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4544B1 - 다층기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층기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4544B1
KR101314544B1 KR1020107002691A KR20107002691A KR101314544B1 KR 101314544 B1 KR101314544 B1 KR 101314544B1 KR 1020107002691 A KR1020107002691 A KR 1020107002691A KR 20107002691 A KR20107002691 A KR 20107002691A KR 101314544 B1 KR101314544 B1 KR 101314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ielectric layer
pad
substrate
pad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2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4205A (ko
Inventor
치광 양
Original Assignee
프린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린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프린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044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4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2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by affixing prefabricated conductor patter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01L2224/0554External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01L2224/0554External layer
    • H01L2224/0556Disposition
    • H01L2224/05568Disposition the whole external layer protruding from the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01L2224/0554External layer
    • H01L2224/05573Single external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3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3001Core members of the bump connector
    • H01L2224/13005Structure
    • H01L2224/13006Bump connector larger than the underlying bonding area, e.g. than the under bump metallisation [UB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01L2224/16237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to a bonding area disposed in a recess of the surface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0Bump connector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13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0Bump connector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14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the subject-matter covered by the group, the symbol of which is combined with the symbol of this group, being disclosed without further technic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4Integra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1Pads for surface mounting, e.g.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61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non-printed components, e.g. special leads
    • H05K2201/10621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ir electrical contacts
    • H05K2201/10674Flip chip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52Solder ma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Wire Bonding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탄한 다층기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층기판은 표면유전층 및 적어도 하나의 패드층을 포함한다. 표면유전층은 다층기판의 한 표층에 위치하고, 패드층은 표면유전층에 매립되며, 표면유전층과 패드층은 본 발명의 다층기판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평탄한 캐리어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패드층을 형성하고, 다시 패드층을 덮는 표면유전층을 형성하여, 패드층이 표면유전층에 매립되도록 한다. 다층기판을 캐리어의 표면에서 분리하면, 표면유전층과 패드층은 곧 표면이 평탄한 다층기판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다층기판 및 그 제조방법{Multi-Layer Base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층기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평탄한 다층기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모든 유형의 전자제품의 소형화는 필연적인 추세이며, 반도체 웨이퍼 프로세스 사이즈의 부단한 축소에 따라, 패키지에 관한 기술도 필연적으로 소형화로 발전해야 한다. 따라서, 집적회로의 집적도가 부단히 높아짐에 따라, 집적도가 높은 다층기판을 사용하여 칩 또는 모듈에 대하여 패키징하여 고밀도 시스템으로 정합하는 것도 필연적인 추세가 되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다층기판의 개략도이다. 다층기판의 표면은 소자나 전자부품과 접속하는 표면이며, 패드층(102), 표면유전층(104), 및 솔더 마스크층(106)을 포함한다. 패드층(102)의 아래측에는 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금속라인층(108)이 있다. 종래기술은 대부분 라미네이트법, 빌드업법 등을 이용하여 다층기판의 복수층의 라인층과 복수층의 유전층(미도시)을 제조한다. 그러나, 표면유전층(104)의 두께는 패드층(102), 금속라인층(108)의 두께에 비하여 훨씬 두껍고, 예를 들면, 현재 일반적인 다층기판의 패드층(102), 금속라인층(108)의 두께는 약 수 μm 내지 수십 μm 전후밖에 안되지만, 표면유전층(104)의 두께는 약 수십 μm 내지 200 μm 전후에 달한다. 따라서, 패드층(102) 아래측에 금속라인층(108)이 존재하기 때문에, 라미네이트법이든지 또는 빌드업법이든지 다층기판을 제조할 때에는, 고정된 두께의 유전층재료로 표면유전층(104)을 제조하므로, 다층기판의 표면에 패드층(102)을 형성할 때, 필연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표면의 불평탄함을 초래하는데, 표면유전층(104)과 같은 경우 두께는 수십 μm 내지 200 μm 전후이고, 아래측 금속라인층(108)의 두께는 약 수 μm 내지 수십 μm 전후에 달한다. 유전층의 두께는 금속층보다 훨씬 두껍고, 라미네이트법 또는 빌드업법의 프로세스에서, 프로세스 변수를 조절하는 것을 이용하여 유전층을 약간 변화시켜 표면의 불평탄함을 허용범위 안에 들어오도록 보상할 수 있다.
