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950B1 - 자동차의 리어 액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리어 액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950B1
KR101322950B1 KR1020110021599A KR20110021599A KR101322950B1 KR 101322950 B1 KR101322950 B1 KR 101322950B1 KR 1020110021599 A KR1020110021599 A KR 1020110021599A KR 20110021599 A KR20110021599 A KR 20110021599A KR 101322950 B1 KR101322950 B1 KR 101322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wheel carrier
wheel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3343A (ko
Inventor
노어베르트 쇼테
Original Assignee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49567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2295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10103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06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 B62D7/14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 B62D7/146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comprising means for steering by acting on the suspension system, e.g. on the mountings of the suspension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20Links, e.g. track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60G3/2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ll arms being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6Attaching arms to sprung or unsprung part of vehicle, characterised by comprising attachment means controlled by an external actuator, e.g. a fluid or electrical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8Attaching arms to un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7Supply of pressurised fluid for steering also supplying other consumers ; control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8Steering knuckles; King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10Independent suspensions
    • B60G2200/18Multilink suspensions, e.g. elastokinematic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60G2200/422Driving wheels or live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60G2200/44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steer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60G2200/462Toe-in/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4Mounting of suspension arms
    • B60G2204/148Mounting of suspension arms on the unsprung part of the vehicle, e.g. wheel knuckle or rigid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50Constructional features of wheel supports or knuckles, e.g. steering knuckles, spindle attach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리어 휠을 고정하는 휠 캐리어(10)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리어 액슬, 즉 조향 가능한 리어 액슬에 관한 것이며,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상부 가로 링크(11), 하나의 하부 가로 링크(12), 및 하나의 트랙 로드(13)는 각각의 리어 휠과 상호 작용하고, 트랙 로드들(13)이 자동차의 세로 방향으로 볼 때 리어 휠의 중심 또는 휠 캐리어의 중심 뒤에 위치하며, 자동차의 세로 방향으로 볼 때 각각의 경우에 리어 휠의 중심 또는 휠 캐리어의 중심 뒤에 위치하는 트랙 로드들(13) 양자에는 공통 조향 액츄에이터(15)가 결합되고, 조향 액츄에이터는 마찬가지로 자동차의 세로 방향으로 볼 때 각각의 경우에 리어 휠의 중심 또는 휠 캐리어의 중심 뒤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리어 액슬{Rear Axle of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자동차의 리어 액슬에 관한 것이다.
DE 39 12 924 A1호는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자동차 휠을 고정하는 휠 캐리어를 구비한 자동차의 조향 가능한 액슬을 개시하되, 상기 문건에 개시된 조향 가능한 액슬의 각각의 휠 캐리어에는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상부 가로 링크, 하나의 하부 가로 링크, 및 하나의 트랙 로드가 배정된다. 휠 캐리어에 배정된 트랙 로드들은 자동차의 세로 방향 또는 주행 방향으로 볼 때 자동차 휠의 중심 또는 조향 가능한 액슬의 휠 캐리어의 중심 뒤에 위치한다. 상부 가로 링크들과 하부 가로 링크들은 각각의 경우에 휠 캐리어의 중심 또는 휠 캐리어에 고정된 자동차 휠의 중심에서 연결점에 의해 각각의 휠 캐리어에 결합된다.
이를 시작점으로 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신규한 리어 액슬을 제공하는 과제에 기반한다.
