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7132B1 -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 - Google Patents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7132B1
KR101327132B1 KR1020120066709A KR20120066709A KR101327132B1 KR 101327132 B1 KR101327132 B1 KR 101327132B1 KR 1020120066709 A KR1020120066709 A KR 1020120066709A KR 20120066709 A KR20120066709 A KR 20120066709A KR 101327132 B1 KR101327132 B1 KR 101327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bath
container box
facility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태
최서은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66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1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combined with dou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01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A61G7/1003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mounted on or in combination with a bath-t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60Component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therapeutic baths of groups A61H33/00
    • A61H33/6005Special constructive structural details of the bathtub, e.g. of the walls or supporting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anitation devices
    • B60R15/02Washing facil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박스 안에 설치되어 차량에 탑재 또는 차량으로 견인되는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시 그 내부 공간을 폭방향을 따라 확장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네 명 정도의 다수가 동시에 샤워와 목욕, 그리고 휴식을 즐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의 휴식을 넘어 소통의 장소로서 기능할 수 있는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Movable total bath service facility}
본 발명은 컨테이너 박스 안에 설치되어 차량에 탑재 또는 차량으로 견인되는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시 그 내부 공간을 폭방향을 따라 확장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네 명 정도의 다수가 동시에 샤워와 목욕, 그리고 휴식을 즐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의 휴식을 넘어 소통의 장소로서 기능할 수 있는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인이나 중증의 장애자는 거동이 불편하여 본인 스스로 목욕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대중 목욕탕을 이용할 수가 없어 몸을 청결하게 유지하지 못하며, 이는 각종 질병의 주원인이 되고 있어 환자는 물론 보호자인 가족의 정신적, 육체적 부담이 가중되어 간호의욕의 저하 등 많은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최근에는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중증 장애자들을 위하여 트럭의 적재실 내공간에 목욕 설비를 갖춘 이동식 목욕차가 제안된 바 있는데, 이러한 이동식 목욕차는 통상의 트럭에 설치된 적재실의 내부에 욕조와 상기 욕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샤워기와 상기 샤워기에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보일러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이동식 목욕차의 일례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172872호의 "이동 목욕차"를 들 수 있다. 상기 이동 목욕차는 장방형으로 된 적재실의 내부에 몸을 씻을 수 있는 욕조 설비와 옷을 갈아입음과 동시에 피로를 풀 수 있는 휴게 공간을 별도로 구획 설치하여 목욕 후 일정 시간동안 심신의 피로를 풀어줄 수 있도록 하여 노인이나 장애자의 생활을 보다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이동 목욕차는 적재실의 내부를 욕조 설비와 휴게 공간으로 별도로 구획 설치하였을 뿐이고, 특히 욕조설비는 일인용으로 설비되어 있기 때문에 개인위생 유지의 측면에서만 적합할 뿐 여러 사람이 모여 목욕과 휴식을 즐기면서 담소를 나눌 수 있는 소통의 장소로서의 대중 목욕탕의 기능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한계를 가진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7287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컨테이너 박스 안에 설치되어 차량에 탑재 또는 차량으로 견인되는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가 사용시 그 내부 공간을 폭방향을 따라 확장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네 명 정도의 다수가 동시에 샤워와 목욕, 그리고 휴식을 즐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의 휴식을 넘어 소통의 장소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선을 고려하여 샤워와 목욕, 휴식 기능에 따라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의 공간을 세 개의 영역으로 구획함으로써 한정된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또 하나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 또는 차량으로 견인되는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컨테이너 박스 안에 설치되는 상기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는 상기 컨테이너 박스의 