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210B1 - 스플라이서 장치의 클리너 장치 - Google Patents

스플라이서 장치의 클리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210B1
KR101329210B1 KR1020087031862A KR20087031862A KR101329210B1 KR 101329210 B1 KR101329210 B1 KR 101329210B1 KR 1020087031862 A KR1020087031862 A KR 1020087031862A KR 20087031862 A KR20087031862 A KR 20087031862A KR 101329210 B1 KR101329210 B1 KR 101329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cover body
suction
splicer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1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2048A (ko
Inventor
겐지 나카이
야스노리 하타케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90032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2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1/00Arrangements for confining or removing dust, fly or the like
    • D01H11/005Arrangements for confining or removing dust, fly or the like with blowing and/or suction devic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1/00Arrangements for confining or removing dust, fly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7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f yarn-winding machines
    • B65H54/702Arrangements for confining or removing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9/00Methods of, or devices for, interconnecting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Knot-tying devices ;Control of the correct working of the interconnecting device
    • B65H69/06Methods of, or devices for, interconnecting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Knot-tying devices ;Control of the correct working of the interconnecting device by spli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9/00Methods of, or devices for, interconnecting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Knot-tying devices ;Control of the correct working of the interconnecting device
    • B65H69/06Methods of, or devices for, interconnecting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Knot-tying devices ;Control of the correct working of the interconnecting device by splicing
    • B65H69/061Methods of, or devices for, interconnecting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Knot-tying devices ;Control of the correct working of the interconnecting device by splicing using pneumatic mea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5/00Piecing arrangements ; Automatic end-finding, e.g. by suction and reverse package rotation; Devices for temporarily storing yarn during piec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8Thread guide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Thread-chang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32Devices for removing lint or fluff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2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7/26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colour patter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2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9/28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colour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플라이서 장치에 설치되고 효율적으로 섬유먼지의 흡인 제거가 가능한 스플라이서 장치의 클리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축유체의 흐름에 실을 노출하여 실이음을 하는 스플라이스 노즐(4)에 근접하여 석션(5)이 설치되고 커버체(70)에 의하여 덮여진다. 커버체(70)로 덮음으로써 적어도 스플라이스 노즐(4)에서 실이음을 할 때, 스플라이스 노즐(4) 및 석션(5)이 배치되는 닫힌 공간(7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실이음을 할 때에 발생하는 섬유먼지는, 넓은 공간으로 비산되는 것이 방지되어 커버체(70)로 덮여지는 닫힌 공간(71)에 머문다. 석션(5)은 이 닫힌 공간(71)의 섬유먼지를 흡인한다.

Description

스플라이서 장치의 클리너 장치{CLEANER DEVICE OF SPLICER DEVICE}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실의 말단 상호간을 꼬아 연결하는 스플라이서 장치(splicer 裝置)에 설치되는 클리너 장치(cleaner 裝置)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방적사 등의 실이음에는, 2가닥의 실의 끝부분을 포개고 겹친 부분에 공기 등의 압축유체를 작용시키는 스플라이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27463호 공보 참조), 스플라이서 장치에 의한 실이음에서는, 헤드에서 실이음 및 실의 커트를 할 때에 섬유먼지가 발생한다. 방적사를 제조하는 섬유기계에서는, 다수의 방적 유니트가 한 줄로 늘어서서 동시에 방적을 한다. 방적 유니트의 배열을 따라 궤도가 설치되고 궤도상을 이동하여 방적 유니트의 보수를 하는 작업대차가 같이 이용된다. 실이음장치는 작업대차에 구비되고 작업대차에는 클리너도 구비된다. 실의 끊어짐 등에 의하여 실이음이 필요한 방적 유니트는 정지하고, 작업대차가 정지한 방적 유니트의 위치로 궤도상을 이동하여 실이음이 이루어진다. 클리너는 실이음을 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섬유먼지와 방적 에 의하여 발생하는 섬유먼지를 정리하여 흡인 제거하고 있다. 작업대차는, 방적기계 전체에 대하여 설치되는 덕트에 각 방적 유니트의 위치 마다 접속되고, 실의 끝부분의 흡인에 의한 포착과 아울러 섬유먼지의 흡인 제거에도 흡인력을 이용한다. 클리너는 작업대차의 내부 전체에 대한 청소작업을 한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338837호 공보 및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171434호 공보 참조).
실이음장치가 권취 유니트(winding unit)에 설치되는 경우에, 실이음을 위한 에어 취출부 주변에 흡인 제거 기구를 설치하는 구성도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112551호 공보 참조). 다만 이 실이음장치는, 압축공기에 액체를 포함하여 실이음을 하는 아쿠아 스플라이서(aqua splicer)이고 흡인 제거하는 대상은 액체이다.
다수의 방적 유니트를 구비하는 방적장치 등의 섬유기계는 비교적 대형의 장치인 한편 실이음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빈도는 비교적 적다. 편성기에서는 기본적으로 1개의 편사로 편성포를 편성하기 때문에, 실이음에 의하여 편사를 전환할 수 있으면 편성되는 편성포의 다양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편성기에서의 실이음을 위하여 스플라이서 장치를 적용하려고 하면, 발생하는 섬유먼지를 효율적으로 흡인 제거할 필요가 있다. 편성기에서의 편사공급경로에 스플라이서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스플라이서 장치와 함께 그 청소를 위한 클리너도 컴팩트화가 요청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11255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흡인 제거 기구는, 물 등의 액체를 제거하고 액체의 비산을 방지하여 전자부품이나 기계부품에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때문에의 구성요소로서 「압축공기 및 액체의 비산방향을 제한하는 차폐기구」와 「압축공기 및 액체를 흡인하여 기기 외부로 배출하는 흡인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압축공기의 분출을 시작하는 시기에 대하여 흡인을 시작하는 시기를 동시 또는 조금 지연시킨다」는 것도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편성기 등에 장착하는 스플라이서 장치의 클리너 장치로서 섬유먼지를 효율적으로 흡인할 수 있는 장치는 존재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스플라이서 장치의 클리너 장치로서 적절한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플라이서 장치에 설치되고 효율적으로 섬유먼지의 흡인 제거가 가능한 스플라이서 장치의 클리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압축유체의 흐름에 실을 노출하여 실이음을 하는 실이음 헤드와, 실이음 헤드를 지지하는 베이스와, 실이음의 대상이 되는 실을 실이음 헤드에 안내하는 실 안내 레버를 구비하는 스플라이서 장치에 구비되고, 실이음을 할 때에 발생하는 섬유먼지를 흡인 제거하는 클리너 장치로서,
스플라이서 장치의 베이스에 지지되고 실이음 헤드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흡인 헤드와,
적어도 실이음 헤드에서 실이음 될 때, 실이음 헤드 및 흡인 헤드를 덮어 닫힌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커버체를 포함하고,
커버체는, 스플라이서 장치의 실 안내 레버와 함께 상기 닫힌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서 장치의 클리너 장치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커버체는, 스플라이서 장치의 실 안내 레버 및 베이스와 함께 상기 닫힌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스플라이서 장치는, 커버체 및 스플라이서 장치의 실 안내 레버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닫힌 공간에 형성되는 틈을 막는 개폐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흡인 헤드는, 실이음 헤드에 압축유체를 공급하기 전에 흡인을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커버체는, 나머지의 부분에 비하여 각변위 가능한 힌지부를 구비하고, 힌지부가 베이스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 특색 및 이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더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인 클리너(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계통도이다.
