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730B1 - 유기 전계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유기 전계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730B1
KR101313730B1 KR1020127023471A KR20127023471A KR101313730B1 KR 101313730 B1 KR101313730 B1 KR 101313730B1 KR 1020127023471 A KR1020127023471 A KR 1020127023471A KR 20127023471 A KR20127023471 A KR 20127023471A KR 101313730 B1 KR101313730 B1 KR 101313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organic
layer
compound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3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5368A (ko
Inventor
타카히로 카이
마사키 코모리
토시히로 야마모토
메구미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신닛테츠 수미킨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테츠 수미킨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닛테츠 수미킨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5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5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2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nitrogen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phenanthroline or carbazol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hree hetero rings
    • C07D471/1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hree hetero rings
    • C07D487/1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system of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condensed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53/00 or C07D455/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41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 H10K85/342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comprising iridiu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4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comprising only nitrogen as heteroat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6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sulfur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benzothiop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44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two nitrogen atoms as heteroatom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1/00Properties of the organic materials covered by group H10K85/00
    • H10K2101/10Triple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8Carrier blocking lay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자의 발광 효율을 개선하고, 구동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간략한 구성을 가지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유기 EL 소자)를 제공한다.
이 유기 EL 소자는 기판상에 양극, 인광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층 및 음극이 적층되어 있으며,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정공 저지층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 중에, 일반식(1)로 표시되는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을 함유한다. 인광 발광성 도펀트와 호스트 재료를 포함하는 발광층에 이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호스트 재료로서 함유시킨다.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로는 하기 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있다. A1, A2는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B1, B2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내며, R1~R3은 수소,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내고, m은 1~3의 정수를 나타내며, n은 0~3의 정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12072405443-pct00037

Description

유기 전계 발광 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본 발명은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을 함유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며, 자세하게는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발광층에 전계를 걸어 빛을 방출하는 박막형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이하, 유기 EL 소자라고 함)는 그 가장 간단한 구조로서, 발광층 및 상기 층을 사이에 낀 한쌍의 대향전극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유기 EL 소자에서는 양쪽 전극간에 전계가 인가되면, 음극으로부터 전자가 주입되고 양극으로부터 정공이 주입되며, 이들이 발광층에 있어서 재결합하여 빛을 방출하는 현상을 이용한다.
최근, 유기 박막을 이용한 유기 EL 소자의 개발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특히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전극으로부터 캐리어 주입의 효율 향상을 목적으로 해서 전극의 종류를 최적화하고, 방향족 디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정공 수송층과 8-하이드록시퀴놀린알루미늄 착체(이하, Alq3라고 함)로 이루어지는 발광층을 전극간에 박막으로서 마련한 소자의 개발로 인해, 종래의 안트라센 등의 단결정을 이용한 소자와 비교해서 대폭적인 발광 효율의 개선이 이루어진 점에서, 자발광·고속 응답성과 같은 특징을 가지는 고성능 플랫 패널에의 실용화를 목표로 해서 진행되어 왔다.
또한 소자의 발광 효율을 올리는 시도로서, 형광이 아니라 인광을 이용하는 것도 검토되고 있다. 상기의 방향족 디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정공 수송층과 Alq3로 이루어지는 발광층을 마련한 소자를 비롯한 많은 소자가 형광 발광을 이용한 것이었는데, 인광 발광을 이용하는 즉, 삼중항 여기 상태로부터의 발광을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형광(일중항)을 이용한 소자에 비해 3~4배 정도의 효율 향상이 기대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쿠마린(coumarin) 유도체나 벤조페논 유도체를 발광층으로 하는 것이 검토되어 왔지만 매우 낮은 휘도밖에 얻어지지 않았다. 또한 삼중항 상태를 이용하는 시도로서 유로퓸 착체를 이용하는 것이 검토되어 왔지만, 이것도 고효율의 발광에는 이르지 않았다. 최근에는 특허문헌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발광의 고효율화나 장수명화를 목적으로 이리듐 착체 등의 유기 금속 착체를 중심으로 인광 발광 도펀트 재료의 연구가 다수 이루어지고 있다.
높은 발광 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도펀트 재료와 동시에, 사용하는 호스트 재료가 중요해진다. 호스트 재료로서 제안되어 있는 대표적인 것으로서, 특허문헌 2에 소개되어 있는 카르바졸 화합물의 4,4'-비스(9-카르바졸릴)비페닐(이하, CBP라고 함)을 들 수 있다. CBP는 트리스(2-페닐피리딘)이리듐 착체(이하, Ir(ppy)3라고 함)로 대표되는 녹색 인광 발광 재료의 호스트 재료로서 사용했을 경우, CBP의 정공을 흘려보내기 쉽고 전자를 흘려보내기 어려운 특성상, 전하 밸런스가 무너져 과잉 정공이 전자 수송층측으로 유출되고, 결과적으로 Ir(ppy)3로부터의 발광 효율이 저하된다.
유기 EL 소자에서 높은 발광 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높은 삼중항 여기 에너지를 가지면서, 양 전하(정공·전자) 주입 수송 특성에 있어서 균형이 잡힌 호스트 재료가 필요하다. 또한 전기 화학적으로 안정적이고 높은 내열성과 함께 뛰어난 아몰퍼스(amorphous) 안정성을 구비한 화합물이 요망되고 있어, 한층 더 개량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정공 수송 재료로서 아래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이 개시되어 있다.
Figure 112012072405443-pct00001
또 특허문헌 4에는 정공 수송 재료로서 아래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이 개시되어 있다.
Figure 112012072405443-pct00002
그러나 이들은 인돌로카르바졸 골격을 가지는 화합물의 정공 수송 재료로서의 사용을 권장하고, 또한 형광 발광 소자에 국한된 실시예이며, 인광 발광 소자용 재료로서의 사용을 개시한 것은 아니다.
또 특허문헌 5에는 아래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이 개시되어 있다.
Figure 112012072405443-pct00003
그러나 상기 화합물은 인돌로카르바졸 골격의 질소상에 직접 방향족 복소환이 치환한 것이며, 방향족 탄화수소를 연결기로 한 화합물을 개시한 것은 아니다.
