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0010B1 - 분말을 커피원두에 코팅하는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커피원두 - Google Patents

분말을 커피원두에 코팅하는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커피원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0010B1
KR101330010B1 KR1020130054158A KR20130054158A KR101330010B1 KR 101330010 B1 KR101330010 B1 KR 101330010B1 KR 1020130054158 A KR1020130054158 A KR 1020130054158A KR 20130054158 A KR20130054158 A KR 20130054158A KR 101330010 B1 KR101330010 B1 KR 101330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offee beans
coating
coating layer
coat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승춘
Original Assignee
노승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승춘 filed Critical 노승춘
Priority to KR1020130054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0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2Treating green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44Coffee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46Coffee flavour; Coffee oil; Flavouring of coffee or coffee extract
    • A23F5/465Flavouring with flavours other than natural coffee flavour or coffee oi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ea And Coffee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분말을 커피원두에 코팅하는 방법과 그에 따라 제조된 커피원두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쌀을 베이스로 풀을 쑤어 코팅액을 만드는 단계 및 커피원두의 표면에 상기 코팅액으로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코팅층에 코팅할 분말을 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말을 커피원두에 코팅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분말을 커피원두에 코팅하는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커피원두{Coating method of coffee bean with power and coffee bean thereof}
본 발명은 식용가능한 특정분말을 커피원두에 코팅하는 방법과 그에 따라 제조된 커피원두에 관련된다.
커피원두로 커피액을 생성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핸드 드립, 에스프레소 머신 또는 더치커피용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다. 어느 경우라도 적당히 로스팅한 커피원두를 분쇄하여 커피가루로 만들고, 이 커피가루와 물을 이용하여 커피액을 만들어 낸다.
소비자 기호가 다양해짐에 따라 순수한 커피원두만으로 커피액을 내려 마시는 방법 외에, 각종 향이나 엑기스를 커피원두에 첨가한 가공원두를 이용한 커피액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헤이즐넛 커피의 경우, 헤이즐넛 추출물을 커피원두나 이를 갈아낸 커피가루에 흩뿌려 커피원두 등에 코팅하여, 표면에 헤이즐넛 향을 입히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인삼 등 각종 유용식품을 가공하여 농축액을 만들고, 이 농축액을 커피원두나 커피가루에 흩뿌려 커피원두를 코팅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농축액 분사에 의한 커피원두의 코팅방식은 노즐을 구비하는 분사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커피원두에 분사되기 위하여 원료를 가공하여 농축액을 생성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일부의 원료에서는 농축액을 생성하는 과정 중에 향이나 맛이 변질되기도 하고, 특히 신체에 유익한 일부의 영양성분이 파괴될 우려가 있다.
농축액의 제조보다 처리과정이 단순하고 영양소의 파괴가 적은 처리방법으로 원료의 분말화가 있는데, 물에 녹지 않는 분말의 경우 기존의 농축액분사 방식을 이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08244호 (2006.01.26)
본 발명은 음용 가능한 코팅액을 제시한다. 이 코팅액은 분말이나 과립 등을 식품 등의 표면에 접착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코팅액의 보존성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코팅액을 이용하여 분말을 커피원두에 코팅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쌀을 베이스로 풀을 쑤어 코팅액을 만드는 단계 및 커피원두의 표면에 상기 코팅액으로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코팅층에 코팅할 분말을 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말을 커피원두에 코팅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추가적인 단계로 상기 분말을 뿌리는 단계 이후에 상기 분말이 코팅된 상기 커피원두의 표면에 상기 코팅액으로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액을 만드는 단계는 찹쌀과 멥쌀을 소금물에 담가 불린 후 상기 찹쌀과 멥쌀을 건져 물기를 빼는 단계, 찹쌀과 멥쌀을 볶아준 후 갈아 혼합물가루로 만드는 단계, 계피와 은행을 소금물에 담갔다가 건져 말린 후 볶는 단계, 볶은 상기 계피와 상기 은행을 끓는 물에 우려내 맑은 밑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밑물을 끊이면서 상기 혼합물가루를 첨가하여 상기 코팅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코팅액에 매실발효액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피원두에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고 분말을 뿌리는 단계는 상기 커피원두의 표면에 상기 코팅액을 분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코팅층이 반건조되도록 기다린 후 코팅할 분말을 상기 코팅층 위에 뿌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복수 종류의 분말을 코팅하기 위하여 상기 커피원두의 표면에 상기 코팅액을 분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코팅층이 반건조되도록 기다린 후 코팅할 어느 한 분말을 상기 코팅층 위에 뿌리는 단계 및 다시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로 되돌아 가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말은 솔잎가루, 감초가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에 녹지 않는 분말을 커피원두에 고착시킴으로써 분말을 함유하는 새로운 형태의 커피원두를 제시한다. 이러한 커피원두는 기존에 분말화로 제시되는 각종 차류, 한약재 등을 커피원두와 일체화시킴으로써 별도로 혼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크게 낮춘다.
