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9955B1 -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 및 그 서버,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 및 그 서버,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9955B1
KR101319955B1 KR1020120061238A KR20120061238A KR101319955B1 KR 101319955 B1 KR101319955 B1 KR 101319955B1 KR 1020120061238 A KR1020120061238 A KR 1020120061238A KR 20120061238 A KR20120061238 A KR 20120061238A KR 101319955 B1 KR101319955 B1 KR 101319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reinforcement
enhancement
user terminal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수
Original Assignee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위즈게임즈 filed Critical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to KR1020120061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9955B1/ko
Priority to PCT/KR2012/011139 priority patent/WO201318383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1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using advertising in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5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 A63F2300/57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details of game services offered to the player
    • A63F2300/575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details of game services offered to the player for trading virtual i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은 게임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를 고려하여 아이템 강화 확률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템 강화 확률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에 포함된 강화시킬 아이템을 강화하거나 파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 및 그 서버, 및 기록매체{METHOD FOR UPGRADING GAME ITEM, SERVER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 및 그 서버,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게임 사용자의 선택을 고려하여 게임 아이템을 강화하기 위한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 및 그 서버,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의 보급 환경의 발달과 함께, 근래 들어 다양한 콘텐츠를 인터넷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고, 이러한 콘텐츠 제공 서비스 중에서도 게임 콘텐츠 제공 서비스는 시장의 확대와 보급 속도가 가장 급격하게 성장하는 분야에 해당한다.
또한, 수요층의 확산으로 인해 서비스의 개발 속도 및 보급 속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게임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무료로 제공되던 게임 서비스들도 유료로 전환되고 있다.
온라인을 통한 게임 콘텐츠 제공 서비스는, 시공간의 제약 없이 원격지에 있는 불특정의 사람과 동일한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인터넷을 통해 게임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급격한 증가와 게임 서비스의 유료화가 진전됨에 따라 각 포털 사이트(Portal Site)와 온라인 게임 서비스 업체들은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개발하여 이익을 창출하고 있다.
온라인 게임 서비스 업체들은 게임상에서 사용자에게 아이템을 판매하고 있는데, 더 나은 이익 창출을 위하여 종래의 아이템 판매 방식을 벗어난 새로운 방식의 서비스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새로운 방식의 게임 아이템 서비스를 제공하여 게임 제공자의 이익 창출을 위한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 및 그 서버,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은 게임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를 고려하여 아이템 강화 확률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템 강화 확률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에 포함된 강화시킬 아이템을 강화하거나 파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는, 강화시킬 아이템 정보, 강화 확률 향상 아이템 정보, 강화 캐시 아이템 정보, 성공 향상 아이템 정보 및 파괴 방지 아이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화시킬 아이템을 강화하거나 파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가 파괴 방지 아이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강화시킬 아이템의 강화가 실패하는 경우에 상기 강화시킬 아이템을 파괴하지 않고 현재 속성으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화시킬 아이템을 강화하거나 파괴하는 단계는, 복수의 블락을 포함하는 선택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블락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아이템 강화 확률에 의해 상기 강화시킬 아이템이 강화된 경우, 강화된 아이템을 선택된 블락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은 게임 서버가,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이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각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각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의 아이템 강화 확률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템 강화 확률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에 포함된 상기 각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의 강화시킬 아이템을 강화하거나 파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화시킬 아이템을 강화하거나 파괴하는 단계는, 상기 각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가 파괴 방지 아이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강화시킬 아이템의 강화가 실패하는 경우에 상기 강화시킬 아이템을 파괴하지 않고 현재 속성으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화시킬 아이템을 강화하거나 파괴하는 단계는, 복수의 블락들을 포함하는 선택 인터페이스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각각이 상기 블락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아이템 강화 확률에 의해 상기 강화시킬 아이템이 강화된 경우, 강화된 아이템을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각각이 선택한 블락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화시킬 아이템을 강화하거나 파괴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에 의해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블락들 중 미리 결정된 개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아이템 강화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를 수신받기 위한 송수신 모듈; 및 수신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강화시킬 아이템을 강화하는 경우, 상기 강화시킬 아이템의 강화 성공을 위한 확률인 아이템 강화 확률을 결정하는 확률 결정 모듈; 및 상기 아이템 강화 확률을 통해 상기 강화시킬 아이템을 강화하거나 파괴하는 아이템 