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740B1 -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 및 캐리어 테이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 및 캐리어 테이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740B1
KR101347740B1 KR1020110091564A KR20110091564A KR101347740B1 KR 101347740 B1 KR101347740 B1 KR 101347740B1 KR 1020110091564 A KR1020110091564 A KR 1020110091564A KR 20110091564 A KR20110091564 A KR 20110091564A KR 101347740 B1 KR101347740 B1 KR 101347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 teeth
substrate
punch
carrier tape
co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0314A (ko
Inventor
쇼고 토코이
야스히로 시미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20030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0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 B26F2001/4472Cutting edge section fea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선두에 위치하는 빗살로 일단 형성한 오목부를,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로 다시 압축할 때에, 오목부의 형상을 흐트러뜨릴 우려가 적은 빗형의 펀치를 포함하는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 및 캐리어 테이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1)는, 기재(3)의 표면에 전자부품을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오목부(31)를 형성하는 펀치(21)를 가지는 윗틀(2)과, 기재(3)를 배치하고, 윗틀(2)과 끼워 맞춰 기재(3)를 압축 성형하는 아랫틀(4)을 포함하고 있다. 펀치(21)는 일렬로 늘어선 복수의 빗살(26)을 가지고, 기재(3)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펀치(21)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26e)은, 다른 빗살(26a~26d)보다 기재(3)를 압축하는 면의 면적을 작게 하고 있다.

Description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 및 캐리어 테이프의 제조방법{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ARRIER TA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ARRIER TAPE}
본 발명은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 및 캐리어 테이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송되는 띠상의 기재를 압축 성형하여 전자부품을 수납하기 위한 오목부를 포함하는 캐리어 테이프를 제조하는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 및 캐리어 테이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부품을 회로 기판에 실장하는 장치에서는, 전자부품을 용이하게 공급하기 위해 전자부품을 수납한 캐리어 테이프를 사용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종래의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전자부품을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펀치를 가지는 윗틀과, 펀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범퍼를 가지는 아랫틀로 반송되는 띠상의 기재를 압축 성형하여 캐리어 테이프를 제조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6은 종래의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의 윗틀 및 아랫틀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윗틀(101)은 복수의 펀치(102), 상기 펀치(102)를 유지하는 펀치 홀더(103), 스프링(104)을 통해 펀치 홀더(103)에 접속된 스트리퍼 플레이트(stripper plate)(105)를 포함하고 있다. 아랫틀(110)은 다이 플레이트(die plate)(111), 펀치(102)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한 복수의 범퍼(112), 상기 범퍼(112)를 지지하는 스프링(113)을 포함하고 있다. 윗틀(101)과 아랫틀(110)로 반송되는 띠상의 기재(120)를 압축 성형하여, 전자부품을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하는 캐리어 테이프를 제조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종래의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의 윗틀(101) 및 아랫틀(110)에서는, 하나의 오목부를 형성하기 위해 하나의 펀치(102)가 필요해지기 때문에,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할 경우, 복수의 펀치(102)를 펀치 홀더(103)에 유지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복수의 펀치(102)를 펀치 홀더(103)에 유지할 경우, 펀치 홀더(103)에의 펀치(102)의 장착 작업, 및 떼어냄 작업이 번잡해진다. 그리하여, 일렬로 늘어선 복수의 빗살을 가지고, 하나의 빗살이 하나의 오목부에 대응하는 빗형의 펀치를 펀치 홀더에 유지함으로써, 하나의 빗형의 펀치로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종래의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에 사용하는 펀치의 정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펀치(201)는 5개의 빗살(202)이 기부(基部)(203)에서 늘어선 빗형이다. 기부(203)를 펀치 홀더(도시하지 않음)로 유지함으로써, 펀치 홀더에의 펀치(201)의 장착 작업, 및 떼어냄 작업이 용이해진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10-029662호