도2는, 커버체(70)를 제거하고 스플라이서 장치(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커버체(70)를 제거하고 스플라이서 장치(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는, 커버체(70)를 제외하고 스플라이서 장치(2)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5는, 커버체(70)를 제외하고 스플라이서 장치(2)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6은, 커버체(70)를 포함하는 스플라이서 장치(2)를 비스듬하게 위쪽에서 보아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7은, 커버체(70)를 포함하는 스플라이서 장치(2)를 비스듬하게 아래쪽에서 보아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8A 및 도8B는, 스플라이서 장치(2)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9는, 스플라이서 장치(2)를 비스듬하게 위쪽에서 보아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0은, 스플라이서 장치(2)를 비스듬하게 위쪽에서 보아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1은, 도9의 단면선A-A를 포함하여 상하방향으로 수직한 가상평면에서 절단하여 본 분리벽(80)과 커버체(70)와 실 안내 레버(44)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2는, 석션 노즐(12)의 개략적인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은, 횡편기(60)에 클리너(1)를 구비하는 스플라이서 장치(2)를 장 착하는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4는, 횡편기(60)에 클리너(1)를 구비하는 스플라이서 장치(2)를 장착하는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적절한 하나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인 클리너(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계통도이다. 클리너 장치인 클리너(1)는 실이음을 하는 스플라이서 장치(2)에 구비된다. 스플라이서 장치(2)는, 횡편기(3)에 구비되어 편성포의 편성에 사용하는 편사의 일부를 길이를 측정하면서 실이음에 의하여 전환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스플라이서 장치(2)는 실이음 헤드인 스플라이스 노즐(4)을 구비하고, 스플라이스 노즐(4)에서 압축유체의 흐름인 압축공기의 흐름에 실을 노출시켜 실이음을 한다. 클리너(1)는 스플라이서 장치(2)에서 실이음을 할 때에 발생하는 섬유먼지를 흡인 제거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클리너(1)는 석션(5)과 커버체(cover體)(70)를 포함한다. 석션(5)은 스플라이스 노즐(4)에 근접하게 설치할 수 있는 흡인 헤드이다. 석션(5)은 섬유먼지를 주위의 공기와 함께 흡인한다. 커버체(70)는, 스플라이스 노즐(4) 및 석션(5)을 덮도록 설치되어 스플라이스 노즐(4) 및 석션(5)이 배치되는 공간(71)을 형성한다. 이 공간(71)은, 적어도 스플라이스 노즐(4)에서 실이 음을 할 때에 닫힌 상태가 되는 공간이다. 공간(71)이 닫힌 상태는 밀폐되는 상태이어도 좋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스플라이서 장치(2)를 구성하는 부품 사이의 틈 또는 부품에 형성되는 구멍 등에 의하여 외부의 공간과 통하는 상태이더라도 좋다. 즉 닫힌 상태라고 함은, 공간(71)을 덮어 공간(71)의 내외에서의 공기의 유출입이 억제되는 상태이다. 석션(5)은, 스플라이스 노즐(4)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포함하여 공간(71)의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공간(71)에 존재하는 섬유먼지를 흡인한다.
또 스플라이서 장치는, 도9 및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닫힌 공간에 형성되는 틈을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개폐기구(開閉機構)(100)를 구비한다. 개폐기구(100)에 의하여 닫힌 공간의 틈이 막힌 상태는 밀폐되는 상태이어도 좋지만 외부의 공간과 통하는 미소한 틈이 형성되는 상태이더라도 좋다. 따라서 틈을 막은 상태에서는, 틈을 막기 전의 상태에 비하여 커버체의 내부공간(71)의 내외에서의 공기의 유출입이 더 억제된다.
석션(5)은, 스플라이스 노즐(4)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공급원(供給源)(55)으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흡인을 한다. 스플라이스 노즐(4)은 제1공급관(15)에 의하여 공급원(55)에 접속되어, 공급원(55)으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석션(5)은 배출관(14)에 의하여 더스트 박스(dust box)(10)에 접속되어 있다. 배출관(14)에는, 마이너스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부인 석션 노즐(suction nozzle)(12)이 구비되어 있다. 석션 노 즐(12)은 제2공급관(17)에 의하여 공급원(55)에 접속되어 공급원(55)으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석션 노즐(12)은, 배출관(14) 내에 더스트 박스(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배출관(14)에 석션(5)으로부터 더스트 박스(10)를 향하는 공기 흐름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석션(5)에 마이너스압이 발생되고 석션(5)은 이 마이너스압에 의하여 섬유먼지를 흡인한다.
제1공급관(15)에는 제1전자밸브(31)가 구비되어 있다. 제1전자밸브(31)는 제어부(30)에 의하여 제어되고, 제1공급관(15)을 개폐하여 스플라이스 노즐(4)에 대한 압축공기의 공급 및 공급정지를 제어한다. 제2공급관(17)에는 제2전자밸브(32)가 구비되어 있다. 제2전자밸브(32)는 제어부(30)에 의하여 제어되고, 제2공급관(17)을 개폐하여 석션 노즐(12)에 대한 압축공기의 공급 및 공급정지를 제어한다.
