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1752B1 - 다용도 욕조 - Google Patents

다용도 욕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1752B1
KR101671752B1 KR1020150026019A KR20150026019A KR101671752B1 KR 101671752 B1 KR101671752 B1 KR 101671752B1 KR 1020150026019 A KR1020150026019 A KR 1020150026019A KR 20150026019 A KR20150026019 A KR 20150026019A KR 101671752 B1 KR101671752 B1 KR 101671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ortion
backrest
bath
upper plate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3452A (ko
Inventor
김성군
Original Assignee
김성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군 filed Critical 김성군
Priority to KR1020150026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752B1/ko
Publication of KR20160103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22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 체형을 고려한 욕조로서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전신욕, 반신욕 및 족욕을 할 수 있는 다용도 욕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욕조는, 상부 테두리 형태를 형성하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부; 및 바닥 형태를 형성하며 배수구를 갖는 바닥부; 를 포함하는데, 상기 측면부는 장방향 측면부 및 단방향 측면부로 구성되며, 바닥부는 상판부를 기준으로 깊이가 서로 다른 제1 바닥부 및 제2 바닥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바닥부의 깊이는 제2 바닥부의 깊이 보다 더 깊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바닥부는 욕조의 길이방향으로 제1 바닥부를 향해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 바닥부가 제1 바닥부와 만나는 지점에 인접하여 제1 바닥부에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바닥부의 중앙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착좌부가 형성되며, 상기 착좌부는 욕조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갖추어 연장되며, 상기 착좌부의 상단 높이는 상판부와 일치하고, 제2 바닥부는 착좌부에 의해 두개로 분리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다용도 욕조{MULTIPURPOSE BATHTUB}
본 발명을 욕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 체형을 고려한 욕조로서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전신욕, 반신욕 및 족욕을 할 수 있는 다용도 욕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을 신축시 일정 공간에 물을 담아서 목욕을 할 수 있도록 욕조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욕조는 욕실에 설치되어 물을 담아 둔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수하여 목욕을 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목욕을 통해서 신체의 노폐물을 제거하거나 심신의 피로 및 스트레스 등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목욕은 땀과 함께 모공 속의 노폐물을 밖으로 빠져나가게 하여 피부가 깨끗해지고, 혈행이 좋아져 신진대사가 활발해진다.
이러한 목욕도 여러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는데, 이중 대표적인 방법은 머리를 제외한 온몸을 욕조에 담그는 전신욕과, 신체의 허리 아래 부분만을 물속에 담그고 상체는 공기 중에 노출된 상태로 입욕을 즐기는 반신욕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특별하게는 신체 중 발 부위만 물속에 담그는 족욕도 포함될 수 있다.
이와같이 전신욕이나 반신욕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욕조가 필요하며, 족욕을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족욕기가 필요하다.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욕조는 내부에 일정량의 물이 채워질 수 있는 공간부를 갖추며, 상부는 개방부로 이루어지고 하부 바닥면에는 공간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구가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욕조는 전신욕을 기준으로 제작되어 있어서, 반신욕을 하기 위해서는 기존 욕조의 절반 높이로 물을 받은 후, 사용자가 입수하여 반신욕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앉게 되는 공간 이외의 물은 실제로 반신욕을 위해 필요하지 않은 물이기에 물이 낭비되는 측면이 있다. 