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311B1 -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311B1
KR101336311B1 KR1020120076161A KR20120076161A KR101336311B1 KR 101336311 B1 KR101336311 B1 KR 101336311B1 KR 1020120076161 A KR1020120076161 A KR 1020120076161A KR 20120076161 A KR20120076161 A KR 20120076161A KR 101336311 B1 KR101336311 B1 KR 101336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tps
drum
coupled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6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용근
김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영이노텍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영이노텍,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영이노텍
Priority to KR1020120076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3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14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of tubular shape
    • E06B3/6631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of tubular shape of rubber, plastics or simila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유리층 사이에 티피에스 간봉을 자동으로 주입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복수의 유리판을 중첩시키되, 각 유리판 사이에 접착 및 방음성능을 갖도록 티피에스 원료를 공급하여 간봉을 형성하도록 하는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에 있어서, 티피에스 원료가 충진된 드럼으로부터 티피에스 원료를 흡입하여 이송관을 통해 이송되도록 하는 원료 공급부와; 상기 이송관으로 유입된 티피에스 원료의 응고를 막기 위해 가열수단이 형성된 원료 이송부와; 원료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원료를 최종 토출압력에 적합하도록 가압하는 가압장치와, 상기 원료 토출부로부터 공급된 티피에스 원료를 이송시키는 펌핑장치와, 티피에스 원료가 토출되는 토출헤드로 구성된 원료 토출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티피에스 원료를 드럼으로부터 추출하는 작동부터 노즐을 통해 유리판에 분사하여 도포하는 작동까지 자동화 공정으로 실시될 수 있어 작업 능률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SEALING MATERIAL SUPPLY APPARATUS FOR DUPLEX TYPE GLASS}
본 발명은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에 관련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유리층 사이에 티피에스 간봉을 자동으로 주입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비교적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경제력 향상에 따른 생활환경의 고급화 및 그 제조기술의 발전 등에 의해 복층유리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즉 대형빌딩은 물론이고 소규모의 상점과 개인주택에 이르기까지 소음에서 벗어나 좀더 안락한 주거환경을 추구하려는 소비자들의 욕구에 따라 복층유리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복층유리는 두 장 이상의 유리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한 것으로, 단층유리와 비교하여 실내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외부온도의 저하에도 불구하고 내측 유리의 표면온도는 상대적으로 덜 저하되어 이슬 맺힘 현상이 억제된다. 그리고, 방음성능이 우수하여 실내외 사이의 소음 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종래의 복층 유리는 건물의 내측을 향하는 제1유리와, 건물의 외벽을 이루는 제2유리와, 상기 제1유리와 제2유리 상호간을 이격시켜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게 하는 간봉을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상기 간봉은 이격된 유리 상호간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대개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되는 간봉은 알루미늄 판을 절곡시켜 상기 제1 및 제2유리에 접하는 양 측부의 접합면과, 양 유리 사이의 내부공간을 향하는 내부면과, 양 유리 사이의 외부 공간을 향하는 외부면을 형성하여 구성되었다.
또한, 상기 간봉은 유리의 외곽형상을 따라 알루미늄 소재를 절곡하여 형성하거나, 일정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에 의해 직선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간봉을 서로 연결하여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진 간봉은 열전도율이 높아서 단열효과가 현저히 감소하게 되며, 그에 따라 유리의 내측 면과 외측 면의 온도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결로 현상에 의해 시야가 크게 방해를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합성수지를 이용한 간봉이 제안된 바 있으며, 이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21851호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합성수지로 된 간봉은 단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티피에스(TPS) 물질, 즉 1구성 폴리아이소뷰틸렌(Polyisobutylen)으로서 흡습제를 포함하고 있는 단열 플라스틱 스페이서(Thermo Plastic Spacer)가 적합하다.
