 플랜지가 방해되어 부착 작업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구성이라면, 상술한 바와 같은 조립상의 장해가 하등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편리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4 특징은, 상기 홈이 상기 한쪽 플랜지의 측면에서 보아, 전체로서 L자형상의 형상으로 되고, 내면에 개구하는 쪽이 플랜지에 평행한 가로방향으로 신장되고, 외면으로 개구하는 쪽이 플랜지에 직각인 코일 축방향으로신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단자의 일단측은 상기 홈의 내면측 개구에 있어서 구부러지고, 상기 접점용 판 형상부의 이면측을 향하도록 신장되어, 상기 코일접속 단부를 구성하고 있는 전자 릴레이에 있다.
따라서, 제4 특징에 관한 전자 릴레이에 의하면, 후술하는 제5 특징에 기재된 조립 방법과 같이, 코일단자(구부리기 전의 것)를 우선 상기 홈에 끼워 넣은 후, 이 일단측을 구부려 코일접속 단부를 구성하면, 이들 코일접속 단부를 상기 한쪽 플랜지에 고정장착한 상태로 부착할 수 있다. 즉, 본 릴레이에서는 코일단자의 일단측이 상기 홈의 내면측 개구에 있어서 구부러져 있는 것으로 코일단자와 플랜지 사이에서 충분한 마찰력이 생긴다. 이 때문에, 압입이나 체결이라는 고정장착을 위한 특별한 구성이나 작업이 불필요하고, 그만큼, 한층 더 생산비용의 저감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5 특징은, 상기 코일단자를 구성하는 부재를, 그 일단측이 상기 스페이스로부터 도출되어 상기 한쪽 플랜지의 측면으로부터 이 플랜지에 평행한 가로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부착하고, 이어서 이 부재의 일단측에 코일 구출선을 연결함과 함께, 상기 스풀에 코일을 감아, 상기 일단측의 납땜을 행한 후, 상기 일단측을 내측으로 구부려, 상기 일단측 전체를 상기 스페이스 내에 배치하고, 상기 코일단자가 부착, 상기 코일접속 단부의 배치, 코일의 감기 및 코일 구출선의 접속을 행하는 전자 릴레이의 조립 방법에 있다.
제5 특징에 관한 전자 릴레이의 조립 방법에 의하면, 코일을 감을 때 코일접속 단부(즉, 상기 일단측)가 방해되지 않는다. 또한, 코일접속 단부가 가로방향으로 돌출 상태이면, 이 선단부분만을 땜납통에 침지하여 납땜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이 때문에, 코일접속 단부의 선단부분(구출선 묶음부)의 납땜 작업도 편하게 된다.
또한, 스풀의 플랜지 사이에 위치하는 상술한 스페이스 내에 코일단자의 코일접속 단부를 배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언뜻 보기에 조립하기 곤란하게 생각되는 구조이면서, 종래와 같거나 또는 그 이상의 고도한 조립성(조립하기 쉬움)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음에, 제1 고정단자(50) 및 제2 고정단자(55)에 관하여 상술한다.
제1 고정단자(50)와 제2 고정단자(55)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안쪽의 선단부에서 L자형상으로 구부러진 판 형상부(50a, 55a)에, 각 고정접점(51, 56)이 각각 고정장착된 것이다. 또한, 제1 고정단자(50)와 제2 고정단자(55)는, 상기 선단부(50a, 55a)에서 단자측으로 신장되는 세로방향의 판 형상부(50b, 55b)와, 이 판 형상부(50b, 55b)의 단자측의 옆 테두리로부터 코일(20)을 둘러쌓도록 직각으로 신장되는 세로방향의 판 형상부(50c, 55c)를 각각 갖는다. 또한, 판 형상부(50c, 55c)의 단자측으로부터는, 고정단자로서의 접속용 단부(50d, 55d)가 연장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접속용 단부(50d, 55d)는 조립시에 있어서 스풀(10)의 플랜지(13)보다도 케이스 개구측으로 신장되어, 기판 탑재시에 소정의 회로 도체에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제1 코일단자(21) 및 제2 코일단자(25)도, 그 일단측이 플랜지(13)보다도 케이스 개구측에서 신장되어 있고, 코일단자로서의 접속용단부(24, 28)(도 7에 있어서 접속용 단부(28)는 도시하지 않음)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들 고정단자(50, 55)의 전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기판의 회로 도체로부터 고정접점(51, 56)까지의 전류가 통하는 길이 되는 세로방향 판 형상부(50b, 55b 및 50c, 55c)의 폭 치수 W1, W2(도 2에 도시한다)를 크게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고정단자(50)와 제2 고정단자(55)의 부착 구조는, 기본적으로 대칭의 같은 구조로서 아래와 같이 되어 있다.
즉,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고정단자(55)에는 판 형상부(55c)로부터 단자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55e)와, 판 형상부(55b)로부터 단자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55f)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스풀(10)의 케이스 개구측의 플랜지(13)에는, 이들 돌출부(55e, 55f)가 압입 가능한 관통구멍(13c, 13d)(도 9b, 도 9c 참조)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스풀(10)의 다른 쪽 플랜지(케이스 안쪽의 플랜지(12))에는, 제2 고정단자(55)의 판 형상부(55b)의 옆 테두리에 걸어 맞추는 L자형상(훅 형상)의 걸어 맞춤부(12a)가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걸어 맞춤시에 있어서, 제2 고정단자(55)의 접점 부근의 가로방향의 이동중, 도 9a에 있어서 부호 X1, X2, Y1로 도시한 방향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13)의 관통구멍(13c)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상기 돌출부(55e)와 상기 접속용 단부(55d) 사이에 형성된 골짜기형상부(55g)에는 끼워 맞추는 끼워 맞춤부(13e)를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2 고정단자(55)의 부착 상태에 있어서는, 이 끼워 맞춤부(13e)가 상기 골짜기형상부(55g)에 끼워져 빈틈없이 밀착한다. 이 결과, 제2 고정단자(55)의 압입방향으로의 이동(케이스 개구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13)의 관통구멍(13d)에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된 단부(13f)는, 제2 고정단자(55)의 부착 상태에 있어서, 제2 고정단자(55)의 판 형상부(55b)에 접촉하지 않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단부(13f)와 판 형상부(55b) 사이에 미소한 틈새(S1)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고정단자(55)를 코일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유지한 채 세로방향으로 곧 바로 이동시켜, 상기 돌출부(55e)와 돌출부(55f)를, 상기 관통구멍(13c, 13d)에 압입한 경우에, 최초로 상기 끼워 맞춤부(13e)가 상기 골짜기형상부(55g)로 끼워진다. 그리고, 그 시점에서 상기 단부(13f)와 판 형상부(55b) 사이에 미소한 틈새(S1)(도 9b)가 확보될 수 있도록 각부의 치수 설정이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제2 고정단자(55)의 판 형상부(55a)(또는 제2 고정접점(56))와 플랜지(12) 사이에도, 제2 고정단자(55)의 부착 상태에 있어서 미소한 틈새(S2)(도 8에 도시한다)가 얻어질 수 있도록, 판 형상부(55b)의 길이 치수 등이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제2 고정단자(55)는 다음과 같이 하여 간단히 부착되어 있다.
