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1284A -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 효과를 갖는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 효과를 갖는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1284A
KR20100041284A KR1020080100397A KR20080100397A KR20100041284A KR 20100041284 A KR20100041284 A KR 20100041284A KR 1020080100397 A KR1020080100397 A KR 1020080100397A KR 20080100397 A KR20080100397 A KR 20080100397A KR 20100041284 A KR20100041284 A KR 20100041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everage
hangover
extract
liver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0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시갑
Original Assignee
홍시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시갑 filed Critical 홍시갑
Priority to KR1020080100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1284A/ko
Publication of KR20100041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28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72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 효과를 갖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한약재를 주재료로 하여 위(胃)를 보호하고 간기능(肝機能)을 강화하며 장(腸)을 편안히 해주어 몸의 균형을 잡아 줌으로써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뛰어난 효과가 있는 숙취해소 효과를 갖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숙취해소의 효과를 갖는 음료는 대부분 그 효과가 미약하거나 일시적으로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일 뿐 근본적인 숙취해소 또는 알코올에 대한 해독을 위한 것이 아닐 뿐만 아니라, 음주 후에 나타나는 복통, 두통, 메스꺼움 등의 두통 혹은 위장계통에 대한 문제에 대한 효과가 없거나 미비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한 것으로 인진호, 갈근, 갈화, 사인, 백두구, 청피, 백출, 생강, 신국, 택사 , 인삼, 저령, 복령, 귤피, 목향, 구기자 등의 한약재 추출물(이하 ALH-101)이 숙취를 해소시키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고,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전혀 없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숙취해소, 간기능 회복, 알코올, ALH-101

Description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 효과를 갖는 음료 및 그 제조 방법{The method and the beverage which are good for getting out of drunken condition and for liver function}
본 발명은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 효과를 갖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한약재를 주재료로 하여 위(胃)를 보호하고 간기능(肝機能)을 강화하며 장(腸)을 편안히 해주어 몸의 균형을 잡아 줌으로써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뛰어난 효과가 있는 숙취해소 효과를 갖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숙취해소의 효과를 갖는 음료는 대부분 그 효과가 미약하거나 일시적으로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일 뿐 근본적인 숙취해소 또는 알코올에 대한 해독을 위한 것이 아닐 뿐만 아니라, 음주 후에 나타나는 복통, 두통, 메스꺼움 등의 두통 혹은 위장계통에 대한 문제에 대한 효과가 없거나 미비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한 것으로 인진호, 갈근, 갈화, 사인, 백두구, 청피, 백출, 생강, 신국, 택사 , 인삼, 저령, 복령, 귤피, 목향, 구기자 등의 한약재 추출물(이하 ALH-101)이 숙취를 해소시키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고,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전혀 없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숙취해소 및 간 기능 회복 효과를 갖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한약재를 주재료로 하여 위(胃)를 보호하고 간 기능(肝機能)을 강화하며 장(腸)을 편안히 해주어 몸의 균형을 잡아 줌으로써 숙취해소 및 간 기능 회복에 뛰어난 효과가 있는 숙취해소 효과를 갖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사회생활이 복잡해지면서 음주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젊은 여성의 음주인구는 뚜렷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술의 주성분은 에탄올인데 섭취된 후 주로 인체의 간에서 대사 작용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로 전환된다. 이 아세트알데히드가 신경계를 마비시키고 과음 시에는 전신피로, 구토, 두통 등을 일으키며 특히 자동차 운전 시 주요 사고원인이 된다. 피치 못해 음주를 했을 경우라도 빠른 시간 내에 숙취현상에서 깨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교통사고를 줄이는데 도움이 되며 아울러 일상 업무의 생산성 향상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현대인들은 대기오염, 농약이나 중금속에 의한 오염 및 항생제의 과다복용 등으로 인한 독성이 인체에 축적되는 것을 피할 수 없으며, 특히 우리나라 남성의 경우에는 관습적으로 행해지는 과도한 음주문화에 시달리고 있기 때문에, 간장, 위장, 폐를 포함한 장기들이 질병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우리나라 40대의 남성들의 사망률이 세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여겨진다.
