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058B1 - 차량의 트렁크 힌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의 트렁크 힌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2058B1
KR101342058B1 KR1020120028326A KR20120028326A KR101342058B1 KR 101342058 B1 KR101342058 B1 KR 101342058B1 KR 1020120028326 A KR1020120028326 A KR 1020120028326A KR 20120028326 A KR20120028326 A KR 20120028326A KR 101342058 B1 KR101342058 B1 KR 101342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torsion bar
noise reduction
clip
tru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9297A (ko
Inventor
송재열
신세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창
Publication of KR20130069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9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05D5/062Bent fla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트렁크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트렁크룸 전방의 차체패널에 고정되는 힌지브라켓과; 일단은 상기 힌지브라켓에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트렁크 리드에 고정되는 힌지암과; 상기 힌지암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힌지토션바가 결합되는 힌지링크와; 상기 힌지링크와 상기 힌지토션바의 결합영역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링크와 상기 힌지토션바의 회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저감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소음저감클립은 구리소재의 클립본체와, 상기 클립본체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테프론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트렁크 힌지 조립체{HINGE ASSEMBLY FOR CAR OPENING AND CLOSING}
본 발명은 차량의 트렁크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트렁크의 개폐시 힌지토션바와 힌지링크 사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차량의 트렁크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화물을 싣고 운행할 수 있도록 소정 공간을 갖는 트렁크가 구비된다. 트렁크는 트렁크 리드에 의하여 그 내부 공간이 개방되거나 폐쇄되게 구비된다. 통상 트렁크 리드는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가 트렁크 리드의 일부분을 잡고서 들어올리거나 눌어주는 동작으로 트렁크를 개폐하게 된다.
이러한 트렁크의 개폐구조는 등록특허 10-095894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트렁크 리드가 힌지암에 의하여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때, 사용자의 개폐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탄성력을 부여하는 힌지토션바가 힌지링크에 의해 힌지암에 연결된다.
그런데, 종래 힌지링크는 판면에 힌지토션바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삽입공에 힌지토션바가 삽입된 상태로 트렁크의 개폐여부에 따라 회동된다. 이 때, 힌지링크와 힌지토션바 모두 금속재질이므로 삽입공에 삽입된 상태로 회동될 때 마찰이 발생되어 트렁크 개폐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회동시 마찰에 의해 삽입공과 힌지토션바가 빠르게 마모되는 문제도 발생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힌지링크와 힌지토션바의 상하 양측의 결합영역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함께 저감할 수 있는 차량 트렁크 힌지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렁크 개폐시 작동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트렁크 힌지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트렁크 힌지 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힌지조립체는, 차량의 트렁크룸 전방의 차체패널에 고정되는 힌지브라켓과;일단은 상기 힌지브라켓에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트렁크 리드에 고정되는 힌지암과; 상기 힌지암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힌지토션바가 결합되는 힌지링크와; 상기 힌지링크와 상기 힌지토션바의 결합영역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링크와 상기 힌지토션바의 회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저감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소음저감클립은 구리소재의 클립본체와, 상기 클립본체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테프론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힌지링크는 상기 힌지토션바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소음저감클립은 상기 삽입공에 억지끼워맞춤되어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음저감클립은 일정길이를 갖는 구리메쉬에 테프론 코팅 가공을 한 후 프레스기에 의해 상기 삽입공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성형되어 제작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힌지토션바는 상기 힌지링크를 중심으로 양단부가 상기 힌지브라켓 방향으로 절곡형성되고, 상기 힌지브라켓의 판면에는 상기 힌지토션바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토션바수용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토션바수용공에는 상기 힌지토션바의 회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상부 소음저감클립이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소음저감클립은 상기 소음저감클립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힌지조립체는 힌지링크에 소음저감클립이 결합되어 토션바의 작동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금속소재의 힌지링크와 토션바 사이에 탄성을 갖는 테프론코팅층이 구비되므로 윤활제 기능을 하여 보다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조립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조립체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조립체의 힌지링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조립체의 소음저감클립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조립체의 소음저감클립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조립체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조립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렁크용 힌지조립체(1)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차량 트렁크용 힌지조립체(1)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렁크용 힌지조립체(1)는 힌지브라켓(100)과, 힌지암(200)과, 힌지링크(300)와, 소음저감클립(400)으로 구성된다.