그러나 도 7에 나타내는 펀치(201)를 사용하여, 기재의 표면에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할 경우, 화살표 A의 방향(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펀치(201)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선두에 위치하는 빗살(202)로 일단 형성한 오목부를, 화살표 A의 방향의 최후미(最後尾)에 위치하는 빗살(202)로 다시 압축(더블 펀치)할 때에, 오목부의 형상을 흐트러뜨릴 우려가 있었다. 도 8은 종래의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의 펀치(201)를 사용하여, 기재의 표면에 일단 형성한 오목부를 다시 압축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301)의 표면에, 화살표 A의 방향의 선두에 위치하는 빗살(202)로 일단 형성한 오목부(302a)를, 화살표 A의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202a)로 다시 압축할 때에,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202a)이 오목부(302a)의 일부(303)를 깎아, 오목부(302a)의 형상을 흐트러뜨릴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선두에 위치하는 빗살로 일단 형성한 오목부를,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로 다시 압축할 때에, 오목부의 형상을 흐트러뜨릴 우려가 적은 빗형의 펀치를 포함하는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 및 캐리어 테이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발명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는, 반송되는 띠상의 기재를 압축 성형하여 캐리어 테이프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상기 기재의 한쪽의 면에, 전자부품을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펀치를 가지는 제1틀과, 상기 기재를 배치하고, 상기 제1틀과 끼워 맞춰 상기 기재를 압축 성형하는 제2틀을 포함하며, 상기 펀치는 1열로 늘어선 복수의 빗살을 가지고, 상기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는 상기 빗살은, 다른 상기 빗살보다 상기 기재를 압축하는 면의 면적을 작게 하고 있다.
제1발명에서는,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은, 다른 빗살보다 기재를 압축하는 면의 면적을 작게 하고 있으므로, 선두에 위치하는 빗살로 일단 형성한 오목부를,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로 다시 압축할 때에,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이 오목부의 일부를 깎지 않아, 오목부의 형상을 흐트러뜨릴 우려가 적다.
또한 제2발명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는, 제1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는 상기 빗살은, 다른 상기 빗살보다, 상기 기재를 압축하는 면의 상기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폭을 작게 하고 있다.
제2발명에서는,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은, 다른 빗살보다, 기재를 압축하는 면의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폭을 작게 하고 있으므로, 선두에 위치하는 빗살로 일단 형성한 오목부를,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로 다시 압축할 때에,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이,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에 있어서 오목부의 일부를 깎지 않아, 오목부의 형상을 흐트러뜨릴 우려가 적다.
또한 제3발명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는, 제1 또는 제2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는 상기 빗살은, 다른 상기 빗살보다, 상기 기재를 압축하는 면의 상기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하고 있다.
제3발명에서는,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은, 다른 빗살보다, 기재를 압축하는 면의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하고 있으므로, 오목부를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로 다시 압축할 때에,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이, 선두에 위치하는 빗살로 일단 형성한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오목부의 일부를 깎지 않아, 오목부의 형상을 흐트러뜨릴 우려가 적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4발명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는, 반송되는 띠상의 기재를 압축 성형하여 캐리어 테이프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상기 기재의 한쪽의 면에 전자부품을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펀치를 가지는 제1틀과, 상기 기재를 배치하고, 상기 제1틀과 끼워 맞춰 상기 기재를 압축 성형하는 제2틀을 포함하며, 상기 펀치는 일렬로 늘어선 복수의 빗살을 가지고, 상기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는 상기 빗살은, 상기 기재를 압축하는 면의 적어도 한 변을 모따기하고 있다.
제4발명에서는,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은, 기재를 압축하는 면의 적어도 한 변을 모따기하고 있으므로, 선두에 위치하는 빗살로 일단 형성한 오목부를,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로 다시 압축할 때에,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의 기재를 압축하는 면의 적어도 한 변이 오목부의 일부를 깎지 않아, 오목부의 형상을 흐트러뜨릴 우려가 적다.
또한 제5발명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는, 제1 내지 제4발명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는 상기 빗살과, 최후미에 위치하는 상기 빗살에 인접하는 상기 빗살 사이의 거리는, 최후미 이외의 위치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빗살의 사이의 거리와 같다.