전방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제1구획, 제2구획 및 제3구획의 세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구획 및 제2구획의 폭방향 일부를 포함하는 상기 컨테이너 박스의 길이방향 공간이 상기 폭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인출되어 그 내부 공간이 확장될 수 있으며, 상기 확장된 내부 공간은 상기 제1구획으로 접근하기 위한 입구 영역 및 상기 제2구획에서 제3구획으로 이동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확장되는 제1구획 및 제2구획의 폭방향 일부는 폭 길이의 절반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구획은 상기 입구 영역에 직접 연결된 탈의실 및 상기 탈의실에 연결된 건조실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구획은 샤워실을 구비하며, 다 나아가 개인용 온열 스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통로는 상기 제2구획의 가운데를 관통하고, 상기 샤워실 및/또는 개인용 온열 스파는 상기 통로를 경계로 그 양편에 각각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3구획은 욕조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 박스의 하부에는 상기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를 위한 전기, 공기조화 및 보일러 설비를 포함하는 유틸리티 설비를 구비하고, 상기 유틸리티 설비의 상면이 형성하는 바닥면 위로 상기 제1구획 및 제2구획이 형성되며, 상기 제3구획의 욕조는 상기 바닥면의 연장면 아래로 매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은 컨테이너 박스 안에 설치된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가 사용시 그 내부 공간을 폭방향을 따라 확장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네 명 정도의 다수가 동시에 샤워와 목욕, 그리고 휴식을 즐길 수 있으므로, 개인의 휴식을 넘어 소통의 장소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동선을 고려하여 샤워와 목욕, 휴식 기능에 따라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의 공간을 세 개의 영역으로 구획함으로써 한정된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가 차량에 탑재된 전체적인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컨테이너 박스의 확장 전후의 내부 공간배치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평면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의 동선 계획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2의 제2구획에 구비된 개인용 온열 스파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2의 제2구획에 구비된 샤워실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2의 제3구획에 구비된 욕조 설비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1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가 차량에 탑재된 전체적인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컨테이너 박스의 확장 전후의 내부 공간배치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의 동선 계획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제2구획에 구비된 개인용 온열 스파 및 샤워실의 각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그리고 도 6은 도 2의 제3구획에 구비된 욕조 설비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20)에 탑재 또는 차량(20)으로 견인되는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10)에 관한 것인데, 컨테이너 박스(30)(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의 구조물을 포함한다) 안에 설치되는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10)는 그 전방(차량의 전면 기준)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제1구획(100), 제2구획(200) 및 제3구획(300)의 세 영역으로 구분된다.
상기 제1구획∼제3구획의 구분은 목욕시의 다양한 과정, 예를 들면 샤워만을 하는 경우와 욕조(310)를 이용하는 경우 등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가장 효과적인 동선이 구축되도록 한 것이다.
위와 같은 다양한 일련의 목욕 과정을 하나하나 살펴보면 아래와 같은 5개의 카테고리로 나눌 수 있으며, 도 3의 동선 계획에는 각 영역에 대해 어떤 행위가 일어날 수 있는지를 숫자로 표시하였다.
1. ① 옷을 벗는다 → ② 몸에 물을 묻힌다 → ③ 비누로 거품을 낸다 → ④ 비누로 몸을 씻는다 → ⑤ 물로 몸을 헹군다
2. ① 머리에 물을 묻힌다 → ② 샴푸로 거품을 낸다 → ③ 머리를 감는다 → ④ 물로 머리를 헹군다
3. ① 치약을 꺼낸다 → ② 치약을 칫솔에 짜낸다 → ③ 이를 닦는다 → ④ 물로 입을 헹군다
4. ① 탕에 들어간다 → ② 스파를 이용해 땀을 흘린다 → ③ 몸을 씻는다
5. ① 몸을 건조시킨다 → ② 로션을 몸에 바른다 → ③ 옷을 입는다 → ④ 밖으로 나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의 동선 계획에 따라, 가장 전방의 제1구획(100)에는 탈의실(110) 및 건조실(120)을 배치하고, 제2구획(200)에는 샤워실(210) 및/또는 개인용 온열 스파(220)를 배치하였으며, 최후방의 제3구획(300)에는 욕조(310)를 배치하였다. 즉, 욕조(310)를 이용하지 않는 사용자는 제2구획(200)까지만 들어갔다가 나올 수 있도록 배치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도 1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처럼, 제1구획(100) 및 제2구획(200)의 폭방향 일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박스(30)의 길이방향 공간이 폭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인출되어 그 내부 공간이 확장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예를 들면, 유압을 이용하여 제1구획(100) 및 제2구획(200)의 바닥과 칸막이 및 외벽 부분이 컨테이너 박스(30) 바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였다.