힌지브라켓(100)은 차량의 트렁크룸 전방의 차체패널에 고정되며, 일반적으로 두 개가 쌍으로 구비된다. 힌지브라켓(100)에는 힌지토션바(500) 및 힌지암(200)이 연결된다.
힌지암(200)의 일단은 힌지브라켓(100)에 힌지축(110)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트렁크리드(미도시)에 고정된다. 여기서, 힌지암(200)의 형상은 구스넥(Goose Neck)의 형상으로 구비된다.
힌지링크(300)의 일단은 힌지암(2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소음저감클립(400)이 결합된다. 도 3은 힌지링크(3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힌지링크(300)는 한 쌍이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힌지링크(300)는 판상의 링크플레이트(310)와, 링크플레이트(310)의 일단에 구비되는 회동축삽입공(320)과, 타단에 구비되는 토션바삽입공(330)이 관통 형성된다.
토션바삽입공(330)은 링크플레이트(310) 판면에 반원형상으로 관통 형성되어 형성된다. 이 때, 토션바삽입공(330)을 형성하는 주변영역에는 소음저감클립(400)이 삽입되는 클립삽입부(340)가 구비된다.
클립삽입부(340)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소음저감클립(400)의 외주에 삽입되는 외주삽입판(341)과, 외주삽입판(341)의 가운데 영역에 내측방향으로 함몰형성되어 소음저감클립(400)의 끼움돌기(430)가 삽입되는 돌기삽입공(343)과, 외주삽입판(341)의 양측단부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345)를 포함한다.
외주삽입판(341)은 소음저감클립(400)의 삽입홈(425)에 삽입된다. 외주삽입판(341)의 두께(d1)는 삽입홈(425)의 두께(d2)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외주삽입판(341)이 소음저감클립(400)에 억지끼워맞춤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주삽입판(341)은 소음저감클립(400)과 함께 대략 반원형상으로 구비되나 차종의 종류와 토션바의 단면형상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돌기삽입공(343)은 외주삽입판(341)의 가운데 영역에 일정 깊이 함몰형성되어 소음저감클립(400)의 끼움돌기(430)가 삽입된다. 끼움돌기(430)가 돌기삽입공(343)에 삽입됨으로써 소음저감클립(400)의 결합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탈방지돌기(345)는 외주삽입판(341)의 양측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외주삽입판(341)에 소음저감클립(400)이 결합되었을 때, 이탈방지돌기(345)가 소음저감클립(400)의 양단부를 접촉하며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소음저감클립(40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소음저감클립(400)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소음저감클립(400)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소음저감클립(400)은 힌지링크(300)의 클립삽입부(340)에 결합되어 토션바(500)의 회동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소음저감클립(400)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상으로 구비된 클립본체(410)와, 클립본체(410)의 양측에 수직하게 기립되어 내부에 삽입홈(425)을 형성하는 측벽(420)과, 클립본체(410)의 가운데 영역에 구비되는 끼움돌기(430)를 포함한다.
클립본체(410)는 구리소재로 구비된다. 소음저감클립(400)은 클립본체(410)의 외관을 테프론을 코팅하여 형성된 테프론코팅층(440)으로 감싸여진다. 테프론코팅층(440)이 클립본체(410)의 외측에 일정두께 형성되므로 토션바(500)가 소음저감클립(400)의 내부에 결합되어 회동되더라도 테프론코팅층(440)의 탄성 특성에 의해 소음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테프론코팅층(440)이 금속과 금속 사이에서 윤활제 역할을 수행하여 작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테프론코팅층(440)의 두께는 토션바(500)의 회동동작에 방해를 주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설정된다.