과도한 음주는 일시적으로는 두근거림, 두통, 갈증, 멀미, 위장장애, 설사 등의 숙취증상을 유발하며, 만성적으로는 지방간, 간경화 등의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 숙취증상 중 두통은 두뇌 혈관의 확장작용 때문이며, 갈증과 탈수현상은 에탄올이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항이뇨호르몬인 바소프레신의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생기는 에탄올의 이뇨작용 때문이고, 소화기관 이상은 위산분비의 증가 등 숙취의 원인은 다양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숙취는 에탄올 분해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가 축적되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인체에 누적되는 알코올의 독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 다수의 숙취해소 음료들이 소개된바 있으나, 인체에 쌓인 독성을 중화시키거나 해독시키는 것이 아니라, 독성이 장기에 스며들지 않도록 하거나 스며드는 시간을 늦추는 등의 역할을 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그 중의 일부는 각성효과가 있는 성분을 첨가함으로써 음용 후 일정시간 동안 약간의 흥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상쾌한 느낌을 주는 것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쾌감은 느낌만일 뿐, 인체에 누적된 독성은 그대로 잔존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종류의 숙취 해소제는 그 각성효과로 인하여 과도히 복용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때로는 인체에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된 것으로서 인진호, 갈근, 갈화, 사인, 백두구, 청피, 백출, 생강, 신국, 택사 , 인삼, 저령, 복령, 귤피, 목향, 구기자등의 한약재 추출물을 주재료로 한 것으로, 인체에 누적되는 독성을 중화시키거나 제거하는 효과를 가진 숙취해소 효과를 갖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인 5~50중량%, 갈화 5~50중량%, 백두구 5~50중량%, 청피 5~50중량%, 백출 5~50중량%, 생강 5~50중량%, 신국 5~50중량%, 택사 5~50중량%, 인삼 5~50, 저령 5~50중량%, 복령 5~50중량%, 진피 5~50중량%, 인진호 5~50중량%, 목향 5~50중량%, 구기자 5~50중량%, 갈근 5~50중량% 등의 한약재 추출물인 ALH-101에 감즙, 배즙, 유자즙, 매실엑기스, 꿀 등을 적당량 가미하여 숙취해소 및 간 기능 보호 효과를 갖는 음료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한 생약들의 효능에 대하여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인진호(인진호, Artemisia capilasris)
국화과(Composit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사철쑥의 전초를 건조한 것이다.
청리습열(淸利濕熱), 퇴황달(退黃疸)의 효능이 있고, 성분으로는 capillin, capillene, capillone, capillarin, esculetin 6,7-dimethyl, capillarisin, 4´-methylcapillarin등이 있다. 약리작용으로는 이 약의 알콜추출물, 물 추출물 또는 정유와 scoparone은 건강한 동물과 간장해 모델 동물 모두에서 담즙분비를 증가시킨다. scoparone은 콜린상 작용물질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마취시킨 쥐의 십이지장에 이 scoparane을 투여하면 담즙분비를 촉진한다. 이러한 콜린상 효과는 capillarin, methylcapillarin, capillartemisin A와 B에서 모두 관찰되었다. 사염화탄소 간장해 모델 동물에서 이 약의 추출물을 피하 투여 했을 때 간부종, 공핵과 지방산 침착 및 괴사 등이 개선되었다. 또한 간장의 글리코겐 양과 RNA양은 정상 상태에 가깝게 회복되었으며, sGPT도 저하되었다. 이 약의 메탄올 엑스는 사염화탄소 간장해 모델 동물에서 간보호효과를 나타냈고, sGPT와 sGOT도 저하되었다. 간보호 활성성분은 eupatolitin 과 arcapillin으로 밝혀 졌다. Flavone, coumarin 성분들은 분리 간세포에서 사염화탄소 및 갈락토사민 유도 간장해에 보호효과를 나타냈다. Capillarisin의 항산화효과에 의해 t-BHP로 유도된 간장해를 개선시켰다. 이 약의 물추출물은 에탄올로 유도한 세포독성으로부터 간세포의 괴사를 저해하였다.
갈근(葛根=칡뿌리), 갈화(葛花=칡꽃)
칡(Pueraria lobata (Willd.) Ohwi) 혹은 분갈(Pueraria thomsonii Benth.:粉葛)의 뿌리 혹은 꽃을 말하며, 뿌리를 말려서 잘게 썰은 것을 갈근, 꽃을 말린 것을 갈화라고 한다.
