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7323A - 흡연 시 발생하는 체내 유독성분 제거효능을 가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흡연 시 발생하는 체내 유독성분 제거효능을 가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7323A
KR20110057323A KR1020090113676A KR20090113676A KR20110057323A KR 20110057323 A KR20110057323 A KR 20110057323A KR 1020090113676 A KR1020090113676 A KR 1020090113676A KR 20090113676 A KR20090113676 A KR 20090113676A KR 20110057323 A KR20110057323 A KR 20110057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licorice
ogapi
weight
injinh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경대호
Original Assignee
경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대호 filed Critical 경대호
Priority to KR1020090113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7323A/ko
Publication of KR20110057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32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4Acanthopanax or Eleuther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3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use or dependence
    • A61P25/34Tobacco-abu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ddiction (AREA)
  • Psychia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연 시 연초의 증기를 흡입함으로써 체내에 쌓이게 되는 유독성분들을 제거하는 생약 조성물(D-5)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래로 사용되어 오던 천연 생약제 중 인진호, 오가피, 삼백초, 오미자, 감초 5종을 혼합용매와 혼합하여 얻어진 생성물을 감압 농축하여 생약제를 제조함으로써, 흡연 시 체내에 쌓이게 되는 유독 성분들을 제거하고, 강장효과를 가지는 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흡연, 연초, 유독성분, 천연, 생약제, 인진호, 오가피, 삼백초, 오미자, 감초

Description

흡연 시 발생하는 체내 유독성분 제거효능을 가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Removal composition for internal poison from smoking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ion}
본 발명은 흡연의 폐해를 알고 있지만 아직까지 금연하지 못하고 있는 흡연자들이 일상적으로 섭취할 수 있도록 생약제 들을 다소간 혼합하여 인체 내에 쌓이게 되는 유독 성분들을 더욱 용이하게 분해하고, 체외배출을 돕는 작용을 하는 새로운 생약조성물(D-5)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문명의 발달로 인해 저렴하고 영양성분이 풍부한 음식물과 식품들이 많이 개발되어 왔다. 하지만 대량생산으로 인해 손쉽게 고 영양을 얻을 수 있는 등의 순기능과 더불어 각종 유독 성분들을 고농축으로 함유하는 식품들의 섭취가 늘어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의 귀결로써 현대인은 섭생의 기본적인 필요 이외에, 정제되어 있거나 첨가물들이 들어 있지 않은 자연식품들을 원하게 되었으며, 일반적인 식품들의 섭취는 어느 정도 조절 할 수 있는 방법들이 마련되어 왔다. 음식물들은 중독성을 가지지는 않기에 섭취의 조절로써도 위와 같은 폐해를 줄일 수 있으며, 다양한 각도로 그러한 대안들이 마련되어 왔다.
하지만, 사람들의 건강에 피해를 주는 많은 섭취물 중에, 원칙적으로는 조절 이 가능하면서도 담배만큼 피해를 주는 것은 없다. 폐해를 알면서도 흡연량을 줄이지 못하는 강한 중독성 때문이다. 현대인의 사망원인 중에 연관 질병을 차치하고 직접적인 원인으로도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것이 담배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흡연은 여러 가지 질병을 일으키는 발병 원인이 되며 흡연 시에 약 4,000여종의 화학적 성분이 생산되어 인체로 흡입된다. 담배연기는 기체성분과 미립자 성분으로 나눌 수 있다. 인체에 유해한 주요 기체 성분으로는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니트로사민, 질소화합물, 시안화수소, 암모니아 등이 있으며 미립자 성분의 유해 주요 물질은 니코틴, 타르, 석탄산, 포로늄210(방사선물질), 비소, 크레졸, 싸이나, 벤조피렌, 아크롤레인 등이 있다.
한번 흡연 시 대략 50mg의 담배연기가 인체로 흡입되는데 이때 미립자성분 18mg과 기체성분 32mg(5%의 CO가스)이 흡입된 담배의 유독물질 중 일산화탄소는 거의 전량이 흡수되고, 니코틴의 90%는 뇌에 도달, 타르의 70% 정도가 기도에 축적되어 독성을 나타내게 된다.
가장 큰 독성을 나타내는 물질은 니코틴과 타르이다.
