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290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290B1
KR101332290B1 KR1020080003075A KR20080003075A KR101332290B1 KR 101332290 B1 KR101332290 B1 KR 101332290B1 KR 1020080003075 A KR1020080003075 A KR 1020080003075A KR 20080003075 A KR20080003075 A KR 20080003075A KR 101332290 B1 KR101332290 B1 KR 101332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main body
fixing
fixing member
moto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7240A (ko
Inventor
조현기
박영재
김종우
전진영
윤상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3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290B1/ko
Priority to US12/346,291 priority patent/US8089182B2/en
Publication of KR20090077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7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03G15/757Drive mechanisms for photosensitive medium, e.g. gea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7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진부재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안정된 모터고정구조를 이룰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모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모터 어셈블리는 모터와, 상기 모터가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모터와 상기 고정부재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모터의 진동이 상기 고정부재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진부재와, 상기 모터와 상기 고정부재가 상대 운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강도를 가지는 보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방진부재의 변형 방지 및 고정부재에 대한 모터의 상대운동을 방지하여 모터 어셈블리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의 진동이 인접 구조물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모터 어셈블리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나 컬러 프린터와 같은 종래의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는 예를 들면 감광체 드럼(잠상 담지체)의 외주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킨 후, 레이저 스캐닝 유닛 등으로 노광하여 피기록 화상의 화상 신호에 따른 정전 잠상을 형성하고, 현상 장치의 현상 슬리브(현상제 담지체)의 외주면에 캐리어를 통해서 자기적으로 담지된 토너를, 현상 슬리브의 회전에 의해 감광체 드럼을 향해 공급함으로써 정전 잠상을 현상화하여, 그 토너상을 시트(sheet) 등의 기록체에 전사하여 용융 정착시킴으로써 화상을 기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상 형성장치에 포함되는 각종 유닛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로 모터가 사용된다.
모터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기 에너지로부터 자기적 상호 작용을 일으켜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소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 해 적절한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모터가 고정부재에 고정되어 하나의 조립체를 이루는 모터 어셈블리를 구성하여 본체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인 설치 양태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모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어셈블리(1)는 모터(2)와, 모터(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3)과, 모터(2)와 고정부재(3)사이에 마련되어 모터(2)의 진동이 고정부재(3)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진부재(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모터(2)의 일측에는 모터(2)를 고정하기 위한 한쌍의 플랜지부(2a)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플랜지부(2a)를 통해 스크류를 삽입하여 방진부재(4)와 모터(2)를 결합시킨다.
모터(2)와 고정부재(3)사이에는 모터(2)의 진동이 고정부재(3)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진부재(4)가 마련된다.
방진부재(4)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 하면에 스크류 체결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다.
고정부재(3)의 하면의 기어고정부(미도시)에는 모터(2)의 회전축과 치차 결합하는 기어(5)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모터고정구조는 모터의 진동이 고정부재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일정 정도 효과를 거둘 수 있으나,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된 다수의 기어에 의해 모터가 큰 로드를 받게 되고, 이러한 로드에 의해 모터자체가 고정부재에 대해 상대운동하기 때문에 고무재질로 형성된 강성이 약한 방진부재는 모터의 상대운동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방진부재의 변형으로 인하여 모터의 진동이 고정부재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모터의 회전축이 유동하여 기어이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등 화상형성장치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정부재 하면의 기어고정부에는 다수의 기어가 결합되는데, 기어의 동작으로 인한 진동이 기어고정부를 통해 고정부재로 전달되고 고정부재와 결합되는 본체에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진부재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안정된 모터고정구조를 이룰 수 있는 모터어셈블리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모터어셈블리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 체에 마련된 급지장치, 현상장치, 전사장치, 정착장치 및 배지장치와, 상기 급지장치, 현상장치, 전사장치, 정착장치 및 배지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모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모터와, 상기 모터가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모터와 상기 고정부재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모터의 진동이 상기 고정부재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진부재와, 상기 모터와 상기 고정부재가 상대 운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강도를 가지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는 소정폭을 가지며 상기 방진부재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모터 및 상기 고정부재와 스크류 결합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소정강도의 스크류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스크류체결부와 상기 방진부재의 