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9693B1 - 방화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방화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9693B1
KR101319693B1 KR1020087010228A KR20087010228A KR101319693B1 KR 101319693 B1 KR101319693 B1 KR 101319693B1 KR 1020087010228 A KR1020087010228 A KR 1020087010228A KR 20087010228 A KR20087010228 A KR 20087010228A KR 101319693 B1 KR101319693 B1 KR 101319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nanotubes
composition
weight
coating
precur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0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8827A (ko
Inventor
미셸 알렉산드르
필리쁘 뒤부아
미리앙 드발케나르
미셸 클래스
Original Assignee
에스.에이. 나노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이. 나노실 filed Critical 에스.에이. 나노실
Publication of KR20080068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8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09D183/0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80Siloxanes having aromatic substituents, e.g. phenyl sid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045Polysiloxanes containing less than 25 silic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12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20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 Fireproofing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교된 폴리실록산 및 "결합 고무" 값이 탄소 나노튜브의 g당 15g 이상인 원료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방화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상기 탄소 나노튜브는 상기 조성물 전체의 0.05 내지 1 중량%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방화성 조성물 {FIREPROOF COMPOSITION}
본 발명은 망상 구조의 중합체 및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내화성 보호 코팅의 형태 및 방화성 씰 (seal)의 형태로 각각 사용되도록 하는 놀라운 점성 및 내화성의 특성을 갖는다.
항공학에서, 기존의 페인트는 통상적으로 분무기를 수단으로 분무하여 적용되었다. 중합체-기재 코팅에 대하여, 사용되는 중합체는 페이스트와 같은 주도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기술을 바꾸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상기 유형을 갖는 코팅의 적용은 일정 수의 실질적인 문제를 내포할 수 있다.
페인트와 같이, 씰은 점도에 대해 특별한 특성을 가져야만 한다. 한편으로 그들은 쉽게 적용되기 위해 충분히 유연해야만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들과 연결된 물질에 임의로 일어날 수 있는 변형을 따르는 동안 그들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충분히 고정되어야만 한다.
다른 문제는 특히 항공학 분야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물질의 내화성이다. 통상적으로 금속 부품이 점점 뜨거워지는 것을 지연시키기 위해 그것을 가능한 한 많이 보호하는 코팅을 적용하여 비행기의 임의의 금속 부품의 내화성을 증가시 키려는 시도가 있었다.
더욱이 내화성 물질과 함께 연결된 씰은 연소의 공격의 다른 면을 제공한다. 연결된 물질과 비교해 방화성이 없는 또는 거의 없는 이러한 씰은 실제로 물질이 임계 온도 수준에 도달하기 전에 잘 녹기 시작할 수 있다. 상기 경우에서, 방화성 물질의 장점은 감소된다.
기존의 내화성 코팅은 통상적으로 대부분 비활성 물질로 충전되거나 열에 반응할 수 있고 너무 급속한 가열로부터 금속 부품을 보호하는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는 물질로 충전된 중합체이다. 상기 유형을 갖는 코팅의 사용에 대한 단점은 요구되는 충전제의 양이 통상적으로 10%를 초과하며, 사용되는 중합체의 기계적 특성을 변경하고 그들을 덜 유연하게 만드는 효과를 가진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내화성 코팅은 그것을 적용하는데 구성 요소의 이동 및 열적 팽창을 따라야만 한다. 그러지 않을 경우, 깨짐이 나타나고 연소의 공격점을 제공할 수 있다.
내화성 중합체의 내연 특성을 유지하면서 그의 물리적 및 기계적 특성을 지키기 위해, 중합체에 혼입되는 탄소 나노튜브가 제안되었다.
문헌 WO 03/070821은 10 내지 60 부피%의 수준으로 탄소 나노튜브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기술한다.
또한 탄소 나노튜브 외에도, 문서 EP 1 471 114에 기술된 다른 내연제 또는 문헌 WO 03/078315에 기술된 점토판 충전제로 알려진 층상 규산염이 혼입된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우수한 내화 특성을 얻기 위해 중합체의 추가 충전제의 비율은 높게 남아있다. 게다가 상기 내화성 중합체는 코팅 또는 씰의 형태로 그들을 적용하는데 적절한 주도를 가지지 않는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업계의 정황에 따른 조성물의 단점을 가지지 않는 코팅 또는 씰을 얻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적은 양의 추가 충전제를 함유하고 유연성이 있으며 적용하기 쉬운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용되는 구성 요소에 우수한 내열성을 제공하는 코팅 및 함께 보유되는 부착된 모든 구성 요소들을 유지하기 위해 열에 매우 잘 견디는 씰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내화성 코팅 또는 씰을 얻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망상 구조의 폴리실록산 및 결합 고무의 값이 원료 탄소 나노튜브의 g당 15g 초과이거나 이와 동일한 원료 탄소 나노튜브를 함유하는 내화성 조성물을 개시하며, 상기 탄소 나노튜브는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의 0.05 내지 1%을 나타낸다.