상기 과제는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자동차의 리어 액슬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의 세로 방향으로 볼 때 각각의 경우에 리어 휠의 중심 또는 휠 캐리어의 중심 뒤에 위치하는 트랙 로드들 양자에는 공통 조향 액츄에이터가 결합되고, 조향 액츄에이터는 마찬가지로 자동차의 세로 방향으로 볼 때 각각의 경우에 리어 휠의 중심 또는 휠 캐리어의 중심 뒤에 위치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 가능한 리어 액슬의 완전히 새로운 개념을 제안한다. 리어 휠의 휠 캐리어와 상호 작용하는 트랙 로드들은 자동차의 세로 방향 또는 주행 방향으로 볼 때 각각의 경우에 리어 휠의 중심 또는 휠 캐리어의 중심 뒤에 위치하고, 상기 두 개의 트랙 로드들에는 조향 가능한 리어 액슬을 위한 공통 또는 중앙 조향 액츄에이터가 결합되며, 조향 액츄에이터는 마찬가지로 자동차의 세로 방향 또는 주행 방향으로 볼 때 리어 휠의 중심 또는 휠 캐리어의 중심 뒤에 위치한다. 이러한 리어 액슬은 특히 바람직하게 자동차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사항에 따르면, 상부 가로 링크들은 각각의 경우에 제1 연결점에 의해 각각의 휠 캐리어에 연결되고 제2 연결점에 의해 서브프레임에 연결되며, 각각의 상부 가로 링크의 영역에서, 제1 및 제2 연결점들은 자동차의 세로 방향으로 볼 때 리어 휠의 중심 또는 휠 캐리어의 중심 앞에 위치한다. 상부 가로 링크들의 연결점들의 상기와 같은 배치는 캠버 모멘트의 특히 유리한 지지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개선사항에 따르면, 하부 가로 링크들은 각각의 경우에 제1 연결점에 의해 각각의 휠 캐리어에 연결되고 다수의 제2 연결점에 의해 서브프레임에 연결되며, 각각의 하부 가로 링크의 영역에서, 제1 연결점 및 제2 연결점들 중 하나의 제2 연결점은 자동차의 세로 방향으로 볼 때 리어 휠의 중심 또는 휠 캐리어의 중심 앞에 위치하고, 제2 연결점들 중 하나의 제2 연결점은 자동차의 세로 방향으로 볼 때 리어 휠의 중심 또는 휠 캐리어의 중심 뒤에 위치한다. 하부 가로 링크들의 연결점들의 상기와 같은 배치는 제동 토크와 구동 토크의 특히 바람직한 지지를 가능하게 한다.
상부 가로 링크와 각각의 휠 캐리어의 제1 연결점은 자동차의 세로 방향으로 볼 때 하부 가로 링크와 각각의 휠 캐리어의 제1 연결점 뒤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점들을 통해 연장되는 축이 아래에서 위로 볼 때 후방으로 경사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결점들을 통해 연장되는 축의 상기와 같은 경사도에 의해 토인(toe-in)과 함께 조향 작동 동안 네거티브 캠버 변화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사항에 따르면, 하부 가로 링크들은 각각의 경우에 커플러에 의해 각각의 휠 캐리어 상에 지지되며, 각각의 커플러는 자동차의 세로 방향으로 볼 때 리어 휠의 중심 또는 휠 캐리어의 중심 뒤에서 연장된다. 커플러들의 사용에 의해 제동 토크와 구동 토크를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사항들은 종속 청구항들 및 후술하는 설명으로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리어 액슬의 부분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부분 측면도.
도 4는 도 1의 부분 배면도.
본 발명은 자동차의 리어 액슬, 구체적으로 조향 가능한 리어 액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유형의 리어 액슬은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리어 휠을 고정하는 두 개의 휠 캐리어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리어 휠을 고정하는 휠 캐리어의 영역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리어 액슬의 부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부 가로 링크(11), 하부 가로 링크(12), 및 트랙 로드(13)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 가능한 리어 액슬의 각각의 휠 캐리어(10)와 상호 작용한다.
트랙 로드들(13)은 자동차의 세로 방향(F), 따라서 전진 주행 방향으로 볼 때 리어 휠의 중심 또는 휠 캐리어(10)의 중심 뒤에 위치하며, 리어 휠의 중심 또는 휠 캐리어(10)의 중심은 축(14) 상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향 가능한 리어 액슬의 두 개의 휠 캐리어(10)에 배정된 트랙 로드들(13) 양자에는 공통 또는 중앙 조향 액츄에이터(15)가 배정되며, 조향 액츄에이터는 마찬가지로 자동차의 세로 방향(F)으로 볼 때 축(14) 뒤에, 따라서 리어 휠의 중심 또는 휠 캐리어(10)의 중심 뒤에 위치하고, 이는 도 1 및 도 2에 가장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트랙 로드(13)는 제1 연결점(16)에서 공통 또는 중앙 조향 액츄에이터(15)에 관절식(articulated fashion)으로 결합되고 제2 연결점(17)에서 각각의 휠 캐리어(10)에 관절식으로 결합된다.
