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915B1 -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915B1
KR101332915B1 KR1020110086924A KR20110086924A KR101332915B1 KR 101332915 B1 KR101332915 B1 KR 101332915B1 KR 1020110086924 A KR1020110086924 A KR 1020110086924A KR 20110086924 A KR20110086924 A KR 20110086924A KR 101332915 B1 KR101332915 B1 KR 101332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supply circuit
circuit
arithmetic processi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9457A (ko
Inventor
히로유끼 하시모또
요시로오 우에다
히데끼 데라우찌
유끼 이또오
히로유끼 다무라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39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60Energy consump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1General power management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 Y04S20/244Home appliances the home appliances being or involving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HVAC]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모트 컨트롤러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대기 상태 시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송신되는 캐리어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캐리어 신호를 연산 처리하는 연산 처리부와, 상기 연산 처리부에 접속하여 제어되는 주변 회로를 구비한 전자 기기로서, 상기 신호 수신부와, 상기 연산 처리부와, 상기 주변 회로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 회로로서, 상기 신호 수신부와, 상기 연산 처리부를 포함하는 특정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전원 회로와, 상기 주변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 전원 회로로 분할해서 구비한다.

Description

전자 기기{ELECTRONIC EQUIPMENT}
본 발명은, 대기시에 있어서의 에너지 절약 모드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이나 오디오 기기, 공기 조화기 등, 이들 제품은 일반적으로 사용자로부터 이격된 장소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별체의 리모트 컨트롤러(이하 「리모콘」이라고 함.)를 사용해서 원격 조작되고, 전원의 온 오프나 각 기능의 온 오프, 동작 전환이 이루어진다. 특히,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는, 실내의 높은 곳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대부분의 조작은 리모콘에 의해 행하여진다.
이들 리모콘에 의해 조작되는 기기에 있어서는, 운전 정지 상태로부터 운전 상태로 하는 조작도 리모콘에 의해 행하여지기 때문에, 운전 정지 상태이어도, 조작 지령의 정보를 가진 캐리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부와, 수신한 캐리어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연산 처리부인 마이크로 컴퓨터(이하 「마이컴」이라고 함)를 포함하는 제어 회로와, 전원 회로는 항상 통전된 상태이어야만 한다.
그 때문에, 리모콘으로 조작되는 기기에 있어서는, 운전 정지 상태에 있어서의 신호 대기 상태(이하 대기 상태라고 기재함)이어도 전력을 계속해서 소비한다고 하는 과제가 발생한다. 대기 상태에서의 소비 전력은, 운전 상태에서의 소비 전력에 대하여 매우 적지만, 항상 계속해서 소비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겹치면 무시할 수 있는 전력량은 아니다. 따라서,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대기 상태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의 저감 수단으로서 여러 가지의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있어서, 적외선 리모콘 수신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의 지시에 의해 동일 제어 수단의 동작 클럭이 정지되고, 소정의 기동 신호에 의해 상기 제어 수단의 동작 클럭이 기동되는 전력 절약 모드와, 상기 동작 클럭이 기동해서 통상 동작을 행하는 통상 모드를 전환해서 동작하는 리모콘 수신 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동작 클럭을 정지함으로써, 상기 제어 수단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저감하는 리모콘 수신 회로를 구비한 전자 기기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은, 제어 수단의 동작 클럭을 정지하기 때문에, 이대로는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되는 캐리어 신호를 해독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동작 클럭을 재기동하기 위해서, 재기동 펄스를 부가한 리모콘 펄스 코드와, 상기 재기동 펄스를 검출하고, 또한, 재기동 펄스에 기초하여 상승 펄스를 생성하는 재기동 신호 발생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통상의 캐리어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 회로와는 달리 재기동 펄스를 인식하는 회로와, 재기동 신호 발생 회로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회로 규모의 증대, 코스트 업과 같은 과제가 남는다.
특허 문헌 2에 있어서, 연산 장치의 동작 속도가 전환되는 기능을 갖는 컴퓨터를 구비하고, 이 컴퓨터에 의해 공기 조화기의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컴퓨터의 연산 장치의 동작 속도에 따라,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제어 프로그램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는, 연산 장치의 동작 속도를 전환함으로써, 연산 처리에 걸리는 시간과, 제어 대상의 액추에이터 동작의 시간에 어긋남이 발생하기 때문에, 제어 프로그램을 변경함으로써, CPU의 동작 속도에 관계없이, 프로그램의 실행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액추에이터 동작을 제어하는 것처럼 비교적 느린 제어이면, 액추에이터 제어에의 처리에 CPU의 사용률을 돌림으로써 처리할 수 있지만, 리모콘으로부터의 캐리어 신호의 해독과 같이, 연산 처리를 고속으로 실행해야만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동작 속도가 어느 정도 빠르지 않는 한, 대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CPU의 동작 속도를 정지 모드로 전환하는 것인데, 이 경우에 있어서도, 리모콘으로부터의 캐리어 신호를 검출하고, 해독하기에는 불가능하다.
특허 문헌 3에 있어서,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원격 조작 장치와, 상기 원격 조작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이 수신부로부터 받아들인 신호를 해독하고, 공기 조화기의 액추에이터의 동작, 혹은 외부 메모리에의 데이터 기입을 행하는 컴퓨터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연산 장치의 동작 속도를 전환하는 연산 속도 전환 수단과, 상기 공기 조화기의 운전 모드, 정지 모드를 판정하는 모드 판정 수단을 설치하고, 또한 상기 연산 속도 전환 수단에 의해, 상기 모드 판정 수단이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정지를 판정하였을 때에는, 상기 연산 장치의 동작 속도를, 원격 조작 장치로부터의 신호 해독을 가능하게 할 정도로 느리게, 또한 원격 조작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해독해서 운전 모드라고 판단했을 때, 상기 컴퓨터의 연산 장치의 동작 속도를 정지시보다 빠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은, 원격 조작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해독할 정도로 연산 장치의 동작 속도를 느리게 한다고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공기 조화기의 신호에는 38㎑로 변조된 적외선 신호를 사용하고, 또한, 재단 법인 가 전 제품 협회 등에 의해 규정된 포맷에 준해 통신을 행하고 있다. 따라서, 이 신호를 해독하는 데에도, Hi 또는 Lo의 검출, 비트가 0 또는 1인지의 판별, 비트 정보의 보존, 8비트 등의 신호 코드로 구성, 또한 연산 장치에 보존한 신호 코드와의 비교 등, 수많은 연산 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신호로서 해독하는 데에도, 수㎒의 연산 속도가 필요하게 된다. 그 때문에, 연산 장치의 동작 속도를 한계까지 저속으로 하고,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데에도, 큰 효과를 얻는 것은 바랄 수 없다.
