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508B1 -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508B1
KR101313508B1 KR1020110103513A KR20110103513A KR101313508B1 KR 101313508 B1 KR101313508 B1 KR 101313508B1 KR 1020110103513 A KR1020110103513 A KR 1020110103513A KR 20110103513 A KR20110103513 A KR 20110103513A KR 101313508 B1 KR101313508 B1 KR 101313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ll portion
protrusion
inner frame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7891A (ko
Inventor
쇼이찌 와끼따
노부유끼 스즈끼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액정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액정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액정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37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7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2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e.g. with collimating, focussing or diverging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light sources to drivers, circuit boards, or the li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88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guide or other optical sheets in the packag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02F2201/465Snap -f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백라이트 유닛(10)은, 도광판(20)과, 도광판(2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내측 프레임(30)과, 내측 프레임(3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외측 프레임(40)을 구비하고 있다. 내측 프레임(30)의 내주면에는, 도광판(20)의 외주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내측 돌기(35)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프레임(30)의 외주면에는, 외측 프레임(40)의 내주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외측 돌기(37)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돌기(35)와 외측 돌기(37)는, 내측 프레임(30)의 한 변인 벽부(33)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또한, 내측 프레임(30)의 벽부(33)의 길이 방향에서 서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백라이트 유닛(10)에 의하면, 부착의 용이성을 확보하면서, 부재의 상대 위치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백라이트 유닛을 구성하는 부재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저감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개 2009-192769호 공보에 개시되는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은, 도광판과, 도광판의 외주를 둘러싸는 수지에 의해 성형된 내측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 도광판의 표측에 배치되는 액정 표시 패널은, 이 내측 프레임에 얹어져, 그 내측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개 2009-192769호 공보에 개시되는 백라이트 유닛은, 내측 프레임을 둘러싸는 외측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 외측 프레임은,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액정 표시 장치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내측 프레임과 도광판과의 사이, 및,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과의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설정되어 있다. 클리어런스가 있음으로써, 도광판을 내측 프레임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고, 또한, 내측 프레임을 외측 프레임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구조에서는 클리어런스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 프레임과, 도광판과, 외측 프레임과의 사이에 위치 어긋남이 생기기 쉽고, 그것이 표시 영역의 위치 어긋남으로 이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부착의 용이성을 확보하면서, 부재의 상대 위치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 및 그것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은,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내측 프레임과, 상기 내측 프레임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외측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내측 프레임의 내주면에는, 상기 도광판의 외주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내측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프레임의 외주면과 상기 외측 프레임의 내주면 중 한쪽에는, 다른 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외측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 돌기와 상기 외측 돌기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한 변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내측 프레임의 상기 한 변의 길이 방향에서 서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 프레임에 대한 도광판의 위치 어긋남을 내측 돌기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외측 프레임에 대한 내측 프레임의 위치 어긋남을 외측 돌기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내측 돌기와 외측 돌기는 내측 프레임의 한 변의 길이 방향에서 서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들 3개의 부재를 서로 부착할 때, 내측 프레임의 상기 한 변을 오목하게 할 수 있어, 부착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광판이 이미 끼워진 내측 프레임을 외측 프레임에 끼울 때는, 내측 프레임의 외측 돌기가 형성된 부분(혹은, 외측 돌기가 닿는 부분)을 오목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그들 2개의 부재를 외측 프레임에 끼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내측 돌기는 상기 도광판의 외주면에 닿아 있어도 된다. 이 양태에 따르면, 도광판의 내측 프레임에 대한 위치 어긋남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상기 내주면에는, 복수의 상기 내측 돌기가 형성되어도 된다. 