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741B1 - 시트 셔터의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셔터의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741B1
KR101351741B1 KR1020110096191A KR20110096191A KR101351741B1 KR 101351741 B1 KR101351741 B1 KR 101351741B1 KR 1020110096191 A KR1020110096191 A KR 1020110096191A KR 20110096191 A KR20110096191 A KR 20110096191A KR 101351741 B1 KR101351741 B1 KR 101351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rum
support member
shee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5859A (ko
Inventor
타이헤이 츠보네
Original Assignee
니폰 덴산 심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산 심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산 심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35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C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4Dru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06Shaf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Planetary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소형화나 저가격화에 유리한 시트 셔터의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통형상의 드럼(104)의 일단부에 선단측으로부터 삽입되는 본체부(1a)와, 셔터 케이스(102)에 장착되는 기부(1b)를 갖고 있다. 본체부(1a)에는, 모터부(10)나 브레이크부(20), 감속부(30)가 수용되어 있다. 감속부(30)는 본체부(1a)로부터 노출되는 연결부(34)를 갖고, 샤프트를 개재하지 않고, 드럼(104)의 내벽에 고정된 플랜지 벽(2)에 연결부(34)가 연결된다.

Description

시트 셔터의 구동 장치{APPARATUS FOR DRIVING A SHEET SHUTTER}
본 발명은 시트 셔터(sheet shutter)의 드럼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시트 셔터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러한 시트 셔터(100)는, 방충이나 방진(防塵), 내외의 공기의 차단 등을 위해, 공장이나 창고 등의 출입구(G)에 흔히 마련되어 있다. 시트 셔터(100)에는, 다양한 타입이 사용되고 있지만, 최근에는 특히 소형이고 저가격인 것이 요망되고 있다.
시트 셔터(100)에는, 천이나 합성수지 등으로 만들어진 시트(101)나, 셔터 케이스(102), 시트 가이드(103) 등이 구비되어 있다. 셔터 케이스(102)는 출입구(G)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시트(101)는 셔터 케이스(102)의 하면의 시트 취출구로부터 출납된다. 한쌍의 시트 가이드(103)는 출입구(G)의 좌우측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시트(101)의 출납을 가이드한다. 셔터 케이스(102)의 내부에는, 시트(101)가 감겨지는 긴 통형상의 드럼(104)이나, 드럼(104)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장치 등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한 구동 장치중 하나로서, 드럼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장형의 구동 장치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플랜지형상의 출력축을 갖는 감속기는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특허문헌 2에서는, 감속기의 출력축을 겸하는 캐리어(carrier)는, 3개의 지주가 마련된 원반형상(圓盤形狀)의 본체 플레이트와, 각 지주에 고정되는 커버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본체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유성 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본체 플레이트의 출력측의 면에는 8개의 장착 구멍이 형성되고, 그 이면에는, 유성 기어를 지지하는 핀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3개의 유성 핀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 구멍이나 유성 핀 구멍은, 모두 원주방향으로 균등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각 구멍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각각의 구멍중 어느 하나의 형성 위치를 일치시키고, 다른 구멍의 형성 위치가 벗어나도록 하고 있다.
일본 공개 특허 제 2005-240416 호 공보 일본 공개 특허 제 2002-181139 호 공보
도 2에, 시트 셔터(100)에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내장형의 구동 장치(110)[단지 구동 장치(110)라고도 함]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장치(110)의 선단측의 대부분은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드럼(104)의 일단부로부터 그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드럼(104)으로부터 삐져나온 기단 부분이 셔터 케이스(102)에 고정되어 있다[구동 장치(110)의 고정 부위]. 구동 장치(110)에는 브레이크부(111)나 모터부(112), 감속부(113)가 구비되고, 이들은 구동 장치(110)의 내부에 회전축을 따라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출력 샤프트(114)가 구동 장치(110)의 선단으로부터 드럼(104)의 안쪽을 향해서 돌출하여 있다.
