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5122B1 -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5122B1
KR101325122B1 KR1020100140026A KR20100140026A KR101325122B1 KR 101325122 B1 KR101325122 B1 KR 101325122B1 KR 1020100140026 A KR1020100140026 A KR 1020100140026A KR 20100140026 A KR20100140026 A KR 20100140026A KR 101325122 B1 KR101325122 B1 KR 101325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mposition
smoking
removal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40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7900A (ko
Inventor
배정빈
Original Assignee
소셜테크 주식회사
배정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셜테크 주식회사, 배정빈 filed Critical 소셜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40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122B1/ko
Priority to JP2011125212A priority patent/JP2012140398A/ja
Publication of KR20120077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7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3Liquid-solid separation, e.g. centrifugation, sedimentation or crystalliz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피추출물로 이루어진 천연 생리 조성물, 복합 생리활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커피추출물로 이루어진 천연 생리 조성물 20 내지 60 중량부 및 복합 생리활성 조성물 23 내지 78 중량부을 혼합하는 혼합물제조단계, 전술한 혼합물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 10 중량부에 증류수 200 내지 250 중량부를 혼합하고, 가열하는 제1가열단계, 전술한 제1가열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냉각하는 냉각단계, 냉각된 혼합물을 가열하는 제2가열단계, 전술한 제2가열단계를 통해 추출된 추출액을 원심분리하는 원심분리단계, 원심분리된 추출액을 여과하는 여과단계를 통해 제조된다.

Description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MPOSITION FOR AID TO STOP SMOKING HAVING EFFECT OF NICOTINE ELIMINA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피추출물로 이루어진 천연 생리 조성물 및 복합 생리활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혼합물제조단계, 가열하는 제1가열단계, 냉각단계, 제2가열단계, 원심분리단계, 여과단계를 통해 제조된다.
본 발명은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피추출물로 이루어진 천연 생리 조성물 및 복합 생리활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혼합물제조단계, 가열하는 제1가열단계, 냉각단계, 제2가열단계, 원심분리단계, 여과단계를 통해 제조된다.
담배가 중독현상을 나타내는 이유는 니코틴에 있는데, 이러한 니코틴은 일반적으로 담배 1개비 속에 0.2 내지 0.6 밀리그램이 함유되어 있으며, 체내에 니코틴의 양이 약 1 밀리그램/Kg이면 사망에도 이를 수 있는 독극물이다. 담배를 처음 피우거나 너무 많이 피웠을 때 가벼운 구토증, 현기증, 두통이 생기는 것은 니코틴이 신경을 마비시키기 때문이며, 니코틴은 중추 신경 자극, 모세혈관 수축으로 인한 혈압 상승, 심장 운동 촉진 등의 작용을 나타내므로 흡연을 하게 되면 맥박이 빨라져 심장에서 나오는 혈액의 양이 증가하고, 침의 분비가 늘면서 일시적으로는 위의 운동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니코틴의 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 오히려 역효과가 일어나 위의 운동을 줄이게 되고, 임산부의 경우에 태반의 혈액 흐름을 방해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건강에 피해를 주는 물질 중에 담배가 차지하는 비중은 커지고 있는 추세로, 흡연과 질병 발생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1900년대 중반 이후 집중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했으며, 흡연으로 인한 폐암을 비롯한 각종 질병의 발생 증가와 다른 건강장애에 대한 증거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담배중독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며, 담배 중독의 가장 큰 해결과제로 대두 된 니코틴 제거와 해독 등에 관한 특허출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출원된 특허에 기재된 내용은 추출물을 고농도로 투여했을 경우에만 니코틴 제거효과나 인체 내부 해독 작용 등의 효과가 나타나는 단점이 있어 그 이용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니코틴 제거 효과가 있는 물질이 있다 하더라도, 흡연 습관이 몸에 베인 흡연자로 하여금 추가적인 흡연을 차단하도록 하는 효과가 미흡하여, 지속적인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상세포에 대해 독성이 낮고, 저 농도에서도 체내에 쌓인 니코틴 제거 효과가 우수한 커피추출물로 이루어진 천연 생리 조성물 및 복합 생리활성 조성물이 함유되어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연자의 흡연습관에 맞추어 약물전달용 흡입기 또는 전자흡입기를 이용하여 폐에 직접적으로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흡연자의 흡연욕구를 해소함과 동시에 담배로부터 유입된 각종 독소의 제거효과가 우수한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피추출물로 이루어진 천연 생리 조성물 및 복합 생리활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니코틴 제거 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은 커피추출물로 이루어진 천연 생리 조성물 20 내지 60 중량부, 복합 생리활성 조성물 23 내지 78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천연 생리 조성물은 커피콩 추출물 또는 원두커피 추출물로 이루어지거나, 원두커피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에 폴리페놀계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이 함유된 첨가제 2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복합 생리활성 조성물은 고과 3 내지 10 중량부, 강황 3 내지 10 중량부, 용안육 3 내지 10 중량부, 유백피 3 내지 10 중량부, 삼백초 3 내지 10 중량부, 당귀 2 내지 7 중량부, 황금 2 내지 7 중량부, 황정 2 내지 7 중량부 및 박하 2 내지 7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3개의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에는 용제 5 내지 90 중량부가 더 첨가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용제는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콜 