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0842B1 - 전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전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0842B1
KR101320842B1 KR1020070008463A KR20070008463A KR101320842B1 KR 101320842 B1 KR101320842 B1 KR 101320842B1 KR 1020070008463 A KR1020070008463 A KR 1020070008463A KR 20070008463 A KR20070008463 A KR 20070008463A KR 101320842 B1 KR101320842 B1 KR 101320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belt
regulating
unit
driving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0393A (ko
Inventor
방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8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0842B1/ko
Priority to US11/954,139 priority patent/US8126381B2/en
Priority to EP07123258A priority patent/EP1950620A1/en
Priority to CNA2007103005562A priority patent/CN101231500A/zh
Publication of KR20080070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0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31Details of unit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relating to the driving mechanism for the intermediate support, e.g. gears, couplings, belt tensio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135Handling of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215/00139Belt
    • G03G2215/00143Meandering prevention
    • G03G2215/00156Meandering prevention by controlling drive mechanism

Abstract

전사벨트의 유동을 보상할 수 있는 전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 및 상기 화상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시키는 전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사장치는, 전사벨트; 상기 전사벨트를 주행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전사벨트와 상기 구동부의 유동을 규제하여 정위치에 위치시키는 규제유닛;을 포함한다.
전사, 벨트, 구동, 롤러, 아이들, 유동, 축, 탄성, 지지, 브라켓, 회전.

