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5609A - 족욕 기능을 갖는 욕조 - Google Patents

족욕 기능을 갖는 욕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5609A
KR20110105609A KR1020100024840A KR20100024840A KR20110105609A KR 20110105609 A KR20110105609 A KR 20110105609A KR 1020100024840 A KR1020100024840 A KR 1020100024840A KR 20100024840 A KR20100024840 A KR 20100024840A KR 20110105609 A KR20110105609 A KR 20110105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
pallet
foot
bathtub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화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화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화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00024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5609A/ko
Publication of KR20110105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6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01Accessories for baths, not provided for in other subgroups of group A47K3/00 ; Insertions, e.g. for babies; Tubs suspended or inserted in baths; Security or alarm devices; Protecting linings or coverings;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baths; Bath in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22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6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for the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족욕 기능을 갖는 욕조에 관한 것으로, 욕조(B)의 바닥(10)이 배수구(11)가 위치한 제1단(12)과, 상기 제1단(12)보다 높은 제2단(14)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단(14)이 위치하는 욕조의 내측 측면(20)에는 전신욕시에는 암레스트로 사용하고 족욕시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깔판(30)이 얹혀지는 받침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돌출턱(22)이 형성되며, 상기 깔판(30)은 전신욕시에는 제1단(12)을 덮어 욕조(B)의 바닥(10)이 편평한 상태가 되도록 되어 있어 욕조 내부에서 1인 또는 2인이 족욕을 편안하게 앉은 상태에서 즐길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전신욕을 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가정이나 숙박업소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족욕 기능을 갖는 욕조 {bath tub with foot washer}
본 발명은 욕조에 관한 것으로, 전신을 욕조에 담그거나 족욕을 위해 발만을 담글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욕조 자체가 족욕을 즐길 수 있도록 욕조 바닥이 제1단과 제2단으로 이루어져 있고, 제2단이 위치한 욕조의 측면 내측에는 전신욕 시에는 암레스트로 사용할 수 있고 족욕시에는 깔판을 안치하는 돌출턱이 형성되어 있어 여기에 깔판을 안치하고 깔판 위에 편안하게 앉은 상태에서 족욕을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실용신안공개 제1996-0009902호의 세족기가 부설된 욕조를 들 수 있는데,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조(1)의 상면에 세족기(2)를 부설하여 세족기의 양측 주연에 형성된 걸림돌편(4)이 욕조 주연에 결합되게 하고, 세족기 바닥에 배수공(2a)을 뚫어 욕조 내부와 연통시키고 마개(3)를 구비해서 된 것으로, 이는 세족을 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욕조 내부 또는 외부에서 엉거주춤하게 서서 한 발씩을 들어 세족기에 담고 씻어야 하는 방식이어서 자세가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욕조에 몸을 담고자 할 경우에는 세족기를 다른 곳으로 치워주어야 하므로 번거로운데다가 세족기를 별도로 보관하여야 하는 공간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실용신안등록 제0234536호의 욕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을 다수의 단턱을 형성하여 계단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목욕하는 사람이 편안한 자세로 목욕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 목욕물의 수위를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다단형 욕조의 경우에는 전신을 욕조에 담그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일반 가정에서는 별도의 족욕기 또는 족탕기가 없는 경우에는 거실에서 세숫대야에 온수를 넣어 소파나 의자에 앉은 상태로 족욕을 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는 거실 바닥에 물을 흘릴 염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족욕을 위한 준비와 뒤처리가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에는 세족을 하기 위해 욕실 바닥에서 상체를 숙인 상태에서 한 손으로는 샤워기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발을 닦거나, 한쪽 다리를 욕조 또는 세면기에 걸친 상태로 들어올려 발을 닦게 되는데, 이럴 경우, 욕실 바닥이 미끄러워 자칫 넘어지는 사고를 당할 우려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물이 욕실 바닥과 욕조에 튀면서 전체적으로 젖게 됨으로써 욕실이 지저분해지게 되어 욕조 내부에서 웅크린 상태에서 세족을 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 가정이나 숙박업소의 욕실에 비치되어 사용되는 욕조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전신욕과 족욕 용으로 간편하게 전환할 수 있으며, 세족기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도 욕조 자체가 전신을 담글 수 있는 용도와 발만을 담글 수 있는 용도로 전환되어 세족기를 따로 구비할 필요가 없는 새로운 형태의 욕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또, 1인 이상이 족욕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욕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는 욕조의 바닥을 배수구가 위치한 제1단과, 상기 제1단보다 높은 제2단으로 형성하며, 상기 제2단이 위치하는 욕조의 내측 측면에는 전신욕시에는 암레스트로 사용하고 족욕시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깔판이 얹혀지는 받침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돌출턱을 형성하며, 상기 깔판은 전신욕시에는 제1단을 덮어 욕조 바닥이 편평한 상태가 되도록 한 족욕 기능을 갖는 욕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서는 욕조의 바닥을 배수구가 위치한 제1단과, 상기 제1단보다 높은 제2단으로 형성하되, 상기 제1단은 욕조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고, 제2단은 욕조의 앞과 뒤쪽에 형성하며, 상기 제2단이 위치하는 욕조의 측면에는 돌출턱을 형성하여 각각 깔판을 얹어 동시에 2인이 족욕을 할 수 있도록 한 족욕 기능을 갖는 욕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깔판은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제작하되, 판재를 이격시킨 상태로 제작하여 제1단을 덮은 경우에 물이 깔판의 이격부를 배수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깔판에는 깔판을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를 형성하여 제1단에 끼워진 상태에서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욕조 내부에서 1인 또는 2인이 족욕을 편안하게 앉은 상태에서 즐길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전신욕을 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가정이나 숙박업소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욕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욕조의 단면도로 일반 욕조로 사용하는 상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욕조의 단면도로 세족 용도로 사용하는 상태,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욕조의 사시도,