갈근(葛根)은 해표투진(解表透疹), 생진(生津) 및 지사(止瀉)효능이 있다. 갈근에는 다른 콩과 식물척럼 isoflavone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특히 0-glucoside 게열의 화합물인 daidzin과 C-glucoside 계열의 화합물인 puerarin이 그것이다. 갈화에는 kaikasaponin Ⅲ과 isoflavone으로서 kakkalide, tectoridin 및 glycitin, tectorigenin 및 glycitein등이 알려져 있다. 예로부터 갈근은 알콜 대사를 촉진시키며 섭취 및 의존을 억제하는 약물로 알려져 있다. 간에서의 알콜 대사에 관여하는 ALDH-2 효소를 daidzin이 현저히 억제하지만 효소의 억제용량에서는 알콜 섭취를 억제할 수 없다고 보고되어 있어 전통적인 ALDH-2 억제제인 disulfiram, calcium carbimide와는 다른 기전에 의해 알콜 대사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사인(砂仁, Amomum villosum)
생강과(Zingiberace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양춘사(Amomum villosum)와 녹각사(A. villosum var. xanthioides)의 성숙한 과실을 건조한 것이다. 온중화위(溫中和胃), 화습개위(化濕開胃)하며 이기안태(理氣安胎)하는 효능이 있다. 이 약은 borneol, bornyl acetate, linalool, nerolidol등을 함유한다. 이 약은 생쥐를 이 용하여 소화관 수송능 실험을 했을 때 수송능을 촉진하는 효과를 나타냈으며 적출회장의 운동실험에서도 촉진효과를 보였다. 흰 쥐의 위궤양 모델 동물에서 이 약을 투여 했을 때 유의적으로 위궤양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백두구(白荳寇, Amomum cardamomum)
생강과(Zingiberaceae)에 속한 다년생 본초인 백두구(Amomum cardamomum)의 열매이다. 행기화습(行氣化濕) 및 온중지구(溫中止嘔)하는 효능이 있다. 구성성분으로는 (+)-camphor, (+)-borneol등을 함유한다. 이 약의 정유는 위액의 분비를 촉진하고 소화관의 연동운동을 강화하여 장내용물을 배출하거나 장내이상발효를 억제한다. 이 약은 토끼를 이용한 실험에서 담즙분비를 촉진하고 담석의 용해제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청피(靑皮, Citrus unshiu)
운향과(Rutaceae)에 속하는 귤나무(Citrus unshiu) 또는 동속 근연식물의 덜 익은 과피이다. 소간파기(疏肝破氣) 및 산결소체(散結消滯)의 효능이 있다. Flavonoid 성분인 hesperidin, polymeth-oxyflavonoid인 nobiletin, synephrine등이 함유되어 있다. Hesperetin은 COX-2효소활성을 억제한다. Nobiletin은 aberrant crypt foci(이상창자샘부위)의 발생빈도와 COX-2의 발현을 억제하여 PGE2를 감소시킨다. 뿐만 아니라 NO와 활성산소 발생을 억제하며, 백혈구 침윤과 산화손상, iNOS발현 등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
복령(茯笭, Hoelen)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는 복령 Poria cocos(Pachyma hoelen, 잔나비걸상과 Polyporaceae)의 균핵이다. 백색인 것을 백복령(白茯笭), 적색인 것을 적복령(赤茯笭)이라 한다. 또 복령 속에 소나무 뿌리가 꿰뚫고 있는 것을 복신(茯神)이라고 한다. 모두 한약재로 이수삼습(利水渗濕), 건비(健脾) 및 영심안신(寧心安神)등의 효능이 있다. Polysaccharide로서 β-1,3-glucan의 pachyman이 주성분으로 함유되어 있다. 25% 알콜 추출물을 5일 동안 0.5g/kg의 용량으로 투여했을 때 (i.p), 토끼에서 현저한 이뇨작용이 관찰되었다. 한편 original-type anti-GBM으로 유도한 신염 랫드에 복령에서 분리한 pachyman을 투여하여 조직 병리학적 검사를 실시한 결과, 현저한 신염 억제 작용이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pachyman의 항신염 효과는 사구체에 C3의 침착저해에 의한 작용이라고 제안하고 있다.
백출(白朮, Atractylodes japonica)
국화과(Compositae)에 속한 다년생 본초인 흰삽주(Atractylodes japonica) 및 동속 근연 식물의 괴경이다. 보비익기(補脾益氣), 조습이수(燥濕利水), 고표지한(固表止汗), 안태(安胎)의 효능이 있다. 성분으로는 정유로서 atractylon, (+)eudesma-4등을 함유하고 있다. 백출은 신장의 Na+, K+ -ATPase 활성을 억제하고, 에탄올 추출물은 이뇨작용을 보인다.