외주면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형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shim)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와 결합하는 브라켓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브라켓부와 상기 고정부재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 및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고정부재와 소정거리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관통하도록 축공이 형성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치합하는 기어를 고정하기 위한 기어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모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는 상기 모터와 상기 고정부재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모터의 진동이 상기 고정부재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와 상기 모터 어셈블리 사이에는 상기 본체와 상기 모터 어셈블리가 상대 운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강도를 가지는 제1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어셈블리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소정 폭 이격되어 배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모터를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하며 상기 모터의 진동이 상기 고정부재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방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와 상기 고정부재가 상대 운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소정강도를 가지는 제2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진동이 상기 본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방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방진부재는 상기 본체와 상기 모터 어셈블리에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제2방진부재와 결합하기 위하여 스크류가 형성된 보스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보강부는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본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가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본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돌출부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홀더와 상기 돌출부사이에는 방진을 위한 완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터와 고정부재 사이에 보강부를 마련함으로써 방진부재의 변형 방지 및 고정부재에 대한 모터의 상대운동을 방지하여 모터 어셈블리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터 어셈블리와 본체사이에 보강부를 마련함으로써 모터 어셈블리와 본체사이의 방진부재의 변형방지 및 본체에 대한 모터 어셈블리의 상대운동을 방지하여 본체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형태는 예를 들면 복사기나 컬러 프린터와 같은 전자 사진 방식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10), 급지장치(20), 광주사장치(30), 현상장치(40), 전사장치(50), 정착장치(60) 및 배지장치(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는 화상형성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 품들을 지지한다.
급지장치(20)는 인쇄매체인 용지(S)를 현상장치(40)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지(S)가 적재되는 급지트레이(21)와, 급지트레이(21)에 적재된 용지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2)를 구비한다. 픽업롤러(22)에 의해 픽업된 용지는 이송롤러(23)에 의해 현상장치(40) 쪽으로 이동된다.
현상장치(40)는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 예를 들면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토너가 각각 수용되는 4개의 현상기(40Y, 40M, 40C, 40K)로 구성된다. 각각의 현상기(40Y, 40M, 40C, 40K)에는 광주사장치(30)에 의해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41)가 구비된다. 각각의 광주사장치(30)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인쇄 신호에 따라 각 현상기의 감광체(41)에 조사한다.
각각의 현상기(40Y, 40M, 40C, 40K)는 감광체(41)를 대전시키는 대전롤러(42), 각 감광체(41)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 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롤러(43) 및 현상롤러(43)에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롤러(44)를 가진다.
따라서 대전롤러(42)에 의해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41)의 표면에 각각의 광주사장치(30)에 의해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이 인쇄 신호에 따라 각 현상기의 감광체(41)에 조사되면 감광체(41)의 표면에는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전사장치(50)는 감광체(41)에 현상된 토너 화상을 용지로 전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감광체(41)에 접촉하여 순환 주행하는 전사벨트(51)와, 전사벨트(51)를 구동시키는 구동롤러(52)와, 전사벨트(51)의 일정한 장력을 유지시키는 텐션롤러(53)와, 각 감광체(41)에 현상되어 있는 토너 화상을 용지로 전사시키기 위한 4개의 전사롤러(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착장치(60)는 용지에 전사된 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키는 것으로서, 토너가 전사된 용지에 열을 가해주기 위한 열원을 가지는 가열롤러(61)와, 가열롤러(61)에 소정 압력으로 압착되는 가압롤러(62) 포함한다.
배지장치(70)는 인쇄를 마친 용지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지롤러(71)와, 배지롤러(71)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배지백업롤러(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쇄명령이 발생하면, 대전롤러(42)에는 고전압이 인가되고, 이에 따라 감광체(41)의 표면은 소정 전위로 대전된다. 4개의 광주사장치(30Y, 30M, 30C, 30K)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각 현상기의 감광체(41)로 조사한다. 이와 같이 광이 조사되면 감광체(41)의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각 현상기(40Y, 40M, 40C, 40K) 내의 토너는 현상롤러(43)로 공급되고, 현상롤러(43)는 감광체(41)에 형성되어 있는 정전 잠상에 토너를 부착시킨다. 그러면 각 감광체(41)에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색상의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한편 급지트레이(21)에 적재되어 있던 용지(S)는 픽업롤러(22)에 의해 픽업된 후 전사벨트(51)에 부착되어 이송된다. 전사벨트(51)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가 각 감광체(41)와 전사롤러(54) 사이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 각 감광체(41)에 현상되어 있던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색상의 토너 화상이 용지로 중첩 전사되어 용지에는 칼라 화상이 형성된다.