도 5는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욕조의 단면도로 세족 용도로 사용하는 상태,
도 6은 종래의 세족기가 부설된 욕조의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다단형 욕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욕조는 기본적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욕조(B)의 바닥(10)이 배수구(11)가 위치한 제1단(12)과, 상기 제1단(12)보다 높은 제2단(14)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단(14)이 위치하는 욕조의 내측 측면(20)에는 전신욕시에는 암레스트로 사용하고 족욕시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깔판(30)이 얹혀지는 받침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돌출턱(22)이 형성되며, 상기 깔판(30)은 전신욕시에는 제1단(12)을 덮어 욕조(B)의 바닥(10)이 편평한 상태가 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깔판(30)은 통상의 욕실용 또는 사우나용 깔판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원목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판재(32)와 판재(32) 사이가 1cm정도 이격된 이격부(34)가 형성되도록 연결대(36) 위에 부착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12)을 덮은 경우에 물이 깔판(30)의 이격부(34)를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깔판(30)을 따로 분리시키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깔판(30)에는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38)가 형성되어 있어 필요시 깔판을 편리하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단(12)의 내측 측면에도 깔판(30)이 안치되는 안치턱(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단과 제2단의 단차는 10~15cm정도가 적합하며, 성인의 발목이 잠길 수 있는 정도로 하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욕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전신욕을 위하여 사용되거나 족욕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데, 전신욕시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깔판(30)을 욕조 바닥(10)의 제1단(12) 위에 덮어준 상태로 사용하며, 족욕시에는 깔판(30)을 욕조 측면(20)의 돌출턱(22) 위에 얹고 그 위에 앉아서 다리를 제1단에 채워진 물에 담그면 편안한 자세로 족욕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욕조는 족욕시 욕조 내부에서 깔판 위에 앉은 상태에서 발만을 담그게 되므로 반바지를 입은 상태 또는 바지 아랫단을 접은 상태에서도 즐길 수 있으므로 욕실 내부를 전체적으로 난방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옷을 그대로 입은 채로 족욕을 할 수 있으므로 족욕시 상체에 한기를 느끼지 않고 편안하게 즐길 수 있으며, 족욕을 위한 준비작업과 뒤처리 또한 욕실 내에서 이루어지므로 번거롭지 않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욕조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 예에서는 욕조(B)의 바닥(10)을 배수구(11)가 위치한 제1단(12)과, 상기 제1단(12)보다 높은 제2단(14)으로 형성하되, 상기 제1단(12)은 욕조(B)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고, 제2단(14)은 각각 욕조(B)의 앞과 뒤쪽에 형성되며, 상기 제2단(14)이 위치하는 욕조(B)의 측면(20)에는 각각 돌출턱(22)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턱(22)에 각각 깔판(30)을 얹어 동시에 2인이 족욕을 하거나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서 성인이나 어린이가 앉는 위치를 달리하여 족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깔판(30)은 전후 폭을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제작하거나 반으로 분리되도록 제작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또는 우측의 돌출턱(22)에 선택적으로 안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40은 제1단(12)에 설치되는 블로어 또는 진동발생기이고, 부호 42는 블로어 또는 진동발생기용 온/오프 스위치이며, 부호 44는 온도표시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욕조는 전신욕을 위한 일반 욕조로 사용하는 것은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와 마찬가지이며, 족욕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인과 성인 또는 성인과 어린이가 동시에 좌,우측 깔판(30)에 앉아서 발을 제1단에 채워진 물에 담그고 족욕을 즐기면서 대화를 할 수 있으며, 족욕과 동시에 블로어 또는 진동발생기를 작동시켜 발바닥을 마사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예의 욕조는 세족을 하고자 할 경우, 종래에는 욕실 바닥에서 상체를 숙인 상태에서 한 손으로는 샤워기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발을 닦거나, 한쪽 다리를 욕조에 걸친 상태로 들어올려 발을 닦게 되는데, 이럴 경우, 물이 욕실 바닥과 욕조에 튀면서 전체적으로 젖게 됨으로써 욕실이 지저분해지게 되어 욕조 내부에서 웅크린 상태에서 세족을 해야 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욕조 내에서 한쪽 발을 우측 또는 좌측 깔판 위에 걸친 상태에서 세족을 하면 되므로 자세도 불편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물이 욕조 밖으로 튀지 않으므로 욕실이 지저분해지지 않게 되는 장점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 가정이나 숙박업소의 욕실에 비치되는 욕조 자체가 족욕을 즐길 수 있도록 욕조 바닥이 제1단과 제2단으로 이루어져 있고, 제2단이 위치한 욕조의 측면 내측에는 전신욕 시에는 암레스트로 사용할 수 있고 족욕시에는 깔판을 안치하는 돌출턱이 형성되어 있어 여기에 깔판을 안치하고 깔판 위에 편안하게 앉은 상태에서 족욕을 즐길 수 있으며, 족욕을 위한 준비작업은 단지 깔판을 위치이동시키고 제1단에 샤워헤드를 사용하여 온수를 채우는 동작만을 하면 되고, 족욕 후에는 배수를 시키고 다시 깔판을 원위치 측, 제1단 위에 덮어주기만 하면 되므로 세숫대야를 사용하여 거실에서 족욕을 하던 번거로움을 덜 수 있는 것이다.
B : 욕조 10 : 바닥
11 : 배수구 12 : 제1단
14 : 제2단 20 : 측면
22 : 돌출턱 30 : 깔판
32 : 판재 34 : 이격부
36 : 연결대 38 : 손잡이부
40 : 블로어(진동발생기)
42 : 온/오프 스위치
44 : 온도표시부이다.