하지만, 집적회로의 집적도가 부단히 증가함으로 인하여, 체적의 축소와 전기적 특성을 고려하여, 패드층(102), 금속라인층(108) 및 표면유전층(104)의 두께도 따라서 작아진다. 신호의 전송을 유지하기 위한 전기적 특성을 고려하여, 패드층(102), 금속라인층(108)의 두께의 감소의 폭은 제한되어 있지만, 표면유전층(104)의 두께는 대폭 감소할 수 있어, 현재 업계에서는 두께가 10 μm 전후에 달하는 표면유전층(104)의 제조를 시도하고 있다. 상기 표면유전층(104)과 같은 경우의 두께는 약 10 μm이고, 아래측 금속라인층(108)의 두께는 약 수μm 내지 10 μm 전후가 된다. 표면유전층(104)의 두께와 금속라인층(108)의 두께가 비슷하면, 유전층(104)을 변형시키는 수단은 표면의 불평탄함을 보상하기에는 부족하므로, 필연적으로 다층기판의 표면의 불평탄한 문제가 더 두드러진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라 플립 칩(Flip Chip) 프로세스에 의하여 칩에 대하여 패키징하는 것을 예로 든 개략도다. 종래기술에 따라서 제조한 다층기판은, 유전층(103) 및 대응하는 금속라인층(107-1, 107-2)과, 표면유전층(104) 및 대응하는 금속라인층(108-1, 108-2, 108-3)을 구비한다. 동시에 다층기판은 패드층(102-1, 102-2, 102-3)을 구비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의 패키지 기술은 플립 칩 기술을 주류로 하는데, 플립 칩 기술은 칩(110)의 표면을 아래로 향하게 한 후, 금속 범프(120-1, 120-2, 120-3)를 통하여 칩 표면의 접점(112-1, 112-2, 112-3)과 다층기판의 패드층(102-1, 102-2, 102-3)을 결합 접속시키는 기술이다. 또한, 패드층(102-1, 102-2, 102-3)과 칩 표면의 접점(112-1, 112-2, 112-3) 전극과의 사이는, 반드시 일대일로 매칭함과 동시에 반드시 극히 정확하게 결합하여야 한다. 이러한 플립 칩 기술은, 우선 다층기판을 사전에 패키징 도구에 고정하고, 칩의 우측의 범프(120-1, 120-2, 120-3)와 다층기판의 패드층(102-1, 102-2, 102-3)의 위치를 맞춘 후, 다시 핫프레싱 방식으로 플립 칩을 진행한다. 그러나, 반드시 칩 표면의 접점(112-1, 112-2, 112-3)의 범프(120-1, 120-2, 120-3)를 모두 패드층(102-1, 102-2, 102-3)에 맞추고 그것과 결합(Bonding)해야만 플립 칩이 성공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다층기판의 표면은, 회로 설계상의 원인으로 인하여, 금속라인층(108-1, 108-3)의 아래에는 금속라인층(107-1, 107-2)을 구비하지만, 금속라인층(108-2)의 아래에는 대응하는 금속층이 없어서, 패드층(102-2) 높이는 다른 패드층(102-1, 102-3)의 높이보다 낮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플립 칩을 진행할 때 범프(120-2)가 패드층(102-2)과 칩 표면의 접점(112-2) 사이를 접속하지 못하는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하지만, 플립 칩뿐만 아니라, 기타 고밀도 다접점 패키지, 예를 들면, 볼 그리드 배열(BGA), 랜드 그리드 배열(LGA), 및 웨이퍼 레벨 패키지(CSP)에 있어서도, 하나의 금속범프라도 패드층과 칩 또는 모듈표면의 접점과 제대로 접속하지 못하면, 패키징은 실패하게 된다. 따라서, 다층기판의 표면에 있어서, 칩(110) 표면 또는 모듈 표면의 평탄성에 대한 요구는 예전보다 높아졌다.
