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767B1 -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767B1
KR101351767B1 KR1020070004684A KR20070004684A KR101351767B1 KR 101351767 B1 KR101351767 B1 KR 101351767B1 KR 1020070004684 A KR1020070004684 A KR 1020070004684A KR 20070004684 A KR20070004684 A KR 20070004684A KR 101351767 B1 KR101351767 B1 KR 101351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weight
thermosetting resin
resin composition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4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7425A (ko
Inventor
이계원
윤경근
김진환
이동희
박종민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4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767B1/ko
Publication of KR20080067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7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25Copolymer of an unspecified olefin with a monomer other than an olef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 조성물로 제조된 보호막에 관한 것으로서, 광디바이스용 컬러필터에 사용되는 보호막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 바람직한 열경화성 조성물 및 이 조성물로 제조된 보호막에 관한 것으로서, (a1) 불포화 카르복시산 또는 그 무수물, (a2) 에폭시기 함유 불포화 화합물, (a3) 트리알콕시실란계 불포화 화합물 및 (a4)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의 공중합체[A]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여, 우수한 표면경도, 평탄화성, 기계적 물성, 내UV성 및 내열성을 갖고, 동시에 기판과의 충분한 밀착성과 내산성 및 내알칼리성을 갖는 보호막을 제조할 수 있어 고온에서도 황변현상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광디바이스용 보호막 형성 재료로서 매우 적합한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 조성물로 제조된 보호막에 관한 것으로서, 광디바이스용 컬러필터에 사용되는 보호막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 바람직한 열경화성 조성물 및 이 조성물로 제조된 보호막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소자(LCD)와 같은 광 디바이스(device)는 제조공정 중 유기용제, 산, 알칼리 용액 등에 의해 침지처리되거나, 배선 전극층을 제막할 경우 스퍼터링에 의한 표면의 국부적 고온 가열을 받는 등 가혹한 처리를 받게 된다. 따라서 이들 소자에는 제조시의 변질을 막기 위하여 그 표면에 보호막이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보호막은 착색층을 보호하고, 컬러필터를 평탄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막은 상기와 같은 가혹한 처리에 견디는 동시에 기판 또는 하층과의 밀착성이 우수하여야 하고, 높은 평활도, 표면경도, 투명성과 장기에 걸쳐 착색, 황변, 백화 등의 변질이 없이 우수한 내열성 및 내광성이 요구된다. 또한 내 용제성, 내산성, 내알칼리성 등의 내약품성이나 내수성 등이 뛰어난 것이 요구된다. 또한 이와 같은 보호막을 컬러 액정 표시 소자의 컬러 필터에 적용할 경우에는 기판으로 일반적인 컬러 필터의 단차를 평탄화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도록 보호막 조성물은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되며, 크게 열경화성과 광경화성(감광성)으로 분류된다. 보호막의 패턴 형성이 필요할 경우에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 요구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사용되는데, 이는 공정상 편리하고 가교 밀도를 높일 수 있어 기계적 물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0-103937호, 동 공보 제2000-119472호 및 동 공보 제2000-143772호에는 보호막을 구성하는 조성물로서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즉, 카르복실기나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아크릴 수지, 가교제 역할을 하는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다관능성 모노머 및 열중합개시제로 구성된 조성물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조성물을 사용하여 보호막을 제조하는 경우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지 못하고, 특히 고온에서 내열성이 좋지 않아 황변 현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기계적 물성을 고려하여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다관능성 모노머를 과다하게 사용할 수는 있는데, 이 경우에는 고온에서의 황변 현상이 더욱 심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트리알콕시실란계 불포화 화합물을 사용하여 가교밀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켜 기계적 물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 조성물로 제조된 보호막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온에서도 