이 양태에 따르면, 도광판의 위치를 내측 프레임 내에서 더욱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상기 외주면과 상기 외측 프레임의 상기 내주면 중 상기 한쪽에는, 복수의 상기 외측 돌기가 형성되어도 된다. 이 양태에 따르면, 내측 프레임의 위치를 외측 프레임 내에서 더욱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외주면과 상기 외측 프레임의 내주면 중 상기 한쪽에는, 상기 다른 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2 외측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외측 돌기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상기 한 변과는 반대측의 변의 외측에 위치해도 된다. 이 양태에 따르면, 외측 프레임에 대한 내측 프레임의 위치 어긋남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양태에서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상기 반대측의 변에는, 상기 도광판의 외주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2 내측 돌기가 형성되어도 된다. 이 양태에 따르면, 내측 프레임에 대한 도광판의 위치 어긋남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 양태에서, 또한, 상기 제2 내측 돌기와 상기 제2 외측 돌기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상기 한 변과는 상기 반대측의 변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내측 프레임의 제2 외측 돌기가 형성된 부분(혹은, 제2 외측 돌기가 닿는 부분)이 오목해지는 것을, 제2 내측 돌기에 의해 저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내측 프레임이 외측 프레임으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는, 상기 외측 돌기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외주면과 상기 외측 프레임의 내주면 중 상기 다른 쪽에 걸어 맞추어도 된다. 이 양태에 따르면, 내측 프레임의 외측 프레임으로부터의 분리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양태에서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외주면과 상기 외측 프레임의 내주면 중 상기 다른 쪽에는, 상기 외측 돌기가 끼워지는 구멍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내측 프레임의 외측 프레임으로부터의 분리를,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내측 프레임의 외주면과 외측 프레임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내측 프레임의 외주면과 외측 프레임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저감한 경우라도, 내측 프레임의 외측 돌기가 형성된 부분(혹은, 외측 돌기가 닿는 부분)을 오목하게 함으로써, 내측 프레임을 외측 프레임에 끼울 수 있어, 부착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평면도. 동도에서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이 갖는 도광판, 내측 프레임, 및 외측 프레임만이 도시되어 있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Ⅲ-Ⅲ선에서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주요부의 확대도. 동도에서는 내측 프레임에 형성된 돌기가 도시되어 있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10)의 평면도이다. 도 2에서는, 백라이트 유닛(10)을 구성하는 도광판(20), 내측 프레임(30) 및 외측 프레임(40)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Ⅲ-Ⅲ선에서의 백라이트 유닛(10)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며, 동도에서는, 내측 프레임(30)에 형성된 제1 내측 돌기(35) 및 제1 외측 돌기(37)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액정 표시 패널(2)과 백라이트 유닛(10)이 서로 마주 보는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한다. 또한, 도 1에서 X1-X2가 나타내는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고, Y1-Y2가 나타내는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1)는 액정 표시 패널(2)과, 액정 표시 패널(2)을 이면측으로부터 비추는 백라이트 유닛(10)을 갖고 있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1)는, 예를 들면, 휴대 전화나, 디지털 카메라, PDA(Personal Data Assistance) 등의 휴대 기기에 탑재되는 소형의 표시 장치이다.
액정 표시 패널(2)은 광 투과성을 갖는 한 쌍의 기판(2a, 2b)(글래스 기판)을 포함하고, 이들 사이에 액정이 봉입되어 있다. 기판(2a)에는, 박막 트랜지스터, 전극, 및 배선 등이 형성되고, 기판(2b)에는 컬러 필터가 형성되어 있다. 기판(2a)에는, 트랜지스터를 구동하는 구동용의 집적 회로 등이 실장된 플렉시블 배선판(2e)이 부착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플렉시블 배선판(2e)은 기판(2a)의 앞쪽의 가장자리는 부착되어 있다. 기판(2a, 2b)의 표측 및 이측에는 편광판(2c, 2d)이 접착되어 있다(도 3 참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10)은,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12)과, 도광판(20)과, 복수의 광학 시트(11)와, 반사 시트(13)를 갖고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10)은 내측 프레임(30)과 외측 프레임(40)을 갖고 있다.
배선판(12)에는 복수의 광원(예를 들면, LED(Light Emitting Diode))(12b)이 실장되어 있다. 여기서 설명하는 예에서는, 광원(12b)은 배선판(12)의 이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배선판(12)은, 광원(12b)이 도광판(20)의 외주면(도광판(20)의 두께를 규정하는 면)에서의 앞쪽의 부분(20c)과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도광판(20)의 앞쪽의 가장자리에 부착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면에서의 앞쪽 부분(20c)에 돌기(20b)가 형성되고, 그 돌기(20b)의 상면에 배선판(12)은 부착된다.
또한, 배선판(12)의 도광판(20)에의 부착 구조나, 광원(12b)의 위치는, 여기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배선판(12)을 설치하지 않고, 액정 표시 패널(2)에 부착된 배선판(2e)에 광원(12b)을 실장해도 된다. 이 경우, 광원(12b)이 도광판(20)의 외주면과 마주 보도록, 배선판(2e)은 굴곡시켜져 배치된다.
도광판(20)은, 대략 사각형의 판 형상의 부재이다. 도광판(20)은, 광 투과성이나 광 확산성을 갖는 재료(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광원(12b)의 광은, 도광판(20) 내를 난반사하면서, 도광판(20)의 전역에 퍼지고, 이것에 의해, 도광판(20)은 면발광한다. 즉, 도광판(20)은 그 표면의 전체로부터 대략 균일하게 광을 방출한다.
복수의 광학 시트(11)는 도광판(20) 상에서 층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광학 시트(11)는 예를 들면 확산 시트나 프리즘 시트이다. 광학 시트(11)의 상방에 액정 표시 패널(2)이 배치되어 있다(도 3 참조).
도광판(20)의 이면(하면측)에는 반사 시트(13)가 배치되어 있다. 반사 시트(13)의 외주연은 내측 프레임(30)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다.