즉,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고정단자(55)를 코일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유지한 채 세로방향으로 곧 바로 이동시켜, 제2 고정단자(55)의 판 형상부(55b)의 옆 테두리를 플랜지(12)의 걸어 맞춤부(12a)에 걸어 맞춘다. 그리고, 제2 고정단자(55)의 판 형상부(55a)의 중심 부근(예를 들면 제2 고정접점(56) 부분)을 밀어 내려, 제2 고정단자(55)의 돌출부(55e)와 돌출부(55f)를 플랜지(13)의 관통구멍(13c, 13d)에 각각 압입하면 좋다.
이 때, 상기 끼워 맞춤부(13e)가 상기 골짜기형상부(55g)에 끼워 들어간 시점(돌출부(55e)의 압입방향의 이동이 규제된 시점)에서, 제2 고정단자(55)의 전체적인 세로방향의 이동은 저지된다. 그러나, 상술한 틈새(S1)가 조립 상태에서 확보되는 구성인 관계상, 돌출부(55f)의 압입방향의 이동 자체는 저지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돌출부(55e) 또는 끼워 맞춤부(13e)를 지점으로 하여 제2 고정단자가, 도 9(a)의 Y1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는 움직임은 허용된다. 따라서, 제2 고정단자(55)의 가로방향에 위치하는 돌출부(55e)보다도 내측의 위치(예를 들면, 판 형상부(55a)의 중심 부근)에서 제2 고정단자(55)가 소정의 압력에 의해 밀려 넣어지면, 밀폐재로는 상기 회전운동은 상술한 걸어 맞춤부(12a)에 의해 저지되고, 소정의 조립 자세(이 경우, 코일 축방향에 따른 직립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 경우, 돌출부(55f)의 축심을 지점으로 하여, 돌출부(55e)에 있어서의 반력에 의거하여, 압압력에 비례한 토크가 상기 회전운동 방향으로 발생한다. 그리고, 조립 작업(압입작업)을 위한 압압력을 해제한 후에도, 돌출부(55e)를 관통구멍(13c)에 압입하여 끼워 맞추었을 때 생긴 마찰력(또는, 밀폐재(90)에 의한 고정장착력)이, 빠짐 방지력으로서 자용하는동시에, 제2 고정단자(55)를 상기 회전운동 방향으로 힘을 준다. 즉, 상기 마찰력이 플랜지(12) 등을 약간 탄성변형시키는 힘의 모멘트(즉, 토크)로서 잔류한다.
즉, 본 실시형태와 같은 부착 구조이라면, 제2 고정단자(55)는 2개의 압입부(13c, 13d)와 걸어 맞춤부(12a)의 부분에서 3점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게다가, 이 부착 상태에 있어서 항상 상기 잔류 토크에 의해 도 9a의 Y1방향(걸어 맞춤부(12a)로부터의 탈락을 저지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상태에 있으며, 이 잔류 토크가 걸어 맞춤부(12a)의 반력으로 막아낸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게 된다.
상술한 부세력을 얻는 방법으로서는 상술한 방법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돌출부(55e)에 돌출 돌기를 마련함으로써, 제2 고정단자(55)에 힘을 가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단자부(55f)를 경사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상기 압입부(13d)에 압력을 줌으로써 상술한 부속 세력을 얻어도 된다.
또한, 이상, 제2 고정단자(55)의 부착 구조 및 부착 방법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제1 고정단자(50)의 부착 구조 등에 관해서도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상세 설명이나 부호에 의한 도시를 생략한다). 덧붙여서 말하면, 제1 고정단자(50)의 판 형상부(50a)의 내측에 위치하는 플랜지(12)의 세로방향 판 형상부(12b)(도 7, 8에 도시한다)와, 상기 판 형상부(50a) 사이에도, 상술한 틈새(S2)와 같은 틈새(S3)(도 8에 도시한다)가 설계치로서 마련되어 있다.
