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4627B1 - 전자 계전기 - Google Patents

전자 계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4627B1
KR101154627B1 KR1020107027798A KR20107027798A KR101154627B1 KR 101154627 B1 KR101154627 B1 KR 101154627B1 KR 1020107027798 A KR1020107027798 A KR 1020107027798A KR 20107027798 A KR20107027798 A KR 20107027798A KR 101154627 B1 KR101154627 B1 KR 101154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lock
movable contact
fixed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5432A (ko
Inventor
요시후미 치다
게이 치바
Original Assignee
엔이씨 도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이씨 도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이씨 도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15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H01H50/043Details particular to miniaturised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2001/5888Terminals of surface mounted devices [SM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2050/049Assembling or mounting multiple relays in one common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23Details concerning sealing, e.g. sealing casing with res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고신뢰이고, 소형이며, 낮은 실장 높이를 가지고, 표면 실장에 적절한 파워용 쌍둥이형의 전자 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자 계전기 블록의 구성 부품인 코일의 스풀에 설치한 돌기가 베이스 플레이트(5)의 돌기 삽입 구멍(5a, 5b)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5) 상에 2개의 전자 계전기 블록(4A, 4B)이, 그 중심축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거의 평행이 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나란히 설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5)에는 베이스 방호벽(5c)을 설치하고 있어, 조립했을 때에 스풀의 코일선의 권부 단자부를 베이스 방호벽과 고정 단자 블록의 고정 단자 방호벽으로 덮어 가려, 접점 사이로의 권부 단자부로부터의 플럭스 등의 이물의 혼입을 저지한다.

Description

전자 계전기{ELECTROMAGNETIC RELAY}
본 발명은 전자 계전기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케이스 내에 복수의 단위 전자 계전기 블록을 가지는 전자 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접점을 개폐하는 부품의 하나인 전자 계전기는 모터나 솔레노이드의 정역반전 제어용 등에 이용되고 있다. 또, 단위 전자 계전기 블록을 2개 배치한 쌍둥이형의 전자 계전기도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 참조). 이와 같은 전자 계전기는, 전기 부품으로서 자동차 등에 채용되고 있지만, 최근 자동차의 부품에 대한 고밀도 실장화에 대한 요구로부터, 고신뢰성을 가지고, 보다 소형이며, 실장 면적이 작은 것, 혹은 소형이며 실장 높이가 낮고, 표면 실장이 가능한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2000-315448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2003-059383호 공보
종래의 쌍둥이형의 전자 계전기에서는, 기판면에 대해 전자 블록을 구성하는 코일의 중심축이 수직 방향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자동차 용도 등의 비교적 큰 전력을 제어하는 이른바 파워용의 전자 계전기로서는, 전자 블록을 구성하는 요크 및 접극자의 크기도 커지기 때문에, 코일은 충분한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필요하여, 코일에는 길이가 필요하게 된다. 종래의 구성에서는, 코일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소형이며 높이가 낮은 전자 계전기를 제공할 수는 없었다.
또,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전자 계전기에서는 베이스 블록의 하면의 중앙부로부터 돌출된 단자가 있고, 이에 더하여 커버의 4개의 측면 모두에 단자가 위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표면 실장화하기 위해 불가결한 외부 배선과의 접속을 위한 단자의 굽힘 가공이 필요해진다.