니코틴은 무색, 알카로이드의 강한 중독성 물질이다. 담배를 처음 피우거나 너무 많이 필 때 느끼는 구토, 현기증, 두통 등은 이 니코틴으로 인하여 생기는 증상으로 폐로 흡입한 담배연기 속의 니코틴이 뇌에 도달하는 데에는 약 7초가 걸린다. 이물질은 담배를 피우는 과정에서 파괴되지 않으며 한 모금의 담배연기를 마실 때 0.1 - 0.2mg(한 개비 당 2mg)의 니코틴이 인체에 흡수된다. 니코틴은 매우 유독하여 일시에 60mg이 혈액에 흡수되면 대부분의 사람이 죽는다. 성인의 치사량은 체 중 1kg당 니코틴 1mg이다. 니코틴은 모세 및 말초혈관수축, 혈압상승(한 개비: 20 - 30mmHg 증가), 심박동항진, 신경자극, 위산분비 증가, 혈청 지질의 변화(LDL 증가, HDL 감소), 혈소판 응집력 증가 그리고 혈관벽에 손상을 일으켜 동맥경화를 촉진시킨다.
타르는, 담배를 피우면 필터가 검게 되는 것이나 오랜 흡연자의 인지를 노랗게 물들이는 것으로써 200종 이상의 화합물로 되어 있으며 이것이 폐암을 일으키게 한다. 담배가 800도로 연소 될 때 작은 입자로 되어 기관지나 폐로 들어가며 이중 크기가 10㎛ 이상의 것은 가래로서 밖으로 나오나 1㎛ 전후의 것은 60%이상이 폐 속으로 들어가 배출되지 않는다. 타르는 호흡기점막의 섬모상피세포와 폐포 세포에 손상을 입히고 그 결과로 폐에 비정상 세포가 나타난다. 이 물질의 함량은 담배 종류에 따라 다르나 대개 한 개비당 2.0 - 3.3mg이 들어 있다. 이 물질들은 타르를 포함한 적어도 38개의 알려진 발암물질과 발암가능성 있는 물질, 그리고 많은 종류의 무기 및 유기화학물질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 이외에도 산소결핍을 일으키는 무색, 무취 유해가스인 일산화탄소가 있으며, 일산화탄소의 환경 기준은 24시간 생활공간에서 10ppm, 8시간 생활공간에서 20ppm으로 규정되어 있는데 담배 연기 속에는 최고 45,000ppm의 일산화탄소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흡연으로 인해 만성"일산화탄소 중독(저산소증)"에 처하게 된다. 담배연기 중 2-6%가 CO 가스로서 HB와 친화력이 O2의 210배 정도이다. 일산화탄소의 흡입은 혈액 내 산소분압저하 - 산소혈증 - 혈관의 과도한 수축 - 내벽 세포의 손상- 동맥경화의 시발 또한 CO+HB의 만성적 또는 소량 증가되는 상태에서 다혈증이 유발시켜 일시적, 간헐적 뇌혈관 장애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보통 흡연자의 산소의 이용률은 비흡연자보다 20 - 30%가 떨어진다. 일산화탄소의 혈액 내 농도가 2%에 도달하면 중추신경계의 기능이 둔해지고 기억력이 감퇴된다. 담배를 다량 흡입하면 우선 두통이 오고 현기증, 권태, 눈이 아물아물하고 오심 구토감이 오며 심장이 뛰고 가슴에 중압감을 느낄 수 있고 호흡곤란, 심하면 허탈상태 등을 수반하고 아주 심하면 무의식 상태로서 사망에 이르게 된다. 또 일산화탄소가 동맥 내벽의 세포를 파괴한다.