일본국 공표특허공보 2003-515897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1-313178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11-162650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11-176578호 WO2008/056746호 공보
유기 EL 소자를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소자에 응용하기 위해서는, 소자의 발광 효율을 개선하는 동시에 구동시의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고효율이면서 높은 구동 안정성을 가진 실용상 유용한 유기 EL 소자 및 그것에 적합한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방향족 복소환이 방향족 탄화수소기로 연결된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을 유기 EL 소자로서 이용함으로써 뛰어난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기판상에, 양극, 인광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층 및 음극이 적층 되어 이루어지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정공 저지층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 중에, 일반식(1)로 표시되는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12072405443-pct00004
일반식(1) 중, 환 A는 인접환과 임의의 위치에서 축합하는 식(1a)로 표시되는 방향족환 또는 복소환을 나타내고, 환 B는 인접환과 임의의 위치에서 축합하는 식(1b)로 표시되는 복소환을 나타낸다. 일반식(1), (1a) 및 (1b) 중 A1, A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6~50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B1, B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3~50의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내며, X는 메틴 또는 질소를 나타내고, R1,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10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탄소수 6~12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3~11의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내며, R3은 수소, 탄소수 1~10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탄소수 6~12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3~11의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내고, X를 포함하는 환과 축합하여 축합환을 형성해도 된다. m은 1~3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0~3의 정수를 나타낸다. m, n이 2 이상일 경우, 복수의 B1 및 B2는 각각 같아도 되고 달라도 된다.
일반식(1)로 표시되는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 중에서도 하기 일반식(2)~(5)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을 바람직한 화합물로서 들 수 있다.
Figure 112012072405443-pct00005
일반식(2)~(5) 중, A1, A2, B1, B2, R1~R3, m 및 n은 일반식(1)과 같은 의미이다.
일반식(2)~(5)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 중에서도, 하기 일반식(6)~(9)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을 보다 바람직한 화합물로서 들 수 있다.
Figure 112012072405443-pct00006
일반식(6)~(9) 중 B1, B2, R1~R3, m 및 n은 일반식(1)과 같은 의미이다.
상기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층이 인광 발광 도펀트를 함유하는 발광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층이, 440nm~510nm에 최대 발광 파장을 가지는 인광 발광 도펀트와, 일반식(4) 또는 (5)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을 함유하는 발광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1)로 표시되는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은 인돌로카르바졸 골격과 적어도 1개의 방향족 복소환이, 방향족 탄화수소기로 연결됨으로써, 양호한 정공과 전자의 주입 수송 특성을 나타내는 동시에 높은 내구성을 가진다고 생각된다. 이것을 이용한 유기 EL 소자는 구동 전압이 낮고, 특히 발광층 중에 이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을 포함할 경우, 양쪽 전하의 밸런스가 양호해지는 점에서 재결합 확률이 향상되고, 또한 높은 최저 여기 삼중항 상태의 에너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펀트에서 호스트 분자로의 삼중항 여기 에너지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등의 특징을 가지며, 뛰어난 발광 특성을 부여한다고 생각된다. 아울러, 양호한 아몰퍼스 특성과 높은 열안정성을 나타내고, 또 전기 화학적으로 안정되므로, 구동 수명이 길고 내구성이 높은 유기 EL 소자를 실현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자의 발광 효율을 개선하고, 구동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간략한 구성을 가지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유기 EL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유기 EL 소자의 하나의 구조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 3-1의 1H-NMR 차트를 나타낸다.
도 3은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 3-13의 1H-NMR 차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을 함유한다. 이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의 2개의 질소가 방향족 탄화수소로 치환되고, 또 그 중 1개가 적어도 1개의 방향족 복소환으로 치환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뛰어난 효과를 가져온다고 생각된다.
일반식(1)에서 환 A는 인접환과 임의의 위치에서 축합하는 식(1a)로 표시되는 방향족환 또는 복소환을 나타내고, 환 B는 인접환과 임의의 위치에서 축합하는 식(1b)로 표시되는 복소환을 나타낸다.
일반식(1)에서 A1 및 A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6~50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30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18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이다. A1은 m+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이고, A2는 n+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이다. A1 및 A2의 구체예로는 벤젠, 나프탈렌, 플루오렌, 안트라센, 페난트렌, 플루오란텐, 피렌, 크리센, 또는 이들이 복수 연결된 방향족 화합물에서 수소를 제거하고 생기는 m+1가 또는 n+1가의 기를 들 수 있다. 방향족 탄화수소기가 복수 연결되어 있을 경우, 그 총 탄소수는 10~50이다. 바람직하게는 벤젠, 나프탈렌, 안트라센, 페난트렌을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벤젠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 화합물이 복수 연결될 경우, 그들은 같아도 되고 달라도 된다. 방향환이 복수 연결된 방향족 화합물로부터 생기는 기일 경우, 연결되는 수는 2~5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이다. 상기 복수 연결된 방향족 화합물에서 수소를 제거하고 생기는 기의 구체예로는 비페닐, 터페닐, 페닐나프탈렌, 디페닐나프탈렌, 페닐안트라센, 디페닐안트라센, 디페닐플루오렌 등을 들 수 있다. A1과, 인돌로카르바졸 및 B1과의 연결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말단의 환이어도 되고 중앙부의 환이어도 된다.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기는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데, 치환기를 가질 경우, 바람직한 치환기로는 탄소수 1~4의 알킬기, 탄소수 1~2의 알콕시기, 아세틸기이다.
여기서, 방향환이 복수 연결된 방향족 화합물로부터 생기는 기는 2가의 기일 경우, 예를 들면 다음 식(11)~(13)으로 표시된다.
Figure 112012072405443-pct00007
(식(11)~(13) 중, Ar1~Ar6은 무치환의 단환 또는 축합환의 방향환을 나타낸다)
A1, A2, B1, B2 및 R1~R3이,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지방족 탄화수소기이고, 치환기를 가질 경우, 치환기의 총 수는 1~10이다. 바람직하게는 1~6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이다. 또한 2개 이상의 치환기를 가질 경우, 그들은 같아도 되고 달라도 된다. 또한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지방족 탄화수소기의 탄소수의 계산에 있어서, 치환기를 가질 경우, 그 치환기의 탄소수를 포함한다.