그리고 족욕을 하기에는 기존 욕조의 공간이 너무 커서 사용자가 족욕을 하기에 적합하지 않으며, 별도의 족욕기로 족욕을 실시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욕조로는 전신욕, 반신욕 및 족욕을 실시하기에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양한 목욕을 실시할 수 있는 "반신욕과 좌훈 및 족욕이 가능한 다기능 욕조" 가 공개특허 10-2014-0101039 호 에 기재되어 있으나, 이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미흡하고, 본원발명과는 구성에 있어서도 상이하며, 본원발명이 추구하는 목적과도 부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전신욕, 반신욕 및 족욕을 할 수 있으며, 또한 개량된 구조를 지님으로서 물 담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목욕법에 따라 필요한 양의 물만을 욕조에 담음으로서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는 다용도 욕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욕조는, 상부 테두리 형태를 형성하는 상판부(10); 상기 상판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부(20); 및 바닥 형태를 형성하며 배수구를 갖는 바닥부(30); 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는 장방향 측면부(21) 및 단방향 측면부(22)로 구성되며, 바닥부(30)는 상판부(10)를 기준으로 깊이가 서로 다른 제1 바닥부(31) 및 제2 바닥부(32)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바닥부의 깊이는 제2 바닥부의 깊이 보다 더 깊게 형성되며, 상기 제2 바닥부(32)는 욕조의 길이방향으로 제1 바닥부(31)를 향해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 바닥부(32)가 제1 바닥부(31)와 만나는 지점에 인접하여 제1 바닥부에 배수구(33)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바닥부(32)의 길이방향 중앙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착좌부(40)가 형성되며, 상기 착좌부는 욕조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갖추어 연장되며, 착좌부(40)의 상단 높이는 상판부(10)와 일치하고, 제2 바닥부(32)는 착좌부에 의해 두개로 분리되어 구성된다것을 구성되는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바닥부(32)는 착좌부(40)에 의해 두개로 분리되게 구성되며, 상기 장방향 측면부(21)와 상판부(10)가 만나는 모서리 양측에는 서로 대향하여 복수개의 등받이 받침홈들(24)이 형성되는데, 상기 받침홈들은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받침홈들 중 하나의 받침홈 아래쪽 장방향 측면부의 소정 지점에는 팔걸이부(2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착좌부(40)의 상면 일측에는 단방향 측면부(22)와 인접하여 원형의 물받이 요부(41)가 형성되는데, 상기 물받이 요부의 외연(外緣)에는 상기 제2 바닥부(32)를 향해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진 두개의 물 흐름 통로(411)가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 요부(41)와 인접한 착좌부(4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서로 대향하여 등받이 홈(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등받이 홈에는 별도의 등받이(50)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욕조는, 사용자가 원하는 목욕법에 따라 욕조에 물을 담기에 기존의 욕조보다 물 받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전신욕, 반신욕 및 족욕 등의 목욕 방법에 따라 욕조에 필요한 물만을 받기 때문에 목욕물을 절약할 수 있으며, 또한, 인체 체형에 맞게 제작되어 물이 욕조의 구조에 맞게 역학적으로 분산되어 물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욕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욕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욕조에 등받이가 등받이 홈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욕조에 등받이가 등받이 받침홈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욕조의 등받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욕조의 단면도로서, 사용자가 몸체는 제1 바닥부에, 다리는 제2 바닥부에 뻗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욕조의 단면도로서, 사용자가 앉은 채로 반신욕을 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욕조의 단면도로서, 사용자가 서로 등을 밀어주거나 족욕을 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인체 체형을 고려한 욕조로서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전신욕, 반신욕 및 족욕을 할 수 있는 다용도 욕조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욕조와 동일한 크기의 욕조를 재구성함으로서, 기존 욕조에서 사용하는 물의 양의 절반에 해당하는 물을 사용하고도 전신욕과 반신욕 또는 족욕을 할 수 있는 다용도 욕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욕조는 기존의 욕조보다 물 받는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목욕법에 따라 필요한 물만 욕조에 담음으로서, 필요없이 낭비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 내지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욕조의 바림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욕조는, 상부 테두리 형태를 형성하는 상판부(10); 상기 상판부(1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부(20); 및 바닥 형태를 형성하며 배수구를 갖는 바닥부(30); 를 포함하는데, 상기 측면부(20)는 장방향 측면부(21) 및 단방향 측면부(22)로 구성되며, 바닥부(30)는 상판부를 기준으로 깊이가 서로 다른 제1 바닥부(31) 및 제2 바닥부(32)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바닥부(31)의 깊이는 제2 바닥부(32)의 깊이 보다 더 깊게 구성된다.