황변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 조성물로 제조된 보호막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1) 불포화 카르복시산 또는 그 무수물, (a2) 에폭시기 함유 불포화 화합물, (a3) 트리알콕시실란계 불포화 화합물 및 (a4)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의 공중합체[A]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공중합체[A]는 (a3) 트리알콕시실란계 불포화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를 5~60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중합성 화합물[B]를 공중합체[A] 100중량부에 대하여 150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더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열 라디칼 중합개시제[C]를 공중합체[A] 100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더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보호막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공중합체[A]는 종래의 공지되어 있는 중합방법에 의하여 얻어지는데, 즉 화합물 (a1), (a2), (a3) 및 (a4)를 용매 중에서 중합개시제의 존재 하에 라디칼 중합을 행함으로써 합성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A]는 화합물 [a1]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를 바람직하게는 5~4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0중량%를 함유하는 것이다. 이 구성단위의 함량이 상기 범위 이내인 것이 추후 제조되는 보호막의 내열성, 내약품성 및 표면경도의 향상에 있어서나 보존안정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화합물 (a1)로는, 예컨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등의 모노카르복시산; 말레산, 푸마르산, 시트라콘산, 메사콘산, 이타콘산 등의 디카르복시산; 및 이들 디카르복시산의 무수물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선택된 1종의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무수말레산 등이 공중합 반응성과 내열성이 우수하고 입수가 용이하여 주로 사용된다.
또한 공중합체[A]는 화합물 [a2]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를 바람직하게는 10~7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60중량%를 함유하는 것이다. 이 구성단위의 함량이 상기 범위 이내인 것이 추후에 제조되는 보호막의 내열성 및 표면경도의 향상 에 있어서나 보존안전성의 유지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화합물 (a2)로는, 예컨대 아크릴산 글리시딜, 메타크릴산 글리시딜, α-에틸 아크릴산 글리시딜, α-n-프로필 아크릴산 글리시딜, α-n-부틸 아크릴산 글리시딜, 아크릴산-3,4-에폭시 부틸, 메타크릴산-3,4-에폭시 부틸, 아크릴산-6,7-에폭시 헵틸, 메타크릴산-6,7-에폭시 헵틸, α-에틸 아크릴산-6,7-에폭시 헵틸, o-비닐 벤질 글리시딜 에테르, m-비닐 벤질 글리시딜 에테르, p-비닐 벤질 글리시딜 에테르 중 선택된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되며, 공중합 반응성 및 얻어지는 보호막의 내열성과 경도를 높인다는 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한편 공중합체[A]는 화합물 [a3]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를 바람직하게는 5~6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50중량%를 함유하는 것이다. 이를 바람직하게는 5~6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50중량%를 함유하는 것이다. 이 구성단위의 함량이 상기 범위 이내인 것이 내열성, 표면경도의 향상에 있어서나 보존 안전성 유지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화합물 (a3)로는, 예컨대 3-아미노 프로필 트리 메톡시 실란, 3-아미노 플로필 트리 에톡시 실란, 3-클로로 프로필 트리 메톡시 실란, 3-클로로 프로필 트리 에톡시 실란, 2-아미노 에틸 3-아미노 프로필 트리 메톡시 실란, 3-글리시독시 프로필 트리 메톡시 실란, 3-글리시독시 프로필 트리 에톡시 실란, 3-메타크릴 옥시 프로필 트리 메톡시 실란, 3-메타크릴 옥시 프로필 트리 에톡시 실란, 비닐 트리 메톡시 실란, 비닐 트리 에톡시 실란, 비닐 벤질 아미노 에틸 아미노 프로필 트리 메톡시 실란, 이소 부틸 트리 알콕시 실란 및 옥틸 트리 에톡시 실란 중 선택된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되며, 공중합 반응성 및 내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상의 트리알콕시실란계 불포화 화합물을 포함하여 공중합체를 제조함으로써 가교밀도를 향상시켜 기계적 물성 특히 내마모성 및 ITO 공정성이우수한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공중합체[A]는 화합물 [a4]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를 바람직하게는 10~7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50중량%를 함유하는 것이다. 