일반적인 플립 칩은 범프의 높이(bump height)가 예를 들어 100 μm인 범프를 사용하는데, 참고로 높이의 허용 오차치는 약 ±10 μm이다. 그러나 집적회로의 집적도의 향상으로 인하여, 단위면적에 해당하는 패드층 밀도는 증가하고, 범프 높이도 더한층 낮아지며, 높이의 허용 오차치도 필연적으로 더 작아진다. 따라서, 다층기판의 표면의 평탄성, 즉, 패드층과 유전층의 공면성(coplanarity), 또는 임의의 패드층 자체의 평탄성에 대한 요구가 더 강해진다. 일반적으로 업계에서 제조하는 금속라인층의 두께는 대부분이 수십 μm이고, 나아가 수 μm만큼 작아질 수 있어, 다층기판의 표면의 평탄화를 적절하게 실현하지 못하면, 플립 칩의 수율과 신뢰도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표면이 평탄한 다층기판을 제조할 수 있으면, 플립 칩 또는 기타 고밀도 다접점 패키지에 있어서, 패키지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동시에 범프의 높이를 더한층 축소시킬 수 있어서, 전체 패키지의 밀도를 향상시키는 데 더욱 유리하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패키지에 사용하는 다층기판의 패드층과 유전층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으며, 패키지의 수율과 신뢰도를 향상시켜, 전체 패키지의 밀도를 진일보시키는 다층기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금속층과 다수의 내부유전층을 갖추고, 금속층들이 내부유전층의 내부 위치에 배치되어 내부유전층의 각 표면에는 기복이 있고 굴곡이 있는 다층기판에 있어서, 표면유전층 및 적어도 하나의 패드층을 포함한다. 표면유전층은 다층기판의 한 표층에 위치하고, 패드층은 표면유전층에 매립되며, 표면유전층과 패드층은 다층기판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층기판은, 패드층의 측면과 표면유전층이 긴밀하게 결합되고, 동시에, 패드층의 표면과 표면유전층의 표면은 공면을 구비하여, 패키징 도구에 고정된 다층기판의 패드층과 표면유전층의 평탄도를 양호하게 한다. 다층기판이 칩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경우에는, 패키지의 수율과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층기판의 제조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평탄한 캐리어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패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패드층을 덮는 표면유전층을 형성하여, 패드층이 표면유전층에 매립되도록 하는 단계, 및 표면유전층 및 패드층을 캐리어의 표면에서 분리하고, 표면유전층과 패드층이 평탄한 다층기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평탄한 다층기판을 형성하여, 모듈의 표면과 패키징하는 것, 즉 다층기판의 패드층과 패키지모듈의 표면과의 한 접점에 대하여 패키징하는 것에 사용하는데, 그 중에서 모듈은 칩이고, 패키지의 방식은 플립 칩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평탄한 캐리어의 표면을 이용하여, 패드층 및 표면유전층을 형성하여, 패드층이 표면유전층에 매립되도록 하고, 한 공면을 구비하여, 본 발명의 다층기판 표면의 평탄성을 향상시킨다. 집적회로의 집적도의 향상에 따라, 범프 피치(bump pitch)는 필연적으로 축소되어, 범프 높이도 따라서 축소시켜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층기판은 후속하는 플립 칩 또는 기타 고밀도 다접점의 패키지를 하는 경우에, 범프 높이가 더 작은 범프를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본 발명의 다층기판의 표면 평탄성으로 인하여, 패키징할 때의 다층기판과 칩 또는 모듈표면 사이의 평행거리를 일치하도록 확보할 수 있어서, 패키지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전체 패키지의 밀도를 더 한층 향상시킨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다층기판의 개략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라, 플립 칩 프로세스에 의하여 칩에 대하여 패키징하는 것을 예로 든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기판의 표면의 개략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이 평탄한 다층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이 평탄한 다층기판을 이용하여 플립 칩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층기판의 표면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다층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패드층(302) 및 하나의 표면유전층(304)을 포함한다. 또한, 다층기판은 솔더 마스크층(30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드층(302)의 아래측은 다층기판의 금속라인층(308)이다. 본 발명의 패드층(302)은 표면유전층(304)에 매립되며, 동시에 패드층(302)의 측면과 표면유전층(304)은 긴밀히 결합하여, 양자 간의 부착강도를 강화시킨다. 