상술한 니코틴과 타르 일산화탄소 이외에도 4,000여 가지의 독성 물질을 인체에 누적 시키는 담배에 의한 폐해와 인체생리 작용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주로 금연의 계도를 위한 자료로만 사용 되어질 뿐, 애연가들의 건강을 지키며 각종 질병들로부터 보호하는 용이한 실시 수단이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흡연의 폐해를 알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 금연을 하지 못하여 실제 담배를 피우고 있는 흡연자들의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대하여 오랜 연구를 해왔다. 알려져 있는 여러 가지 생약제들을 다양한 추출방법과 여러 가지 용매들의 사용, 그리고 다양한 배합함량을 조절하여 인체 내의 유독성분 그 중에서도 특히 담배로 인해 체내에 축적되어지는 유독성분들을 일응 분해하고, 또는 체외 배설이 용이한 형태로 변화 시키는 조성물을 만드는 과정을 수없이 되풀이 하였다. 그러한 결과로써 체내유독 물질의 해독과 원활한 체외 배출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생약조성물(D-5)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일반적으로 담배의 독성에 대한 많은 자료들과 연구들이 있지만, 그러한 연구결과 자료는 거의 대개 금연을 위한 자료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전체인구의 30%가 넘는 흡연율을 감안할 때 위해에 따른 금연만을 강조하는 것은 적절한 해결책이 아니라는 게 본 발명자의 생각이다. 이미 흡연을 하고 있는 사람을 위해서는 , 궁극적인 유도 방향은 금연에 이르게 하는 것으로 하되, 일단 현재 흡연을 하고 있는 상태라면 그 흡연으로 인해 체내에 축적되어지는 유독 물질들을 분해하거나, 체외로 배출되기 쉬운 물질로 변형 되는 방법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선행기술들에서 제시하고 있는 방법들은 생약제들의 자체 특징만을 강조하여 제품에 첨가하는데 주력하여 왔고, 생약제들의 조합에 따른 추가적인 기능의 설명은 부족하였다. 본원 발명자는 전통 한의학이나 민간요법 등에서 해독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약용식물 중에서 현대의 대표적인 독성물질 들, 그 중에서도 특히 흡연으로 인하여 체내에 쌓이게 되는 유독성분들의 해독에 효과적인 생약제를 찾는데 노력하였으며, 오랜 연구와 실험을 통하여 특정 약용식물 추출물의 혼합 조성물(D-5)이 니코틴 등 체내 유독성분의 독성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독성이 현저히 줄어들었다는 것은 하기 상술하는 동물실험 등에서 얻어진 수치를 준거로 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는 부작용이 적으면서 흡연 시 발생되는 각종 유해물질들의 분해를 돕고 원활한 체외배출을 도울 수 있는 생약조성물(D-5)을 개발하기 위하여 집중적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 및 테스트한 수십 종의 생약제중에서 특히 다음,
인진호, 오가피, 삼백초, 오미자, 감초 57종의 생약제를 적절히 혼합 추출한 조성물(D-5)이 체내 유독물질의 해독과 이의 분해 및 체외배출을 돕는 효과가 우수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진호, 오가피, 삼백초, 오미자, 감초의 생약성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흡연으로 인한 유독물질의 해독기능을 갖는 식품 조성물(D-5)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자명하게 도출될 것이다.
본 발명은 과제 해결 수단으로, 인진호, 오가피, 삼백초, 오미자, 감초를 각각 건조하여 건조물을 형성한 후, 각 건조물에 용매를 넣고 가열하여 각 건조물의 성분이 추출된 추출용액을 형성한 후 고형물질을 제거하고 남은 용매를 증발시켜 얻어진 각 추출물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추출물을 얻는 방법을 하여,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시 발생되는 체내 유독성분을 제거하는 효능을 가진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성분의 함량은 인진호 8~14중량%, 오가피 33~40중량%, 삼백초 13~18중량%, 오미자 22~29중량%, 감초 21~27중량% 함유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시 발생되는 체내 유독성분을 제거하는 효능을 가진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인진호, 오가피, 삼백초, 오미자, 감초 각각의 건조분말과 (나)상기 혼합물을 제시한 함유량으로 10~15배량의 소정의 용매를 가하여 70℃에서 4~5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한 후 고형물질을 제거하고, 얻은 추출물을 45℃~50℃에서 감압(30~50mmHg) 농축한 다음 약 70%의 고형분 함량이 되도록 농축하여 원하는 조성물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시 발생되는 체내 유독성분을 제거하는 효능을 가진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매는 물, 저급 알코올류, 에스테르류, 케톤류, 지방족 탄화수소류,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시 발생되는 체내 유독성분을 제거하는 효능을 가진 조성물 및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진호, 오가피, 삼백초, 오미자, 감초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단증세를 억제하는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진호, 오가피, 삼백초, 오미자, 감초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보조용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진호, 오가피, 삼백초, 오미자, 감초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장효과를 갖는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말, 과립, 정제 또는 캡슐의 형태로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료 또는 기호식품의 형태로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성분을 주요 구성성분으로 하는 생약조성물(D-5)은, 각종 실험과 연구결과에 따라 인체 내의 유독성분을 해독하고, 더 나아가서는 유독성분을 체외 배출이 가능한 형태로 변화시켜 원활한 체외배출을 돕는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만들어져 상시로 복용하거나 음용하게 함으로써, 아직 금연을 하고 있지 못한 사람들에게도 건강상의 큰 효과를 줄 수 있다. 