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5081B1 - 청소용 물품 - Google Patents

청소용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5081B1
KR101325081B1 KR1020087008989A KR20087008989A KR101325081B1 KR 101325081 B1 KR101325081 B1 KR 101325081B1 KR 1020087008989 A KR1020087008989 A KR 1020087008989A KR 20087008989 A KR20087008989 A KR 20087008989A KR 101325081 B1 KR101325081 B1 KR 101325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leaning article
sheet
sheets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8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8656A (ko
Inventor
케이마 타카바야시
치하루 오모리
Original Assignee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68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8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5Plate frames for mops of textile fring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38Other dust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 A47L13/46Securing scouring or polishing cloths or sponges to the handles by gripping means, tongs, or the like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10)은, 편평하면서 통형상인 한 쌍의 손잡이 삽입부(15, 15)를 가지며, 한 쌍의 상기 손잡이 삽입부(15, 15)의 상하 각각에 섬유다발로 이루어지는 섬유층(11a, 11b)과 섬유층(11c, 11d)을 구비하고 있고, 손잡이(20)를 한 쌍의 상기 손잡이 삽입부(15, 15) 내에 삽입하여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한 쌍의 손잡이 삽입부(15, 15) 각각은 상하의 섬유층(11b, 11c) 사이에 개재시킨 2장의 세로로 긴 시트인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를 손잡이 삽입부(15)의 양측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합부가 형성되도록 접합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 삽입부(15)는 손잡이 입구(151)측의 끝부에 미접합 부분을 갖고 있다.
손잡이 삽입부, 섬유층, 손잡이 장착용 시트, 접합부, 손잡이 입구

Description

청소용 물품{CLEANING ARTICLE}
본 발명은 청소용 물품, 특히 손잡이 삽입부의 상하 각각에 섬유층을 갖고, 손잡이를 손잡이 삽입부 내에 삽입하여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는 청소용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손잡이 삽입부를 갖고, 손잡이를 상기 손잡이 삽입부 내에 삽입하여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는 청소용 물품이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손잡이 삽입부의 상하 각각에 섬유층을 구비하고 있어 양측으로 청소 가능한 청소용 물품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청소용 물품은, 한쪽 측의 섬유층이 더러워져도 다른쪽 측의 섬유층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구와 벽과의 틈새 등을 청소하는 경우에는, 틈새에 있어서의 가구와 벽 양쪽을 동시에 청소할 수도 있다.
한편, 손잡이 삽입부의 상하 각각에 섬유층을 갖고 있으면 손잡이 삽입부의 입구부분이 섬유에 덮여 손잡이를 손잡이 삽입부에 삽입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특히 양측에 섬유층이 있는 경우에는, 한쪽 측의 섬유층만이 더러워져 있고 다른쪽 측의 섬유층은 더러워져 있지 않은 경우에, 한쪽과 다른쪽 측의 섬유층을 갈아끼울 때에도 손잡이의 청소용 물품으로부터의 떼어냄 및 장착 작업이 생긴다.
또한, 손잡이의 청소용 물품에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궁리가 행해져 있는 청소용 물품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있어서, 청소용 물품에는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손잡이 삽입부의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의 내폭(內幅) 치수가 손잡이에 있어서의 파지부(把持部;handle)의 선단으로부터 두 갈래로 분기한 삽입부 각각의 폭 치수보다도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공간 각각에 삽입부가 삽입될 때에, 손잡이의 삽입부에 형성된 돌출부가 상기 공간의 내부를 슬라이딩하여, 삽입부가 그 간격이 좁아지도록 변형되는 청소용 물품 및 그 손잡이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일본국 공개특허 2003-265390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청소용 물품에 따르면, 손잡이의 삽입부를 청소용 물품에 있어서의 손잡이 삽입부의 입구로부터 내부로 삽입한 후에, 손잡이 삽입부 내의 공간에 있어서, 손잡이의 삽입부가 슬라이딩하기 쉬운 부분은 있지만 손잡이의 삽입부를 청소용 물품에 있어서의 손잡이 삽입부의 입구에 넣기 쉽게 하는 것에의 대책은 실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손잡이의 삽입부를 청소용 물품에 있어서의 손잡이 삽입부의 입구로부터 내부로 삽입한 후에 손잡이 삽입부 내에서 슬라이딩시킬 때, 한쪽 손으로 손잡이를 쥐고 다른쪽 손으로 청소용 물품을 쥐어 작업을 행하는데, 섬유 등 부드러운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청소용 물품에 있어서, 손잡이 삽입부도 마찬가지로 부드럽기 때문에, 막대형상의 삽입부를 최후까지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손잡이의 삽입부를 도중까지밖에 삽입 못 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그 상태로 청소작업을 행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편평하면서 통형상인 손잡이 삽입부를 갖고, 상기 손잡이 삽입부의 상하 각각에 섬유다발로 이루어지는 섬유층을 구비하고 있으며, 손잡이를 상기 손잡이 삽입부 내에 삽입하여 장착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는 청소용 물품으로서, 상기 손잡이 삽입부는 상하의 상기 섬유층 또는 상기 양 섬유층 사이에 개재시킨 