또한, 패드층(302)의 표면과 표면유전층(304) 표면에는 공면을 구비하여, 본 발명의 다층기판의 표면의 평탄성을 높이게 되는데, 즉 패드층(302)의 표면과 표면유전층(304)의 표면 사이에 단차가 없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표면이 평탄한 다층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우선, 도 4a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평탄한 캐리어(400)의 표면에 먼저 솔더 마스크층(401)을 형성한 후에, 패드층(402)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패드층을 형성하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표면 평탄도가 양호한 실리콘 웨이퍼를 캐리어(400)로 하고, 도포방식으로 솔더 마스크층(401)을 형성하며, 에칭, 일렉트로포밍 또는 석판인쇄 등 방식으로 솔더 마스크층(401) 표면에 패드층(402)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b는 패드층(402) 등을 형성한 후에, 패드층(402) 등을 덮는 표면유전층(404)을 형성하여 패드층(402) 등이 표면유전층(404)에 매립되도록 하는 것을 나타낸다. 다층기판의 설계의 필요에 따라 표면유전층(404)을 형성한 후에, 금속라인층의 예정 위치에서 표면유전층(404)을 개구(開口)할 수가 있으며, 도 3에 도시한 금속라인층(308) 및 더 많은 유전층과 금속라인층 등(도 4b에서는 다층기판을 제조하는 부분만 나타낸다)을 형성하여, 다층기판의 내부선로 구조를 완성한다. 도 4c는, 솔더 마스크층(401)을 캐리어(400)의 표면에서 분리하여, 위아래를 뒤집은 후, 다시 패드층(402) 등의 위치에서 솔더 마스크층(401)을 개공한 것을 나타낸다. 또는, 표면유전층(404)과 매립된 패드층(402) 등을 캐리어(400)의 표면에서 분리하여, 위아래를 뒤집은 후에, 솔더 마스크층(401)이 패드층(402) 및 표면유전층(404)의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하여, 솔더 마스크층(401), 패드층(402), 표면유전층(404)이 본 발명의 다층기판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기판을 캐리어(400)의 표면에서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희생층법 또는 캐리어 표면 부착강도감소법 등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라미네이트 방식의 기술과 다른 다층기판의 제조방법은, 후속하는 플립 칩 또는 기타 고밀도 다접점 패키지의 신뢰도를 제고하도록, 전체 패키지의 밀도를 향상시키고, 다층기판은 반드시 상당한 평탄도를 구비하여야 하지만, 종래기술은 라미네이트법, 빌드업법을 사용하여 다층기판을 제조하므로, 다층기판의 표면 구조는 필연적으로 하층인 금속라인층의 영향을 받아 표층에 기복을 형성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표면의 평탄도가 양호한 캐리어(400)를 이용하여, 패드층(402)을 표면유전층(404) 내에 매립하여 평탄한 표층을 구비한 다층기판의 표면구조를 제조한다. IC 패키지의 집적도가 부단히 향상한다 하더라도, 체적의 축소와 전기적 특성을 고려하여, 다층기판의 표면유전층(404)의 두께는 이에 따라 줄어들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다층기판은 역시 표면의 평탄도가 양호한 표면구조를 구비한다. 따라서, 후속하는 플립 칩 또는 기타 고밀도 다접점 패키징을 하는 경우에, 한층 더 패키지의 수율과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표면이 평탄한 다층기판을 이용하여 플립 칩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것을 예로 하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플립 칩은, 패드층(402)과 표면유전층(404)을 구비한 다층기판을 표면(솔더 마스크층(401)을 구비한 면)이 위로 향하게 하여서, 패키징 도구(미도시)에 맞춰 고정한다. 계속하여, 칩(410)의 표면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범프(420) 등을 패드층(402) 등의 위치에 맞춘 후에, 핫프레싱 방식으로 결합(Bonding)하면, 플립 칩을 완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장점은, 표면의 평탄도가 양호한 캐리어(400)를 이용하여 다층기판을 제조하기 때문에, 도 2에 도시한 종래기술에 따라 제조하는 다층기판에 비하여 평탄도가 높은 표면을 구현하며, 플립 칩 또는 기타 형식의 고밀도 다접점의 패키지, 예를 들면, 볼 그리드 배열(BGA), 랜드 그리드 배열(LGA), 및 웨이퍼 레벨 패키지(CSP)에 있어서는, 집적회로의 집적도의 향상에 따라, 범프(420)의 피치가 필연적으로 축소하므로, 범프(420)의 높이도 이에 따라 축소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다층기판을 이용해야만 범프 높이가 더 작은 범프(420)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동시에 본 발명의 다층기판의 평탄성으로 인하여, 패키징하는 경우에 다층기판의 표면과 모듈 또는 칩(410) 표면 사이의 평행거리가 일치하도록 확보할 수 있으며, 패키징 프로세스 때, 범프(420) 등이 성공적으로 모든 패드층(402)과 모듈 또는 칩 표면의 전극(접점(412))을 접속할 수 있도록 확보하여, 패키지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며, 전체 패키지의 밀도를 더한층 향상시킨다. 