일반식(1)에서 B1, B2는 각각 독립적으로 1가의 탄소수 3~50의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30의 방향족 복소환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17의 방향족 복소환기이다. 단, B1, B2는 어느 것도 인돌로카르바졸릴기가 되는 일은 없다. 방향족 복소환이 복수 연결되어 있을 경우, 그 총 탄소수는 6~50이다. B1, B2의 구체예로는 피롤, 피리딘, 피리미딘, 트리아진, 인돌, 퀴놀린, 이소퀴놀린, 퀴녹살린, 나프티리딘, 카르바졸, 아크리딘, 푸란, 벤조푸란, 디벤조푸란, 티오펜, 벤조티오펜, 디벤조티오펜 또는 이들이 복수 연결된 방향족 화합물로부터 생기는 1가의 기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피리딘, 피리미딘, 트리아진, 카르바졸, 디벤조푸란, 디벤조티오펜으로부터 생기는 1가의 기를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 화합물이 복수 연결될 경우, 그들은 같아도 되고 달라도 된다. 방향환이 복수 연결된 방향족 화합물로부터 생기는 기일 경우, 연결되는 수는 2~5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이다. 상기 복수 연결된 방향족 화합물에서 수소를 제거하고 생기는 기의 구체예로는 비피리딘, 비피리미딘, 비트리아진, 피리딜피리미딘, 피리딜카르바졸, 피리미딜카르바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복소환은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데, 치환기를 가질 경우, 바람직한 치환기로는 탄소수 1~4의 알킬기, 탄소수 1~2의 알콕시기, 아세틸기, 탄소수 6~12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페닐기, 나프틸기이다.
일반식(1)에서 m은 1~3의 정수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m은 1 또는 2이다. m이 2 이상일 경우, B1은 같아도 되고 달라도 된다.
n은 0~3의 정수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n은 0~2의 정수이다. n이 2 이상일 경우, B2는 같아도 되고 달라도 된다. 여기서 m+n은 1~3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1)에서 R1,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10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탄소수 6~12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3~11의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수소, 탄소수 1~4의 알킬기, 탄소수 3~6의 시클로알킬기, 페닐기, 나프틸기, 피리딜기, 피리미딜기, 트리아질기, 카르바졸릴기이다.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소, 페닐기, 카르바졸릴기이다.
일반식(1)에서 R3은 수소, 탄소수 1~10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탄소수 6~12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탄소수 3~11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X를 포함하는 환과 축합하는 기를 나타낸다. 식(1a) 중의 X를 포함하는 6원환에 축합하는 환일 경우, 이 환은 축합환이어도 된다. 축합환일 경우는 인돌환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디인돌로카르바졸을 형성하게 된다. 이 때, 인돌환은 치환기를 가져도 된다.
일반식(1)로 표시되는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 중에서도, 상기 일반식(2)~(5)로 표시되는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을 바람직한 화합물로서 들 수 있고, 상기 일반식(6)~(9)로 표시되는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을 보다 바람직한 화합물로서 들 수 있다.
일반식(1)~(9)에서 각각 동일한 기호 및 식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고 이해된다.
일반식(1)~(9)로 표시되는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은 목적으로 하는 화합물의 구조에 따라 원료를 선택하고, 공지의 수법을 이용해서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반식(2) 또는 (6)으로 표시되는 인돌로카르바졸 골격은 Archiv der Pharmazie(Weinheim, Germany), 1987, 320(3), p280-2에 제시된 합성예를 참고로 해서 이하의 반응식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Figure 112012072405443-pct00008
또한 일반식(3) 또는 (7)로 표시되는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의 인돌로카르바졸 골격은 Synlett, 2005, No.1, p42-48에 제시된 합성예를 참고로 해서 이하의 반응식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Figure 112012072405443-pct00009
또한 일반식(4), (5), (8) 또는 (9)로 표시되는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의 인돌로카르바졸 골격은 The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2007, 72(15) 5886 및, Tetrahedron, 1999, 55, p2371에 제시된 합성예를 참고로 해서 이하의 반응식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Figure 112012072405443-pct00010
상술한 반응식에서 얻어지는 각 인돌로카르바졸 골격의 질소상의 수소를, 정법(定法)에 따라, 대응하는 방향족기로 치환시킴으로써, 일반식(1)~(9)로 표시되는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다.
일반식(1)~(9)로 표시되는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의 구체예를 이하에 제시하지만,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이용되는 재료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Figure 112012072405443-pct00011
Figure 112012072405443-pct00012
Figure 112012072405443-pct00013
Figure 112012072405443-pct00014
Figure 112012072405443-pct00015
Figure 112012072405443-pct00016
Figure 112012072405443-pct00017
Figure 112012072405443-pct00018
Figure 112012072405443-pct00019
Figure 112012072405443-pct00020
Figure 112012072405443-pct00021
Figure 112012072405443-pct00022
Figure 112012072405443-pct00023
Figure 112012072405443-pct00024
Figure 112012072405443-pct00025
Figure 112012072405443-pct00026
일반식(1) 또는 일반식(2)~(9) 중 어느 것인가로 표시되는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이하, 본 발명의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 또는 일반식(1)로 표시되는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이라고도 함)은 기판상에, 양극, 복수의 유기층 및 음극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유기 EL 소자의 적어도 1개의 유기층에 함유시킴으로써 뛰어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부여한다. 함유시키는 유기층은 발광층, 전자 수송층 또는 정공 저지층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광 발광 도펀트를 함유하는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로서 함유시키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는 기판상에 적층된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발광층을 가지는 유기층을 가지며, 또 발광층, 전자 수송층 또는 정공 저지층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은 본 발명의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인광 발광 도펀트와 함께 본 발명의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을 발광층 중에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의 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의 구조는 도시된 것에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일반적인 유기 EL 소자의 구조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1은 기판, 2는 양극, 3은 정공 주입층, 4는 정공 수송층, 5는 발광층, 6은 전자 수송층, 7은 음극을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에서는 발광층과 인접하여 여기자 저지층을 가져도 되고, 또한 발광층과 정공 주입층 사이에 전자 저지층을 가져도 된다. 여기자 저지층은 발광층의 양극측, 음극측 중 어느 것에도 삽입할 수 있고, 양쪽 동시에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에서는 기판, 양극, 발광층 및 음극을 필수 층으로서 가지는데, 필수 층 이외의 층으로 정공주입 수송층, 전자주입 수송층을 가지는 것이 좋고, 또한 발광층과 전자주입 수송층 사이에 정공 저지층을 가지는 것이 좋다. 한편 정공주입 수송층은 정공 주입층과 정공 수송층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를 의미하고, 전자주입 수송층은 전자 주입층과 전자 수송층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를 의미한다.