이는 고래로부터 전해오는 생약제들의 자체 효능은 물론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성분 함량의 조합에 의한 조성물로서 얻을 수 있는 효과로서, 다양한 기능성 식품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들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시험 예와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자연스럽게 인지될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생약 조성물(D-5)의 제조에 의하여 기능성 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인진호(茵蔯蒿, Artemisiae Capillaris Herba)는 국화과 식물인 사철쑥으로 청열이습(淸熱利濕), 배석이담(排石利膽), 사간열(瀉肝熱), 소간울(疏肝鬱)의 효과를 가지고 잇어 상한(傷寒), 급성간염(急性肝炎), 담낭염(膽囊炎), 습창소양(濕瘡痒), 황달(黃疸), 소변불리(小便不利)등에 사용되어 왔다. 인진호의 약호에 대한 연구는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고혈압, 비만, 뇌졸중등 순환기계 진환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간기능의 보호효과가 알려져 있으며(Nam, S.M. et al.,J.Kor.soc.foodSci.27(2), 338(1998);Nam, S.M.,J.Kor.soc.foodSci.28(1) ,199(1999)), 인진숙의 메탄올 추출물이 GOT와 GPT의 증가를 억제하고(Klimura,et al., Chem.Pharm.Bull.,33,2028(1995)), 물 추출물의 에탄올 수용층이 간 손상과 간의 지질과산화를 억제한다는 연구가 보고되었다.(Park, E.J., et al.,Chem. Pharm. Bull.,33,2028(1985)
오가피는 오갈피라고도 불리며 학명은 아칸토파낙스 세실리플로루스(Acanthopanax sessiliflorus)로 식물 분류학적으로 두릅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이며, 동속 식물의 뿌리껍질은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오가피에 함유된 리그난(lignan) 계통의 아칸토시드(acanthoside) B 및 D(eleutheroside E)는 강장, 당질 및 지방대사, 알코올 해독, 식욕증진, 혈액순환,보온, 변비 개선 및 지방간에 유효하며, 아칸토시드 A와 C는 골수조절, 백혈구 증가(면역, 저항력 향상), 랄러지성 질환개선, 암 치료 후 빠른 회복에 효과가 있다.(육창수, 약학회지, 40(3), pp251~261, 1996).
삼백초(三白草, Saururus chinesis B)는 삼백초과(Saururu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민간에서 풀 전체 또는 뿌리나 잎이 이뇨, 수종, 폐령, 고혈압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삼백초는 잎, 꽃, 및 뿌리가 백색이며, 윗부분의 화서 밑에 달린 3개의 잎이 흰색으로 변하므로 삼백초라 하며, 삼백초의 뿌리는 삼백초근이라 한다. 주요성분으로 정유성분인 캠펜(camphene), 사프롤(safrol) 등이 있으며, 플라보노이드(flavonoid)인 hyperin, querrcetin 등이 알려져 있다.
오미자(五味子, Schizandrae Fructus)는 스키잔드린(schizandrin), 고미신A-Q)gomisin A-Q), 시트럴(citral), 구연산(citric acid), 능금산(malic acid)지방유(fatty dil) 등을 함유한다. 중추에 작용하여 반사기능을 항진시키며 트랜스아미나 아제)transaminase) 저하작용, 스트레스성 궤양억제 작용, 간기능 강화효과, 진해거담작용, 항균작용, 혈압강하작용, 강심작용, 중추신경 흥분작용 등을 한다.
감초(Glycyrrhiza blabra L.)는 다른 이름으로 국로, 곧은감초, 민감초라고도 부르며 식물의 뿌리를 사용한다. 뿌리와 뿌리줄기는 가을에 캐어 줄기를 다듬고 물에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뿌리줄기와 뿌리의 글리시리진 함량은 여름보다 가을에 높다. 2년생 감초의 글리시리진은 함량은 4월에 3.8%, 5월에 3.7%, 7월에 3.8%, 9월에 5%, 10월에 6%이다. 뿌리의 부위에 따르는 글리시리진 함량을 보면 2년생 감초의 원뿌리(주근)에 6.91%, 가는 뿌리에 8.04%이다. 그러므로 원뿌리와 뿌리줄기만을 약으로 쓸 것이 아니라 잔뿌리도 이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또한 껍질(13.06%)은 목부와 수심(10.42%)보다 그 함량이 높다. 껍질을 벗길 때에는 코르크화된 겉껍질만을 벗기고 되도록 속껍질을 상하지 않게 하여야 한다. 성분으로는 뿌리와 줄기에는 글리시리진(글리시리진산의 칼륨염 또는 칼슘염)이 5~14%(많은 것은 23%), 글라브라산(글리시레틴)이 있다. 감초 뿌리에는 크로마토그라프로 27개를 넘는 플라보노이드 유사물질이 확인 되었다. 감초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자라는 시기에 따라 변한다. 뿌리에는 가을철, 잎과 줄기에는 열매가 달리기 시작할 때에 제일 높다. 가을철에 리쿠라시드의 함량은 약 0.5%이다. 리쿠라시드는 총 플라보노이드의 약 10%를 차지한다.