쌀을 베이스로 하는 코팅액은 우수한 접착성을 발휘하여 분말을 커피원두에 효과적으로 고착시킬 수 있게 한다. 코팅액에 함유되는 계피나 은행의 성분은 코팅층의 변질을 억제하여 유통기간을 길게 가져온다. 따라서 상품성이 증대된다.
또한 볶은 찹쌀과 멥쌀을 이용하여 코팅액을 형성함으로써 구수한 향을 가미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소비자의 만족도를 증대시키는 것이다.
보호막의 형성은 코팅된 분말이 공기 중에 바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보존성을 향상시킨다. 특히 감초와 같이 당 성분이 많은 분말이 수분을 흡수하면서 변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말을 커피원두에 코팅하는 방법의 전체적인 단계를 간략히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채용된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피원두를 간략히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피원두를 간략히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커피원두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커피원두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커피원두를 간략히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말을 커피원두에 코팅하는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커피원두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실시예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기술적 의미가 동일성 범위에 있는 구성요소를 편의상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즉, 어떠한 하나의 구성은 임의적으로 '제1구성' 또는 '제2구성'으로 명명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코팅액은 커피원두에 분말을 접착시키는 기능과, 분말이 접착된 커피원두에 보호막을 형성하는 것으로 예시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코팅액은 커피원두 외에 땅콩, 아몬드, 호두 등 다양한 식품의 표면에 접착을 위한 층을 형성하거나, 식품의 표면을 감싸는 막을 형성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말을 커피원두에 코팅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말을 커피원두에 코팅하는 방법은 쌀을 베이스로 풀을 쑤어 코팅액을 만드는 단계(s1), 커피원두의 표면에 상기 코팅액으로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코팅층에 코팅할 분말을 뿌리는 단계(s2) 및 상기 분말이 코팅된 상기 커피원두의 표면에 상기 코팅액으로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s3)를 포함한다.
커피원두에 코팅하고자 하는 분말은 종류에 따라 비수용성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말을 만드는 원료가 식물일 경우, 처리하는 방법에서 차이가 있겠으나, 원료를 건조 후 분쇄하여 얻어지는 분말은 섬유질을 포함하는 고운 가루로 얻어지며 물에 완전히 녹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커피원두에 이러한 분말을 고착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풀을 쑤어 만든 코팅액을 사용한다. 즉 코팅액이 바인더로 기능하여 분말을 커피원두의 표면에 고정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s1)와, 제조된 코팅액과 분말을 커피원두에 코팅하는 단계(s2)로 볼 수 있다. 도 1에는 분말이 코팅된 커피원두에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s3)가 추가되어 있다. 이 보호막 형성단계(s3)는 생략될 수 있다.
도 2는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세분화하여 나타낸 블록도이다.
코팅액은 쌀을 주원료하여 정제수로 만들어진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찹쌀과 멥쌀을 소금물에 담가 불린 후 찹쌀과 멥쌀을 건져 물기를 빼는 단계(s1-1), 찹쌀과 멥쌀을 볶아준 후 갈아 혼합물가루로 만드는 단계(s1-2), 계피와 은행을 소금물에 담갔다가 건져 말린 후 볶는 단계(s2-1), 볶은 계피와 은행을 끓는 물에 우려내 맑은 밑물을 생성하는 단계(s2-2) 그리고 밑물을 끊이면서 혼합물가루를 첨가하여 풀을 쑤어 코팅액을 형성하는 단계(s3-1)를 포함한다. 추가로 코팅액에는 메실엑기스가 더 추가할 수 있다(s3-2).