한편, 도 1과는 반대의 구조, 즉 기판(1)상에 음극(7), 전자 수송층(6), 발광층(5), 정공 수송층(4), 양극(2)의 순으로 적층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도 필요에 따라 층을 추가하거나 생략할 수 있다.
-기판-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는 기판에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기판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종래부터 유기 EL 소자에 관용되고 있는 것이면 되는데, 예를 들면 유리, 투명 플라스틱, 석영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양극-
유기 EL 소자에서의 양극으로는 일 함수가 큰(4eV 이상) 금속, 합금, 전기 전도성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전극 물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전극 물질의 구체예로는 Au 등의 금속, CuI, 인듐틴옥시드(ITO), SnO2, ZnO 등의 도전성 투명재료를 들 수 있다. 또한 IDIXO(In2O3-ZnO) 등 비정질이고 투명 도전막을 제작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해도 된다. 양극은 이 전극 물질들을 증착이나 스퍼터링 등의 방법으로 박막을 형성시켜, 포토리소그래피법으로 원하는 형상의 패턴을 형성해도 되고, 혹은 패턴 정밀도를 그다지 필요로 하지 않을 경우에는(100㎛ 이상 정도), 상기 전극 물질의 증착이나 스퍼터링시에 원하는 형상의 마스크를 통해 패턴을 형성해도 된다. 혹은 유기 도전성 화합물과 같이 도포 가능한 물질을 사용할 경우에는 인쇄 방식, 코팅 방식 등 습식 성막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양극으로부터 발광을 추출할 경우에는 투과율을 10%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양극으로서의 시트 저항은 수백Ω/□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막두께는 재료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10~1000nm, 바람직하게는 10~200nm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음극-
한편 음극으로는 일 함수가 작은(4eV 이하) 금속(전자 주입성 금속이라고 칭함), 합금, 전기 전도성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전극 물질로 하는 것이 사용된다. 이러한 전극 물질의 구체예로는 나트륨, 나트륨-칼륨 합금, 마그네슘, 리튬, 마그네슘/구리 혼합물, 마그네슘/은 혼합물, 마그네슘/알루미늄 혼합물, 마그네슘/인듐 혼합물, 알루미늄/산화알루미늄(Al2O3) 혼합물, 인듐, 리튬/알루미늄 혼합물, 희토류 금속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전자 주입성 및 산화 등에 대한 내구성의 점에서, 전자 주입성 금속과 이것보다 일 함수의 값이 크고 안정된 금속인 제2금속과의 혼합물, 예를 들면 마그네슘/은 혼합물, 마그네슘/알루미늄 혼합물, 마그네슘/인듐 혼합물, 알루미늄/산화알루미늄(Al2O3) 혼합물, 리튬/알루미늄 혼합물, 알루미늄 등이 바람직하다. 음극은 이 전극 물질들을 증착이나 스퍼터링 등의 방법으로 박막을 형성시킴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음극으로서의 시트 저항은 수백Ω/□ 이하가 바람직하고, 막두께는 보통 10nm~5㎛, 바람직하게는 50~200nm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한편 발광한 빛을 투과시키기 위해, 유기 EL 소자의 양극 또는 음극 중 어느 한쪽이 투명 또는 반투명이면 발광 휘도가 향상되므로 유리하다.
또한 음극에 상기 금속을 1~20nm의 막두께로 제작한 후에, 양극의 설명에서 예로 든 도전성 투명재료를 그 위에 제작함으로써 투명 또는 반투명의 음극을 제작할 수 있고, 이것을 응용함으로써 양극과 음극 모두 투과성을 가지는 소자를 제작할 수 있다.
-발광층-
발광층은 인광 발광층이며, 인광 발광 도펀트와 호스트 재료를 포함한다. 인광 발광 도펀트 재료로서는 루테늄, 로듐, 팔라듐, 은, 레늄, 오스뮴, 이리듐, 백금 및 금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을 포함하는 유기 금속 착체를 함유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유기 금속 착체는 상기 선행기술문헌 등에서 공지이며, 이들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인광 발광 도펀트로서는 Ir 등의 귀금속 원소를 중심 금속으로 가지는 Ir(ppy)3 등의 착체류, (Bt)2Iracac 등의 착체류, (Btp)Ptacac 등의 착체류를 들 수 있다. 이 착체류들의 구체예를 이하에 나타내지만, 하기의 화합물에 한정되지 않는다.
Figure 112012072405443-pct00027
Figure 112012072405443-pct00028
상기 인광 발광 도펀트가 발광층 중에 함유되는 양은 1~50중량%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30중량%이다.
발광층에서의 호스트 재료로는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을 발광층 이외의 다른 어느 유기층에 사용할 경우에는 발광층에 사용하는 재료는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 이외의 기타 호스트 재료여도 된다. 또한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과 기타 호스트 재료를 병용해도 된다. 또, 공지의 호스트 재료를 복수 종류 병용해서 이용해도 된다.
사용 가능한 공지의 호스트 화합물로서는 정공 수송능 또는 전자 수송능을 가지면서, 발광의 장파장화를 막고, 게다가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가지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타 호스트 재료는 다수의 특허문헌 등에 알려져 있으므로, 그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호스트 재료의 구체예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인돌 유도체, 카르바졸 유도체, 트리아졸 유도체, 옥사졸 유도체, 옥사디아졸 유도체, 이미다졸 유도체, 폴리아릴알칸 유도체, 피라졸린 유도체, 피라졸론 유도체, 페닐렌디아민 유도체, 아릴아민 유도체, 아미노 치환 칼콘(chalcone) 유도체, 스티릴안트라센 유도체, 플루오레논 유도체, 히드라존(hydrazone) 유도체, 스틸벤(stilbene) 유도체, 실라잔 유도체, 방향족 제3아민 화합물, 스티릴아민 화합물, 방향족 디메틸리덴계 화합물, 포르피린계 화합물, 안트라퀴노디메탄 유도체, 안트론(anthrone) 유도체, 디페닐퀴논 유도체, 티오피란디옥시드 유도체, 나프탈렌페릴렌 등의 복소환 테트라카르복실산무수물, 프탈로시아닌 유도체, 8-퀴놀리놀 유도체의 금속 착체나 메탈프탈로시아닌, 벤조옥사졸이나 벤조티아졸 유도체의 금속 착체로 대표되는 각종 금속 착체, 폴리실란계 화합물, 폴리(N-비닐카르바졸) 유도체, 아닐린계 공중합체, 티오펜 올리고머, 폴리티오펜 유도체, 폴리페닐렌 유도체, 폴리페닐렌비닐렌 유도체, 폴리플루오렌 유도체 등의 고분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주입층-
주입층이란, 구동 전압 저하나 발광 휘도 향상을 위해 전극과 유기층 사이에 마련되는 층으로, 정공 주입층과 전자 주입층이 있으며, 양극과 발광층 또는 정공 수송층의 사이, 및 음극과 발광층 또는 전자 수송층과의 사이에 존재시켜도 된다. 주입층은 필요에 따라 마련할 수 있다.