신곡(神麴)
이 약은 밀가루 또는 밀기울, 적소두가루, 행인니(杏仁泥), 개똥쑥즙(靑蒿汁), 도꼬마리즙(蒼耳汁), 버들여뀌즙(野蓼汁)등의 재료를 반죽하여 누룩같이 만들어 짚이나 마대 또는 삼잎으로 싸서 온실에서 발효시킨 것이다. 소식화위(消食和胃)의 효능이 있다. 성분으로는 효모균, 정유, 배당체, 전분, 지방유, 비타민 B등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타민 B복합체, 효소류, 맥각고순 및 단백질 등으로 조성되어 있으므로 보조효소의 작용을 통해 물질대사에 영향을 끼치며, 음식물 중 단백질의 소화흡수와 이용에 도움을 준다.
택사(澤瀉, Alisma orientale)
택사과(Alismataceae)에 속하는 택사(Alisma orientale) 또는 기타 동속근연식물의 덩이줄기로서 잔뿌리 및 주피를 제거한 것으로 이수삼습(利水?濕), 청열사화(淸熱瀉火)하는 효능이 있다. Guaiane-type의 sesquiterpene 계열의 화합물로서 alismol, alismoxide가 함유되어 있으며, protostane-type의 triterpene게열의 화합물로서 alisol A-F 및 그들의 monoacetate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다. 성인에게서는 요량을 약 63% 증가시키며, Na+와 요소배설을 증가시키지만 토끼나 개를 사용한 연구에서는 경구 투여시 거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거나 그 효과가 미약하다. 그러나, 택사의 물추출물 그 자체가 요량 증가 작용이 없다는 보고도 있으나, 실험적 요독증 마우스에서 요독증 개선 작용이 있으며 수명연장 효과가 있다고 보고 되어 이다. 또한 콜레스테롤 혈증 개선 작용 및 항지방간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이 보고 되어 있다.
저령(猪笭, Polyporus umbellatus)
잔나비걸상과(Polyporaceae)에 속하는 저령(Polyporus umbellatus)의 균핵을 말한다. 이수삼습(利水渗濕)의 효능이 있으며 Sterol 성분으로서 ergosterol이 함유되어 있으며, 유기산 및 polysaccharide가 함유되어 있다. 저령은 강력한 이뇨작용을 갖는다고 알려져 있다. 저령 8g의 전탕액을 정상인에게 투여시 소변 배출량이 62% 증가되며, Cl-의 배출량도 54.5%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저령에서 분리한 다당류는 만성B형 간염 환자에서 간염 virus의 항원 level을 감소시킨다.
진피(陳皮, Citrus unshiu)
운향과(Rutaceae)에 속한 상록 소교목인 귤(Citrus unshiu)의 성숙한 과피이다. 이기화중(理氣和中), 조습화담(燥濕化痰)의 효능이 있고, 정유 성분으로서 limonene, auraptene등이 함유되어 있는데 그 중에 90% 이상이 limonen이다. 이 약의 주성분인 hesperidin을 투여한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cold-restraint 유도 위궤양을 억제하였으며 위점액질 및 단백질 양에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hexosamine,의 양은 현저히 증가하였다. 또한 이 약의 추출물은 amylase의 작용을 높이고, 이 약의 정유성분은 흰 쥐의 위액분비를 촉진하여 소화를 돕는다.
목향(木香, Aucklandia lappa)
국화과(Composit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목향(Aucklandia lappa)의 근을 건조한 것으로 행기지통(行氣止痛) 및 온중화위(溫中和胃)의 효능이 있고 costuslactone, saussurea lactone등을 함유하고 있다. 이 약의 추출물, 정유 및 알카로이드는 흰 쥐의 적출 장관의 운동을 약하게 촉진하고 acetylcholine, histamine 및 barium chloride에 의한 장관 경련에 길항한다. 이 약의 정유는 토끼 적출소장의 운동을 억제하였고 불규칙한 수축을 보였다. 이와 같은 정유성분의 효과는 개를 이용한 in situ 실험에서도 나타났다. 또한 목향의 물추출물은 위암세포의 생존률을 낮추었으며 이는 목향추출물의 세포괴사 유도작용에 의한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구기자(枸杞子, Lycium chinense)
가지과(Solanaceae)에 속하는 구기자나무(Lycium chinense)의 열매로 자신보간명목(滋腎補肝明目), 윤폐지해(潤肺止咳)등의 효능이 있다. 구기자에는 간보호작용을 가지는 다양한 화합물이 보고 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 betaine이 0.797~1.18% 정도 함유 되어 있다. betaine은 choline의 분해 산물로서 S-adenosyl methionine(SAM)의 함량을 증가시켜 간보호 활성을 갖는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를 이용한 간보호활성에 대한 연구는 동물을 이용한 연구에서부부터 임상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 CCl4로 유도한 간손상 동물모델에서 betaine을 경구 투여한 결과(830 mg/kg, 7일) 간손상이 현저히 억제된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ethanol로 유도한 간손상에 대해서도 현저히 억제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임상연구에서도 betaine은 비알콜성 지방성 간염(NASH)환자에 betaine(10g, bid)을 12개월간 투여한 결과 조직학적 소견의 개선 및 혈청 aminotransferase의 활성저하 등의 NASH가 현저히 개선된다고 보고되어 있다.
