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3376B1 - 리튬 이온 2차 전지 - Google Patents

리튬 이온 2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3376B1
KR101333376B1 KR1020070038839A KR20070038839A KR101333376B1 KR 101333376 B1 KR101333376 B1 KR 101333376B1 KR 1020070038839 A KR1020070038839 A KR 1020070038839A KR 20070038839 A KR20070038839 A KR 20070038839A KR 101333376 B1 KR101333376 B1 KR 101333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electrode
less
carbon material
lithium ion
ion seco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4288A (ko
Inventor
유타카 반나이
다츠지 누마타
류이치 가사하라
Original Assignee
엔이씨 에너지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이씨 에너지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이씨 에너지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04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4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6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organic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9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of button or coin sha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Abstract

정극(正極)과, 부극(負極)과, 전해질이 용해된 비프로톤성 용매를 포함하는 전해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극이, 비정질 탄소 재료를 부극 활물질로서 이용하고, 또한 상기 비정질 탄소 재료가, (A) 레이저 회절 산란법에 의해 측정한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이 7㎛이상, 20㎛이하, 또한,
(B) 레이저 회절 산란법에 의해 측정한 입도 분포에 있어서 입자 직경 3㎛ 이하의 비율이 1 체적% 이상, 10 체적% 이하이고, 또한 도전성 부여제를 포함하지 않는 리튬 이온 2차 전지.

Description

리튬 이온 2차 전지{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도 1은 본 발명의 리튬 이온 2차 전지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리튬 이온 2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량 저하를 방지한 부극(負極) 재료를 이용한 리튬 이온 2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정극(正極)에 리튬 함유 복합 산화물을 이용하고, 부극에 탄소 재료 또는 리튬 금속을 이용한 비수(非水)전해액 리튬 이온 2차 전지, 또는 리튬 2차 전지는, 높은 에너지 밀도를 실현할 수 있으므로 휴대 전화, 노트 퍼스널 컴퓨터용 등의 전원으로서, 나아가, 높은 입출력 특성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하이브리드 자동차용의 전원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이 리튬 이온 2차 전지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부극에는, 탄소를 주체로 하는 부극 활물질과 활물질층 내의 도전성 확보를 위한 도전성 부여제, 및 입자간의 밀착성 확보를 위한 결착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부극 활물질층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Japanese Patent No. 3239302에는, 저흑연화 탄소(비정질 부분과 결정성 부분을 갖는 탄소질 재료)와 미세 카본 입자, 및/또는 미세 섬유상 흑연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부극이 제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충방전 용량의 손실을 저감하고, 또한 충방전 사이클 특성이 향상된다.
또한, JP-A-2002-231316에는, 저결정성 탄소 재료와 저결정성 탄소 재료보다도 도전성이 높은 도전제를 2-6질량%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부극이 제시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전지 내부 저항의 증대를 억제하고, 또한 출력 특성이 뛰어나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 문헌에 기재의 기술에서는, 도전성 부여제를 이용함으로써, 부극 중의 활물질 비율이 저하하여, 부극 용량은 저하한다.
또한, JP-A-2002-334693에는, 면간격이 0.335-0.410㎚인 탄소 재료와 기상 성장 탄소 섬유 5-30%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부극이 제시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전극 반응이 원활화되고, 충방전 사이클 특성 등이 향상된다.
