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9002A - 버스 장착용 목욕 시설 - Google Patents

버스 장착용 목욕 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9002A
KR20050029002A KR1020030064999A KR20030064999A KR20050029002A KR 20050029002 A KR20050029002 A KR 20050029002A KR 1020030064999 A KR1020030064999 A KR 1020030064999A KR 20030064999 A KR20030064999 A KR 20030064999A KR 20050029002 A KR20050029002 A KR 20050029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bus
water
space
drain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4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명숙
Original Assignee
조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명숙 filed Critical 조명숙
Priority to KR1020030064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9002A/ko
Publication of KR20050029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900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anitation devices
    • B60R15/02Washing facil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거 노약자 또는 지체 장애인 등이 쉽게 목욕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개발된 이동 가능한 버스에 장착되는 목욕 시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버스의 객실 내에 설치되는 터브와, 상기 버스의 객실 하측에 있는 화물실에 설치되는 물탱크와, 상기 버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물탱크와 연결되어 물을 가열하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와 연결되고 상기 터브 내에 물을 공급하는 샤워기와, 일단이 상기 터브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버스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드레인 호스와, 상기 드레인 호스의 중간 또는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드레인 호스를 통해 버스의 외부로 배출되는 물을 여과하는 여과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장착용 목욕 시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버스 장착용 목욕 시설{Bathing system mounted in a bus}
본 발명은 목욕 시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독거 노약자 또는 지체 장애인 등이 쉽게 목욕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개발된 이동 가능한 버스에 장착되는 목욕 시설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산업화와 정보화가 가속됨에 따라서, 농촌 사회를 기반으로한 전통적인 대가족이 점점 붕괴되고 있고 이와 함께 도시 사회를 중심으로한 핵가족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그리고 이와 함께 생활 수준이 향상되고 의료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서 현대 사회는 점차 고령화되어 가고 있다.
상기와 같이 사회가 핵가족화되고 고령화됨에 따라서 현대 사회에는 독거하는 노약자가 갈수록 늘어가고 있다. 그러나 아직 이들의 삶을 충분히 지원해 줄 만한 사회 복지 기반이 마련되지 않았으므로 이들 중 상당 수는 기본적인 생활에서 조차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편, 사회 전반적으로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장애인들 및 상기한 독거 노약자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장애인 및 독거 노약자 들이 기본적인 삶을 누릴 수 있을 정도의 복지 기반이 마련되어야 하며, 현재 이를 위해 정부 및 지방 자치 단체, 그리고 자원 봉사자들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상기한 노력의 일환으로, 많은 자원 봉사자들이 장애인 및 독거 노약자들을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목욕시켜 주는 봉사활동을 하고 있다. 그런데, 장애인 및 독거 노약자 들이 거주하는 주택에 충분한 목욕 시설이 갖추어져 있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봉사자를 비롯하여 봉사 서비스를 받는 이들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독거 노약자 또는 지체 장애인 등이 쉽게 목욕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한 버스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버스 장착용 목욕 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버스의 객실 내에 설치되는 터브와, 상기 버스의 객실 하측에 있는 화물실에 설치되는 물탱크와, 상기 버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물탱크와 연결되어 물을 가열하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와 연결되고 상기 터브 내에 물을 공급하는 샤워기와, 일단이 상기 터브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버스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드레인 호스와, 상기 드레인 호스의 중간 또는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드레인 호스를 통해 버스의 외부로 배출되는 물을 여과하는 여과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장착용 목욕 시설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장착용 목욕 시설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길이 방향 일단과 상측이 개방되고 바닥면에는 배수구가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개방된 길이 방향 일단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에 힌지 결합되는 개폐판과, 일단이 상기 바디의 폭 방향 일측 내면에 힌지 결합되고 회전하면서 상기 터브의 내부 공간을 하나의 연통된 공간 또는 두 개의 독립된 공간으로 만드는 구획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 및 중복되는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참고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욕 시설이 장착된 버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버스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목욕 시설에서 터브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욕 시설은 버스(1)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터브(10), 물탱크(20), 보일러(30), 드레인 호스(50), 샤워기(40), 그리고 여과기(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터브(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1)의 객실(2) 내에 설치된다. 상기 터브(10)는 1인이 사용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버스(1)의 객실(2) 크기가 크므로 2인 이나 3인 또는 그 이상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10)는 폭방향 보다 길이 방향이 길게 형성되는데, 예를 들면 길이 방향으로 2인 정도가 터브(10) 내에 들어가 목욕을 즐길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터브(10)를 2인 또는 그 이상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는 다수 명의 노약자나 장애인 등이 봉사자의 도움을 받아 순차적으로 목욕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개선된 구조의 터브(10)를 제공해 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터브(10)의 구조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브(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1), 개폐판(15), 그리고 구획판(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디(11)는 터브(10)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길이 방향 일단이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바디(11)의 바닥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13)가 형성된다.
