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6400B1 - 드릴 비트 - Google Patents

드릴 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6400B1
KR101346400B1 KR1020127019724A KR20127019724A KR101346400B1 KR 101346400 B1 KR101346400 B1 KR 101346400B1 KR 1020127019724 A KR1020127019724 A KR 1020127019724A KR 20127019724 A KR20127019724 A KR 20127019724A KR 101346400 B1 KR101346400 B1 KR 101346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tip
suction
drill bit
bi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9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9788A (ko
Inventor
마사아키 미야나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 가이샤 미야나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 가이샤 미야나가 filed Critical 가부시키 가이샤 미야나가
Publication of KR20120099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9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 B28D1/146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2Twist 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removing or laying dust, e.g. by spraying liquids; for cooling work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60Drill bits characterised by conduits or nozzles for drilling fluids
    • E21B10/602Drill bits characterised by conduits or nozzles for drilling fluids the bit being a rotary drag type bit with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26/00Materials of tools or workpieces not comprising a metal
    • B23B2226/75Stone, rock or concre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20Number of cutting edges
    • B23B2251/205Five cutt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28Arrangement of teeth
    • B23B2251/282Unequal spacing of cutting edg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70/00Detail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machines, processes or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2270/62Use of s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44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with means to apply transient, fluent medium to work or product
    • Y10T408/45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with means to apply transient, fluent medium to work or product including Tool with duct
    • Y10T408/455Conducting channel extending to end of T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흡진 성능을 유지하고 비트 선단부와 비트 샤프트부의 접합부의 강성을 높인 드릴 비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선단에 3개 이상의 절삭날부가 둘레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각 절삭날부(3c)에 형성되는 경사면(3s)과 여유면(3e)의 접합 능선(L1)을 절삭날로 하는 형태를 가진 비트 선단부(3)와, 비트 선단부(3)의 기단면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선단면(2F)이 용착된 비트 샤프트부(2)를 가진 드릴 비트(1)이고, 비트 샤프트부(2)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선단이 비트 샤프트부의 선단부까지 연속 설치된 흡진 통로(4)를 구비하고, 비트 샤프트부(2)의 선단부에, 흡진 통로(4)에 직교 또는 거의 직교하도록 흡진 통로(4)에서 연속 설치되고 또한 외경단(6t)이 비트 샤프트부(2)의 외주면(1F)에 면하도록 개구된 흡진 보조 통로(6)가 형성되고, 비트 선단부(3)의 기단부(3b)가 비트 샤프트부(2)의 선단면에 일체적으로 취착되어 있다.

Description

드릴 비트{DRILL BIT}
본 발명은, 콘크리트(concrete)나 석재 등에 천공 작업을 행하는 드릴 비트(drill bit)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앵커 볼트(anchor bolt) 구멍의 천공에 알맞은 드릴 비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콘크리트나 석재 등에 대하여 천공 작업을 행하는 경우, 천공 공구로서 드릴 비트가 사용된다.
그리고 이러한 드릴 비트는, 콘크리트 면에 이른바 「앵커 볼트 구멍」을 천공하는데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앵커 볼트 구멍」은, 그 구멍 내에 식설(植設)되는 금속제의 앵커 볼트에 소정의 견고한 내인발력을 얻기 위하여, 구멍 내에 존재하는 절삭 부스러기 등을 가급적으로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상기「앵커 볼트 구멍」의 천공 작업 후에, 구멍 내의 절삭 부스러기 등을 제거하는, 이른바 「진개(塵芥) (절분(切粉)) 제거 작업」이 필요해진다. 요컨대, 앵커 볼트가 소정의 성능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 앵커 볼트를 상기 앵커 볼트 구멍에 식설하기 전에, 그 구멍 내에 남은 상기 절삭 부스러기 등을 제거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종래의 경우에는, 드릴 비트로 천공한 후에, 기단이 흡입구에 접속된 집진기의 청소 노즐(nozzle)을 앵커 볼트 구멍에 삽입하고, 그 구멍 내의 절삭 부스러기나 다른 진개 등을 빨아들여 제거하였다. 이러한 종류의 집진기로서, 예를 들면 본 출원인이 제공하는 집진기가 있다(특허문헌 1).