그러나, 활물질 겸 도전제로서 작용한다고 기재되어 있는 기상 성장 탄소 섬유는, 〔002〕면의 면 간격이 0.336-0.337㎚으로 흑연화 정도가 높고, 실질적으로 탄소재량과 흑연의 혼합으로, 부극 용량의 저하는 억제되지만, 도전성 확보를 위한 혼합 비율이 5-30%로 많고, 흑연과 전해액의 반응에 의한 전해액의 분해 등, 전지 특성의 열화를 초래하는 부작용이 조장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부극 활물질로서 비정질 탄소 재료를 이용하고, 부극 중에 도전성 부여제를 포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부극의 용량 저하를 방지한 리튬 이온 2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리튬 이온 2차 전지는, 정극과, 부극과, 전해질이 용해된 비프로톤성 용매를 포함하는 전해액을 구비한 리튬 이온 2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부극이, 비정질 탄소 재료를 부극 활물질로서 이용하고, 또한 상기 비정질 탄소 재료가, (A) 레이저 회절 산란법에 의해 측정한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이 7㎛ 이상, 20㎛ 이하, 또한, (B) 레이저 회절 산란법에 의해 측정한 입도 분포에 있어서 입자 직경 3㎛ 이하의 비율이 1 체적% 이상, 10 체적% 이하이고, 또한 도전성 부여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리튬 이온 2차 전지는, 상기 비정질 탄소 재료가, (C) 온도 40℃, 습도 90%의 환경 하에 있어서의 50시간 후의 중량 변화가 3중량% 이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극 중에 도전성 부여제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부극 중의 활물질 비율을 높일 수 있어, 전지 용량의 향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리튬 이온 2차 전지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정극 집전체(11) 상에 형성한 리튬 이온을 흡장(吸藏), 방출할 수 있는 정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정극층(12)과, 부극 집전체(14) 상에 형성한 리튬 이온을 흡장, 방출하는 부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부극층(13)이, 전해액(15) 및 이를 포함하는 세퍼레이터(16)를 통해 대향하여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정극 집전체(11)로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니켈, 티탄 또는 이들 합금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부극 집전체(14)로는 구리, 스테인레스강, 니켈, 티탄 또는 이들 합금을 이용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16)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 불소수지 등의 다공성 필름이 이용된다.
또한, 정극 활물질로는 리튬 함유 복합 산화물이 이용된다. 리튬 함유 복합 산화물로는, LiMXOY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이용된다. 여기서 M은, Mn, Fe, Co, Ni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고, 이들 원소의 일부를 Mg, Al, Ti 등, 혹은 그 외 카티온으로 치환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LiMn2O4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정극 활물질에는, 카본 블랙 등의 도전성 부여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르화물(PVdF) 등의 결착제와 함께 N-메틸-2-피롤리돈(NMP) 등의 용제와 함께 분산 혼련하고, 이를 알루미늄박 등의 정극 집전체 상에 도포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정극층(12)을 얻을 수 있다.
부극 활물질의 비정질 탄소 재료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르화물(PVdF) 등의 결착제와 함께 N-메틸-2-피롤리돈(NMP) 등의 용제 중에 분산 혼련하고, 이를 구리박 등의 부극 집전체 상에 도포하는 방법에 의해 부극층(13)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정질 탄소 재료란, 충방전에 수반되는 리튬 이온의 흡장·방출에 의해서 결정 구조가 단계적인 구조 변화를 나타내지 않는 탄소 재료를 의미한다. 또한, 구조 변화는, 스테이지 구조의 변화로도 칭해진다. 탄소 재료가 비정질 탄소 재료인지 결정성 탄소 재료인지는 X선 회절 스펙트럼을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결정성 탄소 재료의 경우, 결정 구조를 가지므로 X선 회절 스펙트럼 중에 명확한 즉 뾰족한 피크가 나타난다.
또한, 리튬 이온의 흡장을 행하면 카본의 층간에 리튬이 삽입되므로, 이 층간이 확대되고, 즉 격자면 간격이 확대되고, 이에 따르는 구조 변화를 나타내므로, 피크 위치의 이동, 및 피크 형상의 변화로서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부극 활물질이 비정질 탄소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 폭넓은 X선 회절 스펙트럼이 관찰되거나, 피크 벡터는 거의 검출되지 않는다. 또한, 리튬 이온의 흡장을 행해도 명확한 피크 형상의 변화를 나타내지 않는다. 따라서, 이 스펙트럼 중의 피크 변화의 유무에 시료의 탄소 재료가 비정질 탄소 재료인지 결정성 탄소 재료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탄소 재료의 물성에는, 흑연층 간격:d002, 결정자의 크기: La, Lc 및 질소 가스 흡착법 등에 의한 비표면적 등을 들 수 있는데, 비정질인지 여부의 판정에는, 상기 X선 회절 스펙트럼의 피크 변화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정질 탄소 재료는, 부극 중에 도전성 부여제를 포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기 위해서는,