감초뿌리의 유효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글리시리진은 사탕의 40~50배 정도로 단맛이 있으며 그 단맛은 10만 배의 희석액에서도 느낄 수 있다. 물 용액은 흔들면 거품이 생기지만 일반 사포닌보다 약하게 일고 용혈 작용도 없거나 약하다(칼륨염 은 1:400). 글리시리진의 물 분해에 의하여 생긴 글리시레틴산은 단맛이 없고 용혈 작용이 있다. 그리하여 감초의 거담작용은 글리시레틴에 의하 SRJT으로 추정된다. 글리시리진은 또한 호흡기를 완화시킨다. 감초뿌리의 글리시리진은 독성이 없고 포수클로랄, 스크리크닌, 요힘빈, 코카인, 모르핀, 코데인, 아트로핀, 루미날 등에 의한 중독을 풀어준다. 세균독과 바이러스독, 예를 들면 파상풍 독소, 디프테리아 독소, 뱀 독을 풀어준다. 아세틸콜린, 히스타민,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과는 길항 작용을 하며 아드레날린과 비슷한 강심작용도 있다. 감초는 동물 실험에서 위장평활근에 대한 파파베린과 비슷한 향 근육성 진경작용이 있다. 이 작용은 플라보노이드 성분에 기인한다. 감초의 플라보노이드는 지금가지 쓰이지 않았던 것인데 진경작용, 항염증 작용이 알려지면서 개발 되었다. 플라보노이드 성분인 리쿠라시드는 파파베린보다 3배나 센 진경작용이 있으면서도 항염증, 항 궤양활성이 있다. 그리고 아세틸콜린, 히스타민에 대한 길항작용이 있다. 감초는 계면활성이 세므로 다른 동약제와 달이거나 먹으면 동약성분을 물에 잘 풀리게 하여 흡수를 돕는다. Ehgs 동약제의 독성을 줄이고 맛을 바꾼다. 요즘에는 에스트로겐 작용도 주목되고 있다.
위 5가지 생약제들 인진호, 오가피, 삼백초, 오미자, 감초 각각의 건조분말 혼합물을 본 발명자는 "D-5"라고 이름 지었으며 후술에는 D-5 로 명명한다. 인진호 8~14중량%, 오가피 33~40중량%, 삼백초 13~18중량%, 오미자 22~29중량%, 감초 21~27중량% 함유량으로 10~15배량의 수성용매를 가하여 70℃에서 4~5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한 후 고형물질을 제거하고, 얻은 추출물을 45℃~50℃에서 감압 (30~50mmHg) 농축한 다음 약 70%의 고형분 함량이 되도록 농축하여 원하는 조성물(D-5)을 얻는다.
본 발명의 생약 조성물(D-5)은 상기와 같은 주요 유효 성분의 혼합조성으로 인한 상승작용을 나타내며, 이 때문에 신체내의 유해독성물질 해독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은 물론 강장에도 큰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기재한 생약제들은 전통적으로 어떤 증상이나 병증에 대해서 그 효능이나 효과들이 어느 정도 있었음이 알려져 있지만, 이러한 조성물들의 혼합으로 인한 조성물이 니코틴 등 심각한 건강문제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독성물질에 대한 해독능력에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는 것은 본 발명자의 실험과 연구에 의해서 밝혀진 것이다. 여러 번의 실험에 의해 상술한 5가지 원료 가 아닌 두 세가지의 조합으로는 원하는 효과를 얻지 못했거나, 약했다는 점도 단순한 생약제들의 조합으로는 본 발명으로서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얻지 못한다는 점을 입증한다.