-정공 저지층-
정공 저지층은 넓은 의미에서는 전자 수송층의 기능을 가지며, 전자를 수송하는 기능을 가지면서 정공을 수송하는 능력이 현저하게 작은 정공 저지 재료로 이루어지고, 전자를 수송하면서 정공을 저지함으로써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 확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정공 저지층에는 일반식(1)로 표시되는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을 다른 어느 유기층에 사용할 경우에는 공지의 정공 저지층 재료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정공 저지층 재료로서는 후술하는 전자 수송층의 재료를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전자 저지층-
전자 저지층은 정공을 수송하는 기능을 가지면서 전자를 수송하는 능력이 현저하게 작은 재료로 이루어지고, 정공을 수송하면서 전자를 저지함으로써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하는 확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자 저지층의 재료로는 후술하는 정공 수송층의 재료를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전자 저지층의 막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100n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30nm이다.
-여기자 저지층-
여기자 저지층은 발광층 내에서 정공과 전자가 재결합함으로써 생긴 여기자가 전하 수송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층이며, 본 층의 삽입에 의해 여기자를 효율적으로 발광층 내에 가둘 수 있게 되어 소자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자 저지층은 발광층에 인접하여 양극측, 음극측 중 어느 것에도 삽입할 수 있고, 양쪽 동시에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자 저지층의 재료로는 예를 들면 1,3-디카르바졸릴벤젠(mCP)이나, 비스(2-메틸-8-퀴놀리놀라토)-4-페닐페놀라토알루미늄(III)(BAlq)을 들 수 있다.
-정공 수송층-
정공 수송층은 정공을 수송하는 기능을 가지는 정공 수송 재료로 이루어지며, 정공 수송층은 단층 또는 복수층 마련할 수 있다.
정공 수송 재료로서는 정공의 주입 또는 수송, 전자의 장벽성 중 어느 하나를 가지는 것이며, 유기물, 무기물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사용 가능한 공지의 정공 수송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아졸 유도체, 옥사디아졸 유도체, 이미다졸 유도체, 폴리아릴알칸 유도체, 피라졸린 유도체 및 피라졸론 유도체, 페닐렌디아민 유도체, 아릴아민 유도체, 아미노 치환 칼콘 유도체, 옥사졸 유도체, 스티릴안트라센 유도체, 플루오레논 유도체, 히드라존 유도체, 스틸벤 유도체, 실라잔 유도체, 아닐린계 공중합체, 또한 도전성 고분자 올리고머, 특히 티오펜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는데, 포르피린 화합물, 방향족 제3급 아민 화합물 및 스티릴아민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방향족 제3급 아민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자 수송층-
전자 수송층은 전자를 수송하는 기능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며, 전자 수송층은 단층 또는 복수층 마련할 수 있다.
전자 수송 재료(정공 저지 재료를 겸하는 경우도 있음)로서는, 음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를 발광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 전자 수송층에는 일반식(1)로 표시되는 인돌로카르바졸 유도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종래 공지의 화합물 중에서 임의의 것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니트로 치환 플루오렌 유도체, 디페닐퀴논 유도체, 티오피란디옥시드 유도체, 카르보디이미드, 플루오레닐리덴메탄 유도체, 안트라퀴노디메탄 및 안트론 유도체, 옥사디아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옥사디아졸 유도체에 있어서, 옥사디아졸환의 산소원자를 유황원자로 치환한 티아디아졸 유도체, 전자 흡인기로서 알려져 있는 퀴녹살린환을 가지는 퀴녹살린 유도체도 전자 수송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재료들을 고분자쇄에 도입하거나, 또는 이 재료들을 고분자의 주쇄로 한 고분자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물론 이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요지를 넘어서지 않는 한 다양한 형태로 실시 가능하다.
이하에 나타내는 루트로 본 발명에 사용한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한편, 화합물 번호는 상기 화학식에 부여한 번호에 대응한다.
<합성예 1>
화합물 3-1의 합성
Figure 112012072405443-pct00029
질소 분위기하, 5,12-디하이드로인돌로[3,2-a]카르바졸(IC-1) 10.0g (0.039mol), 요오드벤젠 39.8g(0.20mol), 구리 6.2g(0.098mol), 탄산칼륨 8.1g (0.059mol), 테트라글라임 200ml를 첨가하여 교반하였다. 그 후 190℃까지 가열하고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실온까지 냉각한 후에 구리, 무기물을 여과 분별하였다. 여과액에 물 200ml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석출한 결정을 여과 분별하였다. 이것을 감압 건조한 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백색 분말의 중간체 A를 9.7g(0.029mol, 수율 75%) 얻었다.
질소 분위기하, 중간체 A 25.0g(0.075mol), 4-(3-브로모페닐)-2,6-디페닐피리딘 25.6g(0.066mol), 요오드화구리 25.5g(0.13mol), 탄산칼륨 31.0g(0.22mol),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500ml를 첨가하고, 185℃로 4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실온까지 냉각한 후에 무기물을 여과 분별하였다. 물 4000ml에 얻어진 여과액을 첨가하여 교반하고, 석출한 결정을 여과 분별하였다. 이것을 감압 건조한 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백색 분말의 화합물 3-1을 23.7g(0.037mol, 수율 56%) 얻었다.