드럼(104)의 내부에는 축 고정 부재(115)가 고정되어 있다. 축 고정 부재(115)는 원판형상의 베이스부(base portion; 115a)와, 베이스부(115a)의 중앙에 마련된 보스부(boss portion; 115b)를 갖고 있다. 베이스부(115a) 및 보스부(115b)의 중앙으로 관통하는 구멍에 출력 샤프트(114)가 고정되고, 드럼(104)은 축 고정 부재(115)를 거쳐서 구동 장치(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드럼(104)의 타단부는 축 지지부(116)를 거쳐서 셔터 케이스(10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내장형의 구동 장치(110)의 경우, 구동 장치(110) 자체가 횡으로 길게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구동 장치(110)로부터 드럼(104)의 안쪽으로 돌출하는 출력 샤프트(114)에 축 고정 부재(115)가 장착되기 때문에, 축 고정 부재(115)의 장착 부위(연결 부위)가 구동 장치(110)의 고정 부위로부터 크게 떨어져 있었다. 연결 부위에는 드럼(104) 등의 하중이 가해지므로, 떨어진 고정 부위에 큰 힘의 모멘트가 작용한다. 그 결과, 고정 부위에 강도가 요구되어, 소형화나 저가격화를 촉진시키는 면에서 내구성의 확보가 어렵다라는 불리한 점이 있었다.
또, 드럼(104)의 직경은 가능한 한 작게 하고자 하므로, 드럼(104)의 단부와 구동 장치(110) 사이에 충분한 간극을 확보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드럼(104)이 휘면 드럼(104)의 단부와 구동 장치(110)가 접촉할 우려가 있다. 또한, 축 고정 부재(115)는, 강도를 확보하면서 경량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보스부(115b)의 형성 등 복잡한 구조로 되기 쉬워, 생산성에 어려움이 있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성이 우수하고, 드럼을 보다 적절하게 지지할 수 있고, 소형화나 저가격화에 유리한 시트 셔터의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셔터의 구동 장치는, 시트와, 상기 시트가 감겨지는 통형상의 드럼과, 상기 드럼의 내벽에 고정되는 지지 부재와, 상기 드럼을 수용하고, 상기 시트의 출납이 가능한 셔터 케이스를 구비한 시트 셔터의 구동 장치이다. 구동 장치는, 상기 드럼의 일단부에 선단측으로부터 삽입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셔터 케이스에 장착되는 기부를 갖고 있다.
상기 본체부에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의 회전을 제동 제어하는 브레이크부와, 상기 본체부의 선단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부의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하는 감속부가 수용되어 있다. 상기 감속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노출되는 연결부를 갖고, 샤프트를 개재하지 않고 상기 지지 부재에 상기 연결부가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의 구동 장치에 따르면, 샤프트를 개재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지지 부재에 연결부가 연결되므로, 샤프트를 거쳐서 드럼 등을 지지하고 있던 종래의 구동 장치와 비교하여, 구동 장치가 지지되어 있는 기부로부터 드럼 등의 지지 부위까지의 거리를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기부에 작용하는 토크가 작아지기 때문에, 기부나 기부를 고정하는 부위에 요구되는 강도를 저감할 수 있어, 소형화나 저가격화를 촉진할 수 있다. 보스부 등이 불필요하게 되어, 지지 부재의 구조도 간소하게 될 수 있으므로, 생산성도 우수하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부는 태양 기어가 마련된 구동축을 갖고 있다. 상기 감속부는, 상기 태양 기어와 맞물리는 복수의 유성 기어와, 상기 복수의 유성 기어의 외주에 회전 불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유성 기어와 맞물리는 내치 기어와, 핀을 거쳐서 상기 유성 기어를 자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태양 기어의 주위에 공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캐리어를 갖고 있다. 상기 캐리어는 상기 본체부의 선단측에 노출되는 연결면을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면을 상기 지지 부재에 밀착시켜서 고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감속부가 상기 지지 부재와 연결된다.