및 글리세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보조용 조성물에 착향제 3 내지 20 중량부 더 첨가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착향제는 바닐라, 멘톨, 리나룰, 라벤더, 귤껍질 추출물, 커피향, 과일향, 2,5-디메틸피라진, 2-아세틸파라진, 사과산 및 알칼로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보조용 조성물에 타바논이 1 내지 10 중량%가 함유된 연초유, 담배식물 추출물 및 담배향이 첨가된 식물성 에센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에 엽산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첨가제 3 내지 50 중량부가 더 첨가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보조용 조성물은 약물전달용 흡입기 또는 전자흡입기를 통해 폐로 전달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피추출물로 이루어진 천연 혼합생리 조성물 20 내지 60 중량부 및 생리 활성조성물 23 내지 78 중량부을 혼합하는 혼합물제조단계, 상기 혼합물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 10 중량부에 증류수 200 내지 250 중량부를 혼합하고, 가열하는 제1가열단계, 상기 제1가열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냉각하는 냉각단계, 냉각된 혼합물을 가열하는 제2가열단계, 상기 제2가열단계를 통해 추출된 추출액을 원심분리하는 원심분리단계 및 원심분리된 추출액을 여과하는 여과단계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천연 생리 조성물은 커피콩 추출물 또는 원두커피 추출물로 이루어지거나, 원두커피 70 내지 80 중량부에 폴리페놀계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이 함유된 첨가제 2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복합 생리활성 조성물은 고과 3 내지 10 중량부, 강황 3 내지 10 중량부, 용안육 3 내지 10 중량부, 유백피 3 내지 10 중량부, 삼백초 3 내지 10 중량부, 당귀 2 내지 7 중량부, 황금 2 내지 7 중량부, 황정 2 내지 7 중량부 및 박하 2 내지 7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3개의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가열단계 80℃의 온도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이루어지며, 상기 제2가열단계는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냉각단계는 4 내지 10℃의 온도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원심분리단계는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200 내지 800rpm의 속도로 20 내지 30분간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여과단계 이후에는 여과된 추출액에 용제 5 내지 90 중량부를 첨가하는 용제첨가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용제는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콜 및 글리세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용제첨가단계 후에는 착향제 및 첨가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첨가하는 첨가제혼합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은 정상세포에 대해 독성이 낮고, 저 농도에서도 체내에 쌓인 니코틴 제거 효과가 우수한 커피추출물로 이루어진 천연 생리 조성물 및 복합 생리활성 조성물이 함유되어 니코틴 제거효율이 우수한 금연보조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흡연자의 흡연습관에 맞추어 약물전달용 흡입기 또는 전자흡입기를 이용하여 폐에 직접적으로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흡연자의 흡연욕구를 해소함과 동시에 담배로부터 유입된 각종 독소의 제거효과가 우수한 금연보조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보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추출된 추출물을 5일간 투여한 후, 담배연기를 처리한 쥐의 혈액 내 코티닌 농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추출된 추출물을 5일간 투여한 후, 담배연기를 처리한 쥐의 뇨 중 코티닌 농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담배연기처리 후,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추출된 추출물을 투여한 쥐의 혈액 내 코티닌 농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 및 도 9는 담배연기 처리 후 1일, 3일, 5일차로 경과됨에 따라 전술한 실시예 1을 통해 추출된 추출물 200㎕를 경구 투여한 처리군과 500㎕를 경구 투여한 처리군의 혈액과 뇨에 함유된 니코틴의 제거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담배연기처리 후,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추출된 추출물을 투여한 쥐의 혈액과 뇨에 함유된 코티닌의 농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은 커피추출물로 이루어진 천연 생리 조성물 및 복합 생리활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커피추출물로 이루어진 천연 생리 조성물 20 내지 60 중량부, 복합 생리활성 조성물 23 내지 78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은 용제 5 내지 90 중량부가 더 첨가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은 착향제 3 내지 20 중량부 및 첨가제 3 내지 50 중량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이 더 함유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술한 커피추출물로 이루어진 천연 생리 조성물은 커피콩 추출물 또는 원두커피 추출물로 이루어지거나, 원두커피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에 폴리페놀계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이 함유된 첨가제 2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데, 전술한 성분들로 이루어지는 천연 생리 조성물은 커피원두에 함유된 카페스톨이나 카와웰로 인해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염증 및 발암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도록 하여, 장기간 흡연자의 폐 등에 암 발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외에도 커피콩에는 폴리레놀이라는 항산화 및 항암효과가 인정된 물질이 들어있어 다른 생리 활성 물질과 결합 시에는 이러한 효과가 증진 발현되는 생리활성화가 이루어진다.
또한, 지방분해 작용과 함께 노폐물을 체외로 배출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체내에 쌓여있는 니코틴 성분을 몸 밖으로 빠르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커피추출물을 제조할 경우에는 커피콩이나 원두커피를 C1 -6의 저급알코올 또는 C3 -6의 저급 유기산 또는 C3 -6의 저급알코올 에스테르 또는 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다.