강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임 아이템 강화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버에 상기 강화 캐시 아이템, 상기 성공 향상 아이템 또는 상기 파괴 방지 아이템을 구매하기 위해 결제하는 경우,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임 아이템 강화 서버는 상기 강화시킬 아이템의 강화를 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선택을 위한 복수의 블락을 포함하는 선택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블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그램되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 및 그 서버, 및 기록매체에 따르면, 게임 사용자가 아이템 강화에 대해 관여하여 결과에 대한 납득성을 주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발명에 따른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 및 그 서버, 및 기록매체에 따르면, 아이템 강화를 위해 필요없는 아이템을 활용하여 컨텐츠 라이프 싸이클을 강화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 및 그 서버, 및 기록매체에 따르면, 강화를 진행하기 위한 별도 아이템을 판매할 수 있어 게임 제공자의 매출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아이템 강화 시스템에 대한 간략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따른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의 따른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게임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아이템 강화 시스템에 대한 간략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게임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과 네트워크(300)를 통해 연결되고, 사용자 단말(100)에 네트워크(300) 상으로 게임(예컨대, 축구 게임)을 제공할 수 있고, 게임을 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에게 각종 아이템을 판매/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게임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아이템을 판매/제공하는 경우, 강화를 위해 필요한 강화 캐시 아이템 및 강화 성공을 향상시키기 위한 아이템을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판매/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게임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보유한 아이템들 중 일부를 수신하여 이를 통해 강화를 원하는 아이템의 등급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에 관하여, 상기 게임 서버(20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2에서 하기로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인터넷, 전화선 등의 네트워크(300)를 통해 게임 서버(200)와의 접속 상태를 유지하며,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폰, 스마트폰 등에 해당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컨셉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게임 서버(200)는 송수신 모듈(210), 아이템 강화 모듈(220), 확률 결정 모듈(230), 아이템 관리 모듈(240), 결제 모듈(250), 제어 모듈(260) 및 데이터 베이스(2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된 '서버'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논리적인 구성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 요소가 아니라는 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상기 송수신 모듈(210)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를 수신받는다.
또한, 상기 송수신 모듈(210)은 상기 사용자 단말(100)과 상기 아이템 정보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예컨대, 게임, 게임에 관련한 각종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베이스(270)는 상기 아이템 정보 및/또는 상기 아이템 정보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확률 결정 모듈(230)은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강화를 원하는 아이템의 강화시에 아이템 강화 성공 여부에 관련한 아이템 강화 확률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아이템 강화 확률은 미리 결정된 확률 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강화 윈도우에 추가하는 아이템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추후에 기재된다.
상기 아이템 강화 모듈(220)은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아이템을 강화하는 경우, 상기 확률 결정 모듈(230)에 의해 설정된 상기 아이템 강화 확률을 고려하여 아이템을 강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아이템 강화라 함은 아이템의 능력이 보다 향상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아이템 관리 모듈(240)은 게임상의 각종 아이템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특히, 상기 아이템 강화 모듈(220)에 의해 강화된 아이템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결제 모듈(250)은 사용자 단말(100)이 게임 서버(200)에 아이템 결제를 요청하는 경우, 이에 대한 관리를 수행한다. 예컨대, 상기 결제 모듈(250)은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상기 게임 서버(200)에 강화 캐시 아이템, 성공 향상 아이템 또는 파괴 방지 아이템을 구매하기 위해 결제하는 경우, 결제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 블락(260)은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게 복수의 블락을 포함하는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상기 게임 서버(200)를 제어하며, 이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블락 중 하나를 선택하여 강화시킬 아이템이 강화되었는지 또는 파괴되었는지 또는 그대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블락(260)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블락이 미리 정해진 개수만큼 선택되면 상기 인터페이스를 초기화하도록 상기 게임 서버(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블락들이 100개이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의해 그 중 70%인 70개의 블락들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 블락은 상기 인터페이스를 초기화하여, 초기화된 100개의 블락들을 다시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게임 서버(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게임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를 수신한다(S110).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강화하기를 원하는 아이템 정보, 강화 확률 향상 아이템 정보, 강화를 하기 위해 필요한 강화 아이템 정보, 강화의 성공률을 향상시키는 성공 향상 아이템 정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6에서 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의 따른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S120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흐름도는 도 1에 도시된 게임 서버(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S120의 아이템 강화 확률을 결정하기 위하여, 게임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강화시킬 아이템 정보를 수신하고(S111), 강화 확률 향상 아이템 정보를 수신하고(S113), 강화 캐시 아이템 정보를 수신하고(S115), 성공 향상 아이템 정보를 수신하고(S117), 파괴 방지 아이템 정보를 수신한다(S119).