특허 문헌 4에 있어서, 상용 전원에 접속되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컨버터의 출력단에 접속된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이 인버터에 접속된 압축기 구동용 전동기와, 상기 컨버터 및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실외 제어 회로와, 이 실외 제어 회로 및 실내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실외 제어 전원을 구비한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의 열교환 및 풍향판 구동용의 모터를 제어하는 실내 제어 회로와, 실내 제어 전원을 구비한 실내기에 의해 구성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저소비 전력 시에 전원 효율이 저하하지 않는 전원 회로 제어 IC를 탑재하고, 실내외 제어 마이컴 이외에의 전력 공급을 정지한 상태에서도, 전원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저전력으로 마이컴을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4는, 저소비 전력의 상태일 때에, 동작하는 회로에 공급하는 전압을, 통상 시보다 낮게 하는 회로를 구비했다고 되어 있지만, 그 수단의 구체적인 언급은 없다. 또한, 전원 라인간에의 라인 필터용 콘덴서나 방전 저항과 같은 것에 관한 언급도 없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 공개 2007-221397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특허 3483483호 공보
(특허문헌3) 일본특허 3788132호 공보
(특허문헌4) 일본 특허 공개 제2002-81712호 공보
종래, 텔레비전이나 오디오 기기, 공기 조화기 등의 리모콘에 의해 원격 조작되는 기기에 있어서는, 운전 정지 상태로부터 운전 상태로 하는 조작도 리모콘에 의해 행하여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운전 정지 상태이어도, 조작 지령의 정보를 가진 캐리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부와, 수신한 캐리어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연산 처리부인 마이컴을 포함하는 제어 회로와, 전원 회로는 항상 통전된 상태이어야만 하고, 대기 상태 시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이 과제로 되어 있었다.
그래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연산 처리부의 동작 클럭을 저속으로 가변, 혹은 정지, 통전의 필요가 없는 부하에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등의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리모콘으로부터의 캐리어 신호를 해독하기에 충분한 클럭 속도를 확보해야만 하거나, 혹은 다른 회로에서 캐리어 신호가 수신되고 있는 것을 인식 가능한 구성으로 해야만 하는, 신호 수신부나 레귤레이터 등, 항상 통전해야만 하는 회로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복잡한 구성으로 하지 않고, 대기 상태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송신되는 캐리어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캐리어 신호를 연산 처리하는 연산 처리부와, 상기 연산 처리부에 접속하여 제어되는 주변 회로를 구비한 전자 기기이며, 상기 신호 수신부와, 상기 연산 처리부와, 상기 주변 회로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 회로로서, 상기 신호 수신부와, 상기 연산 처리부를 포함하는 특정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전원 회로와, 상기 주변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 전원 회로로 분할해서 구비하고, 상기 제1 전원 회로 및 상기 제2 전원 회로는 동일한 전원에 병렬로 접속되고, 운전 정지 시의 대기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전원 회로가 동작하고, 상기 제2 전원 회로는 정지하고, 운전 개시의 신호를 상기 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전원 회로의 동작이 계속되는 동시에, 상기 제2 전원 회로의 동작이 개시되고, 상기 제2 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값은, 상기 연산 처리부와, 상기 주변 회로의 입출력 신호의 전위차가, 상기 연산 처리부의 입출력 단자의 최대 정격 전압 이내의 전위차가 되는 전압값으로 함으로써 달성된다.
삭제
상기 목적은,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송신되는 캐리어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캐리어 신호를 연산 처리하는 연산 처리부와, 상기 연산 처리부에 접속하여 제어되는 주변 회로를 구비한 전자 기기이며, 상기 신호 수신부와, 상기 연산 처리부와, 상기 주변 회로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 회로로서, 상기 신호 수신부와, 상기 연산 처리부를 포함하는 특정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전원 회로와, 상기 주변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 전원 회로로 분할해서 구비하고, 상기 제1 전원 회로 및 상기 제2 전원 회로는 동일한 전원에 병렬로 접속되고, 운전 정지 시의 대기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전원 회로가 동작하고, 상기 제2 전원 회로는 정지하고, 운전 개시의 신호를 상기 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전원 회로의 동작이 계속되는 동시에, 상기 제2 전원 회로의 동작이 개시되고, 상기 제1 전원 회로의 출력과, 상기 제2 전원 회로의 출력을 다이오드 or로 접속하고, 상기 제2 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값이 상기 제1 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값보다도 높은 경우에는, 상기 제2 전원 회로로부터 상기 신호 수신부와, 상기 연산 처리부를 포함하는 특정한 부하에 전력이 공급되고, 상기 제1 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값을, 상기 연산 처리부와 상기 신호 수신부의 최저 동작 전압값 이상, 또한, 제2 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값 이하로 함으로써 달성된다.
삭제
상기 목적은, 상기 제1 전원 회로와, 상기 제2 전원 회로와는 다른 출력 전압값의 전원 회로를 단수 또는 복수 구비하고, 상기 제1 전원 회로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전원 회로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전원 공급 차단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목적은, 상기 전원 공급 차단 수단을 MOS-FET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목적은, 상기 제1 전원 회로와 상기 제2 전원 회로에 강압 회로를 사용하고, 적어도 하나의 회로는 다른 강압 회로에 대하여 출력 전류 토출 능력이 낮은 저출력형의 강압 회로이며, 적어도 하나의 회로는 상기 저출력형의 강압 회로 이상의 출력 전류 토출 능력을 가진 강압 회로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목적은, 상기 전자 기기가 운전 정지 시의 대기 상태 시에, 상기 제1 전원 회로만을 동작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대기 상태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도.