용지에 전사된 토너화상은 정착장치(60)를 지나면서 용지에 고착되며, 배지장치(70)를 통해 본체(1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각종장치들 예를 들어 급지장치(20), 현상장치(40), 전사장치(50), 정착장치(60) 및 배지장치(70) 등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이하의 모터 어셈블리는 상기 각종장치들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각종장치들 각각에 별도의 모터 어셈블리를 구비하는데, 이하에서는 그 일 예로 정착장치(60)를 구동하기 위해 마련되는 모터 어셈블리(1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포함되는 모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어셈블리(100)는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10)와, 모터(110)와 결합하는 브라켓부(120)와, 모터(11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130)과, 모터(110)와 고정부재(130)사이에 마련되어 모터(110)의 진동이 고정부재(13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방진부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모터(110)는 구동시 진동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모터가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에 포함되며 일 예로 모터는 스탭모터나 BLDC모터 일 수 있다.
모터(110)의 일측에는 회전축(111)이 돌출되고, 하면에는 모터(110)를 브라 켓부(120)에 결합하기 위한 한쌍의 플랜지부(112)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플랜지부(112)에는 스크류가 체결 가능하도록 제1스크류홀(113)이 형성되어 스크류를 이용하여 모터(110)를 브라켓부(120)에 고정시킨다.
브라켓부(120)는 바닥부(121)와, 바닥부(121)의 테두리측이 상향 절곡된 후 단부가 재차 절곡된 한 쌍의 단차부(124:124a,124b)로 이루어진다.
바닥부(121)에는 모터(110)의 회전축(111)이 관통할 수 있도록 회전축(111)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축공(122)이 형성되고, 스크류 체결이 가능하도록 제1스크류홀(113)에 대응하여 제2스크류홀(123)이 마련된다.
단차부(124)에는 제1방진부재(140)의 상부와 스크류 결합 가능하도록 제3스크류홀(125)이 형성된다.
이때 모터 어셈블리(100)는 본체(10)의 수직한 내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모터(110)의 하중에 의해 브라켓부(120)가 변형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부단차부(124a)와 고정부재(130)사이 보다 하부단차부(124b)와 고정부재(130)사이에 더 많은 제1방진부재(140)를 이용하여 모터(110)를 고정함으로써 브라켓부(12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재(130)는 모터(110)의 회전축(111)이 관통할 수 있도록 회전축(111)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축공(131)이 형성되고, 제1방진부재(140)의 하부와 스크류 결합 가능하도록 제4스크류홀(132)이 복수로 마련되고, 고정부재(130)의 각 모서리측에는 모터 어셈블리(100)를 본체(10)에 스크류 결합하기 위한 제5스크류홀(133)이 마련된다.
고정부재(130)의 하면에는 모터(110)의 회전축(111)과 치차 결합하여 정착장치(60)를 구동시키는 기어(63)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기어고정부(134)가 하향 돌출된다.
모터(110)와 고정부재(130)사이에는 모터(110)의 진동이 고정부재(13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방진부재(140)가 마련되는데, 제1방진부재(140)의 길이(h2)는 브라켓부(120)의 바닥부(121)로부터 단차부(124)의 높이(h1)보다 소정길이 길게 하여 모터(110)가 고정된 브라켓부(120)의 바닥부(121)가 고정부재(130)로부터 소정폭(h3)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모터(110)의 진동이 고정부재(13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방진부재(140)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중앙부에는 모터(110)와 체결된 브라켓부(120) 및 고정부재(130)와 스크류 결합하도록 체결공(141a)이 형성된 스크류체결부(141)가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크류체결부(141)는 스크류 체결시 체결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고무재질의 제1방진부재(140)보다 소정정도 큰 강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제1방진부재(140)를 이용하여 브라켓부(120)에 고정된 모터(110)를 고정부재(130)에 장착함으로써 모터(110)의 진동이 고정부재(13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모터어셈블리는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된 다수의 기어에 의해 모터가 큰 로드를 받게 되고, 이러한 로드에 의해 모터자체가 고정부재에 대해 상대운동하기 때문에 고무재질로 형성된 제1방진부재에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1방진부재의 변형으로 인하여 모터의 진동이 고정부재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모터의 회전축이 유동하여 기어이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등 화상형성장치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터 어셈블리(100)는 제1방진부재(140)의 변형으로 인한 모터(110)와 고정부재(130)의 상대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보강부(150)를 구비한다.