상부 가로 링크들(11)은 각각의 경우에 제1 연결점(18)에 의해 각각의 휠 캐리어(10)에 관절식으로 연결되고 제2 연결점(19)에 의해 서브프레임(20)에 관절식으로 연결된다.
서브프레임(20)은 조향 가능한 리어 액슬을 몸체 구조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몸체 구조로부터는 세로 빔(21)이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상부 가로 링크(11)의 영역에서, 자동차의 세로 방향(F)으로 볼 때 상기 두 개의 연결점(18, 19)은 각각의 경우에 리어 휠의 중심 또는 휠 캐리어(10)의 중심 앞에, 따라서 축(14) 앞에 위치한다. 이때, 상부 가로 링크들(11)은 세로 방향(F)으로 볼 때 축(14) 앞에 또는 바로 앞에, 따라서 휠 캐리어(10)의 중심 앞에 또는 바로 앞에 위치한다. 상부 가로 링크들(11)의 상기와 같은 연결은 캠버 모멘트의 유리한 지지를 가능하게 한다.
하부 가로 링크들(12)은 각각의 경우에 제1 연결점(22)에 의해 각각의 휠 캐리어(10)에 관절식으로 연결되고, 다수의 제2 연결점(23, 24),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두 개의 제2 연결점에 의해 서브프레임(20)에 관절식으로 연결된다. 각각의 하부 가로 링크(12)의 영역에서, 각각의 가로 링크(12)를 각각의 휠 캐리어(10)에 연결하는 각각의 제1 연결점(22)은 자동차의 세로 방향(F)으로 볼 때 축(14) 앞에, 따라서 리어 휠의 중심 또는 각각의 휠 캐리어(10)의 중심 앞에 위치함을 특히 도 2에서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연결점들 중 첫 번째 제2 연결점, 구체적으로 연결점(23)은 자동차의 세로 방향(F)으로 볼 때 축(14) 앞에, 따라서 각각의 휠 캐리어(10)의 중심 앞에 위치하는 반면에, 상기 제2 연결점들 중 두 번째 제2 연결점, 구체적으로 연결점(24)은 자동차의 세로 방향(F)으로 볼 때 축(14) 뒤에, 따라서 각각의 휠 캐리어(10)의 중심 뒤에 위치한다. 이런 방식으로, 제동 토크와 구동 토크를 특히 바람직하게 흡수할 수 있다.
도 3에 가장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 축(25)은 상부 가로 링크(11)의 제1 연결점(18)을 통해 각각의 휠 캐리어(10)로 연장되고 하부 가로 링크(12)의 제1 연결점(22)을 통해 각각의 휠 캐리어(10)로 연장되며, 조향 축(25)을 도 3에서 파선으로 나타내었는데, 도 3에 따르면, 아래에서 위로 볼 때 후방으로, 즉 자동차의 세로 방향(F)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를 이룬다. 이러한 경사도는 상대적으로 미미하여 수 도의 범위로 변화된다. 이런 방식으로, 토인과 함께 조향 작동 동안 네거티브 캠버 변화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앞서 언급된 부품들 외에도, 커플러(26)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향 가능한 리어 액슬의 각각의 휠 캐리어(10)와 상호 작용한다. 이때, 각각의 커플러(26)는 각각의 하부 가로 링크(12)를 각각의 휠 캐리어(10) 상에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자동차의 세로 방향(F)으로 볼 때 각각의 휠 캐리어(10)의 중심 뒤에, 따라서 축(14) 뒤에 위치한다.