내측 프레임(30)은 도광판(20)의 외주를 둘러싸는 틀이다. 내측 프레임(30)은 사각형이고, 그 4개의 변으로서 상벽부(31), 하벽부(32), 우벽부(33), 및, 좌벽부(34)를 갖고 있다(도 2 참조). 이들 벽부(31, 32, 33, 34)는 각각, 단면(이들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면을 절단면으로 하는 단면)이 사각형인 가늘고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들이 서로 연결되어, 사각형의 내측 프레임(30)을 형성하고 있다. 내측 프레임(30)은 수지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또한, 내측 프레임(3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일부가 오목해지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내측 프레임(30)의 재료는, 그와 같은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재료이면, 반드시 수지가 아니어도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2)의 외주부는 내측 프레임(30) 상에 배치되고, 액정 표시 패널(2)은 내측 프레임(3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내측 프레임(30)의 상면(각 벽부(31, 32, 33, 34)의 상면)에는, 양면 테이프(14)가 배치되어 있다. 테이프(14)는 내측 프레임(30)에 대응한 형상을 갖는, 네모난 틀 형상이다(도 1 참조). 액정 표시 패널(2)의 외주부는 테이프(14)에 의해, 내측 프레임(30)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다.
외측 프레임(40)은 내측 프레임(3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외측 프레임(40)은, 도 1 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을 연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 프레임(30), 도광판(20) 등을 수용하고 있다. 외측 프레임(40)은 사각형의 바닥판부(45)를 갖고, 도광판(20)이나 내측 프레임(30)은 바닥판부(45)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외측 프레임(40)은, 바닥판부(45)의 가장자리에 세워져, 내측 프레임(3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틀 형상의 외주벽을 갖고 있다. 이 외주벽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이며, 그 4개의 변으로서, 상벽부(41), 하벽부(42), 우벽부(43), 및, 좌벽부(44)를 포함하고 있다. 외측 프레임(40)은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백라이트 유닛(10)의 강성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10)이 휴대 전화 등의 기기에 탑재되었을 때에는, 외측 프레임(40)이 기기의 케이스에 고정된다. 또한, 외측 프레임(40)의 재료는, 백라이트 유닛(10)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재료이면, 반드시 금속은 아니어도 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프레임(30)의 내주면(도광판(20)의 외주면과 마주 보는 면)은, 도광판(20)의 외주면 중 측면(20a)을 향하여 안쪽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35, 36)를 갖고 있다. 이들 돌기(35, 36)는 내측 프레임(30)과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돌기(35)와 돌기(36)는, 내측 프레임(30)의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2개의 변(벽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우벽부(33)에 복수(도 2에서는 2개)의 돌기(35)(이하, 제1 내측 돌기로 함)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제1 내측 돌기(35)는 우벽부(33)의 길이 방향(이 예에서는, 전후 방향(Y1-Y2 방향))에서 서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광판(20)을 사이에 두고 우벽부(33)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좌벽부(34)에, 복수(도 2에서는 2개)의 돌기(이하, 제2 내측 돌기로 함)(36)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제2 내측 돌기(36)는 좌벽부(34)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으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도광판(20)은 제1 내측 돌기(35)와 제2 내측 돌기(36)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광판(20)의 측면(20a)과 내측 프레임(30)의 내주면(구체적으로는, 우벽부(33)의 내측의 면과, 좌벽부(34)의 내측의 면)과의 사이에 간극 B(도 4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우벽부(33)와 좌벽부(34)에는, 더 많은 제1 내측 돌기(35)와 제2 내측 돌기(36)가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서도, 복수의 제1 내측 돌기(35)는, 우벽부(33)의 길이 방향에서 서로 떨어져 위치하고, 복수의 제2 내측 돌기(36)는, 좌벽부(34)의 길이 방향에서 서로 떨어져 위치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예에서는, 우벽부(33)와 좌벽부(34)가 서로 마주 보는 방향(이 예에서는, 좌우 방향)에서의 제1 내측 돌기(35)와 제2 내측 돌기(36)의 간격은, 도광판(20)의 폭 W1에 대략 합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1 내측 돌기(35)의 선단과 제2 내측 돌기(36)의 선단은, 각각 도광판(20)의 측면(20a)에 닿아 있고, 도광판(20)은 제1 내측 돌기(35)와 제2 내측 돌기(36) 사이에 끼워져 있다. 이에 의해, 내측 프레임(30)에 대한 도광판(20)의 위치 어긋남이 규제되고 있다.