이러한 티피에스 간봉을 티피에스 간봉 공급 장치를 이용하여 유리에 도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티피에스 원료를 드럼으로부터 추출하는 작동부터 노즐을 통해 유리판에 분사하여 도포하는 작동까지 자동화 공정으로 실시될 수 있어 작업 능률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는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유리판을 중첩시키되, 각 유리판 사이에 접착 및 방음성능을 갖도록 티피에스 원료를 공급하여 간봉을 형성하도록 하는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에 있어서, 티피에스 원료가 충진된 드럼으로부터 티피에스 원료를 흡입하여 이송관을 통해 이송되도록 하는 원료 공급부와; 상기 이송관으로 유입된 티피에스 원료의 응고를 막기 위해 가열수단이 형성된 원료 이송부와; 원료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원료를 최종 토출압력에 적합하도록 가압하는 가압장치와, 상기 원료 토출부로부터 공급된 티피에스 원료를 이송시키는 펌핑장치와, 티피에스 원료가 토출되는 토출헤드로 구성된 원료 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헤드를 90°각도로 회전시켜 유리판의 4변에 대한 티피에서 원료 분사가 직선형태로 실시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료 토출부를 승강시켜 높이를 설정하는 높이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료 공급부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며, 높낮이가 조절되는 기대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드럼이 안착되는 드럼장착부와; 상기 기대에 결합되며 드럼의 상단 개구부에 삽입되어 피스톤 역할을 하는 뚜껑와; 상기 뚜껑에 장착되는 드럼펌프와; 상기 기대에 장착되며 상기 드럼펌프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럼펌프의 흡입구는 드럼 내에 삽입되도록 뚜껑의 하부에 연결되고, 토출구는 이송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대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 양측에 수직되게 장착된 한쌍의 실린더본체와; 상기 한쌍의 실린더본체에 각기 결합되는 인출 및 인입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한쌍의 로드와; 상기 한쌍의 로드의 선단에 결합되어 수평으로 배치되며, 상기 뚜껑이 연결된 봉체가 결합되는 거치대와; 상기 실린더본체에 작동 압력을 공급하는 압력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럼장착부는 드럼의 하단이 안착되도록 베이스의 상면에 원판형상으로 도드라져 형성된 받침대와; 드럼의 하부 일측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형성된 단턱와; 상기 단턱과 대칭되도록 상기 받침대의 타측에 형성되며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는 밀착대와; 상기 받침대에 형성된 홈에 매립되며, 레버의 회전에 의해 받침대의 상면 보다 튀어나오도록 캠 형상으로 된 푸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는 외측단으로부터 받침대까지 연결되어 드럼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돌기가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료 이송부의 가열수단은 이송관의 외측에 감싸져 부착된 보온커버와; 상기 보온커버 내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관에 열을 전달하는 가열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료 토출부는, 장착대와; 상기 장착대에 설치되며, 상기 원료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원료를 최종 토출압력에 적합하도록 가압하는 가압장치와; 상기 가압장치와 통하도록 연결되어 장착대에 설치되며, 티피에스 원료를 이송시키는 펌핑장치와; 상기 펌핑장치와 통하도록 연결되어 티이에스 원료를 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토출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장치는 이송관에 통하는 유로가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부에 통하도록 결합되고 내부에 티피에스 원료가 충진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내부에 피스톤이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을 작동시키도록 상부에 장착된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펌핑장치는 상기 가압장치와 연결되는 토출펌프와; 상기 토출펌프를 구동시켜 티피에스 원료가 이송될 수 있도록 상부에 장착된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장치는 장착대에 형성된 하우징와; 상기 하우징 내에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며 타측에 토출헤드가 장착된 외부관체와; 상기 외부관체의 내부에 결합되며 티피에스 원료가 통과되는 유로가 형성된 내부 관체와; 상기 외부관체의 외주면 일측에 결합되며 치차가 형성된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는 제2기어가 축에 결합되어 제1기어를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는 서보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출헤드는 선단의 상부에 티피에스 원료가 토출되는 노즐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티피에스 원료가 이송되는 유로가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노즐을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바디의 상부에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며 상부에 랙기어가 형성된 개폐도어와; 상기 개폐도어의 랙기어와 치차 결합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를 구동시키는 모터로 구성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피니언기어가 회전되어 랙기어를 이동시켜 개폐도어가 전후로 이동되어 노즐의 개폐작동이 수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수직되게 설치되며 일측에 수직의 랙기어가 장착되고 타측에 가이드가 형성된 승강대와; 승강대의 가이드에 결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며 원료 토출부와 연결된 함체와; 상기 함체에 장착되어 함체의 승강 구동을 유발하는 승강구동부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구동부의 함체에 원료토출부가 결합되어 승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구동부는 대략 박스형상으로 된 함체에 장착된 구동모터와, 함체 내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되어 상기 승강대의 랙기어와 결합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티피에스 원료를 드럼으로부터 추출하는 작동부터 노즐을 통해 유리판에 분사하여 도포하는 작동까지 자동화 공정으로 실시될 수 있어 작업 능률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에서 '드럼장착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에서 '원료 토출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에서 '원료 토출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에서 '토출헤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에서 '토출헤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에서 '회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에서 '이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에서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에서 '드럼장착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에서 '원료 토출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에서 '원료 토출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에서 '토출헤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에서 '토출헤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에서 '회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에서 '이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에서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A)는, 복수의 유리판을 중첩시키되, 각 유리판 사이에 접착 및 방음성능을 갖도록 티피에스 원료를 공급하여 간봉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원료 공급부(S), 원료 이송부(M), 원료 토출부(T)로 구성된다.