이때, 각각의 커플러(26)는 연결점(27)에 의해 각각의 하부 가로 링크(12)와 결합되고 연결점(28)에 의해 각각의 휠 캐리어(10)와 관절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두 개의 연결점(27, 28)은 축(14) 뒤에 위치함으로써 자동차의 세로 방향(F)으로 볼 때 휠 캐리어(10)의 중심 뒤에 위치한다. 커플러들(26)의 사용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리어 액슬의 제동 토크와 구동 토크의 지지를 추가로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향 가능한 리어 액슬의 완전히 새로운 개념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향 가능한 리어 액슬은 중앙 조향 액츄에이터(15)를 구비하고, 조향 액츄에이터는 구체적으로 트랙 로드들(13)과 함께 자동차의 세로 방향(F)으로 볼 때 휠 캐리어(10)의 중심 뒤에 위치하며, 트랙 로드들은 일측이 공통 조향 액츄에이터(15)와 결합되고 타측이 각각의 휠 캐리어(10)와 결합된다. 상부 가로 링크들(11)의 연결점들(18, 19)은 세로 방향(F)으로 볼 때 휠 캐리어(10)의 중심 앞에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구체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상부 가로 링크(11)와 각각의 휠 캐리어(10)의 연결점(18)이 세로 방향(F)으로 볼 때 하부 가로 링크(12)와 각각의 휠 캐리어(10)의 연결점(22) 뒤에 위치하도록, 각각의 하부 가로 링크(12)와 각각의 휠 캐리어(10)의 연결점(22)이 세로 방향(F)으로 볼 때 휠 캐리어(10)의 중심 앞에 위치하고, 따라서 상기 연결점들(18, 22)을 통해 연장된 조향 축(25)은 아래에서 위로 볼 때 후방으로 경사를 이룬다. 각각의 조향 축(25)의 관통점은 세로 방향(F)으로 볼 때 각각의 휠 캐리어(10)의 중심 앞에 위치한다. 하부 가로 링크들(12)을 추가로 휠 캐리어들(10)에 결합시키는 커플러들(26)의 연결점들(27, 28)은 세로 방향(F)으로 볼 때 휠 캐리어들(10)의 중심 뒤에 위치한다.
각각의 휠 캐리어(10)에 배정된 스프링-댐퍼 시스템(29)은 일측이 각각의 하부 가로 링크(12) 상에 지지되고 타측이 자동차 몸체에 지지된다.
10 휠 캐리어
11 상부 가로 링크
12 하부 가로 링크
13 트랙 로드
14 축
15 조향 액츄에이터
16 연결점
17 연결점
18 연결점
19 연결점
20 서브프레임
21 세로 빔
22 연결점
23 연결점
24 연결점
25 조향 축
26 커플러
27 연결점
28 연결점
29 스프링-댐퍼 시스템

Claims (11)

  1. 복수의 휠 캐리어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리어 액슬 즉, 조향 가능한 리어 액슬이며, 휠 캐리어 각각은 하나의 리어 휠을 고정하고, 하나의 상부 가로 링크, 하나의 하부 가로 링크, 및 하나의 트랙 로드가 각각의 휠 캐리어에 대한 각각의 리어 휠과 상호 작용하고, 트랙 로드들이 자동차의 세로 방향으로 볼 때 리어 휠의 중심 또는 휠 캐리어의 중심 뒤에 위치하는, 자동차의 리어 액슬에 있어서,
    자동차의 세로 방향으로 볼 때 리어 휠의 중심 또는 휠 캐리어의 중심 뒤에 위치하는 트랙 로드들(13) 양자 각각에는 공통 조향 액츄에이터(15)가 결합되고, 공통 조향 액츄에이터는 마찬가지로 자동차의 세로 방향으로 볼 때 리어 휠의 중심 또는 휠 캐리어의 중심 뒤에 위치하고,
    하부 가로 링크들(12) 각각은 커플러(26)에 의해 각각의 휠 캐리어(10) 상에 지지되며, 각각의 커플러(26)는 자동차의 세로 방향으로 볼 때 리어 휠의 중심 또는 휠 캐리어의 중심 뒤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액슬.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 가로 링크들(11) 각각은 제1 연결점(18)에 의해 각각의 휠 캐리어(10)에 연결되고 제2 연결점(19)에 의해 서브프레임(2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액슬.