상기 장방향 측면부(21)는 욕조의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방향 측면부(22)는 욕조의 폭방향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욕조의 형태는 장방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상기 장방향 측면부 및 단방향 측면부는 각각 두개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부(30)는 욕조의 바닥을 형성하는 부분이며, 바닥부(30)와 양 측면부(21,22)는 일체로 구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됨으로서 하나의 욕조가 구성된다. 상기 공간에 목욕물을 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부(30)의 일측에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구(33)가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조의 상부 테두리를 형성하는 상판부(10)로부터 깊이가 서로 다른 제1 바닥부(31) 및 제2 바닥부(32)로 구성되는데, 제1 바닥부의 깊이가 제2 바닥부의 깊이 보다 더 깊게 구성되며, 상기 제2 바닥부(32)는 욕조의 길이방향으로 제1 바닥부(31)를 향해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321)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바닥부(32)가 제1 바닥부(31)와 만나는 지점(경사부의 하단지점)에 인접하여 제1 바닥부(31)에 배수구(33)가 형성되어 목욕한 후의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목욕한 후의 오수가 배수구(33)로 원할히 흐를수 있게 상기 제1 바닥부(31)는 배수구(33)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 바닥부(32)는 소정의 기울기(경사도)로 제1 바닥부(31)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상기 경사부(321)에서 제1 바닥부를 향해 더 급격한 기울기를 갖는다.
여기에서 제1 바닥부(31)는 주로 사용자의 엉덩이가 위치되는 부분이며, 제2 바닥부(32)는 사용자가 다리를 뻗을때 사용자의 다리 및 발이 위치되는 부분이다. 사용자가 다리를 뻗지 않고 양반다리 등의 다른 자세를 취할 때는 제1 바닥부(31)에 사용자의 엉덩이 및 다리가 위치된 상태에서 목욕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닥부(31)에서 엉덩이가 주로 위치되는 부분은 제1 바닥부(31)의 다른 부분보다 좀더 오목하게 오목부분(35)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않을 경우 엉덩이가 편안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와같이 오목하게 구성된 오목부분(35)은, 목욕을 끝마치고 오수를 배출할 경우 물이 고이게 되므로 물이 원할하게 배수구(33)로 흘러나갈 수 있도록, 상기 오목한 부분으로부터 배수구(33)까지 경사지게 물 빠짐 홈(통로)(34)을 더 구성한다. 상기 물 빠짐 홈(34)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닥부의 오묵부분(35)으로부터 배수구(33)쪽으로 그 폭이 점차 넓어지게 구성된다.
사용자가 전신욕이나 반신욕을 할 경우에는, 제1 바닥부(31)에 엉덩이를 위치한 채, 다리를 제2 바닥부(32)로 뻗은 상태에서 목욕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엉덩이를 배수구(33)위쪽에 위치하고, 다리를 제2 바닥부(32)로 뻗은 상태로 전신욕을 할 수 있다. 이때 제1 바닥부(31)의 공간에만 물을 채우는데, 신체가 물에 입수되면 물의 수위가 상승하여 제2 바닥부(32)에도 물이 채워지게 되므로, 사용자는 전신욕 및 반신욕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를 뻗지 않고 양반다리 상태로도 반신욕을 즐길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제1 바닥부(31) 공간에도 물을 채우고, 제2 바닥부(32) 공간에도 물을 채워서 목욕을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닥부(32)에서 발바닥이 위치되는 측면부에서 발가락이 닿는 측면부분 보다 발 뒤꿈치가 닿는 측면부분이 더 안쪽으로 들어가 있는데, 이는 신장이나 다리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사람이 다리를 뻗을 때 발가락을 몸체 쪽으로 약간 굽히면 다리를 제2 바닥부에 원할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며, 또한 종아리 부분의 스트레칭 효과도 줄 수 있다.