Claims (3)

  1. 욕조의 바닥이 배수구가 위치한 제1단과, 상기 제1단보다 높은 제2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단이 위치하는 욕조의 내측 측면에는 전신욕시에는 암레스트로 사용하고 족욕시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깔판이 얹혀지는 받침으로 사용할 수 있는 측면 돌출턱이 형성되며, 상기 깔판은 전신욕시에는 제1단을 덮어 욕조 바닥이 편평한 상태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기능을 갖는 욕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단은 욕조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고, 제2단은 욕조의 앞과 뒤쪽에 형성되며, 상기 제2단이 위치하는 욕조의 측면에는 측면 돌출턱이 형성되어 상기 측면 돌출턱에 각각 깔판을 얹어 동시에 2인이 족욕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기능을 갖는 욕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깔판은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되, 판재와 판재 사이가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제1단을 덮은 경우에 물이 깔판의 이격부를 배수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깔판에는 깔판을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기능을 갖는 욕조.
KR1020100024840A 2010-03-19 2010-03-19 족욕 기능을 갖는 욕조 KR201101056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840A KR20110105609A (ko) 2010-03-19 2010-03-19 족욕 기능을 갖는 욕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840A KR20110105609A (ko) 2010-03-19 2010-03-19 족욕 기능을 갖는 욕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609A true KR20110105609A (ko) 2011-09-27

Family

ID=44955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840A KR20110105609A (ko) 2010-03-19 2010-03-19 족욕 기능을 갖는 욕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56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732A (ko) * 2016-11-29 2018-06-07 신용선 다용도 반신 욕조
KR20220148654A (ko) 2021-04-29 2022-11-07 정순덕 건강 개선용 다용도 욕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732A (ko) * 2016-11-29 2018-06-07 신용선 다용도 반신 욕조
KR20220148654A (ko) 2021-04-29 2022-11-07 정순덕 건강 개선용 다용도 욕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681760U (zh) 一种婴儿洗头洗澡盆
US3113323A (en) Safety bathtub
KR20110105609A (ko) 족욕 기능을 갖는 욕조
JP2006218066A (ja) 浴室用椅子
JP2008154997A (ja) 浴室ユニット
JPH0678859A (ja) シャワー室
JP2001299614A (ja) 浴 槽
JP3173438U (ja) 痔にやさしい風呂用座浴器
JP3185497U7 (ko)
JPH1156662A (ja) 浴 槽
KR200349683Y1 (ko) 반신욕 전용 욕조
JP2958874B2 (ja) 高齢者用浴槽タライ
KR20190002034U (ko) 이동식 반신 욕조
CN203074493U (zh) 新型浴缸
SK97399A3 (en) A multi-purpose bathtub
JP2004008636A (ja) 浴室用椅子
JP2017093981A (ja) 浴室
KR200352649Y1 (ko) 내부 의자가 구비된 이동식 목욕통
JP2010220934A (ja) 足湯機能付き浴槽
JPS6342870Y2 (ko)
JP3203812U (ja) 補助床浴槽
JP3201257U (ja) 冷ショックを受けない断熱マット
JP2008061978A (ja) 足浴用バケツ
WO2013001264A1 (en) A portable bath
JP2016052493A (ja) 介護用組立式浴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