전술한 복합 생리활성 조성물은 고과 3 내지 10 중량부, 강황 3 내지 10 중량부, 용안육 3 내지 10 중량부, 유백피 3 내지 10 중량부, 삼백초 3 내지 10 중량부, 당귀 2 내지 7 중량부, 황금 2 내지 7 중량부, 황정 2 내지 7 중량부 및 박하 2 내지 7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3개의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고과는 3 내지 10 중량부가 첨가되며, 포도당 연소를 돕고 포도당이 체내에서 재합성되지 않게 하여 혈당을 낮춰주는 식물성 인슐린성분(Polypeptide P)과,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의 기능을 활발하게 하는 지용성 성분인 카란틴(Charantin)과, HIV 바이러스의 복제를 억제하는 단백질성분(MAP30; Momordica Anti-HIV Protein으로 명명)과, 100g 중 120mg이 들어 있는 비타민 C과, 비타민 A로 전환되는 베타 카로틴 및 철, 칼륨 등의 미네랄을 포함하고 있으며, 항염, 항독, 해독, 살균 및 정혈과 같은 약리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열에 파괴되지 않는 비타민C를 비롯한 폴리펩타이드 성분과 단백질 등과 같은 항염, 항독, 해독 및 살균 성분 등이 충분히 공급되도록 하며, 본 발명에 따른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에 첨가되어 인체면역 기능의 강화와 니코틴 및 독성 물질의 완화 및 해독 작용을 한다.
이때, 전술한 고과는 3 중량부 이상으로 사용되어야만 그 효과가 지속적으로 발현될 수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효과는 증가하지 않으면서, 다른 성분과의 균형이 맞지 않기 때문에, 3 내지 10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강황은 3 내지 10 중량부가 첨가되며, 본 발명에 따른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에 첨가되어 항산화, 항암, 항돌연변이, 항염, 치매 예방, 간기능 보호 및 장애억제, 콜레스테롤 감소 등 각종 생리 효능을 나타내며,특히 항암효과가 우수하여, 흡연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암을 예방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전술한 강황은 3 중량부 이상으로 사용되어야만 그 효과가 지속적으로 발현될 수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효과는 증가하지 않으면서, 다른 성분과의 균형이 맞지 않기 때문에, 3 내지 10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용안육은 3 내지 10 중량부가 첨가되며,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에 첨가되어 신체에 깨끗한 혈액이 순환되게 하여 머리를 맑게 해주는 역할을 하며, 특히, 금연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니코틴에 의한 불안감과 신경 불안을 줄여주어 금연에 도움이 되도록 하며, 흡연에 의한 폐질환 예방, 해독 및 신경불안 완화와 같은 역할을 한다.
이때, 전술한 용안육은 3 중량부 이상으로 사용되어야만 그 효과가 지속적으로 발현될 수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효과는 증가하지 않으면서, 다른 성분과의 균형이 맞지 않기 때문에, 3 내지 10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유백피는 3 내지 10 중량부가 첨가되며,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에 첨가되어 항염증 작용 및 면역 기능을 활성화하는 역할을 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에 첨가되어 항산화 효과 및 혈관 내 생리 효과를 포함한 부종을 방지하고, 유해물질의 해독 및 배출 기능을 활성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전술한 유백피는 3 중량부 이상으로 사용되어야만 그 효과가 지속적으로 발현될 수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효과는 증가하지 않으면서, 다른 성분과의 균형이 맞지 않기 때문에, 3 내지 10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삼백초는 3 내지 10 중량부가 첨가되며,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에 첨가되어 이뇨작용을 촉진하고, 향균 및 항소염 작용 등의 역할을 한다.