이와같이 제1 바닥부(31) 및 제2 바닥부(32)를 구성함으로서, 기존 욕조에서 사용되는 물의 양보다 적은 양으로도 다양한 목욕을 즐길 수 있게 되어, 물 절약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다리 및 발이 위치된 제2 바닥부(32)가 제1 바닥부(31)보다 높게 형성되므로, 전식욕이나 반신욕 할 때 사용자의 다리가 몸체에서 더 높이 올라가기에 혈액순환이 촉진되어 다리의 피로를 풀어줄 수 있다.
상기 제2 바닥부(32)의 중앙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착좌부(40)가 구성되는데, 상기 착좌부(40)의 상단 높이는 상판부(10)와 일치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착좌부의 상단 둘레는 라운드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착좌부(40)는 하나의 단방향 측면부(22)에서 시작되어 제2 바닥부(32)의 중앙부를 따라 제1 바닥부(31)를 향해 욕조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갖추고 연장되므로, 상기 제2 바닥부(32)는 착좌부(40)에 의해 두개로 분리되며, 사용자가 목욕시에 양 다리는 분리된 두개의 제2 바닥부(32)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정체 바닥부, 즉 제1 바닥부(31) 및 제2 바닥부(32)에는 사용자가 목욕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끄럼 방지 돌기(도면에는 미도시 됨)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착좌부(40)에 사용자가 앉아서 제1 바닥부(31)의 공간에 채워진 물에 발을 넣어 족욕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착좌부(40)의 상면 일측에는 단방향 측면부(22)와 인접하여 원형의 물받이 요부(41)가 형성되며, 상기 물받이 요부(41)의 외연(外緣)에는 상기 제2 바닥부(32)를 향해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진 두개의 물 흐름 통로(411)가 서로 대향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물받이 요부(41)의 일측과 인접한 착좌부(4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서로 대향하여 두개의 등받이 홈(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등받이 홈(42)에는 별도의 등받이(50)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등받이(50)는 장방형으로 구성되며, 길이방향 양단에는 각각 두개의 등받이 돌출부(51)가 형성되는데, 상기 등받이 돌출부는 사다리꼴 형상을 지닌다. 상기 돌출부(51)가 상기 등받이 홈(42)에 삽입되어 등받이가 뒤쪽으로(물받이 요부 쪽으로) 비스듬하게 세워져 위치되므로, 사용자가 편안하게 등받이(50)에 등을 기대고 족욕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등받이(50)의 뒤편에는 등받이의 강도를 보강하고자 등받이(50)의 길이방향 중앙부에는 하나의 중앙 지지대(501)가 구성되고, 상기 중앙 지지대와 직교하여, 상기 중앙 지지대(501)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개의 보조 지지대(502)가 더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폭 방향 보조 지지대(502)는 돌출부(51)와 인접하여 형성된다. 상기 등받이(50)가 뒤쪽으로 비스듬하게 위치되게끔 등받이 홈(42)은 아래쪽으로 점점 좁아지는 "
Figure 112015018367072-pat00001
"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상기 물받이 요부(41)에는 대야 또는 목욕 용품을 비치할 수 있으며, 목욕시 등받이(50)에서 떨어지는 물이 물받이 요부(41)에 모여서 물 흐름 통로(411)를 따라 두개의 제2 바닥부(32)로 흐른 후, 제2 바닥부(32)에서 제1 바닥부(31)로 흘러서 제1 바닥부 공간에 모이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물의 낭비를 조금이나마 막을 수 있다. 상기 물받이 요부(41)는 본 발명에서는 원형 형태로 구성되는데, 다른 형태, 즉 다각형 및 사각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장방향 측면부(21)와 상판부(10)가 만나는 모서리 양측에는 서로 대향하여 복수개의 등받이 받침홈들(24)이 형성되는데, 상기 받침홈(24)들은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받침홈들(24) 중 하나의 받침홈 아래쪽 장방향 측면부(21)의 소정 지점에는 두개의 팔걸이부(23)가 서로 대향하여 장방향 측면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팔걸이부(23)는 사용자가 전신욕 및 반신욕 할 때, 팔을 편안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
등받이 돌출부(51)가 상기 받침홈(24)에 끼워지게 되면, 장방향 측면들 사이에서 등받이(50)가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어, 상기 등받이(50)에 사용자가 걸터 앉을 수 있어 물이 채워진 제1 바닥부(31)에 발을 넣고 족욕을 할 수 있으며,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욕시 서로의 등을 밀때는 한 사람을 착좌부(40)에 앉고 다른 사람은 등받이(50)에 걸터 앉아서 서로의 등을 밀어줄 수 있다. 상기 등받이 받침홈(24)을 복수개로 형성한 것은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나 씻는 부위에 따라 적합하게 등받이의 설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등받이 받침홈(24) 중 하나의 크기를 다른 받침홈들 보다 크게 형성시킴으로서, 등받이 돌출부(51) 중 하나의 크기가 다를 경우에도 용이하게 등받이 돌출부(51)를 받침홈(24)에 끼워넣을 수 있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홈(24)은 등받이 돌출부(51)와 대응되도록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된다.