상기 릴레이는, 케이스(80)를 제외하는 각 부품이 상술한 제1, 제2 고정단자(50, 55)와 같이 플랜지(13)를 중심으로 하여 조립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서브어셈블리에 대하여 최후에 케이스(80)를 씌운다. 그 후, 케이스(80)의 개구측을 열경화성 수지(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등의 밀폐재(90)(도 9b에 도시한다)로 밀폐하여 조립이 종료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멍(13c, 13d)은, 플랜지(13)의 케이스 개구측에도 개구하고 있는 관통구멍이다. 이 때문에, 이들 관통구멍(13c, 13d)의 틈새에도, 밀폐재(80)가 모세관현상 및 중력에 의해 침입한다. 이 결과, 도 9b에 있어서 부호 91로 도시한 바와 같은 밀폐재의 유입부가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상태는 도 9c에 도시한 압입부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번잡하게 되기 때문에 도 9c에 있어서는 밀폐재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상기 밀폐재(90)는, 통상 다음과 같이 하여 충전된다. 즉, 케이스(80)를 조립한 후, 릴레이의 케이스 개구측을 연직방향 상측으로 향한다. 그리고, 이 케이스 개구측에 소정량의 밀폐재(90)(미경화상태인 것)를 적하 또는 흘러 내린다. 이 결과, 중력과 모세관현상에 의한 자연 유동에 의해 밀폐재(90)가 케이스 개구측의 각 틈새에 침입함과 동시에, 케이스 개구부 내측에 표면이 평탄한 밀폐층을 형성한다. 그 후, 예를 들면, 릴레이 전체를 밀폐재(90)의 경화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소정시간 보존하는 경화조에 넣고 밀폐재(90)를 경화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릴레이에서는, 케이스 개구측에 배치되는 스풀(10)의 한쪽 플랜지(13)에 형성한 구멍(예를 들면, 관통구멍(13c, 13d))에 각 고정단자(50, 55)로부터 케이스 개구측으로 신장되는 돌출부(예를 들면, 돌출부(55e, 55f))를 압입한다. 한편, 케이스 안쪽에 배치되는 다른 쪽 플랜지에 형성한 걸어 맞춤부(예를 들면, 걸어 맞춤부(12a))에 각 고정단자의 고정접점 부근(판 형상부(50b, 55b)의 케이스 안쪽의 단부 옆테두리)을 걸어 맞춤으로써, 각 고정단자(50, 55)를 스풀(10)에 부착하였다.
이 때문에, 각 고정단자가 스풀의 양 단측에서 지지되게 된다. 이 때문에, 플랜지(13)를 두껍게 하여 끼워 넣어 마련하는 치수를 크게 하지 않아도 충분한 위치 결정 정밀도가 얻어진다. 더구나, 접점 부근에서는 각 고정단자를 스풀에 압입하지 않고, 단지 걸어 맞추게 하여 지지할 뿐이다. 이 때문에, 압입에 의해 생긴 부스러기(불순물)가, 접점 사이에 침입하여 접점 장해를 일으킬 가능성이 각별히 저감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돌출부가 압입되는 한쪽 플랜지(13)의 구멍을 케이스 개구측에 개구한 관통구멍으로 하여 형성하고, 이 관통구멍과 상기 돌출부 사이의 틈새에 밀폐재를 침입시켰다. 이 때문에, 이 돌출부의 압입에 의해 생기는 불순물의 대부분은 밀폐재로 굳어 버려, 케이스 안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이 결과, 불순물에 의한 접점 장해의 발생 가능성이 보다 저감된다. 또한, 압입된 상기 돌출부가 밀폐재의 접착효과로 보다 강고하게 고정된다. 이 때문에, 적정한 압입상태가 신뢰성 높게 유지되게 되고, 고정단자의 위치 자세가 더욱 더 안정적으로 적정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걸어 맞춤부가 상기 고정단자의 가로방향의 이동만을 규제하는 것이며, 이 걸어 맞춤부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는 적어도 코일 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제2 고정단자(55)의 경우, 상술한 걸어 맞춤부(12a)는 제2 고정단자(55)의 판 형상부(55b)의 가로방향의 이동을 규제할 뿐이며, 상술한 틈새(S2)가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고정단자(55)(특히 제2 고정접점(56) 부분)는, 플랜지(12)에 대하여 코일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이 가능하다.
이 결과, 상술한 코일 축방향 압력에 의해 플랜지(12)가 만곡면 형상으로 휘어져 변형하여도, 틈새(S2)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플랜지(12)가 상대적으로 변위하여, 이 변형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변형에 따라 제2 고정단자(55)(특히 제2 고정접점(56) 부분)가 윗쪽으로 변위한다는 불편함은 생기지 않는다. 즉, 접점 압력에 가장 영향을 미치게 하는 고정접점의 축 방향의 변위가 없어지고, 접점 특성이 각별히 안정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잔류 토크에 의해, 고정단자의 케이스 안쪽(즉, 고정접점 부근)이 걸어 맞춤부(12a)에 걸어 맞추는 방향으로 항상 억 눌린다. 이 때문에, 고정접점 부근을 플랜지에 압입하지 않는 구성이면서도, 결과적으로 가로방향 어느 쪽의 방향(도 9a에 있어서의 X1, X2, Y1, Y2의 모든 방향)으로도 이동 불가능한 고정단자의 부착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결과, 고정접점의 가로방향의 위치 어긋남도 발생되기 어렵고, 이 점에서도 접점 특성의 안정화가 도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반드시 상술한 바와 같은 잔류 토크가 발생하는 구성으로 할 필요는 없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접점의 가로방향의 위치 어긋남은, 그 만큼 악영향이 없기 때문에 그것이 허용될 수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고정단자의 케이스 개구측의 압입부를 1개소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원리적으로는, 고정단자의 케이스 개구측의 압입부나, 케이스 안쪽(고정접점 부근)의 걸어 맞춤부를 더 많은 수를 마련하는 양태도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회전운동」이란, 반드시 하나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엄밀한 의미에서의 회전운동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단자가 기울도록 작용하는 바와 같은 양태도 포함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리고, 코일단자 및 고정단자는 반드시 상술한 바와 같이 직선적 평행이동에 의해 부착할 필요는 없다. 또한, 자동기에 의한 자동조립에 한정되지 않고, 수작업에 의해 조립되어도 좋다. 단,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직선적 평행이동에 의해 부착 가능하다면, 자동조립이 용이하며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의 경우에도,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틈새(S1, S2, S3)는, 실제의 조립 완료상태에서는 반드시 존재하지 않아도 된다. 즉, 상술한 틈새(S1, S2, S3)는 부재의 변형(탄성변형 및 소성변형)을 고려하지 않은 설계 치수상의 것으로서, 실제로는 스풀의 플랜지 등의 변형을 이 틈새에서 흡수함으로써, 상기 틈새(S1, S2, S3)가 제로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는, 소위 c접점형(a접점과 b접점 양쪽을 갖는 타입)의 전자 릴레이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이다. 그러나, a접점만을 갖는 a접점형이나 b접점만을 갖는 b접점형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제2 실시형태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다. 이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 번호를 붙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스풀(10)에 대한 요크(40)의 부착 구조에 있다. 즉,상기 요크(40)는 가로방향 판 형상부(41)와 세로방향 판 형상부(43)를 갖는 것이다. 상기 가로방향 판 형상부(41)는, 스풀(10)의 케이스 개구측에 위치하는 플랜지(13)의 외면에 형성된 오목부(13g)에 끼워져, 철심(30)의 일단부(32)와 체결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세로방향 판 형상부(43)는 상기 플랜지(10)의 오목부(13g)의 저면에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13h)로부터 코일 축방향을 따라 케이스 안쪽으로 신장되어 있다.