개폐기구(100)는 도9 및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공급원(55)으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동작하는 에어 실린더(101)와, 에어 실린더(101)에 의하여 변위구동 되는 개폐판(102) 및 실 가압판(103)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에어 실린더(101)는 제어부(30)에 의하여 제어되고, 실 가압판(103)을 변위구동 함으로써 실을 지지하는 상태와 실의 지지를 해제하는 상태를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 개폐판(102)을 변위구동 함으로써, 커버체(70)와 실 안내 레버(실 案內 lever)(44)의 틈을 막는 폐쇄상태와 상기 틈을 개방하는 개방상태를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에어 실린 더(101)는 실 가압판(103)과 개폐판(102)을 분리벽(80)의 두께방향으로 변위구동 시킨다.
따라서 제어부(30)에 의하여, 스플라이스 노즐(4)에 있어서의 실이음과 석션(5)에 있어서의 흡인을 각각 ON/OFF 제어할 수 있다. 클리너(1)는, 석션(5), 커버체(70)에 부가하여 배출관(14), 제2공급관(17), 석션 노즐(12), 제2전자밸브(32), 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제어부(30)에 의하여, 개폐기구(100)에 의한 커버체(70)와 실 안내 레버(44)의 틈의 개폐상태와, 실누름을 제어할 수 있다.
도2 및 도3은, 커버체(70)를 제거하고 스플라이서 장치(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실이음 동작을 시작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3은 실이음 동작의 종료 부근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2 및 도3에서는 실의 얼마간을 일점쇄선으로 나타내고 다른 실은 생략한다. 스플라이서 장치(2)는, 상방으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편사(90) 중에서 실 선택부(41)에서 적어도 1개의 편사(90a)를 선택하여 사용중인 편사(90b)와 전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사의 공급측을 상방으로 하고 편사의 사용측을 하방으로 하지만, 스플라이서 장치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플라이서 장치(2)는, 실 지지기구(42)와, 실 선택부(41)와, 스플라이스 노즐(4)과, 실 안내 레버(44)와, 제1구동부(11)와, 커터(47)와, 실 클램프(91)와, 제2구동부(13)와, 실 가압판(103)과, 개폐기구(100)와, 베이스(81)를 구비한다. 실 지지기구(42) 및 실 가압판(103)은, 복수의 실 중에서 사용중인 편사(90b) 이외의 편사의 선단부분을 지지한다. 실 선택부(41)는, 실 지지기구(42)가 지지하는 편사 중에서 실이음을 하는 대상이 되는 편사(90a)를 선택한다. 스플라이스 노즐(4)은, 실 선택부(41)에 의하여 선택되는 편사(90a)와 사용중인 편사(90b)를, 실 지지기구(42)와 반대측의 입구로부터 실지지측의 출구까지 형성되는 홈 내에서, 압축유체의 흐름에 의하여 접합하여 실이음을 한다. 실 안내 레버(44)는, 실 선택부(41)에 의하여 선택되는 편사(90a)를 걸어서 스플라이스 노즐(4)의 홈의 입구까지 안내한다. 제1구동부(11)는 실 안내 레버(44)를 구동시킨다. 커터(47)는, 스플라이스 노즐(4)의 홈의 출구 부근에서, 실이음을 하는 사용중인 편사(90b)와 선택된 편사(90a)를 절단한다. 제2구동부(13)는 커터(47) 및 실 클램프(91)를 실 안내 레버(44)와 연동하도록 구동시킨다. 개폐기구(100)는 실 가압판(103)을 변위구동 시킨다.
베이스(81)는, 실 지지기구(42), 실 가압판(103), 스플라이스 노즐(4), 실 안내 레버(44), 커터(47), 실 클램프(91), 제1구동부(11) 및 제2구동부(13)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한다. 베이스(81)는 판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분리벽(80)을 구비한다. 분리벽(80)은 상하좌우로 연장되어 있고 앞쪽과 뒤쪽을 구분하는 벽이다. 베이스(81)에는, 분리벽(80)의 전방측에, 실 지지기구(42), 스플라이스 노즐(4), 실 안내 레버(44), 커터(47), 실 클램프(91)가 지지된다. 또 베이스(81)에는, 분리벽(80)의 내측에, 제1구동부(11) 및 제2구동부(13)가 배치된다. 또 베이스(81)는, 분리벽(80)과 평행 한 대략 판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분리벽(80)에 대하여 분리벽의 전방측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세퍼레이터(43)를 지지한다.
실 안내 레버(44)는, 제1구동부(11)에 의하여 분리벽(80)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각변위 구동된다. 또 실 안내 레버(44)는 각변위 하고, 각변위는 세퍼레이터(43)보다 분리벽(80) 가까이에서 된다. 실 안내 레버(44)는, 대략 U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기단부(基端部)를 중심으로 각변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선단부(先端部)(44a)에 의하여 선택된 편사(90a)를 건다. 또 실 안내 레버(44)는, 기단부 가까이의 측면에 형성되는 측벽 돌기(44b)에 의하여 사용중인 편사(90b)를 건다.