이때, 강화 확률 향상 아이템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보유중인 아이템 중에서 불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아이템을 상기 강화시킬 아이템과 같이 강화를 위한 강화 윈도우에 추가하는 경우, 강화 확률이 향상될 수가 있기 때문에 상기 강화 윈도우에 추가되는 상기 불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아이템을 강화 확률 향상 아이템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강화 캐시 아이템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아이템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강화 캐시 아이템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 게임 서버(200)로부터 강화 캐시 아이템을 구매해야하고, 상기 강화 캐시 아이템을 강화 윈도우에 강화시킬 아이템과 같이 추가하여 강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강화 성공 향상 아이템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게임 서버(200)로부터 강화 성공 향상 아이템을 구입할 수 있고, 상기 강화 성공 향상 아이템을 강화 윈도우에 강화시킬 아이템과 같이 추가하여 강화를 수행하는 경우, 강화 성공률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파괴 방지 아이템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게임 서버(200)로부터 파괴 방지 아이템을 구입할 수 있고, 상기 파괴 방지 아이템을 강화 윈도우에 강화시킬 아이템과 같이 추가하여 강화를 수행하는 경우, 강화가 실패하더라도 강화시킬 아이템이 파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따른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의 S130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흐름도는 도 1에 도시된 게임 서버(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게임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에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S132).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블락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에 의하여 선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블락이 선택되면 강화시킬 아이템의 강화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S134).
이 경우, 아이템 강화 확률에 따라 강화시킬 아이템이 강화되거나, 파괴되거나,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S136). 이때, 유지되는 경우는 강화가 실패한 경우라도 상기 파괴 방지 아이템이 강화 윈도우에 추가된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게임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게임 화면(600)은 강화 윈도우(700)가 도시되며,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강화 윈도우(700)에 강화시킬 아이템(710), 강화 확률 향상 아이템(720,730), 강화 캐시 아이템(740), 성공 향상 아이템(750)을 추가한 경우에 해당한다. 추가로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파괴 방지 아이템(미도시)을 강화 윈도우(700)에 추가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는 강화를 위하여 강화 버튼(770)을 누르는 경우, 아이템 강화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의 게임 화면(800)은 선택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는 N × N 의 블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에 의하여 상기 블락들 중에서 어느 하나(810)가 선택될 수 있고, 선택에 의해 아이템이 강화가 된 경우, 게임 서버(200)는 상기 블락(810)에 강화된 아이템(812)을 출력할 수 있다. 만일, 강화가 실패한 경우에는 아이템이 파괴되었다는 메시지와 함께 상기 블락(810)에 아이템을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이 공유하여 선택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선택 인터페이스(900)에 포함된 복수의 블락들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복수의 블락들(911 내지 920)이 전체 블락 개수의 미리 정해진 비율(예컨대, 70%)에 해당하는 경우, '선택창이 초기화 됩니다'와 같은 메시지 윈도우(950)가 게임 화면(800)에 출력되면서,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가 초기화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적어도 하나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되어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적어도 하나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
200: 게임 서버
210: 송수신 모듈
220: 아이템 강화 모듈
230: 확률 결정 모듈
240: 아이템 관리 모듈
250: 결제 모듈
260: 제어 모듈
270: 데이터 베이스
300: 네트워크

Claims (15)

  1. 게임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를 고려하여 아이템 강화 확률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상기 아이템 강화 확률을 기초로 한,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강화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미리 결정된 개수의 블락들을 가지는 선택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블락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블락들 각각의 아이템 강화 확률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에 포함된 강화시킬 아이템을 강화하거나 파괴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블락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복수의 미리 결정된 개수의 블락들 각각에 대한 선택에 따라 강화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아이템이 달라지며,
    상기 복수의 미리 결정된 개수의 블락들은 게임 운영 서버에 접속하여 강화에 참여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에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컨텐츠이며,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된 블락은 다른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선택이 불가능하도록 설정되는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는,
    강화시킬 아이템 정보, 강화 확률 향상 아이템 정보, 강화 캐시 아이템 정보, 성공 향상 아이템 정보 및 파괴 방지 아이템 정보를 포함하는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시킬 아이템을 강화하거나 파괴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블락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가 파괴 방지 아이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강화시킬 아이템의 강화가 실패하는 경우에 상기 강화시킬 아이템을 파괴하지 않고 현재 속성으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
  4. 삭제
