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899B1 - 흡입형 전동 드릴 - Google Patents

흡입형 전동 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899B1
KR102045899B1 KR1020180011253A KR20180011253A KR102045899B1 KR 102045899 B1 KR102045899 B1 KR 102045899B1 KR 1020180011253 A KR1020180011253 A KR 1020180011253A KR 20180011253 A KR20180011253 A KR 20180011253A KR 102045899 B1 KR102045899 B1 KR 102045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housing
drill
spindl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1999A (ko
Inventor
안봉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011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899B1/ko
Publication of KR20190091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 B28D1/146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23B45/003Attach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removing or laying dust, e.g. by spraying liquids; for coo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68Drills with provision for s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형 전동 드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 드릴은 드릴하우징;과, 상기 드릴하우징에서 회전하게 구비되어 대상물을 굴착하고 이물질을 흡입하는 스핀들유닛; 및 상기 스핀들유닛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스핀들유닛은, 대상물을 굴착함과 동시에, 이물질을 흡입하게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흡입형 전동 드릴{Suction Type Drilling Machine}
본 발명은 흡입형 전동 드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배전 케이블은 지상에 설치되는 가공선과 지하에 설치되는 지중선으로 구분된다. 도 1에서 보이듯, 전력구(10)를 이용해 지중선(13)을 지하에 매설할 수 있으며, 전력구(10)는 도시미관을 깔끔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중선(13)의 관리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이유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력구(10)의 중앙에는 작업자가 통행할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되어 있고, 외부와 환기를 위한 환기구(11)가 다수개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환기팬(12)을 설치하여 환기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전력구(10) 내부에 다수의 지중선(13)을 설치할 때에는 도 2에 보이듯, 지중선 지지장치(20)를 사용할 수 있다.
지중선 지지장치(20)는 전력구의 벽면에 다수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중선 지지장치(20)에 다수의 지중선(13)을 배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중선 지지장치(20)는 전력구 벽면에 앵커볼트 등을 이용해 고정되는 지지몸체(21) 및 상기 지지몸체(21)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지중선(13)을 지지하는 지중선 지지부재(2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지몸체(21)에는 지중선 지지부재(22)를 설치하기 위한 다수의 볼트구멍(23)이 천공되고, 이 볼트구멍(23)에 볼트(24)를 체결함으로써 다수의 지중선 지지부재(22)를 지지몸체(21) 상에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볼트구멍(23)을 천공하는 작업은 작업자가 전력구에 들어가 전동 드릴로 직접 수행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전동 드릴을 이용해 전력구 내부 콘크리트 벽체를 타공하기도 한다.
그런데 전력구 내부에서 전동 드릴을 이용해 천공 또는 타공하는 작업은 콘크리트 가루, 분진, 미세먼지 등 작업자의 호흡기에 치명적인 이물질 들을 다량 발생시킨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환기팬(도 1의 12) 등을 이용해 전력구 내부를 환기시키기는 하지만 환기팬 만으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전력구 상부에 존재하는 환기팬이 이물질을 흡입하는 과정에서 전력구 안에 있는 작업자는 이미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기 때문에 다량의 이물질이 작업자의 호흡기를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전력구 내에서 제때에 제거되지 못하고 전력구 내부를 부유하는 콘크리트 가루는 콘크리트 내벽에 존재하는 구멍 등에 안착 또는 고착되면서 콘크리트 내벽의 방수 기능을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KR 10-2017-0031492 A (2017.03.21)
본 발명은 천공 또는 타공 작업과 동시에 이물질 또는 부산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작업 환경을 쾌적하게 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흡입형 전동 드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 드릴은 드릴하우징;과, 상기 드릴하우징에서 회전하게 구비되어 대상물을 굴착하고 이물질을 흡입하는 스핀들유닛; 및 상기 스핀들유닛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스핀들유닛은, 대상물을 굴착함과 동시에, 이물질을 흡입하게 제공되고, 상기 스핀들유닛은, 상기 구동유닛에 연결되어 회전하고,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스핀들하우징;과, 중공부를 구비하고, 외면이 상기 스핀들하우징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드릴하우징에 고정되는 흡입샤프트;와, 상기 스핀들하우징에 구비되어 대상물을 굴착하는 굴착수단; 및 상기 흡입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샤프트로 이물질을 흡입하게 제공되는 흡입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샤프트는, 상기 중공부가 제2 흡입유로이고,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흡입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흡입구멍은, 상기 흡입샤프트의 외면과 상기 스핀들하우징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는 