먼저 혼합물가루를 제조하는 단계들(s1-1, s1-2)을 살펴본다.
찹쌀과 멥쌀은 소금물에 담가두어 불린다(s1-1). 여기서 찹쌀은 4 ~ 20g, 멥쌀은 4 ~ 20g이고, 소금물은 정제수 15 ~ 30리터에 소금을 0.2 ~ 2g 첨가한 것일 수 있다. 찹쌀과 멥쌀을 소금물에 담그는 시간은 5시간 정도이다.
찹쌀과 멥쌀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이유는 찹쌀만으로 코팅액을 형성하면 코팅액이 너무 끈적끈적해짐에 따라 커피원두끼리 지나치게 달라붙게 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찹쌀과 멥쌀을 거의 대등한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코팅액의 찰기를 적당한 수준으로 맞출 수 있다.
충분히 불린 후 찹쌀과 멥쌀을 수회 씻은 후 체에 건져 물기를 빼준다. 이후 물기 빠진 찹쌀과 멥쌀을 쌀알의 겉이 살짝 그을리는 정도로 고온에서 볶아준다(s1-2). 일례로, 찹쌀과 멥쌀을 섭씨 80 ~ 100 도에서 20 ~ 30 분동안 볶아줄 수 있다.
이렇게 찹쌀과 멥쌀을 볶아줌으로써 곡물의 구수한 향을 찹쌀과 멥쌀에 입히게 된다. 이 구수한 향은 누룽지 향과 유사한데, 코팅액에 이러한 향이 입혀짐에 따라 코팅이 완성된 커피원두 및 커피원두를 갈아 만든 커피액에 구수한 풍미가 가미된다.
또한 찹쌀과 멥쌀을 볶아줌에 따라 코팅액이 쉽게 쉬지 않게 된다. 나아가 커피원두에 형성된 코팅층의 변질을 저감시키는 효과도 있다.
볶은 찹쌀과 멥쌀은 곱게 분쇄한 후 고운 체에 밭쳐 혼합물가루를 얻는다. 이 혼합물가루는 찹쌀가루와 멥쌀가루를 혼합된 것이다.
혼합물가루를 준비함과 동시에 또는 이와 별도로 밑물을 준비하는 단계(s2-1, s2-2)를 거친다. 즉,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혼합물가루의 준비(s1-1, s1-2)와 밑물의 준비(s2-1, s2-2)는 그 진행 순서가 별도로 정해진 것이 아니다.
밀물은 혼합물가루와 함께 끓여져 코팅액을 형성하는 액체이다. 밑물을 순수한 정제수로 할 수도 있지만, 보다 낳은 효능을 얻기 위하여 아래의 과정을 거쳐 제조한다.
밑물에 우려내기 위한 것으로 계피와 은행을 준비한다. 계피는 적당한 크기로 썰어진 것이고, 은행은 악취가 나는 외과피를 깨끗이 제거한 상태로 단단한 중과피가 노출된 것을 사용한다.
계피와 은행은 소금물에 담구었다가 건져 말린다(s2-1). 여기서 소금물은 정제수 10 ~ 20 리터에 소금을 0.8 ~ 8g을 첨가한 것이고, 계피는 1 ~ 5g, 은행은 1 ~ 5g이 사용된다. 계피와 은행은 20 ~ 30분 정도 소금물에 담구어진다. 이후 계피와 은행을 소금물에서 건져 내고 수회 씻은 다음 말려 물기를 제거한다.
물기를 제거한 계피와 은행은 섭씨 75 ~ 95 도에서 20 ~ 30 분 동안 볶아주고, 볶은 계피와 은행을 넓게 펼친 후 상온에서 바람을 쐬며 식혀준다.
밑물에 우려지는 볶은 계피와 은행은 코팅액의 부패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계피와 은행은 그 자체의 향이 강하여 커피액의 향을 해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들을 소금물에 일정시간 담가 특유의 향을 저감시킨다. 더하여 볶는 과정 중에 계피나 은행의 독성이 어느 정도 제거되는 효과도 있다.
소금물에 담그는 단계와 볶는 단계를 거친 계피와 은행은 그 향이 일부 날아가게 되므로, 전술한 처리 전의 계피나 은행에 비하여 은은한 향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밑물은 끓는 정제수에 위 처리를 마친 계피와 은행을 우려내 제조된다(s2-2).