본체부의 선단측으로부터 노출되는 감속부의 연결면에 지지 부재를 밀착시켜서 고정하고 있으므로, 샤프트에 의해 지지하는 것에 비하여, 지지 부재를 보다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드럼이 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구동 장치와 드럼이 접촉하기 어려워져, 드럼을 보다 작은 직경으로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결면에는, 상기 지지 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캐리어에는, 상기 핀이 삽입되는 복수의 축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축 구멍이 관통하여 상기 체결 구멍중 어느 하나와 동축으로 이어지도록 한다.
그렇게 하면, 축 구멍과 체결 구멍을 일괄하여 가공할 수 있으므로, 가공에 필요한 공수나 작업 부담을 삭감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본체부가 기둥형상의 외관을 보이고 있을 경우, 상기 본체부의 선단 부분에, 상대적으로 외경이 작은 소경부(小徑部)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드럼에 고정되는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소경부와 대향하여 있도록 하면 좋다.
그렇게 하면, 소경부를 마련함으로써, 본체부의 선단 부분과 드럼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부재에 플랜지부를 마련하고, 소경부와 대향하도록 그 플랜지부를 공간에 배치하면, 지지 부재를 드럼에 의해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동시에, 드럼 등의 지지 부위가 기부에 근접하기 때문에, 한층더 기부 주변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구동 장치는 내치 기어를 이용하여 드럼을 지지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그러한 구동 장치에서는, 상기 모터부는 태양 기어가 마련된 구동축을 갖고 있다. 상기 감속부는, 상기 태양 기어와 맞물리는 복수의 유성 기어와, 상기 복수의 유성 기어의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유성 기어와 맞물리는 내치 기어와, 회전 불가능하게 배치되고, 핀을 거쳐서 상기 유성 기어를 자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캐리어를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내치 기어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지지 부재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내치 기어를 이용하여 드럼을 지지함으로써, 한층더 드럼 등의 지지 부위는 기부에 근접하므로, 기부 주변에의 부담을 더욱 경감할 수 있다. 비교적 구조가 간략화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구동 장치와 비교하여, 생산성이 우수하고, 드럼을 보다 적절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시트 셔터의 소형화나 저가격화의 실현이 용이해진다.
도 1은 시트 셔터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구동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3은 실시형태의 구동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확대도,
도 5는 캐리어의 개략 단면도,
도 6은 도 5에 있어서의 화살표 X 방향에서 본 개략도,
도 7은 도 5에 있어서의 Y-Y선에 있어서의 개략 단면도,
도 8은 다른 실시형태의 구동 장치를 도시하는, 도 4에 상당하는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불과하고, 본 발명, 그 적용물 혹은 그 용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 본 발명을 적용한 시트 셔터(100A)의 구동 장치(1)(내장형)의 일례를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의 시트 셔터(100A)는, 구동 장치(1)나, 축 고정 부재(115)를 대신하여 드럼(104)의 내부에 플랜지 벽(2)(지지 부재)이 마련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면, 앞에서 도 1이나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 시트 셔터(100)와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셔터(100A)에는, 시트(101)나, 셔터 케이스(102), 시트 가이드(103) 등이 구비되어 있어서, 셔터 케이스(102)의 내부에는, 예를 들어 전장이 1m 내지 4m 등, 시트(101)가 감겨지는 긴 원통형상의 드럼(104)이나, 드럼(104)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장치(1) 등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104)의 한쪽 단부에 구동 장치(1)가 배치되고, 드럼(104)의 다른쪽 단부에 축 지지부(116)가 배치되어 있어서, 드럼(104)은 이들 구동 장치(1) 및 축 지지부(11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플랜지 벽(2)은 원판형상의 부재이다. 플랜지 벽(2)은, 그 주변부가 드럼(104)의 내벽에 고정되고, 드럼(104)의 중심선(A)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플랜지 벽(2)의 상세에 대해서는, 별도 후술한다.