제1 흡입유로와 상기 제2 흡입유로를 연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흡입샤프트는, 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중공부가 외부와 연결되되, 상기 단부는 상기 스핀들하우징의 내부에 존재하며, 상기 굴착수단은, 상기 스핀들하우징의 단부에 구비되는 드릴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흡입수단은, 상기 흡입샤프트의 상기 중공부인 상기 제2 흡입유로에서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상기 중공부에 연결되는 흡입블로어;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천공 또는 타공 작업과 동시에 이물질 또는 부산물을 제거하고, 별도의 흡입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 환경을 쾌적하게 하며, 이물질 또는 부산물에 의한 시설물의 손상 또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의 전력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통상의 전력구에 구비되는 지중선 지지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형 전동 드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형 전동 드릴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동일한 부호로 기재된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고, 각 실시 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종래의 기술에 의해 익히 알려진 요소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당업자에 의해 특정 구성요소가 추가, 변경, 삭제된 다른 형태로도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과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됨을 밝혀 둔다.
도 3에서 보이듯,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입형 전동 드릴(100)은 드릴하우징(110), 상기 드릴하우징(110)에서 회전하게 구비되어 대상물을 굴착하고 흡입하는 스핀들유닛(120) 및 상기 스핀들유닛(12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도 4의 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상물은 천공 또는 타공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될 수 있으며, 상기 대상물은 콘크리트 벽체 뿐만 아니라, 전동 드릴의 스핀들유닛(120)에 접촉하는 모든 물체가 될 수 있다.
상기 드릴하우징(110)은 전동 드릴의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하부로는 핸들(111)과 스위치(112) 및 배터리(113)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111)은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잡는 부분이 되며, 스위치(112)는 작업자가 누름에 의하여 스핀들유닛(120)이 회전하게 구비되고, 누름 해제하면 스핀들유닛(120)의 회전이 멈추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스위치(112)와 스핀들유닛(120)의 내부 전기적 연결 및 배터리의 결합관계 등에 대한 구체적인 기재는 생략하며, 이는 통상의 전동 드릴에 의해 공지된 것을 따르거나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3)는 충전식으로서, 드릴하우징(110)에서 탈착 또는 부착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또한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는 사항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핀들유닛(120)은 드릴하우징(110)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대상물을 굴착함과 동시에, 굴착된 이물질을 흡입하게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스핀들유닛(120)은 도 4에서 보이듯, 구동유닛(130)에 연결되어 회전하고, 수용공간(122)을 구비하는 스핀들하우징(121), 외면이 상기 스핀들하우징(121)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드릴하우징(110)에 고정되는 흡입샤프트(123), 상기 스핀들하우징(121)에 구비되어 대상물을 굴착하는 굴착수단(220) 및 상기 흡입샤프트(123)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샤프트(123)로 이물질을 흡입하게 제공되는 흡입수단(32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굴착수단(220)은 스핀들하우징(121)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드릴비트(2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드릴비트(221)는 스핀들하우징(121)의 둘레방향으로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 드릴비트(221)는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다른 종류로 대체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핀들하우징(121)에서 교체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스핀들하우징(121)은 상기 드릴비트(221)가 구비되는 측의 단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존재하는 수용공간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스핀들하우징(121)의 후단부는 드릴하우징(110)에 연결부재(14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스핀들하우징(121)은 드릴하우징(110) 내부에 존재하는 구동유닛(130)에도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유닛(130)은 구동모터(131)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 또한 반드시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한 구동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스핀들하우징(121)은 구동모터(131)의 회전축에 감속기(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스핀들하우징(121)은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해야 하므로 상기 연결부재를 베어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또한 반드시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적절한 연결부재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스핀들하우징(121)은 길이방향으로 수용공간을 구비하는데 상기 수용공간에는 중공부를 구비하는 흡입샤프트(123)가 배치된다.