이때, 전술한 삼백초는 3 중량부 이상으로 사용되어야만 그 효과가 지속적으로 발현될 수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효과는 증가하지 않으면서, 다른 성분과의 균형이 맞지 않기 때문에, 3 내지 10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당귀는 2 중량부 이상으로 사용되어야만 그 효과가 지속적으로 발현될 수 있으며, 7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효과는 증가하지 않으면서, 다른 성분과의 균형이 맞지 않게 되기 때문에, 2 내지 7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황금은 2 내지 7 중량부가 첨가되며, 피부의 가려움과 세균 트러블을 해소하고 항염증 작용과 이뇨 및 이담 작용으로 피부와 혈액을 건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황금은 본 발명에 따른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에 첨가되어 니코틴 및 타르와 같은 유독물질을 해독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때, 전술한 황금은 2 중량부 이상으로 사용되어야만 그 효과가 지속적으로 발현될 수 있으며, 7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효과는 증가하지 않으면서, 다른 성분과의 균형이 맞지 않기 때문에, 2 내지 7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황정은 2 내지 7 중량부가 첨가되며, 비경과 폐경에 작용하여 폐의 활성을 돕고 비장을 튼튼히 하는 역할을 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에 첨가되어 니코틴 및 타르와 같은 유독물질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황정이 2 중량부 이상으로 사용되어야만 그 효과가 지속적으로 발현될 수 있으며, 7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효과는 증가하지 않으면서, 다른 성분과의 균형이 맞지 않기 때문에, 2 내지 7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박하는 멘톨, 멘톤, 캄펜, 1-메탄올-D-글루코사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의 모세혈관을 확장시키며 해열작용이 있고, 혈관이완 작용과 위를 청소하며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또한, 소염작용, 진통작용, 건위작용, 강장작용, 이담작용, 식욕증진 및 피로회복에도 효과가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에 첨가되어 니코틴 및 타르와 같은 유독물질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박하가 2 중량부 이상으로 사용되어야만 그 효과가 지속적으로 발현될 수 있으며, 7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효과는 증가하지 않으면서, 다른 성분과의 균형이 맞지 않기 때문에, 2 내지 7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용제는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콜 및 글리세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용제는 전술한 천연 혼합생리 조성물 및 생리 활성조성물과 혼합되어 천연 혼합생리 조성물 및 생리 활성조성물의 기화를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인체에 무해한 물질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착향제는 바닐라, 멘톨, 리나룰, 라벤더, 귤껍질추출물, 커피향, 과일향, 2,5-디메틸피라진, 2-아세틸파라진, 사과산 및 알칼로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에 따른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을 기화시켜 흡입할 때, 금연 보조용 조성물이 갖는 향이 사용자에게 거부감을 주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첨가제는 상기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보조용 조성물에 타바논(메가스티그마트리에논, Megastigmatrienone)이 1 내지 10 중량%가 함유된 연초유, 담배식물 추출물 및 담배향이 첨가된 식물성에센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에 엽산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데, 일반 담배를 피울때 나타나는 담배향과 유사한 성분으로 제조되어, 흡연자가 담배를 끊고난 후에 금단현상을 갖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전술한 엽산은 연초유, 담배식물 추출물 및 담배향이 첨가된 식물성 에센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100 중량부에 0.5 내지 25 중량부가 첨가되어 금연 보조 기능을 활성화하고, 생리활성을 보조한다. 엽산(folic acid, Vitamin B9, pteroylglutamic acid)은 글루타민산에 방향성 고리가 결합된 형태의 글루타민산 유사체이다. 비타민의 일종으로 단백질의 대사를 돕고 핵산의 합성에 관여하고, 적혈구의 생산을 도와 악성 빈혈을 예방해 준다. 특히 세포 조직 내에서 효소에 의해 환원 되어 활성 보조 효소형인 테트라히드로폴릭산(THF)으로 전환되어서 세포성장 및 재생에 관여하고, 특히 신진대사반응에 관여하여 1-탄소기의 중간운반체로 작용한다. 최근에는 발암과정에서 발암인자 유전자의 작동에 관여하는 메틸기의 생성을 돕고 발암 스위치를 끄는 기능을 갖는다는 연구 결과가 알려져 있다.
또한, 임산부의 기형아 출산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흡연을 하고 있는 임산부들에게 유용하다.
전술한 성분으로 이루어진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보조용 조성물은 건강보조 식품의 개념으로 구강을 통해 직접 체내로 흡수할 수 있으며, 기화전환 효율이 우수한 기기를 이용해 폐 또는 체내로 흡입될 수도 있는데, 약물전달용 흡입기 또는 전자흡입기를 통해 흡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커피추출물로 이루어진 천연 생리 조성물 20 내지 60 중량부 및 복합 생리활성 조성물 23 내지 78 중량부을 혼합하는 혼합물제조단계(S101), 전술한 혼합물제조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 10 중량부에 증류수 200 내지 250 중량부를 혼합하고, 가열하는 제1가열단계(S103), 전술한 제1가열단계(S103)를 거친 혼합물을 냉각하는 냉각단계(S105), 냉각된 혼합물을 가열하는 제2가열단계(S107), 전술한 제2가열단계(S107)를 통해 추출된 추출액을 원심분리하는 원심분리단계(S109), 원심분리된 추출액을 여과하는 여과단계(S111)를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전술한 여과단계(S111) 이후에는 여과된 추출액에 용제 5 내지 90 중량부를 첨가하는 용제첨가단계(S113)가 더포함 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여과단계(S111) 이후에는 착향제 및 첨가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첨가하는 첨가제혼합단계(S115)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여과단계(S111) 이후에는 전술한 용제첨가단계(S113)와 첨가제혼합단계(S115)가 모두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용제첨가단계(S113)가 진행된 후에 첨가제혼합단계(S115)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혼합물제조단계(S101)는 커피추출물로 이루어진 천연 생리 조성물 20 내지 60 중량부 및 복합 생리활성 조성물 23 내지 78 중량부을 혼합하는 단계로, 전술한 천연 생리 조성물 및 복합 생리활성 조성물을 0.1 내지 2%의 수분을 함유한 상태로 건조, 세척 및 분쇄하고 음지에서 건조하여 혼합하는 단계다.