도 2는 실내기의 측단면도.
도 3은 실내기에 설치된 신호 수신부와 그 주변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공기 조화기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공기 조화기의 전원 회로에 있어서의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공기 조화기의 전원 회로에 있어서의 시스템 구성예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전원 공급 차단 스위치의 동작(통상 모드로부터 저속 모드로의 이행)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8은 전원 공급 차단 스위치의 동작(저속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의 이행)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9는 통상 모드, 저속 모드 시에 있어서의 캐리어 신호 수신 시의 동작 예를 도시하는 타임차트.
도 10은 저속 모드 시에 있어서의 통상 모드로의 복귀 동작예를 도시하는 타임차트.
도 11은 노이즈 수신 시에 있어서의 동작예를 도시하는 타임차트.
도 12는 저속 모드 시에 있어서의 통상 모드로의 복귀 동작예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타임차트.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일례로서, 본 발명의 전자 기기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1)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기(1)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도 1,도 2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기(1)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의 측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공기 조화기(1)는, 실내기(2)와 실외기(3)를 접속 배관(4)과, 송전 케이블(5)과, 통신 케이블(6)로 연결해서 구성되고, 실내를 공기 조화한다. 실내기(2)의 도면상 우측 하부에 도시하는 하부 우측 단부에는, 별체의 리모트 컨트롤(이하 「리모콘」이라고 함.)로부터의 적외선의 캐리어 신호를 받는 신호 수신부(8)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기(2)는, 하우징 베이스(9)의 중앙부에 열교환기(10)가 설치되고, 열교환기(10)의 하류측에 열교환기(10)의 폭과 대략 동일한 길이의 횡류 팬 방식의 실내 송풍 팬(11)이 배치되고, 이슬 받이 접시(12)가 부착되고, 이들이 장식 프레임(13)으로 덮이고, 장식 프레임(13)의 전방면에 프론트 패널(14)이 부착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장식 프레임(13)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구(15)와, 온도, 습도가 조정된 공기를 분출하는 공기 분출구(16)가 상하에 설치되어 있다. 열교환기(10)의 공기류 하류에 설치된 실내 송풍 팬(11)이 회전되었을 때, 실내 공기는, 실내기(2)에 설치된 공기 흡입구(15)로부터 열교환기(10), 실내 송풍 팬(11)을 통해서 실내 송풍 팬(11)의 길이와 거의 동일한 폭을 갖는 분출 풍로(11a)에 흐르고, 분출 풍로(11a)의 도중에 배치한 좌우 풍향판(17)에서 기류의 좌우 방향이 편향되고, 또한, 공기 분출구(16)에 배치한 상하 풍향판(18)에서 기류의 상하 방향이 편향되어 실내에 분출된다.
도 3은, 실내기(2)에 설치된 신호 수신부(8)와 그 주변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신호 수신부(8)에는, 별체의 리모콘(7)으로부터의 적외선의 캐리어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광 소자(1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신호 수신부(8)에는, 일체로 구성된 표시부(20)가 인접해서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20)는, 내부에 6개 설치된 표시용의 발광 다이오드(20a, 20b, 20c, 20d, 20e, 20f)를 점등시킴으로써, 사용자에 대하여 시각적으로 운전 상황을 전달한다.
다음에, 공기 조화기(1)에 있어서의 시스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공기 조화기(1)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하는 실내기(2)는, 내부의 전장품 박스(도시하지 않음)에 제어 기판(21)을 구비하고 있다. 도 4에 있어서, 돌입 전류 방지 회로(22), 파워 릴레이(46), 전원 회로(24)로 전원부를 구성하고 있다. 전원 회로(24)에는, 팬 모터 구동 회로(25)를 통해서 실내 팬 모터(26)가 접속되고, 이방향 밸브 구동 회로(27)를 통해서 이방향 밸브(28)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 기판(21)에는, 마이크로 컴퓨터(이하 「마이컴」이라고 함.)가 설치되어 있다. 마이컴(29)에는, 전원 회로(24)에 접속되는 리셋 회로(30), EEPROM(31), 메인 클럭 발진 회로(32), 서브 클럭 발진 회로(33)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마이컴(29)은, 적외선 수광 소자(19)로 이루어지는 신호 수신부(8), 흡입 온도 서미스터(34), 열교환기 서미스터(35), 습도 센서(36) 등의 각종 센서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마이컴(29)은, 상기 각종 센서로부터의 신호, 적외선 수광 소자(19)를 통해서 수광한 리모콘(7)으로부터의 캐리어 신호에 따라서, 공기 조화기(1)의 운전 상태를 사용자가 감각적(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부(20)의 발광 다이오드(20a, 20b, 20c, 20d, 20e, 20f)의 점등을 제어하고, 버저(37)의 울림을 제어한다.
또한, 마이컴(29)은, 스테핑 모터 구동 회로(38)을 통해서 접속되는 프론트 패널용 모터(39), 상하 풍향판용 모터(40a, 40b, 40c), 좌우 풍향판용 모터(41a, 41b)의 회전을 제어한다.
또한, 마이컴(29)에는, 응급 운전 스위치(66)가 접속되어 있고, 응급 운전 스위치(66)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소정의 운전을 강제적으로 행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마이컴(29)은, 실내외 통신 회로(42)를 통해서 실외기(3)와의 통신을 담당함과 함께, 실내기(2)를 통괄해서 제어한다.