또한, 제1 내측 돌기(35)의 선단과 도광판(20)의 측면(20a)과의 사이, 및, 제2 내측 돌기(36)의 선단과 도광판(20)의 측면(20a)과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서도, 내측 프레임(30)에 대한 도광판(20)의 위치 어긋남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의 제1 내측 돌기(35)의 표면과 제2 내측 돌기(36)의 표면은, 그 중심이 내측 프레임(30)의 안쪽을 향하여 불룩해지도록 만곡하고 있다. 환언하면, 제1 내측 돌기(35)의 표면과 제2 내측 돌기(36)의 표면은, 구 혹은 타원체의 표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만곡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도광판(20)을 내측 프레임(30)의 내측에 끼우기 쉽게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프레임(30)의 외주면에는, 외측 프레임(40)의 외주벽(전술한 벽부(41, 42, 43, 44))의 내주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37, 38)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기(37, 38)도, 내측 돌기(35, 36)와 마찬가지로, 내측 프레임(30)과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돌기(37)와 돌기(38)는, 내측 프레임(30)의,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2개의 변(벽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1 내측 돌기(35)와 동수(이 예에서는 2개)의 돌기(37)(이하, 제1 외측 돌기)가 우벽부(33)에 형성되고, 각 제1 외측 돌기(37)는 인접하는 제1 내측 돌기(35)와 쌍을 이루고 있다. 2개의 제1 외측 돌기(37)는, 우벽부(33)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또한, 우벽부(33)와는 반대측의 좌벽부(34)에는, 제2 내측 돌기(36)와 동수(이 예에서는 2개)의 돌기(38)(이하, 제2 외측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2 외측 돌기(38)는 인접하는 제2 내측 돌기(36)와 쌍을 이루고 있다. 2개의 제2 외측 돌기(38)는 좌벽부(34)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 설명하는 예에서는, 좌벽부(34)의 길이 방향에서의 제2 외측 돌기(38)의 위치는, 우벽부(33)의 길이 방향에서의 제1 외측 돌기(37)의 위치와 일치하고 있다. 즉, 제1 외측 돌기(37)와 제2 외측 돌기(38)는, 내측 프레임(30)의 좌우 방향의 중심선 C2에 대하여 서로 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외측 돌기(37, 38)는, 각각 외측 프레임(40)의 우벽부(43)과 좌벽부(44)에 걸어 맞추어져 있다. 상세하게는, 도 1 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벽부(43)와 좌벽부(44)에는, 외측 돌기(37, 38)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복수의 걸어 맞춤 구멍(40a)이 형성되어 있다. 외측 돌기(37, 38)는 걸어 맞춤 구멍(40a)에 끼워져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예의 외측 돌기(37, 38)는, 내측 돌기(35, 36)와는 달리, 대략 직방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외측 돌기(37, 38)는, 그 표면의 중심이 볼록해지도록 만곡한 형상에 비해, 걸어 맞춤 구멍(40a)으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프레임(40)의 내폭 W2는 내측 프레임(30)의 외폭(우벽부(33)의 외면과 좌벽부(34)의 외면과의 거리)에 상응하고 있다. 내측 프레임(30)의 좌우의 측면이 외측 프레임(40)의 내주면에 닿음으로써, 내측 프레임(30)의 외측 프레임(40)에 대한 위치 어긋남이 규제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측 돌기(35)와 제1 외측 돌기(37)는, 내측 프레임(30)의 한 변(이 예에서는, 우벽부(33))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1 내측 돌기(35)와 제1 외측 돌기(37)는, 우벽부(33)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1 내측 돌기(35)와 제1 외측 돌기(37)는, 우벽부(33)의 길이 방향에서 서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내측 돌기(35)는, 우벽부(33)에 대하여 제1 외측 돌기(37)와는 대칭으로 되는 위치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측 돌기(35)와 제1 외측 돌기(37)는 우벽부(33)의 길이 방향에서 겹치는 부분을 갖고 있지 않다. 즉, 제1 내측 돌기(35)의 어느 부분도, 제1 외측 돌기(37)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제1 내측 돌기(35)의 단부(제1 외측 돌기(37) 근방의 단부)와, 제1 외측 돌기(37)의 단부(제1 내측 돌기(35) 근방의 단부)와의 사이에는, 우벽부(33)의 길이 방향의 간격 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제1 내측 돌기(35)의 간격은, 2개의 제1 외측 돌기(37)의 간격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내측 돌기(35)와 제1 외측 돌기(37)는, 우벽부(33)의 길이 방향에서 서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광판(20)이 내측에 끼워진 내측 프레임(30)을 외측 프레임(40)에 끼우는 작업에서, 도 4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벽부(33)에서의 제1 외측 돌기(37)가 형성된 부분 D를 오목하게 할 수 있다. 환언하면, 우벽부(33)의 상기 부분 D를 오목하게 할 수 있도록, 우벽부(33)의 강성(구체적으로는, 우벽부(33)의 두께나 내측 프레임(30)의 재료 등)이 설정되어 있다. 