다른 2개의 부재를 손잡이 삽입부의 양측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합부가 형성되도록 접합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 삽입부는 손잡이 입구측의 끝부에 미접합 부분을 갖고 있는 청소용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청소용 물품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청소용 물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청소용 물품의 손잡이 장착용 시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길이가 짧은 손잡이 장착용 시트의 손잡이 입구측의 끝부를 집고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청소용 물품의 손잡이 장착용 시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청소용 물품의 손잡이 장착용 시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청소용 물품의 바람직한 제1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도 4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10)은,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로서 세로로 길고 편평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편평하면서 통형상인 한 쌍의 손잡이 삽입부(15, 15)를 가지며, 한 쌍의 상기 손잡이 삽입부(15, 15)의 상하 각각에 섬유다발로 이루어지는 섬유층(11a, 11b)과 섬유층(11c, 11d)을 구비하고 있고, 손잡이(20)를 한 쌍의 상기 손잡이 삽입부(15, 15) 내에 삽입하여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10)에 있어서, 한 쌍의 손잡이 삽입부(15, 15) 각각은 상하의 섬유층(11b, 11c) 사이에 개재시킨 2장의 세로로 긴 시트인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를 손잡이 삽입부(15)의 양측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합부가 형성되도록 접합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 삽입부(15)는 손잡이 입구(151)측의 끝부(131a, 131b)에 미접합 부분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1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2장의 세로로 긴 직사각형의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는 그들 길이방향이 청소용 물품(10)의 길이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는 그들 길이가 섬유층(11a, 11b, 11c, 11d)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그러나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의 폭은 섬유층(11a, 11b, 11c, 11d) 폭보다도 좁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10)에 있어서 더 설명하면, 한 쌍의 손잡이 삽입부(15, 15)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장의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가 상기 시트의 폭 방향으로 이간(離間)하고,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접합 부(16a, 16b, 16c)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2장의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는 손잡이 입구(151)측의 끝 가장자리의 위치가 어긋나 있다. 2장의 상기 시트(13a, 13b)의 길이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르게 되어 있어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손잡이 입구(151)와 반대방향의 끝 가장자리를 일치시켜서 접합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측에 위치하고 있는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쪽이 짧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10)에 있어서, 한 쌍의 손잡이 삽입부(15, 15) 각각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의 길이방향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손잡이 삽입부(15, 15) 각각은, 본 물품(10)이 포장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양 시트(13a, 13b)가 포개진 상태로 있지만, 후술하는 손잡이(20)를 삽입한 경우에는 양 시트(13a, 13b)의 부분이 이간하여 편평한 통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통형상의 손잡이 삽입부(15)는 상기 시트(13a, 13b)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한쪽 끝부(131a, 131b)에 개구부를 갖고 있고, 상기 개구부는 손잡이 삽입부의 손잡이 입구(151)로 되어 있으며, 손잡이(20)는 상기 입구(151)로부터 손잡이 삽입부(15) 내부로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10)으로 청소할 때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20)를 한 쌍의 손잡이 삽입부(15, 15)에 삽입고정한 상태로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10)에 있어서의 한 쌍의 손잡이 삽입부(15, 15)에 있어서, 그 폭 방향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는 접합부(16b)는 직선형상의 히트 실(heat seal)로서, 상기 시트(13a, 13b)의 길이방향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접합부(16b)의 위치는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의 폭 방향 중앙부이기도 하다.
상기 접합부(16b)의 양편에 배치되어 있는 2개의 접합부(16a, 16c)(도 3에 있어서 점선으로 둘러싸인 부분) 각각은 원형의 히트실에 의한 엠보싱부(18)가 상기 시트(13a, 13b)의 길이방향에 등간격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접합부(16a, 16c) 각각에 있어서 엠보싱부(18)끼리 사이의 부분에 있어서의 2장의 상기 시트(13a, 13b)끼리는 접합되어 있지 않다. 2개의 접합부(16a, 16c) 각각은 상기 접합부(16b)로부터 폭 방향으로 거의 등거리로 떨어져 형성되어 있다.