위와 같은 제1구획(100) 및 제2구획(200)의 돌출에 의해, 컨테이너 박스(30) 내부 공간, 특히 제1구획(100) 및 제2구획(200)의 공간이 확장된다. 확장 전후의 공간 배치는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그 상세한 내용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구획(100)에서 확장된 내부 공간은 탈의실(110) 및 건조실(120)이 배치된 제1구획(100)으로 접근하기 위한 입구(130) 영역으로 활용된다. 이때, 입구(130) 영역은 탈의실(110)에 직접 연결되고, 건조실(120)은 탈의실(110)에 연결된다.
즉, 제1구획(100)에서는 확장된 외측 영역을 그대로 입구(130) 영역으로 활용, 다시 말하면 탈의실(110) 및 건조실(120) 공간이 넓어지는 것이 아닌데, 이는 탈의실(110)에 대한 프라이버시의 확보와 입구(130)로의 접근성을 고려한 것이다. 또한, 입구(130)로의 접근성을 위해 이동식 계단(132)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 사용자가 노인층인 것을 고려하여 계단(132)에 핸드 레일을 설치하는 것이 더욱 좋다.
그리고, 제2구획(200)에서의 확장 영역은 제2구획(200)을 통해 최후방의 제3구획(300)으로 이동하기 위한 통로(230)로 활용된다. 제1구획(100)의 경우와 다른 점은 제2구획(200)에서는 그 가운데 부분이 통로(230)로 사용된다는 것이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획(200)에 마련된 샤워실(210) 및/또는 개인용 온열 스파(220)는 컨테이너 박스(30)의 폭 길이 절반을 경계로 그 양편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대칭 구조를 가지며, 그 중 한편(길이방향의 일렬)의 샤워실(210) 및/또는 개인용 온열 스파(220)가 바깥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를 채택한 이유는 본 발명의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10)는 네 명 정도의 다수가 동시에 샤워와 목욕, 그리고 휴식을 즐길 수 있도록 하여 개인의 휴식을 넘어 소통의 장소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즉, 컨테이너 박스(30)의 한정된 공간을 최대로 활용하여 4인용의 샤워와 스파 시설을 만들어내기 위한 구조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구획(100) 및 제2구획(200)의 확장되는 폭 길이는 컨테이너 박스(30)의 전체 폭 길이의 절반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전술한 것처럼 제2구획(200)의 가운데로 통로(230)가 관통하면서 샤워실(210) 및/또는 개인용 온열 스파(220)가 통로(230)를 경계로 그 양편에 각각 구비되어 4조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개인용 온열 스파(220)의 일례를 보여주며, 도 5는 샤워실(210)에 설치되는 샤워부스의 일예를 보여준다. 참고로 개인용 온열 스파(220)는 면상발열체를 구비한 사우나와 근적외선 조사기를 이용한 찜질이나 좌욕 등의 기능을 갖춰 신진대사와 혈액순환 촉진, 노폐물 배출 등의 효능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구획(200)이 4인용으로 설계된 것에 대응하여, 탈의실(110)에 구비되는 수납장과 건조실(120)에 설치되는 의자, 테이블, 더 나아가 제3구획(300)의 욕조(310) 등도 4인용으로 설계되는 것이 적합하다.
그리고, 제3구획(300)에는 도 6에 도시된 (4인용) 욕조(310)가 구비되는데, 특히 욕조(310)의 높이를 낮추어서 노인들이 쉽게 입욕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 박스(30)의 하부에는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10)를 위한 전기, 공기조화 및 보일러 설비를 포함하는 유틸리티 설비(미도시)가 구비되는데, 유틸리티 설비의 상면이 형성하는 바닥면 위로 제1구획(100) 및 제2구획(200)이 형성되고, 제3구획(300)의 욕조(310)는 제1구획(100) 및 제2구획(200)의 바닥면의 연장면 아래로 매립되도록 함으로써 욕조(310)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즉, 제3구획(300)의 아래에는 유틸리티 설비를 배치하지 않음으로써 욕조(310)의 매립 깊이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은 컨테이너 박스 안에 설치된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가 사용시 그 내부 공간을 폭방향을 따라 확장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네 명 정도의 다수가 동시에 샤워와 목욕, 그리고 휴식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선을 고려하여 샤워와 목욕, 휴식 기능에 따라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의 공간을 세 개의 영역으로 구획함으로써 한정된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 20: 차량
30: 컨테이너 박스 100: 제1구획
110: 탈의실 120: 건조실
130: 입구 132: 계단
200: 제2구획 210: 샤워실
220: 개인용 온열 스파 230: 통로
300: 제3구획 310: 욕조

Claims (8)

  1. 차량에 탑재 또는 차량으로 견인되는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로서,