상기 개폐판(1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1)의 개방된 길이 방향 일단에 힌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판(15)은 상기 바디(11)의 개방된 일단에서 회동하면서 상기 바디(11)의 개방된 일단을 개폐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판(15)과 상기 바디(11)의 힌지 결합 부위는 상기 바디(11)의 바닥면과 인접한 하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폐판(15)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5a)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터브(10)의 상부 일측과 상기 개폐판(15)의 상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10)의 개방된 일단을 폐쇄한 개폐판(15)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구(18)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고정구(18)로는 예들 들면 버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화물차의 화물칸 도어 고정구로 통상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구획판(12)은 일단이 상기 바디(11)의 폭방향 일측 내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터브(10)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구획판(12)의 타단은 상기 구획판(12)이 상기 바디(11)의 폭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었을 때 힌지 결합 부분과 마주하는 측의 바디(11) 내면에 접촉되며, 이에 따라 상기 구획판(12)은 상기 터브(10)의 내부 공간을 두 개의 독립된 공간으로 구획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두 개의 독립된 공간 중에서 상기 개폐판(15)과 접하는 공간을 제1 공간(16), 그리고 다른 하나의 공간을 제2 공간(17)이라 칭한다. 한편, 상기 구획판(12)의 타단이 상기 힌지 결합 부분이 있는 측의 바디(11) 내면에 접촉되도록 회전하면, 상기 터브(10) 내부는 하나의 연통된 공간이 된다. 한편, 상기 구획판(12)에는 상기 구획판(12)을 편리하게 회동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12a)가 형성된다.
한편,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터브(10)를 사용할 때 상기 제2 공간(17)에는 물이 저장되고, 상기 제1 공간(16)에는 물이 없는 상태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구획판(12)의 힌지 연결 부위가 수압에 의해 고장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터브(10)의 내면에는 스토퍼(14)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스토퍼(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공간(16)측에 있는 터브(10)의 내측 벽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획판(12)의 타단부를 지지한다. 이러한 상기 스토퍼(14)는 상기 구획판(12)이 상기 터브(10) 내부를 제1 공간(16)과 제2 공간(17)으로 구획할 때 상기 구획판(12)이 상기 제2 공간(17)에 저장된 물의 수압에 의해 더 이상 제1 공간(16) 측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 공간(17)에만 물이 저장된 경우, 상기 저장된 물이 상기 제1 공간(16) 측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그 일환으로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터브(10)의 바닥면은 상기 제2 공간(17) 측이 상기 제1 공간(16) 측 보다 약간 낮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간(16)과 제2 공간(17)의 경계에는 턱이 형성된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턱에 상기 구획판(12)의 하측이 밀착되므로 누수를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상기 턱과 상기 구획판(12)의 접촉 부위에는 고무 재질의 패킹 등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획판(12)과 상기 터브(10) 내측면이 접촉되는 부분에도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고무 재질의 패킹 등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탱크(20)는 물을 저장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1)의 객실(2) 하측에 있는 화물실(3)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물탱크(20)는 상기 화물실(3)에만 국한되어 설치되지는 않으며, 설계상 필요한 경우, 객실(2) 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보일러(30)는 상기 물탱크(20)와 연결되어 물을 가열하는 것으로, 예를들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스(1)의 객실(2) 내에 설치된다. 상기 물탱크(20)와 보일러(30)는 파이프(25)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상기 샤워기(40)는 파이프(35)에 의해서 상기 보일러(30)와 연결되며, 상기 터브(10) 내에 물을 공급하거나, 목욕 서비스를 받는 사용자에게 직접 물을 공급한다. 이러한 샤워기(40)는 상기 보일러(30)에서 가열된 뜨거운 물을 공급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열되지 않은 차가운 물도 공급 받을 수 있다. 물론, 상기 샤워기(40)는 통상의 샤워기처럼 가열된 물과 차가운 물을 혼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물을 공급할 수도 있다. 