사용중인 편사(90b) 이외의 편사, 즉 사용하지 않고 대기상태에 있는 편사의 선단은 실 지지기구(42)에서 지지한다. 사용중인 편사(90b) 이외의 대기상태의 편사는, 세퍼레이터(43)의 전방측에서 지지되어 있고 사용중인 편사(90b)는 세퍼레이터(43)의 내측을 통하여 하방으로 공급된다.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중인 편사(90b)를 실 선택부(41)에 의하여 선택되는 편사(90a)로 전환할 때에는, 실 선택부(41)에 의하여 선택한 편사(90a)를 세퍼레이터(43)의 내측으로 가까이 당긴다. 이 상태에서, 세퍼레이터(43)의 내측에 배치되는 실 안내 레버(44)를 각변위 함으로써,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선택된 편사(90a)를 실 안내 레버(44)의 선단부(44a)에서 걸어 세퍼레이터(43)의 내측에서 하방으로 안내한다. 또 사용중인 편사(90b)를 실 안내 레버(44)의 측벽 돌기(44b)에서 걸어서 세퍼레이 터(43)의 전방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세퍼레이터(43) 및 실 지지기구(42)의 하방에 배치되는 스플라이스 노즐(4)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실 안내 레버(44)에 의하여 하방으로 안내되는 선택된 편사(90a)는 스플라이스 노즐(4)에 유입되어 홈에 끼워진다. 사용중인 편사(90b)는, 편성 중에 있어서 스플라이스 노즐(4)로 유입되는 것이 얀가이드(46)에 의하여 저지되어 있다. 실이음을 하기 전에, 석션(5)이 선택된 편사(90a)와 사용중인 편사(90b)를 흡인한다. 사용중인 편사(90b) 및 선택된 편사(90a)는, 실 안내 레버(44)에 의하여 미리 정해진 실경로로 안내된다. 이러한 편사(90a, 90b)는 스플라이스 노즐(4)의 홈에 유입되어 홈에 끼워진다. 또 석션(5)에 의하여 각 실을 흡인할 때에 개폐기구(100)에 의하여 커버체(70)와 실 안내 레버(44)의 틈을 막는다. 이와 동시에, 실 가압판(103)에 의하여 사용중인 편사(90b) 및 대기상태의 실을 실 지지기구(42)보다 상방에서 지지한다. 실 지지기구(42)에 지지되어 있는 실 중에 실 지지기구(42)로부터 하방으로 나와 있는 선단은, 석션(5)에 흡인된다.
제2구동부(13)에 의하여 실 클램프(91)를 구동하여 선택된 편사(90a)와 사용중인 편사(90b)를 스플라이스 노즐(4)의 하방에서 클램프 한다. 또 제2구동부(13)에 의하여 커터(47)를 구동하여 선택된 편사(90a)와 사용중인 편사(90b)를 절단한다. 다음에 선택된 편사(90a) 및 사용중인 편사(90b)는, 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홈에 압축공기가 분출 됨으로써, 홈을 흐르는 압축 공기의 흐름에 노출되어 실이 이어진다. 또 실이음을 할 때에는, 개폐기구(100)에 의하여 커버체(70)와 실 안내 레버(44)의 틈이 막힘으로써 틈으로부터 섬유먼지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택된 편사(90a)와 사용중인 편사(90b)가 이어진 후, 실 지지기구(42)에 의한 실의 지지를 해제시킨다. 선택된 편사(90a)의 단부는 실 지지기구(42)로부터 해제되어 실밥으로서 석션(5)에 흡인된다. 이 때 각 편사는 실 가압판(103)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다음에 실 지지기구(42)에 의하여 각 편사를 지지함으로써, 절단된 편사(90a)의 공급원측의 부분이 대기중인 다른 편사와 함께 실 지지기구(42)에 지지되고 실 가압판(103)에 의한 실의 지지가 해제된다.
이렇게 실이음을 할 때, 선택된 편사(90a)도 사용중인 편사(90b) 함께 절단되고, 스플라이스 노즐(4)과 실 지지기구(42) 사이의 부분이 절단되어 실밥이 된다. 즉 실이 이어진 편사의 접합부의 끝을 절단함으로써 실밥이 발생한다. 또 스플라이스 노즐(4)의 홈에서 편사(90a, 90b)가 압축공기의 흐름에 노출됨으로써 섬유가 실로부터 이탈한다.
이렇게 실로부터 이탈하는 섬유 및 실밥을 포함하는 섬유먼지를 흡인하기 위하여, 스플라이스 노즐(4)과 실 지지기구(42)의 사이에 석션(5)이 배치된다. 커터(47)는 스플라이스 노즐(4)과 석션(5) 사이에 배치된다. 실 가압판(103)은 실 지지기구(42)보다 실의 급사측에 배치된다. 또 커터(47)와 실 클램프(91)의 사이에 스플라이스 노즐(4)이 배치된다.
실 선택부(41)는 베이스(81)의 최상부에 설치되고, 실 선택부(41)의 하방으로 분리벽(80)이 설치되어 있다. 스플라이스 노즐(4), 석션(5), 실 지지기구(42), 세퍼레이터(43), 실 안내 레버(44), 얀가이드(46), 커터(47), 실 클램프(91) 및 실 가압판(103)은, 분리벽(80)에 대하여 앞쪽이 되는 전방측에 배치된다. 제1 및 제2전자밸브(31, 32)와, 실 안내 레버(44), 커터(47), 실 가압판(103)을 구동하는 구동부와, 실 지지기구(42)를 구동하는 작동공기를 공급 제어하는 전자밸브는, 분리벽(80)에 대하여 뒤쪽이 되는 내측에 배치된다.
도4는, 커버체(70)를 제외하고 스플라이서 장치(2)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5는, 커버체(70)를 제외하고 스플라이서 장치(2)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4는, 커버체(70)의 외형을 2점쇄선으로 둘러싼 영역(95)으로 나타낸다. 도6은, 커버체(70)를 포함하는 스플라이서 장치(2)를 비스듬하게 위쪽에서 보아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7은, 커버체(70)를 포함하는 스플라이서 장치(2)를 비스듬하게 아래쪽에서 보아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도7은, 실이음 동작을 시작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커버체(70)는, 분리벽(80)의 전방측에 설치되고, 스플라이스 노즐(4) 및 석션(5)과, 스플라이스 노즐(4) 및 석션(5)에 근접하여 설치된 구성부만을 덮고 있다.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버체(70)는, 분리벽(80)에 대하여 분리벽(80)의 두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또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버체(70)는, 분리벽(80)측으로 개방되는 상자 모양으 로 형성된다. 커버체(70)는, 상면부분(74a)과, 저면부분(74b)과, 분리벽 대향부분(74c)과, 제1측면부분(74d)과, 제2측면부분(74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면부분(74a)은 석션 노즐(12)보다 상방에 배치된다. 저면부분(74b)은 실 클램프(91)보다 하방에 배치된다. 분리벽 대향부분(74c)은, 분리벽(80)과 대향하고, 스플라이스 노즐(4)과, 석션 노즐(12)과, 커터(47)를 적어도 포함하는 커버 대상체(4, 12, 47)보다 분리벽(80)의 전방측에 배치된다. 분리벽 대향부분(74c)은, 상단부에서 상면부분(74a)에 연속하여 있고 하단부에서 저면부분(74b)에 연속하여 있다. 제1측면부분(74d)과 제2측면부분(74e)은, 분리벽(80)의 두께방향 및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이들 사이에 상기 커버 대상체(4, 12, 47)가 배치된다. 각 측면부분(74d, 74e)은 분리벽(80)의 전방측에서 분리벽 대향부분(74c)에 연속하여 있다. 제2측면부분(74c)은, 석션의 일부, 제2구동부(13) 등이 삽입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분리벽(80)에 고정된다.