전자 계전기에서는, 제조 시에 이물이 혼입되거나, 사용 중에 이물이 발생하는 것은 신뢰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가장 피해야 하는 것이다. 또, 조립 시에 금속 부재를 합성 수지 부재에 삽입할 때에 발생하는 이물을 없앰과 함께, 합성 수지의 성형 시에 형성된 게이트부로부터 이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만일, 조립 후에 이물이 발생해도 그것이 동작에 영향을 주는 접점 부분에 들어가지 않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표면 실장형의 전자 계전기의 경우, 전자 계전기가 탑재되는 기판과의 땜납 접속의 신뢰성 확보 및 리플로우 땜납을 행할 때의 열스트레스에 견딜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신뢰성이 높고, 소형이며, 실장 시의 높이가 낮고, 표면 실장에 적절한 복수개의 전자 계전기 블록을 설치한 전자 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자 전류에 의해 요동하는 가동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을 사이에 두고 그 요동 방향에 대향 배치되어, 상기 여자 전류에 의해 상기 가동 접점과의 사이가 닫혀지는 상시 개로(開路) 접점과, 상기 여자 전류의 통전을 절단했을 때에 상기 가동 접점과의 사이가 닫혀지는 상시 폐로(閉路) 접점, 및 고정 접점을 구비한 복수개의 전자 계전기 블록을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가지고, 상기 전자 계전기 블록은, 코일 어셈블리와 가동 접점 블록을 가지는 전자 블록, 및 고정 단자 블록을 가지고, 상기 코일 어셈블리는, 코일 단자를 설치한 스풀에 코일선을 감은 코일 블록과, 일면이 코일 블록의 코일의 권회(卷回)축에 수직인 면에 평행하며, 다른 면이 권회축에 평행한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된 요크, 및 상기 코일 블록을 관통함과 함께, 상기 요크와 일단이 결합한 코어를 가지고, 상기 가동 접점 블록은, 상기 요크에 일단이 결합된 상기 가동 접점 스프링과, 상기 가동 접점 스프링에 결합한 접극자와, 외부 배선과 접속하기 위한 외부 단자부를 설치한 가동 접점 단자를 가지고, 상기 고정 단자 블록은, 상기 상시 개로 접점을 구성하는 메이크측 고정 접점을 유지하는 메이크측 고정 단자와, 상기 상시 폐로 접점을 구성하는 브레이크측 고정 접점을 유지하는 브레이크측 고정 단자를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하고, 상기 메이크측 고정 단자 및 상기 브레이크측 고정 단자는 각각 외부 배선과 접속하기 위한 외부 단자부를 가짐과 함께, 상기 요크의 일단부를 끼워 맞춘 끼워 맞춤 구멍을 가지고, 상기 전자 계전기 블록에 설치한 상기 코일 어셈블리의 상기 스풀에 설치한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한 돌기 삽입 구멍에 삽입하여 전자 계전기 블록을 고정한 전자 계전기이다.
또, 상기 메이크측 고정 단자와 상기 브레이크측 고정 단자는 절입(切入)을 설치한 금속 평판의 절곡(折曲) 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메이크측 고정 단자와 상기 브레이크측 고정 단자는 동일 평면에 있는 일체가 된 금속 평판의 절곡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의 전자 계전기이다.
상기 메이크측 고정 단자에 유지된 메이크측 고정 접점의 상기 가동 접점측으로 돌출하는 높이가 상기 브레이크측 고정 단자에 유지된 브레이크측 고정 접점의 상기 가동 접점측으로 돌출하는 높이보다도 큰 상기의 전자 계전기이다.
또, 상기 메이크측 고정 단자, 상기 브레이크측 고정 단자, 상기 가동 접점 단자의 외부 단자부는 각각 대략 두갈래로 갈라진 형상을 가지고, 그 선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보다 돌출되어 있는 상기의 전자 계전기이다.
상기 코일 블록은 상기 코일선을 감는 권부(卷付) 단자부를 가지고, 그 권부 단자부는 상기 고정 단자 블록의 상기 2개의 고정 접점의 하부에 설치한 방호벽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한 방호벽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는 상기의 전자 계전기이다.
상기 커버는 내부에 리브를 가지고, 그 리브의 선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한 리브 삽입 구멍에 삽입 고정되는 상기의 전자 계전기이다.