본 실시형태의 구동 장치(1)는, 드럼(104)의 일단부에 선단측으로부터 삽입되는 본체부(1a)와, 본체부(1a)의 기단측에 일체로 마련된 기부(1b)를 갖고 있다. 기부(1b)는 셔터 케이스(102)에 볼트 등으로 체결하여 고정된다. 본체부(1a)는 기둥형상(예를 들면, 원기둥형상)의 외관을 보이고, 드럼(104)과 중심선(A)[회전축(A)]이 일치하도록 조립되어 있다. 본체부(1a)와 드럼(104)이 접촉하지 않도록, 본체부(1a)의 최대 외경은 드럼(104)의 최소 내경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본체부(1a) 및 기부(1b)의 외곽을 구성하는 케이스(3)는 복수의 부품(part)을 조합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a)의 내부에, 모터부(10)나 브레이크부(20), 감속부(30)가 회전축(A)을 따라 일렬로 늘어서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 장치(1)에서는, 모터부(10)에 의해 회전 구동력이 형성되고, 그 회전 구동력이 토크를 높이기 위해서 감속부(30)에 의해 감속된 상태로 출력된다.
모터부(10)는, 구동축(11)이나 로터(12), 스테이터(13) 등을 갖고, 본체부(1a)에 있어서의 회전축(A) 방향의 중간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모터부(10)에는, 이들 이외에도, 외부로부터 모터부(10)에 전류를 공급하는 배선이나 전류를 제어하는 기판 등이 구비되어 있지만, 여기에서는 그 설명이나 도시는 생략한다.
구동축(11)은, 회전축(A)을 중심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2개의 베어링(14a, 14b)을 거쳐서 케이스(3)에 지지되어 있다. 구동축(11)의 선단 부분은 감속부(30)의 내부로 돌출하고, 구동축(11)의 후단 부분은 브레이크부(20)의 내부로 돌출하여 있다. 그리고, 구동축(11)의 선단 부분에는, 태양 기어(15)가 동축(중심선이 일치한 상태)으로 고정되어 있다.
로터(12)는 구동축(11)과 동축으로 마련되고, 그 외주에는 복수의 네오디뮴(neodymium) 자석(16)이 마련되어 있다. 스테이터(13)는 스테이터 코어(17)나 복수의 코일(18) 등으로 구성된 원통형상의 복합 부재이며, 케이스(3)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다. 스테이터(13)는 로터(12)의 외주면과 약간의 간극을 두고서 대향하도록 로터(12)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브레이크부(20)는, 임의의 위치에서 시트(101)를 보지하여, 시트(101)가 벗어나 떨어지거나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모터부(10)가 출력하는 회전 구동력을 제동 제어한다. 브레이크부(20)는 본체부(1a)의 기단측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브레이크부(20)에는, 예를 들어 디스크 브레이크 등으로 구성된 제동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도 4에 상세하게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속부(30)는 본체부(1a)의 선단측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감속부(30)는 3개의 유성 기어(31, 31, 31)와 1개의 내치 기어(32), 캐리어(33) 등을 갖고 있다.
각 유성 기어(31)는 태양 기어(15)와 맞물리도록 태양 기어(15) 주위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내치 기어(32)는 링형상의 기어이며, 각 유성 기어(31)와 맞물리도록 이들 유성 기어(31)의 외주에 배치되어 있다. 내치 기어(32)는 케이스(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회전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유성 기어(31)는 캐리어(3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 5, 도 6, 도 7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리어(33)는 1개의 금속 블록으로부터 절삭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된 다단 원기둥형상의 회전체이다. 구체적으로는, 캐리어(33)는, 일체로 형성된, 원주형상의 제 1 베어링부(33a) 및 제 2 베어링부(33b)와, 제 1 베어링부(33a) 및 제 2 베어링부(33b)보다도 큰 직경의 기어 지지부(33C)를 갖고 있다. 기어 지지부(33C)는 제 1 베어링부(33a)와 제 2 베어링부(33b)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베어링부(33a)의 돌출단 부분은 회전축(A)에 직교하는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연결면(34)]. 제 2 베어링부(33b)의 돌출단 부분의 중앙에는, 태양 기어(15)를 받아들이는 맞물림 공간(35)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기어 지지부(33C)의 측면에는, 각 유성 기어(31)에 대응하여 3개의 기어 창(36)이 개구되어 있다. 이들 기어 창(36)은 맞물림 공간(35)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횡단 구멍(37)을 통해서 맞물림 공간(35)과 연통하고 있다. 횡단 구멍(37)의 양단부로부터 유성 기어(31)의 치형부의 일부가 돌출하도록, 각 횡단 구멍(37)내에 각 유성 기어(31)가 수용된다.