스플라이스 노즐(4)과, 석션 노즐(12)과, 커터(47)의 일부는, 커버체(70)로 덮어져 커버체(70)의 공간(71)에 배치되지만, 실 지지기구(42), 세퍼레이터(43) 등은 커버체(70)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커버체(70)는, 내부공간(71)의 용적이 가능한 한 작아지도록 스플라이스 노즐(4) 및 석션(5)을 덮고 있다.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버체(70)는, 나머지의 부분에 대하여 각변위 가능한 힌지부(hinge部)(73)를 구비한다. 커버체(70) 중 제2측면 부분(74e)과 분리벽 대향부분(74c)은 힌지부(73)를 통하여 연결된다. 힌지부(73)는, 분리벽 대향부분(74c)을 제2측면부분(74e)에 대하여 각변위 가능하게 연결한다. 커버체(70) 중 제2측면부분(74e)에 대하여 분리벽 대향부분(74c)이 각변위 함으로써, 커버 대상체(4, 12, 47)를 덮는 상태와 덮지 않는 상태를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 커버체(70)가 커버 대상체(4, 12, 47)를 덮은 상태에서, 스플라이스 노즐(4)의 홈은 제1측면부분(74d) 측으로 개방되고, 석션 노즐(12)은 흡인구가 다른 측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힌지부(73) 및 분리벽 대향부분(74c) 등은 각각 일체로 성형되는 합성수지에 의하여 구현된다.
도8A 및 도8B는 스플라이서 장치(2)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8A 및 도8B는 커버체(70)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며, 도8A는 실이음을 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8b는 실이음을 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커버체(7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스플라이스 노즐(4) 및 석션(5)의 일부를 덮고 있다. 또 커버체(70)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71)은, 도4 및 도8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플라이스 노즐(4) 및 석션(5)에 대하여 분리벽(80) 측이 되는 영역을 거쳐,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홈모양의 개구(77)에서 외측으로 개방된다. 실이음을 할 때, 실 안내 레버(44)는, 선택된 편사를 걸어 스플라이스 노즐(4)로 안내하기 때문에, 스플라이스 노즐(4)에 의하여 실이음을 할 때, 실 안내 레버(44)는, 도8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홈모양의 개구(77)에 끼워져 개구(77)를 막는다. 실 안내 레버(44)는, 상기 개구(77) 중 상방영역, 하방영역, 좌우방향영역을 대략적으로 막는다.
커버체(70)는, 내측의 방향이 되는 후방으로부터 스플라이스 노즐(4) 및 석션(5)을 덮는 부분(73c)을 구비하는 구성이더라도 좋고, 분리벽(80)의 일부를 이용하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즉 스플라이스 노즐(4) 및 석션(5)은, 커버체(70) 및 분리벽(80)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의하여 후방으로부터 덮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플라이스 노즐(4)에 의하여 실이음을 할 때, 커버체(70)는 실 안내 레버(44)와 분리벽(80)과 협동하여 닫힌 공간(71)을 형성한다. 베이스(81)에, 후방으로부터 스플라이스 노즐(4) 및 석션(5)을 덮는 부분(73c)을 설치함으로써, 공간(71)의 용적을 작게 하고 또한 외부로 통하는 틈 등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실 안내 레버(44)에는, 판자 모양의 차폐부(78)가 형성되어 있다. 차폐부(78)는 분리벽(80)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커버체(70)의 개구에 후방으로부터 접한다. 이에 따라, 공간(71)의 용적을 작게 하면서 외부로 통하는 틈 등을 작게 할 수 있어서 틈으로부터 섬유먼지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스플라이스 노즐(4) 및 석션(5)을 덮는 부분(73c)이 설치되지 않고 차폐부(78)만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더라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석션(5)은, 스플라이스 노즐(4)에 압축유체가 공급되기 전에 흡인을 시작하도록 제어부(30)에 의하여 제어된다. 먼저 석션(5)에 의한 흡인을 시작하여 공간(71)에 석션(5)을 향하는 공기 흐름를 발생시킨 후, 스플라이 스 노즐(4)로부터 공기가 배출된다.
도9 및 도10은 스플라이서 장치(2)를 비스듬하게 위쪽에서 보아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9는 개폐판(102)에 의하여 커버체(70)의 틈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10은 개폐판(102)에 의하여 커버체(70)의 틈을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11은 도9의 단면선A-A를 포함하여 상하방향으로 수직한 가상평면에서 절단하여 본 분리벽(80)과 커버체(70)와 실 안내 레버(44)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1에서는 개구를 막은 상태의 개폐판(102a)를 2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 가압판(103)을 구동하는 개폐기구(100)는, 이음동작을 하기 위한 실 가압판(103)을 변위구동 함과 아울러 개폐판(102)을 구동한다. 개폐판(102)과 실 가압판(103)은 일체로 형성되고, 에어 실린더(101)에 의하여 개폐판(102) 및 실 가압판(103)이 동시에 구동된다.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 가압판(103)과 세퍼레이터(43)의 사이에는 틈이 형성된다. 실 가압판(103)이 실의 지지를 해제한 상태에서는, 개폐판(102)이 커버체(70)에 형성되는 틈을 개방한다. 또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 가압판(103)이 변위구동 되어 실 가압판(103)과 세퍼레이터(43)의 사이에 틈을 막으면, 실 가압판(103)이 세퍼레이터(43)와 협동하여 실 지지기구(42)와 실 선택부(41)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각 실을 지지한다. 이 때에는, 실 가압판(103)과 함께 개폐판(102)이 이동하여 커버체(70)의 틈을 막는다. 여기에서 커버체(70)의 틈은,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분리벽(80)과, 커버체(70)와, 실 안내 레버(44) 사이의 틈으로서,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는 틈이다. 개폐판(102)이 분리벽(80)의 두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틈이 좁아진다.