당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각 생약제의 추출물이 동일한 고형분 함량으로 농축된 추출엑기스 또는 그로부터 동결 건조된 분말상태가 아니더라도, 각 생약제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와 같은 비율이 되도록 적절히 조절하여 혼합함으로써 본 발명에 다른 조성물(D-5)을 제조할 수 있을 것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다른 조성물(D-5)은 특히 경구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용이 편리하도록 여러 가지 형태로 제제화 될 수 있다. 즉, 추출물 엑기스의 혼합물을 일회용 바이얼등에 담아 수시로 복용 할 수 있도록 하거나, 혼합분말을 적당한 담체와 함께 캡슐 또는 정제와 같은 형태로 제제하여 간편하게 복용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D-5)은, 상기한 바와 같이 추출엑기스 또는 분말의 혼합물을 그대로 또는 적당한 담체와 함께 제제하여 하루 일정량씩 복용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다른 실시예 에서는 상기 조성물(D-5)을 음료수나 젤리, 캔디, 필름 류의 제품, 과자류 등에 첨가하여 섭취하거나, 또는 물이나 음용 음료에 타서 마시도록 하는 건강보조식품의 형태로 제조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추출물은 각 성분을 별도로 추출하여 혼합하거나, 시초에 상기 약재를 혼합한 후 추출 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즉 약재를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고(혼합추출), 각각의 성분별로 추출한 후 추출물을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약재를 혼합한 후 혼합추출 하는 것이 좋다. 추출법은 통상의 추출법, 즉, 물 등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시험예 1. 니코틴 제거효과 테스트
1. 사용동물 : SD 랫트 5주령(180~200g, 수컷)사용, 가 군당 7마리
2. 사용원료 : 인진호, 오가피, 삼백초, 오미자, 감초 각각의 건조분말 성분을, 인진호 8~14중량%, 오가피 33~40중량%, 삼백초 13~18중량%, 오미자 22~29중량%, 감초 21~27중량% 함유량으로 혼합하여, 10~15배량의 수성용매를 가하여 70℃에서 4~5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한 후 고형물질을 제거하고, 얻은 추출물을 45℃~50℃에서 감압(30~50mmHg) 농축한 다음 약 70%의 고형분 함량이 되도록 농축액으로 제조한 후 1% 용액으로 희석하여 4주간 자유음용 시켰다 대조군은 물을 사용 하였다.
3. 시험방법
- 시료군과 대조군은 일정기간동안 음용시킨후 시험전날부터 절식시키고 시험당일 니코틴 용액(셀라이 버퍼중에)을 3mg/kg 체중의 농도로 복강투여
- 복강투여후 1시간, 2시간 후 혈액채취(약 1.5ml)
- 채혈한 혈액은 즉시 0.5N NaOH로 알칼리 처리한 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한 후 클로로포름층을 4ml 바이얼(vial)로 옮긴 후 질소가스로 40℃ 워터배쓰(water bath)상에서 건고
- 건고된 시료는 200μl로 잘 녹여 분석시료로 사용한다.
- 즉시 분석하지 못한 경우에는 냉동고에 -20℃ 이하에서 보관한 후 사용했다.
4. HPLC 분석조건
이동산 : 물:메탄올:아세토니트릴:아세트산 = 748:230:20:2(디에틸아민으로 pH 5.0으로 맞추어 사용
파장 : 260nm
주입량 : 30μl
유속 : 1.0ml/min
컬럼 : μ-본다팩 C18(3.9× 300mm)
표준용액 : 니코틴, 코티닌 각각 1, 2, 5, 10 ppm 농도로서 검량선을 작성하여 니코틴, 코티닌의 함량을 계산하였다.
5. 실험결과
(1) 혈중 니코틴 분석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 표 1-7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1]
Figure 112009504438489-PAT00001
[표2]
Figure 112009504438489-PAT00002
[표3]
Figure 112009504438489-PAT00003
[표4]
Figure 112009504438489-PAT00004
[표5]
Figure 112009504438489-PAT00005
이상의 데이터들은 아노바(ANOVA) 테스트를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검정하였고 P<0.05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이상의 실험결과를 토대로 하여 인진호, 오가피, 삼백초, 오미자, 감초 를 여러배합비로 조성하여 니코틴 제거효과를 관찰하였다.
시험예 2 :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D-5)의 니코틴 제거효과
시험예 1에서의 시험방법에 따라 물만 먹인 군(대조군)과 아래 6개의 배합물을 먹인군에 대하여 니코틴 제거효과를 관찰하였다.