특정 구현예에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의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가진다:
- 상기 원료 탄소 나노튜브의 중량%는 상기 조성물의 전체 중량의 0.25 내지 0.5%이고;
- 폴리실록산의 주도는 붓 또는 압출 건에 의해 적용하기에 적절하고;
- 원료 탄소 나노튜브는 단일벽 탄소 나노튜브 (SWNT), 이중벽 탄소 나노튜브 (DWNT) 또는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 (MWNT)의 군 중에서 선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청구항 제 1 항과 같은 조성물을 수득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한다:
a) 하기를 함유하는 전구체 A와 접합에 의한 일차 혼합물의 제조 단계:
- 비닐기를 함유하는 폴리실록산,
- 중량비가 최종 생산물의 0.05 내지 1 중량%인 탄소 나노튜브,
b) 단계 a)에서 수득된 일차 혼합물에 히드로실란기를 갖는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전구체 B의 첨가 단계;
c) 단계 b)에서 수득된 혼합물의 망상 구조의 생성.
특정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하기의 특징을 갖는다:
- 혼합물의 망상구조는 열적, 화학적 또는 광화학적 작용에 의해 야기되고;
- 상기 방법에서 탄소 나노튜브의 중량비는 최종 생성물의 0.25 내지 0.5 중량%이고;
- 상기 방법은 단계 b)에서 일차 혼합물을 첨가하기 전에 일차 혼합물의 탈기 단계를 포함하고;
- 상기 탈기 단계는 진공에 의해 이루어진다.
더욱이 본 발명은 하기를 개시한다:
- 내화성 보호 코팅으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 방화성 씰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 코팅으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정의
원료 나노튜브는 임의의 합성 후 처리, 예컨대 산 및/또는 염기 처리에 의해 가능한 정제, 고온에서 재가열, 절단, 분산 등을 거치지 않은 탄소 나노튜브를 의미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낮은 충전률을 갖고 유연하고 적용하기 쉬우며 또한 우수한 내화 특성을 갖는 코팅 및 씰을 수득하는데 이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존의 방식으로 망상 구조의 폴리실록산-기재 중합체의 "결합 고무" 시험에서, 값이 탄소 나노튜브의 g당 15 g을 초과하거나 이와 동일한 원료 탄소 나노튜브의 사용을 제안한다.
원료 탄소 나노튜브는 임의의 합성 후 처리를 거치지 않은 나노튜브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사용된 중합체는 Dow Corning의 Slygard 184이고, 고온에서 히드로실릴화에 의해 망상 구조를 갖는 수지이다.
히드로실릴화에 의한 망상 구조의 수지는 폴리실록산 유형의 두 개의 전구체로부터 수득된 수지를 의미하며, 하나는 비닐기를 함유하고 다른 하나는 히드로실란기를 함유한다.
105℃에서 생성되는 망상 구조는 비닐기에 히드로실란기를 첨가하는 반응으로 이루어진다 (도식 1).
도식 1
Figure 112008030566349-pct00001
Dow Corning의 Slygard 184 수지의 조성은 표 1에 제시되고, 성분의 화학적 구조는 도식 2 내지 5에 제시된다.
표 1: 수지의 조성
Figure 112008030566349-pct00002
도식 2: SFD 117, 비닐기를 갖는 폴리실록산
Figure 112008030566349-pct00003
도식 3: 히드로실란기를 갖는 폴리실록산 유형의 중합체
Figure 112008030566349-pct00004
도식 4: 망상 구조 억제제
Figure 112008030566349-pct00005
도식 5: 폴리디메틸 실록산 미세망상구조를 함유하는 VQM 매트릭스
Figure 112008030566349-pct00006
혼입된 중합체 성분, 특히 전구체 A의 점도에 대한 나노튜브의 효과는 도 1에 나타난다.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를 함유하는 전구체 A의 점도는 점토 충전제를 함유하는 기존의 조성물과 비교해 현저히 증가한다.