정제수 10 ~ 50리터의 끓는 물에 볶은 계피와 볶은 은행을 1 ~ 5g씩 넣고 40 ~ 60분 동안 우려낸다. 이때, 우려내는 시간이 40분 미만인 경우에는 계피나 은행에서 코팅액의 부패를 방지하는 유용 성분을 충분히 얻어낼 수 없다. 한편 우려내는 시간이 60분을 초과하면 코팅액에서 계피의 향과 은행의 향이 너무 많이 소실되는 문제가 있다. 끓인 물에서 계피와 은행을 건져내고 맑은 밑물만 사용한다.
준비된 밑물과 혼합물가루로 풀을 쑤어 코팅액을 제조한다(s3-1). 밑물과 혼합물가루의 적정한 분량은 밑물 10 리터에 대하여 혼합물가루를 5 ~ 10g 첨가하는 것이다. 이때, 혼합물가루는 한 번에 밑물에 넣지 않고 조금씩 흘러 넣어 혼합물가루가 뭉치지 않게 주의한다. 또한 혼합물가루가 가라앉지 않도록 풀을 쑤는 동안 충분히 저어줄 필요가 있다. 코팅액의 응고되는 점도는 주걱이나 막대에 코팅액을 묻혔을 때에 코팅액이 끊어지지 않고 줄지어 내려가는 정도로 맞춘다. 이를 상온에서 식혀 코팅액이 완성된다.
추가적인 단계로 코팅액의 적정 응고 직전에 매실발효액을 넣을 수 있다(s3-2). 이때, 완성된 코팅액 20 리터에 대하여 매실발효액은 5 ~ 10g 이다. 매실발효액을 넣은 다음에는 코팅액을 살짝 끓여주거나 저어주어 매실발효액이 코팅액에 고르게 분산되게 한다. 매실발효액은 천연 방부제로 기능하여 코팅층에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며, 곡물가루를 이용한 코팅액이 쉽게 쉬지 않게 한다. 매실발효액의 첨가는 생략될 수 있다.
은행과 계피 또는 이에 더하여 메실발효액을 첨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을 하였다. 찹쌀, 멥쌀 그리고 정제수만으로 제조한 코팅액(대상1), 은행과 계피를 우려낸 밑물에 찹쌀과 멥쌀의 혼합물가루를 혼합한 코팅액(대상2) 그리고 이에 메실발효액을 첨가한 코팅액(대상3)을 준비하였다. 각 코팅액마다 5개의 용기에 동일량을 담았으며, 이들 용기들을 상온(섭씨 10도 내지 섭씨 19도)에서 방치한 후 날마다 부패의 정도를 확인하였다. 부패의 정도는 용기에 담긴 코팅액의 색상변화, 냄새, 코팅액 표면의 곰팡이 형성 등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대상1은 3개의 용기가 3일째부터 부패하기 시작하였고, 5일째부터는 모든 5개의 용기에서 확연히 부패가 이루어졌다.
대상2는 2개의 용기에서 13일째부터 부패가 시작되었고, 15일째부터는 모든 용기에서 부패가 이루어졌다.
대상3은 1개의 용기에서 16일째부터 부패가 시작되었고, 20일째에는 4개의 용기에서 부패가 진행되었으며, 25일째부터는 모든 용기에서 부패가 진행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검토했을 때에, 대상1보다 대상2의 부패가 더디게 진행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대상3이 부패에 가장 오래 견디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첨가된 은행과 계피의 성분 및 메실발효액의 성분이 부패를 지연시키는 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판단된다.
커피원두는 커피콩이거나 커피콩을 적당히 분쇄한 것이다. 코팅액에 수분이 높게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정제커피가루가 아닌 이상 분쇄된 커피에도 코팅층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커피원두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권리범위를 커피원두에 코팅하는 것만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님을 밝힌다.