또한, 천공 작업 시에, 선단에서 발생하는 절분 등을 천공 작업과 동시에 회수하기 위하여, 드릴 비트 선단의 중심에 흡진 구멍(흡진 통로)을 형성한 드릴 비트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흡진 구멍을 구비한 드릴 비트는, 드릴 비트 선단의 절삭날부가 2개소, 요컨대 절삭날부가 180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것이었다. 요컨대, 이러한 드릴 비트는, 비트 샤프트(bit shaft)부의 축심(軸芯)에, 절삭날부의 폭보다 직경이 큰 흡진 구멍을 마련하고, 이러한 흡진 구멍의 선단의 개구(開口)의 일부를, 상기 절삭날부와 절삭날부 사이의 부분에서 선단쪽을 향하게 한 것과 같은 형태를 가진 것이었다(특허문헌 2).
국제공개 WO2007/032084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평성11-77662호 공보
그러나 절삭날부를 3개소 이상 설치한 형태의 드릴 비트의 경우에, 상기 구성을 채용할 수는 없다. 요컨대, 각 절삭날부와 절삭날부 사이에서 흡진 구멍의 선단의 개구가, 부분적으로나마 선단쪽으로 드러나게 할 정도로 큰 직경(大徑)의 흡진 구멍을 비트 샤프트부에 형성하면, 그 비트 샤프트부의 반경 방향의 두께가 얇아져 강성이 감소할 우려가 있다. 특히, 이러한 드릴 비트의 경우에는, 축 방향으로 적절한 간격으로 충격력을 부여하면서 회전하여 천공을 행하기 때문에, 두께가 얇아지면 좌굴(座屈) 등에 의한 파손 등의 문제가 생긴다.
또한, 절삭날부를 선단에 구비하는 비트 선단부의 기단에, 비트 샤프트부를 일체로 용착한 형태의 드릴 비트의 경우에는, 상기 흡진 구멍의 직경을 전술한 바와 같이 단순히 일방적으로 크게 하면, 비트 선단부와 비트 샤프트부 사이의 접합 면적(용착 면적)이 작아지고 접착 부분(용착 부분)에서의 접합 강도가 부족하여 장기간의 사용에 견뎌낼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흡진 구멍의 직경을 소경(小徑)으로 하면, 그 흡진 구멍의 선단에의 노출 개구 면적이 부족하여 흡진 효과가 낮은 것이 되어버린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서로 모순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한 드릴 비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릴 비트는, 선단에 적어도 3개 이상의 절삭날부가 둘레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이들 각 절삭날부에 형성되는 경사면(rake face)과 여유면(relief face)의 접합 능선을 절삭날로 하는 형태를 가지는 비트 선단부와, 상기 비트 선단부의 기단면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선단면이 용착된 비트 샤프트부를 가지는 드릴 비트에 있어서,
상기 비트 샤프트부에는, 상기 비트 샤프트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이 상기 비트 샤프트부의 선단부까지 연속하여 설치되며, 기단이 흡인 장치 측으로 연통하는 흡진 통로가 구비되고,
상기 비트 샤프트부의 선단부 또는 비트 선단부의 기단부에는, 상기 흡진 통로에 직교 또는 거의 직교하도록 상기 흡진 통로에서 외경 쪽으로 연속 설치되고, 그 외경단이 상기 드릴 비트의 외주면에 면하도록 개구된 흡진 보조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비트 선단부의 기단부는, 상기 비트 샤프트부의 선단부에 일체적으로 취착(取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하여,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드릴 비트에 따르면, 상기 절삭날부에 의해 절삭 파괴되어 절삭 부스러기(절분)가 된 분진이, 드릴 비트의 선단부에서, 드릴 비트와 천공된 구멍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흡진 보조 통로의 외경단의 개구 부분에 의해 드릴 비트 내부로 흡인되고, 드릴 비트 내부에서, 상기 흡진 보조 통로를 거쳐 흡진 통로에 흡인되어 흡인 장치 측으로 배출된다. 그 결과, 절삭에 의해 발생한 콘크리트 등의 분진은, 그 드릴 비트에 의해 천공된 천공 구멍에서 외부로 확산하지 않고 흡진 통로로 효율적으로 흡진된다. 따라서 상기 흡진 통로의 기단측을 호스(hose) 등을 통하여 흡인 장치의 흡인구에 접속하여 두면, 천공 후의 천공 구멍 내에는 분진 등이 거의 존재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천공 종료 후에 그 상태에서 바로 앵커 볼트를 식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드릴 비트에 따르면, 상기 흡진 통로는 비트 샤프트부의 중심부에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 설치되고, 또한 선단에서 직교하거나 거의 직교하는 것과 같이 흡진 보조 통로에 접속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비트 샤프트부의 선단면과 비트 선단부의 기단면의 접합 면적이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고, 나아가 흡진 통로 및 흡진 보조 통로의 통로 단면적도 충분히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로, 큰 흡진 성능을 유지하면서 비트 샤프트부와 비트 선단부의 접속 부분의 강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드릴 비트가 된다.