제5발명에서는,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과,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에 인접하는 빗살 사이의 거리는, 최후미 이외의 위치에 있어서 인접하는 빗살의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선두에 위치하는 빗살로 일단 형성한 오목부를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로 다시 압축할 때에,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의 측면이 오목부의 측벽면과 접촉하기 때문에, 오목부의 측벽면이 경사져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6발명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의 제조방법은, 반송되는 띠상의 기재를 압축 성형하여 캐리어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일렬로 늘어선 복수의 빗살로 구성되는 펀치를 가지는 제1틀과, 상기 기재를 배치하는 제2틀을 끼워 맞춰, 상기 기재의 한쪽의 면에 전자부품을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할 시에, 상기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선두에 위치하는 상기 빗살로 일단 형성한 오목부를, 상기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고, 선두에 위치하는 상기 빗살에 비해 상기 기재를 압축하는 면의 면적이 작은 상기 빗살로 다시 압축한다.
제6발명에서는, 일렬로 늘어선 복수의 빗살로 구성되는 펀치를 가지는 제1틀과, 기재를 배치하는 제2틀을 끼워 맞춰, 기재의 한쪽의 면에 전자부품을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할 시에,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선두에 위치하는 빗살로 일단 형성한 오목부를,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고, 선두에 위치하는 빗살에 비해 기재를 압축하는 면의 면적이 작은 빗살로 다시 압축하므로,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이 오목부의 일부를 깎지 않아, 오목부의 형상을 흐트러뜨릴 우려가 적다.
또한 제7발명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 제조방법은, 제6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는 상기 빗살과, 최후미에 위치하는 상기 빗살에 인접하는 상기 빗살 사이의 거리는, 최후미 이외의 위치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빗살의 사이의 거리와 같다.
제7발명에서는,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과,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에 인접하는 빗살 사이의 거리는, 최후미 이외의 위치에 있어서 인접하는 빗살의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선두에 위치하는 빗살로 일단 형성한 오목부를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로 다시 압축할 때에,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의 측면이 오목부의 측벽면과 접촉하기 때문에, 오목부의 측벽면이 경사져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의 구성에서는,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은, 다른 빗살보다 기재를 압축하는 면의 면적을 작게 하고 있으므로, 선두에 위치하는 빗살로 일단 형성한 오목부를,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로 다시 압축할 때에,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이 오목부의 일부를 깎지 않아, 오목부의 형상을 흐트러뜨릴 우려가 적다.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의 다른 구성에서는,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은, 기재를 압축하는 면의 적어도 한 변을 모따기하고 있으므로, 선두에 위치하는 빗살로 일단 형성한 오목부를,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로 다시 압축할 때에,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의 기재를 압축하는 면의 적어도 한 변이 오목부의 일부를 깎지 않아, 오목부의 형상을 흐트러뜨릴 우려가 적다.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의 제조방법에서는, 일렬로 늘어선 복수의 빗살로 구성되는 펀치를 가지는 제1틀과, 기재를 배치하는 제2틀을 끼워 맞춰, 기재의 한쪽의 면에 전자부품을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할 시에,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선두에 위치하는 빗살로 일단 형성한 오목부를,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고, 선두에 위치하는 빗살에 비해 기재를 압축하는 면의 면적이 작은 빗살로 다시 압축하므로,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이 오목부의 일부를 깎지 않아, 오목부의 형상을 흐트러뜨릴 우려가 적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의 윗틀 및 아랫틀을 측면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에 사용하는 펀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의 펀치를 사용하여, 기재의 표면에 일단 형성한 오목부를 다시 압축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에 사용하는 다른 펀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에 사용하는 펀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의 윗틀 및 아랫틀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에 사용하는 펀치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의 펀치를 사용하여, 기재의 표면에 일단 형성한 오목부를 다시 압축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의 윗틀 및 아랫틀을 측면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1)는 윗틀(제1틀)(2)과, 윗틀(2)과 끼워 맞춰 기재(3)를 압축 성형하는 아랫틀(제2틀)(4)을 포함하고 있다. 윗틀(2)은 띠상의 기재(3)의 표면(한쪽의 면)에, 전자부품을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오목부(31)를 형성하는 펀치(21), 상기 펀치(21)를 유지하는 펀치 홀더(22), 스프링(23)을 통해 펀치 홀더(22)에 접속된 스트리퍼 플레이트(24)를 가지고 있다. 띠상의 기재(3)는 도 1의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반송되고, 펀치(21)가 반송된 기재(3)를 압축 성형함으로써 오목부(31)가 형성된다. 스트리퍼 플레이트(24)는 펀치(21)로 기재(3)를 압축한 후, 기재(3)로부터 펀치(21)를 뽑을 때에 기재(3)가 이동하지 않도록 누르는 부재이다. 또한 윗틀(2)에는 아랫틀(4)과 끼워 맞췄을 때의 윗틀(2)의 하사점(下死點)을 안정시키고, 펀치(21)의 기재(3)에의 침입량을 결정하는 스트로크 엔드 블록(25)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스트로크 엔드 블록(25)은 윗틀(2)에 마련하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랫틀(4)에 마련해도 된다.