본 발명의 전자 계전기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가동 접점을 사이에 두고 그 요동 방향에 대향 배치된 2개의 고정 접점의 중심축을 거의 일치시키고, 또한, 이 중심축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거의 평행이 되도록 2개의 전자 계전기 블록을 병설하는 것, 및 스풀에 설치한 돌기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한 돌기 삽입 구멍에 삽입하여 열압착 고정함으로써, 종래의 쌍둥이형 전자 계전기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낮은 실장 높이를 얻을 수 있어, 표면 실장화 가능한 전자 계전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돌기 삽입 구멍에 삽입되는 스풀의 돌기 단면을 스풀 성형 시의 게이트부로 함으로써, 이물이 발생하기 쉬운 게이트부가 전자 계전기 본체의 외측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돌기를 열압착 고정함으로써 게이트부로부터 전자 계전기 내부로의 이물의 혼입을 배제할 수 있어 고신뢰성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코일 단자를 수지로 일체 성형 고정한 스풀 및 고정 단자를 일체 성형 고정한 고정 단자 블록을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전자 계전기에서 단자를 수지 성형품에 압입할 때에 발생한 절삭 이물의 발생이 없어지므로 고신뢰성화를 실현할 수 있고, 또한 단자 둘레의 수지의 두께를 극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낮은 실장 높이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메이크측 고정 접점의 높이를 브레이크측 고정 접점의 높이보다 크게 하여, 금속 평판으로부터 절곡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메이크측 고정 단자와 브레이크측 고정 단자를 동일 평면에 있는 일체가 된 금속 평판의 절곡 가공에 의해 형성되도록 한 것으로, 이 2개의 고정 단자의 기재가 되는 부품을 후프 상에 연결하여 가공을 진행시켜 나갈 수 있게 되어, 조립 정밀도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선단부가 돌출하는 외부 단자부를 두갈래로 갈라진 형상으로 함으로써, 단자의 선단부의 강성을 낮출 수 있어, 표면 실장하기 위한 단자 굽힘 가공이 용이해짐과 함께 땜납 접속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고정 단자 블록의 고정 접점의 하부의 방호벽과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한 방호벽이 스풀의 권부 단자를 둘러싸 덮어 가리는 구조로 함으로써, 코일선이 땜납 고정된 권부 단자로부터의 땜납이나 플럭스의 찌꺼기 등의 이물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커버에 설치한 리브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리브 삽입 구멍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리플로우의 열스트레스에 의한 커버의 천정면 팽창 및 시일링제와 커버의 계면 박리에 의한 기밀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고신뢰이고, 소형이며, 낮은 실장 높이를 가지고, 표면 실장에 적절한 파워용 쌍둥이형의 전자 계전기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 계전기의 일실시 양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전자 계전기 본체와 커버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전자 계전기를 반대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양태의 전자 계전기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양태의 전자 계전기의 커버의 투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 계전기의 일실시 양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전자 계전기 본체와 커버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이다.
전자 계전기(1)는, 전자 계전기 본체(2)와 이것을 덮는 커버(3)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 계전기 본체(2)는, 2개의 전자 계전기 블록(4A, 4B)이 베이스 플레이트(5) 상에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또, 전자 계전기 블록(4A, 4B)은, 각각 코일 어셈블리(6), 고정 단자 블록(51)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고정 단자 블록(51)에는, 메이크측 고정 접점(51d)을 유지하는 메이크측 고정 단자(51c)와, 브레이크측 고정 접점(51b)을 유지하는 브레이크측 고정 단자(51a)를 가지고 있다.
코일 어셈블리(6)는, 전자 블록(61), 요크(63), 및 가동 단자 블록(65)을 가지고 있으며, 전자 블록(61)에는 코일 블록(64)이 설치되고, 코일 블록(64)에는, 코일 내부에 코어가 장착됨과 함께, 코어의 일단은 요크(63)에 걸어 맞춰져 있다.
요크(63)에는, 가동 접점 블록(65)의 일단의 가동 접점 스프링(65b)이 결합되어 있으며, 가동 접점 블록(65)은, 코어에 대해 자력으로 접합되는 접극자(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또, 선단부에는, 가동 접점(65c)을 가지고 있다.