또한, 상기 드릴 비트에 있어서, 상기 흡진 보조 통로가, 상기 비트 샤프트부의 선단면에서, 선단쪽에 면하도록 개구된 홈형의 형태로 형성되고, 이러한 홈형의 선단쪽의 개구 부분이 상기 비트 선단부의 기단면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흡진 보조 통로의 외경단이 비트 샤프트부의 외주면에 면하도록 개구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면, 상기 흡진 통로는 드릴링(drilling) 장치 등에 의한 구멍 가공으로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흡진 보조 통로를 밀링 머신(milling machine) 등에 의한 홈 가공으로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게다가, 비트 선단부와 비트 샤프트부는, 그 비트 선단부의 기단면과 그 비트 샤프부의 선단면을 비교적 큰 면적으로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상기 비트 선단부와 비트 샤프트부는, 전기 용접이나 납땜 용접(또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하는 경우에, 이것들의 용착 면적(접착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고, 그 결과로, 상기 비트 선단부를 비트 샤프트부에 견고하게 부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흡진 보조 통로의 외경단이 비트 샤프트부의 외주면에 면하도록 개구된 구성을 가지면, 천공된 구멍의 내주면에 붙은 절분 등의 분진을 효과적으로 흡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흡진 보조 통로에 절분 등이 가득 찬 경우에는, 봉(棒)형태의 물체를 흡진 보조 통로 안에 끼워 넣음으로서 상기 절분 등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릴 비트에 있어서, 상기 흡진 보조 통로가, 외경단 측이 내경단 측에 비하여 드릴 비트의 회전 방향 앞쪽으로 배치되는 것과 같은 만곡(曲)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면, 드릴 비트가 천공에 즈음하여 회전할 때에, 흡진 보조 통로의 선단에서 분진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인할 수 있는 구성을 실현할 수 있는 점에서, 흡진 기능을 구비한 드릴 비트로서 더 바람직한 구성이 된다.
또한, 상기 드릴 비트에 있어서, 상기 비트 샤프트부의 선단면에, 상기 비트 선단부의 기단면의 형상에 합치하여 비트 선단부의 기단부를 수용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비트 선단부의 기단면과 비트 샤프트부의 선단면이 더욱 큰 면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결과로, 비트 선단부를 비트 샤프트에 더욱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는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홈부에 수용된」 구성으로 하면, 드릴 비트의 길이 방향을 따른 부착 부분과 그것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접착 부분에서 약 90도 다른 방향의 접착력(용착력)이 생기게 하는 것과 같은 구성이 되어 모든 방향에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하여 높은 접합 강도를 얻을 수 있는 구성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선단에 3개 이상의 절삭날부를 방사상으로 구비한 드릴 비트에 있어서, 천공 작업 때에, 드릴 비트 선단부에서 높은 흡진 성능을 이루고, 또한 내구성이 우수하고 높은 회전 토크를 전달할 수 있는 드릴 비트가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 비트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 비트의 선단 부분의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 드릴 비트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 부분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선단 부분을 앞쪽(도 2의 Ⅲ-Ⅲ 방향)에서 본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드릴 비트의 비트 생크(bit shank)부의 선단 부분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드릴 비트의 비트 샤프트부의 선단 부분의 구성을 도시한 도 4의 Ⅴ-Ⅴ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드릴 비트의 비트 선단부의 구성을 도시한 비트 샤프트부에 부착하기 전 상태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비트 선단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 6의 Ⅶ-Ⅶ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6, 도 7에 도시한 비트 선단부의 구성을 도시한, 앞쪽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 도 7에 도시한 비트 선단부의 구성을 도시한, 뒤쪽(후단쪽)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드릴 비트를 사용하여 천공하는 경우의 흡진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드릴 비트의 선단 부분에서의 흡진 상태를 도시한 도 10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는, 흡진 보조 통로의 구성이 도 5에 도시한 것과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트 샤프트부의 선단 부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 비트(1)는, 크게 기단에 위치하는 비트 샤프트부(2)와, 그 선단쪽에 일체로 설치된 비트 선단부(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비트 샤프트부(2)는, 기단부에 전동 드릴 장치(10)(도 10 참조)의 척(chuck) 부분(10c)(도 10 참조)에 부착되는 곳인 단면이 정육각 형상인 생크(shank)부(2A)와, 그 선단쪽에 형성되는 단면이 원형이고 외경이 길이 방향의 각 부위에 따라 다른 샤프트 주체부(2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주체부(2B)는, 선단 부분에서 중앙 부위보다 약간 기단쪽까지 연장된 부분인 동일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샤프트 선단부(2a)와, 그 기단쪽에 인접하고 상기 샤프트 선단부(2a)보다 약간 대경인 회전 지지부(2b)와, 나아가 그 기단쪽에 인접하고 상기 생크부(2A)에 기단이 일체로 연결되며, 길이 방향의 각 부위에 따라 직경이 변화하는(다른) 부분인 연설부(2c)를 가진다.