다음에 전원 회로(24)에 대해서, 도 5, 도 6, 도 7, 도 8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전원 회로(24)의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전원 회로(24)의 시스템 구성예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전원 공급 차단 스위치의 동작(통상 모드로부터 저속 모드로의 이행)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전원 공급 차단 스위치의 동작(저속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의 이행)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에 있어서, 전원 회로(24)는, 콘센트(43)에 전원 플러그(44)를 접속함으로써, 전원 코드(45)를 통과시키고, 상용 전원(50)으로부터 교류의 전력이 공급된다. 또한, 전원 회로(24)는, 상용 전원(50)으로부터의 전력을 실외기(3)에 송전하기 위한 파워 릴레이(46)와, 노이즈 저감을 목적으로 한 어크로스 더 라인 콘덴서(이하 「X 콘덴서」라고 함.)(47a)와, 커먼 모드 쵸크 코일(48)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원 차단 후에 있어서의 X 콘덴서(47a)에 축적된 전하를 방전하기 위한 방전 저항(49a)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에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에 있어서는, 상용 전원(50)의 라인을 전파하고, 유출하는 노이즈를 저감하기 위해서, 교류 라인의 양극간에 X 콘덴서(47a)를 구비하고 있다. 공기 조화기(1)에 있어서, 실외기(3)에 구비한 압축기용 모터(도시하지 않음)는 물론, 실외 팬 모터(도시하지 않음)나 실내 팬 모터(26)는 인버터 구동 방식이 주류로 되어 있다. 인버터 구동의 모터의 경우, 반도체 스위치 소자의 스위칭에 있어서의 캐리어 주파수는, 수㎑ 내지 수십㎑가 주류이며, 캐리어 주파수의 고차 고조파의 노이즈가 상용 전원(50)의 라인에 유출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노이즈를 저감하기 위해서, 필터 회로 등을 구성하고, 대처할 필요가 있다. 특히, 1㎒ 이하의 비교적 낮은 주파수의 노이즈 성분의 억제 수단으로서는, X 콘덴서(47a)의 정전 용량을 크게 하는 것이 유효한 수단이다.
그러나, X 콘덴서(47a)의 정전 용량을 크게 하는 것은, X 콘덴서(47a)에 축적되는 전하가 증대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전원 플러그(44)를 콘센트(43)로부터 빼냈을 때에 있어서의 플러그날 양극간의 잔류 전압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잔류 전압은, 사용자가 플러그날 양극간에 접촉했을 때에 감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소정 시간 사이에 소정 전압 이하로 낮출 필요가 있다. 따라서, 축적된 전하를 방전하기 위해서, X 콘덴서(47a)와 병렬로 접속된 방전 저항(49a)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전 저항(49a)은, 전원이 통전되어 있는 동안에는, 항상 전류가 흐르게 되기 때문에, 대기 상태 시에 있어서도 전력을 계속해서 소비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소비 전력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방전 저항(49a)을 가능한 한 높은 저항값으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방전 저항(49a)은, 잔류 전압을 소정 시간 사이에 소정 전압 이하로 낮출 필요가 있기 때문에, X 콘덴서(47a)의 정전 용량과의 시정수에 의해 결정되는 저항값 이하로 해야만 한다. 그 때문에, 단순하게 저항값을 높게 할 수는 없고, 방전 저항(49a)의 저항값을 높게 하기 위해서는, X 콘덴서(47a)의 정전 용량을 적게 해야만 한다.
그러나, 대기 상태 중에 있어서는 전술한 인버터 구동의 모터가 동작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노이즈 레벨이 낮고, X 콘덴서(47a)의 정전 용량은 적어도 문제없지만, 인버터 구동의 모터가 동작하는 운전중에 있어서는, 노이즈 레벨이 높아지기 때문에, X 콘덴서(47a)의 정전 용량을 단순하게 적게 할 수는 없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파워 릴레이(46)의 후단(파워 릴레이(46)를 사이에 끼워서 실외기(3) 측)에 X 콘덴서(47b)와 방전 저항(49b)을 설치하였다. 이에 의해, 공기 조화기(1)가 냉방, 난방, 제습과 같은 운전 동작을 행할 때, 즉 파워 릴레이(46)가 ON하고, 실내기(2)와 실외기(3)가 운전하고, 노이즈 레벨이 높은 상태에 있어서는, X 콘덴서(47a)와 X 콘덴서(47b)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충분한 정전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노이즈 레벨이 낮은 상태인, 운전 정지 시의 대기 상태에 있어서는, 파워 릴레이(46)를 절단함으로써, X 콘덴서(47a)만의 정전 용량이 되기 때문에, 방전 저항(49a)의 저항값을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노이즈 성능을 손상시키지 않고, 대기 상태 시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전원 플러그(44)의 플러그날 잔류 전압에 의한 감전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있어서는 X 콘덴서(47b)와 방전 저항(49b)은 파워 릴레이(46)를 사이에 끼워서 실외기(3) 측의 동일 기판 상에 탑재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다른 기판에의 탑재나, 단자대(67)에의 접속 등, 탑재 수단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송풍 운전과 같은, 실내기(2)만으로 운전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실내 송풍 팬(11)의 회전수에 따라서는, 노이즈 레벨이 높은 경우가 있기 때문에, 실외기(3)를 운전하지 않지만, 굳이 파워 릴레이(46)를 ON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전원 회로(24)는, 상용 전원(50)으로부터의 전력을 교류 전압으로부터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다이오드 브릿지(52)와, 평활 콘덴서(51)로 이루어지는 정류 회로(53)와, 스위칭 전원 IC(54)와, 스위칭 트랜스(55)로 이루어지는 스위칭 전원 회로(56)와, 스위칭 트랜스(55)의 2차측에 구비한, 메인 제어 전원용 레귤레이터(57)와, 서브 제어 전원용 레귤레이터(58)를 구비하고 있다.