생강(生薑, Zingiber officinale)
생강과(Zingiberace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생강(Zingiber officinale)의 신선한 근경 및 건조한 근경이다. 건강은 온중거한(溫中祛寒), 회양통맥(回陽通脈)의 효능이 있고, 생강은 해표산한(解表散寒), 온중지구(溫中止嘔)의 효능이 있다. 정유가 주성분으로 zingiberene을 함유하고 그 외에 bisabolene, camphene, 신미성분으로는 gingerol, zingerone, shogaol등을 함유한다. 이 약 추출물을 투여 했을 대 위산과 위액의 분비가 처음에는 억제되었으나 나중에는 촉진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개실험에서도 이 약의 추출물은 위액 및 위산 분비는 촉진하였으며, lipase 활성은 변화하지 않았으나 pepsin 활성은 감소하였다. 또한 이 약의 추출물은 황산동으로 유도한 개에서 구토 증상을 억제하였으나, 중추신경을 통한 구토유도물질인 apomorphine이나 디기탈리스로 유도한 동물에서는 구토를 억제하지는 못했다. Shogaol과 zingerone은 항구토물질이다. 이 약의 가루는 동요병에 dimenhydrinate보다 우수하며, 특히 구토와 배멀미에 유효하다.
인삼(人蔘, Panax ginseng)
오가피과(Araliaceae)에 속한 다년생초본인 인삼(Panax ginseng)의 근으로 대보원 기(大補元氣), 보비익기(補脾益氣), 생진지갈(生津止渴) 및 영신익지(寧神益智) 효능이 있다. 성분으로는 Dammarane계 saponin으로 protopanaxadiol과 protopanaxatriol이 있으며 20(S)-protopanaxadiol과 20(S)-protopanaxatriol의 비율은 3:1이며 Oleanane계 saponin과 정유, 당류, 알칼로이드인 spinacine등이 있다. 임상적인 연구 결과로서 인삼은 정신 기능, 면역기능 등에 폭 넓은 개선 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 그러나 와파린이나 혈당강하제, 인슐린 또는 phenelzine과 같은 약물과 동시에 복용할 때는 주의가 요구 된다. 알콜에 의한 마취 유도가 늦게 나타나고 마취기간이 짧아진다. EtOH의 배설이 빨라지고 aldehyde dehydrogenase의 활성이 증가하며, 간에서의 EtOH의 산화를 촉진한다. 또한 EtOH에 의한 간손상으로부터 간세포를 보호한다.
첫째 단계 : 재료혼합단계
사인 5~50중량%, 갈화 5~50중량%, 백두구 5~50중량%, 청피 5~50중량%, 백출 5~50중량%, 생강 5~50중량%, 신국 5~50중량%, 택사 5~50중량%, 인삼 5~50, 저령 5~50중량%, 복령 5~50중량%, 진피 5~50중량%, 인진호 5~50중량%, 목향 5~50중량%, 구기자 5~50중량%, 갈근 5~50중량%를 넣고 5~10배량의 물을 넣는 단계. 상기 한약 재료들은 적절한 시기에 채취해야만 약효(藥效)가 있고, 혼합비는 인체에 축적된 알코올 독성을 해독하는 효과를 강화할 것인지 또는 음주로 인한 숙취증세를 완화하는 효과를 강화할 것인지에 따라 그 적절한 혼합비가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모두 상기 혼합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둘째 단계 : 가열단계
전 단계의 혼합물을 용기에 넣어 밀봉하고, 무압식 한약재 추출기를 이용하여 끓이는 온도(95~105℃)로 3~4시간 가열하는 단계로 가열시간 및 가열온도를 잘 따른다.