클립본체(410)는 구리메쉬 형태의 바에 테프론을 코팅한 후, 프레스기로 가압하여 소음저감클립(400)의 형상으로 가공한다.
측벽(420) 사이에 형성된 삽입홈(425)은 외주삽입판(341)에 억지끼워맞춤 될 수 있는 두께(d2)로 형성되어 소음저감클립(400)의 고정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조립체(1)의 작동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암(200)은 일단부가 힌지축(110)에 의해 힌지브라켓(100)과 연결되고, 힌지링크(300)는 회동축(350)에 의해 힌지암(2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힌지링크(300)의 토션바삽입공(330) 주변으로 소음저감클립(400)이 결합된다. 외주삽입판(341)이 삽입홈(425) 사이에 억지끼워맞춤되고, 끼움돌기(430)가 돌기삽입공(343)에 억지끼워맞춤되어 소음저감클립(400)이 힌지링크(300)에 고정된다. 이 때, 소음저감클립(400)의 양측으로 이탈방지돌기(345)가 배치되어 소음저감클립(400)의 외부이탈을 방지한다.
그리고, 토션바삽입공(330)에 토션바(500)가 삽입되고, 트렁크의 개폐를 위해 트렁크리드(미도시)를 가압하거나 밀면 토션바(500)가 토션바삽입공(330) 내부에서 회동하게 된다. 이 때, 금속소재의 토션바(500)가 소음저감클립(400)의 테프론코팅층(440)과 접촉하게되므로 소음이 발생되지 않고 보다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힌지조립체는 힌지링크에 소음저감클립이 결합되어 토션바의 작동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금속소재의 힌지링크와 토션바 사이에 탄성을 갖는 테프론코팅층이 구비되므로 윤활제 기능을 하여 보다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조립체(1a)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설명에 앞서 토션바(5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저감클립(400)에 결합된 영역을 중심으로 양측이 힌지브라켓(100) 측으로 절곡형성된다. 이 때, 절곡된 토션바(500)의 양측단은 힌지브라켓(100)의 토션바수용공(120)에 결합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조립체(100)는 힌지링크(300)의 토션바삽입공(330)에만 소음저감클립(400)이 수용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조립체(100a)는 힌지링크(300)의 토션바삽입공(330) 뿐만 아니라 힌지링크(3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한 힌지브라켓(100)의 토션바수용공(120)에도 상부 소음저감클립(130)이 결합된다.
이렇게 상하로 상부 소음저감클립(130)과 소음저감클립(400)이 함께 구비되므로 금속소재의 힌지조립체(1a)와 금속소재의 토션바(500)가 직접 접촉되는 부분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상부 소음저감클립(130)의 재질은 앞서 설명한 소음저감클립(400)과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 소음저감클립(130)의 형상은 토션바수용공(12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소음저감클립(130,400)은 상술한 토션바(500)의 결합영역 외에도 여타 금속부재가 서로 접촉하여 소음이 발생되는 부분에 모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차량 트렁크용 힌지조립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힌지조립체 100 : 힌지브라켓
110 : 회동축 120 : 토션바수용공
130 : 상부 소음저감클립 200 : 힌지암
300 : 힌지링크 310 : 링크플레이트
320 : 회동축삽입공 330 : 토션바삽입공
340 : 클립삽입부 341 : 외주삽입판
343 : 돌기삽입공 345 : 이탈방지돌기
400 : 소음저감클립 410 : 클립본체
420 : 측벽 425 : 삽입홈
430 : 끼움돌기 440 : 테프론코팅층
500 : 토션바

Claims (5)

  1. 차량의 트렁크 힌지 조립체에 있어서,
    차량의 트렁크룸 전방의 차체패널에 고정되는 힌지브라켓과;
    일단은 상기 힌지브라켓에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트렁크 리드에 고정되는 힌지암과;
    상기 힌지암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힌지토션바가 결합되는 힌지링크와;
    상기 힌지링크와 상기 힌지토션바의 결합영역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링크와 상기 힌지토션바의 회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저감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소음저감클립은 구리소재의 클립본체와, 상기 클립본체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테프론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힌지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링크는 상기 힌지토션바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소음저감클립은 상기 삽입공에 억지끼워맞춤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힌지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저감클립은 일정길이를 갖는 구리메쉬에 테프론 코팅 가공을 한 후 프레스기에 의해 상기 삽입공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성형되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힌지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토션바는 상기 힌지링크를 중심으로 양단부가 상기 힌지브라켓 방향으로 절곡형성되고,
    상기 힌지브라켓의 판면에는 상기 힌지토션바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토션바수용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토션바수용공에는 상기 힌지토션바의 회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상부 소음저감클립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힌지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소음저감클립은 상기 소음저감클립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힌지 조립체.