APCI-TOFMS, m/z 638 [M+H]+, 1H-NMR 측정 결과(측정 용매:THF-d8)를 도 2에 나타낸다.
<합성예 2>
화합물 3-13의 합성
Figure 112012072405443-pct00030
질소 분위기하, IC-1을 9.9g(0.039mol), 4-(3-브로모페닐)-2,6-디페닐피리딘을 14.6g(0.038mol), 요오드화구리를 13.5g(0.071mol), 탄산칼륨을 16.6g (0.12mol),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을 350ml 첨가하고 185℃로 30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실온까지 냉각한 후에 무기물을 여과 분별하였다. 물 4000ml에 얻어진 여과액을 첨가하여 교반하고, 석출한 결정을 여과 분별하였다. 이것을 감압 건조한 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백색 분말의 중간체 B를 20.5g (0.036mol, 수율 94%) 얻었다.
질소 분위기하, 중간체 B 19.1g(0.034mol), 4-(3-브로모페닐)-2,6-디페닐피리딘 12.9g(0.034mol), 요오드화구리 12.2g(0.064mol), 탄산칼륨 15.8g(0.12mol),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300ml를 첨가하고 185℃로 4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실온까지 냉각한 후에 무기물을 여과 분별하였다. 물 4000ml에 얻어진 여과액을 첨가하여 교반하고, 석출한 결정을 여과 분별하였다. 이것을 감압 건조한 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백색 분말의 화합물 3-13을 8.3g(0.010mol, 수율 28%) 얻었다.
APCI-TOFMS, m/z 867 [M+H]+, 1H-NMR 측정 결과(측정 용매:THF-d8)를 도 3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 합성예 및 명세서 중에 기재된 합성방법에 준하여, 화합물 1-11, 1-15, 2-6, 2-30, 3-3, 3-23 및 4-3을 준비하여 유기 EL 소자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
막두께 110nm의 ITO로 이루어지는 양극이 형성된 유리 기판상에 각 박막을 진공 증착법으로 진공도 4.0×10-5Pa로 적층시켰다. 먼저, ITO상에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을 25nm의 두께로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정공 수송층으로서 4,4'-비스[N-(1-나프틸)-N-페닐아미노]비페닐(NPB)을 40nm의 두께로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정공 수송층상에, 호스트 재료로서의 합성예 1에서 얻은 화합물 3-1과, 인광 발광 도펀트로서의 트리스(2-페닐피리딘)이리듐(III)(Ir(ppy)3)을 다른 증착원으로부터 공증착하여 40nm의 두께로 발광층을 형성하였다. 발광층 중의 Ir(ppy)3의 농도는 10.0wt%였다. 다음으로 전자 수송층으로서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리나토)알루미늄(III)(Alq3)을 20nm의 두께로 형성하였다. 또, 전자 수송층상에, 전자 주입층으로서 불화 리튬(LiF)을 1.0nm의 두께로 형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전자 주입층상에 전극으로서 알루미늄(Al)을 70nm의 두께로 형성하여 유기 EL 소자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로서 화합물 1-11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유기 EL 소자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로서 화합물 1-15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유기 EL 소자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로서 화합물 2-6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유기 EL 소자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로서 화합물 2-30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유기 EL 소자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6>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로서 화합물 3-3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유기 EL 소자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7>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로서 화합물 3-13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유기 EL 소자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8>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로서 화합물 3-23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유기 EL 소자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9>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로서 화합물 4-3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유기 EL 소자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로서 4,4'-비스(9-카르바졸릴)비페닐(CBP)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유기 EL 소자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로서 하기 화합물 H-1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유기 EL 소자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3>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로서 하기 화합물 H-2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유기 EL 소자를 제작하였다.
Figure 112012072405443-pct00031
실시예 1~9 및 비교예 1~3에서 얻어진 유기 EL 소자에 외부전원을 접속하여 직류 전압을 인가한 결과, 표 1과 같은 발광 특성을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표 1에서 휘도, 전압 및 발광 효율은 10mA/㎠에서의 값을 나타낸다. 한편 소자 발광 스펙트럼의 극대 파장은 모두 530nm로, Ir(ppy)3로부터의 발광이 얻어지고 있다고 식별되었다.
Figure 112012072405443-pct00032
표 1로부터,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에서 사용하는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은 인광 호스트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CBP에 대하여 양호한 발광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인돌로카르바졸에 직접 방향족 복소환이 결합하는 H-1이나, 분자 중에 방향족 복소환 화합물을 가지지 않는 H-2와 비교해서 양호한 발광 특성을 나타내, 상기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의 우위성이 명백하다.
<실시예 10>
막두께 110nm의 ITO로 이루어지는 양극이 형성된 유리 기판상에 각 박막을 진공 증착법으로 진공도 2.0×10-5Pa로 적층시켰다. 먼저, ITO상에 정공 주입층으로서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을 25nm의 두께로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정공 수송층으로서 NPB를 90nm의 두께로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정공 수송층상에,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로서의 화합물 3-1과 도펀트로서의 청색 인광 재료인 이리듐 착체[이리듐(III)비스(4,6-디-플루오로페닐)-피리디네이트-N,C2']피콜리네이트](FIrpic)를 다른 증착원으로부터 공증착하여 30nm의 두께로 발광층을 형성하였다. FIrpic의 농도는 10wt%였다. 다음으로 전자 수송층으로서 Alq3를 30nm 두께로 형성하였다. 또 전자 수송층상에 전자 주입층으로서 LiF를 1.0nm 두께로 형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전자 주입층상에 전극으로서 Al을 70nm 두께로 형성하였다. 얻어진 유기 EL 소자는 도 1에 도시한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음극과 전자 수송층 사이에 전자 주입층이 추가된 층 구성을 가진다.
<실시예 11>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로서 화합물 3-4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해서 유기 EL 소자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2>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로서 화합물 3-23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해서 유기 EL 소자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4>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로서 CBP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해서 유기 EL 소자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5>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로서 H-1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해서 유기 EL 소자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0~12 및 비교예 4~5에서 얻어진 유기 EL 소자에 대하여, 외부전원을 접속하여 직류 전압을 인가한 결과, 표 2와 같은 발광 특성을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표 2에서 휘도, 전압, 및 발광 효율은 2.5mA/㎠에서의 값을 나타낸다. 한편 소자 발광 스펙트럼의 극대 파장은 모두 475nm로, FIrpic로부터의 발광이 얻어지고 있다고 식별되었다.