(A) 레이저 회절 산란법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직경이 7㎛ 이상, 20㎛ 이하이고, 또한 (B) 레이저 회절 산란법에 의해 측정한 입도 분포에 있어서 입자 직경 3㎛ 이하의 비율이 1 체적% 이상, 10 체적%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및 (B)를 만족하는 비정질 탄소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입자 직경 3㎛ 이하의 미립자가, 활물질로서의 작용과 함께, 도전성 부여제로서의 작용을 발현하여, 도전성 부여제를 이용하지 않아도, 부극 중의 도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평균 입자 직경이 7㎛ 미만에서는, 전해액과의 반응성이 높아져, 전해액의 용매의 분해를 초래하여, 전지 수명을 저하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평균 입자 직경이 20㎛을 넘으면, 입자간의 접촉을 유지하기 어려우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입자 직경 3㎛ 이하의 비율이 1 체적% 미만에서는, 미립자 비율이 적고, 도전성 부여제로서의 작용이 부족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입자 직경 3㎛ 이하의 비율이, 10 체적%를 넘으면, 미립자 비율이 커지고, 전해액과의 반응성이 높아져, 전해액 용매의 분해를 초래하고, 전지 수명을 저하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기 위한 보다 바람직한 조건은, (a) 레이저 회절 산란법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직경이 7㎛ 이상, 15㎛ 이하이고 또한 (b) 레이저 회절 산란법에 의해 측정한 입도 분포에 있어서 입자 직경 3㎛ 이하의 비율이 2 체적% 이상, 7 체적% 이하이다. 또한, 비정질 탄소 재료는, 부극의 장기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C) 온도 40℃, 습도 90%의 환경하에 있어서의 50시간 후의 중량 변화가 3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 변화가 3질량%를 넘으면, 비정질 탄소 재료에의 수분의 흡착이 많아지고, 부극의 특성 열화를 초래하여, 전지 수명을 저하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기 위한 보다 바람직한 조건은, (c) 온도 40℃, 습도 90%의 환경 하에 있어서의 50시간 후의 중량 변화가 2질량% 이하이다.
전해액
전해액(15)은, 전해질이 용해된 비프로톤성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전해질은 리튬 2차 전지의 경우에는 리튬염을 이용하고, 이를 비프로톤성 용매 중에 용해 시킨다. 리튬염으로는, 리튬이미드염, LiPF6, LiAsF6, LiAlCl4, LiClO4, LiBF4, LiSbF6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LiPF6, LiBF4가 바람직하다. 리튬 이미드염으로는 LiN(CkF2k+1SO2)(CmF2m+1SO2)(k, m은 각각 독립하여 1 또는 2이다)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복수종을 조합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비프로톤성 용매로는, 환상 카보네이트류, 쇄상(鎖狀) 카보네이트류, 지방족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류, γ-락톤류, 환상 에테르류, 쇄상 에테르류 및 이들 플루오르화 유도체의 유기 용매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류의 유기 용매를 이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상 카보네이트류: 프로필렌카보네이트(PC), 에틸렌카보네이트(EC), 부틸렌카보네이트(BC) 및 이들 유도체 쇄상 카보네이트류: 디메틸카보네이트(DMC), 디에틸카보네이트(DEC),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디프로필카보네이트(DPC), 및 이들 유도체 지방족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류: 포름산메틸, 아세트산메틸, 프로피온산에틸, 및 이들 유도체 γ-락톤류: γ-부티로락톤, 및 이들 유도체 환상 에테르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 쇄상 에테르류: 1, 2-에톡시에탄(DEE), 에톡시메톡시에탄(EME), 디에틸에테르, 및 이들 유도체 외: 디메틸술폭시드, 1, 3-다이옥살란, 포름아미드, 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다이옥살란, 아세트니트릴, 프로필니트릴, 니트로메탄, 에틸모노그라임, 인산트리에스테르, 트리메톡시메탄, 다이옥살란 유도체, 술포란, 메틸술포란, 1, 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3-메틸-2-옥사졸리디논, 프로필렌카보네이트 유도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유도체, 에틸에테르, 1, 3-프로판술톤, 아니솔, N-메틸피롤리돈, 플루오 르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해액 첨가제로서, 비닐렌카보네이트(VC) 등을 첨가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리튬 이온 2차 전지의 형상으로는, 각종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통형, 각형, 코인형, 라미네이트형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라미네이트형이란 합성 수지와 금속박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가요성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외장체에 의해서 입구가 밀봉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경량화가 가능하므로, 전지의 에너지 밀도의 향상을 도모하는데에는, 가요성 필름에 의해 외장한 라미네이트 외장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리튬 이온 2차 전지는, 건조 공기 또는 불활성 가스 분위기에 있어서, 부극층(13) 및 정극층(12)을, 세퍼레이터(16)를 통해 적층, 혹은 적층한 것을 권회한 후에, 외장체에 삽입하여, 전해액을 함침시킨 후, 전지 외장체를 밀봉함으로써 얻어진다.