아랫틀(4)은 기재(3)를 배치하는 다이 플레이트(41)를 가지고 있다. 다이 플레이트(41)는 기재(3)를 배치하는 면에 홈(42)을 가지고 있다. 또한 펀치(21) 및 다이 플레이트(41)의 재질은 예를 들면 초경합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1)에 사용하는 펀치(21)의 정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펀치(21)는 5개의 빗살(26)이 기부(27)에서 늘어선 빗형이다. 또한 펀치(21)는 빗살(빗상의 날)(26) 및 기부(27)가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기부(27)를 펀치 홀더(22)로 유지함으로써 펀치(21)를 윗틀(2)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윗틀(2)은 일렬로 늘어선 복수의 빗살(26)을 가지는 펀치(21)를, 복수 나열하여 펀치 홀더(22)로 유지한 구성이어도 된다. 화살표 A의 방향(기재(3)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펀치(21)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26e)은, 다른 빗살(26(26a~26d))보다 기재(3)를 압축하는 면의 면적을 작게 하고 있다. 특히, 빗살(26e)은 다른 빗살(26)보다 기재(3)를 압축하는 면의 화살표 A의 방향의 폭(α)(<폭(β))을 작게 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1)의 펀치(21)를 사용하여, 기재(3)의 표면에 일단 형성한 오목부(31)를 다시 압축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 A의 방향(기재(3)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펀치(21)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선두에 위치하는 빗살(26)로 일단 형성한 오목부(31a)를, 화살표 A의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26e)로 다시 압축(더블 펀치)할 때,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26e)은, 다른 빗살(26)보다 기재(3)를 압축하는 면의 면적을 작게 하고 있으므로,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26e)이 오목부(31a)의 일부를 깎지 않아, 오목부(31a)의 형상을 흐트러뜨릴 우려가 적다. 특히, 빗살(26e)은, 다른 빗살(26)보다 기재(3)를 압축하는 면의 화살표 A의 방향의 폭(α)(<폭(β))을 작게 하고 있으므로, 선두에 위치하는 빗살(26a)로 일단 형성한 오목부(31a)를,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26e)로 다시 압축할 때에,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26e)이, 화살표 A의 방향에 있어서 오목부(31a)의 일부를 깎지 않아, 오목부(31a)의 형상을 흐트러뜨릴 우려가 적다. 여기서, 빗살(26)로 기재(3)를 다시 압축할 경우에는, 일단 형성한 오목부(31)에 빗살(26)이 끼워 맞춰지는 경우도 포함된다.