연결면(34)에는, 플랜지 벽(2)을 체결하기 위한 6개의 체결 구멍(38, …,38)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체결 구멍(38, …, 38)은 제 1 베어링부(33a)에 회전축(A)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면(34)의 중앙에는, 위치결정용의 지그(jig) 구멍(39)이 형성되어 있다.
캐리어(33)에 있어서의 제 1 베어링부(33a)의 일부로부터 기어 지지부(33C) 및 제 2 베어링부(33b)에 이르는 부분에, 3개의 축 구멍(40, 40, 40)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축 구멍(40, 40, 40)은, 회전축(A)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각 횡단 구멍(37)을 관통하도록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축 구멍(40)은 가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관통하여 체결 구멍(38)과 동축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3개의 체결 구멍(38)이 각 축 구멍(40)과 원주방향으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고, 캐리어(33)를 관통하도록 이들 각 구멍의 하지(下地)가 되는 예비 구멍이 형성된다. 그 후, 예비 구멍에 있어서의 제 1 베어링부(33a)측의 부분을 나사 절삭하여 체결 구멍(38)이 형성되고, 예비 구멍에 있어서의 제 2 베어링부(33b)나 기어 지지부(33C)측의 부분을 2차 가공하여 축 구멍(40)이 형성되어 있다.
각 축 구멍(40)에는 핀(41)이 삽입되고, 각 유성 기어(31)는 이들 핀(41)을 거쳐서 캐리어(33)에 자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태양 기어(15) 주위에 공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캐리어(33)는 연결면(34)을 본체부(1a)의 선단측을 향한 상태로 케이스(3)에 제 1 베어링(42) 및 제 2 베어링(43)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1 베어링(42)은 제 2 베어링(43)보다도 큰 베어링이 이용되고, 제 1 베어링부(33a)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베어링(43)은 제 2 베어링부(33b)측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면(34)은 본체부(1a)의 선단측으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그 연결면(34)에 플랜지 벽(2)이 체결되어 있다.
플랜지 벽(2)은 원판형상의 주면부(主面部; 51)를 갖고, 그 주면부(51)에 있어서의 각 체결 구멍(38)에 대응하는 6개소에 관통 삽입 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면부(51)의 중앙부에는, 지그 구멍(39)에 대응하여 지그 삽입 구멍(53)이 형성되어 있다. 지그 삽입 구멍(53) 및 지그 구멍(39)에 소정의 지그가 삽입되어 심내기(centering)된다. 그렇게 해서, 각 관통 삽입 구멍(52) 및 체결 구멍(38)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플랜지 벽(2)은 연결면(34)에 밀착하여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플랜지 벽(2)을 연결면(34)에 직접 고정함으로써, 샤프트를 거쳐서 연결되어 있던 종래의 구동 장치(110)와 비교하여, 셔터 케이스(102)에 고정된 구동 장치(1)의 기부(1b)로부터 플랜지 벽(2)과의 체결 부위까지의 거리가 짧아지므로, 기부(1b)에 작용하는 힘의 모멘트가 경감된다. 그 결과, 기부(1b)의 고정 구조에 요구되는 강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소형화나 저가격화를 촉진시키는 면에서 유리하게 된다.