도 2 내지 3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전구체 A의 점도는 다양한 요인, 예컨대 탄소 나노튜브의 크기, 직경 및 순도에 따라 변한다.
탄소 나노튜브의 1 중량% 미만의 충전제 수준은 점도를 현저히 증가시키고 원료 탄소 나노튜브는 특히 더 그러함을 나타낸다. 도 3이 나타낸 것과 같이, 후자는 0.2 내지 0.3 중량%로 함유된 충전제 수준이 매우 낮은 중합체의 점도를 현저히 증가시킨다. "결합 고무" 시험으로 알려진 시험에서 얻어진 측정에 나타난 것과 같이 (표 2), 점도의 이러한 놀라운 증가는 폴리실록산 중합체와 원료 탄소 나노튜브의 매우 우수한 친화력으로 설명된다 (도 4). 상기 시험의 실험적 과정은 전구체 A/탄소 나노튜브 혼합물 3.5g을 용매 (헵탄) 30 mL로 25℃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원심분리 및 용매의 증발 후, 탄소 나노튜브에 결합된 PDMS 중합체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건조 잔류물의 중량을 잰다.
표 2: 조성물의 중합체 매트릭스에 대한 탄소 나노튜브의 친화력
Figure 112008030566349-pct00007
상기 표는 원료 나노튜브가 점토 (세피오라이트 및 몬트모릴로나이트)와 비교해 전구체 A에 대하여 더 우수한 친화력을 갖는 것을 나타낸다. 도 5는 다양한 생산업자로부터의 탄소 나노튜브에 대한 결합 고무 시험의 결과를 비교한다. 나노실 (Nanocyl) 원료 탄소 나노튜브는 다른 나노튜브와 비교해 현저히 높은 값을 달성하는 것으로 보인다.
탄소 나노튜브의 충전제가 적은 전구체 A의 점도 특성은 상기 전구체를 물질의 표면에 코팅하기 위해 붓으로 적용되도록 한다. 놀랍게도, 심지어 낮은 충전제 수준의 상기 탄소 나노튜브로도, 망상 구조 후 수득된 조성물은 현저한 내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내화성에 대한 수용력은 항공학에서 사용되는 ISO 2685 시험을 기준으로 하는 시험에 의해 연구되고 있다.
이 시험은 5 cm 직경의 Bunsen 버너 (도 6)의 도움으로 수행된다. 145 × 145 mm의 표면과 4 mm의 두께를 갖는 조성물로 덮이거나 덮이지 않은 알루미늄 판을 버너의 2 cm 위에 놓는다. 그것을 판의 양 끝에 위치한 두 개의 수평 금속 막대기로 고정한다. 열전대는 코팅되지 않은 알루미늄을 갖는 면의 판 중심에서 연속적으로 온도를 측정한다.
연소 시험은 일정 시간 동안 이루어지고 온도는 매 2 또는 3분마다 기록된다.
연소 시험의 조건 및 진행을 추적하기 위해, 버너의 가열력은 하기의 방법에 의해 결정된다: 먼저 불꽃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어서 공지된 양의 물 (예를 들어 700 cl 또는 700 g)을 판이 위치한 곳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 결정화 디쉬 안에서 불꽃 위에 가열하고, 그것의 온도를 일정한 간격 (예를 들어, 매 15초)으로 기록한다. 따라서 시간에 따른 물의 온도 그래프가 그려진다. 하기의 식에 따라서, 가열력 (Pheat)은 kW로 표현된다:
P heat = m water * C Pwater * dT / dt ,
식 중, dT/dt는 시간에 따른 온도 곡선의 기울기에 해당하고, C Pwater = 4.185kJ/kg.K 이고, mwater는 kg으로 표현되는 물의 질량에 해당한다. 결정화 디쉬의 부분을 고려하여 (S=лR2, m2으로 표현), 불꽃의 온도가 약 1000 ℃이면, 가열력은 통상적으로 약 70 +/- 5 kW/m2 이다.
따라서, 일련의 연소 시험이 진행되는 동안, 가열력을 측정하고 새로운 알루미늄 판을 실험한다. 이러한 두 개의 시행은 버너의 가열력을 알도록 하고 그것의 가열력이 하나의 실험에서 다른 실험까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게 한다. 실험하는 판이 타버리기 전에, 불꽃의 온도를 측정한다.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판의 상부에 접촉해 있는 지지된 열전대의 온도를 매 2 또는 3분마다 측정한다. 그 다음 하기의 관찰을 주목한다: 연기의 존재 또는 부재, 코팅의 한 조각 또는 한 층의 분리, 코팅의 외관, 판의 구부러짐의 시작.