  3.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부 가로 링크(11)의 영역에서, 제1 및 제2 연결점들(18, 19)은 자동차의 세로 방향으로 볼 때 리어 휠의 중심 또는 휠 캐리어(10)의 중심 앞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액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가로 링크들(12) 각각은 제1 연결점(22)에 의해 각각의 휠 캐리어(10)에 연결되고 다수의 제2 연결점(23, 24)에 의해 서브프레임(2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액슬.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하부 가로 링크(12)의 영역에서, 제1 연결점(22) 및 제2 연결점들 중 하나의 제2 연결점(23)은 자동차의 세로 방향으로 볼 때 리어 휠의 중심 또는 휠 캐리어(10)의 중심 앞에 위치하고, 제2 연결점들 중 하나의 제2 연결점(24)은 자동차의 세로 방향으로 볼 때 리어 휠의 중심 또는 휠 캐리어(10)의 중심 뒤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액슬.
  6. 제4항에 있어서, 상부 가로 링크(11)와 각각의 휠 캐리어(10)의 제1 연결점(18)이 자동차의 세로 방향으로 볼 때 하부 가로 링크(12)와 각각의 휠 캐리어(10)의 제1 연결점(22) 뒤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점들(18, 22)을 통해 연장된 축(25)이 아래에서 위로 볼 때 후방으로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액슬.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커플러(26)는 연결점(27)에 의해 각각의 하부 가로 링크(12)와 연결되고 연결점(28)에 의해 각각의 휠 캐리어(10)와 연결되며, 상기 두 개의 연결점(27, 28)은 자동차의 세로 방향으로 볼 때 리어 휠의 중심 또는 휠 캐리어(10)의 중심 뒤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액슬.
  9. 제5항에 있어서, 상부 가로 링크(11)와 각각의 휠 캐리어(10)의 제1 연결점(18)이 자동차의 세로 방향으로 볼 때 하부 가로 링크(12)와 각각의 휠 캐리어(10)의 제1 연결점(22) 뒤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점들(18, 22)을 통해 연장된 축(25)이 아래에서 위로 볼 때 후방으로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액슬.
  10. 삭제
  11. 삭제
KR1020110021599A 2010-03-12 2011-03-11 자동차의 리어 액슬 KR1013229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12014.6A DE102010012014B4 (de) 2010-03-12 2010-03-12 Hinterachse eines Kraftfahrzeugs
DE102010012014.6 2010-03-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343A KR20110103343A (ko) 2011-09-20
KR101322950B1 true KR101322950B1 (ko) 2013-10-29

Family

ID=44495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599A KR101322950B1 (ko) 2010-03-12 2011-03-11 자동차의 리어 액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86979B2 (ko)
JP (1) JP5395832B2 (ko)
KR (1) KR101322950B1 (ko)
CN (1) CN201951547U (ko)
DE (1) DE102010012014B4 (ko)
FR (1) FR29573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6814A (ko) 2017-04-18 2018-10-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륜조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2436A1 (de) * 2012-03-22 2013-09-26 Dr. Ing. H.C. F. Porsche Ag Einzelradaufhängungs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2212475A1 (de) * 2012-07-17 2014-05-2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ngetriebene Achse eines zweispurigen Fahrzeugs
DE102013211535A1 (de) 2013-06-19 2014-12-24 Zf Friedrichshafen Ag Lenkbare Radaufhängung
ITUB20152142A1 (it) 2015-07-14 2017-01-14 Fca Italy Spa Sospensione di ruota di autoveicolo, con dispositivo di regolazione dell'angolo di convergenza
DE102016200095A1 (de) * 2016-01-07 2017-07-13 Zf Friedrichshafen Ag Radaufhängung
DE102016200096A1 (de) 2016-01-07 2017-07-13 Zf Friedrichshafen Ag Radaufhängung
DE102016220786B4 (de) * 2016-10-24 2024-03-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interradaufhängung für Kraftfahrzeuge