내측 프레임(30)과 외측 프레임(40)과의 부착 작업에서는, 우벽부(33)의 상기 부분 D를 일단 오목하게 하여, 제1 외측 돌기(37)를 외측 프레임(40)의 걸어 맞춤 구멍(40a)에 끼울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설명하는 예에서는, 제1 내측 돌기(35)의 표면(도광판(20)의 측면을 향한 면)이, 그 중심이 볼록해지도록 만곡하고 있기 때문에, 제1 내측 돌기(35)가 직방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우벽부(33)는 오목해지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 설명하는 예에서는, 제1 내측 돌기(35)의 돌출 폭 W3은 제1 외측 돌기(37)의 걸어 맞춤 구멍(40a)에 끼워지는 부분의 폭 W4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우벽부(33)의 상기 부분 D가 오목해졌을 때에, 부분 D는 도광판(20)의 측면(20a)에 닿지 않는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내측 돌기(36)와 제2 외측 돌기(38)는, 제1 내측 돌기(35)와 제1 외측 돌기(37)가 형성된 변(우벽부(33))과는 반대측의 변(좌벽부(34))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2 내측 돌기(36)와 제2 외측 돌기(38)는, 좌벽부(34)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제2 내측 돌기(36)는, 좌벽부(34)에 대하여 제2 외측 돌기(38)의 위치와는 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2 내측 돌기(36)와 제2 외측 돌기(38)는, 좌벽부(34)의 길이 방향에서 서로 겹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좌벽부(34)의 길이 방향에서의 제2 내측 돌기(36)의 중심선 C1은, 제2 외측 돌기(38)의 중심선과 일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도광판(20)이 내측 프레임(30)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좌벽부(34)에서의 제2 외측 돌기(38)가 형성된 부분은 제2 내측 돌기(36)가 장해로 되어 오목해질 수 없다. 그 결과, 제2 외측 돌기(38)는 걸어 맞춤 구멍(40a)으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도광판(20), 내측 프레임(30), 및 외측 프레임(40)의 부착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우선, 도광판(20)을 내측 프레임(30)의 내측에 끼운다. 다음으로, 제2 외측 돌기(38)를, 외측 프레임(40)의 좌벽부(44)에 형성된 걸어 맞춤 구멍(40a)에 끼운다. 그 후, 우벽부(33)에서의 제1 외측 돌기(37)가 형성된 부분 D를 오목하게 하면서, 제1 외측 돌기(37)를 외측 프레임(40)의 우벽부(43)에 형성된 걸어 맞춤 구멍(40a)에 끼운다. 또한, 이들 부재의 부착은, 이 수순에 한정되지 않고, 이들 부재는 다른 수순으로 부착되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10)에서는, 내측 프레임(30)의 내주면에는, 도광판(20)의 외주면(이상의 설명에서는 측면(20a))을 향하여 돌출되는 내측 돌기(35, 3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측 프레임(30)의 외주면에는, 외측 프레임(40)의 내주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외측 돌기(37, 38)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내측 돌기(35)와 제1 외측 돌기(37)는, 내측 프레임(30)의 한 변(우벽부(33))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또한, 내측 프레임(30)의 그 한 변의 길이 방향에서 서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백라이트 유닛(10)에 의하면, 내측 프레임(30)에 대한 도광판(20)의 위치 어긋남을 내측 돌기(35, 36)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외측 프레임(40)에 대한 내측 프레임(30)의 위치 어긋남을 외측 돌기(37, 38)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측 돌기(35)와 제1 외측 돌기(37)는 내측 프레임(30)의 우벽부(33)의 길이 방향에서 서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 프레임(30)의 제1 외측 돌기(37)가 형성된 부분을 오목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도광판(20), 내측 프레임(30), 및 외측 프레임(40)의 부착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내측 프레임(30)과 외측 프레임(40)과의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저감한 경우라도, 내측 프레임(30)의 우벽부(33)를 오목하게 함으로써, 내측 프레임(30)을 외측 프레임(40)에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내측 프레임(30)과 외측 프레임(40)과의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저감함으로써, 내측 프레임(30)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1)에서는, 내측 프레임(30)에 액정 표시 패널(2)이 부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외측 프레임(40)에 대한 액정 표시 패널(2)의 위치도 적절해진다. 그 결과, 백라이트 유닛(10)이 전자 기기에 탑재되고, 외측 프레임(40)이 그 전자 기기에 고정되었을 때, 전자 기기에서의 표시 영역의 위치(전자 기기에서의 액정 표시 패널(2)의 위치)도 적절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백라이트 유닛(10)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상의 설명에서는, 2개의 제1 내측 돌기(35)의 간격이, 2개의 제1 외측 돌기(37)의 간격보다도 작게 되어 있고, 뒤쪽의 제1 내측 돌기(35)는 제1 외측 돌기(37)로부터 전방으로 떨어져 위치하고, 앞쪽의 제1 내측 돌기(35)는 제1 외측 돌기(37)로부터 후방으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2개의 제1 내측 돌기(35)는, 쌍을 이루는 제1 외측 돌기(37)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떨어져 있어도 된다. 