또한, 가동접점 스프링(60)은 가동철편(70)에 복원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스프링임과 동시에, 가동접점(62)을 소정의 회로 도체에 접속하기 위한 가동접점 단자로서도 기능한다. 이 가동접점 스프링(60)은, 상술한 가로방향 판 형상부(61)와 세로방향 판 형상부(63)를 가지며, 세로방향 판 형상부(63)에 형성된 체결용 구멍(64) 및 회전금지 구멍(65)에, 요크(40)(세로방향 판 형상부(43))에 형성된 체결용 돌기(44) 및 회전금지용 돌기(45)가 각각 끼워진다. 그리고, 체결용 돌기(44)의 선단이 체결됨에 의해, 가동접점 스프링(60)이 요크(40)(세로방향 판형상(43))에 회전금지되어 고정장착되어 있다.
또한, 스풀(10)의 플랜지(13)에 있어서의 상기 세로방향 판 형상부(43)가 배치된 쪽의 측면에는, 상기 오목부(13g) 및 개구부(13h)를 임하는 노치(13j)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13j)가 케이스(80)의 내면과 요크(40)의 외면으로 둘러쌓임으로써, 슬릿 형상의 창부(14)(도 11, 12에 도시한다)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창부(14)의 폭 치수(즉, 노치(13j)의 폭 치수(W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여기에 끼워지는 가동접점 스프링(60)의 일단측(즉, 접속용 단부(66)의 기단측)의 폭치수(W0)(도 10, 11)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창부(14)의 양측에 형성되는 스풀(10)의 L자형 판 형상부(13i)의 두께(T1)(도 11에 도시한다)는, 후술하는 케이스(80)의 볼록부(81)의 두께 및 접속용 단부(66)의 두께의 합계치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창부(14) 내에 유입한 후술하는 밀폐재(90)가 이들 틈새에 적절히 침입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접점 스프링(60), 제1 고정단자(50) 및 제2 고정단자(55)의 케이스 개구단측의 띠판 형상부분은, 제1 코일단자(62)나 제2 코일단자(63)와 같이, 선단이 케이스(80)의 개구단보다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신장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접점을 기판의 소정의 회로 도체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용 단부(66, 50d, 55d)(도 11, 12에 도시한다)를 각각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12에서는, 접속용 단부(50d, 55d) 또는 제1 코일단자(50)나 제2 코일단자(55)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상기 릴레이도, 케이스(80)를 제외한 각 부품이 플랜지(13)를 중심으로 하여 조립되고, 이렇게 해서 구성된 서브어셈블리에 대해 최후로 케이스(80)가 씌워진다. 그 후, 케이스(80)의 개구측을 열경화성 수지(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등의 밀폐재(90)(도 12에 도시한다)로 밀폐하여 조립이 끝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창부(14) 내에도 밀폐재(90)가 충전된다.
또한, 스풀(10)에의 주요 부품의 조립은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즉,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요크(40)를 케이스 개구측으로부터 세로방향으로 직선적으로 평행이동시켜, 그 세로방향 판 형상부(43)의 선단을개구부(13h)에 삽입한다. 이어서 세로방향 판 형상부(43)를 개구부(13h)에 또한 끼워 통과시키고, 가로방향 판 형상부(41)를 오목부(13g)에 끼워 넣어, 요크(40)를 스풀(10)에 위치 결정한다.
다음에, 철심(30)을 케이스 안쪽으로부터 스풀(10)의 몸통부(11)에 마련한 관통구멍(11a)에 끼워 통과시키고, 그 선단의 체결용 돌기(32)를 요크(40)(가로방향 판 형상부(41))에 형성된 구멍(42)에 관통시킨다. 그리고, 체결용 돌기(32)의 선단을 체결함으로써 철심(30)과 요크(40)를 스풀(10)에 고정장착한다.
그 후, 상기 스풀(10)의 측방으로부터 가동접점 스프링(60)(및 가동철편(70))을, 상기 스풀의 노치(13j) 및 상기 요크(40)의 세로방향 판 형상부(43)를 향해 가로방향으로 직선적으로 평행 이동시킨다. 그리고, 가동접점 스프링(60)의 일단측(접속용 단부(66)의 기단측)을 노치(13h?) 내에 끼워 넣는 동시에, 가동접점 스프링(60)에 형성된 체결용 구멍(64) 및 회전금지용 구멍(65)에 체결용 돌기(44) 및 회전금지용 돌기(45)를 각각 끼워 넣는다. 최후에, 체결용 돌기(44)를 체결함으로써, 가동접점 스프링(60)(및 가동철편(70))을 스풀(10)에 부착한다.