상기 샤프트 선단부(2a)는, 원 형상의 횡단면의 중심에,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릴 비트(1)의 길이 방향(X)(도 11의 X 화살표 방향 참조)으로 연장하는 흡진 통로(4)(도 11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진 통로(4)의 기단은, 상기 회전 지지부(2b)에 형성되어 있는, 원형 횡단면을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흡진 접속 통로(5)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상기 흡진 통로(4)의 선단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트 샤프트부(2)의 선단면(2F)까지 연속하여 설치되고, 선단면(2F)에서 개구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트 샤프트부(2)의 선단면(2F)에 개구되어 있는 상기 흡진 통로(4)를 중심으로 흡진 통로(4)에 직교하도록 반경(직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드릴 비트(1)의 외주면(1F)으로 외경단이 개구된 홈(홈형) 형태의 흡진 보조 통로(6)가 형성되어 있다.
이 흡진 보조 통로(6)는,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4, 도 5 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길이 방향(X)(상기 흡진 통로(4))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거의 직교(구체적으로, 5 ~ 15도 정도로 경사져서 거의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진 보조 통로(6)는, 그 길이 방향(드릴 비트(1)의 반경 방향)의 중앙 부분에서 상기 흡진 통로(4)에 연접되어 있다.
또한, 비트 샤프트부(2)의 선단면(2F)에는, 본 실시예의 경우,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7 및 도 9에 도시하는 비트 선단부(3)의 기단면(3F)의 평면 형상에 거의 합치한 「홈부(2r)」가 형성되어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요컨대, 도 5에 있어서, 성긴 그물코 모양으로 도시한 부위가 상기 홈부(2r)이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상기 홈부(2r)보다 기단 측으로 오목한 상기 흡진 보조 통로(6)가 홈부(2r) 내에, 촘촘한 그물코 모양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비트 샤프트부(2)의 선단부(2F) 중에서 상기 홈부(2r)와 흡진 보조 통로(6)를 제외한 부분은 중심쪽에서 선단쪽으로 돌출하는 형태의 테이퍼(taper) 면(2t)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테이퍼 면(2t)은, 도 4의 하단(드릴 비트(1)의 선단)에 부분적으로 드러나 있다.
그리고 상기 비트 선단부(3)는, 도 3 및 도 7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에 적어도 3개 이상의 절삭날부(3c)가 둘레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5개의 절삭날부(3c)는, 둘레 방향으로 그 외경 부분이 서로 이격하고, 또한 내경 부분이 드릴 비트(1)의 중심부에 집합된 방사상으로 되어, 저면에서 볼 때 개략적인 형태가 이른바 「별 형태(星形)」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 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절삭날부(3c) 사이의 둘레 방향에서 간격은, 5개 중 서로 인접하는 3개의 절삭날부(3c)(도 3의 우반분 참조)는 대략 90도의 각도를 가지며 배치되어 있고, 서로 인접하는 4개의 절삭날부(3c)(도 3에 있어서 대략 좌반분에 위치하는 절삭날부(3c)는, 서로 약 60도의 각도를 가지며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절삭날부(3c)는, 회전 방향(R)(도 3의 화살표(R) 참조) 앞쪽에 경사면(3s)과 회전 방향(R) 뒤쪽에 여유면(3e)을 구비하고 있다. 각 절삭날부(3c)의 경사면(3s)과 여유면(3e)의 접합 능선(L1)에 의해 절삭날이 형성된다.