DE102017113708A1 (de) * 2017-06-21 2018-12-2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Radaufhängung für die Hinterachse eines Fahrzeugs
DE102017214640A1 (de) 2017-08-22 2019-02-28 Zf Friedrichshafen Ag Fahrzeugachse mit einer zentral angeordneten Antriebseinheit
DE102017214639A1 (de) 2017-08-22 2019-02-28 Zf Friedrichshafen Ag Radaufhängung für ein Kraftfahrzeug
JP7126464B2 (ja) * 2019-03-01 2022-08-26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KR102313267B1 (ko) * 2021-04-14 2021-10-14 서한산업(주) 전동식 독립 조향장치
US11772442B2 (en) * 2021-07-23 2023-10-03 Rivian Ip Holdings, Llc Offset steering axis knuckle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1156A (en) * 1988-07-28 1991-12-10 Mazda Motor Corporation Vehicle rear suspension system
US5080185A (en) * 1989-09-28 1992-01-14 Mazda Motor Corporation Rear suspension system for four-wheel-steered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3922B2 (ja) * 1988-11-28 1999-03-03 マツダ株式会社 後輪操舵車両の後輪懸架装置
DE3912924A1 (de) 1989-04-20 1990-05-31 Daimler Benz Ag Aus kugelkopf und kugelpfanne gebildetes traggelenk zur abstuetzung eines querlenkers
JPH03213412A (ja) * 1990-01-17 1991-09-18 Yorozu:Kk 独立懸架式サスペンション
DE102007024755A1 (de) * 2007-05-26 2008-11-2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ktives Fahrwerksystem eines zweispurigen Fahrzeugs sowie Betriebsverfahren hierfü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1156A (en) * 1988-07-28 1991-12-10 Mazda Motor Corporation Vehicle rear suspension system
US5080185A (en) * 1989-09-28 1992-01-14 Mazda Motor Corporation Rear suspension system for four-wheel-steered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6814A (ko) 2017-04-18 2018-10-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륜조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0012014A1 (de) 2011-09-15
JP2011189928A (ja) 2011-09-29
DE102010012014B4 (de) 2020-06-04
US8286979B2 (en) 2012-10-16
FR2957322A1 (fr) 2011-09-16
JP5395832B2 (ja) 2014-01-22
US20110221155A1 (en) 2011-09-15
KR20110103343A (ko) 2011-09-20
CN201951547U (zh) 201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2950B1 (ko) 자동차의 리어 액슬
CN101827743B (zh) 前车体结构
US20160068195A1 (en) Battery arrangement in a two-track vehicle
JP6756792B2 (ja) 車体後部構造
CN103129617B (zh) 悬挂车架的周边构造
US9586617B2 (en) Steering intermediate arm
KR20150005558A (ko) 전방충격 흡수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섀시
CN103909971A (zh) 汽车的副车架结构
CN104640720A (zh) 车轮悬架结构
JP7172875B2 (ja) フレーム車の車体構造
CN104364096A (zh) 车轮悬架结构
US10407114B2 (en) Attachment device for track support beam of tracked vehicle
JP6160367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9280006A (ja) リアエンジン車両
KR20100056887A (ko)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리어 현가장치
JP2019010970A (ja) 車両のドディオン式懸架装置
CN106573649B (zh) 用于轮轴的模块化的辅助架以及辅助架的制造方法
CN101480985A (zh) 高转向灵活性、高稳定性的三轮车及其所用车架
JP6753904B2 (ja) 車体後部構造
EP1932691B1 (en) Suspension system for steering wheels of transport vehicle of the bus type, and corresponding transport vehicle
CN103129621B (zh) 悬挂车架的周边构造
CN108657345A (zh) 跨骑型车辆的车身结构
CN201325558Y (zh) 正三轮摩托车的后轮悬挂结构
CN203294232U (zh) 鞍乘型车辆的主支架
CN106467135B (zh) 用于车桥的副车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