시험은 열전대가 판을 뚫고 부서지거나 판이 버너와 접촉할 만큼 구부러질 때 종료된다. 실험 진행 90분 후에도 그러한 현상이 일어나지 않을 경우, 실험을 중단한다.
시간에 따른 판 온도의 변화 그래프가 그려지고, 이어서 몇몇의 제형과 비교하여 가장 효과적인 것을 확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화성 조성물이 적용되고,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판인 구성 요소는 주형으로 바람직하게 제조된다 (도 8). 주형은 외곽에 위치한 24개의 나사 (모든 나사가 보이지는 않음) 및 간격을 둔 봉으로 조립된다.
알루미늄 판은 바람직하게는 20℃로 자동 온도 조절된 곳에서 제조되고, 50 내지 65%의 습도 수준을 갖는다.
연소 시험을 목적으로 하는 알루미늄 판을 제조하기 위한 다양한 단계는 하기를 따른다:
1) 분당 1200 회전하는 회전 교반봉으로 주변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전구체 A와 탄소 나노튜브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디클로로에탄에 이어서 메틸 에틸 케톤 또는 2-부타논으로 알루미늄 판을 세정하고, 용매를 증발시킨 후, 코팅과 알루미늄 사이를 점착시키기 위해 프라이머 (Dow Corning의 1200 OS)를 적용하는 단계;
3) 8.9 mbar의 압력에서 10분 동안 전구체 A와 탄소 나노튜브 혼합물을 탈기하는 단계;
4) 전구체 A/탄소 나노튜브 혼합물에 전구체 B를 첨가하는 단계.
도 1은 탄소 나노튜브 또는 점토 충전제를 함유하는 복합재에 대한, 충전제 의 양에 따른 중합체 전구체의 점도 증가를 나타낸다.
도 2는 다양한 유형의 탄소 나노튜브를 함유하는 복합재에 대한, 충전제의 양에 따른 중합체 전구체의 점도 변화를 나타낸다.
도 3은 다양한 순도의 탄소 나노튜브를 함유하는 복합재에 대한, 탄소 나노 튜브의 중량%에 따른 중합체 전구체의 점도 변화를 나타낸다.
도 4는 탄소 나노튜브와 중합체 매트릭스 사이의 상호작용을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5는 다양한 생산업자로부터의 탄소 나노튜브에 따라 비닐기를 함유하는 PDMS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폴리실록산-기재 조성물의 결합 고무 시험에 의한 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발명가들에 의해 제조된 NC 7000, NC 9000, NC 3100 및 NC 3101 탄소 나노튜브는 각각, 원료 (NC 7000), 폴리에틸렌으로 코팅(NC 9000), 정제된(NC 3100) 및 정제 후, COOH로 작용화 (NC 3101)된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이다.
도 6은 사용되고 있는 연소 시험 벤치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의 시험 벤치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내화성 코팅으로 코팅된 알루미늄 판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주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9는 임의의 코팅이 없는 알루미늄 판 및 SWNT 또는 MWNT 유형의 나노튜브를 1 중량%로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코팅 (2 내지 4 mm의 두께)으로 덮인 알루미늄 판의 온도 증가를 나타낸다.
도 10은 임의의 코팅이 없는 알루미늄 판 및 MWNT 유형의 나노튜브를 0.25 중량% 내지 0.5 중량%로 함유하는 코팅 (2 내지 4 mm의 두께)으로 덮인 알루미늄 판의 온도 증가를 나타낸다.
도 11은 임의의 코팅이 없는 알루미늄 판 및 상이한 순도를 갖는 MWNT 유형의 나노튜브를 0.5 중량% 및 1.0 중량%로 함유하는 코팅 (2 내지 4 mm의 두께)으로 덮인 알루미늄 판의 온도 증가를 나타낸다.