또한, 각 절삭날부(3c)의 절삭날의 내경단 각각은, 드릴 비트(1)의 회전 중심(01)에서 접합하여 첨두형의 정점(chisel point)(P)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1개의 절삭날부(3c)의 여유면(3e)과 그 회전 방향 뒤쪽에 위치하는 절삭날부(3c)의 경사면(3s) 사이에는, 저면에서 볼 때, 대략 삼각형의 극간(7)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5개의 각 절삭날부(3c)의 사이에 각각 1개씩 상기 간극(7)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간극(7)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테이퍼 면(2t)과 흡진 보조 통로(6)의 외경단(6t)을 포함하는 외경단부 중 어느 한 쪽, 혹은 양 쪽이 드릴 비트(1)의 앞쪽으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비트 선단부(3)는, 상기 비트 샤프트부(2)에 대하여 비트 선단부(3)의 기단부(3b)(도 2 및 도 6 참조)가 비트 샤프트부(2)의 홈부(2r)에 수용되는 상태로 취착된다. 요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트 샤프트부(2)의 선단면(2F)의 홈부(2r)에서 비트 선단부(3)의 기단부(3b)가 비트 선단부(3)와 비트 샤프트부(2)의 각 오목 볼록 부분을 서로 보완하도록, 즉 치합하는 동시에 감합하도록 하는 상태로 비트 선단부(3)의 기단부(3b)가 비트 샤프트부(2)의 선단면(2F)에 일체형으로 접합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합은, 전기 저항에 의한 발열로 양자가 용착되는 형태의 접속 방법(용착 방법)에 의해 행해진다. 그러나 물론, 전기 저항에 의한 용착 대신에, 다른 용착 방법, 예를 들면 납땜 용접에 의해 접합하여도 좋고, 혹은 레이저(laser) 광을 이용한 용착 등이어도 좋다. 또는 상기 접합은 접착제에 의해 행해져도 좋다.
한편, 도 2 및 도 3, 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삭날부(3c)의 외경 단부의 선단 부분에는 경사각 및 여유각이 그 내경쪽의 부분에 비하여 둔각이 된 보강 절삭날부(3k)가 형성되어, 천공 작업 때의 충격에 의하여 이러한 외경 단부가 떨어져 나가는 일이 없도록 구성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강 절삭날면(3k)의 둘레 방향의 내경 쪽으로 인접하고, 경사각 및 여유각이 더욱 예각이 된 조정면(3j)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 비트(1)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동작과 축 방향(길이 방향에 일치)으로 진동 동작을 생성할 수 있는 전기 드릴 장치(진동형 전동 드릴 장치)(10)의 척 부분(10c)에 상기 생크부(2A)를 취착하여 피천공물, 예를 들면 콘크리트에 구멍을 뚫을 때,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요컨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드릴 비트(1)의 회전 지지부(2b)에 배치되고 회전하지 않는 지지 홀더(holder)(12)의 흡인구를, 흡인 장치(13)의 흡인구(13a)에 호스(14)를 통하여 접속한 상태에서, 전기 드릴 장치(10)의 스위치(switch)(10a)를 조작하여 전원을 켠다(ON 한다). 이러한 동작에 따라, 전기 드릴 장치(10)는 드릴 비트(1)에 회전 동작과 축 방향의 진동 동작을 부여하고, 드릴 비트(1)는 피천공물에 대하여 구멍을 뚫는다. 구멍을 뚫게 됨에 따라서, 절삭 부스러기 등의 분진(절분)이 천공되는 구멍 내에 발생하지만, 이러한 진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진 보조 통로(6)의 선단 및 외경단의 각 개구 부분으로 효과적으로 흡진된다. 특히,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절삭날부(3c)의 경사면(3s)의 회전 방향(R) 앞쪽에 선단쪽으로 개구된 상기 흡진 보조 통로(6)의 개구 부분(6j)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 경사면(3s)에서 퍼내어진 진개 등을 효과적으로 상기 개구 부분(6j)으로 흡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개 등의 흡인은, 비트 샤프트 부분(2)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흡진 보조 통로(6)의 외경단(6t)의 개구 부분에서도 효과적으로 흡인된다.
이 때문에,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공 작업에 의해 천공 구멍(16) 내에 발생한 콘트리트 등의 진개(분진)는, 천공 구멍(16)에서 외부로 확산하지 않고 상기 흡진 보조 통로(6)에서 흡진 통로(4), 흡진 접속 통로(5), 호스(14)를 거쳐 흡진 장치(13)에 효과적으로 흡진된다.