원료 공급부(S)는 티피에스 원료가 충진된 드럼(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티피에스 원료를 흡입하여 이송관(L)을 통해 이송시킨다.
원료 이송부(M)는 이송관(L)으로 유입된 티피에스 원료의 응고를 막기 위해 가열수단이 형성된다.
원료 토출부(T)는 원료 이송부(M)를 통해 이송된 원료를 최종 토출압력에 적합하도록 가압하는 가압장치(4)와, 상기 원료 토출부(T)로부터 공급된 티피에스 원료를 이송시키는 펌핑장치(5) 및 펌핑된 티피에스 원료가 토출되는 토출헤드(6)로 구성된다.
또한 토출헤드(6)를 90°각도로 회전시켜 유리판의 4변에 대한 티피에서 원료 분사가 직선형태로 실시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장치(7)가 포함된다.
그리고 원료 토출부(T)를 승강시켜 높이를 설정하는 높이조절장치(8)가 포함된다.
한편 유리판(900)은 이송컨베이어장치(C)에 형성된 장착대(C-2)에 거치되며, 이송컨베어베장치(C)의 구동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각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원료공급부]
원료 공급부(S)는, 드럼으로부터 티피에스 원료를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11)와; 베이스(11)의 상부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며 높낮이가 조절되는 기대(12)와; 베이스(11)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드럼이 안착되는 드럼장착부(13)와; 기대(12)에 결합되며 드럼의 상단 개구부에 삽입되어 피스톤 역할을 하는 뚜껑(14)와; 뚜껑(14)에 장착되는 드럼펌프(15)와; 기대(12)에 장착되며 상기 드럼펌프(15)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11)는 일정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판상이며,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드럼펌프(15)는 하부에 형성된 흡입구에 연결된 후드가 드럼 내에 삽입되도록 뚜껑(14)의 중앙에 장착되고, 드럼펌프(15)의 토출구는 일측의 이송관(L)에 연결되며, 드럼펌프(15)는 기어드 펌프(Geared Pump)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부의 구동모터(16)에 연결된 샤프트(161)가 회전됨으로써 드럼펌프(15)를 구동시켜 티피에스 원료가 드럼으로부터 흡입되어 이송관(L)으로 이송될 수 있다.
기대(12)는 베이스(11)의 상면 양측에 수직되게 장착된 한쌍의 실린더본체(121)와; 한쌍의 실린더본체(121)에 각기 결합되는 인출 및 인입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한쌍의 로드(122)와; 한쌍의 로드(122)의 선단에 결합되어 수평으로 배치되며, 상기 뚜껑(14)이 연결된 봉체(123)가 결합되는 거치대(124)와; 실린더본체(121)에 작동 압력을 공급하는 압력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압력공급부는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하는 콤프레셔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본체(121)에 압력을 공급하여 로드(122)가 지속적으로 하강될 수 있다.
로드(122)가 하강됨으로써 뚜껑(14)이 하강되어 드럼 내의 티피에스 원료를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시키도록 하고, 또 드럼펌프(15)의 흡입구에 연결된 후드가 항상 티피에스 원료 내에 잠기도록 하여 에어 유입이 차단되도록 한다.
드럼 내의 티피에스 원료의 충진량은 일측에 마련된 레벨센서에 의해 감지되며, 상기 레벨센서는 드럼 내의 티피에스 원료가 일정 수위 이하로 감소되면 보조 드럼으로부터 티피에스 원료가 펌핑되도록 하여 항상 일정한 충진량을 유지토록 한다.
드럼은 통상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덮개가 장착되고, 내부에 티피에스 원료가 충진되어 제공된다.