이 경우, 케이스(80)의 개구측 내면에는 볼록부(8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81)는 스풀(10)의 노치(13j) 내에 끼워 넣고, 가동접점 스프링(60)의 일단측(즉, 상술한 접속용 단부(66)의 기단측)에 맞닿게 한다(또는 근소한 틈으로 대향시킨다). 따라서, 상술한 접속용 단부(66)는, 상술한 바와 같이 노치(13j)와 케이스(80) 및 요크(40)로 둘러 쌓여 이루어지는 창부(14)에, 근소한 틈을 남기면서 끼워 통과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밀폐재(90)가 상기 틈새에 적절히 침입한다. 또한, 상기 밀폐재(9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충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릴레이에서는, 스풀(10)의 한쪽 플랜지(13)에 있어서의 측면에, 요크(40)가 끼워지는 오목부(13g) 및 개구부(13h)를 임하는 노치(13j)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노치(13j)가 케이스(80)와 요크(40)로 둘러쌓여 이루어지는 창부(14)에, 가동접점 스프링(60)의 일단측(접속용 단부(66))을 끼워 통과시킨 상태로 배치하고 있다. 또한, 이 창부(14) 내에 밀폐재(90)를 충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속용 단부(66)의 도출부를 구성하고, 이 도출부를 밀폐하도록 하였다. 이 때문에, 도 12에 도시한 스풀의 총 두께(T)를 증대시킬 필요가 없고, 릴레이 전체의 높이 방향의 크기를 소형으로 유지할 수 있다.
더구나, 가동접점 스프링(60)의 조립시에 있어서, 그 일단측을 좁은 틈새에 끼워 통과시키는 동작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사람 손에 의한 조립 작업에서도 조립이 각별히 편하게 된다. 또한, 요크(40)나 철심(30)은 물론이고, 가동접점 스프링(60)의 조립도,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가로방향으로 직선적으로 평행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자동조립이 가능하게 되고, 인건비가 높은 생산국에서도 높은 생산성(낮은 생산비용)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노치(13j)의 폭 치수(W1)를, 상기 노치(13j) 내에 위치하는 가동접점 스프링(60)의 일단측(접속용 단부(66))의 폭 치수(W0)보다 약간 큰 값으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케이스(80)의 개구부 내면에, 상기노치(13j) 내에 끼워지고, 가동접점 스프링(60)의 일단측(접속용 단부(66)) 외면에 맞닿거나 또는 대향하는 볼록부(81)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창부(14)의 내주면과 상기 가동접점 스프링(60)의 일단측(접속용 단부(66)) 외주면 사이에, 밀폐재(90)가 적절히 침입하는 미소한 틈새로 설정하였다. 이 때문에, 접속용 단부(66)의 도출부(즉, 창부(14))의 틈새로부터 밀폐재(90)가 내부에 과도로 유입하는 불편함을 보다 확실히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80)의 볼록부(81)가 있기 때문에 창부(14)의 양측에 위치하는 스풀(10)의 L자형 판 형상부(13i)의 두께(T1)(도 11)를 과도로 작게 하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도 있다. 라고 하는 것은, 스풀(10)은 절연재료로 구성할 필요가 있으며, 통상은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서 실용적으로 성형할 수 있는 두께의 최소 치수는, 현상의 기술 레벨에서는 통상 0.4mm 정도이고, 그 이하로 성형하는 것은 대단히 곤란하다. 이 때문에, 제작 비용을 한층 더 염가로 하기 위해서는 될 수 있는 한, 이 한계 최저 치수보다도 크게 설계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종류의 릴레이에 있어서의 단자의 접속용 단부의 두께는 예를 들면 0.3mm로 얇다. 즉, 창부(14)에 끼워 통과시켜지는 접속용 단부(66)의 두께는, 현상으로서는 상기 수지성형의 한계 최저 치수 이하이다. 이 때문에, 볼록부(81)가 가령 마련되지 않은 구성으로 창부(14)의 두께 치수를 상기 L자형 판 형상부(13i)의 두께(T1)와 같게 하면, 이 T1을 가령 상기 한계치수에 설정한 경우라도 예를 들면 0.1mm 정도의 비교적 큰 틈새가 생겨버린다. 이 결과, 밀폐재(90)의 적절한 침입을 관리하는 것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이 틈새를 최적치를 향해서 작게 하려고 하면, 상기 L자형 판 형상부(13i)의 두께(T1)를 수지 성형의 한계 최저 치수 가까이 또는 그 이하로 하는 필요가 생기고, 실용적인 생산이 불가능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볼록부(81)의 두께를 상당량 확보함으로써, 상기 L자형 판 형상부(13i)의 두께(T1)를 수지성형의 한계 최저 치수 이상(또는 그보다 큰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크(40)의 세로방향 판 형상부(43)의 외면에 형성되는 체결용 돌기(44)나 회전금지용 돌기(45)를, 세로방향 판 형상부(43)의 중심선상에 세로로 나열하여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돌기(44, 45)의 가로방향 위치를 상기 노치(13j)의 폭 치수(W1) 내로 설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노치(13j)는, 요크(40)를 세로방향으로 직선 이동시켜 상술한 바와 같이 부착할 때, 상기 돌기(44, 45)와 스풀(10)과의 간섭을 피하는 공간(빠져나감)을 형성하는 기능도 한다. 이 결과, 상술한 빠져 나가감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어지고, 그만큼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빠져 나감을 별도로 마련하면, 이 빠져 나감으로부터 밀폐재가 릴레이 내에 과도하게 침입하여, 작동 불량 등의 불량의 요인이 될 우려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어떠한 대책이 필요하게 되지만,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그와 같은 불량의 우려도 없다고 하는 특징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케이스(80)의 개구부 내면의 볼록부(81)(노치(13j) 내에 끼워지는 볼록부)는 반드시 필요하지는않다. 라는 것은, 단자의 접속용 단부의 두께 치수가 상술한 수지 성형의 한계 최저 치수보다 큰 경우 또는 상기 볼록부가 없음으로 단자 도출부의 틈새가 다소 증가 하여도, 밀폐재의 과도한 침입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밀폐재의 점도가 높은 경우) 등에서는 필요 없기 때문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L자형 판 형상부(13i)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예를 들면, 노치(13j)에 끼워 넣는 가동접점 스프링(60)의 일단측(접속용 단부(66)의 기단측)의 폭 치수(W0)가 요크(40)의 폭 치수와 같게 된 경우(즉, 노치(13j)의 폭 치수(W1)가 오목부(13g)의 폭 치수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L자형 판 형상부(13i)는 결과적으로 없어진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이 L자형 판 형상부(13i)가 없어도 밀폐재의 과도한 유입을 저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가동접점 스프링(가동접점 단자)은 반드시 상술한 바와 같이 직선적 평행이동에 의해 부착할 필요는 없다. 또한, 자동기에 의한 자동조립에 한정되지 않고, 수작업으로 조립하여도 본 발명과 같이, 노치에 가동접점 스프링의 접속용 단부를 끼워 통과시키는 상태로 배치하는 구성이라면, 케이스 조립 전에 이 노치에 상기 접속용 단부를 끼워 넣음으로써, 가동접점 스프링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반드시 직선적 평행이동이 아니라도 부착이 가능하다. 또한, 이 접속용 단부를 슬릿형상 창부(좁은 틈새)에 끼워 통과시켜 부착한다는 번잡하면서도 또한 곤란한 작업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수작업으로 조립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조립성이 좋다.