도 5는 이 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A)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5에서, 이상 설명한 백라이트 유닛(10)과 동일 개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이하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백라이트 유닛(10A)에서는, 내측 프레임(30A)의 우벽부(33)에는 2개의 제1 내측 돌기(35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1 내측 돌기(35A)는, 쌍을 이루는 외측 돌기(37)로부터 전방으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예에서는, 내측 프레임(30A)의 좌벽부(34A)에는, 2개의 제2 내측 돌기(36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각 제2 내측 돌기(36)도, 쌍을 이루는 제2 외측 돌기(38)로부터 전방으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내측 프레임(30)에는, 제1 외측 돌기(37)와 동수의 제1 내측 돌기(35)가 형성되고, 각 제1 내측 돌기(35)는 제1 외측 돌기(37)와 쌍을 이루도록, 즉, 어느 하나의 제1 외측 돌기(37)와 특히 가깝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제1 외측 돌기(37)의 수와 제1 내측 돌기(35)의 수는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도 6과 도 7은, 각각, 이 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B, 10C)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도, 백라이트 유닛(10)과 동일 개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이하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10B)에서는, 내측 프레임(30B)의 우벽부(33B)에는, 복수(도 6에서는 2개)의 제1 외측 돌기(3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우벽부(33B)에는, 제1 외측 돌기(37)보다도 적은 제1 내측 돌기(35B)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의 예에서는, 1개의 제1 내측 돌기(35B)가 우벽부(33B)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내측 돌기(35B)는 2개의 제1 외측 돌기(37)로부터 등거리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형태에서, 더 많은 제1 내측 돌기(35B) 및 제1 외측 돌기(37)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각 제1 내측 돌기(35B)는, 인접하는 2개의 제1 돌기(37)로부터 등거리의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10C)에서는, 내측 프레임(30C)의 우벽부(33C)에는, 복수(도 7에서는 2개)의 제1 내측 돌기(35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우벽부(33C)에는, 제1 내측 돌기(35C)보다도 적은 제1 외측 돌기(37C)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7의 예에서는, 1개의 제1 외측 돌기(37C)가 우벽부(33C)에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제1 내측 돌기(35C)는, 제1 외측 돌기(37C)로부터 등거리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형태에서도, 더 많은 제1 내측 돌기(35C) 및 제1 외측 돌기(37C)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각 제1 내측 돌기(35C)는, 인접하는 2개의 제1 외측 돌기(37C)로부터 등거리의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10)에서는, 우벽부(33)에 형성된 제1 외측 돌기(37)와, 좌벽부(34)에 형성된 제2 외측 돌기(38)는, 내측 프레임(30)의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선 C2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제1 외측 돌기(37)와 제2 외측 돌기(38) 중 한쪽은, 다른 쪽에 대하여 전방 혹은 후방으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도 된다. 도 8은, 이 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D)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에서도, 백라이트 유닛(10)과 동일 개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이하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백라이트 유닛(10D)에서도, 백라이트 유닛(10)과 마찬가지로, 우벽부(33D)에 복수(도 8에서는 2개)의 제1 외측 돌기(37D)가 형성되어 있다. 벽부(33D, 34)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에서의 제1 외측 돌기(37D)의 위치는, 좌벽부(34)에 형성된 제2 외측 돌기(38)의 위치에 대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어긋나 있다. 구체적으로는, 뒤쪽의 제1 외측 돌기(37D)는 전방으로 어긋나 있고, 앞쪽의 제1 외측 돌기(37D)는 후방으로 어긋나 있다. 그 때문에, 2개의 제1 외측 돌기(37D)의 간격은, 2개의 제2 외측 돌기(38)의 간격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10D)에서는, 2개의 제1 외측 돌기(37D)의 더 내측에, 2개의 제1 내측 돌기(35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제1 외측 돌기(37)와 제2 외측 돌기(38)는, 내측 프레임(3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제1 외측 돌기(37)와 제2 외측 돌기(38)는, 외측 프레임(40)의 외주벽의 내주면에 형성되어도 된다. 도 9는 이 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E)의 평면도이다.