  5. 게임 서버가,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이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각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각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의 아이템 강화 확률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상기 아이템 강화 확률을 기초로 한,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강화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미리 결정된 개수의 블락들을 가지는 선택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이 상기 블락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블락들 각각의 아이템 강화 확률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에 포함된 상기 각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의 강화시킬 아이템을 강화하거나 파괴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블락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복수의 미리 결정된 개수의 블락들 각각에 대한 선택에 따라 강화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아이템이 달라지며,
    상기 복수의 미리 결정된 개수의 블락들은 게임 운영 서버에 접속하여 강화에 참여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에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컨텐츠이며,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된 블락은 다른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선택이 불가능하도록 설정되는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는,
    강화시킬 아이템 정보, 강화 확률 향상 아이템 정보, 강화 캐시 아이템 정보, 성공 향상 아이템 정보 및 파괴 방지 아이템 정보를 포함하는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시킬 아이템을 강화하거나 파괴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블락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각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가 파괴 방지 아이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강화시킬 아이템의 강화가 실패하는 경우에 상기 강화시킬 아이템을 파괴하지 않고 현재 속성으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
  8. 삭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시킬 아이템을 강화하거나 파괴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블락에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에 의해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블락들 중 미리 결정된 개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
  10.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를 수신받기 위한 송수신 모듈; 및
    수신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강화시킬 아이템을 강화하는 경우, 상기 강화시킬 아이템의 강화 성공을 위한 확률인 아이템 강화 확률을 결정하는 확률 결정 모듈;
    상기 확률 결정 모듈에서 결정된 상기 아이템 강화 확률을 기초로 한,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강화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미리 결정된 개수의 블락들을 가지는 선택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도록 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블락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블락들 각각의 아이템 강화 확률을 통해 상기 강화시킬 아이템을 강화하거나 파괴하는 아이템 강화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아이템 강화 모듈에 의해 강화 또는 파괴된 아이템을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블락에 출력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복수의 미리 결정된 개수의 블락들 각각에 대한 선택에 따라 강화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아이템이 달라지며,
    상기 복수의 미리 결정된 개수의 블락들은 게임 운영 서버에 접속하여 강화에 참여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에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컨텐츠이며,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된 블락은 다른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선택이 불가능하도록 설정되는 게임 아이템 강화 서버.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는,
    강화시킬 아이템 정보, 강화 확률 향상 아이템 정보, 강화 캐시 아이템 정보, 성공 향상 아이템 정보 및 파괴 방지 아이템 정보를 포함하는 게임 아이템 강화 서버.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버에 상기 강화 캐시 아이템, 상기 성공 향상 아이템 또는 상기 파괴 방지 아이템을 구매하기 위해 결제하는 경우,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게임 아이템 강화 서버.
  13. 삭제
  14. 게임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를 고려하여 아이템 강화 확률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상기 아이템 강화 확률을 기초로 한,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강화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미리 결정된 개수의 블락들을 가지는 선택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블락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블락들 각각의 아이템 강화 확률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에 포함된 강화시킬 아이템을 강화하거나 파괴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블락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복수의 미리 결정된 개수의 블락들 각각에 대한 선택에 따라 강화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아이템이 달라지며,
    상기 복수의 미리 결정된 개수의 블락들은 게임 운영 서버에 접속하여 강화에 참여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에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컨텐츠이며,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된 블락은 다른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선택이 불가능하도록 설정되는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게임 서버가,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이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각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각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의 아이템 강화 확률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상기 아이템 강화 확률을 기초로 한,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강화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미리 결정된 개수의 블락들을 가지는 선택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이 상기 블락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블락들 각각의 아이템 강화 확률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정보에 포함된 상기 각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의 강화시킬 아이템을 강화하거나 파괴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블락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복수의 미리 결정된 개수의 블락들 각각에 대한 선택에 따라 강화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아이템이 달라지며,