실이음 동작이 시작되면, 실 안내 레버(44)의 각변위의 도중에 걸린 사용중인 실은, 세퍼레이터(43)의 측단을 넘어 세퍼레이터(43)의 전방측으로 이동하고 세퍼레이터(43)와 실 가압판(103)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 실 가압판(103)과 세퍼레이터(43)의 사이에는 대기중인 실도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개폐기구(100)를 구동시킴으로써, 실 가압판(103)과 세퍼레이터(43)의 사이에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실을 끼워 일시적으로 지지한다. 이 때 개폐판(102)이 커버체의 틈을 막는다. 이렇게 실이음 동작을 하기 위하여 필요한, 실 가압판(103)과 커버체의 틈의 폐쇄를 하는 개폐판(102)을 하나의 개폐기구(100)에 의하여 병용함으로써, 구성을 간단하게 함과 아울러 별도의 구동원(驅動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커버체(70)와 실 안내 레버(44)의 틈을 막을 수 있다.
도12는 석션 노즐(12)의 개략적인 내부구성을 나타낸다. 석션 노즐(12)은, 개략적으로 통 모양의 케이싱(50)의 축선방향의 일방에 흡인 포트(51)를 구비하고, 중간에 가압 포트(52)를 구비하고, 축선방향의 타방에 유출 포트(53)를 구비한다. 가압 포트에 압축공기가 유입되면 유출 포트(53) 측으로 분출되어 흡인 포트(51)에 마이너스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압축공기 공급원으로부터 공급하는 압축공기의 압력은 예를 들면 약490kPa(1평방 센티 미터 당 5kg중)정도면 된다. 이러한 압축공기는, 공장 전체에 대하여 공급되는 경우가 있고 그러한 경우에는 클리너(1)에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횡편기(3) 1대 또는 그룹 마다 콤프레서(compressor) 등의 압축공기원을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압축공기원을 포함할 경우, 스플라이서 장치(2)의 클리너(1)는, 커버체(70)와, 전자밸브(32)와, 압축공기원과, 제어부(30)를 포함한다. 커버체(70)는, 청소수단으로서의 석션(5)이 장착되어 스플라이서 장치(2)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주위의 공간을 덮는다. 전자밸브(32)는, 청소수단에 의한 공기 흐름의 흡인을 ON/OFF로 전환하고, 제어부(30)는 전자밸브(32)를 제어한다. 압축공기원이 압축공기를 공급 하기 때문에, 기존의 횡편기(3) 등에 스플라이서 장치(2)를 부가하여도 실이음을 할 때에 발생하는 섬유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13 및 도14는 횡편기(60)에 클리너(1)를 구비하는 스플라이서 장치(2)를 장착하는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은 간략화하여 정면으로부터 본 구성을 나타내고, 도14는 간략화하여 좌측면에서 본 구성을 나타낸다. 횡편기(60)에서는,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하는 사이드 텐션 장치(61)를 통하여 복수의 편사를 공급한다. 사이드 텐션 장치(61)는 편사의 장력의 변동을 어느 정도의 범위로 억제하는 기능도 가진다. 횡편기(60)의 상부에는 상부 스프링 장치(62)가 설치된다. 상부 스프링 장치(62)는, 편사의 절단이나 매듭 등을 검출하고 검출되면 장치를 정지시킨다. 스플라이서 장 치(2)는, 클리너(1)를 장착하고 있는 상태에서 또한 커버(63)로 덮여진다. 스플라이서 장치(2)의 실 공급방향의 하류측에는, 편사가 편성포의 편성에 사용되는 필요량만큼 실을 이송하는 편사 정량공급 장치(64)도 설치된다. 스플라이서 장치(2)에서 실이음 된 편사의 공급길이를 정확하게 제어함으로써, 편성되는 편성포에서 예를 들면 인타샤 패턴(intarsia pattern)을 편성하는 것 같은 경우에, 모양의 경계에서 편사를 전환할 수 있다. 각 상부 스프링 장치(62)에는 편사가 콘(corn)(65)으로부터 인출되는 상태로 공급된다. 커버(63) 내에는 편사 정량공급 장치(64)도 수납되고, 커버(63) 외에는 더스트 박스(10)가 설치된다. 더스트 박스(10)에는, 스플라이서 장치(2)로부터 흡입구를 통하여 흡인되는 섬유먼지뿐만 아니라, 석션(5)에서 흡인하는 실이음부의 절단된 실밥이 모아진다. 사이드 텐션 장치(61) 또는 편사 정량공급 장치(64)로부터 편사는 니들베드(66)에서 편성하는 편성포에 공급된다. 니들베드(66)의 상방에는 얀가이드 레일(67)이 가설되고, 니들베드(66)를 따라 주행하는 캐리지(68)가 얀가이드 레일(67)을 따라 주행하는 급사부재와 연동하여 니들베드(66)의 편침에 편사를 공급한다.
이상과 같은 클리너(1)에 의하면, 서로 근접하게 설치된 스플라이스 노즐(4)과 석션(5)이, 커버체(70)에 의하여 덮여진다. 스플라이스 노즐(4)에서 실이음을 할 때에는, 커버체(70)와 실 안내 레버(44)가 협동하여 가능한 한 작은 용적의 닫힌 공간(71)이 형성된다. 실이음을 할 때에 발생하는 섬유먼지는, 넓은 공간으로 비산되는 것이 방지되고 커버체(70)로 덮이는 닫힌 공간(71)에 머무른다. 석션(5)은 이 닫힌 공간의 섬유먼지를 흡인하면 되므로, 섬유먼지를 효율적으로 흡인하여 제거할 수 있다. 도12에 나타내는 석션 노즐(12)을 사용하여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마이너스압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더라도 효율적으로 섬유먼지를 흡인할 수 있다.