세부적으로 커피원두의 표면에 상기 코팅액을 분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코팅층이 반건조되도록 기다린 후 코팅할 분말을 코팅층 위에 뿌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커피원두는 넓게 펼져진 상태에서 코팅액을 분사한다. 분사된 코팅액은 커피원두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한다. 코팅액을 분사하기 위하여 종래의 기술에 따른 분사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코팅층은 코팅액을 커피원두에 붓 등의 도구로 발라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분말을 뿌리는 과정 중에 커피원두의 둘레 전체에 고르게 입히기 위하여 커피원두를 굴릴 수 있다. 커피원두는 경사진 패널을 굴러 내러가게 하거나, 커피원두가 펼쳐진 플레이트에 진동을 가하여 커피원두가 수시로 뒤집어질 수 있는 조건을 형성할 수 있다.
코팅액은 점성을 가지는 풀이므로 커피원두의 표면에 코팅층의 들러 붙을 수 있다. 코팅층이 형성된 다음 분말을 뿌려 코팅층에 분말이 들러붙게 한다.
묽게 제조된 코팅액을 사용하는 경우에 노즐 등을 통해 분사되는 코팅액의 입자를 작게 할 수 있어 코팅층을 더욱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커피원두 둘레 전체에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충분한 시간 동안 코팅액을 분사하면, 커피원두에서 일부의 코팅액이 흘러내릴 수 있다. 이때 바로 분말을 코팅층 위에 뿌리면 분말이 뭉쳐지는 일부분에서는 코팅액과 뭉친 분말이 흘러내릴 소지가 있다. 따라서 코팅액이 반건조될 동안 기다린 다음에 분말을 뿌리는 것이 좋다.
전술한 예시에 따라 제조된 코팅액을 사용하는 경우에 코팅층을 형성한 후 상온에서 1 ~ 3분 정도 말려 코팅액이 끈적끈적하게 반건조된 후 분말을 커피원두에 뿌린다. 코팅층의 점도에 따라 코팅층이 반건조하는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분말은 체에서 내려 흩뿌리거나 붓 등을 이용하여 발라줄 수 있다. 또한 분말을 뿌리는 동안에 커피원두가 뒤집어지도록 하여 커피원두의 둘레 전체에 분말이 발라지게 할 수 있다.
분말이 발라진 커피원두는 코팅층이 건조되도록 조치한다. 코팅층의 건조를 위하여 분말이 발라진 커피원두를 약하게 가열하거나, 건조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상온에서 방치하여 자연건조시킬 수도 있다.
코팅층이 건조하면서 분말은 커피원두의 표면에 고착된다. 이 상태에서는 일부의 분말은 코팅층의 내부에 위치하고 나머지는 코팅층에서 노출된 상태가 된다.
분말을 고정시키는 코팅층이 건조된 다음(또는 완전히 건조하기 전이라도) 커피원두의 표면에 코팅액이 재차 분사되어 분말의 노출을 방지하는 보호막을 형성한다(s3). 커피원두의 유통기간을 늘릴 의도가 없다면 이러한 보호막 형성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코팅액을 분사하는 방법은 전술된 바와 사실상 동일한 것이다. 분사된 코팅액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말(2)을 고착시키는 코팅층(1)의 외측에 새로운 보호막(3)을 형성한다.
보호막(3)은 분말이 공기 중에 노출되는 것을 저감시킨다. 따라서 외부의 습기가 분말에 침투하여 분말이 부패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커피원두(10)보다 빨리 상하는 분말이더라도 보호막의 내측에 위치하므로 유통기간을 늘릴 수 있다.
보호막을 형성하기 위해 코팅액을 분사한 다음에서는 섭씨 0 ~ 5도의 바람으로 냉풍 건조하면서 커피원두들이 서로 들러붙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흔들거나 저어줄 수 있다. 냉풍 건조는 3 ~ 5 시간 동안 이루어진다.
더하여 섭씨 35 ~ 45도의 바람으로 1 ~ 2 시간 동안 온풍건조를 거칠 수 있다. 이러한 냉풍 건조와 온풍 건조는 수회 반복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분말이 코팅된 커피원두와 관련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분말이 코팅된 커피원두는 2종의 분말이 코팅된 것이다. 이러한 커피원두를 제조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블록도에 따른 순서로 제작된다. 구체적으로 코팅액을 형성하는 단계와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코팅층을 형성하고 분말을 뿌리는 단계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데,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저촉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커피원두에 복수 종류의 분말을 코팅하는 경우에는, 모든 분말을 한데 섞은 후에 분말을 1회 뿌리도록 구성하거나, 다음과 같이 종류별로 하나의 층을 차지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종류의 분말을 코팅하기 위하여 커피원두의 표면에 상기 코팅액을 분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4-1), 코팅층이 반건조되도록 기다린 후 코팅할 어느 한 분말을 코팅층 위에 뿌리는 단계(S4-1) 그리고 다시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로 되돌아 가는 단계(s4-3)를 포함한다.