드럼은 메인 드럼과 보조 드럼으로 2개가 구비되며, 보조드럼의 티피에스 원료를 메인 드럼으로 수시로 공급하는 공급펌프가 마련된다.
또한 보조 드럼은 내부의 티피에스 원료가 소진되면 새것으로 교체할 필요가 있으므로 탈착이 용이하도록 드럼장착부(13)가 마련된다.
드럼장착부(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의 하단이 안착되도록 베이스의 상면에 원판형상으로 도드라져 형성된 받침대(131)와; 드럼의 하부 일측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받침대(131)의 일측에 형성된 단턱(132)와; 단턱(132)과 대칭되도록 상기 받침대(131)의 타측에 형성되며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는 밀착대(133)와; 받침대(131)에 형성된 홈(134)에 매립되며, 레버(136)의 회전에 의해 받침대(131)의 상면 보다 튀어나오도록 캠 형상으로 된 푸셔(1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턱(132) 및 밀착대(133)는 호형으로 형성되며, 단턱(132)을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고, 밀착대(133)는 회전 가능하도록 일측에 축핀(138)으로 결합된다.
받침대(131)는 베이스(11)의 상면에 원판상으로 도드라져 형성되며, 외주연이 면취되어 형성되고, 양측에 대칭되게 사각형의 홈(134)이 형성되어 이 홈(134)에 푸셔(135)가 삽입된다.
베이스(11)의 상면에는 외측단으로부터 받침대까지 연결되어 드럼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막대형상의 가이드돌기(139)가 다수개 형성된다. 가이드돌기(139)의 선단은 모서리가 면취되어 드럼의 바닥면이 쉽게 타고 이동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에 단턱(132)이 고정되어 장착되고, 바깥쪽에는 밀착대(133)가 배치되며, 밀착대(133)의 일단부에 축핀(138)이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푸셔(135)는 받침대(131)에 대칭 형성된 홈(134)에 관통하여 결합된 축봉(137)에 결합되어 일체로 거동되며, 일측에 뾰족한 돌출부(135-2)가 형성되어 캠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축봉(137)의 일단부에 레버(136)가 결합됨으로써 레버(136)의 회전에 연동되어 및 푸셔(135)가 회전될 수 있다.
즉 홈(134)의 돌출부(135-2)가 수평으로 배열되어 있다가 레버(136)를 회전시키면 돌출부(135-2)가 상방으로 회전되어 홈(134)의 상부로 돌출됨으로써 드럼의 바닥면을 밀어 올릴 수 있다.
따라서 드럼의 탈거작업이 보다 더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원료이송부]
한편 원료 이송부(M)의 가열수단은 이송관(L)의 외측에 감싸져 부착된 보온커버와, 이 보온커버 내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관(L)에 열을 전달하는 가열코일을 포함한다.
보온커버는 이송관(L)의 외측을 감싸면서 단열효과를 낼 수 있도록 내부에 카본섬유, 유리섬유와 같은 단열재가 내장된다.
또한 가열코일은 이송관(L)의 외주면에 권취되거나 적어도 거의 근접한 상태로 보온커버 내에 삽입됨으로써 가열에 의해 이송관 내의 티피에스 원료가 응고되지 않도록 가열시킬 수 있다.
[원료토출부]
한편 원료 토출부(T)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판상으로 된 장착대(T-100)와; 장착대(T-100)에 설치되며, 상기 원료 이송부(M)를 통해 이송된 원료를 최종 토출압력에 적합하도록 가압하는 가압장치(4)와; 가압장치(4)와 통하도록 연결되어 장착대(T-100)에 설치되며, 티피에스 원료를 이송시키는 펌핑장치(5)와; 펌핑장치(5)와 통하도록 연결되어 티이에스 원료를 노즐(64)을 통해 분사하는 토출헤드(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압장치(4)는 이송관(L)에 통하는 유로가 형성된 바디(41)와, 상기 바디(41)의 상부에 통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티피에스 원료가 충진되는 챔버(42)와, 상기 챔버(42)의 내부에 피스톤(43)이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43)을 작동시키도록 상부에 장착된 실린더(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챔버(42)에는 열을 발생하여 티피에스 원료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히터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41)에도 유로에 열을 가하도록 히터가 형성된다.