Description

전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Transfer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사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는 도 2의 전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그리고,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전사벨트의 유동 규제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0: 전사장치 210: 전사벨트
220: 구동부 221: 구동롤러
222: 아이들롤러 230: 제 1 규제유닛
231: 제 1 규제부재 232: 제 1 탄성부재
240: 제 2 규제유닛 241: 제 2 규제부재
242: 제 2 탄성부재
본 발명은 전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복사기, 프린터, 팩스밀리 및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기기로 구현하는 복합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를 급지하는 급지유닛, 감광매체에 화상을 현상시키는 현상유닛, 현상된 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시키는 전사장치, 전사된 화상을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유닛 및 인쇄매체를 이송시켜 외부로 배지시키는 배지유닛 등을 포함한다. 이 중에서 상기 전사장치의 일 예가 도 1에 도시된다.
도 1을 참고하면,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장치는, 한쌍의 롤러(21)(22)에 의해 지지되어 주행하는 전사벨트(10)를 포함한다. 상기 전사벨트(10)는 주행하면서 감광매체의 화상을 전사받아 인쇄매체로 전사시킨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롤러(21)(22) 중 하나는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롤러(21)이고 다른 하나는 아이들롤러(22)이다. 상기 아이들롤러(22)의 양단은 탄성부재(3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전사벨트(10)에 장력을 인가한다.
그런데, 상기 전사벨트(10)는 주행 시, 상기 아이들롤러(22)의 축방향에 대해 유동이 발생된다. 이러한 전사벨트(10) 주행 시의 유동은 전사품질 저하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아이들롤러(22)의 중심 직경과 양단의 직경이 서로 다른 크라운 형상으로 아이들롤러(22)를 형성하거나, 전사벨트(10)의 내측면에 가이드돌기를 형성하고 이 가이드돌기에 대응되는 가이드홈을 아이들롤 러(22)에 형성하는 방법이 제시된다. 그러나, 상기 아이들롤러(22) 및/또는 전사벨트(10)의 형상변형의 경우, 제작 비용이 증가되고 특정 부위에서의 마찰 증가에 따른 마모가 야기된다.
한편, 상기 전사벨트(10)의 유동을 감지하여 이를 보상할 수 있는 별도의 센싱수단과 보상수단을 설치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도 제작 비용 증가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전사벨트의 유동을 보상할 수 있는 전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가이며, 간단한 구조의 전사벨트 유동 보상기구를 가지는 전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사장치는, 전사벨트; 상기 전사벨트를 주행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전사벨트와 상기 구동부의 유동을 규제하여 정위치에 위치시키는 규제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사벨트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규제유닛은, 상기 복수의 롤러 중 어느 한 롤러의 축방향 이동에 간섭 되는 규제부재; 및 상기 전사벨트의 주행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어느 한 롤러의 축과 상기 규제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복수의 롤러는, 상기 전사벨트의 일단을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롤러와 상기 전사벨트의 타단을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들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규제유닛은 상기 아이들롤러의 유동을 규제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규제부재는, 정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아이들롤러의 축과 접촉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아이들롤러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회전된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것이 좋다.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아이들롤러의 축과 접촉되는 접촉단과 상기 접촉단의 움직임에 연동하며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단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접촉단과 지지단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호 직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규제부재의 회전범위만큼 상기 아이들롤러의 축을 상기 전사벨트의 주행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 및 상기 화상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시키는 전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사장치는, 전사벨트; 상기 전사벨트를 주행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전사벨트와 상기 구동부의 유동을 규제하여 정위치에 위치시키는 규제유닛;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전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00) 내부에 인쇄매체(P)를 급지시키는 급지유닛(110),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120), 정전잠상을 현상시키는 현상부(130), 현상된 화상을 인쇄매체(P)에 전사시키는 전사장치(200) 및 인쇄매체(P)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140) 등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감광매체(120)와 현상부(130)가 화상형성부를 구성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며 인쇄매체(P)에 소정 화상을 형성시키는 화상형성장치의 기술구성은 공지의 기술로부터 이해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며, 본 발명의 특징적 기술구성인 전사장치(2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장치(200)는 상기 감광매체(120)에 현상된 화상을 인쇄매체(P)에 전사시키는 것으로, 전사벨트(210), 구동부(220) 및 규제유닛(230)(240)을 포함한다.
상기 전사벨트(210)는 상기 현상부(130)에 의해 현상된 감광매체(120) 상의 화상을 중첩 전사받는다. 상기 전사벨트(210)로 전사된 화상은 인쇄매체(P)를 사이에 두고 전사벨트(210)와 마주하여 회전하는 백업롤러(250)에 의해 인쇄매체(P)로 전사된다. 이러한 전사벨트(210)에 의한 화상 전사의 기술구성은 공지의 기술로부터 이해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한다.
상기 구동부(220)는 상기 전사벨트(210)를 주행시킨다. 이러한 구동부(220)는 상기 전사벨트(210)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221)(22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롤러(221)(222)가 전사벨트(210)의 일단을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며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인가받는 구동롤러(221)와 전사벨트(210)의 타단을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아이들롤러(222)인 것으로 예시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롤러(221)는 상기 백업롤러(250)와 전사벨트(210)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여 회전한다.
한편, 상기 구동롤러(221)와 아이들롤러(222)가 각각 복수개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규제유닛(230)(240)은 상기 전사벨트(210)와 구동부(220)의 유동을 규제하여 정위치에 위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규제유닛(230)(240)은 상기 구동부(220)의 아이들롤러(222)의 유동을 규제하도록 상기 아이들롤러(222)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된 일축(222a)과 타축(222b)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되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및 제 2 규제유닛(230)(240)으로 구분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규제유닛(230)(240)은 각각 제 1 및 제 2 규제부재(231)(241)와 제 1 및 제 2 탄성부재(232)(24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규제부재(231)(241)는 상기 아이들롤러(222)의 축방향 이동에 간섭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규제부재(231)(241) 각각은 상기 아이들롤러(222)의 일축(222a)과 타축(222b)에 각각 접촉되어 축방향 이동에 의해 제 1 및 제 2 회전축(231c)(241c)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규제부재(231)(241)는 도 3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아이들롤러(222)의 일축(222a) 및 타축(222b)과 접촉되는 제 1 위치와 아이들롤러(222)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회전된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규제부재(231)(241)는 상기 아이들롤러(222)의 일축(222a) 및 타축(222b)과 각각 접촉되는 제 1 및 제 2 접촉단(231a)(241a)과 이 제 1 및 제 2 접촉단(231a)(241a)의 움직임에 연동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탄성부재(232)(242)를 각각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지지단(231b)(241b)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단(231a)(241a)과 제 1 및 제 2 지지단(231b)(241b)은 제 1 및 제 2 회전축(231c)(241c)을 중심으로 상호 직각을 이루는 것이 좋다.
상기 제 1 및 제 2 탄성부재(232)(242)는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주행하는 전사벨트(210)의 주행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아이들롤러(222)의 일축(222a) 및 타축(222b)과 제 1 및 제 2 규제부재(231)(241)의 제 1 및 제 2 지지단(231b)(241b) 사이에 설치된다.
즉, 상기 제 1 탄성부재(232)는 제 1 지지단(231b)과 아이들롤러(222)의 일축(222a) 사이에 설치되고, 제 2 탄성부재(242)는 제 2 지지단(241b)과 아이들롤러(222)의 타축(222b)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탄성부재(232)(242)의 탄성력에 의해 주행하는 전사벨트(210)에 장력이 인가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탄성부재(232)(242)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 이, 상기 제 1 및 제 2 규제부재(231)(241)의 회전범위(R)만큼 아이들롤러(222)의 일축(222a)과 타축(222b)을 전사벨트(210)의 주행방향으로 가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규제부재(231)의 제 1 접촉단(231a)이 도 4a와 같이, A방향으로 이동된 아이들롤러(222)의 일축(222a)과 접촉되어 R만큼 제 2 위치로 회전하면, 이 제 1 접촉단(231a)과 제 1 회전축(231c)을 중심으로 직각으로 연장된 제 1 지지단(231b)도 함께 R만큼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지지단(231b)에 지지된 제 1 탄성부재(232)가 탄성력에 의해 아이들롤러(222)의 일축(222a)을 C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1 탄성부재(232)에 의한 아이들롤러(222)의 일축(222a)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아이들롤러(222)의 타축(222b)은 C방향과 반대인 D방향으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규제부재(231)(241)의 도 4b에 도시된 D방향 이동 범위를 간섭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간섭부재(233)(243)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간섭부재(233)(243)는 아이들롤러(222)의 일축(222a) 또는 타축(222b)이 D방향으로 유동되더라도, 상기 제 1 및 제 2 규제부재(231)(241)가 회전되지 않고 제 1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단(231b)(241b)의 D방향 이동을 간섭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장치(200)의 규제동작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4b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사벨트(210)가 구동롤러(221)와 아이들롤 러(222)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어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주행한다. 이때,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주행하던 전사벨트(210)가 A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아이들롤러(222)와 전사벨트(210)의 내측면 사이의 마찰에 의해 아이들롤러(222)도 함께 A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아이들롤러(222)의 A방향 이동에 의해, 아이들롤러(222)의 일축(222a)과 접촉된 제 1 위치의 상기 제 1 규제부재(231)의 제 1 접촉단(231a)이 R만큼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 1 회전축(231c)을 중심으로 제 1 접촉단(231a)과 직각으로 연결된 제 1 지지단(231b)도 R만큼 회전되어, 상기 제 1 규제부재(231)가 제 2 위치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제 1 지지단(231b)에 지지된 제 1 탄성부재(232)가 도 4b와 같이, 상기 아이들롤러(222)의 일축(222a)을 C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상기 아이들롤러(222)의 타축(222b)은 C방향 이동된 일축(222a)에 의해 D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 2 지지단(241b)는 제 2 간섭부재(243)에 의해 간섭된 상태이므로, 제 2 탄성부재(242)만 압축될 뿐 제 2 규제부재(241)의 회전은 없다. 이로 인해, 상기 아이들롤러(222)는 소정각도 기울어지며, 상대적으로 경사각도가 기울어진 타축(222b)으로 전사벨트(210)가 B방향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전사벨트(210)의 B방향 이동과 함께 압축된 제 2 탄성부재(242)의 탄성력 복귀에 의해 아이들롤러(222)도 초기 정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규제부재(231)(241)도 제 1 및 제 2 탄성부재(232)(242)의 복귀된 탄성력과 아이들롤러(222)의 일축(222a)과 타축(222b)의 간섭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 1 위치로 복귀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규제유닛(230)(240)이 상기 아이들롤러(222)와 전사벨트(210)가 A방향으로 이동을 규제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아이들롤러(222)와 전사벨트(210)가 B방향으로 이동됨을 규제하는 것도 상술한 바와 같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사벨트와 마찰에 의해 같이 유동하는 구동부의 아이들롤러를 규제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전사벨트의 유동을 규제하여 상기 전사벨트를 정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제조단가가 저렴하면서도 전사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7)