게다가, 드럼(104)의 중심선과 직교하도록 배치된 플랜지 벽(2)을 면으로 받아내서 지지하는 것에 의해, 드럼(104)의 휨을 억제할 수 있어, 드럼(104)의 단부와 구동 장치(1) 사이의 간극이 작아도 드럼(104)과 구동 장치(1)가 접촉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드럼(104)의 직경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플랜지 벽(2)에, 보스부 등의 복잡한 구조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생산성도 우수하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의 구동 장치(1)에서는, 기부(1b) 주변에의 부담이 보다 경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체부(1a)의 선단 부분에, 다른 부분보다도 상대적으로 외경이 작은 소경부(61)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드럼(104)과 소경부(61) 사이에 스페이스(수납 공간)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 벽(2)에, 그 주면부(51)의 외주연부로부터 구동 장치(1)측으로 장출(張出)하여 드럼(104)에 고정되는 두꺼운 플랜지부(62)가 마련되어 있다. 플랜지부(62)는 수납 공간에 수납되어서 소경부(61)와 대향하여 있다.
이와 같이, 플랜지 벽(2)에 구동 장치(1)측으로 장출하는 플랜지부(62)를 마련하고, 그 플랜지부(62)를 드럼(104)에 고정함으로써, 구동 장치(1)에 드럼(104) 등의 하중이 작용하는 부위를 기부(1b)측에 근접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기부(1b)에 작용하는 힘의 모멘트를 보다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구동 장치(1)에서는, 플랜지부(62)의 선단부로부터 전체 원주에 걸쳐서 드럼(104)의 중심 방향을 향하여 장출하는 구획 벽부(63)가 마련되어 있다. 구획 벽부(63)의 선단은 소경부(61)에 근접하여 있다. 이러한 구획 벽부(63)를 마련함으로써, 본체부(1a)로부터 윤활유가 누출했을 경우에, 윤활유의 유출이 구획 벽부(63)에서 규제되므로, 윤활유가 드럼(104) 외부로 누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드럼(104) 외부로부터 구동 장치(1)의 내부로 진애(塵埃) 등이 인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도 8에, 다른 실시형태의 구동 장치(1A)를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의 구동 장치(1A)에서는, 내치 기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기부(1b) 주변에의 부담을 더욱 경감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구동 장치(1A)도 상술한 구동 장치(1)와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기능의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동 장치(1A)의 내치 기어(32A)는, 본체부(1a)로부터 노출되어, 드럼(104)에 지지 링(71)(지지 부재)을 거쳐서 고정되어 있다. 지지 링(71)과 내치 기어(32A)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캐리어(33A)는 본체부(1a)[케이스(3)]에 핀(41)을 집어넣는 것에 의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각 유성 기어(31)는 자전은 하여도 공전은 하지 않는다.
캐리어(33A)의 외주측에는 한쌍의 베어링(72, 72)이 마련되어 있다. 내치 기어(32A)는, 이들 베어링(72, 72)을 거쳐서 캐리어(33A)에 지지되어 있고,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동 장치(1A)의 경우, 본체부(1a)의 선단보다도 더 기부(1b)측에서 드럼(104)과 연결되므로, 기부(1b)에 작용하는 힘의 모멘트를 한층더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는 상기의 실시형태 등에 한정되지 않고, 그 이외의 여러가지 구성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드럼이나 본체부의 단면 형상은 원형이어도 다각형이어도 좋다.
1 : 구동 장치 1a : 본체부
1b : 기부 2 : 플랜지 벽(지지 부재)
10 : 모터부 15 : 태양 기어
20 : 브레이크부 30 : 감속부
31 : 유성 기어 32 : 내치 기어
33 : 캐리어 34 : 연결면
38 : 체결 구멍 40 : 축 구멍
61 : 소경부 62 : 플랜지부
100A : 시트 셔터 101 : 시트
102 : 셔터 케이스 104 : 드럼
116 : 축 지지부 A : 회전축

Claims (5)

  1. 시트와,
    상기 시트가 감겨지는 통형상의 드럼과,
    상기 드럼의 내벽에 고정되는 지지 부재와,
    상기 드럼을 수용하고, 상기 시트의 출납이 가능한 셔터 케이스를 구비한 시트 셔터의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일단부에 선단측으로부터 삽입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셔터 케이스에 장착되는 기부를 갖고,
    상기 본체부에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의 회전을 제동 제어하는 브레이크부와, 상기 본체부의 선단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부의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하는 감속부가 수용되며,
    상기 감속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노출되는 연결부를 갖고,
    샤프트를 개재하지 않고 상기 지지 부재에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는 기둥 형상이며,
    상기 본체부의 선단 부분에, 상기 본체부의 다른 부분보다 외경이 작은 소경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드럼에 고정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플랜지부로 연장되는 주면부를 갖고,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주면부의 외주연부로부터 상기 기부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소경부와 대향하여 있는
    구동 장치.