Figure 112012072405443-pct00033
표 2로부터도 실시예의 유기 EL 소자는 비교예의 유기 EL 소자에 대하여 양호한 발광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어, 본 발명의 우위성이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소자는 발광 특성, 구동 수명 및 내구성에 있어서 실용상 만족할 수 있는 수준에 있으며,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휴대전화 표시소자, 차재(車載) 표시소자, OA 컴퓨터 표시소자나 텔레비전 등), 면 발광체로서의 특징을 살린 광원(조명, 복사기의 광원, 액정 디스플레이나 계기류의 백라이트 광원), 표시판이나 표식등 등에의 응용에 있어서 그 기술적 가치가 크다.

Claims (5)

  1. 기판상에 양극, 인광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층 및 음극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정공 저지층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 중에, 일반식(1)로 표시되는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Figure 112013068047047-pct00034

    일반식(1) 중, 환 A는 인접환과 임의의 위치에서 축합하는 식(1a)으로 표시되는 방향족환 또는 복소환을 나타내고, 환 B는 인접환과 임의의 위치에서 축합하는 식(1b)으로 표시되는 복소환을 나타낸다. 일반식(1), (1a) 및 (1b) 중, A1 및 A2는 각각 독립적으로 m+1가 또는 n+1가의 탄소수 6~50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탄소수 1~4의 알킬기, 탄소수 1~2의 알콕시기, 및 아세틸기 중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를 1~6개 가져도 되고, 치환기를 2개 이상 가지는 경우, 그들은 같아도 되고 달라도 된다. B1 및 B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3~17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상기 방향족 복소환이 2~5개 연결된 총 탄소수 6~50의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내고, 탄소수 1~4의 알킬기, 탄소수 1~2의 알콕시기, 아세틸기, 및 탄소수 6~12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중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를 1~6개 가져도 되고, 치환기를 2개 이상 가지는 경우, 그들은 같아도 되고 달라도 된다. X는 메틴 또는 질소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10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탄소수 6~12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3~11의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내며, R3은 수소, 탄소수 1~10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탄소수 6~12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3~11의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m은 1~3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0~3의 정수를 나타낸다. m, n이 2 이상일 경우, 복수의 B1 및 B2는 각각 같아도 되고 달라도 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1)로 표시되는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이 일반식(2)~(5)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Figure 112012072405443-pct00035

    일반식(2)~(5) 중 A1, A2, B1, B2, R1~R3, m 및 n은 일반식(1)과 같은 의미이다.
  3. 제2항에 있어서,
    일반식(2)~(5)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이, 일반식(6)~(9)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Figure 112012072405443-pct00036

    (일반식(6)~(9) 중 B1, B2, R1~R3, m 및 n은 일반식(1)과 같은 의미이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층이, 인광 발광 도펀트를 함유하는 발광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5. 제2항에 있어서,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층이, 440nm~510nm에 최대 발광 파장을 가지는 인광 발광 도펀트를 함유하면서, 일반식(4) 또는 (5)로 표시되는 인돌로카르바졸 화합물을 함유하는 발광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20127023471A 2010-02-12 2011-01-27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13137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28567 2010-02-12
JPJP-P-2010-028567 2010-02-12
PCT/JP2011/051639 WO2011099374A1 (ja) 2010-02-12 2011-01-27 有機電界発光素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368A KR20120125368A (ko) 2012-11-14
KR101313730B1 true KR101313730B1 (ko) 2013-10-01

Family

ID=44367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471A KR101313730B1 (ko) 2010-02-12 2011-01-27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56843B2 (ko)
EP (1) EP2535957B1 (ko)
JP (1) JP5215481B2 (ko)
KR (1) KR101313730B1 (ko)
CN (1) CN102754237B (ko)
TW (1) TWI429650B (ko)
WO (1) WO201109937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7881A (ko) 2016-10-05 2018-04-13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유기 전계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190053792A (ko) 2017-11-10 2019-05-20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유기 전계 발광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재료,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
DE102022114317A1 (de) 2021-06-10 2022-12-15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Korea Ltd. Mehrere wirtsmaterialien und diese umfassende organische elektrolumineszierende vorrichtung
DE102022128880A1 (de) 2021-11-02 2023-05-04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Korea Ltd. Organische elektrolumineszierende verbindung, mehrere wirtsmaterialien und diese umfassende organische elektrolumineszierende vorrichtu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9761A (ko) * 2010-07-21 2012-02-02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2012056880A (ja) * 2010-09-08 2012-03-22 Idemitsu Kosan Co Ltd インドロカルバゾール化合物、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5938175B2 (ja) 2011-07-15 2016-06-22 出光興産株式会社 含窒素芳香族複素環誘導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WO2013062075A1 (ja) 2011-10-26 2013-05-02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材料
KR20130084093A (ko) * 2012-01-16 2013-07-24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채용하고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6504743B2 (ja) * 2012-03-05 2019-04-24 東レ株式会社 発光素子
KR20130127563A (ko) * 2012-05-02 2013-11-25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신규한 유기 전계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WO2013175747A1 (ja) * 2012-05-22 2013-11-28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WO2013175746A1 (ja) * 2012-05-22 2013-11-28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1452578B1 (ko) 2012-07-23 2014-10-23 주식회사 두산 신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2304715B1 (ko) * 2013-06-14 2021-09-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2491209B1 (ko) * 2014-04-29 2023-01-26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복수종의 호스트 재료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WO2015167259A1 (en) * 2014-04-29 2015-11-05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Korea Ltd. Multi-component host material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1558495B1 (ko) * 2014-06-27 2015-10-12 희성소재 (주) 다환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소자
KR102256932B1 (ko) 2014-09-18 2021-05-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1791739B1 (ko) * 2015-07-30 2017-10-30 이-레이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유기 전자발광 디바이스용 인광 물질
TWI562996B (en) * 2015-10-07 2016-12-21 E Ray Optoelectronics Tech Co Organic materials for organic electroluminscent devices
KR102497280B1 (ko) * 2015-11-26 2023-0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JP6869896B2 (ja) * 2015-12-28 2021-05-12 日鉄ケミカル&マテリアル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