  1. 전사벨트;
    상기 전사벨트를 주행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전사벨트와 상기 구동부의 유동을 규제하여 정위치에 위치시키는 규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사벨트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규제유닛은,
    상기 복수의 롤러 중 어느 한 롤러의 축방향 이동에 간섭되는 규제부재; 및
    상기 전사벨트의 주행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어느 한 롤러의 축과 상기 규제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어느 한 롤러의 축과 접촉되는 접촉단 및 상기 접촉단의 움직임에 연동하며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화상형성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 및
    상기 화상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시키는 전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사장치는,
    전사벨트;
    상기 전사벨트를 주행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전사벨트와 상기 구동부의 유동을 규제하여 정위치에 위치시키는 규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사벨트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규제유닛은,
    상기 복수의 롤러 중 어느 한 롤러의 축방향 이동에 간섭되는 규제부재; 및
    상기 전사벨트의 주행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어느 한 롤러의 축과 상기 규제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어느 한 롤러의 축과 접촉되는 접촉단 및 상기 접촉단의 움직임에 연동하며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롤러는,
    상기 전사벨트의 일단을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롤러와 상기 전사벨트의 타단을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들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유닛은 상기 아이들롤러의 유동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정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아이들롤러의 축과 접촉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아이들롤러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회전된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삭제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과 지지단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호 직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 15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규제부재의 회전범위만큼 상기 아이들롤러의 축을 상기 전사벨트의 주행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전사벨트;
    상기 전사벨트를 주행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전사벨트와 구동부 중 어느 하나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규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규제유닛은,
    상기 구동부의 움직임에 연동하는 규제부재; 및
    상기 구동부와 규제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의 움직임은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으로 각각 움직이는 제 1 및 제 2 움직임을 포함하며,
    상기 규제부재와 탄성부재의 연동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움직임이 규제되며,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와 접촉되는 일단과 상기 구동부의 제 2 움직임에 간섭되는 타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장치.
  20. 삭제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규제부재가 상기 구동부 측으로 탄성 가압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장치.
  22. 삭제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구동부에 대해 상기 규제부재를 가압하는 제 1 탄성력과 상기 구동부의 제 2 움직임을 규제하는 제 2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장치.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전사벨트와 상기 구동부 중 어느 하나의 움직임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제 1 및 제 2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도록 상기 규제부재와 구동부 사이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장치.
  25.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규제유닛은,
    상기 구동부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제 1 및 제 2 규제부재와 제 1 및 제 2 탄성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는 제 1 및 제 2 규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규제부재는 각각 제 1 및 제 2 방향으로 움직이며,
    상기 제 2 탄성부재는 상기 구동부의 움직임이 규제된 제 3 방향으로 상기 전사벨트와 구동부 중 어느 하나를 탄성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규제부재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간섭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장치.
KR1020070008463A 2007-01-26 2007-01-26 전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320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463A KR101320842B1 (ko) 2007-01-26 2007-01-26 전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11/954,139 US8126381B2 (en) 2007-01-26 2007-12-11 Transfer apparatus and image forming device having the same
EP07123258A EP1950620A1 (en) 2007-01-26 2007-12-14 Transfer Apparatus and Image Forming Device having the Same
CNA2007103005562A CN101231500A (zh) 2007-01-26 2007-12-24 转印装置以及具有该转印装置的成像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463A KR101320842B1 (ko) 2007-01-26 2007-01-26 전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393A KR20080070393A (ko) 2008-07-30
KR101320842B1 true KR101320842B1 (ko) 2013-10-21