이때, 사용되는 커피추출물로 이루어진 천연 생리 조성물 및 복합 생리활성 조성물은 전술한 천연 생리 조성물 및 복합 생리활성 조성물과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제1가열단계(S103)는 전술한 혼합물제조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 10 중량부에 증류수 200 내지 250 중량부를 혼합하고, 가열하는 단계로, 80℃의 온도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이루어지는데, 이때, 전술한 증류수 대신 에탄올 및 에탄올과 증류수의 혼합물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추출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온에서 전술한 혼합물을 전술한 증류수에 3일 이상 침지한 후에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냉각단계(S105)는 전술한 제1가열단계(S103)를 거친 혼합물을 냉각하는 단계로, 정제수가 첨가되고 80℃의 온도로 가열된 혼합물의 추출효율을 높이기 위해 4 내지 10℃의 온도로 급냉한 후에 2 내지 3시간 동안 유지하는 단계다.
전술한 제2가열단계(S107)는 냉각된 혼합물을 가열하는 단계로, 전술한 냉각단계(S105)를 통해 4 내지 10℃의 온도로 냉각된 혼합물을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효율을 높이는 단계다.
전술한 원심분리단계(S109)는 전술한 제2가열단계(S107)를 통해 추출된 추출액을 원심분리하는 단계로,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200 내지 800rpm의 속도로 20 내지 30분간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원심분리단계(S109)를 통해 천연 생리 조성물 및 복합 생리활성 조성물에서 추출된 추출물이 별도로 분리된다.
전술한 여과단계는(S111)는 원심분리된 추출액을 여과하는 단계로, 300 내지 500 메시의 여과포를 이용하여 원심분리된 추출액을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다.
전술한 여과단계(S111)를 거치면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이 제조된다.
전술한 용제첨가단계(S113)는 전술한 여과단계(S111)를 통해 제조된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을 체내로 흡입하기 위해, 전술한 여과단계(S111)를 거쳐 여과된 추출액에 인체에 무해하면서 기화효율이 우수한 용제 5 내지 90 중량부를 첨가하는 단계다.
이때, 용제의 성분은 전술한 용제와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첨가제혼합단계(S115)는 착향제 및 첨가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첨가하는 단계로, 본 발명에 따른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을 흡입할 때, 거부감을 줄여줄 수 있도록 착향제를 첨가하거나, 흡연욕구를 억제해주는 담배유사 물질 또는 담배향이 첨가된 식물성 에센스로 이루어진 첨가제를 혼합하는 단계다.
이때, 착향제 및 첨가제는 전술한 착향제 및 첨가제와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시예 1>
커피콩 35 중량부, 고과 9 중량부, 강황 9 중량부, 용안육 9 중량부, 유백피 8 중량부, 삼백초 8 중량부, 당귀 8 중량부, 황금 7 중량부, 황정 7 중량부, 박하 5 중량부를 0.1 내지 2%의 수분을 함유하도록 건조하고, 세척 및 분쇄한 후에 음지에서 건조하여 혼합하고, 혼합물 10 중량부에 증류수 200 내지 250 중량부를 혼합하고, 80℃의 온도에서 8시간 동안 가열하고, 가열된 혼합물을 7℃의 온도로 급냉한 후에 2 시간 동안 유지하고, 냉각된 혼합물을 90℃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고, 가열된 혼합물에 함유된 추출물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500rpm의 속도로 25분간 원심분리하고, 원심분리된 추출액을 300 내지 500 메시의 여과포로 여과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을 통해 추출된 추출물을 쥐에 섭취토록하고 니코틴에 대한 반응성을 측정하였다.
{단, 5 내지 6주령의 체중 250 내지 270g의 스프라그-다우리(Sprague-Dawley)계 쥐(Korea)를 사용하였고, 시험실에서 일정한 조건(온도:22±3, 명암:12시간 명암주기)에서, 사료와 음수의 자유로운 섭취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약 일주일 간 순화시켜서 안정시킨 후, 사전 준비하여 각 군당 3 내지 5마리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혈액은 담배연기 및 시료 처리 후, 쥐의 심장에서 직접 채혈한 것을 사용하였고, 시간대 별 혈액은 쥐 꼬리 동맥에서 주사기를 이용하여 5 내지 20 ㎕를 1, 2, 3, 5, 7일간 채혈하여 사용하였으며, urine은 매회 회수 가능한 부분(100 ㎕)을 채집하여 사용하였다.
니코틴(nicotine)은 체내에서 코티닌(cotinine)으로 변환되어 30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체내에 존재하게 되므로 니코틴의 대사물질인 코티닌의 양을 쥐의혈액 또는 오줌으로부터 채취하여 정량하였다.}
1. 실시예 1을 통해 추출된 추출물을 5일간 투여한 후, 담배연기를 처리한 쥐의 혈액 내 코티닌 농도변화.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담배연기 처리 전 5일간 매일 약 200㎕ 또는 500㎕의 농도로 본 발명 추출물을 경구 투여하였으며, 이후 담배연기를 2일간 7분씩 3회 처리한 다음, Human Cotinine ELISA Kit from Calbiotech, Inc(USA)를 이용하여 코티닌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쥐의 혈액에서 무처리군에 비해 담배연기 처리군에서는 약 10배 증가한 코티닌의 양이 검출되었다. 반면,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추출액 조성물 200㎕를 5일간 경구 투여한 처리군은 코티닌의 양이 약 30% 정도 감소하였고, 500㎕를 5일간 경구 투여한 처리군은 코티닌의 양이 약 50% 정도 감소하였다.