커피원두(10)에 코팅액을 분사하여 제1 코팅층(11)을 형성하고 제1 분말(21)을 뿌린다. 이후 다시 코팅액을 뿌려 제2 코팅층(12)을 형성하고 제2 분말(22)을 뿌린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말의 종류만큼의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마지막에는 보호막(3)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원두커피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원두커피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원두커피의 제조방법은 분말을 섞은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5-1), 이 코팅액으로 커피원두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5-2), 코팅층이 건조하기 전에 분말을 도포하는 단계(5-3) 그리고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5-4)를 포함한다.
여기서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5-1)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과 저촉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전술한 실시예들의 코팅액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코팅액은 은행과 계피를 우려낸 밑물을 끓이면서 볶은 찹쌀과 멥쌀을 분쇄하여 얻은 혼합물가루를 첨가하여 풀을 쑤는 단계를 거친다. 이 단계에서 코팅할 분말의 일부를 혼합한다. 정량의 커피원두에 대하여 넣을 분말의 분량을 100이라 할 때에, 코팅액에 미리 넣는 분말의 양은 1 내지 99 사이,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사이의 분량이다.
코팅할 분말의 일부를 섞은 코팅액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5-2), 이 코팅층 위에 나머지 분말을 뿌리는 단계(5-3) 그리고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5-4)는 전술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여기서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5-4)는 생략할 수 있다.
이로써 커피원두의 양에 비하여 코팅할 분말의 양이 많은 경우에도, 대부분의 분말이 코팅액에 의해 접착될 수 있게 한다.
만일 분말의 일부를 코팅액에 미리 넣지 않는다면, 커피원두에 얇게 형성된 코팅층 위로 다량의 분말이 쌓여 코팅액이 분말 전체를 고착시킬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분말의 일부를 미리 코팅액에 섞어 줌으로써 이미 섞은 분말은 코팅액에 완전히 둘러 쌓이게 되고, 커피원두에 발라진 코팅층에는 코팅액이 드러나므로 새로이 도포된 분말을 고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에는 이러한 코팅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코팅층(1)을 살펴보면 미리 섞은 분말(2a)은 온전히 코팅층 내부에 갖힘으로써 분말(2a)의 둘레를 코팅층(1)이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어 있다. 한편, 건조 전의 코팅층에 뿌려진 분말(2b)은 일부가 코팅층에 묻히고 나머지는 코팅층에 뭍히지 않게 된다.
코팅층 위에 뿌려지는 분말(2b)의 양은, 코팅액에 분말을 미리 섞어 둠으로써 분량이 줄어들게 되므로, 코팅층(1)이 형성된 커피원두(10)에 도포될 때에 덩어리로 뭉치면서 적층될 확률이 줄어든다.
한편 미리 코팅액에 분말의 일부를 섞어 줌으로써 얻어지는 또 다른 효과 중 하나는 분말이 가지는 맛이나 향기의 조절에 있다. 예를 들어 분말이 솔잎가루인 것으로 본다.
일정량의 커피원두에 대하여 솔잎가루가 첨가될수록 산뜻한 맛이 증대된다. 그러나 솔잎가루가 다량 함유되면 솔향이 커피원두의 향을 압도하여, 커피의 풍미를 해치는 경향이 있다.