또한 화살표 A의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26e)과,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26e)에 인접하는 빗살(26)(도 2에 나타내는 빗살(26d)) 사이의 거리(γ)는, 최후미 이외의 위치에 있어서 인접하는 빗살(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빗살(26b,26c))의 사이의 거리(γ')와 같다. 그 때문에, 화살표 A의 방향의 선두에 위치하는 빗살(26a)로 일단 형성한 오목부(31a)를, 화살표 A의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26e)로 다시 압축할 때에,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26e)의 화살표 A의 방향측의 면이, 오목부(31a)의 측벽면과 접촉하기 때문에, 오목부(31a)의 측벽면이 화살표 A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26e)은, 화살표 A의 방향의 폭(α)이 다른 빗살(26)의 폭(β)과 같아도, 화살표 A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가, 다른 빗살(26)의 화살표 A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보다 작으면, 선두에 위치하는 빗살(26a)로 일단 형성한 오목부(31a)를,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26e)로 다시 압축할 때에,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26e)이, 화살표 A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오목부(31a)의 일부를 깎지 않고, 오목부(31a)의 형상을 흐트러뜨릴 우려가 적다. 또한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26e)은, 화살표 A의 방향의 폭(α)이 다른 빗살(26)의 화살표 A의 방향의 폭(β)보다 작고, 화살표 A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가, 다른 빗살(26)의 화살표 A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보다 작게 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빗살(26e)의 화살표 A의 방향의 폭(α)은, 빗살(26e)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1)에 사용하는 다른 펀치(21a)의 정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빗살(26e)은 화살표 A의 방향의 폭이 기재(3)를 압축하는 면으로부터 빗살(26)의 근원까지 점차 커진다.
펀치(21)의 치수의 구체예를 나타낸다. 다른 빗살(26)은, 기재(3)를 압축하는 면에서의 화살표 A의 방향의 폭(β)이 0.59mm, 화살표 A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가 1.10mm이다.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26e)은, 기재(3)를 압축하는 면에서의 화살표 A의 방향의 폭(α)이 0.49mm, 화살표 A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가 1.10mm이다. 또한 빗살(26)의 길이(기재(3)를 압축하는 면으로부터 빗살(26)의 근원까지의 길이)는 5.00mm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1)는, 화살표 A의 방향(기재(3)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펀치(21)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26e)은, 다른 빗살(26)보다 기재(3)를 압축하는 면의 면적을 작게 하고 있으므로, 선두에 위치하는 빗살(26a)로 일단 형성한 오목부(31a)를,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26e)로 다시 압축할 때에,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26e)이 오목부(31a)의 일부를 깎지 않아, 오목부(31a)의 형상을 흐트러뜨릴 우려가 적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26e)의 하나의 측면이 오목부(31a)와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측면이 오목부(31a)와 접촉하지 않는 경우여도 된다.
(실시의 형태 2)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1)에 사용하는 펀치는,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의 화살표 A의 방향의 폭, 또는 화살표 A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를 변경하지 않고, 선두에 위치하는 빗살로 일단 형성한 오목부를,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로 다시 압축할 때에, 오목부의 형상을 흐트러뜨릴 우려를 적게 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1)에 사용하는 펀치의 정면도이다. 또한 펀치(51) 이외의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1)의 구성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1)의 구성과 같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나타내는 펀치(51)는 5개의 빗살(52)이 기부(53)에서 늘어선 빗형이다. 또한 펀치(51)는 빗살(52) 및 기부(53)가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기부(53)를 펀치 홀더(22)로 유지함으로써 펀치(51)를 윗틀(2)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윗틀(2)은 일렬로 늘어선 복수의 빗살(52)을 가지는 펀치(51)를 복수 나열하여 펀치 홀더(22)로 유지한 구성이어도 된다. 화살표 A의 방향(기재(3)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펀치(51)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52e)은 기재(3)를 압축하는 면의 한 변(54)을 모따기하고 있다. 그 때문에, 선두에 위치하는 빗살(52a)로 일단 형성한 오목부(31)를,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52e)로 다시 압축할 때에,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52e)의 기재(3)를 압축하는 면의 적어도 한 변이 오목부(31)의 일부를 깎지 않아, 오목부(31)의 형상을 흐트러뜨릴 우려가 적다.