이 구성단위의 함량이 상기 범위 이내인 것이 보존안정성 유지나 후에 제조되는 보호막의 내열성 및 표면경도의 향상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화합물 (a3)로는, 예컨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메틸 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2-메틸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 메타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로닐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산 시클로 알킬 에스테르;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2-메틸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 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로닐 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 시클로알킬 에스테르; 페닐메타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산 아릴 에스테르; 페닐 아크릴레이트, 벤질 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 아릴 에스테르; 말레산 디에틸, 푸마르산 디에틸, 이타콘산 디에틸 등의 디카르복 시산 디에스테르; 2-히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 알킬 에스테르; 및 스티렌, o-메틸 스티렌, m-메틸 스티렌, p-메틸 스티렌, 비닐 톨루엔, p-메톡시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염화 비닐, 염화 비닐 리덴, 아크릴 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초산 비닐, 1,3-부타디엔, 이소프렌, 2,3-디메틸-1,3-부타디엔 중 선택된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된다. 이 중 스티렌, t-부틸메타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 메타크릴레이트, p-메톡시 스티렌, 2-메틸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1,3-부타디엔 등이 공중합 반응성 및 내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상기와 같은 공중합체[A]는 카르복시기 및/또는 카르복시산 무수물 및 에폭시기를 갖고 있으며, 특별한 경화제를 병용하지 않더라도 가열에 의하여 용이하게 경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공중합체[A]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형성되는 막의 두께, 경화성 조성물의 용액 도포 조건, 목적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된다. 추후 제조되는 보호막의 표면평활성을 고려하여 공중합체[A]의 수평균분자량이 3,000~100,0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50,000인 것이 좋다.
공중합체[A]의 합성에 사용되는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등의 프로필렌 글리콜 알킬 에테르 아세테이트류 중 선택된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공중합체[A]의 합성에 사용되는 중합개시제로는 일반적으로 라디칼 중합개시제로서 알려져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2,2′-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등의 아조 화합물; 벤조일 퍼옥시드, t-부틸 퍼옥시 피바레이트, 1,1′-비스-(t-부틸 퍼옥시) 시클로헥산 등의 유기 과산화물; 및 과산화수소를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개시제로서 과산화물을 이용한 경우 과산화물을 환원제와 함께 이용하여 레독스형 개시제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공중합체[A] 이외에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중합성 화합물[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합성 화합물[B]는 단관능, 2관능 또는 3관능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가 중합성이 양호하고, 추후 얻어지는 보호막의 내열성, 표면경도가 향상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단관능(메타)아크릴레이트로는, 예컨대 2-히드록시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카비톨(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3-메톡시부틸(메 타)아크릴레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 에틸 2-히드록시 프로필 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2관능(메타)아크릴레이트로는, 예컨대 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메타)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녹시 에틸알콜 플루오렌 디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3관능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로는, 예컨대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뉴레이트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단관능, 2관능 또는 3관능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중 선택된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중합성 화합물[B]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합성 화합물[B]는 공중합체[A] 100중량부에 대하여 150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중량부 이하로 함유하는 것이 좋다. 중합성 화합물[B]의 함량이 공중합체[A] 100중량부에 대하여 150중량부 이하인 것이 얻어지는 보호막의 밀착성 향상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열라디칼 중합개시제[C]를 더 포함 할 수 있는데, 공중합체[A] 100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중량부 이하의 비율로 함유한다. 