2장의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에 있어서, 손잡이 입구(151)측에 대하여 길이방향 반대측의 끝부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트실에 의해 직선형상으로 접합되어 있으며, 한 쌍의 손잡이 삽입부(15, 15) 각각은 주머니형상의 공간으로 되어 있어 손잡이(20)에 있어서의 삽입부(22) 선단의 삽입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10)에 있어서의 한 쌍의 손잡이 삽입부(15, 15)는 2장의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로 형성되어 있어서, 2장의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의 끝부(131a, 131b) 각각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 삽입부(15)의 외측으로 뒤집어 접혀져 강도가 높게 되어 있다. 2개의 끝부(131a, 131b) 각각은 그 뒤집어 접혀져 있는 부분이 대향면에 접합되어 있어서, 다른 부분보다도 두께가 늘어나 있다. 뒤집어 접혀져 있는 부분의 접합은 히트실, 접착제 등의 공지의 고정수단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2개의 끝부(131a, 131b) 각각은 모두 2개로 뒤집어 접혀져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본 실시형태와 같이 부분적으로 뒤집어 접혀져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의 손잡이 입구측의 끝 가장자리는, 뒤집어 접혀져 절곡(折曲)되어 있는 부분이다. 손잡이 장착용 시트(13b)의 손잡이 입구측의 끝 가장자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2장의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에 있어서 상기 끝부(131a, 131b)가 뒤집어 접혀져 있는 부분 각각의 강도 정도는, 통상의 인장시험에 의해 인장속도 300㎜/min로 측정한 단위 폭당 강도가 0.5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6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뒤집어 접혀져 있는 부분의 절편은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의 손잡이 입구(151)측의 끝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폭 20㎜의 부분을 잘라내어 작성했다. 상기 강도의 상한치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또한, 2장의 상기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 입구(151)측의 끝부(131a, 131b)에 미접합 부분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2장의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 각각은 손잡이 입구(151) 근방에 있어서 어느 접합부(16a, 16b, 16c)에 의해서도 서로 접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갖고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의 끝부(131a)는 그 끝 가장자리로부터 접합부(16a, 16b, 16c)에 있어서의 손잡이 입구(151)측 끝부까지의 부분이다. 손잡이 장착용 시트(13b)의 끝부(131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술한 손잡이 입구(151)측의 2개의 끝부(131a, 131b) 각각은 손잡이(20)를 청소용 물품의 손잡이 삽입부(15)에 삽입할 때에, 집는 부분으로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끝부(131a, 131b)에는 뒤집어 접히는 부분이 마련되어 있어서 강성이 높게 되어 있고 집기 쉽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10)에 대해서 더 설명하면, 4개의 섬유층(11a, 11b, 11c, 11d)은 소정의 두께를 갖고 섬유다발이 배향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섬유다발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소용 물품(10)의 폭 방향으로 거의 배향되어 있다.
서로 이웃하는 섬유층인 섬유층(11a)과 섬유층(11b)의 사이에는 세로로 긴 직사각형의 스크래핑(scraping)용 시트(12a)가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섬유층(11c)과 섬유층(11d)의 사이에는 세로로 긴 직사각형의 스크래핑용 시트(12b)가 배치되어 있다. 2장의 스크래핑용 시트(12a, 12b)는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또한 2장의 스크래핑용 시트(12a, 12b)는 그들 길이방향이 청소용 물품(10)의 길이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각 섬유층(11a∼11d)과, 2장의 세로로 긴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와, 2장의 스크래핑용 시트(12a, 12b)는, 각 섬유층(11a∼11d)에 있어서의 섬유의 배향방향이 스크래핑용 시트(12a, 12b) 및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의 길이방향과 거의 직교하도록 적층되어 있다. 나아가 섬유층, 손잡이 장착용 시트 및 스크래핑용 시트는, 그들 폭 방향 중앙부를 일치시켜서 손잡이 장착용 시트 및 스크래핑용 시트의 길이방향에 걸쳐서 접합되어 있다. 접합은 소정 폭을 가진 직선형상의 접합라인(14)을 따라 행해진다. 접합라인(14)은 섬유층, 손잡이 장착용 시트 및 스크래핑용 시트의 폭 방향 중앙부에 형성된다. 접합라인은, 예를 들면 열융착,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 공지의 접합수단에 의해 형성된다. 섬유층, 손잡이 장착용 시트 및 스크래핑용 시트 모두가 열융착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열융착에 의해 접합라인(14)을 형성하는 것이 간편하다. 이 경우, 한 쌍의 손잡이 삽입부(15, 15)를 형성하고 있는 접합부(16b)는 접합라인(14)의 형성과 함께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섬유층(11b)과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와 섬유층(11c)은, 접합부(16a, 16c)를 형성하고 있는 엠보싱부(18, 18…)에 있어서 융착되어 있는 것이, 청소용 물품(10)에 대하여 유연성을 확보하면서 강성이 부여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손잡이(2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부(21)와 파지부의 선단으로부터 두 갈래로 분기한 삽입부(22, 22)를 구비하고 있다. 파지부(21)와 삽입부(22)는 소정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삽입부(22)는 가늘고 긴 편평한 판 모양의 형상을 하고 있다. 삽입부(22)가 이러한 형상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삽입부(22)에 가요성(可撓性;flexibility)이 부여된다. 이는, 곡면이나 요철을 갖는 청소 대상면을 청소했을 경우에 청소용 물품(10)이 청소 대상면을 따르기 쉬워져 먼지의 제거효율이 높아지는 관점에서 유리하다. 각 삽입부(22)는 2장의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에 의해 형성되는 손잡이 삽입부(15) 내에 각각 삽입된다.