보강부는 브라켓부와 고정부재사이에 별도의 부재로 마련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방진부재에 형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모터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방진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강부(150)는 제1방진부재(140)에 비해 강도가 큰 수지재, 일예로 ABS수지로 형성할 수 있다.
보강부(15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길이(h4)를 가지며 제1방진부재(14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보강부(150)의 길이가 길수록 제1방진부재(140)와 접하는 면적이 넓어져 제1방진부재(140)의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나, 보강부(150)가 제1방진부재(140)와 유사한 길이로 형성되면 모터(110)의 진동이 보강부(150)를 통해 고정부재(130)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보강부(150)의 길이는 대략 제1방진부재(140)의 높이에 비해 20-60%의 높이를 가지도록 하고, 보강부(150)가 브라켓부(120) 및 고정부재(130)에서 이격될 수 있도록 제1방진부재(140)의 중앙측에 결합된다.
보강부(150')가 결합된 제1방진부재(140')의 다른 예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150')는 스크류체결부(141) 외면과 제1방진부재(140')의 외주면 사이에 링형상으로 이루어져 삽입될 수 있다.
보강부가 결합된 제1방진부재의 또 다른 예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150'')는 스크류체결부(141) 외면과 제1방진부재(140'')의 외주면 사이에 심(shim)형상으로 이루어져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보강부(150',1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하여 모터(110)에 걸리는 로드에 의해 제1방진부재(140',14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터어셈블리(100)는 모터(110)의 플랜지부(112)의 제1스크류홀(113)과 브라켓부(120)의 제2스크류홀(123)을 통해 스크류 결합시켜 모터(110)를 브라켓부(120)에 고정시키고, 보강부(150)가 형성된 제1방진부재(140)의 상하단을 브라켓부(120)의 단차부(124)하면과 고정부재(130)의 상면에 스크류 결합하여 모터(110)를 고정부재(130)에 고정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모터(110)를 고정함으로써 모터(110)와 고정부재(130)가 접촉하지 아니하고 소정 폭 이격시켜 모터의 전동이 고정부재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방진부재(140)에 보강부(150)가 마련되기 때문에 모터(110)의 구동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제1방진부재(140)의 변형을 방지하여 모터(110)와 고정부재(130)가 상대 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한 모터어셈블리를 본체에 장착하는 동작 및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모터 어셈블리가 본체에 체결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도 7은 본 발명의 모터 어셈블리가 본체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모터 어셈블리(100)는 본체(10)의 내면에 고정되는데, 모터어셈블리(100)의 진동이 본체(10)로 전달되지 않도록 모터 어셈블리(100)와 본체(10)사이에는 제2방진부재(160)가 배치된다.
제2방진부재(160)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중앙부에는 모터 어셈블리(100) 및 본체(10)와 스크류 결합을 위해 체결공(162)이 형성된 스크류체결부(161)가 삽입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스크류체결부(161)는 스크류 체결시 체결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고무재질의 제2방진부재(160)보다 강성이 큰 소정강도를 가지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으로 형성한다.
본체(10)에는 제2방진부재(160)의 결합을 위한 보스부(11)가 일체로 형성된다. 보스부(11) 끝단 중앙에는 스크류(12)가 형성되고 테두리측에는 제2방진부재(160)의 외주면을 감싸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13)가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모터(110)의 진동이 본체(1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방진부재(160)는 고무재질로 마련되기 때문에 모터 어셈블리(100)의 자중에 의해 제2방진부재(160)가 변형되어 본체(10)내면에 대해 모터 어셈블리(100)가 상대운동을 하게 되어 기어물림이 불안정하게 되고,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 어셈블리(100)가 본체(10)에 대해 상대 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모터 어셈블리(100)와 본체(10)사이에 보강부를 마련한다.