백라이트 유닛(10E)은 외측 프레임(40E)을 갖고 있다. 외측 프레임(40E)은, 상벽부(41E)와, 하벽부(42E)와, 우벽부(43E)와, 좌벽부(44E)를 갖고, 이들 벽부(41E, 42E, 43E, 44E)는 내측 프레임(30E)을 둘러싸고 있다. 우벽부(43E)에는, 내측 프레임(30E)의 외주면(구체적으로는, 우벽부(33)의 외측의 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복수(도 9에서는 2개)의 제1 외측 돌기(47E)가 형성되고, 좌벽부(44E)에는, 내측 프레임(30E)의 외주면(구체적으로는, 좌벽부(34)의 외측의 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복수(도 9에서는 2개)의 제2 외측 돌기(48E)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외측 돌기(47E)와 제2 외측 돌기(48E)는, 내측 프레임(30E)의 외주면과 걸어 맞추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측 프레임(30E)의 우벽부(33E)의 외측의 면과, 좌벽부(34)의 외측의 면에는 걸어 맞춤 구멍(30a)이 형성되고, 각 걸어 맞춤 구멍(30a)에 제1 외측 돌기(47E)와 제2 외측 돌기(48E)가 끼워져 있다.
내측 프레임(30E)에는 제1 내측 돌기(35)와 제2 내측 돌기(36)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내측 돌기(35)와 제1 외측 돌기(47E)는, 내측 프레임(30E)의 우벽부(33E)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또한, 우벽부(33E)의 길이 방향에서 서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내측 프레임(30E)을 외측 프레임(40E)에 끼울 때에, 우벽부(33E)의 제1 외측 돌기(47E)가 닿는 부분을 오목하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부착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제2 내측 돌기(36)와 제2 외측 돌기(48E)는, 내측 프레임(30E)의 좌벽부(34)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10)에서는, 제1 외측 돌기(37)와 제1 내측 돌기(35)는 반대측에, 제2 외측 돌기(38)와 제2 내측 돌기(36)가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2 외측 돌기(38)나 제2 내측 돌기(36)는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도광판(20)과 내측 프레임(30)의 좌벽부(34)가 직접적으로 닿음으로써, 내측 프레임(30)에 대한 도광판(20)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된다. 또한, 내측 프레임(30)의 좌벽부(34)와 외측 프레임(40)의 좌벽부(44)가 직접적으로 닿음으로써, 외측 프레임(40)에 대한 내측 프레임(30)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 액정 표시 장치
2 : 액정 표시 패널
10, 10A, 10B, 10C, 10D, 10E : 백라이트 유닛
11 : 광학 시트
12 :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12b : 광원
13 : 반사 시트
20 : 도광판
20a : 측면
30, 30A, 30B, 30C, 30E : 내측 프레임
30a : 걸어 맞춤 구멍
33, 33B, 33C, 33D, 33E : 우벽부(내측 프레임의 한 변)
34, 34A : 좌벽부(반대측의 변)
35, 35A, 35B, 35C : 제1 내측 돌기
36, 36A : 제2 내측 돌기
37, 37C, 37D : 제1 외측 돌기
38 : 제2 외측 돌기
40, 40E : 외측 프레임
40a : 걸어 맞춤 구멍
43, 43E : 우벽부
44, 44E : 좌벽부
47E : 제1 외측 돌기
48E : 제2 외측 돌기

Claims (10)

  1.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벽부를 갖는 내측 프레임과,
    상기 내측 프레임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내주면을 갖는 외측 프레임과,
    상기 내측 프레임의 상기 벽부는, 제1 벽부와, 상기 제1 벽부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벽부를 갖고,
    상기 외측 프레임의 상기 내주면은, 상기 제1 벽부를 따르고 있는 제1 내면과, 상기 제1 벽부와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벽부를 따르고 있는 제2 내면을 갖고,
    상기 내측 프레임의 상기 제1 벽부에는, 상기 도광판의 외주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내측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프레임의 상기 제2 벽부에는, 상기 도광판의 외주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2 내측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프레임의 상기 제1 벽부에는, 상기 외측 프레임의 상기 제1 내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외측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프레임의 상기 제2 벽부에는, 상기 외측 프레임의 상기 제2 내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2 외측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외측 돌기는, 상기 외측 프레임의 상기 제1 내면에 형성된 제1 걸어 맞춤 구멍에 끼워지고,
    상기 제2 외측 돌기는, 상기 외측 프레임의 상기 제2 내면에 형성된 제2 걸어 맞춤 구멍에 끼워지고,
    상기 제2 내측 돌기와 상기 제2 외측 돌기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상기 제2 벽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내측 돌기와 상기 제1 외측 돌기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상기 제1 벽부의 길이 방향에서 서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벽부는, 그 일부가 오목하며, 상기 제1 외측 돌기가 상기 제1 걸어 맞춤 구멍에 끼워지도록, 강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 돌기와 상기 제2 내측 돌기는 상기 도광판의 외주면에 닿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프레임의 상기 내주면에는, 복수의 제1 내측 돌기와 복수의 제2 내측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프레임의 상기 외주면과 상기 외측 프레임의 상기 내주면 중 상기 한쪽에는, 복수의 제1 외측 돌기와 복수의 제2 외측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측 돌기와 상기 제2 외측 돌기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상기 제2 벽부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6. 제1항에 기재된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10103513A 2010-10-12 2011-10-11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3135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30075A JP5679278B2 (ja) 2010-10-12 2010-10-12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JPJP-P-2010-230075 2010-10-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891A KR20120037891A (ko) 2012-04-20
KR101313508B1 true KR101313508B1 (ko) 2013-10-01

Family

ID=44763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513A KR101313508B1 (ko) 2010-10-12 2011-10-11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086883A1 (ko)
EP (1) EP2442177B1 (ko)
JP (1) JP5679278B2 (ko)
KR (1) KR101313508B1 (ko)