손잡이(20)에 있어서 삽입부(22, 22) 사이에 삽입부(22)보다도 짧은 길이를 갖는 후크(hook)부 등을 마련하는 동시에, 손잡이 삽입부에 있어서의 손잡이 입구(151)측의 끝부(131a, 131b)가 슬릿(slit) 등의 손잡이(20)와 걸어맞춤 가능한 부분을 갖고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후크부 등이 상기 끝부(131a, 131b)와 걸어맞춰짐으로써, 손잡이(20)가 청소용 물품(10)으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하는데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청소용 물품(10)에 있어서의 2장의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에 있어서, 손잡이 입구(151)측의 끝부(131a, 131b)에 있어서의 미접합부의 길이방향 길이(L1)(도 3 참조)는, 섬유층 끝부의 위치 및 손잡이(20) 삽입의 용이함, 즉 16b로부터 16a 혹은 16c와의 거리와도 관련된다. 손잡이(20) 삽입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길이(L1)는 상기 거리가 크게 느슨한 경우는 1∼1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거리가 좁아서 타이트(tight)한 경우는 3∼3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끝부(131a, 131b)에 있어서의 미접합부의 일부가 섬유층 내측으로 들어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미접합부가 섬유층의 내측으로 들어가 있는 부분의 길이(L11)는 0∼20㎜인 것이 바람직하고, 0∼1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미접합부가 섬유층의 외측으로 나와 있는 부분의 길이(L12)는 1∼30㎜인 것이 바람직하고, 2∼2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 미접합부의 길이(L1)는 길이(L11)와 길이(L12)의 합이다. 한편, 미접합부의 길이(L1)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에 있어서의 손잡이 입구(151)측의 끝 가장자리로부터 접합부(16a, 16b, 16c)에 있어서의 손잡이 입구(151)측의 끝부까지의 길이이며, 상기 끝부(131a)가 뒤집어 접혀져 있는 상기 시트(13a)의 부분은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2개의 끝부(131a, 131b) 각각이 손잡이 삽입부(15)의 외측으로 뒤집어 접혀져 있는 부분의 길이(L2)(도 3 참조)는 특별히 동일할 필요는 없다. 길이(L2)는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관점에서 3∼30㎜인 것이 바람직하고, 3∼15㎜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2장의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에 있어서의 손잡이 입구측의 끝 가장자리의 위치 어긋남을 길이방향을 따라 잰 길이(L3)(도 3 참조)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관점에서 0∼10㎜인 것이 바람직하고, 1∼5㎜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손잡이 입구(151)측의 2개의 끝부(131a, 131b) 각각은, 손잡이(20)를 청소용 물품(10)에 장착할 때에는 집는 부분으로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한쪽 손으로 손잡이(20)의 파지부(21)를 잡고, 다른쪽 손으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의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의 끝부(131a)를 집는다. 이렇게 하면, 2장의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에 있어서의 끝부(131a, 131b) 각각은 서로 이간하여 한 쌍의 손잡이 입구(151, 151)가 열린다. 한 쌍의 손잡이 입구(151, 151) 각각이 개구하기 때문에, 손잡이(20)의 두 갈래로 분기되어 있는 삽입부(22, 22) 각각은 상기 입구(151)에 삽입하기 쉬워진다.
나아가, 한쪽 손으로 끝부(131a)를 잡으면서 다른쪽 손으로 손잡이(20)를 손잡이 삽입부(15)의 내부로 삽입한다. 청소용 물품(10)은 그 길이방향의 일단(一端)인 끝부(131a)가 쥐어지고 타단(他端)은 자중(自重)에 의해 아래쪽으로 늘어져 있으므로, 손잡이 삽입부(15) 내의 통형상의 공간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넓어진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손잡이(20)의 삽입부(22)는 손잡이 삽입부(15) 내의 통형상의 공간을 따라 부드럽게 진행하여 도중에 걸리는 일 없이 삽입부(22)의 선단을 손잡이 삽입부(15)의 속까지 삽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10)을 구성하는 각 부재에 대해서 설명하면,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의 형성재료로서는, 종래의 청소용 물품에 이용되고 있는 부직포 등의 섬유시트에 더하여, 일반적으로 포장재료로서 사용되는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열융착 가능한 성분을 포함하는 에어스루(air-through) 부직포 혹은 스펀본드(spun-bond) 부직포 또는 플라스틱 필름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섬유층(11a∼11d)을 구성하는 섬유로서는, 섬유길이가 30∼150㎜, 특히 50∼120㎜인 것을 이용하는 것이 먼지의 엉김 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섬유길이를 갖는 섬유를 섬유다발(토우(tow))의 상태로 이용한다. 그때에는 공지의 개섬장치(開纖裝置;tow opening device)를 이용해서 섬유를 충분히 개섬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10)에 따르면, 2장의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에 있어서의 손잡이 삽입부의 입구(151)측의 끝부(131a, 131b) 각각이 뒤집어 접혀져 있는 동시에 각각의 위치가 어긋나 있으므로, 손잡이(20)를 본 물품(10)에 삽입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10)은 위쪽으로 구부러져 있는 손잡이(20)에 대하여 가장 하측의 섬유층(11d), 특히 상기 섬유층(11d)에 있어서의 손잡이(20)에 대하여 반대측의 끝부가 청소조작에 의해 더러워지기 쉽다. 