도 12는 다양한 내화성 조성물 (2 내지 4 mm의 두께)에 대해, 시험 판의 중심에서 측정된 온도와 상기와 동일한 판의 한쪽 끝에서 측정된 온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3은 MWNT 유형의 원료 탄소 나노튜브를 0.05 중량%로 함유하는 코팅 (2.3mm의 두께 및 1070℃의 불꽃 온도)으로 덮인 알루미늄 판의 온도 증가를 나타낸다. 내화성의 개선 효과는 이러한 저농도의 탄소 나노튜브에서도 현저히 주목할 만하다. 시험 시료는 최대 60분 동안 250℃ 미만의 온도를 유지한다.
하기를 포함하는 전구체 A 10부:
- 비닐 말단기를 함유하는 PDMS 매트릭스 67 중량%,
- 비닐 기를 함유하는 VQM 매트릭스 31 중량%,
- 단일벽 및/또는 다중벽 나노튜브 1 중량%,
- 백금-기재 촉매 0.14 중량%,
- 시클릭 복합재 및 휘발성 저분자량 실리콘 및 자일렌,
에, 8.9 mbar의 압력에서 10분 동안 탈기 후, 하기를 함유하는 전구체 B 1부를 첨가하였다:
- Si-H 중합체 60 중량%,
- 비닐 말단기를 함유하는 PDMS 매트릭스 39 중량%,
- 메틸 시클로테트라 실록산 망상 구조 억제제 1 중량%.
그 다음 전구체 A/전구체 B 혼합물로 덮인 구성 요소, 즉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판을 105℃에서 6시간 이상 넣음으로써 망상 구조가 제조되었다.
알루미늄 판 위에 조성물의 적용은 예를 들어, 코팅의 형태로 다양한 구현예에 따라서 행해질 수 있다.
코팅을 적용하기 위한 첫 번째 방법은 145 ×145 mm 크기의 알루미늄 판 위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분무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판당 120g의 조성물을 나타내었다.
코팅을 적용하기 위한 두 번째 방법은 프라이머로 코팅된 알루미늄 판 위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주조하여 이루어진다. 그 다음 알맞은 두께의 코팅을 얻기 위해 표면을 주걱으로 평평하게 하였다. 상기 방법에서, 주형의 상부는 부착되지 않았다 (도 8).
코팅을 적용하기 위한 세 번째 방법은 붓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적용하여 이루어진다.
그렇게 얻어진 코팅의 두께는 코팅을 적용하기 위한 첫 번째 및 두 번째 방법에 대해서는 3 또는 4 mm이고, 세 번째 구현예에 대해서는 2 mm이다.
도 9 내지 11에 나타난 것과 같이,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덮인 알루미늄 판의 내화성은 노출된 알루미늄 판 또는 오직 중합체로 덮인 알루미늄 판과 비교해 현저히 개선되었다.
탄소 나노튜브를 1 중량%로 함유하는 조성물 중에서 (도 9), 사용되는 다양한 탄소 나노튜브 간에 차이가 생길 수 있다. 더 우수한 내화성을 제공하는 것들은 중요도에 따라, DWNT (이중벽 나노튜브), MWNT 및 최종적으로는 "얇은 MWNT"이다. 게다가 도 9의 결과로부터 "원료"로 언급되는 탄소 나노튜브는 그것이 MWNT이든지 얇은 MWNT이든지 간에 시간이 흐름에 따라 더 우수한 내화성을 제공한다는 것이 명백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원료" 탄소 나노튜브는 임의의 합성후 처리를 거치지 않고 폴리실록산 매트릭스와 우수한 친화력을 갖는 나노튜브이다.
탄소 나노튜브를 0.5 중량% 내지 0.25 중량%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대해 내화 특성의 현저한 개선이 얻어진다. 이러한 개선은 탄소 나노튜브의 0.05 중량%에서도 훨씬 더 현저히 나타난다. 여기서 임의의 합성 후 처리를 거치지 않고 폴리실록산 매트릭스와 우수한 친화력을 갖는 "원료" 탄소 나노튜브로 최선의 결과가 얻어진다.
온도 측정은 시험 판의 중심에서와 동시에 상기와 동일한 판의 한쪽 끝에서도 행해진다. 값 R은 하기와 같이 측정된다: R = Tc / Te (Tc는 시험 판의 중심에서 측정된 온도이고, Te는 시험 판의 끝에서 측정된 온도이다).
R=1인 경우, 판 위에서 열이 빠르게 대부분 소산되었음을 의미하고, 반면에 R>1인 경우, 열의 소산이 낮음을 의미한다.