펌핑장치(5)는 가압장치(4)의 바디(41)와 연결되는 입력부와 출력부가 형성된 토출펌프(51)와; 토출펌프(51)를 구동시켜 티피에스 원료가 이송될 수 있도록 상부에 장착된 모터(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토출펌프(51)는 기어드 펌프가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토출펌프(51)에 모터(52)의 샤프트(522)가 결합되고, 모터(52)를 구동시키면 바디(41)로부터 티피에스 원료를 흡입하여 토출헤드(6)로 이송시킬 수 있다.
한편 토출헤드(6)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펌프(51)로부터 공급된 티피에스 원료를 노즐(64)을 통해 분사시키는 것으로, 선단의 상부에 티피에스 원료가 토출되는 노즐(64)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티피에스 원료가 이송되는 유로가 형성된 바디(62)와; 바디(62)의 노즐(64)을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개폐수단은, 바디(62)의 상부에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며 상부에 랙기어(66)가 형성된 개폐도어(65)와; 개폐도어(65)의 랙기어(66)와 치차 결합되는 피니언기어(68)와, 피니언기어(68)를 구동시키는 모터(692)로 구성되는 구동장치(69)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모터(692)의 구동에 의해 피니언기어(68)가 회전되어 랙기어(66)를 이동시킴으로써 개폐도어(65)가 전후로 이동될 수 있어 노즐(64)의 개폐작동이 수행된다.
한편 토출헤드(6)를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켜 유리판의 4변에 대한 티피에스 원료가 직선형태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장치(7)를 포함한다.
회전장치(7)는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대(T-100)에 형성된 하우징(71)과와; 하우징(71) 내에 베어링(79)을 매개로 하여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며 타측에 토출헤드(6)가 장착된 외부관체(72)와; 외부관체(72)의 내부에 결합되며 티피에스 원료가 통과되는 유로가 형성된 내부관체(73)와; 외부관체(72)의 외주면 일측에 결합되며 치차가 형성된 제1기어(74)와; 제1기어(74)와 치합되는 제2기어(75)가 축에 결합되어 제1기어(74)를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는 서보모터(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서보모터(52)의 설정된 각도는 90°단위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각형의 유리판의 각 변을 따라 직선형태로 티피에스 원료의 도포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원료 토출부(T)를 전진시켜 노즐(64)이 유리판에 근접되도록 하는 이동장치(10)가 포함된다.
이동장치(10)의 일 실시예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 토출부(T)의 장착대(T-100)에 결합되는 구동모터(101)와 이 구동모터(101)에 장착된 피니언기어(102)와; 상기 피니언기어(102)와 결합되며 수평되게 장착된 랙기어바(103)를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모터(101)의 구동에 의해 피니언기어(102)가 정,역회전됨으로써 랙기어바(103)를 따라 원료 토출부(T)가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다.
한편 원료 토출부(T)를 승강시켜 높이를 설정하는 높이조절장치(8)를 포함한다.
높이조절장치(8)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되게 설치되며 일측에 수직의 랙기어(81)가 장착되고 타측에 가이드(83)가 형성된 승강대(82)와; 승강대(82)의 가이드(83)에 결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며 원료 토출부(T)와 연결된 함체(84)와; 상기 함체(84)에 장착되어 함체(84)의 승강 구동을 유발하는 승강구동부(8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승강구동부(85)의 함체(84)에 원료토출부(T)가 결합되고, 승강구동부(85)의 동작에 의해 승강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승강구동부(85)는 대략 박스형상으로 된 함체(84)에 장착된 구동모터(852)와, 함체(84) 내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모터(852)의 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되어 상기 승강대(82)의 랙기어(81)와 결합되는 피니언기어(854)를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모터(852)가 구동되어 피니언기어(854)가 회전되면, 이에 치합된 승강대(82)의 랙기어(81)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원료 토출부(T)의 높이조절이 가능해진다.
원료 토출부(T)의 높이조절이 가능해짐으로써 이동길이가 긴 대형의 유리판에 대한 티피에스 원료의 도포작업도 충분히 수행 가능해진다.
[작용]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리판(8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컨베이어장치(C)에 형성된 장착대(C-2)에 거치된다.
원료 공급부(S)의 드럼펌프(15)가 구동되어 드럼(미도시) 내의 티피에스 원료가 원료 이송부(M)의 이송관(L)을 경유하여 원료 토출부(T)의 가압장치(4)의 바디(41)로 이송된다.
이후 원료 토출부(T)의 실린더(44)의 피스톤(43)이 하강하여 챔버(42) 내를 적정한 압력으로 가압함으로써 티피에스 원료가 가압된 상태로 펌핑장치(5)로 이송된다.