  2. 시트와,
    상기 시트가 감겨지는 통형상의 드럼과,
    상기 드럼의 내벽에 고정되는 지지 부재와,
    상기 드럼을 수용하고, 상기 시트의 출납이 가능한 셔터 케이스를 구비한 시트 셔터의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일단부에 선단측으로부터 삽입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셔터 케이스에 장착되는 기부를 갖고,
    상기 본체부에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의 회전을 제동 제어하는 브레이크부와, 상기 본체부의 선단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부의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하는 감속부가 수용되며,
    상기 감속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노출되는 연결부를 갖고,
    샤프트를 개재하지 않고 상기 지지 부재에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고,
    상기 모터부는 태양 기어가 마련된 구동축을 갖고,
    상기 감속부는,
    상기 태양 기어와 맞물리는 복수의 유성 기어와,
    상기 복수의 유성 기어의 외주에 회전 불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유성 기어와 맞물리는 내치 기어와,
    핀을 거쳐서 상기 유성 기어를 자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태양 기어 주위로 공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캐리어를 갖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본체부의 선단측에 노출되는 연결면을 갖고,
    상기 연결면을 상기 지지 부재에 밀착시켜서 고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감속부가 상기 지지 부재와 연결되는
    구동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면에는, 상기 지지 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캐리어에는, 상기 핀이 삽입되는 복수의 축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축 구멍이 관통하여 상기 체결 구멍의 어느 하나와 동축으로 이어져 있는
    구동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기둥형상의 외관을 보이고,
    상기 본체부의 선단 부분에, 상대적으로 외경이 작은 소경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드럼에 고정되는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소경부와 대향하여 있는
    구동 장치.
  5. 시트와,
    상기 시트가 감겨지는 통형상의 드럼과,
    상기 드럼의 내벽에 고정되는 지지 부재와,
    상기 드럼을 수용하고, 상기 시트의 출납이 가능한 셔터 케이스를 구비한 시트 셔터의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일단부에 선단측으로부터 삽입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셔터 케이스에 장착되는 기부를 갖고,
    상기 본체부에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의 회전을 제동 제어하는 브레이크부와, 상기 본체부의 선단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부의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하는 감속부가 수용되며,
    상기 감속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노출되는 연결부를 갖고,
    샤프트를 개재하지 않고 상기 지지 부재에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고,
    상기 모터부는 태양 기어가 마련된 구동축을 갖고,
    상기 감속부는,
    상기 태양 기어와 맞물리는 복수의 유성 기어와,
    상기 복수의 유성 기어의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유성 기어와 맞물리는 내치 기어와,
    회전 불가능하게 배치되고, 핀을 거쳐서 상기 유성 기어를 자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캐리어를 갖고,
    상기 내치 기어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지지 부재와 일체로 마련되어 있는
    구동 장치.