따라서 천공 후의 천공 구멍(16) 내에는 분진 등은 존재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천공 종료 후에 그대로의 상태에서 앵커 볼트(미도시)를 식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 비트(1)의 경우, 비트 선단부(3)의 기단부(3b)가, 그 기단쪽의 비트 샤프트부(2)의 선단면(2F)에 형성된 홈부(2r)에 끼워 넣은 상태로 3차원적으로 용착되기 때문에, 양자는 용착 면적이 큰 상태로 용착되고, 그 결과, 양자가 매우 견고하게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문에, 드릴 비트와 같이 천공 시에 회전 동작과 아울러 축 방향으로의 충격 진동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비트 샤프트부(2)와 비트 선단부(3)의 접합 부분이 손상을 받거나, 비트 선단부(3)가 비트 샤프트부(2)에서 탈락하거나 하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비트 샤프트부(2)의 선단면(2F)에 홈형의 흡진 보조 통로(6)를 형성하고 있지만, 이 구성 대신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선단면(2F)에서 기단 측으로 이동한 부분에 원통형의 흡진 보조 통로(6)를 형성하는 구성이어도 좋은데,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는, 비트 선단부(3)와 비트 샤프트부(2)의 접합 면적을 더 증가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한 구성이 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비트 샤프트부(2)의 선단면(2F)을 평면형으로 구성하고, 그 선단쪽에 평면형의 기단면을 가진 비트 선단부(3)를 용착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비트 샤프트부(2)의 선단면의 가공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한 구성이 된다.
나아가, 다른 실시예로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흡진 보조 통로(6)를 비트 선단부(3) 측에, 요컨대 비트 선단부의 기단부(3b), 즉 기단면에 형성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비트 선단부를 소결 합금제로 하는 경우에서 간단하게 금형에 흡진 보조 통로를 형성하여 두면 되기 때문에, 밀링 머신에 의한 홈 가공 등이 불필요하게 되어 가공 공수를 저감할 수 있어 제조가 간단해진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구성이 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한 형태를 대신하여,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진 보조 통로(106)가 외경단(106e) 측에서 내경단(106d) 측에 비하여 드릴 비트(101)의 회전 방향(화살표(R) 참조)의 앞쪽이 되도록 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면, 바꾸어 말하면, 드릴 비트의 회전 방향(화살표(R) 참조)이 선단쪽에서 보아서 반시계 방향인 경우에 흡진 보조 통로(106)가 선단쪽에서 볼때 대략 에스(S)자 형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하면, 드릴 비트(101)가 천공시 회전할 때에, 흡진 보조 통로(106)의 외경단(106t)에서 절분 등의 분진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인할 수 있는 구성을 실현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한 구성이 된다. 더욱이, 상기 구성에 더하여,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진 보조 통로(106)의 외경 측의 통로 폭이 내경 측의 통로 폭보다 넓어지는 형태로 하면, 더욱 효과적으로 흡인할 수 있는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는, 도 5에 도시한 구성과 같거나 대응하는 구성에 대하여, 도 5에서 부여한 참조부호에 100을 더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일부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에서는, 직경 방향으로 상기 흡진 보조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중심에서 2개의 흡진 보조 통로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2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3개, 4개 또는 그 이상의 흡진 보조 통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몇 개의 흡진 보조 통로를 형성하는지는, 절삭날부의 수에 따라, 혹은 얻으려고 하는 흡인 능력에 따라 흡진 보조 통로의 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여러 가지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함은 말할 것도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드릴 비트는, 콘트리트나 석재 또는 타일(tile) 등의 천공 대상물에 대하여 천공할 때 등에 사용할 수 있다.