스위칭 전원 회로(56)는, 분할된 권선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칭 트랜스(55)에 의해, 18.5V 전원(59), 12V 전원(60), 8.5V 전원(61)과 같은 다출력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8.5V 전원(61)에는, 리모콘(7)으로부터의 캐리어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광 소자(19)로 구성된 신호 수신부(8)와, 신호 수신부(8)에서 수신한 캐리어 신호를 연산 처리하는 연산 처리부(68)와, 응급 운전 스위치(66)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전원 회로(69)인 서브 제어 전원용 레귤레이터(58)와, 연산 처리부(68)에 접속하여 제어되는 주변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 전원 회로(70)인 메인 제어 전원용 레귤레이터(57)가 접속되어 있고, 제1 전원 회로(69)인 서브 제어 전원용 레귤레이터(58)에서 강압된 3.3V 전원(63)과, 제2 전원 회로(70)인 메인 제어 전원용 레귤레이터(57)에서 강압된 5.3V 전원(62)과 같은 2개의 전원으로 분할하여 구성하고 있다.
또한, 18.5V 전원(59)과, 12V 전원(60)과, 메인 제어 전원용 레귤레이터(57)의 전단에는, 전원 공급 차단 스위치(64a, 64b, 64c)를 구비하고 있고, 각 전원에 접속되는 모든 부하가 전원의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 조건으로 된 경우, 즉 대기 상태로 되는 조건에 적합한 경우에, 각 전원 공급 차단 스위치(64a, 64b, 64c)를 OFF함으로써, 각 부하에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억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전원 공급 차단 스위치(64a, 64b, 64c)에는, 릴레이나 트랜지스터, MOS-FET를 사용하면 구성 가능하지만, 릴레이와 트랜지스터의 경우에는, 스위치를 ON하기 위한 구동 전류가 필요로 되기 때문에, 본 실시에 있어서는, 구동 전류를 거의 필요로 하지 않는, MOS-FET를 사용하여, 동작 시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전원 공급 차단 스위치(64a, 64b, 64c)를 OFF하고, 스위칭 전원 회로(56)로부터 보아 경부하 시의 경우에는, 스위칭 전원 IC(54)의 스위칭 동작을 부분적으로 정지하는 등의 씨닝 제어를 행함으로써, 단위 시간당의 스위칭 횟수를 줄이는, 즉 단위 시간당의 스위칭 손실의 총합을 저감하여,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메인 제어 전원용 레귤레이터(57)의 출력측, 즉 5.3V 전원(62)과, 서브 제어 전원용 레귤레이터(58)의 출력측, 즉 3.3V 전원(63)은, 다이오드 or로 접속되어 있고, 전원 공급 차단 스위치(64c)가 ON하고 있는 경우에는 출력 전압이 높은 메인 제어 전원용 레귤레이터(57)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전원 공급 차단 스위치(64c)가 OFF하고 있는 경우에는, 서브 제어 전원용 레귤레이터(58)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각 역류 방지 다이오드(65a, 65b)에는, VF가 0.3V와 같은 전압 강하가 적은 쇼트키 다이오드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각 역류 방지 다이오드(65a, 65b)의 캐소드측의 전압은, 전원 공급 차단 스위치(64c)가 ON하고 있는 경우에는 5V, OFF하고 있는 경우에는 3V가 된다. 전원 공급 차단 스위치(64c)의 ON/OFF의 전환은, 도 7,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조건에 합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마이컴(29)에서 연산 처리하고, 실행된다.
또한, 마이컴(29)과 메인 클럭 발진 회로(32), 서브 클럭 발진 회로(33)를 포함하는 연산 처리부(68)와, 적외선 수광 소자(19)를 포함하는 신호 수신부(8)와, 응급 운전 스위치(66)와, 이들 외부로부터의 운전 지령을 검출하고, 대기 상태로부터 운전 상태로 이행하기 위해서 최저한 필요한 회로와 부하를 각 역류 방지 다이오드(65a, 65b)의 캐소드측에 접속하고, EEPROM(31)이나 표시부(20), 실내외 통신 회로(42) 등의 대기 상태 시에 불필요한 회로와 부하를 메인 제어 전원용 레귤레이터(57) 측의 역류 방지 다이오드(65a)의 애노드 측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마이컴(29)과, 적외선 수광 소자(19)에는, 최저 동작 전압이 2.7V, 통상 동작 전압이 5V인 소자를 사용하고 있다. 그 때문에, 대기 상태 시에는 한정된 회로와 부하에만 전력이 공급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연산 처리부(68)나 신호 수신부(8)의 전원 전압을 리니어하게 5V로부터 3V로 저감하여, 구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안정된 동작 상태 그대로, 더욱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연산 처리부(68)의 전원 전압과, 대기 상태 시에 불필요한 회로와 부하의 전원 전압은, 역류 방지 다이오드(65a)의 양단부에 나뉘어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역류 방지 다이오드(65a)에 의한 전압 강하 분의 전위차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역류 방지 다이오드(65a)에 전압 강하가 적은 쇼트키 다이오드를 사용함으로써, 마이컴(29)의 최대 정격 전압 이내의 전위차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서브 제어 전원용 레귤레이터(58)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대기 상태 시에 있어서의 한정된 부하만을 제공하는 전력으로 되기 때문에, 운전 시에 있어서의 메인 제어 전원용 레귤레이터(57)가 공급하는 전력과 비교하여, 매우 적은 전력량이다. 즉, 서브 제어 전원용 레귤레이터(58)는 공급하는 전력량이 적기 때문에, 출력 전류 토출 능력이 낮은 레귤레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레귤레이터는, 부하 전류가 많은 경우, 전류 증폭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구동 전력을 많이 필요로 한다. 또한, 설계점도 최대 부하 시를 고려하여, 설계해야만 하기 때문에, 저부하 시에 있어서의 회로 효율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고, 저부하 시에는 출력 전류에 대한 구동 소류의 비율이 높아지게 된다. 