1군 - 인진호:오가피:삼백초:오미자:감초=5:3:2:1:1의 중량비로 배합한 혼합물 투여군
2군 - 인진호:오가피:삼백초:오미자:감초=5:4:3:1:1의 중량비로 배합한 혼합물 투여군
3군 - 인진호:오가피:삼백초:오미자:감초=4:2:3:1:1의 중량비로 배합한 혼합물 투여군
4군 - 인진호:오가피:삼백초:오미자:감초=4:3:2:1:1의 중량비로 배합한 혼합물 투여군
5군 - 인진호:오가피:삼백초:오미자:감초=3:4:1:2:1의 중량비로 배합한 혼합 물 투여군
6군 - 인진호:오가피:삼백초:오미자:감초=3:5:2:1:1의 중량비로 배합한 혼합물 투여군
[표6]
Figure 112009504438489-PAT00006
상기 시험예로부터 인진호, 오가피, 삼백초, 오미자, 감초 등이 두가지 혹은 혼합으로 사용하여도 니코틴 제거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니코틴 배설기능 조사
1. 사용동물 : 4주령 ICR mouse(1주간 적응 시키후 테스트)
2. 사용원료 : 인진호, 오가피, 삼백초, 오미자, 감초 각각의 건조분말 성분을, 인진호 8~14중량%, 오가피 33~40중량%, 삼백초 13~18중량%, 오미자 22~29중량%, 감초 21~27중량% 함유량으로 혼합하여, 10~15배량의 수성용매를 가하여 70℃에서 4~5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한 후 고형물질을 제거하고, 얻은 추출물을 45℃~50℃에서 감압(30~50mmHg) 농축한 다음 약 70%의 고형분 함량이 되도록 농축액으로 제조한 후 1% 용액으로 희석하여, 10시와 17시 하루 2회 경구투여하고, 대조군은 물을 사용 하였다. 시료의 1일 투여량은 매주 쥐의 체중을 측정하여 사람의 1일 섭취량 0.14g과, 사람과 쥐의 평균 대사체중비율로부터 환산되었으며 사람의 평균체중은 65kg으로 계산하였다.
3. 시험방법
Mouse는 뇨의 수거를 위하여 metabolism cage에서 사육 되었다. 14시에 주사용 멸균 증류수에 1mg/ml의 농도로 녹인 니코틴을 체중 1kg당 10mg 복강투여 하였다. 다음날 14시에 뇨를 수거하여 gas chromatography로 니코틴 농도를 측정하였다.
뇨에 묽은 암모니아수를 가하여 pH 9로 조절하였다. Extrelut column(Merck)에 15분간 유지시키고 15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용출하여 용출 에틸아세테이트를 감압하에 증류 제거한 뒤 잔사에 100μl의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용해시켜서 분석시료로 하였다. Gas chromatography(Hewlett Packard 5890, FID)와 2% Tharmon 1000+1% KOH Chromatography W AM(8/100 Mesh)를 충전한 길이 2m, 직경 3mm의 유리 칼럼을 사용하였다. Column 온도는 100℃, 캐리어 기체는 N2, 유속은 60ml/min 이었다.
표7은 본 발명 조성물(D-5)의 섭취가 니코틴의 소변을 통한 배설에 미치는 영향을 ICR mouse에서 조사한 것이다.
[표7]
Figure 112009504438489-PAT00007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인진호, 오가피, 삼백초, 오미자, 감초 각각의 건조분말 성분을 인진호 8~14중량%, 오가피 33~40중량%, 삼백초 13~18중량%, 오미자 22~29중량%, 감초 21~27중량% 함유량으로 혼합하여, 10~15배량의 수성용매를 가하여 70℃에서 4~5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한 후 고형물질을 제거하고, 얻은 추출물을 45℃~50℃에서 감압(30~50mmHg) 농축한 다음 약 70%의 고형분 함량이 되도록 하여 엑기스를 얻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러 가지 특징을 참조하고 조합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설명된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지적해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은, 민간에서 많이 사용하는 생약제들을 주원료로 하여 새로운 기능을 갖는 조성물(D-5)에 대한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만들어 지는 생약제 형태의 식품으로는 물론이고, 그 이외에 다양한 형태의 식품 첨가물로서 사용 될 수 있다. 예시 되어 있는 형태의 제품은 물론이고 다른 형태의 제품에도 사용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건강이 최우선 가치로 여겨지는 현대에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널리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인진호, 오가피, 삼백초, 오미자, 감초를 각각 건조하여 건조물을 형성한 후, 각 건조물에 용매를 넣고 가열하여 각 건조물의 성분이 추출된 추출용액을 형성한 후 고형물질을 제거하고 남은 용매를 증발시켜 얻어진 각 추출물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추출물을 얻는 방법을 하여,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시 발생되는 체내 유독성분을 제거하는 효능을 가진 조성물.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성분의 함량은 인진호 8~14중량%, 오가피 33~40중량%, 삼백초 13~18중량%, 오미자 22~29중량%, 감초 21~27중량% 함유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시 발생되는 체내 유독성분을 제거하는 효능을 가진 조성물.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가)인진호, 오가피, 삼백초, 오미자, 감초 각각의 건조분말과 (나)상기 혼합물을 제시한 함유량으로 10~15배량의 소정의 용매를 가하여 70℃에서 4~5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한 후 고형물질을 제거하고, 얻은 추출물을 45℃~50℃에서 감압(30~50mmHg) 농축한 다음 약 70%의 고형분 함량이 되도록 농축하여 원하는 조성물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시 발생되는 체내 유독성분을 제거하는 효능을 가진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청구항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저급 알코올류, 에스테르류, 케톤류, 지방족 탄화수소류,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시 발생되는 체내 유독성분을 제거하는 효능을 가진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인진호, 오가피, 삼백초, 오미자, 감초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단증세를 억제하는 조성물.