이와 같이 섬유층(11d)이 청소조작에 의해 더러워진 경우에는, 손잡이(20)를 청소용 물품(10)으 로부터 떼어내고 청소용 물품(10)의 상하를 교체하여, 더러워져 있지 않은 상측의 섬유층(11a)을 하측으로 한 후, 다시 손잡이(20)를 청소용 물품(10)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10)은, 손잡이(20)를 청소용 물품(10)에 있어서의 손잡이 삽입부(15)에 삽입하기 쉽기 때문에, 청소용 물품(10)의 상하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4의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10)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2∼4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제1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히 기술한 설명이 적절히 적용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도 1∼도 4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10)에 있어서, 한 쌍의 손잡이 삽입부(15, 15)는 2장의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가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2장의 상기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에 있어서의 손잡이 입구(151)측 끝부(131a, 131b)의 폭 각각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장의 상기 시트(13a, 13b)의 끝부(131a, 131b)를 제외한 부분의 폭보다도 넓게 되어 있어 집기 쉽게 되어 있다.
2개의 폭이 넓은 끝부(131a, 131b) 각각은, 상기 섬유층의 길이방향의 끝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2개 끝부(131a, 131b) 각각은 뒤집어 접혀져 있지 않다.
2개의 끝부(131a, 131b) 각각은 손잡이 입구(151)측 끝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길이가 일정한 폭으로 넓게 되어 있다. 2개의 끝부(131a, 131b)의 폭은 같은 것이 바람직하고, 그 폭은 구체적으로는, 집기 쉬우면서 청소조작을 방해하지 않는 관점에서 상기 끝부(131a, 131b)를 제외한 부분의 폭보다도 2∼20㎜ 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길이가 짧은 시트(13a)에 있어서의 폭이 넓은 부분의 길이(L4)(도 5 참조)는 동일한 관점에서 0.3∼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장의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끼리는 끝부(131a, 131b)에 있어서 어느 접합부(16a, 16b, 16c)에 의해서도 접합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10)에 따르면, 2장의 상기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에 있어서의 끝부(131a, 131b)의 폭이 넓게 되어 있어 집기 쉽게 되어 있으며, 상술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10)에 있어서, 한 쌍의 손잡이 삽입부(15, 15)는 열융착성 섬유로 형성되어 있는 2장의 손잡이 삽입부 시트(13a, 13b)가 접합되어 이루어진다. 2장의 상기 손잡이 삽입부 시트(13a, 13b)에 있어서의 손잡이 입구(151)측의 끝부(131a, 131b) 각각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끝 가장자리 근방이 상기 시트(13a, 13b)를 용융에 의해 필름화해서 강도가 높아져 있어 집기 쉽게 되어 있다.
2개의 폭이 넓은 끝부(131a, 131b) 각각은, 상기 섬유층의 길이방향의 끝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2개 끝부(131a, 131b) 각각은 뒤집어 접혀져 있지 않다.
2개의 끝부(131a, 131b) 각각에 있어서 필름화하고 있는 부분은, 손잡이 입구(151)측의 끝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길이가 열에 의해 용융되어 있다. 상기 소정의 길이(L5)(도 6 참조)는 2장의 상기 시트(13a, 13b)에 있어서 같은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집기 쉬우면서 청소조작을 방해하지 않는 관점에서 1∼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장의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끼리는 끝부(131a, 131b)에 있어서 어느 접합부(16a, 16b, 16c)에 의해서도 접합되어 있지 않다.
2장의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에 있어서, 상기 끝부(131a, 131b)의 필름화하고 있는 부분 각각의 강도 정도는, 상기 필름화하고 있는 부분의 길이 80㎜ 폭 5㎜ 절편을 통상의 인장시험에 의해 척간 50㎜, 인장속도 300㎜/min으로 측정한 단위 폭당 강도가 0.35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38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화하고 있는 부분의 절편은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의 손잡이 입구(151)측의 끝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폭 20㎜의 부분을 잘라내어 작성했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10)에 있어서,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의 재료로서는, 종래의 청소용 물품에 이용되고 있는 열융착성 섬유로 형성되어 있는 부직포 등의 섬유시트 또는 포장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필름이 바람직하다. 상기 섬유시트를 형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섬유로서는, 특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이들 복합섬유 등이 바람직하고, 더욱이 이들 재료는 상기 필름용 원료로서도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10)에 따르면, 2장의 상기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에 있어서의 손잡이 입구(151)측의 끝 가장자리 근방이 필름화해서 강 도가 높게 되어 있어 집기 쉽게 되어 있으며, 상술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10)에 있어서, 한 쌍의 손잡이 삽입부(15, 15)는 2장의 손잡이 삽입부 시트(13a, 13b)가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2장의 상기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에 있어서의 손잡이 입구(151)측의 끝부(131a, 131b) 각각은 그 끝 가장자리에 다른 시트편(3)이 접합되어 강도가 높아져 있어 집기 쉽게 되어 있다.