한편, 출력 전류 토출 능력이 낮은 레귤레이터는, 소자 자체가 소형임과 함께, 대기 상태 시에 있어서의 한정된 부하와 같은 경부하이면, 레귤레이터의 최고 효율점 부근에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제어 전원용 레귤레이터(58)를 출력 전류 토출 능력이 낮은 레귤레이터로 함으로써, 대기 상태 시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을 더욱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다이오드 or로 구동 전원을 분할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다른 방식으로서 하기의 것도 생각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이컴(29)을 포함하는 연산 처리부(68), 적외선 수광 소자(19)를 포함하는 신호 수신부(8), 응급 운전 스위치(66) 등의 대기 상태 시이어도 최저한 필요한 한정된 회로나 부하에의 전력을, 항상 서브 제어 전원용 레귤레이터(58)로 구성되는 강압 회로로부터 공급하고, EEPROM(31)(기입, 읽어냄 가능한 외부 기억 매체), 흡입 온도 서미스터(34), 열교환기 서미스터(35), 습도 센서(36), 실내외 통신 회로(42), 표시부(20) 등의 마이컴(29)과 동일 전위, 혹은 그 이하에서 구동하지만, 대기 상태 시에는 통전의 필요가 없는 회로나 부하에 있어서는, 메인 제어 전원용 레귤레이터(57)로 구성되는 강압 회로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것처럼 완전하게 전원을 분할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마이컴(29)을 포함하는 연산 처리부(68)와, 적외선 수광 소자(19)를 포함하는 신호 수신부(8)와, 응급 운전 스위치(66) 등의 운전 상태로 이행하기 위해서 최저한 필요한 회로와 부하의 전원 전압을 대기 상태 시에 저전압으로 전환할 수는 없지만, 서브 제어 전원용 레귤레이터(58)에 있어서의 입력 전압(8.5V)과 출력 전압(5V)의 차분이 작아진 것에 의한 전력 손실 저감분과, 역류 방지 다이오드(65a, 65b)에 의한 손실이 없어진 분에서, 상기한 다이오드 or 방식에 대하여, 대기 상태 시의 소비 전력 성능에서 크게 떨어지지 않고 회로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 있어서도, 서브 제어 전원용 레귤레이터(58)는, 마이컴(29) 등의 한정된 부하에만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 상태 그대로이기 때문에, 저전류 시에 있어서 고효율로 구동할 수 있는 출력 전류 토출 능력이 작은 레귤레이터를 사용해서 대기 상태 시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강압 회로에 레귤레이터를 사용해서 설명했지만, 강압 회로는 스위칭 레귤레이터, 드롭퍼 레귤레이터, DC/DC 컨버터 등, 회로 방식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고, 비용, 실장 스페이스, 회로 효율에 따라 적절하게 선정하면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전원 회로(69)로서, 서브 제어 전원용 레귤레이터(58)를, 제2 전원 회로(70)로서, 메인 제어 전원용 레귤레이터(57)를 사용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전원 전압값이 설계값에 대하여 충분한 정밀도인 경우나, 접속되는 부하가 전원 전압에 점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강압 회로를 설치하지 않고, 직접 스위칭 전원 회로(56)로부터의 출력, 또는 평활 회로 등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강압 회로에 있어서의 손실을 없애어, 더욱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신호 수신부(8)와, 연산 처리부(68)를 동일한 제1 전원 회로(69)인 서브 제어 전원용 레귤레이터(58)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다시 신호 수신부(8)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와, 연산 처리부(68)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로 분할하는 구성으로 하고, 예를 들어 신호 수신부(8) 측에는 평활 회로를, 연산 처리부(68) 측에는 다시 출력 전류 토출 능력이 작은 레귤레이터를 사용하는 등의 구성으로 하여, 전력을 저감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통상 모드, 저속 모드 시에 있어서의 동작예에 대해서, 도 9, 도 10, 도 11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9는, 통상 모드, 저속 모드 시에 있어서의 캐리어 신호 수신 시의 동작예를 도시하는 타임차트이다. 도 10은, 저속 모드 시에 있어서의 통상 모드로의 복귀 동작예를 도시하는 타임차트이다. 도 11은, 노이즈 수신 시에 있어서의 동작예를 도시하는 타임차트이다. 도 12는, 저속 모드 시에 있어서의 통상 모드에의 복귀 동작예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타임차트이다.
또한, 본 구성에서는, 마이컴(29)의 동작 클럭에 사용하는 발진 회로에, 메인 클럭 발진 회로(32), 서브 클럭 발진 회로(33)와 같은, 클럭 주파수의 서로 다른 2개의 발진 회로를 설치하고 있다. 공기 조화기(1)가 운전하고 있을 때에는, 마이컴(29)은 실외기(3)와의 통신이나 각 부하를 제어하기 위해서, 고속의 연산 처리가 필요로 되고, 동작 클럭도 맞추어 높은 클럭 주파수이어야만 한다. 그러나, 클럭 주파수를 높게 한다고 하는 것은, 마이컴(29)에서 소비하는 전력이 높아진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따라서, 이 소비 전력을 저감하기 위해서, 운전중과 같이 고속의 연산 처리가 필요 불가결한 경우에 있어서는, 클럭 주파수가 높은 메인 클럭 발진 회로(32)를 사용한 통상 모드에서 동작하고, 고속의 연산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는 대기 상태 시에 있어서는, 클럭 주파수가 낮은 서브 클럭 발진 회로(33)에 의해 저속 모드로 전환하고, 대기 상태 시에 있어서의 마이컴(29)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종래이면, 적외선 수광 소자(19)에 입력되는 캐리어 신호의 검출,응급 운전 스위치(66)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의 검출, 그 밖의 제어에 관계되는 연산 처리 등, CPU 부하율의 관계상, 클럭 주파수를 낮게 하는 데에도 한도가 있고, 특히 리모콘(7)으로부터의 캐리어 신호를 판독하는 데에도, Hi 또는 Lo의 검출, 비트가 0 또는 1인지의 연산 처리, 비트 정보의 보존, 8비트 등의 신호 코드로 구성, 또한 연산 장치에 보존한 코드와의 비교 등, 수많은 연산 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고, 적어도 수㎒의 클럭 주파수를 필요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동작 클럭을 높게 하는 것은, 소비 전력을 증대하는 것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본 구성에 있어서의 서브 클럭 발진 회로(33)에는, 적외선 신호의 캐리어 주파수인 38㎑보다도 느린, 32.768㎑의 발진자를 사용한다. 따라서,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것은 가능해지지만,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럭 주파수의 저하에 수반하여, 샘플링 주기도 길어지기 때문에, 이대로는 리모콘(7)으로부터의 캐리어 신호를 판독할 수는 없다.