셋째 단계 : 추출단계
전 단계에서 가열이 완료되면, 용기내의 혼합물을 여과시켜 본 발명의 숙취해소 효과를 갖는 음료를 추출하는 단계로 적당한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가열된 추출물을 여과한다.
넷째 단계 : 첨가물 가미 단계
감즙, 배즙, 유자즙, 매실엑기스, 꿀 등을 적당량 가미하여 맛을 조절하는 단계로 음료의 맛을 좋게 하기 위한 적당량의 감미료와 음료의 보존성을 높이기 위해 적절한 방부제를 첨가한다.
다섯째 단계 : 재가열 및 포장단계
재가열하여 포장하는 단계로 음료의 보존성을 높이기 위해 100℃이상으로 가열하여 밀봉 포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숙취해소 효과를 갖는 음료는 인체에 섭취된 알코올을 중화시켜 혈중 알코올 농도를 낮춤으로써 숙취를 완화시키는 효능이 있고, 또한 숙취로 인하여 손상을 입게 되는 인체의 장기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숙취해소 음료는 여러 종류의 한약재를 조합하여 각 한 약재가 가지고 있는 유효성분들이 조화를 이루게 함으로써 각 한약재를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 보다 그 효능이 훨씬 향상되고 부작용의 우려가 없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 효과를 갖는 음료에는 일반 공해, 중금속 또는 과다한 항생제 사용으로 인하여 인체에 누적되는 독성을 해소하는 효과도 있으므로, 그러한 독성 해소제로서의 사용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개별적으로도 숙취 및 간 기능 보호에 효과가 있지만 본 발명자의 연구에 따른 적절한 성분비로 조합하여 사용할 경우에 더욱 뛰어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1) ALH-101 열수추출 및 동결건조물 제조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숙취해소 및 간 기능 회복 효능 물질인 ALH-101을 동결 건조하여 동결건조물을 획득하였다. ALH-101 동결건조물 20g을 정화된 물 100ml에 용해(1인 1회 투여용량)시켜 투여하였다.
(실시 예 2) AST, ALT 측정을 통한 간 기능 회복 실험 (동물실험)
ALH-101의 알콜성 간기능 회복실험을 실시하기 위하여 SD랫 45마리를 가지고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ALH-101 미투여군은 ALH-101 대신 생리식염수 투여)
대조군 (생리식염수 투여) 실험군
20.1중량% 소주 투여 +ALH-101 미투여군 20.1중량% 소주 투여 +ALH-101 투여군
AST 수치 90.38±2.354 142.52±4.332 115.24±3.742
ALT 수치 23.42±1.732 38.73±2.421 29.56±2.214
<AST, ALT 측정을 통한 간기능 회복기능>
Figure 112008071299145-PAT00001
(실시 예 3) 숙취해소 임상시험
ALH-101의 숙취해소의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상기 실시예1에서 제조된 음료를 가지고 아래 조건에 맞는 50명을 선발하여 간이임상실험을 실시하였다.
임상실험은 50명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25명씩 바꾸어 시험을 실시하였다. 측정기기는 (주)새별전자에서 나온 모델명 CA-200 제품을 가지고 시간에 따른 혈중 알코올 농도(%)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개인적 오차를 줄이기 위해 3회에 걸쳐 측정한 후 평균치를 계산하여 분석하였다. 한편 개인적인 오차를 줄이기 위해 주량이 소주 2~3병, 연령대가 30~45세, AST, ALT, γ-GT 검사 결과 정상 범위인 사람을 선정하여 랜덤하게 2그룹으로 나누어 시험 실시 전 2주 동안 음주(飮酒)를 금지시킨 후 임상시험을 실시하였다.
두 그룹 모두 알코올 20.1중량%의 소주 한 병(360㎖)을 5분 내에 복용시킨 후 한 그룹은 100ml의 물을 섭취시키고, 다른 그룹은 숙취해소용 물질인 ALH-101 20g을 물 100ml에 용해시켜 복용시킨다. 시험 중 흡연 및 음식물 섭취를 금지시켰다.
7일 후, 같은 방법으로 두 그룹을 바꾸어 실험한 후 50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아래 표1과 같이 혈중 알코올 농도가 감소되는 결과를 얻었다.