고정 단자 블록(51)은 브레이크측 고정 접점(51b)을 유지하는 브레이크측 고정 단자(51a)와 브레이크측 고정 접점(51b)보다도 가동 접점측으로 돌출하는 높이가 큰 메이크측 고정 접점(51d)을 유지하는 메이크측 고정 단자(51c)를 내열성 수지로 일체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의 브레이크측 고정 접점(51b) 및 메이크측 고정 접점(51d)의 가동 접점측으로 돌출하는 높이는 0.1~2mm 정도로 할 수 있다. 또, 성형 시에 메이크측 고정 단자(51c)의 위치 정밀도 향상을 위해서 메이크측 단자 누름부(51f)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5)와 커버의 맞댐면의 근방에는, 합성 수지 성형 시의 주입구인 게이트부(51g)를 설치하고, 베이스 플레이트(5)와의 사이에 시일링재를 주입하여 커버(3)의 내면과 베이스 플레이트(5)의 둘레 가장자리부(7)를 열경화성 수지에 의해 시일링할 때에, 동시에 게이트부(51g)에 시일링제를 유입함으로써, 성형 시에 형성된 게이트부로부터의 이물의 발생을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메이크측 고정 단자(51c) 및 브레이크측 고정 단자(51a)는 각각 외부 배선과 접속하기 위한 외부 단자부를 가지고, 그들의 외부 단자부는 각각 대략 두갈래로 갈라진 형상을 가지며, 그 단자 선단부(51j, 51k)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5)보다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전자 계전기(1)는, 전자 블록(61)을 구성하는 코일 블록(64)의 코일에 통전함으로써 코일 블록(64)에 자력이 발생하고, 접극자(65a)가 흡인되어 가동 접점(65c)이 브레이크측 고정 접점(51b)으로부터 메이크측 고정 접점(51d) 방향에 맞닿는다.
한편, 코일로의 통전을 정지함으로써 가동 접점(도시하지 않음)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통전 전의 상태로 복귀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 계전기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1과는 반대측에서 본 도이다.
전자 계전기 본체(2)의 베이스 플레이트(5)에 2개의 전자 계전기 블록(4A, 4B)이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또, 전자 계전기 블록(4A, 4B)은, 각각 고정 단자 블록(51), 전자 블록(61), 및 가동 단자 블록(65)을 가지고 있다.
코일 블록(64)에는, 코일 내부에 코어가 장착됨과 함께, 요크(63)가 설치되어 있다. 요크(63)는, 2면이 대략 L자 형상으로 교차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한쪽의 면의 선단부(63a)는, 고정 단자 블록(51)의 고정 단자 유지부(51i)에 장착되고, 타단에는 가동 접점 스프링(65b)이 걸어 맞춰져 있다. 또, 코어를 걸어 맞추는 걸어 맞춤 구멍(63b)을 가지고, 코어의 일단과 요크(63)가 걸어 맞춰져 있다.
또, 베이스 플레이트(5)에는, 판 형상의 코일 단자(64a), 가동 접점 단자(65d), 및 외부 접속 단자(65e)가 고착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자 계전기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전자 블록(61)은, 코일 블록(64)과 요크(63)와 코어(62)로 이루어지는 코일 어셈블리(6)와, 가동 접점 블록(65)을 가지고 있다.
코일 블록(64)은 좌우에 플랜지부(64f, 64g)가 형성되고, 각각에 판 형상의 코일 단자(64a 및 64i)를 내열성 수지로 일체 성형하고, 그 중심부에 코어 구멍(64h)이 형성된 스풀(64c)에 코일선(64b)이 감겨져 있다. 코일선(64b)은 코일 단자(64a 및 64i)의 각각의 권부 단자부(64e)에 감겨져 땜납 접속된다.
요크(63)는 2면이 직교하도록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한쪽의 면은 코일 블록(64)의 플랜지부(64g)와 접촉하고, 접촉한 부분의 선단은, 폭이 좁아지도록 단차 형성되어 있으며, 선단부(63a)는, 고정 단자 블록(51)의 고정 단자 유지부(51i)에 장착되어 있다.
또, 코일 블록(64)을 관통한 코어(62)의 선단부(62b)가 요크(63)에 설치한 걸어 맞춤 구멍(63b)을 직경이 확대되도록 벌려 코일 블록(64)과 요크(63)가 일체가 되도록 코킹 접합된다.