실시예
전지의 제작
정극의 제작
정극 활물질과 도전성 부여제를 혼합하고, 결착제를 용해시킨 N-메틸-2-피롤리돈(NMP)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슬러리를 제작했다. 정극 활물질로는, LiMn2O4을 이용하고, 도전성 부여제로는, 카본 블랙을 이용하고, 결착제로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르화물(PVdF)을 이용했다. 그 슬러리를 두께 25㎛의 집전체용 알루미늄박 상 에 도포 후, NMP를 증발시킴으로써 정극층을 형성했다. 정극층 중의 고형분 비율은, 정극 활물질: 도전성 부여제: 결착제= 80:10:10(질량%)으로 했다.
부극의 제작
실시예 1∼11, 비교예 1∼10에 대해서는, 체적 평균 입자 직경 3㎛ 이하 및 흡습량이 표 1에 기재한 값인 탄소질 재료와, 결착제(PVdF)를 혼합하여, NMP 중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슬러리를 제작했다. 그 슬러리를 부극 집전체용 두께 20㎛의 구리박 상에 도포후, NMP를 증발시킴으로써 부극층을 형성했다. 부극층 중의 고형분 비율은, 비정질 탄소 재료: 결착제= 90:10 (질량%)로 했다.
또한, 비교예 11∼13에서는, 표 1 기재의 비정질 탄소 재료와, 도전성 부여제로서 아세틸렌 블랙을 이용하고, 결착제(PVdF)를 표 1 기재의 고형분 비율로 혼합한 이외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부극층을 제작했다.
또한, 전지의 전해질로서, 에틸렌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카보네이트(PC) :디에틸카보네이트(DEC)= 20:20:60(용량%)에, 전해질로서의 1mol/L의 LiPF6를 용해한 것을 이용했다.
코인형 전지 조립
부극 집전체 상에 부극층을 형성한 부극 시트를 원형으로 블랭킹, 코인형의 케이스 한쪽에 넣고,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세퍼레이터를 부극층 상에 두고, 전해액을 함침시킨 후, 금속 리튬을 세퍼레이터 상에 두고, 개스캣을 통해 다른쪽 코인형 케이스를 덮어, 코킹하여 부극 특성 측정용의 코인형 전지를 제작했다.
부극 용량 측정
부극 용량 측정은, 리튬의 흡장 및 방출량으로 구했다. 구체적으로는, 부극 용량 측정용 시료 전극을 금속 리튬 전극을 대극(對極)으로 배치한 코인형 전지를 제작하여 충방전을 하여 용량을 구했다.
충전은, 25℃에 있어서, 전류치 0.25mA의 정전류에 의해서 충전하고, 시료 전극의 전압이, 금속 리튬 전극에 대해 0.0V로 된 후에, 정전압 충전으로 바꿔 합계 50시간 충전하고, 다음에 전류치 0.25mA의 정전류 하, 방전 종지 전압 2.5V까지 방전하여 용량을 측정하고, 시료 전극의 방전 용량을 면적당으로 환산하여, 부극 용량으로서 표 1에 표시했다.
신뢰성 시험은 용량 측정후, 실온에 있어서, 전류치 0.25mA의 정전류 및 정전압으로 종지 전압 0.0V까지 50시간 충전후, 45℃에서 2주간 보존하고, 보존후 실온에서 정전류 방전을 행하고, 이 때의 방전 용량을 용량 측정시의 방전 용량으로 나눈 값을 부극 용량 유지율로서 산출하여 표 1에 표시하고, 부극의 신뢰성의 지표로 했다.
표 1
Figure 112007030116259-pat00001
표 1중의 “평균 입자 직경”, 및 “3㎛ 이하 비율”은, 각각 레이저 회절 산란법에 의한 입도 분포 측정 장치(日機裝 제 마이크로트랙 MT3000)를 이용해 측정했다. 일반적으로, 평균 입자 직경은 부피 기준이고, 3㎛ 이하 비율이 검출된 입자의 빈도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흡습율”은, 비정질 탄소 재료를 100℃에서 24시간의 진공 건조를 행하여, 40℃까지 냉각 후, 온도 40℃, 습도 90%의 항온 항습조 내에 50시간 방치하고, 항온 항습조 투입 전후의 중량 변화로 환산했다.