  6.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인진호, 오가피, 삼백초, 오미자, 감초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보조용 조성물.
  7.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인진호, 오가피, 삼백초, 오미자, 감초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장효과를 갖는 조성물.
  8.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분말, 과립, 정제 또는 캡슐의 형태로 제조하는 제조방법.
  9.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음료 또는 기호식품의 형태로 제조하는 제조방법.
KR1020090113676A 2009-11-24 2009-11-24 흡연 시 발생하는 체내 유독성분 제거효능을 가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573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676A KR20110057323A (ko) 2009-11-24 2009-11-24 흡연 시 발생하는 체내 유독성분 제거효능을 가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676A KR20110057323A (ko) 2009-11-24 2009-11-24 흡연 시 발생하는 체내 유독성분 제거효능을 가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323A true KR20110057323A (ko) 2011-06-01

Family

ID=44392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676A KR20110057323A (ko) 2009-11-24 2009-11-24 흡연 시 발생하는 체내 유독성분 제거효능을 가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73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7105A (ko) * 2015-05-22 2016-11-30 권무길 니코틴 해독용 기능성 식품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104974A (ko) * 2020-02-18 2021-08-26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섬오갈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니코틴 중독 및 금단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7105A (ko) * 2015-05-22 2016-11-30 권무길 니코틴 해독용 기능성 식품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104974A (ko) * 2020-02-18 2021-08-26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섬오갈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니코틴 중독 및 금단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22579B (zh) 可降低香烟危害的低危害型卷烟及其制备方法
CN104983066B (zh) 一种烟草替代品及其制备方法
CN102423124B (zh) 一种烟草薄片及其制备方法
KR100968109B1 (ko) 칼슘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한 천연 원료의 숙취 해소용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0367581A (zh) 一种由工业大麻提取的含大麻酚类成分的组合物及其在烟草制品中的用途
CN101623126B (zh) 烟用中药降毒戒烟加香添加液的制备工艺
CN101156711A (zh) 一种茶香型烟用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1455442B (zh) 一种葡萄浸膏及其制备方法和在卷烟加香中的应用
KR20130121324A (ko) 차즈기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 예방 및 해소 조성물
CN104547515A (zh) 一种橘红梨膏及其制备方法
KR100891914B1 (ko) 식물생약제 조성물의 추출액으로된 다이어트용 기능성식품의 제법
KR100823978B1 (ko) 인체내 축적된 유해성분 제거용 허브 추출물 및 그제조방법
CN101731747A (zh) 一种能降焦减害防病的烟用药剂
CN105105315B (zh) 一种清咽利嗓型烟草粉末喷剂及其制备方法
KR20110057323A (ko) 흡연 시 발생하는 체내 유독성분 제거효능을 가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7518418A (ja) 宿酔解消及び肝機能回復に効果がある天然茶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06158B1 (ko) 인체내의 유독 성분을 제거하는 생약 추출물 및 제조방법
KR20100041284A (ko)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 효과를 갖는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WO1999020131A1 (fr) Cigarettes a base de feuilles de ginkgo
CN109239239A (zh) 清肺化痰止咳平喘的中药组合物及其制法和用途
KR101210748B1 (ko) 오가피 및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0553643B1 (ko) 니코틴제거 효과가 있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06459A (ko) 흡연 시 발생하는 체내 유독성분 제거효능을 가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5721685A (zh) 一种彼岸花的药物组合物和用途
CN103272196B (zh) 解毒的药物组合物和药物制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