2. 실시예 1을 통해 추출된 추출물을 5일간 투여한 후, 담배연기를 처리한 쥐의 뇨 중 코티닌 농도변화.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담배연기 처리 전 5일간 매일 약 200㎕ 또는 500㎕의 농도로 실시예 1을 통해 추출된 추출물을 경구 투여하였으며, 이후 담배연기를 2일 간 7분씩 3회 처리한 다음, Human Cotinine ELISA Kit from Calbiotech, Inc(USA)를 이용하여 코티닌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쥐의 오줌에서 무처리군에 비해 담배연기 처리군에서는 약 50 내지 60배 증가한 코티닌의 양이 검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실시예 1을 통해 추출된 추출물 200㎕를 5일간 경구 투여한 처리군은 코티닌의 양이 약 65% 정도 감소하였고, 500㎕를 5일간 경구 투여한 처리군은 80 내지 90% 정도 코티닌의 양이 감소하였다.
3. 담배연기처리 후, 실시예 1을 통해 추출된 추출물을 투여한 쥐의 혈액 내 코티닌 농도변화.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담배연기를 2일간 7분씩 3회 처리한 다음, 이후 1일, 2일, 3일 및 5일간 실시예 1을 통해 추출된 추출물 200㎕와 500㎕를 쥐에 체내에 경구투여 하였으며, 코티닌은 Human Cotinine ELISA Kit from Calbiotech, Inc(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담배연기 처리 후 1일 차에는 쥐의 혈액에서 무처리군에 비하여 담배연기기 처리된 군은 약 9배 이상의 코티닌이 검출되었다.
또한, 실시예 1을 통해 추출된 추출물 200㎕를 경구 투여한 처리군보다 500㎕를 경구 투여한 처리군이 코티닌의 제거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약 60 내지 90% 정도의 코티닌 감소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담배연기 처리 후 3일차 쥐의 혈액에서도 실시예 1을 통해 추출된 추출물 200㎕를 경구 투여한 처리군 보다 500㎕를 경구투여한 처리군이 코티닌의 제거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도 6 내지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담배연기 처리 후 1일, 3일, 5일차로 경과 되어도 전술한 실시예 1을 통해 추출된 추출물 200㎕를 경구 투여한 처리군과 500㎕를 경구 투여한 처리군의 니코틴 제거 효과가 유사하게 지속되는 것을 알 수 있다.
4. 담배연기처리 후, 실시예 1을 통해 추출된 추출물을 투여한 쥐의 뇨(Urine)중 코티닌 농도측정.
담배연기를 2일간 7분씩 3회 처리한 다음, 시료는 처음 1일 및 3일간 시료 200㎕, 500㎕를 쥐에 매일 경구투여 하였으며, 코티닌은 Human Cotinine ELISA Kit from Calbiotech, Inc(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담배연기 처리 후 1일차 쥐의 뇨에서 무 처리군에 비해 담배연기를 처리한 군은 약 10배 이상의 코티닌이 검출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전술한 실시예 1을 통해 추출된 추출물 200㎕를 경구 투여한 처리 군에서는 코티닌의 양이 약 70% 정도 감소하였으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담배연기 처리 후 3일차인 쥐의 뇨에서도 무처리군에 비해 담배연기를 처리한 군이 약 9배 이상의 코티닌 검출량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전술한 실시예 1을 통해 추출된 추출물 200㎕를 경구 투여한 처리군에서는 코티닌의 양이 약 60% 정도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500㎕를 경구 투여한 처리군에서는 코티닌의 양이 약 90% 정도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5. 실시예 1을 통해 추출된 추출물의 타르 제거 효과를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타르제거 효과는 각각 쥐 5마리에 30mg/kg의 타르 10㎖를 복강 주사하고 실시예 1을 통해 추출된 추출물을 7일간 복용시킨 A군과 30mg/kg의 타르 10㎖를 복강 주사한 뒤 물을 복용시킨 B군으로 나누어 경시적으로 생존여부를 관찰하였다.}
<표 1>
Figure 112010087965112-pat00001
위에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을 통해 추출된 추출물을 복용시킨 A군은 대부분 생존하였으며, 이를 통해 실시예 1을 통해 추출된 추출물은 타르성분을 해독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을 통해 추출된 추출물에 90 중량부에 프로필렌글리콜 45 중량부를 첨가하여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의 거부감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효과없음 : 1점, 약간개선 2점, 보통 : 3점, 많이개선 : 4점, 매우개선 :5점
{단, 거부감 관능검사는 관능검사를 위한 피시험자는 하루 1갑 이상의 궐련담배를 애용하는 흡연자로 향후 금연에 관심이 있거나, 금연을 하고 싶어 하나 현재 흡연을 계속하고 있으며, 금연을 성공하지 못한 사람(100명)으로 하였다. 전자 흡입기는 이티에스생명과학주식회사(한국 제조사, 서울)의 모닝플러스(2011년형 국내 제조 신제품)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을 20명씩 5그룹으로 나누어진 사람들에게 사용하되, 1개의 전자흡입기에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보조용 조성물을 2 내지 3그램(1g 용량의 충전카트리지 2 내지 3개) 충전하여 사용하였고, 검사기간에는 금연을 실시하였으며, 1일 2회에 걸쳐 4 내지 6(1g 용량의 충전카트리지 4 내지 6개)그램을 충전하여 사용하도록 하였다.}
<표 2>
Figure 112010087965112-pat00002
위에 표 2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은 모든 항목에서 흡연으로 인한 증상에 비해 개선된 증상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을 흡입한 사람들의 금연 성공효율을 측정하여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단, 금연 의지가 있는 사람들로 참가자를 선정하고, 시험을 통해 그 결과를 지속 관찰하였으며, 지속적인 면담을 통하여 금연 지속 여부를 심도있게 관찰하였다. 다만 성별, 흡연 기간를 고려하지 않은 모집단으로, 10대에서 70대에 이르는 다양한 연령군이며, 총 흡연자 100명을 연령별로 2개의 집단으로 분류하였고, 시험기간 중에는 음주를 삼가도록 권장하였으며, 물을 충분히 섭취하도록 하였다.