KR1020120028326A 2011-12-15 2012-03-20 차량의 트렁크 힌지 조립체 KR1013420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743 2011-12-15
KR20110135743 2011-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9297A KR20130069297A (ko) 2013-06-26
KR101342058B1 true KR101342058B1 (ko) 2013-12-18

Family

ID=48864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326A KR101342058B1 (ko) 2011-12-15 2012-03-20 차량의 트렁크 힌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20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757B1 (ko) * 2013-12-20 2015-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렁크 팝업 유지 장치
KR102137828B1 (ko) * 2014-04-04 2020-07-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렁크용 힌지링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9652A (ja) 1999-04-09 2000-10-17 Kanto Auto Works Ltd ラッゲージドアのヒンジ機構
US6846109B2 (en) 2002-03-18 2005-01-25 Minebea Co., Ltd. Sintered bearing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2010215135A (ja) 2009-03-18 2010-09-30 Suzuki Motor Corp トーションバー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9652A (ja) 1999-04-09 2000-10-17 Kanto Auto Works Ltd ラッゲージドアのヒンジ機構
US6846109B2 (en) 2002-03-18 2005-01-25 Minebea Co., Ltd. Sintered bearing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2010215135A (ja) 2009-03-18 2010-09-30 Suzuki Motor Corp トーションバーの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9297A (ko)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4398B2 (ja) 車両用ドアトリム
EP2740833B1 (en) Laundry treatment device with door assembly
KR101446233B1 (ko) 차량의 커버링쉘프 힌지브래킷 어셈블리
WO2016088695A1 (ja) 保持装置
US10267077B2 (en) Rotation mechanism
KR101342058B1 (ko) 차량의 트렁크 힌지 조립체
CN107709091B (zh) 辅助把手
JP5936591B2 (ja)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装置とその組付方法
JP2014110091A (ja) 充電口構造
KR20100077130A (ko) 윙바디 트럭의 윙도어 및 측면도어 잠금장치
JP3521215B2 (ja) 自動車のドアチェッカ兼用ドアヒンジ
WO2006006818A1 (en) Bushing in dishwasher
KR100669638B1 (ko) 커버 힌지구조
JP3579085B2 (ja) 気密化粧料容器
JP2015231770A (ja) 車両のハンドル装置
JP2016140144A (ja) 住宅用分電盤
JP2006298301A (ja) 可動式収納ポケット
KR200424038Y1 (ko) 차량용 커버링 셀프패널 조립체
EP2381024B1 (en) Drum for washing machines
KR101566914B1 (ko) 차량의 로고 일체형 트렁크 스위치 어셈블리
KR20130025227A (ko) 힌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246308B1 (ko) 자동차의 스위치 노브
KR20170131915A (ko) 차일드 앵커 커버장치 및 이를 갖춘 차량의 리어 패키지 트레이
KR100830158B1 (ko) 차량용 도어의 수납함
JP3640768B2 (ja) 車両用開閉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