2개의 폭이 넓은 끝부(131a, 131b) 각각은, 상기 섬유층의 길이방향의 끝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2개 끝부(131a, 131b) 각각은 뒤집어 접혀져 있지 않다.
2장의 상기 시트(13a, 13b)에 서로 붙여져 있는 시트편(3, 3) 각각은 같은 모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시트편(3)의 세로의 길이는,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의 폭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고, 시트편(3)의 가로의 길이는 집기 쉬우면서 청소조작을 방해하지 않는 관점에서 2∼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10)에 있어서의 시트편(3) 세로방향의 한쪽 측 가장자리는, 2장의 상기 시트(13a, 13b)에 있어서의 손잡이 입구(151)측의 끝 가장자리 각각에 일치시켜서 서로 붙이고 있다.
또한, 2장의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끼리는 끝부(131a, 131b)에 있어서 어느 접합부(16a, 16b, 16c)에 의해서도 접합되어 있지 않다.
2장의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에 있어서, 상기 끝부(131a, 131b)의 시트편(3)이 서로 붙여져 있는 부분 각각의 강도 정도는, 통상의 인장시험에 의해 인장속도 300㎜/min으로 측정한 단위 폭당 강도가 0.5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6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편(3)이 서로 붙여져 있는 부분의 절편은, 상기 손잡이 장착용 시트의 손잡이 입구(151)측의 끝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폭 20㎜의 부분을 잘라내어 작성했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10)에 따르면, 2장의 상기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 13b)에 있어서의 손잡이 입구(151)측의 끝부(131a, 131b) 각각은 그 끝 가장자리에 다른 시트편(3, 3)이 접합되어 강성이 높게 되어 있어 집기 쉽게 되어 있으며, 상술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청소용 물품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청소용 물품에 있어서의 손잡이 삽입부는, 상하의 섬유층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섬유층이 접합되어 통형상의 손잡이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2개의 상기 섬유층에 있어서의 손잡이 입구측의 끝부에 미접합 부분을 갖고 있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한 쌍의 손잡이 삽입부가 마련되어 있으나, 손잡이 삽입부는 하나여도 된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2장의 손잡이 장착용 시트의 길이는 섬유층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섬유층과 거의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술한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설명 생략부분 및 일실시형태만이 갖는 요건은 각각 다른 실시형태에 적절히 적용할 수 있고, 또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요건은 적절히 실시형태 사이에서 상호 치환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청소용 물품은 각 섬유층의 섬유를 보풀이 일도록 해도 된다. 각 섬유층의 섬유 전체를 보풀이 일도록 했을 경우, 본 물품은 그 전체의 형상이 원기둥형상이 되고, 섬유층 끝부의 면적이 증가하여 그 포집(捕集)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청소용 물품(10)은 손잡이 장착용 시트의 상하 각각에 한층 이상의 섬유층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섬유층을 형성하는 섬유는 손잡이 장착용 시트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섬유층을 형성하는 섬유가 보풀이 일어 청소용 물품(10)의 전체 형상이 원기둥형상이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청소용 물품은, 통상 건식의 상태에서 일회용 물품으로서, 예를 들면 테이블이나 책상, 장롱 등의 가구, 텔레비전이나 비디오 카세트 리코더, 냉장고 등 가전제품 등의 청소에 이용된다. 또한, 방의 구석부분이나 벽과 가구와의 사이의 좁은 틈새의 청소에도 이용된다.
본 발명의 양측에 섬유층을 갖는 청소용 물품에 따르면, 손잡이를 손잡이 삽입부에 삽입하기 쉽다.