흡입샤프트(123)는 외면이 상기 스핀들하우징(121)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길이방향으로는 중공부를 구비한다.
또한, 흡입샤프트(123)의 단부는 개방되며, 이에 따라 상기 중공부는 외부와 연통되게 된다. 이때, 바람직하게 상기 흡입샤프트(123)의 일단부는 스핀들하우징(121)의 수용공간 내부에 존재할 수 있고, 타단부는 드릴하우징(110) 내부에 존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드릴하우징(110) 내부에 존재하는 흡입샤프트(123)의 타단부에는 체결부재(125)가 구비되어 상기 흡입샤프트(123)를 드릴하우징(110)에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체결부재를 드릴하우징(110) 내부에 연결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서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으며, 종래 전동 드릴에 의해 공지된 스핀들의 연결에 관한 기술사상을 따르거나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샤프트(123)의 외면과 상기 스핀들하우징(121) 내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제1 흡입유로(F1)가 되고, 흡입샤프트(123)의 중공부는 제2 흡입유로(F2)가 된다.
아울러, 상기 흡입샤프트(123)의 드릴하우징(110) 내부에 존재하는 개방된 타단부는 흡입수단(320)에 연결될 수 있는데, 상기 흡입수단(320)은 흡입블로어(321)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드릴비트(221)에 의해 대상물이 굴착됨과 동시에 상기 흡입블로어(321)가 동작하면서 제2 흡입유로를 통한 이물질 흡입을 시작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핀들하우징(12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회전을 시작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블로어(321)가 동작하도록 스위치(도 3의 112)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흡입샤프트(123)는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흡입구멍(124)을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흡입구멍은 제1 흡입유로와 제2 흡입유로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하나의 흡입블로어(321)로 제1 흡입유로에서도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게 되는데 이에 따르면 드릴하우징(110)의 부피와 무게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스핀들하우징(121)의 후단으로도 또 다른 흡입블로어를 연결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제1 흡입유로(F1)에서도 이물질을 개별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흡입샤프트(123)의 드릴하우징(110) 내부에 존재하는 단부에는 별도의 이물수거함(미도시)이 장착될 수도 있다. 따라서, 흡입블로어(321)에 의해 흡입된 이물질이 이물수거함에 모이게 했다가 일시에 분리하여 수거해낼 수도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에 의해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물질이 흡입블로어(321) 내부에 모이게 하거나 혹은 이물질이 드릴하우징(110)의 외부로 바로 배출되게 할 수도 있는데 이는, 선택된 흡입블로어의 사양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사항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 전력구 11 : 환기구
12 : 배기팬 13 : 지중선
20 : 지중선 지지장치 21 : 지지몸체
22 : 지중선 지지부재 23 : 볼트구멍
100 : 흡입형 전동 드릴 110 : 드릴하우징
111 : 손잡이 112 : 스위치
113 : 배터리 120 : 스핀들유닛
121 : 스핀들하우징 122 : 수용공간
123 : 흡입샤프트 124 : 흡입구멍
130 : 구동유닛 131 : 구동모터
140 : 연결부재 220 : 굴착수단
221 : 드릴비트 320 : 흡입수단
321 : 흡입블로어

Claims (5)

  1. 드릴하우징;
    상기 드릴하우징에서 회전하게 구비되어 대상물을 굴착하고 이물질을 흡입하는 스핀들유닛; 및
    상기 스핀들유닛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스핀들유닛은,
    대상물을 굴착함과 동시에, 이물질을 흡입하게 제공되고,
    상기 스핀들유닛은,
    상기 구동유닛에 연결되어 회전하고,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스핀들하우징;
    중공부를 구비하고, 외면이 상기 스핀들하우징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드릴하우징에 고정되는 흡입샤프트;
    상기 스핀들하우징에 구비되어 대상물을 굴착하는 굴착수단; 및
    상기 흡입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샤프트로 이물질을 흡입하게 제공되는 흡입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샤프트는, 상기 중공부가 제2 흡입유로이고,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흡입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흡입구멍은, 상기 흡입샤프트의 외면과 상기 스핀들하우징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는 제1 흡입유로와 상기 제2 흡입유로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형 전동 드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샤프트는,
    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중공부가 외부와 연결되되, 상기 단부는 상기 스핀들하우징의 내부에 존재하며,
    상기 굴착수단은,
    상기 스핀들하우징의 단부에 구비되는 드릴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형 전동 드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수단은,
    상기 흡입샤프트의 상기 중공부인 상기 제2 흡입유로에서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상기 중공부에 연결되는 흡입블로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형 전동 드릴.