충방전 사이클 시험, 및 보존 특성 시험
가요성 필름에 의해서 입구를 밀봉한 시험 전지를 이용해 실온(25℃)에 있어서, 전류치 2A의 정전류 및 정전압으로 종지(終止) 전압 4.3V까지 5시간 충전하고, 다음에 전류치(2A)의 정전류 하, 종지 전압 2.5V까지 방전한 후, 충방전 사이클 시험으로서, 충전 레이트 1C, 방전 레이트 1C로, 충전 종지 전압 4.2V, 방전 종지 전압 2.5V의 조건으로 충방전 사이클 시험을 행하여, 용량 유지율(%)을 표 2에 표시했다. 용량 유지율(%)은, 500사이클 후의 방전 용량을, 10사이클째의 방전 용량으로 나눈 값이다.
보존 특성 시험으로서, 다시 실온에 있어서, 전류치(2A)로 4.3V까지 충전후, 전류치 2A로 2.5V까지 방전하고, 이 때의 방전 용량을 초기 방전 용량으로 했다. 그 후, 전류치 2A의 정전류 및 정전압으로 종지 전압 4.2V까지 2.5시간의 충전 후, 방전 심도 50%까지 방전한 후, 45℃에서 60일간 보존하고, 보존 특성 시험을 행했다. 보존후 실온에서 정전류 방전을 행하고, 계속해서 정전류 충전, 정전류 방전의 순으로 행하고, 이 때의 방전 용량을 회복 용량으로 하여, (용량 회복율)=(회복 용량)/(초기 방전 용량)로서 산출하여, 표 2에 표시했다. 또한, 보존후의 저항치를 보존 개시 시의 저항치로 나눈 값을 저항 상승율로서 산출하여 표 2에 표시했다.
충방전 사이클 시험 및 보존 특성 시험으로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표시한다. 보존 특성에 있어서의 저항 상승율은, 보존 개시 시의 저항치를 1로 한 경우의 상대치이다.
표 2
Figure 112007030116259-pat00002
본 발명은 부극 활물질로서 비정질 탄소 재료를 이용하고, 부극 중에 도전성 부여제를 포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부극의 용량 저하를 방지한 리튬 이온 2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4)

  1. 정극과, 부극과, 전해질이 용해된 비프로톤성 용매를 포함하는 전해액을 구비한 리튬 이온 2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부극에, 비정질 탄소 재료를 부극 활물질로서 이용하고, 또한 상기 비정질 탄소 재료는, 레이저 회절 산란법에 의해 측정한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이 7㎛ 이상, 20㎛ 이하이고, 또한, 레이저 회절 산란법에 의해 측정한 입도 분포에 있어서 입자 직경 3㎛ 이하의 비율이 1 체적% 이상, 10 체적% 이하이고, 또한 도전성 부여제를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비정질 탄소 재료가, 온도 40℃, 습도 90%의 환경 하에 있어서의 50시간 후의 질량 변화가 3 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2차 전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리튬 이온 2차 전지가, 가요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외장체에 의해서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2차 전지.