그래서,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모콘(7)으로부터의 캐리어 신호의 선두에, 상기 대기 상태 시의 클럭 주파수에 의존한 샘플링 주기의 소정 배수 이상의 기간, 비트 정보가 없는 출력 신호를 마련하고, 계속해서 비트 정보를 가진 캐리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에 의해, 클럭 주파수가 느린 저속 모드이어도, 정보를 가진 신호까지는 인식할 수 없지만, 이 비트 정보가 없는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있다고 하는 것만은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비트 정보가 없는 출력 신호가 수신된 것을 검출했을 때에, 다시 동작 클럭을 메인 클럭 발진 회로(32)로 전환하고, 샘플링 주기를 통상 시의 주기로 복귀시킴으로써, 계속해서 송신되어 오는 비트 정보를 가진 캐리어 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리모콘(7)으로부터의 캐리어 신호만의 변경으로, 신호 수신부(8)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저렴한 시스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구성에서는 상기와 같이, 비트 정보가 없는 출력 신호에 의해, 대기 상태로부터 복귀한다. 그 때문에, 노이즈나 다른 적외선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리모콘(7)으로부터 송신된 비트 정보가 없는 출력 신호인지 판별할 수 없기 때문에, 대기 상태로부터 복귀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기 상태로부터 복귀하고, 그 후에 송신되어 오는 캐리어 신호가, 재단 법인 가전 제품 협회의 포맷에 준거한, 실내기(2)와 쌍으로 되는 리모콘(7)으로부터의 캐리어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이한 것이라면 즉각 대기 상태로 복귀하는 제어로 하고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트 정보가 없는 신호를, Hi 기간과 Lo 기간의 조합, 예를 들어 3회 연속 Hi를 검출하고, 그 후 2회 연속 Lo를 검출한 경우에는 복귀로 함으로써, 노이즈에 의해 잘못해서 복귀하기 어려운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1 : 공기 조화 베개
2 : 실내기
3 : 실외기
4 : 접속 배관
5 : 송전 케이블
6 : 통신 케이블
7 : 리모콘
8 : 신호 수신부
9 : 하우징 베이스
10 : 열교환기
11 : 실내 송풍 팬
11a : 분출 풍로
12 : 이슬 받이 접시
13 : 장식 프레임
14 : 프론트 패널
15 : 공기 흡입구
16 : 공기 분출구
17 : 좌우 풍향판
18 : 상하 풍향판
19 : 적외선 수광 소자
20 : 표시부
21 : 제어 기판
22 : 돌입 전류 방지 회로
24 : 전원 회로
25 : 팬 모터 구동 회로
26 : 실내 팬 모터
27 : 이방향 밸브 구동 회로
28 : 이방향 밸브
29 : 마이컴
30 : 리셋 회로
31 : EEPROM
32 : 메인 클럭 발진 회로
33 : 서브 클럭 발진 회로
34 : 흡입 온도 서미스터
35 : 열교환기 서미스터
36 : 습도 센서
37 : 버저
38 : 스테핑 모터 구동 회로
39 : 프론트 패널용 모터
40a, 40b, 40c : 상하 풍향판용 모터
41a, 41b : 좌우 풍향판용 모터
42 : 실내외 통신 회로
43 : 콘센트
44 : 전원 플러그
45 : 전원 코드
46 : 파워 릴레이
47a, 47b : X 콘덴서
48 : 커먼 모드 쵸크 코일
49a, 49b : 방전 저항
50 : 상용 전원
51 : 평활 콘덴서
52 : 다이오드 브릿지
53 : 정류 회로
54 : 스위칭 전원 IC
55 : 스위칭 트랜스
56 : 스위칭 전원 회로
57 : 메인 제어 전원용 레귤레이터
58 : 서브 제어 전원용 레귤레이터
59 : 18.5V 전원
60 : 12V 전원
61 : 8.5V 전원
62 : 5.3V 전원
63 : 3.3V 전원
64a, 64b, 64c : 전원 공급 차단 스위치
65a, 65b : 역류 방지 다이오드
66 : 응급 운전 스위치
67 : 단자대
68 : 연산 처리부
69 : 제1 전원 회로
70 : 제2 전원 회로

Claims (14)

  1.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송신되는 캐리어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캐리어 신호를 연산 처리하는 연산 처리부와, 상기 연산 처리부에 접속하여 제어되는 주변 회로를 구비한 전자 기기이며,
    상기 신호 수신부와, 상기 연산 처리부와, 상기 주변 회로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 회로로서, 상기 신호 수신부와, 상기 연산 처리부를 포함하는 특정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전원 회로와, 상기 주변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 전원 회로로 분할해서 구비하고,
    상기 제1 전원 회로 및 상기 제2 전원 회로는 동일한 전원에 병렬로 접속되고,
    운전 정지 시의 대기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전원 회로가 동작하고, 상기 제2 전원 회로는 정지하고,
    운전 개시의 신호를 상기 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전원 회로의 동작이 계속되는 동시에, 상기 제2 전원 회로의 동작이 개시되고,
    상기 제2 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값은, 상기 연산 처리부와, 상기 주변 회로의 입출력 신호의 전위차가, 상기 연산 처리부의 입출력 단자의 최대 정격 전압 이내의 전위차가 되는 전압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송신되는 캐리어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캐리어 신호를 연산 처리하는 연산 처리부와, 상기 연산 처리부에 접속하여 제어되는 주변 회로를 구비한 전자 기기이며,
    상기 신호 수신부와, 상기 연산 처리부와, 상기 주변 회로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 회로로서, 상기 신호 수신부와, 상기 연산 처리부를 포함하는 특정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전원 회로와, 상기 주변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 전원 회로로 분할해서 구비하고,
    상기 제1 전원 회로 및 상기 제2 전원 회로는 동일한 전원에 병렬로 접속되고,
    운전 정지 시의 대기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전원 회로가 동작하고, 상기 제2 전원 회로는 정지하고,
    운전 개시의 신호를 상기 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전원 회로의 동작이 계속되는 동시에, 상기 제2 전원 회로의 동작이 개시되고,
    상기 제1 전원 회로의 출력과, 상기 제2 전원 회로의 출력을 다이오드 or로 접속하고, 상기 제2 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값이 상기 제1 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값보다도 높은 경우에는, 상기 제2 전원 회로로부터 상기 신호 수신부와, 상기 연산 처리부를 포함하는 특정한 부하에 전력이 공급되고,