한편,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샤워기(40) 외에도 별도의 수도 꼭지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도 꼭지는 상기 터브(10) 내에만 물을 공급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 드레인 호스(50)는 상기 터브(10)에 제공된 배수구(13)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버스(1)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터브(10)의 배수구(13)를 개방하면 터브(10) 내에 수용된 물이 상기 드레인 호스(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구(13)는 상기 터브(10)의 바닥면 중에서 상기 제1 공간(16)과 제2 공간(17)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여과기(60)는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레인 호스(50)의 단부에 설치된다. 물론, 상기 여과기(60)는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드레인 호스(50)의 중간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상기 여과기(60)는 상기 드레인 호스(50)를 통해 버스(1)의 외부로 배출되는 물을 여과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장착용 목욕 시설은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먼저, 목욕 서비스를 받는 사용자가 봉사자의 도움을 받아 버스(1)의 객실(2)에 탑승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는 휠체어에 앉은 채로 객실(2)에 탑승한다. 휠체어에 앉은 사용자는 봉사자의 안내에 따라 상기 터브(10)의 개폐판(15) 앞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개폐판(15)은 상기 터브(10)의 일단을 개방시킨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봉사자들은 상기 사용자를 부축하여 상기 터브(10) 내로 안내한다. 이때, 상기 개폐판(15)에 의해 터브(10)의 일단이 개방된 상태이므로 상기 사용자는 쉽게 터브(10) 내로 안내된다.
사용자가 일인 또는 그 이상 상기 터브(10) 내에 들어오면 상기 개폐판(15)을 회동시켜 터브(10)의 일단을 폐쇄한 후 고정구(18)를 이용하여 고정한다.상기 상태에서 상기 수도 꼭지 또는 샤워기(40)를 틀어 적당한 온도의 물을 터브(10)에 공급하거나 사용자에게 공급하여 상기 사용자를 목욕시킨다.
목욕이 완료되면 봉사자는 배수구(13)를 개방시킨다. 그러면 터브(10) 내의 물이 상기 드레인 호스(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이때 여과기(60)가 배출되는 물을 정화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목욕시설은 주변의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다. 배수가 완료되면 봉사자는 상기 개폐판(15)을 열어 상기 터브(10)의 일단을 개방한 후, 상기 사용자를 휠체어에 앉히고, 버스(1)에서 하차 시키면 모든 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목욕시설은 상기와는 약간 다른 방법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개폐판(15)을 회동시켜 터브(10)의 일단을 개방한 후 사용자를 적어도 한명 이상 상기 제2 공간(17)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구획판(12)이 상기 터브(10)의 폭 방향을 가로지르게 배치되도록 회동시킨다. 상기 샤워기(40) 또는 수도 꼭지를 이용하여 제2 공간(17)에 물을 공급하고 사용자를 목욕시킨다. 이때, 또 다른 사용자를 상기 제1 공간(16)에 대기시킬 수 있다. 제2 공간(17)에 있는 사용자들의 목욕이 완료되면 배수구(13)를 개방하여 물을 배수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제1 공간(16)과 제2 공간(17)에 각각 배구수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가 완료되면, 목욕을 완료한 사용자를 터브(10) 밖으로 안내하고, 제1 공간(16)에 대기하던 다른 사용자를 제2 터브(10)에 위치시킨 후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그러면, 다수의 사람을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목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목욕 시설은 또 다른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공간(16)과 제2 공간(17)에 각각 사용자들을 수용한 후에 상기 제1 공간(16)과 제2 공간(17)에 따로 따로 물을 공급한다. 그러면, 두 개의 욕조에서 각각 다른 사용자들을 목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욕 시설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들, 즉 독거 노약자나 지체 장애인 등에게 목욕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이들이 거주하는 곳으로 직접 이동할 수 있는 버스 차량에 목욕 시설이 장착되므로 매우 편리하다.
한편, 상기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범위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욕 시설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이동 가능한 버스 차량에 장착되므로,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들의 거주지에 찾아가 독거 노약자 또는 지체 장애인들에게 목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둘째, 터브의 일측에 개폐판이 있으므로, 개방된 터브의 일측을 통해 봉사자들이 사용자들을 용이하게 터브 내로 이동시킬 수 있다.