  4. 삭제
KR1020070038839A 2006-04-20 2007-04-20 리튬 이온 2차 전지 KR1013333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16733 2006-04-20
JP2006116733A JP5105765B2 (ja) 2006-04-20 2006-04-20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288A KR20070104288A (ko) 2007-10-25
KR101333376B1 true KR101333376B1 (ko) 2013-11-28

Family

ID=38619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839A KR101333376B1 (ko) 2006-04-20 2007-04-20 리튬 이온 2차 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35672B2 (ko)
JP (1) JP5105765B2 (ko)
KR (1) KR101333376B1 (ko)
CN (1) CN1010601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7938A (ko) * 2011-05-16 2012-11-26 삼성전기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JP2014011071A (ja) * 2012-06-29 2014-01-20 Toyota Motor Corp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5346406B1 (ja) * 2012-12-07 2013-11-20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負極材料、負極活物質、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負極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
TWI536647B (zh) * 2012-08-29 2016-06-01 住友電木股份有限公司 負極材料、負極活性物質、負極及鹼金屬離子電池
JP2014123529A (ja) * 2012-12-21 2014-07-03 Jfe Mineral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材料
JP6811003B2 (ja) * 2014-11-19 2021-01-13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電気化学セル及び電気化学セルの製造方法
CN108242546B (zh) * 2016-12-23 2020-03-06 神华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无定型碳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和电池
KR102365328B1 (ko) * 2018-03-28 2022-02-24 엔지케이 인슐레이터 엘티디 리튬 이차전지 및 전지 내장 카드
KR102510296B1 (ko) * 2018-12-07 2023-03-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전극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230156962A (ko) 2018-12-21 2023-11-15 맹그로브 워터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Li 회수 공정 및 li 회수 공정을 위한 현장 화학적 생산
CN113493193A (zh) * 2020-03-20 2021-10-12 国家能源投资集团有限责任公司 无定形碳材料及其制备方法、钠离子电池负极和钠离子电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6413A (ja) * 1991-07-31 1993-02-12 Sony Corp 非水電解液二次電池
KR100274233B1 (ko) 1998-05-21 2001-02-01 김순택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 제조 방법
KR100315232B1 (ko) 1999-02-24 2001-11-26 김순택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 제조 방법
JP3764320B2 (ja) * 1999-04-27 2006-04-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リチウム二次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9680A (en) * 1991-07-29 1993-06-15 Ultracell Incorporated Lithium rocking-chair rechargeable battery and electrode therefor
JPH09289012A (ja) * 1996-04-22 1997-11-04 Pilot Precision Co Ltd フィルム状電極およびその製造法
AU7451998A (en) * 1997-05-27 1998-12-30 Tdk Corporation Electrode for non-aqueous electrolytic cells
JPH11135109A (ja) * 1997-10-28 1999-05-21 Mitsui Mining Co Ltd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負極用非晶質炭素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185821A (ja) * 1997-12-19 1999-07-09 Sony Corp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4081621B2 (ja) * 1998-03-05 2008-04-30 大阪瓦斯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炭素材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
JP3463601B2 (ja) * 1999-04-27 2003-11-05 新神戸電機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
JP3520921B2 (ja) * 2001-03-27 2004-04-19 日本電気株式会社 二次電池用負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二次電池
JP2003142101A (ja) * 2001-10-31 2003-05-16 Nec Corp 二次電池用正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二次電池
JP2005158623A (ja) * 2003-11-28 2005-06-16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2005322420A (ja) * 2004-05-06 2005-11-17 Hitachi Ltd エネルギー貯蔵デバイ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6413A (ja) * 1991-07-31 1993-02-12 Sony Corp 非水電解液二次電池
KR100274233B1 (ko) 1998-05-21 2001-02-01 김순택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 제조 방법
KR100315232B1 (ko) 1999-02-24 2001-11-26 김순택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 제조 방법
JP3764320B2 (ja) * 1999-04-27 2006-04-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リチウム二次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05765B2 (ja) 2012-12-26
JP2007287622A (ja) 2007-11-01
US8435672B2 (en) 2013-05-07
US20070248885A1 (en) 2007-10-25
CN101060182B (zh) 2010-12-29
KR20070104288A (ko) 2007-10-25
CN101060182A (zh) 200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3376B1 (ko) 리튬 이온 2차 전지
JP6366160B2 (ja) 2次電池用負極活物質、これを含むリチウム2次電池、およ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2次電池用負極の製造方法
JP5150966B2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正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5899442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非水電解質二次電池
EP3358653B1 (en)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US20130011747A1 (e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O2016088837A1 (ja) リチウム二次電池
CN107210424B (zh) 锂离子二次电池用负极及锂离子二次电池
WO2015037451A1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2164001B1 (ko) 리튬 이차 전지
WO2017007013A1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WO2017217408A1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US10403891B2 (en) Positive electrode material and lithium ion battery
US10135095B2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US20140030595A1 (en)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KR20160010313A (ko) 비수 전해질 이차 전지용 정극, 비수 전해질 이차 전지 및 그 시스템
JPWO2015152114A1 (ja) 黒鉛系活物質材料、負極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5207282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
CN110168787B (zh) 锂离子二次电池用负极材、锂离子二次电池用负极和锂离子二次电池
JPWO2020012586A1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2008282550A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JP5059992B2 (ja) 正極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2273781B1 (ko) 음극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20121976A1 (en) Porous network negative electrodes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2020053282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