    상기 제1 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값을, 상기 연산 처리부와 상기 신호 수신부의 최저 동작 전압값 이상, 또한 제2 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값 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회로를, 상기 신호 수신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와, 상기 연산 처리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로 분할해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회로와, 상기 제2 전원 회로는 서로 다른 출력 전압값의 전원 회로를 단수 또는 복수 구비하고, 상기 제1 전원 회로 이외의 전원 회로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전원 공급 차단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차단 수단은 MOS-FET에 의해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회로와 상기 제2 전원 회로에 강압 회로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회로와 상기 제2 전원 회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회로는 다른 강압 회로에 대하여 출력 전류 토출 능력이 낮은 저출력형의 강압 회로이며, 적어도 하나의 회로는 상기 저출력형의 강압 회로 이상의 출력 전류 토출 능력을 가진 강압 회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회로는, 상기 제2 전원 회로에 대하여, 출력 전류 토출 능력이 낮은 강압 회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운전 정지 시의 대기 상태 시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회로만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소정의 운전을 강제적으로 행하는 응급 운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응급 운전 스위치의 구동 전력을, 상기 제1 전원 회로로부터 공급하고, 상기 응급 운전 스위치로부터의 운전 신호에 의해 대기 상태로부터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회로에 공급하는 전력을, 스위칭 전원으로부터 직접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공기 조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3. 삭제
  14. 삭제
KR1020110086924A 2010-10-15 2011-08-30 전자 기기 KR1013329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32078A JP5618755B2 (ja) 2010-10-15 2010-10-15 電子機器
JPJP-P-2010-232078 2010-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457A KR20120039457A (ko) 2012-04-25
KR101332915B1 true KR101332915B1 (ko) 2013-11-26

Family

ID=46038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924A KR101332915B1 (ko) 2010-10-15 2011-08-30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618755B2 (ko)
KR (1) KR101332915B1 (ko)
CN (1) CN1024550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6156B2 (ja) * 2012-07-20 2016-03-1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3576715A (zh) * 2012-07-24 2014-02-1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温度控制的方法及电子设备
JP6703877B2 (ja) * 2016-03-31 2020-06-03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6611999B1 (ja) * 2019-02-26 2019-11-27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464A (ko) * 1996-06-29 1999-01-15 모리시타 요이찌 전원장치
KR100311768B1 (ko) * 1998-09-14 2001-11-03 니시무로 타이죠 전기 기기의 전원 회로
KR20020023022A (ko) * 2000-09-22 2002-03-28 윤종용 대기전원 절전형 전원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8840U (ja) * 1982-10-07 1984-04-1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子回路用電源回路
JP3483483B2 (ja) * 1998-12-18 2004-01-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および空気調和機
JP3613752B2 (ja) * 1999-01-21 2005-01-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制御装置
JP3788132B2 (ja) * 1999-09-27 2006-06-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2001251860A (ja) * 2000-03-06 2001-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待機装置
JP2002081712A (ja) * 2000-09-08 2002-03-22 Hitachi Ltd 空気調和機
JP2003262388A (ja) * 2002-03-05 2003-09-19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調和機
JP2005094880A (ja) * 2003-09-16 2005-04-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機器の電源回路、及びその電源回路を備える電源装置、並びに、その電源装置を含む電源システム
JP2007221397A (ja) * 2006-02-16 2007-08-30 Fujitsu General Ltd リモコン受信回路を備えた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464A (ko) * 1996-06-29 1999-01-15 모리시타 요이찌 전원장치
KR100311768B1 (ko) * 1998-09-14 2001-11-03 니시무로 타이죠 전기 기기의 전원 회로
KR20020023022A (ko) * 2000-09-22 2002-03-28 윤종용 대기전원 절전형 전원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55044B (zh) 2014-11-05
JP5618755B2 (ja) 2014-11-05
JP2012083090A (ja) 2012-04-26
CN102455044A (zh) 2012-05-16
KR20120039457A (ko) 201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9002B2 (en) Ventilation fan and ventilation system
KR101697443B1 (ko) 저전력소모 대기 회로장치, 에어컨 및 에어컨의 제어방법
KR101332915B1 (ko) 전자 기기
EP3001114A2 (en) Outdoor device and air conditioner
JP5658969B2 (ja) 空気調和機
KR101310573B1 (ko) 공기 조화기
US2010005808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Power Supply of Electronic Devices
JP2000346425A (ja) 空気調和機
CN108931041B (zh) 电控组件及空调器
CN105794221B (zh) 图像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JPH0861247A (ja) 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4899358B2 (ja) 発熱体収納函冷却装置の電源安定化回路
CN113669879B (zh) 多联机空调控制电路、电控装置及空调器
JP2005520092A (ja) 空気調和機及びその運転方法
KR100324744B1 (ko)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방법
JP5537100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CN111133673A (zh) 家电设备
KR10159668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03363616A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控制终端和控制系统
JP2009189202A (ja) 電力変換装置、ブラシレスdcモータおよび換気送風装置
CN101476802A (zh) 制冷系统外加电路以及使用其的制冷系统
US20070047338A1 (en) External delayed switch apparatus for cooling fans
CN108931040B (zh) 电控组件及空调器
KR20070044290A (ko) 공기조화기의 대기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5180756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