또, 고정 단자 블록(51)을 구성하는 브레이크측 고정 접점(51b), 메이크측 고정 접점(51d)의 아래쪽에는, 고정 단자 방호벽(51h)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 단자 방호벽(51h)은, 코일선이 감겨진 단자로부터의 땜납이나 플럭스의 찌꺼기 등의 이물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고정 단자 방호벽(51h)은, 고정 단자 유지부(51i)를 합성 수지로 일체 성형하여 고정 단자 블록(51)을 제작할 때에 동시에 제작할 수 있다.
가동 접점 블록(65)은, 가동 접점을 유지하는 2면이 직교하는 대략 L자 형상의 가동 접점 스프링(65b)과 가동 접점 스프링(65b)에 코킹 고정된 접극자(65a)와 가동 접점 단자(65d)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접점 스프링(65b)은 탄성 변형 가능하게 대략 L자형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띠판(帶板) 부재이며, 일면에는 자력에 의해 흡인되는 판 형상의 접극자(65a)가 고착되어 있음과 함께, 그 선단 부분의 양면에 가동 접점(65c)이 고착되어 있다.
또, 접극자(65a)는 코일 블록(64)의 코어(62)의 걸림부(62a)의 단면 상에 위치하도록 가동 접점 스프링(65b)이 요크(63)면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 접점 단자(65d)는, 외부 배선과 접속하기 위한 외부 단자부(65e)를 가지고, 그 외부 단자부는 대략 두갈래로 갈라진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그 외부 단자 선단부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5)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5) 상에는, 전자 계전기 블록(4A)이 그 구성 부품인 스풀(64c)의 돌기(64d)가 베이스 플레이트(5)의 돌기 삽입 구멍(5a)에 삽입되어 열압착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5) 상에 고정된다. 전자 계전기 블록(4B)도 마찬가지로 베이스 플레이트(5) 상에 고정되고, 이 결과, 2개의 전자 계전기 블록(4A 및 4B)이 각각의 2개의 고정 접점의 중심축을 거의 일치시키고, 또한, 그 중심축이 베이스 플레이트(5)에 대해 거의 평행이 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5) 상에 나란히 설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전자 계전기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5)는 베이스 플레이트 방호벽(5c)을 설치하고 있으며, 조립했을 때에 스풀(64c)이 권부 단자부(64e)를 베이스 플레이트 방호벽(5c)과 고정 단자 블록(51)의 고정 단자 방호벽(51h)으로 덮어 가려, 권부 단자부(64e)로부터 접점 사이로의 플럭스 등의 이물의 혼입을 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성형에 사용하는 합성 수지에는, 내열성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내열성이 양호한 전자 계전기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액정 폴리머, 페놀 수지,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아세탈,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들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자 계전기의 커버를 설명하는 도이다.
커버(3)는, 베이스 플레이트(5)와 대략 동일 치수의 끼워 맞춤 가능한 개구부를 가진 밀폐성의 상자 형상체이다. 커버(3)의 내면과 베이스 플레이트(5)의 둘레 가장자리부(7)가 열경화성 수지를 통하여 시일링되어 있다. 또, 커버(3)는 내부의 거의 중앙부에 설치한 리브(3a)에 의해, 2개의 전자 계전기 블록을 배치하는 공간을 분리하고 있으며, 리브(3a)는 베이스 플레이트(5)의 리브 삽입 구멍(5b)에 그 선단부가 삽입되고, 열강화성 수지에 의해 고착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전자 계전기의 외형은, 일례를 들면, 한 변이 5~30mm 정도인 상자형 형상으로 할 수 있어, 그 목적으로 하는 외형 형상에 적합하도록 각 부품의 형상, 치수, 재료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고신뢰이고, 소형이며, 낮은 실장 높이를 가지고, 표면 실장에 적절한 파워용 쌍둥이형의 전자 계전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여자 전류에 의해 요동하는 가동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을 사이에 두고 그 요동 방향에 대향 배치되어, 상기 여자 전류에 의해 상기 가동 접점과의 사이가 닫혀지는 상시 개로(開路) 접점과, 상기 여자 전류의 통전을 절단했을 때에 상기 가동 접점과의 사이가 닫혀지는 상시 폐로(閉路) 접점, 및 고정 접점을 구비한 복수개의 전자 계전기 블록을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가지고,
    상기 전자 계전기 블록은, 코일 어셈블리와 가동 접점 블록을 가지는 전자 블록, 및 고정 단자 블록을 가지고,