또 공간(71)을 형성하는 실 안내 레버(44)는 실이음을 위하여 스플라이서 장치(2)에 필수적인 구성부이므로, 커버체(70)를 작게 하여 클리너(1)를 소형화할 수 있다. 클리너(1)의 소형화는 스플라이서 장치(2)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 석션(5)이 스플라이스 노즐(4)로부터의 공기의 배출보다 먼저 흡인을 시작하기 때문에, 스플라이스 노즐(4)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사전에 발생시켜 둔 공기 흐름에 의하여 석션(5)으로 인도된다. 따라서 섬유먼지를 공기 흐름에 의하여 석션(5)으로 인도하여 효율적으로 흡인하고 제거할 수 있다.
또 커버체(70) 중 본체부(74)가, 분리벽(80)에 고정되는 힌지부(73)에 대하여 각변위 함으로써 커버체(70)와 분리벽(80)의 사이에 큰 틈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지보수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커버체(70)가, 스플라이스 노즐(4) 및 석션(5)을 후방으로부터 덮는 부분을 구비하지 않고 있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이 경우, 스플라이스 노즐(4) 및 석션(5)은 분리벽(80)에 의하여 후방으로부터 덮여진다. 이 구성에서는, 스플라이스 노즐(4)에 의하여 실이음을 할 때, 커버체(70)는 실 안내 레버(44) 및 분리벽(80)과 협동하여 닫힌 공 간(71)을 형성한다. 이렇게 분리벽(80)을 이용하는 구성에서는, 커버체(70)의 구성을 간략화하여 작은 커버체(70)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커버체(70)가, 스플라이스 노즐(4) 및 석션(5)을 후방으로부터 덮는 부분을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한 효과는 얻어지지 않지만,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얻어지는 그 이외의 효과는 마찬가지로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부가하여, 커버체(70)가 실 안내 레버(44)뿐만 아니라 베이스(81)와도 협동하여 닫힌 공간(71)을 형성하기 때문에, 부품수를 더 적게 하여 클리너(1)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른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내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에는 조금도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축유체의 흐름에 실을 노출하여 실이음을 하는 실이음 헤드에 근접하여 흡인 헤드가 설치되고, 실이음 헤드와 흡인 헤드가 커버체에 의하여 덮여진다. 커버체로 덮음으로써, 적어도 실이음 헤드에서 실이음을 할 때, 실이음 헤드와 흡인 헤드가 배치되는 닫힌 공간이 형성된다. 실이음을 할 때에 발생하는 섬유먼지는 넓은 공간으로 비산하는 것이 방지되어 커버체로 덮여지는 닫힌 공간에 머문다. 흡인 헤드는 이 닫힌 공간의 섬유먼지를 흡인하면 되어 섬유먼지를 효율적으로 흡인하고 제거할 수 있다. 스플라이서 장치의 적절한 클리너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커버체는 실 안내 레버와 협동하여 닫힌 공간을 형성한다. 실 안내 레버는, 커버체에 의하여 닫힌 공간을 형성하는지 아닌지에 관계되지 않고 스플라이서 장치에 필수적인 구성부이다. 이 필수적인 구성부를 이용하여 닫힌 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커버체를 작게 하여 클리너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체는 실 안내 레버뿐만 아니라 베이스와도 협동하여 닫힌 공간을 형성한다. 베이스도 또한 스플라이서 장치에 필수적인 구성부이다. 따라서 커버체를 작게 하여 클리너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폐기구에 의하여 상기 닫힌 공간에 형성되는 틈을 막음으로써, 실이음을 할 때에 발생하는 섬유먼지가 틈으로부터 커버체의 외측공간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플라이서 장치에 있어서 적절한 클리너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이음 헤드에 압축유체를 공급하기 전에 흡인 헤드에 의한 흡인이 시작된다. 흡인 헤드 의한 흡인을 먼저 시작함으로써, 닫힌 공간 내에 흡인 헤드로 유입되는 유체 흐름을 발생시킨 후, 실이음 헤드에 압축유체를 공급하여 실이음 헤드로부터 압축유체를 배출시킬 수 있다. 실이음 헤드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는, 사전에 발생시켜 둔 유체 흐름에 의하여 흡인 헤드로 인도된다. 따라서 섬유먼지를 유체 흐름에 의하여 흡인 헤드에 인도하여 효율적으로 흡인하고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힌지부가 베이스에 고정됨으로써 힌지부 이외의 나머지의 부분도 베이스에 고정된다. 힌지부에 대하여 나머지 부분을 각변위 시킴으로써 커버체와 베이스와의 틈을 크게 할 수 있어 유지보수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6)

  1. 압축유체의 흐름에 실을 노출하여 실이음을 하는 실이음 헤드와, 실이음 헤드를 지지하는 베이스와, 실이음의 대상이 되는 실을 실이음 헤드에 안내하는 실 안내 레버(실 案內 lever)를 구비하는 스플라이서 장치(splicer 裝置)에 구비되고, 실이음을 할 때에 발생하는 섬유먼지를 흡인 제거하는 클리너 장치(cleaner 裝置)로서,
    스플라이서 장치의 베이스에 지지되고 실이음 헤드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흡인 헤드와,
    적어도 실이음 헤드에서 실이음 될 때, 실이음 헤드 및 흡인 헤드를 덮어 닫힌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커버체(cover體)를 포함하고,
    커버체는, 스플라이서 장치의 실 안내 레버 및 베이스와 함께 상기 닫힌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서 장치의 클리너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스플라이서 장치는, 커버체 및 스플라이서 장치의 실 안내 레버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닫힌 공간에 형성되는 틈을 막는 개폐기구(開閉機構)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서 장치의 클리너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흡인 헤드는, 실이음 헤드에 압축유체를 공급하기 전에 흡인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서 장치의 클리너 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커버체는, 커버체에 있어서 힌지부(hinge部)를 제외한 나머지의 부분에 대하여 각변위 가능한 힌지부(hinge部)를 구비하고, 힌지부가 베이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서 장치의 클리너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커버체는, 커버체에 있어서 힌지부(hinge部)를 제외한 나머지의 부분에 대하여 각변위 가능한 힌지부(hinge部)를 구비하고, 힌지부가 베이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서 장치의 클리너 장치.