    컨테이너 박스 안에 설치되는 상기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는 상기 컨테이너 박스의 전방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제1구획, 제2구획 및 제3구획의 세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구획 및 제2구획의 폭방향 일부를 포함하는 상기 컨테이너 박스의 길이방향 공간이 상기 폭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인출되어 그 내부 공간이 확장될 수 있으며,
    상기 확장된 내부 공간은 상기 제1구획으로 접근하기 위한 입구 영역 및 상기 제2구획에서 제3구획으로 이동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되는 제1구획 및 제2구획의 폭방향 일부는 폭 길이의 절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획은 상기 입구 영역에 직접 연결된 탈의실 및 상기 탈의실에 연결된 건조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획은 샤워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획은 개인용 온열 스파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제2구획의 가운데를 관통하고, 상기 샤워실 및/또는 개인용 온열 스파는 상기 통로를 경계로 그 양편에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구획은 욕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박스의 하부에는 상기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를 위한 전기, 공기조화 및 보일러 설비를 포함하는 유틸리티 설비를 구비하고, 상기 유틸리티 설비의 상면이 형성하는 바닥면 위로 상기 제1구획 및 제2구획이 형성되며, 상기 제3구획의 욕조는 상기 바닥면의 연장면 아래로 매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
KR1020120066709A 2012-06-21 2012-06-21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 KR101327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709A KR101327132B1 (ko) 2012-06-21 2012-06-21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709A KR101327132B1 (ko) 2012-06-21 2012-06-21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7132B1 true KR101327132B1 (ko) 2013-11-08

Family

ID=49857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709A KR101327132B1 (ko) 2012-06-21 2012-06-21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1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9002A (ko) * 2003-09-19 2005-03-24 조명숙 버스 장착용 목욕 시설
KR200409079Y1 (ko) 2005-11-18 2006-02-20 이두희 슬라이딩 컨테이너
JP2007101156A (ja) 2005-10-07 2007-04-19 Shinmei Ind Co Ltd 移動入浴車
KR100831928B1 (ko) 2008-03-05 2008-05-23 이텍산업 주식회사 이동용 목욕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9002A (ko) * 2003-09-19 2005-03-24 조명숙 버스 장착용 목욕 시설
JP2007101156A (ja) 2005-10-07 2007-04-19 Shinmei Ind Co Ltd 移動入浴車
KR200409079Y1 (ko) 2005-11-18 2006-02-20 이두희 슬라이딩 컨테이너
KR100831928B1 (ko) 2008-03-05 2008-05-23 이텍산업 주식회사 이동용 목욕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101156A (ja) 移動入浴車
KR101327132B1 (ko)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
CA3089755A1 (en) Compact cabin
KR101773715B1 (ko) 두피 마사지용 헤어 캡
CN209154461U (zh) 一种调理按摩洗浴机
CN212897792U (zh) 一种新型淋浴仓
CN201039755Y (zh) 多功能衣袍
JP2016052493A (ja) 介護用組立式浴槽
WO2013155874A1 (zh) 一种带卧床的节水节能可躺可坐洗头洗浴多功能浴缸
CN207412090U (zh) 一种电动按摩浴缸
KR200331696Y1 (ko) 좌욕 겸용 샤워캐비넷용 샤워컬럼
KR200276897Y1 (ko) 욕조 겸용 침대 매트리스
JP2002242461A (ja) 住宅の衛生設備
KR200172872Y1 (ko) 이동 목욕차
RU109966U1 (ru) Душ с туалетом, унитаз-биде, раковина и стойка душа для душа с туалетом
JP2003129681A (ja) ホテル部屋内配置構造
JPH046460Y2 (ko)
KR200283980Y1 (ko) 환자이송 장치가 설치된 이동 목욕차
JP3173639U (ja) 移動式浴槽
JP2549246B2 (ja) 多所帯型浴室構造
KR200349683Y1 (ko) 반신욕 전용 욕조
CN2187423Y (zh) 多用途浴箱
JPH0449983Y2 (ko)
JP2017221232A (ja) サウナシャワーカプセル
KR20020073323A (ko) 침대 겸용 샤워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