    상기 코일 어셈블리는, 코일 단자를 설치한 스풀에 코일선을 감은 코일 블록과, 일면이 코일 블록의 코일의 권회(卷回)축에 수직인 면에 평행하며, 다른 면이 권회축에 평행한 L자 형상으로 형성된 요크, 및 상기 코일 블록을 관통함과 함께, 상기 요크와 일단이 결합된 코어를 가지고,
    상기 가동 접점 블록은, 상기 요크에 일단이 결합된 가동 접점 스프링과, 상기 가동 접점 스프링에 결합된 접극자와, 외부 배선과 접속하기 위한 외부 단자부를 설치한 가동 접점 단자를 가지고,
    상기 고정 단자 블록은, 상기 상시 개로 접점을 구성하는 메이크측 고정 접점을 유지하는 메이크측 고정 단자와, 상기 상시 폐로 접점을 구성하는 브레이크측 고정 접점을 유지하는 브레이크측 고정 단자를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하고, 상기 메이크측 고정 단자 및 상기 브레이크측 고정 단자는 각각 외부 배선과 접속하기 위한 외부 단자부를 가짐과 함께, 상기 요크의 일단부를 끼워 맞춘 끼워 맞춤 구멍을 가지고,
    상기 전자 계전기 블록에 설치한 상기 코일 어셈블리의 상기 스풀에 설치한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한 돌기 삽입 구멍에 삽입하여 전자 계전기 블록을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이크측 고정 단자와 상기 브레이크측 고정 단자는 절입(切入)을 설치한 금속 평판의 절곡(折曲) 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메이크측 고정 단자와 상기 브레이크측 고정 단자는 동일 평면에 있는 일체가 된 금속 평판의 절곡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3. 청구항 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이크측 고정 단자에 유지된 메이크측 고정 접점의 상기 가동 접점측으로 돌출되는 높이가 상기 브레이크측 고정 단자에 유지된 브레이크측 고정 접점의 상기 가동 접점측으로 돌출되는 높이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4. 청구항 1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이크측 고정 단자, 상기 브레이크측 고정 단자, 상기 가동 접점 단자의 외부 단자부는 각각 두갈래로 갈라진 형상을 가지고, 그 선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보다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5. 청구항 1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블록은 상기 코일선을 감는 권부(卷付) 단자부를 가지고, 그 권부 단자부는 상기 고정 단자 블록의 상기 2개의 고정 접점의 하부에 설치한 방호벽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한 방호벽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는 내부에 리브를 가지고, 그 리브의 선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한 리브 삽입 구멍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KR1020107027798A 2008-05-12 2009-05-12 전자 계전기 KR1011546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24640 2008-05-12
JP2008124640A JP5004243B2 (ja) 2008-05-12 2008-05-12 電磁継電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432A KR20110015432A (ko) 2011-02-15
KR101154627B1 true KR101154627B1 (ko) 2012-06-08

Family

ID=41318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798A KR101154627B1 (ko) 2008-05-12 2009-05-12 전자 계전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305167B2 (ko)
EP (1) EP2290670A4 (ko)
JP (1) JP5004243B2 (ko)
KR (1) KR101154627B1 (ko)
CN (1) CN102089847B (ko)
CA (1) CA2729013C (ko)
WO (1) WO20091393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4431B2 (ja) * 2010-11-08 2014-11-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磁リレー
JP5635374B2 (ja) * 2010-11-15 2014-12-03 Necトー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US9141157B2 (en) * 2011-10-13 2015-09-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olded power supply system having a thermally insulated component
BR112015006120A2 (pt) * 2012-09-20 2017-07-04 Delphi Tech Inc unidade de relé
JP6065661B2 (ja) * 2013-03-08 2017-01-25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CH713442B1 (de) * 2017-02-08 2021-03-31 Elesta Gmbh Ostfildern De Zweigniederlassung Bad Ragaz Relais.