추가로, 상기 제1 바닥부(31)와 인접한 착좌부(40)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상기 착좌부(40)의 상면보다 낮게 구성된 등받이 받침턱(43)이 더 형성되는데, 상기 등받이 받침턱(43)은, 등받이 돌출부(51)가 착좌부(40)에 가까운 등받이 받침홈(24)에 끼워져서 등받이(50)가 위치될 때, 상기 등받이(50)의 길이방향 일측면이 받쳐지므로 사용자가 등받이(50)에 걸터 앉을 경우, 등받이의 안정성은 더욱 향상된다.
또한, 상기 상판부(10)와 제1 바닥부(3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단방향 측면부(22)가 만나는 모서리에는 오목한 머리받이부(25)가 형성되는데, 상기 머리받이부(25)는 사용자가 목욕시 머리가 닿는 부분으로 사용자의 머리 크기 및 길이에 적합하게,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의 중간 부분이 닿는 지점은 넓고 위쪽 및 아래로 갈수록 갈수록 좁아지는 마름모꼴 형상으로 오목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름모꼴 형상의 양 측은 약간 돌출된 머리받이 돌출부(251)를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양측의 돌출부(251)는 부드럽게 라운드 처리된다. 상기와 같이 머리받이부를 구성함으로서 머리 크기가 작은 사용자는 상기 오목하게 구성된 머리받이부(25)에 딱 맞게 위치되며, 머리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사람은 상기 돌출부에 머리가 닿게 되어, 사용자의 머리크기에 상관없이 머리받이부(25) 및 머리받이 돌출부(251)에 머리를 위치시킬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편안하고 자유롭게 상하 좌우로 머리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평면도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팔걸이부(23)의 뒤쪽인, 팔걸이부(23)와 머리받이부(25) 사이의 장방향 측면부(21)는 다른 부위보다 외부방향으로 더 오목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전신욕 및 반식욕시 어깨부위가 편안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상판부 20.측면부
21.장방향 측면부 22.단방향 측면부
23.팔걸이부 24.등받이 받침홈
25.머리받이부 251.머리받이 돌출부
30.바닥부 31.제1 바닥부
32.제2 바닥부 321.경사부
33.배수구 34.물 빠짐 홈
35.오목부분 40.착좌부
41.물받이 요부 411.물 흐름 통로
42.등받이 홈
43.등받이 받침턱 50.등받이
51.등받이 돌출부 501.중앙 지지대
502.보조 지지대

Claims (10)

  1. 다용도 욕조에 있어서,
    상부 테두리 형태를 형성하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부; 및
    바닥 형태를 형성하며 배수구를 갖는 바닥부; 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는 장방향 측면부 및 단방향 측면부로 구성되며, 바닥부는 상판부를 기준으로 깊이가 서로 다른 제1 바닥부 및 제2 바닥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바닥부의 깊이는 제2 바닥부의 깊이 보다 더 깊고, 상기 제2 바닥부는 욕조의 길이방향으로 제1 바닥부를 향해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 바닥부가 제1 바닥부와 만나는 지점에 인접하여 제1 바닥부에 배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바닥부의 길이방향 중앙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착좌부가 형성되며, 상기 착좌부는 욕조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갖추어 연장되며, 착좌부의 상단 높이는 상판부와 일치하고, 제2 바닥부는 착좌부에 의해 두개로 분리되며, 착좌부의 상면 일측에는 단방향 측면부와 인접하여 원형의 물받이 요부가 형성되며, 상기 물받이 요부의 외연(外緣)에는 상기 제2 바닥부를 향해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진 두개의 물 흐름 통로가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욕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방향 측면부와 상판부가 만나는 모서리 양측에는 서로 대향하여 복수개의 등받이 받침홈들이 형성되는데, 상기 받침홈들은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받침홈들 중 하나의 받침홈 아래쪽 장방향 측면부의 소정 지점에는 팔걸이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욕조.