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9683Y1 - 반신욕 전용 욕조 - Google Patents

반신욕 전용 욕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9683Y1
KR200349683Y1 KR20-2004-0004929U KR20040004929U KR200349683Y1 KR 200349683 Y1 KR200349683 Y1 KR 200349683Y1 KR 20040004929 U KR20040004929 U KR 20040004929U KR 200349683 Y1 KR200349683 Y1 KR 2003496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
tub
user
water
bath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9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형
Original Assignee
이석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형 filed Critical 이석형
Priority to KR20-2004-00049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96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96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96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22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신욕 전용 욕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정좌 자세로 앉으면 물이 배꼽과 명치 사이까지 찰수 있도록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직사각 형태의 욕조와, 상기 욕조 바닥 한쪽면에 내부로 돌출 형성되고 사용자가 정좌 자세를 취하게 하는 의자부와, 상기 의자부에 사용자가 앉거나 일어설때 사용자의 발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바닥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미끄럼 방지턱과, 상기 욕조 몸체 하단에 형성되고 미 사용시 욕조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구로 이루어진 반신욕 전용 욕조를 마련한 후, 욕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가정이나 원룸 등지에서 상기 욕조를 통하여 간편하고 편안하게 반신욕을 즐길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반신욕 전용 욕조{A bathtub}
본 고안은 반신욕 전용 욕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정좌 자세로 앉으면 물이 배꼽과 명치 사이까지 찰수 있도록 일정한 높이와 폭을 갖는 욕조를 마련한 후, 욕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가정이나 원룸 등지에서 상기 욕조를 통하여 간편하고 편안하게 반신욕을 즐길수 있도록 한 반신욕 전용 욕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욕(沐浴; Bath)이라 함은 진흙, 증기, 햇빛, 물 등 공기가 아닌 다른 것으로 몸을 씻는 행위를 말하는 것으로, 청결이나 치료를 위한 목적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종교적, 신비주의적인 의미 등 여러 가지 의미를 지니기도한다.
이러한 목욕은 몸이 마음대로 움직이지 않고 피로나 스트레스로 피곤할 때, 전신을 깔끔하게 하고 싶을 때 또는 피부의 청결 유지뿐 아니라 예민해지고 지친 신경을 풀어주는 휴식으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중요한 역활을 담당하는 국내의 목욕문화는 대부분이 공중 목욕탕이나 사우나를 통하여 행하고 있으며, 가정에서는 간단한 샤워만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는 사용자가 뒤로 누울수 있도록 전신 욕조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그 크기가 대체적으로 작고 라운드 되어 있다. 이러한 전신 욕조 내부에서 사용자가 반신욕을 하려면 앉은 자세를 취해야 하는데, 사용자가 정좌 형태를 취하면 폭이 좁아 불편하고, 앉으려면 별도의 의자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욕탕물이 허리까지도 안올라 오는 제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욕실 내부에 설치된 욕조는 사실상 거의 사용하지 않을뿐 아니라 그 기능을 상실하여 다가구 주택이나 원룸등지에서는 자리만 차지하는 욕조는 설치하지 않고 샤워시설만 설치하고 있어, 가정에서 간편하고 편리하게 목욕을 실시할 수 있는 욕조가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사용자가 정좌 자세로 앉으면 물이 배꼽과 명치 사이까지 찰수 있도록 일정한 높이와 폭을 갖는 욕조를 마련한 후, 욕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가정이나 원룸등지에서 상기 욕조를 통하여 간편하고 편안하게 반신욕을 즐길수 있도록 한 반신욕 전용 욕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반신욕 전용 욕조의 일부분을 절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반신욕 전용 욕조의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반식욕 전용 욕조의 평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욕조 200 ; 의자부
300 ; 미끄럼 방지턱 400 ; 배수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정좌 자세로 앉으면 물이 배꼽과 명치 사이까지 찰수 있도록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직사각 형태의 욕조와,
상기 욕조 바닥 한쪽면에 내부로 돌출 형성되고 사용자가 정좌 자세를 취하게 하는 의자부와,
상기 의자부에 사용자가 앉거나 일어설때 사용자의 발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바닥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미끄럼 방지턱과,
상기 욕조 몸체 하단에 형성되고 미 사용시 욕조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구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반신욕 전용욕조의 일부분을 절개한 사시도 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반신욕 전용욕조의 단면도 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반식욕 전용욕조의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반신욕 전용 욕조는 도1 내지 도3에서와 같이 일정한 높이와 폭을 갖는 욕조(100)와, 상기 욕조(100)와 같이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의자부(200), 미끄럼 방지턱(300), 배수구(400)가 기본적으로 동원된다.
욕조(100)는 사용자가 정좌 자세로 앉으면 물이 배꼽과 명치 사이까지 찰수 있도록 일정한 높이와 폭을 가지며 직사각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욕조(100)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상황에 따라 마블, 강화플라스틱 등을 선택 사용된다.
의자부(200)는 사용자가 욕조(100) 내부에서 정좌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욕조(100) 바닥 한쪽면에서 내부로 돌출 형성되고, 미끄럼 방지턱(300)은 의자부(200)에 사용자가 앉거나 일어설때 사용자의 발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바닥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다수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미끄럼 방지턱(300)은 사용자가 의자부(200)에 앉은 상태에서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면 세로 방향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그물형상, 돌기형상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배수구(400)는 욕조(100) 몸체 하단에 형성되고 미 사용시 욕조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활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별도의 마개(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배수구(400)를 밀폐시킨 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온수 또는 냉수를 욕조(100) 내부에 충진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욕조(100) 내부에 형성된 의자부(200)에 앉아 정좌 자세를 취하면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편안하게 정좌 자세를 취할 수 있으며, 욕조(100) 내부에 충진된 물은 사용자의 배꼽과 명치 사이까지 차게된다.
이후 목욕을 행하면 되고, 목욕이 완료되면 배수구(400)를 이용하여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면 된다. 이때 사용자가 욕조(100)에서 앉거나 일어설 때 바닥면에 미끄럼 방지턱(300)이 형성되어 있어 안전하게 미끄러지지 않고 욕조(100)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가 정좌 자세로 앉으면 물이 배꼽과 명치 사이까지 찰수 있도록 일정한 높이와 폭을 갖는 욕조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욕조가 설치되지 않은 가정에서 간편하고 편안하게 반신욕을 즐길수 있는 것이다.
또한, 욕조 내부에 일체로 의자부가 형성되어 있어 편안한 자세에서 오래 목욕을 행할 수 있을뿐 아니라, 종래 전신 욕조에 비해 물이 1/2 정도 소모 됨으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임을 밝혀둔다.