10 주간을 목표로 시행하였으며, 검사시작 전 담배의 폐해에 대한 경고와 발암유발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였고, 1주차에는 하루에 1g의 금연 보조용 카트리지 2개만 사용토록 했으며, 2주차부터는 본인의 희망에 따라 제한 없이 공급하여 금연에 집중하도록 하였다. 일반적으로는 1g의 금연 보조용 카트리지 4 내지 6개 즉, 하루에 4 내지 6g의 금연보조용 조성물을 흡입하였다.
금연성공은 1주일 이상 흡연을 하지 않았을 경우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고, 1주일 이내에 흡연을 하는 경우는 금연실패로 분류하였다.)
<표 3>
Figure 112010087965112-pat00003
위에 표 2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을 흡입한 사람들 대부분이 1주 이상 금연에 성공하였으며, 4주 이내의 기간 동안 일주일 이상 흡연을 하지 않게 된 인원은 10 내지 30대가 98% 이고, 40 내지 70대가 82%로 관찰되었으며, 설문조사 결과 금연에 성공한 사람들 대부분은 흡연 욕구가 대폭 감소하는 것을 느꼈으며, 10주동안 지속적으로 관찰한 결과 금연을 계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101 ; 혼합물제조단계
S103 ; 제1가열단계
S105 ; 냉각단계
S107 ; 제2가열단계
S109 ; 원심분리단계
S111 ; 여과단계
S113 ; 용제첨가단계
S115 ; 첨가제혼합단계

Claims (19)

  1. 커피추출물로 이루어진 천연 생리 조성물 및 복합 생리활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합 생리활성 조성물은 고과 3 내지 10 중량부, 강황 3 내지 10 중량부, 용안육 3 내지 10 중량부, 유백피 3 내지 10 중량부, 삼백초 3 내지 10 중량부, 당귀 2 내지 7 중량부, 황금 2 내지 7 중량부, 황정 2 내지 7 중량부 및 박하 2 내지 7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니코틴 제거 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은 커피추출물로 이루어진 천연 생리 조성물 20 내지 60 중량부, 복합 생리활성 조성물 23 내지 78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연 생리 조성물은 커피콩 추출물 또는 원두커피 추출물로 이루어지거나, 원두커피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에 폴리페놀계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이 함유된 첨가제 2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에는 용제 5 내지 90 중량부가 더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콜 및 글리세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보조용 조성물에 착향제 3 내지 20 중량부 더 첨가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착향제는 바닐라, 멘톨, 리나룰, 라벤더, 귤껍질 추출물, 커피향, 과일향, 2,5-디메틸피라진, 2-아세틸파라진, 사과산 및 알칼로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보조용 조성물에 타바논이 1 내지 10 중량%가 함유된 연초유, 담배식물 추출물 및 담배향이 첨가된 식물성 에센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에 엽산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첨가제 3 내지 50 중량부가 더 첨가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보조용 조성물은 약물전달용 흡입기 또는 전자흡입기를 통해 폐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
  11. 커피추출물로 이루어진 천연 혼합생리 조성물 20 내지 60 중량부 및 복합 생리활성 조성물 23 내지 78 중량부을 혼합하는 혼합물제조단계;
    상기 혼합물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 10 중량부에 증류수 200 내지 250 중량부를 혼합하고, 가열하는 제1가열단계;
    상기 제1가열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냉각하는 냉각단계;
    냉각된 혼합물을 가열하는 제2가열단계;
    상기 제2가열단계를 통해 추출된 추출액을 원심분리하는 원심분리단계; 및
    원심분리된 추출액을 여과하는 여과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합 생리활성 조성물은 고과 3 내지 10 중량부, 강황 3 내지 10 중량부, 용안육 3 내지 10 중량부, 유백피 3 내지 10 중량부, 삼백초 3 내지 10 중량부, 당귀 2 내지 7 중량부, 황금 2 내지 7 중량부, 황정 2 내지 7 중량부 및 박하 2 내지 7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천연 생리 조성물은 커피콩 추출물 또는 원두커피 추출물로 이루어지거나, 원두커피 70 내지 80 중량부에 폴리페놀계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이 함유된 첨가제 2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삭제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단계 80℃의 온도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이루어지며, 상기 제2가열단계는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냉각단계는 4 내지 10℃의 온도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단계는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200 내지 800rpm의 속도로 20 내지 30분간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여과단계 이후에는 여과된 추출액에 용제 5 내지 90 중량부를 첨가하는 용제첨가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보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콜 및 글리세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용제첨가단계 후에는 착향제 및 첨가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첨가하는 첨가제혼합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보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00140026A 2010-12-31 2010-12-31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25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026A KR101325122B1 (ko) 2010-12-31 2010-12-31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1125212A JP2012140398A (ja) 2010-12-31 2011-06-03 ニコチン除去効果を有する禁煙補助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026A KR101325122B1 (ko) 2010-12-31 2010-12-31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900A KR20120077900A (ko) 2012-07-10