또한, 가동접점 스프링 이외의 다른 부품에 관해서도, 자동기에 의한 자동조립에 한정되지 않고, 수작업으로 조립하여도 좋은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단, 본 발명의 릴레이라면, 자동조립의 장해가 되는 문제가 없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인건비가 높은 생산국에서는 자동조립을 행함으로써 생산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어서 유리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소위 c접점형(a접점과 b접점을 양쪽 갖는 타입)의 전자 릴레이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이다. 그러나, a접점만을 갖는 a접점형이나 b접점만을 갖는 b접점형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음은 말할것도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스풀의 한쪽 플랜지가 케이스 개구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이 케이스 개구측이 밀폐재로 밀폐되어 이루어지는 전자 릴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가동접점 스프링과 일체로 형성되어 케이스 개구로부터 돌출 상태로 배치되는 가동접점 단자의 도출부의 구성이 개선되고, 밀폐재의 충전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되며, 또한 전체의 높이 치수의 증가를 수반하지 않고, 적어도 가동접점 스프링의 조립성이 향상된 전자 릴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자 릴레이의 제1 특징은, 일단측이 개구된 케이스로 덮이고, 전자석의 코일이 감겨지는 스풀의 한쪽 플랜지가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 내측에 배치되고, 이 한쪽 플랜지의 단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L자형 요크의 가로방향 판 형상부가 끼워 넣어지고, 이 L자형 요크의 세로방향 판 형상부가 상기 한쪽 플랜지의 오목부 저면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상기 스풀의 코일 축방향을 따라 상기 스풀의 다른 쪽 플랜지측으로 신장되도록 배치되고, 가동접점 스프링이 상기 요크의 세로방향 판 형상부의 외면에 고정장착되고, 이 가동접점 스프링의 일단측이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로부터 돌출 상태로 신장되어 가동접점 단자의 접속용 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개구측에 밀폐재가 충전됨으로써 밀폐된 전자 릴레이에 있어서, 상기 한쪽 플랜지에 있어서의 상기 세로방향 판 형상부가 배치되는 쪽의 측면에, 상기 오목부 및 개구부를 임하는 노치를 형성하고, 이 노치가 상기 케이스와 요크로 둘러쌓여 이루어지는 창부에 상기 가동접점 스프링의 일단측을 끼워 통과시킨 상태로 배치하고, 상기 창부 내에도 상기 밀폐재를 충전한 것이다.
제1 특징에 의하면, 스풀의 한쪽 플랜지에 있어서의 측면에, 요크가 끼워지는 오목부 및 개구부를 임하는 노치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노치를 케이스와 요크로 둘러쌓여 형성한 창부에, 가동접점 스프링의 일단측(가동접점 단자의 접속용 단부)을 끼워 통과시키고, 이 창부 내에도 밀폐재를 충전한 구성으로 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는, 가동접점 단자의 접속용 단부의 도출부를 구성하고, 이 도출부를 밀폐하도록 하였다.
이 때문에, 릴레이 전체의 높이 방향의 크기를 증대시킬 필요가 없고, 소형으로 유지할 수 있다. 더구나, 가동접점 스프링이 조립시에 있어서는, 그 일단측을 좁은 틈새에 끼워 통과시키는 동작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사람 손에 의한 작업의 경우에도 조립이 각별히 편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발명에 의하면, 후술하는 제5 특징에 관한 조립 방법에 의해, 케이스 부착 전의 가동접점 스프링의 조립이, 가로방향으로 직선적으로 평행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된다. 이 때문에, 자동조립이 가능하게 되고, 높은 생산성(낮은 생산비용)을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은, 상기 창부의 내주면과 상기 가동접점 스프링의 일단측 외주면과의 틈새를, 상기 밀폐재가 적절히 침입하는 미소한 틈새로 설정한 것이다.
제2 특징에 의하면, 예를 들면, 상기 노치의 폭 치수(W1)를, 상기 노치 내에 위치하는 가동접점 스프링의 일단측의 폭 치수(W0)보다도 약간 큰 값으로 설정하고 있다. 즉, 상기 창부의 내주면과 상기 가동접점 스프링의 일단측 외주면과의 틈새를, 밀폐재가 적절히 침입하는 미소한 틈새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이 때문에, 가동접점 단자의 접속용 단부의 도출부(즉, 상기 창부)의 틈새로부터 밀폐재가 내부로 과도하게 유입하는 불편함을 보다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3 특징은, 상기 케이스의 개구측 내면에, 상기 노치 내에 끼워지고, 또한, 상기 가동접점 스프링의 일단측 외면에 당접 또는 대향하는 볼록부를 형성한 것이다.