열라디칼 중합개시제[C]가 20중량부 이하로 사용되는 것이 추후 얻게 되는 보호막의 내열성 및 평탄화성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상기 열라디칼 중합개시제[C]는 일반적으로 라디칼 중합개시제로서 알려져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술한 공중합체[A]의 중합을 위하여 사용되는 중합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공중합체[A]와 함께 선택적으로 중합성 화합물[B] 및 열라디칼 중합개시제[C]를 용매에 용해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사용하는 용매는 어느 한 성분과도 반응하지 않는 것이 사용된다. 예컨대, 상기 공중합체[A]의 중합을 위하여 사용된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용해성, 반응성 및 도막 형성의 편리성의 관점에서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및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매와 함께 고비등점 용매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비등점 용매로는 예컨대, N-메틸 포름아미드, N,N-디메틸 포름아미드, N-메틸 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 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 설폭시드, 벤질에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고비등점 용매를 병용하는 경우 상기 용매와의 혼합 비율은 "(상기 용매) : (고비등점 용매) = 50~100 : 5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필요에 의하여 다른 성분을 함유하여도 좋다. 여기서의 다른 성분이라 함은 예컨대, 도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는 불소 또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으며, 예컨대 3M사의 FC-129, FC-170C, FC-430 등을 들 수있다. 이는 공중합체[A]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중량부 이하의 양을 사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를 공중합체[A]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 이하인 것이 도포시 거품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혼합된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지름 0.1~5㎛ 정도의 필터 등을 이용하여 여과한 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보호막을 형성할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기판에 도포하고, 용제를 제거하여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도포막을 형성한 후, 열처리하여 보호막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기판으로는, 예컨대 유리, 석영, 실리콘,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지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및 환상 올레핀의 개환 중합체 및 그의 수소 첨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용액의 도포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스프레이법, 롤코팅법, 회전도포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용매의 제거는 가열처리(예비 소성)에 의하여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예비 소성의 조건은 조성물 용액의 각 성분의 종류, 비율 등에 따라 상이하지만, 60~120℃에서 0.5~20분정도 소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열처리하는데, 이때의 처리 온도는 150~300℃로 10~100분간 처리하여 광디바이스용 보호막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보호막의 두께는 0.1~6.0㎛가 바람직하고, 보호막을 형성하는 기판 상에 요철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값은 요철의 가장 윗면에서의 값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냉각관과 교반기가 구비된 반응용기에 2,2′-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5 중량부 및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200중량부를 넣었다. 이어 불포화 카르복시 산(a1)으로 메타크릴산 30중량부, (a2)로 메타크릴산 글리시딜 40중량부, 트리알콕시실란계 불포화화합물(a3)로 (주)다우코닝社 Z-6040 SILANE 10중량부 및 (a1),(a2),(a3) 이외의 올레핀계 불포화화합물(a4)로 스티렌 20중량부를 투입하고 질소치환한 후 서서히 교반을 개시하였다. 용액의 온도를 80℃로 상승시키고 이 온도를 4시간동안 유지하여 공중합체[A1]을 포함하는 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 용액의 고형분 농도는 33중량%였다.
얻어진 공중합체[A1] 100중량부(고형분)와, 경화성 화합물[B]로서 Daicel Chemical社 제조의 CELLOXIDE 2021P(지환족 에폭시 화합물) 5중량부 및 계면활성제로서 3M社의 FC-430(불소계 계면활성제) 0.1 중량부를 혼합하고,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에 용해시켜 고형분 농도가 25% 되도록 하였다. 그 후 구멍 지름 0.45㎛의 필터로 여과하여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용액을 제조하였다.