도 11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실리콘 중합체에서 탄소 나노튜브의 사용은 열의 소산이 더 많아지도록 한다. 더욱이 탄소 나노튜브를 0.25 중량% 또는 0.1 중량%까지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고, 열 소산의 값은 적정 값 (R=1)에 가까워진다.
PDMS의 내화성의 개선이 주목 가능한 탄소 나노튜브의 최저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 0.05 중량%의 농도를 시험하였다. 도 13은 알루미늄 판의 보호 효과가 60분의 기간 동안 훨씬 더 명백하게 존재하는 것을 나타낸다.
게다가, 중합체 조성물에 응력 또는 압력의 적용은 그의 점도를 변화시킨다. 따라서 씰링의 압출 건 또는 마스틱 건 유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하기 위해 바람직한 점도에 해당하는 탄소 나노 튜브의 충전제 수준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장치에서, 피스톤에 적용된 압력은 조성물의 점도를 변화시키고, 더욱 유동성있게 하며, 쉽게 적용되도록 한다. 압력을 중단하자마자 생성물의 점도는 다시 변화하고, 조성물은 응고되어 더 이상 흐르지 않는다.

Claims (12)

  1. 망상 구조의 폴리실록산 및 "결합 고무" 값이 원료 탄소 나노튜브의 g당 15g을 초과하거나 이와 동일한 원료 탄소 나노튜브를 함유하고, 상기 탄소 나노튜브가 조성물 전체 중량의 0.05 내지 1%를 나타내는 내화성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탄소 나노튜브의 중량%가 상기 조성물의 전체 중량의 0.25% 내지 0.5%를 나타내는 조성물.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원료 탄소 나노튜브가 단일벽 (SWNT), 이중벽 (DWNT) 또는 다중벽 (MWNT) 탄소 나노튜브의 군 중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5.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항의 조성물의 수득 방법:
    a) 하기를 함유하는 전구체 A와 접합에 의한 일차 혼합물의 제조 단계:
    - 비닐기를 함유하는 폴리실록산,
    - 중량비가 최종 생성물의 0.05 내지 1 중량%인 탄소 나노튜브;
    b) 단계 a)에서 수득된 혼합물에 히드로실란기를 갖는 폴리실록산을 함유하는 전구체 B의 첨가 단계;
    c) 단계 b)에서 수득된 혼합물의 망상 구조의 생성 단계.
  6. 제 5 항에 있어서, 혼합물의 망상 구조가 열적, 화학적 또는 광화학적 작용에 의해 야기되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탄소 나노튜브의 중량비가 최종 생성물의 0.25 내지 0.5 중량%인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단계 b)에서 일차 혼합물의 첨가 전에 상기 일차 혼합물의 탈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 단계가 진공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내화성 보호 코팅으로서 사용되는 조성물.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방화성 씰로서 사용되는 조성물.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코팅으로서 사용되는 조성물.
KR1020087010228A 2005-10-28 2006-10-03 방화성 조성물 KR1013196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3100805P 2005-10-28 2005-10-28
US73136305P 2005-10-28 2005-10-28
US60/731,008 2005-10-28
US60/731,363 2005-10-28
US78002206P 2006-03-06 2006-03-06
US60/780,022 2006-03-06
PCT/BE2006/000108 WO2007048208A2 (fr) 2005-10-28 2006-10-03 Composition resistante au feu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827A KR20080068827A (ko) 2008-07-24
KR101319693B1 true KR101319693B1 (ko) 2013-10-17

Family

ID=37968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0228A KR101319693B1 (ko) 2005-10-28 2006-10-03 방화성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080293877A1 (ko)
EP (1) EP1940939B1 (ko)
JP (1) JP5094728B2 (ko)
KR (1) KR101319693B1 (ko)
CN (1) CN101296981B (ko)
ES (1) ES2394219T3 (ko)
PL (1) PL1940939T3 (ko)
WO (1) WO200704820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57212A1 (en) * 2006-08-31 2009-05-13 Cambridge Enterprise Limited Nanomaterial polymer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US8323789B2 (en) * 2006-08-31 2012-12-04 Cambridge Enterprise Limited Nanomaterial polymer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WO2008025966A1 (en) * 2006-08-31 2008-03-06 Cambridge Enterprise Limited Optical nanomaterial compositions
WO2012032550A1 (en) 2010-09-10 2012-03-15 Viba S.P.A. Flame retardant masterbatch for thermoplastic polymers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PT2417187E (pt) 2010-04-08 2013-04-30 Viba S P A Composição padrão retardadora de chama para polímeros termoplásticos e processo para a sua produção
CN102604383B (zh) * 2012-02-16 2013-07-10 苏州大学 碳纳米管/热固性树脂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US9631062B2 (en) * 2013-10-17 2017-04-25 Shin-Etsu Chemical Co., Ltd. Silicone gel composition and silicone gel cured product