이 경우, 솔잎가루의 일부는 미리 뜨거운 코팅액에 섞어 줌으로써 솔잎가루를 익히게 되고, 그 과정 중에서 솔향이 저감된다. 추후 코팅된 커피원두에 도포되는 솔잎가루에 의해 적정 수준의 솔향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량의 솔잎가루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 코팅액에 미리 섞이는 솔잎가루의 분량과 나중에 코팅층에 뿌려지는 솔잎가루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동일 분량의 솔잎가루를 사용할 때에 솔향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더하여 제3 실시예에서 코팅층을 두 겹 이상을 형성하면서 동종의 분말을 커피원두에 고착시키거나, 이종의 분말을 커피원두에 고착시킬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은 또 다른 실시예에서 커피원두에 고착할 분말 전체를 미리 코팅액에 섞고, 코팅액을 커피원두에 분사함으로써 분말을 커피원두에 고착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되는 커피원두는 일반적인 커피원두와 마찬가지로 포장지에 담아 유통 보관된다. 또한 사용에 있어 코팅된 커피원두를 분쇄한 후에 핸드 드립 또는 에스프레소 추출 등과 같은 방법으로 커피액을 내리고 음용하게 된다.
커피원두에 코팅되는 분말은 가공한 솔잎가루 또는 가공한 감초분말일 수 있다. 특히 도 4에 제시된 제2 실시예에서 제1 분말(21)은 솔잎가루이고 제2 분말(22)은 감초분말이다. 여기서 솔잎가루는 채취한 솔잎을 소금물에 찐 후 볶아서 가루를 낸 것이다. 솔잎 특유의 화사한 풍미를 살려 일반적인 원두커피의 텁텁한 맛을 개선하는 것이다.
한편 감초가루는 기존의 설탕이나 시럽을 대체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단맛을 제공한다. 또한 감초의 유용한 성분을 섭취할 수 있게 하여 혈액 순환을 촉진하는 등의 감초가 가지는 효능을 제공한다.
솔잎가루나 감초가루 외에도 분말의 종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각종 한약재나 과실이 사용될 수 있으며, 분말의 종류에 의한 한정이 없다.
10 : 커피원두
1 : 코팅층 2, 2a, 2b : 분말 3 : 보호막
11 : 제1 코팅층 12 : 제2 코팅층
21 : 제1 분말 22 : 제2 분말

Claims (11)

  1. 쌀을 베이스로 풀을 쑤어 코팅액을 만드는 단계 및
    커피원두의 표면에 상기 코팅액으로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코팅층에 코팅할 분말을 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말을 커피원두에 코팅하는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분말을 뿌리는 단계 이후에
    상기 분말이 코팅된 상기 커피원두의 표면에 상기 코팅액으로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말을 커피원두에 코팅하는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코팅액을 만드는 단계는,
    찹쌀과 멥쌀을 소금물에 담가 불린 후 상기 찹쌀과 멥쌀을 건져 물기를 빼는 단계,
    찹쌀과 멥쌀을 볶아준 후 갈아 혼합물가루로 만드는 단계,
    계피와 은행을 소금물에 담갔다가 건져 말린 후 볶는 단계,
    볶은 상기 계피와 상기 은행을 끓는 물에 우려내 맑은 밑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밑물을 끊이면서 상기 혼합물가루를 첨가하여 상기 코팅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말을 커피원두에 코팅하는 방법.
  4. 제3항에서,
    상기 코팅액에 매실발효액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을 커피원두에 코팅하는 방법.
  5. 제3항에서,
    상기 밑물을 끊이면서 상기 혼합물가루를 첨가하는 단계에서
    코팅할 분말의 일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을 커피원두에 코팅하는 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커피원두에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고 분말을 뿌리는 단계는,
    상기 커피원두의 표면에 상기 코팅액으로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코팅층이 반건조되도록 기다린 후 코팅할 분말을 상기 코팅층 위에 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말을 커피원두에 코팅하는 방법.
  7. 제1항에서,
    상기 커피원두에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고 분말을 뿌리는 단계는,
    복수 종류의 분말을 코팅하기 위하여
    상기 커피원두의 표면에 상기 코팅액을 분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코팅층이 반건조되도록 기다린 후 코팅할 어느 한 분말을 상기 코팅층 위에 뿌리는 단계 및
    다시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로 되돌아 가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말을 커피원두에 코팅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분말을 커피원두에 코팅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커피원두.
  9. 제8항에서
    상기 분말은 솔잎가루, 감초가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커피원두.