1: 드릴 비트
2: 비트 샤프트부
2F: 선단면
3: 비트 선단부
3b: 기단부
3c: 절삭날부
3e: 여유면
3s: 경사면
4: 흡진 통로
6: 흡진 보조 통로
L1: 접합 능선
X: 길이 방향

Claims (4)

  1. 선단에 적어도 3개 이상의 절삭날부가 둘레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절삭날부 각각에 형성되는 경사면과 여유면의 접합 능선을 절삭날로 하는 형태를 가지는 비트 선단부와, 상기 비트 선단부의 기단면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선단면이 일체로 취착된 비트 샤프트부를 구비한 드릴 비트에 있어서,
    상기 비트 샤프트부에는, 상기 비트 샤프트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이 상기 비트 샤프트부의 선단부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기단이 흡인 장치 측으로 연통하는 흡진 통로가 구비되고,
    상기 비트 샤프트부의 선단부에는, 상기 흡진 통로에 직교하도록 상기 흡진 통로에서 외경 쪽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그 외경단이 상기 비트 샤프트부의 외주면에 면하도록 개구된 흡진 보조 통로가 구비되며,
    상기 흡진 보조 통로는,
    상기 비트 샤프트부의 선단면에서 선단 쪽과 외주면에 면하도록 개구된 홈의 상기 선단 쪽에 면하도록 개구된 부분이, 상기 비트 선단부의 기단면에 의해 폐쇄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비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선단부의 기단면은 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비트 샤프트부의 선단면 중에서 상기 비트 선단부의 기단면과 접합하는 부분이 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비트 샤프트부의 선단부에 형성된 홈의 일부분이 상기 비트 선단부의 기단면에 의해 폐쇄되지 않고, 그 폐쇄되지 않은 부분이 선단 쪽에 곧바로 면하도록 상기 경사면에 인접하여 그 회전 방향의 앞쪽으로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비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진 보조 통로는, 상기 외경단 측이 내경단 측에 비해 드릴 비트의 회전 방향의 앞쪽으로 되어 "S"자 형태로 만곡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비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샤프트부의 선단면에는, 상기 비트 선단부의 기단면의 형상에 합치하여 상기 비트 선단부의 기단부를 수용하는 홈부가, 상기 홈부에 비트 선단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둘레 방향으로 인접한 절삭날부와 절삭날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비트.
KR1020127019724A 2010-05-21 2011-04-19 드릴 비트 KR1013464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17261 2010-05-21
JP2010117261 2010-05-21
PCT/JP2011/002276 WO2011145270A1 (ja) 2010-05-21 2011-04-19 ドリルビ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788A KR20120099788A (ko) 2012-09-11
KR101346400B1 true KR101346400B1 (ko) 2014-01-02

Family

ID=44991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9724A KR101346400B1 (ko) 2010-05-21 2011-04-19 드릴 비트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162371B2 (ko)
EP (1) EP2572849A4 (ko)
JP (1) JP5271450B2 (ko)
KR (1) KR101346400B1 (ko)
CN (1) CN103038033B (ko)
AU (1) AU2011254165B2 (ko)
BR (1) BR112012025133A2 (ko)
CA (1) CA2796636A1 (ko)
RU (1) RU2510312C1 (ko)
TW (1) TWI428219B (ko)
WO (1) WO201114527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1999A (ko) * 2018-01-30 2019-08-07 한국전력공사 흡입형 전동 드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9493A1 (ja) * 2014-04-15 2015-10-22 株式会社ミヤナガ ドリルビット
AU363298S (en) * 2015-07-17 2015-08-11 The State Of Queensland Through Its Dept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Drill corer
CN106180827A (zh) * 2016-08-11 2016-12-07 绵阳杰鑫工具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吸尘孔的麻花钻
CN107584160B (zh) * 2017-09-21 2024-02-13 中建八局第一建设有限公司 一种带有吸尘功能的钻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2118A (ja) * 1998-03-19 1999-10-08 Ricoh Co Ltd 温度場過渡解析用データ入力方法及びデータ入力装置
JPH11291235A (ja) * 1998-03-10 1999-10-26 Hilti Ag ドリル工具
JP2009196018A (ja) 2008-02-20 2009-09-03 Keikichi Saito 切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51261A (en) * 1930-03-01 1932-03-29 Pechacek John Drill bit
US2045725A (en) * 1935-04-29 1936-06-30 Richardson Dean Royden Rock and coal auger
US2365941A (en) * 1942-08-31 1944-12-26 Shell Dev Oil well drill bit