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 요부와 인접한 착좌부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서로 대향하여 등받이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등받이 홈에는 별도의 등받이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욕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닥부와 인접한 착좌부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상기 착좌부의 상면보다 낮게 구성된 등받이 받침턱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욕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와 제1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단방향 측면부가 만나는 모서리에는 오목한 머리받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욕조.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장방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등받이 홈에 삽입되도록 길이방향 양단에는 각각 두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등받이의 뒤편에는 등받이의 강도를 보강하고자 등받이의 길이방향 중앙부에는 하나의 중앙 지지대가 구성되고, 상기 중앙 지지대와 직교하여, 폭 방향으로 두개의 보조 지지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욕조.


KR1020150026019A 2015-02-24 2015-02-24 다용도 욕조 KR101671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019A KR101671752B1 (ko) 2015-02-24 2015-02-24 다용도 욕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019A KR101671752B1 (ko) 2015-02-24 2015-02-24 다용도 욕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452A KR20160103452A (ko) 2016-09-01
KR101671752B1 true KR101671752B1 (ko) 2016-11-02

Family

ID=56942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019A KR101671752B1 (ko) 2015-02-24 2015-02-24 다용도 욕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17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9614A (ja) * 2000-04-25 2001-10-30 Hitachi Chem Co Ltd 浴 槽
JP5281470B2 (ja) * 2009-04-24 2013-09-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半身浴用腰掛部付き浴槽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23635A1 (de) * 1991-07-17 1993-01-21 Hoesch Metall & Kunststoffwerk Badewanne
KR20000018889U (ko) * 1999-03-31 2000-10-25 노재달 절수형 욕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9614A (ja) * 2000-04-25 2001-10-30 Hitachi Chem Co Ltd 浴 槽
JP5281470B2 (ja) * 2009-04-24 2013-09-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半身浴用腰掛部付き浴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452A (ko) 201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4110B1 (en) Foot stool
US20150257609A1 (en) Infant bather with front drain
KR101671752B1 (ko) 다용도 욕조
US3584320A (en) Bathtub seat
JP2006334387A (ja) 浴槽
JP5369380B2 (ja) 腰掛け付き浴槽
CN211093626U (zh) 一种浴缸
JP2017109003A (ja) 介護用シャワー椅子
JPH0219101Y2 (ko)
JP3201257U (ja) 冷ショックを受けない断熱マット
KR20110105609A (ko) 족욕 기능을 갖는 욕조
JP5122103B2 (ja) 浴槽用の仕切台板
JP3173438U (ja) 痔にやさしい風呂用座浴器
JPH0678859A (ja) シャワー室
JP2006006668A (ja) 浴槽
KR200349683Y1 (ko) 반신욕 전용 욕조
JP2006020659A (ja) 浴槽
KR20170007982A (ko) 반신욕조
CA2508522A1 (en) Hydromassaging bathing tub with adjustable elevated seat
JP2010220934A (ja) 足湯機能付き浴槽
CZ25797A3 (cs) Víceúčelová koupací vana
JP2017093981A (ja) 浴室
WO2013001264A1 (en) A portable bath
US1961433A (en) Bathtub construction
US4493712A (en) Foot soaker and re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