Family

ID=39304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463A KR101320842B1 (ko) 2007-01-26 2007-01-26 전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26381B2 (ko)
EP (1) EP1950620A1 (ko)
KR (1) KR101320842B1 (ko)
CN (1) CN10123150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11207B2 (ja) * 2009-09-02 2012-04-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ベルトユニット
JP6061190B2 (ja) * 2012-09-11 2017-01-18 株式会社リコー ベルトの片寄り補正機構、ベルト装置、転写ベルト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036590B2 (ja) * 2013-07-25 2016-11-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ベルト片寄抑制構造、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7936A (ja) * 1991-04-16 1992-11-09 Ricoh Co Ltd 無端ベルトの寄り補正装置
JPH0664772A (ja) * 1992-08-13 1994-03-08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無端ベルト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9747B2 (ja) 1991-03-04 1997-12-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エンドレスベルト搬送装置
JP3768675B2 (ja) 1998-05-12 2006-04-19 株式会社沖データ ベルト装置
JP2001122418A (ja) 1999-10-26 2001-05-08 Fuji Xerox Co Ltd ベルト搬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7936A (ja) * 1991-04-16 1992-11-09 Ricoh Co Ltd 無端ベルトの寄り補正装置
JPH0664772A (ja) * 1992-08-13 1994-03-08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無端ベルト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393A (ko) 2008-07-30
US20080181682A1 (en) 2008-07-31
CN101231500A (zh) 2008-07-30
US8126381B2 (en) 2012-02-28
EP1950620A1 (en) 200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2779B2 (en) Transfer bel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2009866B (zh) 传送装置以及包括该传送装置的图像形成装置
JP4585746B2 (ja) 電子写真方式の画像形成装置の現像ユニット及びそれを採用した電子写真方式の画像形成装置
US9014603B2 (en) Driv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320842B1 (ko) 전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851532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7009195B2 (ja) 動力伝達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149241A (ja) ベルト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4013982B2 (ja) 画像形成装置
US8437662B2 (en) Driving force transmit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0561481B1 (ko) 감광벨트의 텐션 조정장치
US7072605B2 (en) Rotary developmen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development unit mounted on a rotating member
JP2020160346A (ja) 画像形成装置
JP428520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4163754A (ja) 転写ベルトユニット及び該ユニット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9285721B2 (en) Transfer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561604B2 (ja) ベルト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074739B2 (ja) 画像形成装置
JP3837176B2 (ja) 現像装置
JP200622750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101770A (ja) 画像形成装置
KR100230335B1 (ko) 인쇄장치
JP4384173B2 (ja) エレクトログラフィ式の印刷機または複写機のための転写ステーション
JPH116533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35214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