KR1020087031862A 2006-06-09 2007-06-07 스플라이서 장치의 클리너 장치 KR1013292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61672 2006-06-09
JPJP-P-2006-161672 2006-06-09
PCT/JP2007/061577 WO2007142311A1 (ja) 2006-06-09 2007-06-07 スプライサ装置のクリー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048A KR20090032048A (ko) 2009-03-31
KR101329210B1 true KR101329210B1 (ko) 2013-11-13

Family

ID=38801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1862A KR101329210B1 (ko) 2006-06-09 2007-06-07 스플라이서 장치의 클리너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042624B1 (ko)
JP (1) JP5033128B2 (ko)
KR (1) KR101329210B1 (ko)
CN (1) CN101466882B (ko)
WO (1) WO20071423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0853A (ja) * 2008-02-15 2009-08-27 Murata Mach Ltd スプライサユニット及び糸巻取機
JP2009242036A (ja) * 2008-03-31 2009-10-22 Murata Mach Ltd 自動ワインダ
ITMI20120961A1 (it) * 2012-06-04 2013-12-05 Mesdan Spa Apparecchio per la giunzione di fili o filati mediante aria compressa e liquido e relativo metodo di pilotaggio
CN103290541B (zh) * 2013-05-31 2016-07-06 无锡市三达纺配有限公司 一种带有回收装置的空捻驱动器
JP2017071865A (ja) * 2015-10-06 2017-04-13 村田機械株式会社 紡績機
JP7425696B2 (ja) * 2019-07-30 2024-01-31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合繊糸用糸継システム
JP7425695B2 (ja) * 2019-07-30 2024-01-31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合繊糸用糸継システム
CN112125061A (zh) * 2020-09-28 2020-12-25 安徽日发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气动捻接检测装置及其捻接检测方法
CN112553725A (zh) * 2020-12-24 2021-03-26 湖州南浔达平纺织品有限公司 一种纺织机纺织尘收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0688A (en) 1988-07-25 1991-12-10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a nozzle in a spinning apparatus
EP0467159A1 (de) 1990-07-20 1992-01-22 Maschinenfabrik Rieter Ag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Ansetzen oder Anspinnen eines Fadens und Verfahren zum Reinigen einer Spinnmaschine
JP2001310872A (ja) 2000-04-27 2001-11-06 Murata Mach Ltd 自動ワインダ
JP2004043184A (ja) 2002-07-09 2004-02-12 W Schlafhorst Ag & Co 糸繋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8383U (ko) * 1984-12-05 1986-06-24
DD284489A5 (de) * 1989-05-26 1990-11-14 ��@���������@�������k�� Spinnspulmaschine zur herstellung von stapelfasergarn
JPH0442166U (ko) * 1990-08-07 1992-04-09
JP4042166B2 (ja) * 1996-08-23 2008-02-06 株式会社竹屋 パチンコ島台
JP3985716B2 (ja) 2002-05-09 2007-10-03 村田機械株式会社 紡績糸の糸継方法、および装置
JP2004338837A (ja) 2003-05-14 2004-12-02 Murata Mach Ltd 作業台車を備えた繊維機械
JP4029814B2 (ja) 2003-10-08 2008-01-09 村田機械株式会社 糸継ぎ装置
JP2005171434A (ja) 2003-12-12 2005-06-30 Murata Mach Ltd サービス台車を備えた繊維機械
JP2009190853A (ja) * 2008-02-15 2009-08-27 Murata Mach Ltd スプライサユニット及び糸巻取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0688A (en) 1988-07-25 1991-12-10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a nozzle in a spinning apparatus
EP0467159A1 (de) 1990-07-20 1992-01-22 Maschinenfabrik Rieter Ag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Ansetzen oder Anspinnen eines Fadens und Verfahren zum Reinigen einer Spinnmaschine
JP2001310872A (ja) 2000-04-27 2001-11-06 Murata Mach Ltd 自動ワインダ
JP2004043184A (ja) 2002-07-09 2004-02-12 W Schlafhorst Ag & Co 糸繋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42624A1 (en) 2009-04-01
EP2042624A4 (en) 2011-04-20
KR20090032048A (ko) 2009-03-31
CN101466882A (zh) 2009-06-24
JP5033128B2 (ja) 2012-09-26
EP2042624B1 (en) 2013-01-16
WO2007142311A1 (ja) 2007-12-13
CN101466882B (zh) 2011-05-25
JPWO2007142311A1 (ja) 200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210B1 (ko) 스플라이서 장치의 클리너 장치
JP4977699B2 (ja) スプライサ装置
TW201908555A (zh) 用於操作噴氣式紡紗裝置的方法,導紗通道及包含此導紗通道的噴氣式紡紗機
JP2007106549A (ja) スプライサ装置のクリーナー
JP2013067900A (ja) 紡績機
JP2017218706A (ja) 交絡付与機構
CH712134A2 (it) Dispositivo di monitoraggio di un filato.
CN113993803B (zh) 用于纺织机械的抽吸装置、带抽吸装置的纺织机械、两个旋风元件的应用以及用于抽吸纱线的方法
JPH0949155A (ja) 横編機の糸供給機構
JP2010516913A (ja) 解撚した繊維材料から編み地を製造する編み機
JP2007154403A (ja) 空気供給式の編機
JP2010132359A (ja) スプライサ装置
JP4943932B2 (ja) 弾性糸の給糸機能を備える編機
TWI654348B (zh) 用於編織機之抽紗設備
JPH0369643A (ja) ドローイング装置
KR200401128Y1 (ko) 섬유용 보빈의 잔사처리장치
CN111748903A (zh) 复合针用的针床清洗装置
TWI766227B (zh) 具有緯紗處理裝置之噴氣式織機
JPH0223466B2 (ko)
KR101121378B1 (ko) 원형 편물기용 실 공급 플레이트 양방향 플로스 블로잉 장치
JP2007511446A (ja) 仮撚り加工機
JPH10102327A (ja) オープンエンド精紡機の糸継ぎ準備方法及び装置
JP2006347697A (ja) 機械式スプライサー装置
CN116427040A (zh) 纺丝设备
CN116427043A (zh) 纺丝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