US10957861B2 (en) * 2015-12-29 2021-03-23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KR20180121922A (ko) 2016-03-15 2018-11-09 닛테츠 케미컬 앤드 머티리얼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전계 발광 소자
US11283028B2 (en) 2016-10-05 2022-03-22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Korea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compound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639854B1 (ko) 2016-10-31 2024-0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CN109326741A (zh) * 2017-08-01 2019-02-12 江苏三月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氮杂苯类化合物的有机发光器件
US11723269B2 (en) * 2017-08-22 2023-08-08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11217757B2 (en) 2018-03-12 2022-01-04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Host materials for electroluminescent devices
KR20200132898A (ko) 2018-03-19 2020-11-25 닛테츠 케미컬 앤드 머티리얼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전계발광 소자
CN108440537B (zh) * 2018-04-18 2021-04-27 石家庄诚志永华显示材料有限公司 咔唑衍生物、包含该咔唑衍生物的材料和有机电致发光器件
CN109651406B (zh) * 2019-01-23 2021-01-08 苏州久显新材料有限公司 热激活延迟荧光化合物、发光材料及有机电致发光器件
KR20210039565A (ko) * 2019-10-02 2021-04-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
CN110759918B (zh) 2019-10-31 2021-07-06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化合物、显示面板及电子设备
CN111233861A (zh) * 2020-02-13 2020-06-05 吉林奥来德光电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化合物、其制备方法及有机电致发光器件
KR20230088691A (ko) 2020-10-23 2023-06-20 닛테츠 케미컬 앤드 머티리얼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전계 발광소자용 재료 및 유기 전계 발광소자
JPWO2022085776A1 (ko) 2020-10-23 2022-04-28
KR20220151981A (ko) * 2021-05-07 2022-1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 발광 소자
CN117652220A (zh) 2021-07-30 2024-03-05 日铁化学材料株式会社 有机电场发光元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3754A1 (ja) 2005-12-01 2007-06-07 Nippon Steel Chemical Co., Ltd. 有機電界発光素子用化合物及び有機電界発光素子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2340A (en) 1997-10-02 1999-08-24 Xerox Corporation Indolocarbazole electroluminescent devices
US5843607A (en) 1997-10-02 1998-12-01 Xerox Corporation Indolocarbazole photoconductors
US5952115A (en) 1997-10-02 1999-09-14 Xerox Corporation Electroluminescent devices
WO2001041512A1 (en) 1999-12-01 2001-06-07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Complexes of form l2mx as phosphorescent dopants for organic leds
JP2001313178A (ja) 2000-04-28 2001-11-09 Pioneer Electronic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EP1805280B1 (en) 2004-09-20 2011-02-09 LG Chem, Ltd. Carbazole derivativ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ing same
US20090295276A1 (en) 2005-12-01 2009-12-03 Tohru Asari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WO2008056746A1 (fr) 2006-11-09 2008-05-15 Nippon Steel Chemical Co., Ltd. Composé pour un dispositif électroluminescent organique et dispositif électroluminescent organique
JP2009085657A (ja) 2007-09-28 2009-04-23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走査型電子顕微鏡を用いた試料の観察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US8703303B2 (en) 2008-05-08 2014-04-22 Nippon Steel & Sumikin Chemical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a light-emitting layer comprising a host material of two or more compounds
KR101082144B1 (ko) 2008-05-08 2011-11-09 신닛테츠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화합물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
US8318323B2 (en) 2008-06-05 2012-11-27 Idemitsu Kosan Co., Ltd. Polycyclic compound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employing the same
KR101500796B1 (ko) * 2008-06-05 2015-03-09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할로젠 화합물, 다환계 화합물 및 그것을 이용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
JP5238025B2 (ja) * 2008-06-05 2013-07-17 出光興産株式会社 多環系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8057919B2 (en) 2008-06-05 2011-11-15 Idemitsu Kosan Co., Ltd. Material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using the same
JP5357150B2 (ja) * 2008-06-05 2013-12-04 出光興産株式会社 ハロゲン化合物、多環系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8049411B2 (en) 2008-06-05 2011-11-01 Idemitsu Kosan Co., Ltd. Material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using the same
KR101853014B1 (ko) * 2009-02-03 2018-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양극성 호스트
TWI468494B (zh) * 2009-03-31 2015-01-11 Nippon Steel & Sumikin Chem Co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s
KR101801048B1 (ko) * 2009-06-08 2017-11-28 에스에프씨 주식회사 인돌로카바졸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3754A1 (ja) 2005-12-01 2007-06-07 Nippon Steel Chemical Co., Ltd. 有機電界発光素子用化合物及び有機電界発光素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7881A (ko) 2016-10-05 2018-04-13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유기 전계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190053792A (ko) 2017-11-10 2019-05-20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유기 전계 발광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재료,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
DE102022114317A1 (de) 2021-06-10 2022-12-15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Korea Ltd. Mehrere wirtsmaterialien und diese umfassende organische elektrolumineszierende vorrichtung
DE102022128880A1 (de) 2021-11-02 2023-05-04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Korea Ltd. Organische elektrolumineszierende verbindung, mehrere wirtsmaterialien und diese umfassende organische elektrolumineszierende 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29650B (zh) 2014-03-11
US20120305903A1 (en) 2012-12-06
KR20120125368A (ko) 2012-11-14
CN102754237B (zh) 2015-06-17
WO2011099374A1 (ja) 2011-08-18
JP5215481B2 (ja) 2013-06-19
TW201136933A (en) 2011-11-01
US9156843B2 (en) 2015-10-13
JPWO2011099374A1 (ja) 2013-06-13
EP2535957B1 (en) 2017-01-04
CN102754237A (zh) 2012-10-24
EP2535957A4 (en) 2014-09-24
EP2535957A1 (en) 201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3730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1302099B1 (ko) 인광 발광 소자용 재료 및 이것을 사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4870245B2 (ja) 燐光発光素子用材料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電界発光素子
KR101758865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1719173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2005723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5972884B2 (ja) 有機電界発光素子
JP5723764B2 (ja) 有機電界発光素子
JP5584702B2 (ja) 有機電界発光素子
JP6091428B2 (ja) 有機電界発光素子
JP5399418B2 (ja) 有機電界発光素子
TWI466980B (zh)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