US3163246A (en) * 1963-04-18 1964-12-29 Westinghouse Air Brake Co Rock drill bit
US3760894A (en) * 1971-11-10 1973-09-25 M Pitifer Replaceable blade drilling bits
AT376765B (de) * 1978-05-16 1984-12-27 Guergen Karlheinz Auswechselbare bohrkrone fuer einen bei allen gesteinsarten anwendbaren gesteindrehschlagbohrer und bohrhammer
DE7908923U1 (de) 1979-03-29 1980-03-13 Guergen, Karlheinz, 2110 Buchholz Vorrichtung zum gesteinsbohren mit einem gesteinsbohrer
DE2948665A1 (de) * 1979-12-04 1981-06-11 Friedrich Duss Maschinenfabrik GmbH & Co, 7265 Neubulach Schlagbohrer mit zentralem absaugkanal fuer das bohrklein
US4314616A (en) * 1980-01-28 1982-02-09 Acme-Cleveland Corporation Die-cast masonry drill with leading hard insert
US4313506A (en) * 1980-09-10 1982-02-02 Connell Thomas L O Drill cutter bit
US4515230A (en) * 1982-10-25 1985-05-07 Fansteel Inc. Roof drill bit
JP2689452B2 (ja) 1988-01-08 1997-12-10 日本電気株式会社 記憶装置
JPH09272118A (ja) 1996-04-03 1997-10-21 Sho Bond Constr Co Ltd コンクリート穿孔用ドリル
JP3098209B2 (ja) 1997-09-08 2000-10-16 株式会社ミヤナガ アンダーカット部付き孔の穿孔装置
DE29816665U1 (de) * 1998-09-16 1998-12-10 Drebo Werkzeugfab Gmbh Bohrer mit Absaugvorrichtung
US6595305B1 (en) * 2000-02-15 2003-07-22 Kennametal Inc. Drill bit, hard member, and bit body
DE602005018271D1 (de) 2005-09-16 2010-01-21 Miyanaga Miki Kk Vorrichtung zur reinigung eines ankerbolzenlochs
DE102008048599A1 (de) * 2008-09-23 2010-03-25 Illinois Tool Works Inc., Glenview Gesteinsbohrer
JP2010105096A (ja) * 2008-10-29 2010-05-13 Sumitomo Electric Hardmetal Corp 切屑回収式切削工具
DE102008043998A1 (de) * 2008-11-24 2010-05-27 Robert Bosch Gmbh Bohrwerkzeug insbesondere für Bohr- und/oder Meißelgeräte
JP2010201733A (ja) 2009-03-02 2010-09-16 Miyanaga:Kk ドリルビ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1235A (ja) * 1998-03-10 1999-10-26 Hilti Ag ドリル工具
JPH11272118A (ja) * 1998-03-19 1999-10-08 Ricoh Co Ltd 温度場過渡解析用データ入力方法及びデータ入力装置
JP2009196018A (ja) 2008-02-20 2009-09-03 Keikichi Saito 切削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1999A (ko) * 2018-01-30 2019-08-07 한국전력공사 흡입형 전동 드릴
KR102045899B1 (ko) * 2018-01-30 2019-11-18 한국전력공사 흡입형 전동 드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62371B2 (en) 2015-10-20
AU2011254165A1 (en) 2012-11-08
KR20120099788A (ko) 2012-09-11
WO2011145270A1 (ja) 2011-11-24
RU2510312C1 (ru) 2014-03-27
BR112012025133A2 (pt) 2016-06-21
TW201213078A (en) 2012-04-01
AU2011254165B2 (en) 2013-06-13
CA2796636A1 (en) 2011-11-24
US20130266386A1 (en) 2013-10-10
EP2572849A1 (en) 2013-03-27
CN103038033A (zh) 2013-04-10
CN103038033B (zh) 2015-07-22
JPWO2011145270A1 (ja) 2013-07-22
TWI428219B (zh) 2014-03-01
EP2572849A4 (en) 2017-11-08
JP5271450B2 (ja) 201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400B1 (ko) 드릴 비트
WO2012157468A1 (ja) ドリル及びそれを用いた穿孔装置
KR102442627B1 (ko) 흡진 드릴 및 흡진 유닛
JPH11291235A (ja) ドリル工具
WO2018052118A1 (ja) コアドリル
JP2015112732A (ja) ドリルビット
WO2003103914A1 (ja) ドリルビット
JP2010201733A (ja) ドリルビット
US10391672B2 (en) Drilling tool
KR20110128694A (ko) 드릴 비트
KR20160044515A (ko) 드릴 비트
WO2010044206A1 (ja) コアドリル
JP2008062620A (ja) ドリルビット
WO2005063429A1 (en) A saw blade for a handheld working tool
WO2014162709A1 (ja) 鉄筋穿孔ドリル
JP4120319B2 (ja) ツイストドリル
JP4233575B2 (ja) コアカッター
JP6597924B1 (ja) 掘削ビット
CN211101631U (zh) 加工机主轴的转动轴结构
JP2009286066A (ja) 穿孔工具
JP2000271802A (ja) 単管パイプの切断部分のバリ取り用回転刃
JP2020114613A (ja) コアドリルビット
JP2010194679A (ja) コアドリル
JP3777890B2 (ja) 掘削工具
JPH10151506A (ja) ミニチュアドリ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