표1: 평균 혈중 알코올농도(%)
음주직후 1시간경과 2시간경과 5시간경과 12시간경과
ALH-101 복용시 0.11±0.02 0.05±0.01 0.02±0.01 0.00±0.00 0.00±0.00
ALH-101 미복용시 0.10±0.01 0.09±0.02 0.07±0.02 0.03±0.01 0.00±0.00
Figure 112008071299145-PAT00002
(실시 예 4) 음주 후 설문조사를 통한 숙취해소 효능 테스트
상기 실시 예1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음료를 이용하여 50명의 음주자를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하였다. 각자 주량에 해당하는 양의 알코올을 섭취하게 하고 6시간 수면을 취하게 한 후, 그룹1의 대상자들에 대하여는 본 발명의 음료를 복용시키지 않고, 그룹2의 대상자들에 대하여는 본 발명의 음료 100㎖를 복용시킨 다음 한 경우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음료를 복용한 사람들은, 정도의 차이도 있지만, 빠른 시간 (약 2-3시간) 내에 숙취해소의 효과가 있음을 느끼고 있었다.
음주 후 설문 조사를 통해 ALH-101의 숙취해소 기능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크게 다섯 가지로 나누고, 각 항목마다 느끼는 증상을 5단계로 나누어 음주 5시간 경과 후에 실시하였다. 단, ALH-101을 복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느끼는 증상이 없는 데이터는 제외시켜 효과를 분석하였다.
음주 후 설문조사를 통한 숙취해소 효능 테스트 결과 하기 표2와 같이 두통, 갈증, 멀미, 위장 장애, 설사 등 전반적인 숙취증상에 있어서 뛰어난 숙취해소 효능을 나타낸다.
[숙취해소 효능 테스트용 설문 내용]
1. 두통의 정도(1~5점)
[ALH-101 미복용시]
①없다 ②거의 없다 ③약간 있다 ④심하다 ⑤매우 심하다
[ALH-101 복용시]
①없다 ②거의 없다 ③약간 있다 ④심하다 ⑤매우 심하다
2. 갈증의 정도(1~5점)
[ALH-101 미복용시]
①없다 ②거의 없다 ③약간 있다 ④심하다 ⑤매우 심하다
[ALH-101 복용시]
①없다 ②거의 없다 ③약간 있다 ④심하다 ⑤매우 심하다
3. 멀미(메스꺼움)의 정도(1~5점)
[ALH-101 미복용시]
①없다 ②거의 없다 ③약간 있다 ④심하다 ⑤매우 심하다
[ALH-101 복용시]
①없다 ②거의 없다 ③약간 있다 ④심하다 ⑤매우 심하다
4. 위장장애(속쓰림 등)의 정도(1~5점)
[ALH-101 미복용시]
①없다 ②거의 없다 ③약간 있다 ④심하다 ⑤매우 심하다
[ALH-101 복용시]
①없다 ②거의 없다 ③약간 있다 ④심하다 ⑤매우 심하다
5. 설사의 정도(1~5점)
[ALH-101 미복용시]
①없다 ②거의 없다 ③약간 있다 ④심하다 ⑤매우 심하다
[ALH-101 복용시]
①없다 ②거의 없다 ③약간 있다 ④심하다 ⑤매우 심하다
표2: ALH-101의 숙취해소 효능 테스트 결과
Figure 112008071299145-PAT00003
(실시 예 5) 실험용 생쥐에 대한 경구투여 급성독성 시험
숙취해소 효능 물질인 ALH-101의 급성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체중 20g의 실험용 생쥐 B57BL/6에 대하여 각 군당 25마리씩으로 이루어진 실험군과 대조군에 대하여 경구투여 급성독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 예1에서 제조한 ALH-101을 2,000 mg/kg의 용량으로 단회 경구 투여하여 7 일간 관찰하였다. 시험물질 투여 후 동물의 폐사 여부, 임상증상 및 체중변화 등을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복강장기와 흉강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시험 결과 시험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은 없었고, 폐사된 동물도 없었으며, 또한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실험된 숙취해소 효능물질인 ALH-101의 경우 모든 실험 생쥐에서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으며, 경구 투여 최소치사량 (LD 50 )은 2,000 mg/㎏ 이상으로 생체 안정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숙취해소 및 간 기능 보호 효과를 갖는 조성물인 ALH-101은 높은 안전성을 가지고 있다.