  10. 삭제
  11. 삭제
KR1020130054158A 2013-05-14 2013-05-14 분말을 커피원두에 코팅하는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커피원두 KR101330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158A KR101330010B1 (ko) 2013-05-14 2013-05-14 분말을 커피원두에 코팅하는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커피원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158A KR101330010B1 (ko) 2013-05-14 2013-05-14 분말을 커피원두에 코팅하는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커피원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0010B1 true KR101330010B1 (ko) 2013-11-15

Family

ID=49857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158A KR101330010B1 (ko) 2013-05-14 2013-05-14 분말을 커피원두에 코팅하는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커피원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00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8071A1 (ko) * 2016-09-07 2018-03-15 (주)하율 새싹땅콩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커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기능성 커피
KR20180060797A (ko) * 2016-11-29 2018-06-0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커피 로스팅 방법
KR101873718B1 (ko) 2018-03-06 2018-08-02 단태욱 커피원두의 제조방법
KR102029591B1 (ko) 2018-06-26 2019-11-08 단태욱 농축액이 코팅된 커피원두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2637A (ko) * 1998-09-30 2000-04-25 한진웅 가향 인스턴트 커피
KR20090037183A (ko) * 2007-10-11 2009-04-15 (주)아모레퍼시픽 기호성이 우수한 커피향 혼합차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15954A (ko) * 2009-08-10 2011-02-17 김춘자 헛개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커피 원두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기능성 커피 및 기능성 커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2637A (ko) * 1998-09-30 2000-04-25 한진웅 가향 인스턴트 커피
KR20090037183A (ko) * 2007-10-11 2009-04-15 (주)아모레퍼시픽 기호성이 우수한 커피향 혼합차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15954A (ko) * 2009-08-10 2011-02-17 김춘자 헛개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커피 원두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기능성 커피 및 기능성 커피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8071A1 (ko) * 2016-09-07 2018-03-15 (주)하율 새싹땅콩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커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기능성 커피
JP2019526287A (ja) * 2016-09-07 2019-09-19 エイチワイ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ピーナッツスプラウト抽出物を含有する機能性コーヒー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による機能性コーヒー
KR20180060797A (ko) * 2016-11-29 2018-06-0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커피 로스팅 방법
KR101873718B1 (ko) 2018-03-06 2018-08-02 단태욱 커피원두의 제조방법
WO2019172533A1 (ko) * 2018-03-06 2019-09-12 단태욱 커피원두의 제조방법
KR102029591B1 (ko) 2018-06-26 2019-11-08 단태욱 농축액이 코팅된 커피원두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0010B1 (ko) 분말을 커피원두에 코팅하는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커피원두
CN104431087A (zh) 菊花六堡茶的制备方法
CN101946923A (zh) 一种瓜蒌子的加工方法
CN103181444A (zh) 一种苦水玫瑰干花瓣茶及其制备方法
CN107594452A (zh) 一种自制火锅红油的加工方法
KR101873718B1 (ko) 커피원두의 제조방법
WO2018188005A1 (zh) 一种养生茶
KR100790346B1 (ko) 몰로키아를 함유한 구이 김 및 그 제조방법
CN102273670B (zh) 一种应用酶解和喷雾干燥制备银杏晶的方法
CN1317980C (zh) 焙炒和用油树脂加香坚果的配方及其处理方法
CN104782821A (zh) 一种山楂玫瑰菊花六堡茶的制备方法
CN107495283A (zh) 一种糊辣椒的制备方法
CN103907734B (zh) 芳香咖啡的制造方法
KR20200002628U (ko) 꽃잎 팥빙수
KR20160144034A (ko) 비트 차 및 비트 차의 제조 방법
US1821551A (en) Treatment of coffee
CN104247819A (zh) 一种八宝菊花茶及其制备方法
CN104247823A (zh) 一种清凉夏桑菊茶及其制备方法
JPH06245730A (ja) 椎茸加工食品及び椎茸加工食品の製造方法
KR102043262B1 (ko) 쌀겨 반죽을 이용한 커피 생두 숙성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커피 생두
JPH09233998A (ja) 異種植物の香りを付けた緑茶
CN104824244A (zh) 一种具有清肝明目健脾功效的六堡茶的制备方法
CN110584053A (zh) 风味核桃及制备风味核桃的方法
CN108029816A (zh) 一种养肝明目发酵桑叶玫瑰花茶包的制备方法
KR20090016975A (ko) 향미가 개선된 티백형 옥수수 수염차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