Claims (1)

  1. 사용자가 정좌 자세로 앉으면 물이 배꼽과 명치 사이까지 찰수 있도록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직사각 형태의 욕조(100)와, 상기 욕조(100) 바닥 한쪽면에 내부로 돌출 형성되고 사용자가 정좌 자세를 취하게 하는 의자부(200)와, 상기 의자부(200)에 사용자가 앉거나 일어설 때 사용자의 발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바닥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미끄럼 방지턱(300)과, 상기 욕조(100) 몸체 하단에 형성되고 미 사용시 욕조(100)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구(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신욕 전용욕조.
KR20-2004-0004929U 2004-02-25 2004-02-25 반신욕 전용 욕조 KR2003496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929U KR200349683Y1 (ko) 2004-02-25 2004-02-25 반신욕 전용 욕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929U KR200349683Y1 (ko) 2004-02-25 2004-02-25 반신욕 전용 욕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2448A Division KR20050086097A (ko) 2004-02-25 2004-02-25 반신욕 전용 욕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9683Y1 true KR200349683Y1 (ko) 2004-05-08

Family

ID=49429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929U KR200349683Y1 (ko) 2004-02-25 2004-02-25 반신욕 전용 욕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968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81728A (en) Bathtub
US3113323A (en) Safety bathtub
KR200349683Y1 (ko) 반신욕 전용 욕조
KR20050086097A (ko) 반신욕 전용 욕조
JP2006218066A (ja) 浴室用椅子
JP2006334387A (ja) 浴槽
US20110010838A1 (en) Toddler Tub
KR20110105609A (ko) 족욕 기능을 갖는 욕조
JPH0678859A (ja) シャワー室
KR200353203Y1 (ko) 반신욕 전용 욕조
CN204181525U (zh) 多功能洗浴器
JPH0432103Y2 (ko)
JP3185497U7 (ko)
JP3173438U (ja) 痔にやさしい風呂用座浴器
KR200351387Y1 (ko) 다용도 반신욕조
JP2958874B2 (ja) 高齢者用浴槽タライ
CN211459952U (zh) 一种多功能浴缸
KR200245908Y1 (ko) 욕조용 튜브 구조체
JP5122103B2 (ja) 浴槽用の仕切台板
JP3201257U (ja) 冷ショックを受けない断熱マット
KR20190002034U (ko) 이동식 반신 욕조
KR200369777Y1 (ko) 자석이 부착된 반신욕조
JP3155735U (ja) 浴槽椅子とお湯留めパッキング付椅子
KR200274214Y1 (ko) 욕조
KR101671752B1 (ko) 다용도 욕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