제3 특징에 의하면, 창부의 양측에 스풀의 판 형상부(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의 L자형 판 형상부(13i)와 같은 부분)가 형성된 경우, 이 판 형상부의 두께(T1)를 과도하게 작게 하지 않고 끝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라는 것은, 스풀은 절연재료로 구성할 필요가 있으며, 통상은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서 제조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서 실용적으로 성형할 수 있는 두께의 최소 치수는, 현상의 기술 레벨에서는 통상 0.4mm 정도이며, 그 이하는 대단히 곤란하다. 이 때문에, 제작 비용을 한층 더 염가로 하기 위해서는 될 수 있는 한, 이 한계 최저 치수보다도 크게 설계하여야 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종류의릴레이에 있어서의 단자의 접속용 단부의 두께는 예를 들면 0.3mm로서 얇다. 즉, 창부에 끼워 통과되는 상기 접속용 단부의 두께는, 현상태로서는 상기 수지 성형의 한계 최저 치수 이하이다. 이 때문에, 상기 볼록부가 가령 마련되지 않은 구성으로 창부의 두께 치수를 상기 판 형상부의 두께(T1)와 같게 하면, 이 T1을 가령 상기 한계치수에 설정한 경우에도, 예를 들면 0.1mm 정도의 비교적 큰 틈새가 생겨버린다. 이 결과, 밀폐재의 적절한 침입을 관리하기 어렵게 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이 틈새를 최적치를 향해서 작게 하고자 하면, 상기 판 형상부의 두께(T1)를 수지성형의 한계 최저 치수 가까이 또는 그 이하로 할 필요가 생기고, 실용적인 생산이 불가능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볼록부의 두께를 상당량 확보함으로써, 상기 판 형상부의 두께(T1)를 수지 성형의 한계 최저 치수 이상(또는 그보다 큰 값)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4 특징은, 상기 요크의 세로방향 판 형상부의 외면에, 가동접점 스프링을 고정장착하기 위한 체결용 돌기, 또는 가동접점 스프링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회전금지용 돌기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형성하고, 이 돌기의 코일 축방향으로 직각인 가로방향 위치를, 상기 노치의 폭 치수 내로 설정한 것이다.
따라서, 제4 특징에 의하면, 가동접점 스프링의 요크에 대한 고정장착(또는 회전금지)이 용이하게 가능해지는 동시에, 이러한 돌기가 조립시의 간섭의 문제가 용이하게 해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요크를 세로방향으로 예를 들면 직선 이동시켜 스풀의 한쪽 플랜지의 오목부 및 개구부에 끼워 부착할 때, 상기 노치가 상기 돌기와 스풀과의 간섭을 피하는 공간(빠져 나감)으로서의 기능도 다하게 된다. 이 때문에, 특별한 구조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게 되어, 그만큼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빠져 나가는 것을 별도로 마련하면, 이 빠져 나감으로부터 밀폐재가 릴레이 내에 과도하게 침입하고, 작동 불량 등의 불편함이 생길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그와 같은 우려도 없다는 특징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5 특징은, 상기 요크가 부착된 상태의 상기 스풀의 측방으로부터, 코일 축방향으로 직교하는 가로 방향이며 상기 노치 및 상기 세로방향 판 형상부의 외면을 향하는 방향에 상기 가동접점 스프링을 직선적으로 평행이동시켜, 상기 가동접점 스프링의 일단측을 상기 노치에 끼워 넣으면서, 상기 가동접점 스프링을 상기 세로방향 판 형상부의 외면에 고정장착함으로써, 상기 가동접점 스프링을 부착함에 의한 전자 릴레이의 조립 방법에 있다.
본 발명은 릴레이, 특히, 스풀의 양단에 마련한 플랜지의 한쪽을 베이스로 겸용하는 전자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일단측이 개구된 케이스로 덮이고, 전자석의 코일이 감겨지는 스풀의 한쪽 플랜지가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 내측에 배치되며, 이 한쪽 플랜지의 단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L자형 요크의 가로방향 판 형상부가 끼워 넣어지고, 이 L자형 요크의 세로방향 판 형상부가 상기 한쪽 플랜지의 오목부 저면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상기 스풀의 코일 축 방향에 따라서 상기 스풀의 다른 쪽 플랜지의 측으로 신장되도록 배치되고, 가동 접점 스프링이 상기 요크의 세로 방향 판 형상부의 외면에 고정장착되고, 이 가동 접점 스프링의 일단측이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로부터 돌출 상태로 신장하여 가동 접점단자의 접속용 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개구측에 밀폐재가 충전됨으로써 밀폐된 전자 릴레이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플랜지에서 상기 세로방향 판 형상부가 배치되는 측의 측면에, 상기 오목부 및 개구부를 임하는 노치를 형성하고, 이 노치가 상기 케이스와 요크로 둘러싸여 이루어지는 창부에 상기 가동 접점 스프링의 일단측을 삽통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창부내에도 상기 밀폐재를 충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릴레이.