유리기판 위에 스핀코터를 이용하여 상기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용액을 막두께가 2㎛가 되도록 도포하고 이를 클린 오븐에서 220℃로 30분 동안 소성하여 유리기판 위에 보호막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트리알콕시실란계 불포화화합물(a3)로 (주)다우코닝社 Z-6032 SILANE 10중량부 및 계면활성제로서 신에츠실리콘社의 KP341(실리콘계 계면활성제) 0.1 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용액을 제조하였으며, 유리기판 위에 동일한 방법으로 보호막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트리알콕시실란계 불포화화합물(a3)로 (주)다우코닝社 Z-6020 SILANE 10중량부, 중합성 화합물[B]로서 트리메틸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100중량부, 열라디칼 중합개시제[C]로서 벤조일 퍼옥시드 5중량부 및 계면활성제로서 3M社의 FC430(불소계 계면활성제) 0.1 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용액을 제조하였으며, 유리기판 위에 동일한 방법으로 보호막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트리알콕시실란계 불포화화합물(a3)로 (주)다우코닝社 Z-6020 SILANE 10중량부, 중합성 화합물[B]로서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100중량부, 열라디칼 중합개시제[C]로서 1,1′-아조비스-1-시클로헥실니트릴 5중량부 및 계면활성제로서 신에츠실리콘社의 KP341(실리콘계 계면활성제) 0.1 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용액을 제조하였으며, 유리기판 위에 동일한 방법으로 보호막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트리알콕시실란계 불포화화합물(a3)로 (주)다우코닝社 X1-6124 SILANE 10중량부, 중합성 화합물[B]로서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메타아크릴 레이트 100중량부, 열라디칼 중합개시제[C]로서 1,1′-아조비스-1-시클로헥실니트릴 5중량부 및 계면활성제로서 신에츠실리콘社의 KP341(실리콘계 계면활성제) 0.1 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용액을 제조하였으며, 유리기판 위에 동일한 방법으로 보호막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트리알콕시실란계 불포화화합물(a3)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용액을 제조하였으며, 유리기판 위에 동일한 방법으로 보호막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3에서 트리알콕시실란계 불포화화합물(a3)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용액을 제조하였으며, 유리기판 위에 동일한 방법으로 보호막을 형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보호막에 대한 평가방법은 하기와 같으며,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보호막에 대한 평가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1) 밀착성
바둑판 무늬 테이프 법(ASTM D3359)에 따라 보호막에 100개의 바둑판 눈금을 커터 나이프로 형성하여 밀착성 시험을 행하였다. 박리된 바둑판 눈금의 수를 측정하고, 다음 기준에 의하여 보호막의 밀착성을 평가하였다.
○ : 박리된 바둑판 무늬의 수 5개 이하
△ : 박리된 바둑판 무늬의 수 6~49개
× : 박리된 바둑판 무늬의 수 50개 이상
(2) 표면경도
연필경도법(ASTM D3363)에 따라 보호막에 대하여 연필경도 시험법을 행하여 보호막의 표면경도를 평가하였다.
(3) 투명성
분광 광도계(SHIMADZU社 UV-VIS spectrophotometer UV-3101PC)를 이용하여 400~700㎚에서 보호막의 투과율을 측정하고 다음 기준에 의하여 보호막의 투명성을 평가하였다.
○ : 최저 투과율 95% 초과
△ : 최저 투과율 90~95%
× : 최저 투과율 90% 미만
(4) 평탄화성
보호막의 표면 요철을 α 스텝을 이용하여 조사하고 기판의 단차를 측정하였다.
(5) 내UV성
보호막에 UV를 조사(2000mJ/cm2)하였다. UV 조사 전후의 보호막의 투과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다음 기준에 의하여 보호막의 내UV성을 평가하였다.
○ : 투과 스펙트럼의 변화가 1% 이내
× : 투과 스펙트럼의 변화가 1% 이상
(6) 내열성(황변 정도)
보호막을 클린 오븐에서 240℃, 60분 동안 가열하고, 가열 전후의 투과 스펙 트럼을 측정하고, 다음 기준에 의하여 보호막의 내열성 및 황변 정도를 평가하였다.
○ : 투과 스펙트럼의 변화가 1% 이내(황변현상 무)
× : 투과 스펙트럼의 변화가 1% 이상(황변현상 유)
(7) 내산성
보호막이 형성된 유리기판을 25중량% 염산 수용액 중에 30℃, 20분간 침지한 후, 보호막의 외관 변화를 관찰하여 보호막의 내산성을 평가하였다.