KR1020110096191A 2010-10-06 2011-09-23 시트 셔터의 구동 장치 KR1013517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26589A JP5696340B2 (ja) 2010-10-06 2010-10-06 シートシャッターの駆動装置
JPJP-P-2010-226589 2010-10-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859A KR20120035859A (ko) 2012-04-16
KR101351741B1 true KR101351741B1 (ko) 2014-01-14

Family

ID=46007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191A KR101351741B1 (ko) 2010-10-06 2011-09-23 시트 셔터의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696340B2 (ko)
KR (1) KR101351741B1 (ko)
CN (1) CN10244437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478A (ko) * 2020-12-09 2022-06-16 유순기 볼 램프 브레이크를 포함한 단일 방향 회전입력 정역회전출력 수동 개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190B1 (ko) 2013-08-09 2014-10-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케이블 이동로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410B1 (ko) * 1983-11-17 1991-05-30 도오소 가부시끼가이샤 속도를 조정할 수 있는 로울러 블라인드
JP2003193776A (ja) * 2001-12-28 2003-07-09 Sumitomo Heavy Ind Ltd シート開閉駆動装置
JP2005240416A (ja) * 2004-02-26 2005-09-08 Nidec-Shimpo Corp シートシャッタ駆動装置
KR20090055879A (ko) * 2007-11-29 2009-06-03 전자부품연구원 감속기 일체형 비엘디씨 모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5997Y2 (ko) * 1977-09-20 1981-10-27
FR2695700B1 (fr) * 1992-09-16 1994-11-18 Somfy Réducteur à planétaire.
JP2001140564A (ja) * 1999-11-11 2001-05-22 Sanwa Shutter Corp 電動式開閉装置における巻胴の支持構造
JP3955435B2 (ja) * 2000-12-11 2007-08-08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減速機の出力フランジ構造
JP2003278849A (ja) * 2002-03-27 2003-10-02 Sumitomo Heavy Ind Ltd 減速機及び減速機のシリーズ
CN100473868C (zh) * 2005-08-29 2009-04-01 Smc株式会社 自动减速比转变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410B1 (ko) * 1983-11-17 1991-05-30 도오소 가부시끼가이샤 속도를 조정할 수 있는 로울러 블라인드
JP2003193776A (ja) * 2001-12-28 2003-07-09 Sumitomo Heavy Ind Ltd シート開閉駆動装置
JP2005240416A (ja) * 2004-02-26 2005-09-08 Nidec-Shimpo Corp シートシャッタ駆動装置
KR20090055879A (ko) * 2007-11-29 2009-06-03 전자부품연구원 감속기 일체형 비엘디씨 모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478A (ko) * 2020-12-09 2022-06-16 유순기 볼 램프 브레이크를 포함한 단일 방향 회전입력 정역회전출력 수동 개폐기
KR102643948B1 (ko) 2020-12-09 2024-03-05 유순기 볼 램프 브레이크를 포함한 단일 방향 회전입력 정역회전출력 수동 개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44378A (zh) 2012-05-09
JP2012077584A (ja) 2012-04-19
CN102444378B (zh) 2015-06-10
JP5696340B2 (ja) 2015-04-08
KR20120035859A (ko) 2012-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06163A1 (en) Driving Device With Rotating Electric Machine
US8598755B2 (en) Electric rotary actuator
JP4930190B2 (ja) 建設機械のハイブリッドシステム
JP2017227330A (ja) 減速機およびアクチュエータ
CN111120583B (zh) 减速装置及机电设备
EP2685613A1 (en) Drive device for electric vehicle
KR101351741B1 (ko) 시트 셔터의 구동 장치
EP2962886A2 (en) Electric motor driving device and planetary gear unit
KR200410955Y1 (ko) 차동기어를 포함한 윈치시스템
JP2016086657A (ja) 電動リール
KR101956326B1 (ko) 내부 모터 설치형 윈치 장치
KR102557796B1 (ko) 밀봉 회전 테이블
KR101242268B1 (ko) 전동 휠체어의 구동장치
JP2016070285A (ja) 減速装置
JP2018207750A (ja) ギアードモータおよび排水弁駆動装置
JP2015156749A (ja) モータ
JP4207542B2 (ja) 電気式車輪駆動装置
KR20220077377A (ko) 유성기어 감속기와 유성기어 차동장치를 포함한 일체형 캐리어의 구조
KR20170040093A (ko) 턴테이블용 감속기
JP2022057300A (ja) 回転テーブル機構
JP2011093373A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用ハブ及びインホイールモータ
KR20210083031A (ko) 전자식 클러치 결합형 모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구동장치
JP2009281429A (ja) 減速機および減速機の組立方法
KR102580470B1 (ko) 감속기
JP5228533B2 (ja) 回転軸部材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