Claims (17)

  1. 내부 유전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다층기판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유전층은 상기 금속층을 덮으며, 상기 금속층은 상기 내부 유전층 하부에(beneath) 위치하고, 상기 내부 유전층은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 유전층의 상기 상부 표면은 상기 금속층 상에(above) 위치하는 제 1영역 및 아래에(below)에 위치하는 대응 금속층이 부존재하는 제 2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표면상의 제 1영역이 상기 제 2영역보다 높게 위치하여 상기 내부 유전층이 상기 금속층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다층기판으로서, 상기 다층 기판은
    상기 다층기판의 외부 표면에 위치하는 표면유전층; 및
    상기 표면유전층에 매립되고, 외부 표면 및 외부 표면과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층;을 포함하되, 상기 표면유전층 및 상기 패드층이 상기 다층기판을 형성하며,
    상기 패드층의 외부 표면과 상기 표면유전층의 외부 표면은 공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기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층의 측면은 상기 표면유전층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기판.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면은 상기 다층기판이 평탄한 표층을 구비하도록 하여, 모듈 표면과 패키지로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기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이 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기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가 플립 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기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층의 표면과 상기 표면유전층의 표면 사이에 단차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기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층 및 상기 표면유전층의 외부 표면상에 위치하는 솔더 마스크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솔더 마스크층은 상기 패드층에 대응하는 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기판.
  9. 다층 기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층 기판은 내부 유전층과 금속층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 유전층은 상기 금속층을 덮으며, 상기 금속층은 상기 내부 유전층 하부에(beneath) 위치하고, 상기 내부 유전층은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 유전층의 상기 상부 표면은 상기 금속층 상에(above) 위치하는 제 1영역 및 아래에(below)에 위치하는 대응 금속층이 부존재하는 제 2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표면상의 제 1영역이 상기 제 2영역보다 높게 위치하여 상기 내부 유전층이 상기 금속층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다층기판의 제조방법으로서,
    캐리어의 평탄한 표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패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패드층을 덮는 표면유전층을 형성하고 상기 패드층이 상기 표면유전층에 매립되도록 하여 상기 다층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다층기판을 상기 캐리어에서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표면유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캐리어 표면에 접촉되는 상기 패드층의 외부 표면과 상기 표면유전층의 외부 표면이 공면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기판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층을 덮는 상기 표면유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패드층의 측면과 상기 표면유전층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기판의 제조방법.
  11. 삭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캐리어 표면에 솔더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층기판이 상기 솔더 마스크층을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기판의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기판을 상기 캐리어 표면에서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솔더 마스크층을 상기 캐리어 표면에서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기판의 제조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솔더 마스크층을 상기 캐리어 표면에서 분리하는 단계 후에, 상기 패드층의 위치에서 상기 솔더 마스크층을 개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기판의 제조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기판을 상기 캐리어 표면에서 분리하는 단계 후에, 상기 다층기판의 표면에 솔더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기판의 제조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기판을 상기 캐리어 표면에서 분리하는 단계 후에, 상기 다층기판의 상기 패드층과 모듈 표면과의 접점에 대하여 패키지로 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기판의 제조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가 플립 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기판의 제조방법.