또한 화살표 A의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52e)과,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52e)에 인접하는 빗살(52)(도 5에 나타내는 빗살(52d)) 사이의 거리(γ)는, 최후미 이외의 위치에 있어서 인접하는 빗살(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빗살(52b,52c)) 사이의 거리(γ')와 같다. 그 때문에, 화살표 A의 방향의 선두에 위치하는 빗살(52a)로 일단 형성한 오목부(31a)를, 화살표 A의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52e)로 다시 압축할 때에,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52e)의 화살표 A의 방향측의 면이, 오목부(31a)의 측벽면과 접촉하기 때문에, 오목부(31a)의 측벽면이 화살표 A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52e)은 기재(3)를 압축하는 면의 한 변(54)을 모따기하고 있다. 그러나 모따기하는 것은 기재(3)를 압축하는 면의 한 변(5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재(3)를 압축하는 면의 다른 변, 또는 기재(3)를 압축하는 면의 모든 변이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1)의 구성에서는, 화살표 A의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52e)은, 기재(3)를 압축하는 면의 적어도 한 변을 모따기하고 있으므로, 선두에 위치하는 빗살(52a)로 일단 형성한 오목부(31)를,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52e)로 다시 압축할 때에, 최후미에 위치하는 빗살(52e)의 기재(3)를 압축하는 면의 적어도 한 변이 오목부의 일부를 깎지 않아, 오목부(31)의 형상을 흐트러뜨릴 우려가 적다.
1: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 2: 윗틀(제1틀)
3: 기재 4: 아랫틀(제2틀)
21, 21a, 51: 펀치 22: 펀치 홀더
23: 스프링 24: 스트리퍼 플레이트
25: 스트로크 엔드 블록 26, 52: 빗살
27, 53: 기부 31: 오목부
41: 다이 플레이트 42: 홈

Claims (7)

  1. 반송되는 띠상의 기재를 압축 성형하여 캐리어 테이프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상기 기재의 한쪽의 면에, 전자부품을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펀치를 가지는 제1틀과,
    상기 기재를 배치하고, 상기 제1틀과 끼워 맞춰 상기 기재를 압축 성형하는 제2틀을 포함하며,
    상기 펀치는 일렬로 늘어선 복수의 빗살을 가지고,
    상기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최후미(最後尾)에 위치하는 상기 빗살은, 다른 상기 빗살보다 상기 기재를 압축하는 면의 면적을 작게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는 상기 빗살은, 다른 빗살보다 상기 기재를 압축하는 면의 폭을 작게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는 상기 빗살은, 다른 빗살보다, 상기 기재를 압축하는 면의 상기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는 상기 빗살은, 상기 기재를 압축하는 면의 적어도 한 변을 모따기하고 있으며,
    상기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는 상기 빗살과, 최후미에 위치하는 상기 빗살에 인접하는 상기 빗살 사이의 거리는, 최후미 이외의 위치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빗살의 사이의 거리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는 상기 빗살과, 최후미에 위치하는 상기 빗살에 인접하는 상기 빗살 사이의 거리는, 최후미 이외의 위치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빗살의 사이의 거리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
  6. 반송되는 띠상의 기재를 압축 성형하여 캐리어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일렬로 늘어선 복수의 빗살로 구성되는 펀치를 가지는 제1틀과, 상기 기재를 배치하는 제2틀을 끼워 맞춰, 상기 기재의 한쪽의 면에 전자부품을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할 시에,
    상기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선두에 위치하는 상기 빗살로 일단 형성한 오목부를,
    상기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고, 선두에 위치하는 상기 빗살에 비해 상기 기재를 압축하는 면의 면적이 작은 상기 빗살로 다시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펀치가 상대 이동하는 방향의 최후미에 위치하는 상기 빗살과, 최후미에 위치하는 상기 빗살에 인접하는 상기 빗살 사이의 거리는, 최후미 이외의 위치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빗살의 사이의 거리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의 제조방법.