보강부는 모터와 고정부재사이에 마련된 보강부와 마찬가지로 방진부재의 외주면 또는 방진부재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재(130)의 테두리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돌출 형성된 돌출부(170)와, 돌출부(170)에 대응하여 돌출부(170)가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본체(10)에 형성된 돌출부홀더(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보강부(14,170)를 대략 4각형 형상 보강부재의 상하, 좌우 테두리 중앙부 각각에 마련하여 모터 어셈블리(100)가 본체(10)에 대해 상하좌우로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홀더(14)에는 고무재질의 완충부(15)를 마련하여 모터 어셈블리(100)의 진동을 완충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방진부재(160)를 보스부(11)의 스크류(12)에 결합시키고 모터 어셈블리(100)를 제2방진부재(160)에 스크류 결합하여 모터 어셈블리를 본체에 고정시킨다. 이때 모터 어셈블리(100)의 돌출부(170)가 본체(10)의 돌출부홀더(14)내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모터 어셈블리(100)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돌출부는 본체에 형성되고, 돌출부홀더가 모터 어셈블리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모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포함되는 모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모터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방진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모터 어셈블리가 본체에 체결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모터 어셈블리가 본체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본체 11 : 보스부
12 : 스크류 13 : 가이드부
14 : 돌출부홀더 40 : 현상장치
60 : 정착장치 100 : 모터어셈블리
110 : 모터 112 : 플랜지부
120 : 브라켓부 121 : 바닥부
124 : 단차부 130 : 고정부재
140 : 제1방진부재 141 : 스크류체결부
150 : 보강부 160 : 제2방진부재
170 : 돌출부.

Claims (15)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마련된 급지장치, 현상장치, 전사장치, 정착장치 및 배지장치와, 상기 급지장치, 현상장치, 전사장치, 정착장치 및 배지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모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는 모터와, 상기 모터가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모터와 상기 고정부재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모터의 진동이 상기 고정부재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진부재와, 상기 모터와 상기 고정부재가 상대 운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강도를 가지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모터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상기 모터와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소정폭을 가지며 상기 방진부재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모터 및 상기 고정부재와 스크류 결합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소정강도의 스크류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스크류체결부와 상기 방진부재의 외주면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형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shim)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결합하는 브라켓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브라켓부와 상기 고정부재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 및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고정부재와 소정거리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관통하도록 축공이 형성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치합하는 기어를 고정하기 위한 기어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본체와,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모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소정 폭 이격되어 배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모터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모터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상기 모터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모터의 진동이 상기 고정부재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방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와 상기 모터 어셈블리 사이에는 상기 본체와 상기 모터 어셈블리가 상대 운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강도를 가지는 제1보강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삭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상기 고정부재가 상대 운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소정강도를 가지는 제2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진동이 상기 본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방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진부재는 상기 본체와 상기 모터 어셈블리에 스크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2방진부재와 결합하기 위하여 스크류가 형성된 보스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부는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본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가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본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돌출부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홀더와 상기 돌출부사이에는 방진을 위한 완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80003075A 2008-01-10 2008-01-10 화상형성장치 KR101332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075A KR101332290B1 (ko) 2008-01-10 2008-01-10 화상형성장치
US12/346,291 US8089182B2 (en) 2008-01-10 2008-12-30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075A KR101332290B1 (ko) 2008-01-10 2008-01-10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240A KR20090077240A (ko) 2009-07-15
KR101332290B1 true KR101332290B1 (ko) 2013-11-22

Family

ID=40850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075A KR101332290B1 (ko) 2008-01-10 2008-01-10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89182B2 (ko)