KR1020107002691A 2007-07-12 2007-07-12 다층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3145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07/002142 WO2009006761A1 (fr) 2007-07-12 2007-07-12 Carte de base multicouche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205A KR20100044205A (ko) 2010-04-29
KR101314544B1 true KR101314544B1 (ko) 2013-10-04

Family

ID=40228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2691A KR101314544B1 (ko) 2007-07-12 2007-07-12 다층기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2) EP2480058B1 (ko)
JP (1) JP2010532923A (ko)
KR (1) KR101314544B1 (ko)
WO (1) WO20090067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3414A1 (en) * 2016-10-01 2018-04-05 Intel Corporation Module installation on printed circuit boards with embedded trace technolog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6850B2 (en) 2013-03-08 2017-01-0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Package having substrate with embedded metal trace overlapped by landing pa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3990A (ja) * 2004-02-27 2005-09-08 Ngk Spark Plug Co Ltd 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2005243999A (ja) * 2004-02-27 2005-09-08 Ngk Spark Plug Co Ltd 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2006049819A (ja) * 2004-07-07 2006-02-16 Nec Corp 半導体搭載用配線基板、そ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パッケージ
JP2006196925A (ja) * 2006-04-03 2006-07-27 Fujitsu Ltd 配線基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23387A1 (en) * 1995-01-19 1996-07-24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Soldermask gasketing of printed wiring board surface mount pads
US6801438B1 (en) * 2000-10-24 2004-10-05 Touch Future Technolocy Ltd. Electrical circuit and method of formation
CN1221027C (zh) * 2001-05-21 2005-09-28 矽品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具有散热结构的半导体封装件
US6759275B1 (en) * 2001-09-04 2004-07-06 Megic Corporation Method for making high-performance RF integrated circuits
JP3925283B2 (ja) * 2002-04-16 2007-06-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電子機器の製造方法
CN1180461C (zh) * 2002-10-23 2004-12-15 威盛电子股份有限公司 复合高密度构装基板与其形成方法
JP4445777B2 (ja) * 2004-02-27 2010-04-07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配線基板、及び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2005347308A (ja) * 2004-05-31 2005-12-15 Sony Chem Corp 多層配線基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3990A (ja) * 2004-02-27 2005-09-08 Ngk Spark Plug Co Ltd 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2005243999A (ja) * 2004-02-27 2005-09-08 Ngk Spark Plug Co Ltd 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2006049819A (ja) * 2004-07-07 2006-02-16 Nec Corp 半導体搭載用配線基板、そ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パッケージ
JP2006196925A (ja) * 2006-04-03 2006-07-27 Fujitsu Ltd 配線基板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3414A1 (en) * 2016-10-01 2018-04-05 Intel Corporation Module installation on printed circuit boards with embedded trace technology
US11502010B2 (en) 2016-10-01 2022-11-15 Intel Corporation Module installation on printed circuit boards with embedded trace technolog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80058B1 (en) 2014-07-23
JP2010532923A (ja) 2010-10-14
EP2190273A4 (en) 2011-02-16
KR20100044205A (ko) 2010-04-29
EP2480058A1 (en) 2012-07-25
EP2190273A1 (en) 2010-05-26
EP2190273B1 (en) 2012-09-26
WO2009006761A1 (fr)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9201B2 (en)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for fabricating base for semiconductor package
US731904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nic parts packaging structure
TWI395274B (zh) 製造電路基材的方法及製造電子部件封裝結構的方法
US7652362B2 (en) Semiconductor package stack with through-via connection
US20140035095A1 (en)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for fabricating base for semiconductor package
US7754538B2 (en) Packaging substrate structure with electronic components embedded therei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10303636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mounting substrate
US7755203B2 (en) Circuit substrate and semiconductor device
CN103871990A (zh) 封装结构及封装方法
US8063313B2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semiconductor package including the same
US8022513B2 (en) Packaging substrate structure with electronic components embedded in a cavity of a metal block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20070096286A1 (en) Semiconductor module capable of enlarging stand-off height
KR20070051165A (ko) 프리 솔더 범프를 갖는 반도체 패키지와, 그를 이용한 적층패키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314544B1 (ko) 다층기판 및 그 제조방법
TWI360205B (en) Multi-layer substrat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
KR101440342B1 (ko)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서포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패키지 제조 방법
CN101346038B (zh) 多层基板及其制造方法
JP2013065876A (ja) 多層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40340B1 (ko)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서포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패키지 제조 방법
KR101673585B1 (ko) 다중 적층 패키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73515A (ko) 반도체 패키지 및 반도체 패키지 제조 방법
US7939940B2 (en) Multilayer chip scale package
JPH09275271A (ja) プリント配線板、その製造方法、およびプリント回路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