이후 펌핑장치(5)의 토출펌프(51)가 구동되면, 티피에스 원료가 노즐(64)로 공급된다.
여기서 개폐도어(65)가 적정한 간격으로 이동되어 노즐(64)이 일정 크기로 개방되면 가압력에 의해 티피에스 원료가 토출되기 시작한다.
바람직하게는 개폐도어(65)가 개방되기 전에 노즐(64)은 유리판(800)에 근접된 상태이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유리판(800)이 사각형인 점을 감안하면, 토출헤드는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티피에스 원료를 토출하게 된다. X축 및 Y축 방향의 이동거리는 유리판(800)의 사이즈를 미리 제어프로그램에 입력함으로써 제어프로그램의 연산에 의해 결정된다.
티피에스 원료 도포의 최초 시작위치는 유리판(800)의 좌측 중간지점이며, 이 지점에서부터 하강하기 시작한다.
하강작동, 즉 -Y축 방향으로의 이동은 높이조절장치(8)의 승강구동부(85)가 구동되어 함체(84)가 하방으로 이동됨으로써 그에 종속된 토출헤드(6)도 하강하여 -Y축 방향으로의 도포가 실행된다.
이후 토출헤드(6)가 유리판(800)의 하단에 도달하면 회전장치(7)의 구동에 의해 토출헤드(6)가 90°회전되어 수평 방향(X축 방향)에 대한 도포를 준비한다.
이후 이송컨베어베장치(C)의 구동에 의해 유리판(800)이 X축 방향으로 일정 거리로 이동되며, 이렇게 X축 방향 이동 중에 토출헤드(6)로부터 토출된 티피에스 원료가 유리판(800)의 하부에 수평되게 도포된다.
이후 회전장치(7)의 구동에 의해 토출헤드(6)가 90°회전 더 회전되어 수직방향(Y축 방향)에 대한 도포를 준비한다.
이후 높이조절장치(8)의 승강구동부(85)가 구동되어 함체(84)가 상방으로 이동됨으로써 그에 종속된 토출헤드(6)도 상승하여 Y축 방향으로의 도포가 실행된다.
이후 회전장치(7)의 구동에 의해 토출헤드(6)가 90°회전 더 회전되어 수평방향(-Y축 방향)에 대한 도포를 준비한다.
이후 이송컨베어베장치(C)의 구동에 의해 유리판(800)이 -X축 방향으로 일정 거리로 이동되며, 이렇게 -X축 방향 이동 중에 토출헤드(6)로부터 토출된 티피에스 원료가 유리판(800)의 상부에 수평되게 도포된다.
이후 회전장치(7)의 구동에 의해 토출헤드(6)가 90°회전 더 회전되어 수직방향(-Y축 방향)에 대한 도포를 준비한다.
이후 높이조절장치(8)의 승강구동부(85)가 구동되어 함체(84)가 하방으로 이동됨으로써 그에 종속된 토출헤드(6)도 상승하여 -Y축 방향으로의 도포가 실행되어 유리판(800)에 대한 도포 작업이 완료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S : 원료 공급부 M ; 원료 이송부
T : 원료 토출부 L : 이송관
4 : 가압장치 5 : 펌핑장치
6 : 토출헤드 7 : 회전장치
8 : 높이조절장치 13 : 드럼장착부
15 : 드럼펌프

Claims (13)

  1. 복수의 유리판을 중첩시키되, 각 유리판 사이에 접착 및 방음성능을 갖도록 티피에스 원료를 공급하여 간봉을 형성하도록 하는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에 있어서,
    티피에스 원료가 충진된 드럼으로부터 티피에스 원료를 흡입하여 이송관을 통해 이송되도록 하는 원료 공급부와;
    상기 이송관으로 유입된 티피에스 원료의 응고를 막기 위해 가열수단이 형성된 원료 이송부와;
    원료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원료를 최종 토출압력에 적합하도록 가압하는 가압장치와, 상기 원료 토출부로부터 공급된 티피에스 원료를 이송시키는 펌핑장치와, 티피에스 원료가 토출되는 토출헤드로 구성된 원료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료 공급부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며, 높낮이가 조절되는 기대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드럼이 안착되는 드럼장착부와;
    상기 기대에 결합되며 드럼의 상단 개구부에 삽입되어 피스톤 역할을 하는 뚜껑와;
    상기 뚜껑에 장착되는 드럼펌프와;
    상기 기대에 장착되며 상기 드럼펌프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펌프의 흡입구는 드럼 내에 삽입되도록 뚜껑의 하부에 연결되고, 토출구는 이송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대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 양측에 수직되게 장착된 한쌍의 실린더본체와;
    상기 한쌍의 실린더본체에 각기 결합되는 인출 및 인입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한쌍의 로드와;
    상기 한쌍의 로드의 선단에 결합되어 수평으로 배치되며, 상기 뚜껑이 연결된 봉체가 결합되는 거치대와;
    상기 실린더본체에 작동 압력을 공급하는 압력공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장착부는
    드럼의 하단이 안착되도록 베이스의 상면에 원판형상으로 도드라져 형성된 받침대와;
    드럼의 하부 일측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형성된 단턱와;
    상기 단턱과 대칭되도록 상기 받침대의 타측에 형성되며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는 밀착대와;
    상기 받침대에 형성된 홈에 매립되며, 레버의 회전에 의해 받침대의 상면 보다 튀어나오도록 캠 형상으로 된 푸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토출부는
    장착대와;
    상기 장착대에 설치되며, 상기 원료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원료를 최종 토출압력에 적합하도록 가압하는 가압장치와;