KR102294864B1 (ko) 2017-12-08 2021-08-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도성 실리콘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실리콘 복합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70821A2 (en) * 2002-02-20 2003-08-28 Electrovac Fabrikation Elektrotechnischer Speziala Flame retardant polymer composites and method of fabrication
EP1471114A1 (en) * 2002-01-30 2004-10-27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4866A (en) * 1973-04-13 1975-05-20 Gen Electric High strength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s
US4431264A (en) * 1979-10-09 1984-02-14 Raychem Corporation Fluorosiloxane optical cladding
JP4122160B2 (ja) * 2002-01-30 2008-07-23 出光興産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EP1483201A2 (en) * 2002-03-20 2004-12-08 Facultés Universitaires Notre-Dame de la Paix Nanocomposites: products, process for obtaining them and uses thereof
JP4196779B2 (ja) * 2003-08-12 2008-12-17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電子写真機器用導電性組成物の製法
JP2005162822A (ja) * 2003-12-01 2005-06-23 Bridgestone Corp 複合樹脂材料
JP2005220316A (ja) * 2004-02-09 2005-08-18 Tokai Rubber Ind Ltd 電子写真機器用導電性組成物およびその製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電子写真機器用導電性部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71114A1 (en) * 2002-01-30 2004-10-27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WO2003070821A2 (en) * 2002-02-20 2003-08-28 Electrovac Fabrikation Elektrotechnischer Speziala Flame retardant polymer composites and method of fabr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42960A1 (en) 2013-06-06
US9290676B2 (en) 2016-03-22
JP5094728B2 (ja) 2012-12-12
JP2009513754A (ja) 2009-04-02
CN101296981B (zh) 2012-04-04
EP1940939B1 (fr) 2012-08-29
PL1940939T3 (pl) 2013-01-31
CN101296981A (zh) 2008-10-29
ES2394219T3 (es) 2013-01-23
KR20080068827A (ko) 2008-07-24
WO2007048208A3 (fr) 2007-08-16
EP1940939A2 (fr) 2008-07-09
US20080293877A1 (en) 2008-11-27
WO2007048208A2 (fr) 2007-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693B1 (ko) 방화성 조성물
CA2731518C (en) Flame retardant polymer compositions
CN105164208B (zh) 导热性硅氧烷组合物及其固化物
JP6426727B2 (ja) 電気ワイヤ又は電気ケーブルの製造に特に利用し得る熱加硫性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組成物
KR20150016267A (ko) 실온-경화성이고 전기 전도성인 플루오로실리콘 고무 조성물
JP2017039945A (ja) 室温加硫性シリコーン組成物
CN103951983A (zh) 一种高导热耐高温聚硅氧烷陶瓷复合材料及其制法和应用
JP4843200B2 (ja) エラストマーに架橋可能な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材料の製造法
CN107690462A (zh) 涂层材料
US3506607A (en) Ablative compositions
Kahraman et al. Development of an epoxy based intumescent system comprising of nanoclays blended with appropriate formulating agents
WO2015056374A1 (ja) シリコーンゲル組成物及びシリコーンゲル硬化物
JPS6056190B2 (ja) 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組成物
JPS5912964A (ja) 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組成物
CN110234711A (zh) 导热性聚有机硅氧烷组合物
CA2918648A1 (en) Insulating layer-forming composition and use thereof
JP2009504843A (ja) エネルギー反応性組成物及びそれに関連する方法
JPS5837338B2 (ja) 網化してエラストマ−になり得る組成物
KR102172326B1 (ko) 충격 강도가 향상된 3d 나노 구조 세라믹 코팅 용액
NO861115L (no) En-komponent organopolysiloksanblandinger og tilsetningsmiddel for disse.
JP2950612B2 (ja) ジルコン系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ジルコン系酸化物被覆黒鉛成形体の製造方法
Fu et al. Mechanistic study of a silicon-based intumescent coating system
JPS6213453A (ja) 硬化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
JP2022550001A (ja) ピッカリングエマルジョンから作られる複合材料
JPH07100740B2 (ja) 耐火性シリコーンゴ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