(8) 내알칼리성
보호막이 형성된 유리기판을 10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중에 30℃, 60분간 침지한 후, 보호막의 외관 변화를 관찰하여 보호막의 내알칼리성을 평가하였다.
구분 밀착성 표면경도 투명성 평탄화성
(요철수준)
내UV성 내열성 내산성 내알칼리성
실시예1 5H 0.1㎛ 변화없음 변화없음
실시예2 5H 0.1㎛ 변화없음 변화없음
실시예3 5H 0.1㎛ 변화없음 변화없음
실시예4 5H 0.1㎛ 변화없음 변화없음
실시예5 5H 0.1㎛ 변화없음 변화없음
비교예1 3H 0.3㎛ × × 변화없음 변화없음
비교예2 3H 0.3㎛ × × 변화없음 변화없음
상기 물성 측정 결과, 기판 상에 컬러필터 보호막을 형성할 때, 본 발명의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한 경우, 평탄화성, 기계적 물성, 내UV성 및 내열성이 비교예에 비하여 특히 우수한 사실을 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경화성 수지는 우수한 평탄화성, 기계적 물성을 가지며, 내UV성 및 내열성을 가져 고온에서도 황변현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동시에 기판과의 충분한 밀착성과 내산성 및 내알칼리성을 갖는 보호막을 제조할 수 있어 광디바이스용 보호막 형성 재료로서 매우 적합한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a1) 불포화 카르복시산 또는 그 무수물, (a2) 에폭시기 함유 불포화 화합물, (a3) 트리알콕시실란계 불포화 화합물 및 (a4)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의 공중합체[A]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중합성 화합물[B]를 150중량부 이하로 포함하는 광디바이스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A]는 (a3) 트리알콕시실란계 불포화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를 5~60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바이스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열 라디칼 중합개시제[C]를 공중합체[A] 100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더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바이스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5. 제 1 항, 제 2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로 형성된 광디바이스용 보호막.
KR1020070004684A 2007-01-16 2007-01-16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1351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684A KR101351767B1 (ko) 2007-01-16 2007-01-16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684A KR101351767B1 (ko) 2007-01-16 2007-01-16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425A KR20080067425A (ko) 2008-07-21
KR101351767B1 true KR101351767B1 (ko) 2014-01-16

Family

ID=39821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4684A KR101351767B1 (ko) 2007-01-16 2007-01-16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7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79110B2 (en) 2014-11-21 2018-0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lock copolymer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8401A (ja) * 1992-12-23 1994-08-16 Tremco Inc アルコキシシラン官能化アクリルポリマー組成物
JP2632167B2 (ja) * 1987-11-30 1997-07-23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熱硬化性組成物
KR20050115093A (ko) * 2004-06-03 2005-12-07 주식회사 코오롱 광디바이스 보호막 형성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2167B2 (ja) * 1987-11-30 1997-07-23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熱硬化性組成物
JPH06228401A (ja) * 1992-12-23 1994-08-16 Tremco Inc アルコキシシラン官能化アクリルポリマー組成物
KR20050115093A (ko) * 2004-06-03 2005-12-07 주식회사 코오롱 광디바이스 보호막 형성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425A (ko) 2008-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1198B1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1351767B1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1062250B1 (ko) 광디바이스 보호막 형성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090063985A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1330385B1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1309374B1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080067427A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0839118B1 (ko) 광디바이스용 보호막 형성 재료로 유용한 열경화성 수지조성물
KR101320835B1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2005472B1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100079862A (ko) 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2247710B1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1098014B1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1309456B1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0804063B1 (ko) 광디바이스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150020853A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110032855A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130077000A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180078638A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2232878B1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130092826A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0423346B1 (ko) 광디바이스용 보호막 형성 재료로 유용한 열경화성 수지조성물
KR20090066573A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150136929A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1052766B1 (ko) 열경화성 수지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