    상기 가압장치와 통하도록 연결되어 장착대에 설치되며, 티피에스 원료를 이송시키는 펌핑장치와;
    상기 펌핑장치와 통하도록 연결되어 티이에스 원료를 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토출헤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장치는
    이송관에 통하는 유로가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부에 통하도록 결합되고 내부에 티피에스 원료가 충진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내부에 피스톤이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을 작동시키도록 상부에 장착된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장치는
    상기 가압장치와 연결되는 토출펌프와;
    상기 토출펌프를 구동시켜 티피에스 원료가 이송될 수 있도록 상부에 장착된 모터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헤드는
    선단의 상부에 티피에스 원료가 토출되는 노즐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티피에스 원료가 이송되는 유로가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노즐을 개폐시키는 개폐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바디의 상부에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며 상부에 랙기어가 형성되며 노즐의 개도율을 조절하는 개폐도어와;
    상기 개폐도어의 랙기어와 치차 결합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를 구동시키는 모터로 구성되는 구동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헤드를 90°단위로 회전시켜 유리판의 4변에 대한 티피에서 원료 분사가 직선형태로 실시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장치는,
    장착대에 형성된 하우징과와;
    상기 하우징 내에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며 타측에 토출헤드가 장착된 외부관체와;
    상기 외부관체의 내부에 결합되며 티피에스 원료가 통과되는 유로가 형성된 내부 관체와;
    상기 외부관체의 외주면 일측에 결합되며 치차가 형성된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는 제2기어가 축에 결합되어 제1기어를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는 서보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토출부를 승강시켜 높이를 설정하는 높이 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수직되게 설치되며 일측에 수직의 랙기어가 장착되고 타측에 가이드가 형성된 승강대와;
    승강대의 가이드에 결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며 원료 토출부와 연결된 함체와;
    상기 함체에 장착되어 함체의 승강 구동을 유발하는 승강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함체에 장착된 구동모터와, 상기 함체 내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되어 상기 승강대의 랙기어와 결합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KR1020120076161A 2012-07-12 2012-07-12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KR101336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161A KR101336311B1 (ko) 2012-07-12 2012-07-12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161A KR101336311B1 (ko) 2012-07-12 2012-07-12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6311B1 true KR101336311B1 (ko) 2013-12-02

Family

ID=49987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6161A KR101336311B1 (ko) 2012-07-12 2012-07-12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31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27788A (zh) * 2014-12-10 2016-07-0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真空配料设备
KR20190095018A (ko) * 2018-02-06 2019-08-14 강흥섭 복층유리의 티피에스 간봉 마감장치
KR102214168B1 (ko) 2020-04-08 2021-02-09 주식회사 지원오토 복층유리의 티피에스 간봉 도포장치 및 도포방법
KR20210085351A (ko) *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이강테크 복층유리의 티피에스 토출수단을 구비한 스페이서 코너 성형장치
KR102464425B1 (ko) 2022-06-24 2022-11-04 이동원 복층유리의 간봉용 티피에스 토출노즐장치