Claims (9)

  1. 편평하면서 통형상인 손잡이 삽입부를 갖고, 상기 손잡이 삽입부의 상하 각각에 섬유다발로 이루어지는 섬유층을 구비하고 있으며, 손잡이를 상기 손잡이 삽입부 내에 삽입하여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는 청소용 물품으로서,
    상기 손잡이 삽입부는, 상하의 상기 섬유층 사이에 개재시킨 2장의 시트를 손잡이 삽입부의 양측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합부가 형성되도록 접합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2장의 상기 시트는 각각 상기 손잡이 삽입부의 길이방향에서의 손잡이 입구측에, 상기 접합부의 손잡이 입구측 끝부의 위치에서 연장된 끝부를 가지고 있고,
    2장의 상기 시트의 상기 끝부끼리는 접합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2장의 상기 시트는 상기 손잡이 삽입부의 길이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긴 세로로 긴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2장의 상기 시트는, 손잡이 입구측의 끝 가장자리의 위치가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물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상기 끝부는, 상기 손잡이 삽입부의 외측으로 뒤집어 접혀져서 강도가 높아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물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끝부의 폭은, 상기 시트의 상기 끝부를 제외한 부분의 폭보다도 넓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물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열융착성 섬유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끝부는 상기 시트를 용융에 의해 필름화하여 강도가 높아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물품.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상기 끝부는, 추가적인 시트편이 접합되어 강도가 높아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물품.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삽입부에 있어서의 상기 손잡이 입구측의 끝부는, 상기 손잡이와 걸어맞춤 가능한 부분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물품.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2장의 상기 시트의 상기 끝부는 각각 상기 섬유층 외측에 나와 있는 부분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물품.
KR1020087008989A 2005-10-21 2006-10-06 청소용 물품 KR1013250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06697 2005-10-21
JP2005306697A JP4657075B2 (ja) 2005-10-21 2005-10-21 清掃用物品
PCT/JP2006/320051 WO2007046251A1 (ja) 2005-10-21 2006-10-06 清掃用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656A KR20080068656A (ko) 2008-07-23
KR101325081B1 true KR101325081B1 (ko) 2013-11-06

Family

ID=37962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8989A KR101325081B1 (ko) 2005-10-21 2006-10-06 청소용 물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90049633A1 (ko)
EP (1) EP1938737B1 (ko)
JP (1) JP4657075B2 (ko)
KR (1) KR101325081B1 (ko)
CN (1) CN101291611B (ko)
AU (1) AU2006305394B2 (ko)
CA (1) CA2625866C (ko)
ES (1) ES2405358T3 (ko)
TW (1) TWI388307B (ko)
WO (1) WO20070462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31971B2 (en) * 2005-01-28 2015-01-13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pad impregnated with a volatile liquid for improved dust adhesion
JP4709105B2 (ja) * 2006-09-12 2011-06-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体及び清掃用具
JP4731433B2 (ja) 2006-09-12 2011-07-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体及び清掃用具
JP4098821B1 (ja) 2007-06-07 2008-06-11 株式会社アキタファインブランキング Vgsタイプターボチャージャにおける可変機構並びにこれを組み込んだ排気ガイドアッセンブリ
US8161594B2 (en) * 2007-07-02 2012-04-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lural sided cleaning implement
JP2009142358A (ja) * 2007-12-12 2009-07-02 Yamada Chiyoe 清掃シートおよび清掃用具
JP5590840B2 (ja) * 2009-09-29 2014-09-17 大王製紙株式会社 清掃用シート
JP5221624B2 (ja) * 2010-10-28 2013-06-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体及び清掃用具
KR101961374B1 (ko) * 2012-01-03 2019-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US8931132B2 (en) * 2012-03-09 2015-01-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differential overlap between sheet and tow fibers
US20140182767A1 (en) 2012-12-29 2014-07-03 Unicharm Corporation Method of producing cleaning member
WO2014104325A1 (ja) 2012-12-29 2014-07-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部材を製造する方法、及び清掃部材を製造するシステム
JP6057707B2 (ja) 2012-12-29 2017-01-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繊された繊維束の製造方法、清掃部材の製造方法、繊維束の開繊装置、及び清掃部材の製造システム
JP6080550B2 (ja) 2012-12-29 2017-02-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帯状シートにシールを施す融着装置
US20140187406A1 (en) 2012-12-29 2014-07-03 Unicharm Corporation Method of producing cleaning member
JP6047400B2 (ja) 2012-12-29 2016-12-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部材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JP6073128B2 (ja) 2012-12-29 2017-02-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切断装置及び切断装置を用いた清掃部材の製造方法
JP6037828B2 (ja) 2012-12-29 2016-12-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繊された繊維束の製造方法、清掃部材の製造方法、繊維束の開繊装置、及び清掃部材の製造システム
JP6047401B2 (ja) 2012-12-29 2016-12-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繊された繊維束の製造方法、清掃部材の製造方法、繊維束の開繊装置、及び清掃部材の製造システム
JP6103945B2 (ja) 2013-01-10 2017-03-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積み重ね装置及びウェブ部材を製造する方法
JP6141023B2 (ja) 2013-01-10 2017-06-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トウを含むウエブ部材の製造方法
JP6060000B2 (ja) 2013-02-07 2017-01-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具
CN104981189B (zh) * 2013-02-08 2018-08-14 宝洁公司 用于使清洁制品蓬松的套件
JP7213794B2 (ja) * 2019-03-08 2023-01-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シート
WO2020183923A1 (ja) * 2019-03-08 2020-09-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シート
JP7134145B2 (ja) * 2019-07-19 2022-09-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シート及び清掃シートを備える清掃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7931A (ja) * 2000-07-10 2005-06-02 Uni Charm Corp 清掃用物品
JP2005237589A (ja) * 2004-02-25 2005-09-08 Duskin Co Ltd 清掃具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0708A (en) * 1905-08-24 1906-01-23 Samuel H Brister Brush.