JP1592947S (ko) * 2017-05-16 2017-12-11
JP6939592B2 (ja) * 2018-01-22 2021-09-22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および端子台
CN108155063A (zh) * 2018-02-09 2018-06-12 太仓神明电子有限公司 一种车载双子继电器及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9627A (en) * 1987-12-23 1990-09-25 Nec Corporation Electromagnet relay
EP0324439A3 (en) * 1988-01-13 1990-01-17 OMRON Corporation Package for an electromagnetic relay
JPH0793091B2 (ja) * 1988-06-30 1995-10-09 日本電気株式会社 電磁リレー
US5587693A (en) * 1995-08-07 1996-12-24 Siemens Electromechanical Components, Inc. Polarized electromagnetic relay
DE19537612C1 (de) * 1995-10-09 1997-01-09 Siemens Ag Elektromagnetisches Relais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5781089A (en) * 1996-11-21 1998-07-14 Siemens Electromechanical Components, Inc. Electromagnetic relay
DE19747166C1 (de) * 1997-10-24 1999-06-02 Siemen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Relais
JP2000315448A (ja) * 1999-05-06 2000-11-14 Omron Corp 電磁リレー
JP2001185015A (ja) * 1999-12-27 2001-07-06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td 多連電磁継電器
JP4238482B2 (ja) * 2001-01-12 2009-03-1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3870049B2 (ja) 2001-08-17 2007-01-17 Necトーキン株式会社 電磁継電装置
JP2004127581A (ja) * 2002-09-30 2004-04-22 Fujitsu Component Ltd 電磁継電器
CN2667646Y (zh) * 2003-12-24 2004-12-29 宁波福特继电器有限公司 一种超小型大功率汽车用继电器
KR20050078988A (ko) * 2004-02-03 2005-08-08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게엠베하 적어도 하나의 계전기 구동기를 갖는 전자기 계전기와계전기 구동기용 리셉터클
CN201017822Y (zh) * 2007-03-03 2008-02-06 深圳宗泰电子有限公司 一种贴片式弯脚继电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29013A1 (en) 2009-11-19
EP2290670A1 (en) 2011-03-02
CA2729013C (en) 2013-10-22
CN102089847B (zh) 2015-08-26
JP2009277361A (ja) 2009-11-26
JP5004243B2 (ja) 2012-08-22
US8305167B2 (en) 2012-11-06
CN102089847A (zh) 2011-06-08
EP2290670A4 (en) 2014-01-22
US20110109410A1 (en) 2011-05-12
WO2009139367A1 (ja) 2009-11-19
KR20110015432A (ko) 201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4627B1 (ko) 전자 계전기
KR100494849B1 (ko) 전자계전장치
KR101196091B1 (ko) 전자 계전기
US7504915B2 (en) Electromagnetic relay
EP1592037B1 (en) Electromagnetic relay
US20130033344A1 (en) Electromagnetic relay
US782328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nnector of electronic clutch for compressor
US20050146405A1 (en) Switching device
EP2945178B1 (en) Contact device
EP2226825B1 (en) Electromagnetic relay
WO1995008180A1 (fr) Relai electromagnetique et sa fabrication
JP4607911B2 (ja) 電動機の固定子及び電動機及び空気調和機
JP4487558B2 (ja) コイルブロック
CN111466007A (zh) 触点装置和电磁继电器
US20180053615A1 (en) Electromagnetic relay and relay device
US10373789B2 (en) Electromagnetic relay
JP2008098506A (ja) コイル部品及び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US10943751B2 (en) Electromagnetic relay
JP3826464B2 (ja) 電磁継電器
CN115910691A (zh) 电磁继电器
JP4089188B2 (ja) 電磁継電器
JP2021150026A (ja) 電磁接触器
JP2002170468A (ja) 電磁継電器
JP2021083160A (ja) 電気接続装置
JPH07111127A (ja) 電磁継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