KR102527368B1 (ko) * 2022-04-07 2023-05-02 주식회사 현글라스 간봉의 흡습제 공급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078B1 (ko) 2007-05-30 2008-10-09 민선주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관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11044521A (ja) 2009-08-20 2011-03-03 Tokyo Electron Ltd レジスト液供給装置、レジスト液供給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KR101021851B1 (ko) 2009-12-31 2011-03-17 김백두 유리 사이의 간격 다양화가 용이한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
KR101037409B1 (ko) * 2009-12-31 2011-05-30 김백두 유리 사이의 간격 다양화가 용이한 3중 복층 유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078B1 (ko) 2007-05-30 2008-10-09 민선주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관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11044521A (ja) 2009-08-20 2011-03-03 Tokyo Electron Ltd レジスト液供給装置、レジスト液供給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KR101021851B1 (ko) 2009-12-31 2011-03-17 김백두 유리 사이의 간격 다양화가 용이한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
KR101037409B1 (ko) * 2009-12-31 2011-05-30 김백두 유리 사이의 간격 다양화가 용이한 3중 복층 유리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27788A (zh) * 2014-12-10 2016-07-0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真空配料设备
CN105727788B (zh) * 2014-12-10 2018-11-0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真空配料设备
KR20190095018A (ko) * 2018-02-06 2019-08-14 강흥섭 복층유리의 티피에스 간봉 마감장치
KR102045422B1 (ko) * 2018-02-06 2019-11-15 강흥섭 복층유리의 티피에스 간봉 마감장치
KR20210085351A (ko) *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이강테크 복층유리의 티피에스 토출수단을 구비한 스페이서 코너 성형장치
KR102480161B1 (ko) * 2019-12-30 2022-12-22 주식회사 이강테크 복층유리의 티피에스 토출수단을 구비한 스페이서 코너 성형장치
KR102214168B1 (ko) 2020-04-08 2021-02-09 주식회사 지원오토 복층유리의 티피에스 간봉 도포장치 및 도포방법
KR20210125412A (ko) 2020-04-08 2021-10-18 주식회사 지원오토 복층유리의 티피에스 간봉 도포장치
KR102403162B1 (ko) * 2020-04-08 2022-05-30 주식회사 지원오토 복층유리의 티피에스 간봉 도포장치
KR102527368B1 (ko) * 2022-04-07 2023-05-02 주식회사 현글라스 간봉의 흡습제 공급장치
KR102464425B1 (ko) 2022-06-24 2022-11-04 이동원 복층유리의 간봉용 티피에스 토출노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6311B1 (ko)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CN107882309A (zh) 一种房屋装修用瓷砖底板填缝装置
CN204470002U (zh) 一种可移动前置胶头立式全自动玻璃封胶线
KR101335588B1 (ko) 복층유리 제조장치의 티피에스 원료 분사장치
CN108560930A (zh) 一种建筑用墙体保温材料的安装设备
CN112318865A (zh) 一种保温节能装饰一体板制造处理方法
CN108395081A (zh) 一种玻璃自动化弯曲装置
KR20190013324A (ko) 듀얼 프레스를 이용한 고속 복층유리 제조장치
KR20160131286A (ko)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KR102480161B1 (ko) 복층유리의 티피에스 토출수단을 구비한 스페이서 코너 성형장치
RU2585703C2 (ru) Трехмерный принтер (варианты)
CN211217312U (zh) 一种中空玻璃加工用打胶装置
CN205171966U (zh) 一种小型瓷砖塑木复合板快速安装拆卸机
CN205020337U (zh) 带导向多方位涂油装置
KR101379387B1 (ko) 복층유리 제조용 티피에스 공급노즐 청소장치
KR101567639B1 (ko) 곡면유리 제조용 로
CN203792449U (zh) 用于板材拼接的压接机
CN203415805U (zh) 全自动双层旋转式安装胶暗箱铁件的设备
KR101336313B1 (ko) 복층유리 제조장치의 티피에스 원료 공급장치
KR102240153B1 (ko) 복층유리제조용 듀얼 프레싱장치
WO2016149859A1 (zh) 一种板外充气机
CN209505082U (zh) 一种在线自动烫嘴装置
CN106584757A (zh) 一种不规则硅胶产品连续射出成型设备
CN203461976U (zh) 陶瓷坯体上釉前处理设备
CN207881446U (zh) 一种建筑材料干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