US974922A (en) * 1910-02-19 1910-11-08 James Barton Rose Brush.
US975862A (en) * 1910-04-18 1910-11-15 Louis George Hatosy Jr Glass-cleaner.
USD294073S (en) * 1985-12-20 1988-02-02 Lin C Duster or similar article
USD320878S (en) * 1990-02-14 1991-10-15 Maxine Linder Mop head
USD353489S (en) * 1992-02-14 1994-12-20 Hurwitz Joseph B Combined brush and sponge applicator
USD350029S (en) * 1992-10-19 1994-08-30 Rubbermaid Incorporated Brush handle
USD353940S (en) * 1993-09-07 1995-01-03 Empire Brushes, Inc. Sponge brush
EP0646580B1 (de) * 1993-09-16 2000-05-31 Ciba SC Holding AG Vinyletherverbindungen mit zusätzlichen von Vinylethergruppen verschiedenen funktionellen Gruppen und deren Verwendung zur Formulierung härtbarer Zusammensetzungen
US5953784A (en) * 1995-08-01 1999-09-21 Kao Corporation Cleaning cloth and cleaning apparatus
JP3208306B2 (ja) * 1995-11-17 2001-09-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拭き取り用具
USD435948S1 (en) * 1997-10-10 2001-01-02 Beverly Long Narrow spaces duster
JP4050035B2 (ja) * 2000-10-27 2008-02-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ハンディモップ
IL152340A (en) * 2001-02-23 2007-12-03 Yoshinori Tanaka Cleaning accessory
JP4132730B2 (ja) * 2001-06-14 2008-08-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製品
JP4041706B2 (ja) * 2002-07-22 2008-01-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保持具およびその清掃用保持具を用いた清掃物品
AU154021S (en) * 2003-04-03 2003-12-12 Reckitt Benckiser Inc Brush
USD530051S1 (en) * 2004-01-12 2006-10-10 Txf Products, Inc. Modular feather duster handle
JP3940130B2 (ja) * 2004-03-19 2007-07-04 山崎産業株式会社 払拭材
CN1937949A (zh) * 2004-03-29 2007-03-28 山田千代惠 清扫工具以及其所使用的保持部件
CN2726513Y (zh) * 2004-07-16 2005-09-21 毛莹 清洁刷
JP4688455B2 (ja) * 2004-09-09 2011-05-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掃除用具
JP4785369B2 (ja) * 2004-11-16 2011-10-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物品
US7891898B2 (en) * 2005-01-28 2011-02-22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pad for wet, damp or dry cleaning
JP5048375B2 (ja) * 2007-03-30 2012-10-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体及び清掃用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7931A (ja) * 2000-07-10 2005-06-02 Uni Charm Corp 清掃用物品
JP2005237589A (ja) * 2004-02-25 2005-09-08 Duskin Co Ltd 清掃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25866A1 (en) 2007-04-26
CN101291611A (zh) 2008-10-22
CN101291611B (zh) 2011-01-12
AU2006305394A1 (en) 2007-04-26
EP1938737A1 (en) 2008-07-02
KR20080068656A (ko) 2008-07-23
EP1938737A4 (en) 2010-05-05
JP2007111297A (ja) 2007-05-10
JP4657075B2 (ja) 2011-03-23
EP1938737B1 (en) 2013-04-24
CA2625866C (en) 2014-01-14
TW200730122A (en) 2007-08-16
ES2405358T3 (es) 2013-05-30
US20090049633A1 (en) 2009-02-26
WO2007046251A1 (ja) 2007-04-26
AU2006305394B2 (en) 2011-02-03
TWI388307B (zh) 201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5081B1 (ko) 청소용 물품
JP4545086B2 (ja) 清掃用物品
JP4549250B2 (ja) 清掃用物品
WO2007046252A1 (ja) 清掃具
JP4817998B2 (ja) 清掃具
JP4738311B2 (ja) 清掃用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4636923B2 (ja) 清掃用物品
KR20080110448A (ko) 청소용 물품과 그 기모방법 및 그 제조방법
JP2003265389A (ja) 清掃用物品
JP2008289867A (ja) 清掃用シート
JP2007029136A (ja) 清掃用物品
JP2005237975A (ja) 清掃用物品
US7571510B2 (en) Cleaner
TWI536945B (zh) A cleaning member, a cleaning tool, and a cleaning member
JPWO2006011234A1 (ja) 清掃具及び清掃具を構成する保持部材
TW201507682A (zh) 清掃具
WO2013099119A1 (ja) 清掃部材、及び清掃具
TWI612930B (zh) 清掃具
TWI616176B (zh) 清掃具
WO2014122964A1 (ja) 清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