  5. 삭제
KR1020180011253A 2018-01-30 2018-01-30 흡입형 전동 드릴 KR102045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253A KR102045899B1 (ko) 2018-01-30 2018-01-30 흡입형 전동 드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253A KR102045899B1 (ko) 2018-01-30 2018-01-30 흡입형 전동 드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999A KR20190091999A (ko) 2019-08-07
KR102045899B1 true KR102045899B1 (ko) 2019-11-18

Family

ID=67621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253A KR102045899B1 (ko) 2018-01-30 2018-01-30 흡입형 전동 드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89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0835A (ja) * 2005-11-09 2007-05-31 Sumitomo Electric Ind Ltd セラミックスの穿孔方法及び穿孔装置
KR101346400B1 (ko) * 2010-05-21 2014-01-02 가부시키 가이샤 미야나가 드릴 비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1492A (ko) 2015-09-11 2017-03-21 이에스산업 주식회사 전동공구의 스핀들 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0835A (ja) * 2005-11-09 2007-05-31 Sumitomo Electric Ind Ltd セラミックスの穿孔方法及び穿孔装置
KR101346400B1 (ko) * 2010-05-21 2014-01-02 가부시키 가이샤 미야나가 드릴 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999A (ko) 201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3674A (en) Dust collector assembly for drilling tools
EA200200852A1 (ru) Горизонтально направленное сверление в скважинах
KR20180126999A (ko) 드릴용 집진장치
KR20210034833A (ko) 절단 장치 및 이를 교체 가능하게 형성되는 건설기계
JP4022570B2 (ja) 縦孔掘削ユニット、縦孔掘削サブシステム及び縦孔掘削システム
KR102045899B1 (ko) 흡입형 전동 드릴
EP1623793A1 (en) Exhauster device applicable to manual drills
KR100377560B1 (ko) 지하 암반수 채수용 수평굴착기
JP3878951B2 (ja) 建柱車を有する掘削装置および掘削方法
JPH0150526B2 (ko)
JP3166471U (ja) 管詰まり除去装置、吸引排出型掘削具及び基礎縦杭施工システム
CN205638226U (zh) 一种电线杆挖塘工具
US3313363A (en) Power operated hole digger
JP2009202256A (ja) 穿孔工具
JP3420115B2 (ja) 立坑掘削工法およびその装置
JPH06248868A (ja) 携帯用掘削機
JP3832005B2 (ja) シールド掘進機
JP2004238961A (ja) 矩形断面掘進装置
JPS6315421Y2 (ko)
JP2022071931A (ja) 掘削装置
JPH06108768A (ja) 掘削装置及びアース棒挿入方法
JP4034198B2 (ja) 掘削工具およびボーリング削孔装置
JP2836809B2 (ja) ロータリーテーブル型掘削機における排土装置
GB2613187A (en) An excavator for use in underpinning operations
KR200202161Y1 (ko) 굴착기의 돌가루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