KR (1) KR1013322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7807A (ko) * 2007-08-16 2009-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모터고정구조 및 모터어셈블리
KR101332290B1 (ko) * 2008-01-10 2013-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US20110156515A1 (en) * 2009-12-30 2011-06-30 Kao Hsung Tsung Structure of water-proof motor for rotating axle of roasting stove
US9033301B1 (en) * 2011-04-26 2015-05-19 The Boeing Company Vibration reduction system using an extended washer
JP5779112B2 (ja) * 2012-01-31 2015-09-16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装置
JP6540979B2 (ja) * 2013-09-03 2019-07-10 株式会社リコー 駆動装置、画像形成装置
JP2015079231A (ja) * 2013-09-03 2015-04-23 株式会社リコー 駆動装置、画像形成装置
JP6432820B2 (ja) * 2014-06-23 2018-12-05 株式会社リコー 駆動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447908B2 (ja) * 2014-11-27 2019-01-09 株式会社リコー 駆動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489438B2 (ja) * 2015-06-05 2019-03-27 株式会社リコー 駆動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468490B2 (ja) * 2015-06-05 2019-02-13 株式会社リコー 駆動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927733B2 (ja) * 2017-04-14 2021-09-01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P3480489A1 (en) * 2017-11-06 2019-05-08 MCZ Group S.p.A. Support device of a gearmotor of a solid fuel heating apparatus
JP6853961B2 (ja) * 2018-12-10 2021-04-07 株式会社リコー 駆動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1294320B2 (en) * 2019-09-30 2022-04-0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7462A (ja) * 2006-04-28 2007-11-15 Fukoku Co Ltd 熱伝導性防振部材およびモータ固定用マウント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8823A (en) * 1987-08-28 1989-03-06 Toyoda Gosei Kk Vibration isolating mount
AU607650B2 (en) * 1989-01-31 1991-03-07 Kabushiki Kaisha Toshiba Motor mounting structure for washing machines
US5280309A (en) * 1991-06-11 1994-01-18 Summagraphics Corporation Single degree of freedom belt drive tensioning system for a plotter apparatus
DE29706216U1 (de) * 1997-04-08 1998-08-06 Mulfingen Elektrobau Ebm Anordnung zur schwingungsisolierenden Aufhängung eines Elektromotors
JPH11287294A (ja) * 1998-03-31 1999-10-19 Fuji Photo Optical Co Ltd モータ支持構造
JP3744221B2 (ja) 1998-08-28 2006-02-08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防振支持装置
JP3635618B2 (ja) * 1999-02-12 2005-04-0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6557816B2 (en) * 2000-02-07 2003-05-06 Fuji Photo Film Co., Ltd. Motor mounting structure and drive shaft mounting structure
JP3904375B2 (ja) * 2000-05-29 2007-04-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20020066611A1 (en) * 2000-12-06 2002-06-06 Larry Lane Motorcycle vibration reduction apparatus
US6478838B2 (en) * 2001-01-10 2002-11-12 Whirlpool Corporation Airflow system
JP4199088B2 (ja) * 2003-10-15 2008-12-17 株式会社東芝 高さ調整式画像読取装置
JP4882516B2 (ja) * 2006-05-30 2012-02-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ユニット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US7695978B2 (en) * 2007-01-31 2010-04-13 Burle Technologies, Inc. MALDI target plate utilizing micro-wells
US7837168B2 (en) * 2007-03-30 2010-11-23 Lexmark International, Inc. Mounting device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motor with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90017807A (ko) * 2007-08-16 2009-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모터고정구조 및 모터어셈블리
KR101332290B1 (ko) * 2008-01-10 2013-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7462A (ja) * 2006-04-28 2007-11-15 Fukoku Co Ltd 熱伝導性防振部材およびモータ固定用マウ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240A (ko) 2009-07-15
US20090179513A1 (en) 2009-07-16
US8089182B2 (en) 2012-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2290B1 (ko) 화상형성장치
KR19990083300A (ko) 개선된현상제제한부재를갖는화상형성장치
EP1777592A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261154A (ja) 画像形成装置
JP2011095495A (ja) 画像形成装置
JPH09185200A (ja) 駆動伝達装置
US9581959B2 (en) Process cartridge
US8656801B2 (en) Drive transmission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303106B2 (en) Driv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129204A (ja) 画像形成装置
JP5139818B2 (ja) 現像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190761B2 (ja) 画像形成装置
JP6536252B2 (ja) 画像形成装置
JPH10104998A (ja) 画像担持ベルトユニット装置
JP4782547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5077498A (ja) 画像形成装置
JP2553509Y2 (ja) 感光体ドラムの回転ムラ防止構造
EP2458446B1 (en) Photosensitive Body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17006410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359609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7240687A (ja) 画像形成装置
JP5976192B2 (ja) カートリッジ
JP2006064134A (ja) 駆動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905306B2 (ja) 給紙装置・画像形成装置
JP5863921B2 (ja) 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