CN (1) CN102563455A (ko)
TW (1) TWI4716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39597B2 (en) * 2011-04-01 2015-01-27 Sharp Kabushiki Kaisha Illu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ption device
CN102929012B (zh) * 2012-10-29 2015-02-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JP2014154346A (ja) * 2013-02-08 2014-08-25 Japan Display Inc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2015184560A (ja) 2014-03-25 2015-10-22 ソニー株式会社 導光装置、画像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
JP2015184561A (ja) 2014-03-25 2015-10-22 ソニー株式会社 導光装置、画像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
CN104061529B (zh) * 2014-06-12 2016-08-1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导光板组件
CN104696829A (zh) * 2015-03-27 2015-06-10 北京京东方多媒体科技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及显示装置
CN104867408A (zh) * 2015-05-22 2015-08-26 奥捷五金(江苏)有限公司 一种显示产品及其边框结构
CN204853341U (zh) * 2015-08-20 2015-12-09 北京京东方茶谷电子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显示模组及显示装置
JP2018116221A (ja) * 2017-01-20 2018-07-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CN110543037B (zh) * 2018-12-05 2022-06-28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N109712538B (zh) * 2019-03-08 2021-03-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组合结构、显示装置以及显示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36335A1 (en) 2003-07-23 2005-02-17 Atsushi Ohtomo Display device
KR20060099101A (ko) * 2005-03-10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US20060290836A1 (en) 2005-06-22 2006-12-28 Woong-Jae Chang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00061120A1 (en) 2008-09-08 2010-03-11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Frame For Back Light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321B1 (ko) * 2000-06-30 2007-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층형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적용한 액정표시장치 및이들의 조립 방법
KR100852167B1 (ko) * 2002-03-08 2008-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TWI243608B (en) * 2004-05-31 2005-11-11 Au Optronics Corp Flat panel display
JP4683274B2 (ja) * 2005-04-26 2011-05-18 ミネベア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
CN100483210C (zh) * 2005-10-18 2009-04-29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背光模组和液晶显示装置
JP5061553B2 (ja) * 2006-09-25 2012-10-3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表示モジュール
CN101765803B (zh) * 2007-09-14 2012-01-25 夏普株式会社 框架构造体及具备该框架构造体的显示装置
JP2009086070A (ja) * 2007-09-28 2009-04-23 Casio Comput Co Ltd 液晶表示モジュール
JP2009192769A (ja) * 2008-02-14 2009-08-27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CN201359237Y (zh) * 2009-03-06 2009-12-09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背光模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36335A1 (en) 2003-07-23 2005-02-17 Atsushi Ohtomo Display device
KR20060099101A (ko) * 2005-03-10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US20060290836A1 (en) 2005-06-22 2006-12-28 Woong-Jae Chang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00061120A1 (en) 2008-09-08 2010-03-11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Frame For Back Light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22100A (en) 2012-06-01
JP5679278B2 (ja) 2015-03-04
JP2012084414A (ja) 2012-04-26
EP2442177A1 (en) 2012-04-18
US20120086883A1 (en) 2012-04-12
TWI471649B (zh) 2015-02-01
EP2442177B1 (en) 2013-06-19
KR20120037891A (ko) 2012-04-20
CN102563455A (zh) 201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3508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
JP5436935B2 (ja) 液晶表示装置
US8797245B2 (en) Display device with display panel and backlight
JP4831789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6161128B2 (ja) 表示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JPWO2009130955A1 (ja) 電子パッケージ、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998979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JPWO2013161241A1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0223999A (ja) 液晶表示装置
JP2016213090A (ja) 面状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6154008A (ja) 表示装置および携帯電話
JP2010205451A (ja) バックライト用キーボードユニットの光源位置出し構造
JP6160204B2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装置
KR10146368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325459B1 (ko) 액정 표시 장치
JP4941376B2 (ja) 照明装置、液晶装置、電子機器
JP2005166336A (ja)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17021228A (ja) 表示装置
US10838131B2 (en) Image display device
JP2014191021A (ja) 液晶表示装置
JP2005121829A (ja) 液晶表示装置
JP6080416B2 (ja) 面状照明装置
KR100708839B1 (ko) 액정 표시 장치
JP2018037416A (ja) 面状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8125123A (ja) 面状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