Claims (2)

  1. 사인 5~50중량%, 갈화 5~50중량%, 백두구 5~50중량%, 청피 5~50중량%, 백출 5~50중량%, 생강 5~50중량%, 신국 5~50중량%, 택사 5~50중량%, 인삼 5~50, 저령 5~50중량%, 복령 5~50중량%, 진피 5~50중량%, 인진호 5~50중량%, 목향 5~50중량%, 구기자 5~50중량%, 갈근 5~50중량%을 계량하여 혼합하고, 이 혼합된 약재무게의 약8배에 해당하는 물을 첨가하는 단계; 전 단계의 혼합물을 용기에 넣어 밀봉하고 가열하여 밀봉된 용기내의 온도가 약95-105℃로 유지하여 3~4시간을 추출하는 단계; 용기내의 혼합물을 여과시켜 끓인 물을 추출하는 단계; 여과추출물에 첨가물을 넣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효과를 갖는 음료의 제조방법.
  2. 제 1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숙취해소 효과를 갖는 음료
    도1. 혈중알콜농도 측정(%)
    Figure 112008071299145-PAT00004
    도2. AST, ALT 측정을 통한 간 기능 회복 효과
    <AST, ALT 측정을 통한 간기능 회복기능>
    Figure 112008071299145-PAT00005
    도3. ALH-101의 숙취해소 효과
    Figure 112008071299145-PAT00006
KR1020080100397A 2008-10-13 2008-10-13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 효과를 갖는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412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397A KR20100041284A (ko) 2008-10-13 2008-10-13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 효과를 갖는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397A KR20100041284A (ko) 2008-10-13 2008-10-13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 효과를 갖는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284A true KR20100041284A (ko) 2010-04-22

Family

ID=42217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397A KR20100041284A (ko) 2008-10-13 2008-10-13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 효과를 갖는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128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26372A (zh) * 2010-12-16 2012-07-04 天津中敖生物科技有限公司 具有利湿行水功能的泡腾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895578A (zh) * 2012-09-14 2013-01-30 陆利群 一种重度酒醉的解酒药物
CN103861010A (zh) * 2014-02-17 2014-06-18 毛庆云 一种解酒护肝的中药
CN104274705A (zh) * 2014-09-23 2015-01-14 苏州市天灵中药饮片有限公司 解酒护肝咀嚼片及其制备方法
KR20210073341A (ko) * 2019-12-10 2021-06-18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고, 기호성이 향상된 한약재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음료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26372A (zh) * 2010-12-16 2012-07-04 天津中敖生物科技有限公司 具有利湿行水功能的泡腾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895578A (zh) * 2012-09-14 2013-01-30 陆利群 一种重度酒醉的解酒药物
CN103861010A (zh) * 2014-02-17 2014-06-18 毛庆云 一种解酒护肝的中药
CN104274705A (zh) * 2014-09-23 2015-01-14 苏州市天灵中药饮片有限公司 解酒护肝咀嚼片及其制备方法
KR20210073341A (ko) * 2019-12-10 2021-06-18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고, 기호성이 향상된 한약재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음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4979B1 (ko) 숙취해소용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US6416795B1 (en) Herbal extract composition for stress prevention and treatment
KR20020041639A (ko)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CN105380051A (zh) 一种解酒护肝饮料及其制备方法
CN106359720A (zh) 一种清咽利喉和润肺清火的保健茶及其制备方法
KR20100041284A (ko)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 효과를 갖는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CN103610803A (zh) 一种护肝解酒中药组合物
CN103933509B (zh) 用于治疗淡水鱼水霉病的药物及其制备方法
Li Chinese herbal medicine
CN103041256B (zh) 一种治疗小儿反复呼吸道感染的中药制剂
CN103041257B (zh) 治疗小儿发热高烧呼吸道感染的中药制剂
CN105267906A (zh) 治疗、改善女性生理期与经期症候群的巧克力草本中药复方组合物
KR20020078467A (ko) 간기능 회복을 위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TW202330006A (zh) 氣虛及/或血虛相關症狀之預防、改善或緩和用之組合物
CN109043055A (zh) 一种改善亚健康状态的凉茶
KR20040056769A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CN103007145B (zh) 一种治疗小儿轮状病毒肠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915893B1 (ko) 숙취예방 및 해소를 위한 생약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CN104206597B (zh) 一种缓解肺肾阴虚症状的五味子保健茶及其制备方法
CN107875222A (zh) 一种防治羔羊痢疾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6039075A (zh) 一种治疗肺胃蕴热型慢性咽炎的中药组合物及方法
CN105998979A (zh) 一种治疗肺肾阴虚型慢性咽炎的中药组合物及方法
CN101574427B (zh) 辅助戒毒的中药组合物和含有该组合物的中药
CN105535895B (zh) 一种治疗痰咳的中药组合物
CN117796480A (zh) 一种降低酒后乙醛体内蓄积的含氢饮料及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