KR10-2001-7011018A 1999-03-05 2000-03-02 전자 릴레이 KR1004047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059506 1999-03-05
JP05950699A JP3580165B2 (ja) 1999-03-05 1999-03-05 電磁リレー及びその組立て方法
JPJP-P-1999-00059647 1999-03-08
JP11059647A JP2000260284A (ja) 1999-03-08 1999-03-08 電磁リレー及びその組立て方法
JPJP-P-1999-00059571 1999-03-08
JP11059571A JP2000260285A (ja) 1999-03-08 1999-03-08 電磁リレー
PCT/JP2000/001218 WO2000054296A1 (fr) 1999-03-05 2000-03-02 Relais electromagne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360A KR20010104360A (ko) 2001-11-24
KR100404770B1 true KR100404770B1 (ko) 2003-11-07

Family

ID=27296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1018A KR100404770B1 (ko) 1999-03-05 2000-03-02 전자 릴레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83407B1 (ko)
EP (1) EP1164613B1 (ko)
KR (1) KR100404770B1 (ko)
CA (1) CA2364454C (ko)
DE (1) DE60017102T2 (ko)
WO (1) WO200005429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423B1 (ko) 2008-11-25 2010-12-0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전류 제어용 릴레이의 가동접편 및 코일핀 결합구조
KR20150053947A (ko) * 2012-11-08 2015-05-19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전자 접촉기
KR20180117725A (ko) * 2014-07-28 2018-10-29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전자 계전기 및 코일 단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24894T2 (de) * 2001-03-22 2009-01-29 Tyco Electronics Austria Gmbh Elektrisches Schaltelement
DE102007024128A1 (de) * 2007-05-24 2008-11-27 Tyco Electronics Austria Gmbh Spulenkörper und Spulengrundkörper für ein elektromagnetisches Relais
CN101320656B (zh) * 2008-04-17 2010-06-09 上海沪工汽车电器有限公司 一种车用常开继电器
EP2251886B1 (en) * 2009-05-14 2014-04-09 Good Sky Electric Co., Ltd. Electromagentic Rela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EP3059754B1 (en) * 2009-06-23 2022-03-0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lectromagnetic relay
JP5360291B2 (ja) 2010-03-15 2013-12-04 オムロン株式会社 接点開閉装置
US8508321B2 (en) * 2010-08-17 2013-08-13 Song Chuan Precision Co., Ltd. Relay with multiple coils
JP5741338B2 (ja) * 2011-09-15 2015-07-01 オムロン株式会社 端子部材のシール構造、及び、電磁継電器
KR20140033814A (ko) * 2012-09-10 2014-03-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개폐장치
JP2015176757A (ja) 2014-03-14 2015-10-05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イル端子および電磁継電器
CN104835687A (zh) * 2015-05-28 2015-08-12 上海沪工汽车电器有限公司 一种电磁继电器装配方法
JP6556514B2 (ja) * 2015-06-19 2019-08-07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CN106298369B (zh) * 2016-08-18 2019-02-26 漳州宏发电声有限公司 一种倒装式接触系统及其继电器
CN106683950A (zh) * 2016-11-21 2017-05-17 宁波金海电子有限公司 一种继电器的绕线装置、包含其的继电器、及其安装方法
JP6765012B2 (ja) 2016-11-24 2020-10-07 厦▲門▼宏▲発▼汽▲車▼▲電▼子有限公司Xiamen Hongfa Automotive Electronics Co., Ltd. 静的リードとボビンとの挿着構造
KR101888275B1 (ko) * 2016-12-23 2018-08-14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릴레이 장치
CN109285731A (zh) * 2018-09-29 2019-01-29 厦门宏发电力电器有限公司 一种直动式直流继电器
US11004639B2 (en) * 2018-10-22 2021-05-11 Song Chu An Precision Co., Ltd. Armature of relay
JP7400689B2 (ja) * 2020-10-20 2023-12-19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6025A (ja) 1985-01-31 1986-08-07 日本電気株式会社 電磁継電器
DE3664834D1 (en) 1985-01-31 1989-09-07 Nec Corp Electromagnetic relay
JPH0312198A (ja) 1989-06-08 1991-01-21 Fuji Electric Co Ltd 自動洗濯機
JPH03126340A (ja) * 1989-10-11 1991-05-29 Nec Corp フレーム識別符号伝送方式
JPH03126340U (ko) * 1990-04-03 1991-12-19
JPH0412242U (ko) 1990-05-22 1992-01-31
JPH0693234A (ja) 1992-09-14 1994-04-05 Dainippon Ink & Chem Inc 水性艶出し組成物
JP3253877B2 (ja) 1996-11-28 2002-02-04 株式会社タイコーデバイス 電磁継電器
JPH10188762A (ja) 1996-12-27 1998-07-21 Hightech:Kk 電磁リレ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423B1 (ko) 2008-11-25 2010-12-0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전류 제어용 릴레이의 가동접편 및 코일핀 결합구조
KR20150053947A (ko) * 2012-11-08 2015-05-19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전자 접촉기
KR101718436B1 (ko) * 2012-11-08 2017-03-21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전자 접촉기
KR20180117725A (ko) * 2014-07-28 2018-10-29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전자 계전기 및 코일 단자
KR20180117726A (ko) * 2014-07-28 2018-10-29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전자 계전기 및 코일 단자
KR101931479B1 (ko) 2014-07-28 2019-03-13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전자 계전기 및 코일 단자
US10242829B2 (en) 2014-07-28 2019-03-26 Fujitsu Component Limited Electromagnetic relay and coil terminal
KR101993108B1 (ko) * 2014-07-28 2019-06-25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전자 계전기 및 코일 단자
US11120961B2 (en) 2014-07-28 2021-09-14 Fujitsu Component Limited Electromagnetic relay and coil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360A (ko) 2001-11-24
EP1164613B1 (en) 2004-12-29
CA2364454A1 (en) 2000-09-14
EP1164613A4 (en) 2003-06-11
DE60017102T2 (de) 2005-12-22
EP1164613A1 (en) 2001-12-19
WO2000054296A1 (fr) 2000-09-14
CA2364454C (en) 2007-07-31
DE60017102D1 (de) 2005-02-03
US6483407B1 (en) 2002-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4770B1 (ko) 전자 릴레이
EP1973135B1 (en) Electromagnetic Relay
JP4168733B2 (ja) 電磁継電器
JP4952325B2 (ja) 電磁継電器
KR100309569B1 (ko) 전자기릴레이,전자기릴레이내의힌지스프링및요크용결합구조및용제침입방지구조
WO1995025336A1 (fr) Relais electromagnetique
KR101154627B1 (ko) 전자 계전기
EP1973136B1 (en) Electromagnetic Relay
WO1995008180A1 (fr) Relai electromagnetique et sa fabrication
KR101352894B1 (ko) 몰드 코일 및 몰드 코일을 이용한 전자 밸브
JP5448062B2 (ja) 電子部品装置
JP3783066B2 (ja) リレー
JP7183014B2 (ja) 電磁継電器、及び電磁継電器の製造方法
JP4607911B2 (ja) 電動機の固定子及び電動機及び空気調和機
JP4470837B2 (ja) リレー
CN110476216B (zh) 线圈部件
JP3580165B2 (ja) 電磁リレー及びその組立て方法
JP7361593B2 (ja) 電磁継電器
JP5880537B2 (ja) 電子部品装置
JP7149824B2 (ja) 電磁継電器
JP4000553B2 (ja) 電磁リレー
JP3548749B2 (ja) 電磁継電器
JP2009070603A (ja) 電磁継電器
JPH08235988A (ja) 電磁継電器
JP2000260285A (ja) 電磁リレ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