KR1020110091564A 2010-09-17 2011-09-09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 및 캐리어 테이프의 제조방법 KR1013477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08712A JP5273114B2 (ja) 2010-09-17 2010-09-17 キャリアテープ製造装置及びキャリアテープの製造方法
JPJP-P-2010-208712 2010-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314A KR20120030314A (ko) 2012-03-28
KR101347740B1 true KR101347740B1 (ko) 2014-01-03

Family

ID=46058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564A KR101347740B1 (ko) 2010-09-17 2011-09-09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 및 캐리어 테이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273114B2 (ko)
KR (1) KR101347740B1 (ko)
CN (1) CN102527872B (ko)
TW (1) TWI4887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1069A (zh) * 2018-08-23 2018-11-23 长电科技(滁州)有限公司 一种防粘黏压纹载带及载带制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8406A (ja) * 1983-04-12 1984-10-25 Maruho Jidoki Kk Ptp用ポケツト成形装置
JPH08156081A (ja) * 1994-11-29 1996-06-18 Shin Etsu Polymer Co Ltd キャリアテープの製造方法
JP2000334700A (ja) 1999-05-25 2000-12-05 Sony Corp T/f金型パンチ
JP2003104315A (ja) * 2001-09-27 2003-04-09 Tokyo Weld Co Ltd 部品収納体、部品収納体成形方法、および部品収納体成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958A (ja) * 1995-07-05 1997-0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ィルム成形装置
JP2989772B2 (ja) * 1996-07-15 1999-12-13 三徳商事株式会社 チップ状電子部品のエンボスキャリア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3066370B1 (ja) * 1999-05-17 2000-07-17 株式会社 東京ウェルズ キャリアテ―プ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01110853A (ja) * 1999-08-03 2001-04-20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電子部品実装用フィルムキャリアテープ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部品実装用フィルムキャリアテープの製造装置
JP4010796B2 (ja) * 2001-11-16 2007-11-21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順送用打抜き金型及び順送用打抜き装置
CN2664885Y (zh) * 2003-12-24 2004-12-22 天津市双鹿电子元件包装材料有限责任公司 深型腔载带成型模具
JP4754356B2 (ja) * 2005-03-03 2011-08-24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エンボスキャリアテ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229910A (ja) * 2006-03-02 2007-09-13 Honma Seisakusho:Kk ミシン目加工用金型
CN201089180Y (zh) * 2007-07-16 2008-07-23 欣竑科技有限公司 电子组件料带的冲孔用冲头及模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8406A (ja) * 1983-04-12 1984-10-25 Maruho Jidoki Kk Ptp用ポケツト成形装置
JPH08156081A (ja) * 1994-11-29 1996-06-18 Shin Etsu Polymer Co Ltd キャリアテープの製造方法
JP2000334700A (ja) 1999-05-25 2000-12-05 Sony Corp T/f金型パンチ
JP2003104315A (ja) * 2001-09-27 2003-04-09 Tokyo Weld Co Ltd 部品収納体、部品収納体成形方法、および部品収納体成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73114B2 (ja) 2013-08-28
TWI488779B (zh) 2015-06-21
CN102527872A (zh) 2012-07-04
JP2012062095A (ja) 2012-03-29
CN102527872B (zh) 2014-09-24
KR20120030314A (ko) 2012-03-28
TW201213207A (en) 201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72122A (zh) 载带、载带制造装置及载带的制造方法
CN102666036A (zh) 电动剃须刀
KR101347740B1 (ko)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 및 캐리어 테이프의 제조방법
CN203470649U (zh) U型把手座安装板级进模
KR101521106B1 (ko) 캐리어 테이프 제조장치
CN108097784A (zh) 一种壳体件的连续落料模具
CN109159197A (zh) 一种一出四sim卡冲孔机
CN103442860B (zh) 基板剪断方法及装置
CN210632779U (zh) 一种带有冲头保护装置的冲压模具
CN208680314U (zh) 一种用于换向片加工的装置
CN209792421U (zh) 模内自动送料装置
CN108237582A (zh) 一种模切件加工用多功能五金模具
CN217492319U (zh) 一种冲压落料机构
JP4409628B1 (ja) 母板加工用金型、加工板の製造方法、及び製品板の製造方法
CN219583072U (zh) 一种带膜导电泡棉的冲切模具
CN210791132U (zh) 一种手机摄像头保护膜加工用裁剪装置
CN204792403U (zh) 一种自动磁芯分离装置的导向结构
JP3920062B2 (ja) 部品収納体成形方法および部品収納体成形装置
CN210819868U (zh) Pcb分板机
JP3836124B1 (ja) 母板加工用金型、加工板の製造方法、及び製品板の製造方法
CN105436310A (zh) 安全带固定螺母加强板级进模
CN217292622U (zh) 一种线材冲孔工具
CN212577405U (zh) 锻造用复合冲边模具
CN215749628U (zh) 整版双面贴胶fpc的冲切刀模和冲切装置
JP2013066998A (ja) 端子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により製造した端子を用いた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