셋째, 터브의 중간에 터브 내의 공간을 두 개의 독립된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는 구획판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두 개의 욕조에서 다수의 사용자들을 각각 목욕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부는 제2 공간에서 목욕시키고 일부는 제1 공간에 대기시킬 수 있으므로 다수의 사용자들을 연속적으로 편리하게 목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욕 시설이 장착된 버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버스를 나타낸 측면도; 그리고
도 3은 도 1의 목욕 시설에서 터브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버스 2: 객실
10:터브 11: 바디
12: 구획판 13: 배수구
14: 스토퍼 15: 개폐판
16: 제1 공간 17: 제2 공간
20: 물탱크 30: 보일러
40: 샤워기 50: 드레인 호스
60: 여과기

Claims (2)

  1. 버스(1)의 객실(2) 내에 설치되는 터브(10)와;
    상기 버스(1)의 객실(2) 하측에 있는 화물실(3)에 설치되는 물탱크(20)와;
    상기 버스(1) 내에 설치되고 상기 물탱크(20)와 연결되어 물을 가열하는 보일러(30)와;
    상기 보일러(30)와 연결되고 상기 터브(10) 내에 물을 공급하는 샤워기(40)와;
    일단이 상기 터브(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버스(1)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드레인 호스(50)와;
    상기 드레인 호스(50)의 중간 또는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드레인 호스(50)를 통해 버스(1)의 외부로 배출되는 물을 여과하는 여과기(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장착용 목욕 시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10)는,
    길이 방향 일단과 상측이 개방되고 바닥면에는 배수구(13)가 형성된 바디(11)와,
    상기 바디(11)의 개방된 길이 방향 일단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11)에 힌지 결합되는 개폐판(15)과,
    일단이 상기 바디(11)의 폭 방향 일측 내면에 힌지 결합되고, 회전하면서 상기 터브(10)의 내부 공간을 하나의 연통된 공간 또는 두 개의 독립된 공간으로 만드는 구획판(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장착용 목욕 시설.
KR1020030064999A 2003-09-19 2003-09-19 버스 장착용 목욕 시설 KR200500290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999A KR20050029002A (ko) 2003-09-19 2003-09-19 버스 장착용 목욕 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999A KR20050029002A (ko) 2003-09-19 2003-09-19 버스 장착용 목욕 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9002A true KR20050029002A (ko) 2005-03-24

Family

ID=37385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4999A KR20050029002A (ko) 2003-09-19 2003-09-19 버스 장착용 목욕 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900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928B1 (ko) * 2008-03-05 2008-05-23 이텍산업 주식회사 이동용 목욕차
KR100906352B1 (ko) * 2008-10-22 2009-07-13 주식회사 오텍 목욕차량
KR101327132B1 (ko) * 2012-06-21 2013-11-0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
KR20220104453A (ko) * 2021-01-18 2022-07-26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목욕차량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928B1 (ko) * 2008-03-05 2008-05-23 이텍산업 주식회사 이동용 목욕차
KR100906352B1 (ko) * 2008-10-22 2009-07-13 주식회사 오텍 목욕차량
KR101327132B1 (ko) * 2012-06-21 2013-11-0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식 목욕 지원 설비
KR20220104453A (ko) * 2021-01-18 2022-07-26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목욕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0817A (en) Compact personal hygiene center
JPH0522545B2 (ko)
US20080083063A1 (en) Bathtub insert
CA2244527A1 (en) Prefabricated modular invalid bathroom unit
KR20050029002A (ko) 버스 장착용 목욕 시설
US6151727A (en) Bathtub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US20200260915A1 (en) Portable and removable ablution station
US2557470A (en) Unitary bathroom structure
JP2525974Y2 (ja) 浴室ユニット
KR100336334B1 (ko) 지체부자유자용 간이 이동목욕차량
KR200453853Y1 (ko) 방문 목욕 서비스용 차량
CN219904352U (zh) 一种列车卫生间
JPH05512Y2 (ko)
CN114961358A (zh) 一种蓄水池可通过活动门加高的洗浴房
JPH08333788A (ja) 衛生設備
JP4382887B2 (ja) シャワールーム
JP2001323669A (ja) 浴室周辺構造
JPS5938952Y2 (ja) トイレ付風呂
KR200172872Y1 (ko) 이동 목욕차
JPS6112878Y2 (ko)
JPH0750527Y2 (ja) ベンチ付浴室ユニット
JP2888816B1 (ja) 入浴装置の配管構造
JPH0626217A (ja) 浴室設備
US20040083543A1 (en) Water-closet and bidet combination
JP2549246B2 (ja) 多所帯型浴室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