    상기 복수의 미리 결정된 개수의 블락들은 게임 운영 서버에 접속하여 강화에 참여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에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컨텐츠이며,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된 블락은 다른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선택이 불가능하도록 설정되는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20061238A 2012-06-08 2012-06-08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 및 그 서버, 및 기록매체 KR101319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238A KR101319955B1 (ko) 2012-06-08 2012-06-08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 및 그 서버, 및 기록매체
PCT/KR2012/011139 WO2013183833A1 (ko) 2012-06-08 2012-12-20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 및 그 서버,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238A KR101319955B1 (ko) 2012-06-08 2012-06-08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 및 그 서버,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9955B1 true KR101319955B1 (ko) 2013-10-25

Family

ID=49638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238A KR101319955B1 (ko) 2012-06-08 2012-06-08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 및 그 서버,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19955B1 (ko)
WO (1) WO201318383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7197A1 (ko) * 2014-04-28 2015-11-05 정기성 포인트 강화 서비스 운영 방법과 시스템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180061734A (ko) *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디지털 컨텐츠 대여 방법 및 서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4878A (ko) * 2004-02-28 2005-07-19 엔에이치엔(주)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온라인 게임 시스템
KR20050096366A (ko) * 2004-03-30 2005-10-06 엔에이치엔(주) 온라인 게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32285A (ko) * 2010-09-28 2012-04-05 (주)마상소프트 온라인 롤 플레잉 게임에 있어서의 장비 아이템에 대한 스킬 부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9838A (ko) * 2004-04-12 2005-10-17 엔에이치엔(주) 게임 내의 재화를 동적으로 관리하는 온라인 게임 제공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4878A (ko) * 2004-02-28 2005-07-19 엔에이치엔(주)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온라인 게임 시스템
KR20050096366A (ko) * 2004-03-30 2005-10-06 엔에이치엔(주) 온라인 게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32285A (ko) * 2010-09-28 2012-04-05 (주)마상소프트 온라인 롤 플레잉 게임에 있어서의 장비 아이템에 대한 스킬 부여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롤러의 MMORPG 파헤치기 (23) - 게임 속 다양한 시스템~ 아이템강화~ !!’, 네이버 블로그(2009.09.22.) <URL : http://blog.naver.com/ultima96/120091092807>*
'롤러의 MMORPG 파헤치기 (23) - 게임 속 다양한 시스템~ 아이템강화~ !!', 네이버 블로그(2009.09.22.)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7197A1 (ko) * 2014-04-28 2015-11-05 정기성 포인트 강화 서비스 운영 방법과 시스템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1608211B1 (ko) 2014-04-28 2016-04-04 정기성 포인트 강화 서비스 운영 방법과 시스템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180061734A (ko) *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디지털 컨텐츠 대여 방법 및 서버
KR102618484B1 (ko) * 2016-11-30 2023-12-27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디지털 컨텐츠 대여 방법 및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83833A1 (ko) 201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7837B2 (ja)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コンポーネントをワイヤレスデバイスにダウンロード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5502195B2 (ja) シードアプリケーションに基づく、別個のデバイスからのアプリケーションのインストール
US9665860B2 (en) Software application framework for network-connected devices
CN109960521B (zh) 应用程序升级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2804194A (zh) 用于提供应用安全性的方法、装置和计算机程序
US20100179982A1 (en) Method for auditing the data of a computer application of a terminal
KR20140126152A (ko) 음악 컨텐츠 이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1373550B1 (ko) 네트워크 기반의 플랫폼 시스템
KR101319955B1 (ko)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 및 그 서버, 및 기록매체
CN102790754B (zh) 用户登录方法和系统
KR101164319B1 (ko) Gpos 기반의 통합형 애플리케이션 개발 환경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1216781B1 (ko) 게임 아이템 강화 방법 및 그 서버, 및 기록매체
KR101275655B1 (ko) 온라인 게임에서 추천 아이템을 이용한 아이템 변경 방법 및 아이템 변경 서버
KR101408685B1 (ko) 게임 캐릭터 생성 방법, 서버 및 기록매체
CN111318023B (zh) 游戏数据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与电子设备
KR101413851B1 (ko) 광고를 포함하는 게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313097B1 (ko) 게임 아이템 서비스 방법 및 그 서버, 및 기록매체
KR101280394B1 (ko) 게임 아이템 이용기간 연장 방법, 이를 구현하는 서버, 및 기록매체
KR101328080B1 (ko) 보조 아이템을 이용한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그 서버, 및 기록매체
KR20130104568A (ko) 그룹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130089710A (ko) 온라인 게임의 아이템 정보 갱신 방법, 아이템 구매 방법, 및 아이템 정보 갱신 서버
KR101306832B1 (ko) 이벤트 아이템 수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230108065A (ko) 블록체인 기반의 크로스 광고 플랫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고방법
Baldwin Design Rules Volume 2: Chapter 22—An Ecosystem of Its Own: Google and Android
KR101297692B1 (ko) 가상 레벨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