KR101325122B1 true KR101325122B1 (ko) 2013-11-06

Family

ID=46677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40026A KR101325122B1 (ko) 2010-12-31 2010-12-31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2140398A (ko)
KR (1) KR1013251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451B1 (ko) 2014-01-17 2016-02-05 장영창 니코틴 해독작용을 가지는 생약재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30393A (zh) * 2014-03-27 2014-06-04 袁萍 一种稳定的姜黄素保健组合物
CN104225419A (zh) * 2014-09-11 2014-12-24 张慧丽 一种膏药及其制作方法
CN105031202B (zh) * 2015-08-11 2018-08-24 钟传新 一种具有健脑功能的药酒
CN105687763A (zh) * 2016-03-22 2016-06-22 济南邦文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治疗2型糖尿病合并高血压的中药组合物
JP2022071835A (ja) * 2020-10-28 2022-05-16 住友化学株式会社 月経随伴症状の予防、改善又は緩和のための組成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7834A (ja) * 1997-10-31 1999-05-18 Kayoko Sora コーヒーたばこ及び金属酸化物フィルター
JPH11215977A (ja) * 1998-01-30 1999-08-10 Kayoko Sora コーヒーたばこ
KR20010079406A (ko) * 2001-07-12 2001-08-22 김진경 카페인이 첨가된 금연 보조용 담배의 제조방법
KR100400942B1 (ko) 2001-04-10 2003-10-08 김진경 담배의 잎을 대체하는 담배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7834A (ja) * 1997-10-31 1999-05-18 Kayoko Sora コーヒーたばこ及び金属酸化物フィルター
JPH11215977A (ja) * 1998-01-30 1999-08-10 Kayoko Sora コーヒーたばこ
KR100400942B1 (ko) 2001-04-10 2003-10-08 김진경 담배의 잎을 대체하는 담배의 제조방법
KR20010079406A (ko) * 2001-07-12 2001-08-22 김진경 카페인이 첨가된 금연 보조용 담배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451B1 (ko) 2014-01-17 2016-02-05 장영창 니코틴 해독작용을 가지는 생약재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40398A (ja) 2012-07-26
KR20120077900A (ko)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5122B1 (ko) 니코틴 제거효과를 갖는 금연 보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6845777B2 (en) Composition to reduce or quit smoking addiction
KR100739872B1 (ko) 녹차를 주성분으로 한 담배대용품 및 그 제조방법
WO2021003467A1 (en) Metered dos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of psychedelic compounds
KR100370340B1 (ko) 담배 대용 조성물
CN101391093B (zh) 一种戒烟液及其制备方法
CN110367581A (zh) 一种由工业大麻提取的含大麻酚类成分的组合物及其在烟草制品中的用途
CN110214972B (zh) 一种香烟添加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1991182A (zh) 一种利用低等级茶叶、茶末等茶叶原料造纸法生产无毒无害烟叶的方法
RU2701567C1 (ru) Средство, обладающее гепатопротекторной активностью
AU710108B2 (en) Medicinal composition for diabetes
JP2007518418A (ja) 宿酔解消及び肝機能回復に効果がある天然茶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950740B (zh) 一种富含硒的烟草口香糖
JP7303969B2 (ja) 電子タバコ用液体組成物及びそれを有する電子タバコ
JP7228544B2 (ja) 有効成分としてヤブラン(Liriope platyphylla)の抽出物を含む、ニコチン中毒の予防又は治療用の組成物
CN115721685A (zh) 一种彼岸花的药物组合物和用途
CN114652777A (zh) 一种用于缓解肺部炎症的电子雾化液及其制备方法
KR100873349B1 (ko) 금연 보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9198943B2 (en) Silene capensis for inhibiting cravings
KR102421081B1 (ko) 나이아신을 포함하는 금연 보조제 조성물
KR20110057323A (ko) 흡연 시 발생하는 체내 유독성분 제거효능을 가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3749279A (zh) 一种咖啡味提神烟弹烟油及其制备方法
JPH01202280A (ja) スイカズラ属植物からなる喫煙たばこおよび添加賦形物
JP5969308B2 (ja) 血管内皮細胞の一酸化窒素分泌促進剤又は分泌誘導剤
WO2009031730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moking cessation aiding drink and a smoking cessation aiding drink manufactured by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