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9101A -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9101A
KR20060099101A KR1020050020129A KR20050020129A KR20060099101A KR 20060099101 A KR20060099101 A KR 20060099101A KR 1020050020129 A KR1020050020129 A KR 1020050020129A KR 20050020129 A KR20050020129 A KR 20050020129A KR 20060099101 A KR20060099101 A KR 20060099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coupling
guide plate
light guid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0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7533B1 (ko
Inventor
신진수
이정권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0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533B1/ko
Priority to JP2005263331A priority patent/JP4791112B2/ja
Priority to TW095105972A priority patent/TWI399589B/zh
Priority to CN2006100595084A priority patent/CN1831615B/zh
Priority to US11/373,368 priority patent/US7594746B2/en
Publication of KR20060099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9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Servicing or operating of cells
    • C25C7/04Diaphragms; Spac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88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guide or other optical sheets in the pack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제조 공정의 간단화 및 사이즈를 줄이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원, 도광판, 수납 용기 및 결합가이드를 포함한다. 광원은 광을 출사하고, 도광판은 광의 경로를 가이드하여 출사한다. 수납 용기는 바닥면과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측벽들을 갖고, 도광판을 수납한다. 결합가이드부는 측벽으로부터 수납 용기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수납 용기와 외부 케이스를 결합시키고 도광판을 가이드한다. 도광판의 일면에는 상기 결합가이드부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다. 결합가이드부는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결합가이드부를 이용하여 외부 케이스와의 결합은 물론, 도광판을 가이드함으로써 도광판을 수납하는 수납용기의 설계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결합가이드, 유저 홀, 도광판, 스터드

Description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BACK 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BACK LIGHT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결합가이드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납 용기와 도광판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납 용기와 도광판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수납 용기와 도광판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결합가이드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수납 용기와 도광판을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수납 용기와 도광판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제1 수납 용기 115 : 결합가이드부
120 : 램프 유닛 130 : 도광판
132a : 가이드홈 140 : 광학 유닛
150 : 몰드 프레임 160 : 표시 패널
170 : 구동회로부 180 : 제2 수납 용기
본 발명은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 공정의 간단화 및 사이즈를 줄이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정보처리장치(information processing device)에서 처리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출력 장치이다. 표시 장치의 대표적인 예로 액정 분자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가 있다.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는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기판과 상기 기판사이에 개 재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전위차에 의해 액정 분자의 배열을 변경되고, 이에 의해 영상이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액정표시모듈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액정패널 어셈블리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back light assembly)를 포함한다. 액정패널 어셈블리는 한 쌍의 기판과, 상기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가 배치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수납용기인 바텀샤시, 상기 바텀샤시에 수납된 램프(lamp), 도광판, 광학 부재들, 몰드 프레임 및 탑샤시를 포함한다. 상기 바텀 샤시와 상기 탑샤시에 결합에 의해 상기 액정패널 어셈블리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액정표시모듈이 완성된다.
한편, 상기 액정표시모듈에는 커스터머 업체에서 제조된 외부 케이스와의 결합을 위한 유저 홀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유저 홀은 상기 바텀 샤시의 외측벽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되거나, 또는 소정 두께를 갖는 몰드 프레임의 측벽에 삽입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텀 샤시는 수납된 상기 도광판의 외력에 의한 유동을 막기 위해 가이드 부재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유저 홀 및 상기 가이드 부재의 형성에 의해 상기 액정표시 모듈의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저 홀에 의해 상기 액정표시모듈의 폭을 넓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안출된 것으로, 본원 발명의 목적은 제조 공정의 간단화 및 사이즈를 줄이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원, 도광판, 수납 용기 및 결합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은 광을 출사하고, 상기 도광판은 상기 광의 경로를 가이드하여 출사한다. 상기 수납 용기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측벽들을 갖고, 상기 도광판을 수납한다. 상기 결합가이드부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수납 용기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납 용기와 외부 케이스를 결합시키고 상기 도광판을 가이드한다. 상기 도광판의 일면에는 상기 결합가이드부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가이드부는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 형상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가이드부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수납 용기의 내측으로 돌출된 스터드부와, 상기 스터드부를 상기 측벽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도광판의 일면과 평행한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양단부와 상기 도광판의 일면을 각각 연결하는 두 개의 제2 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가이드부는 상기 제2 면들 중 어느 하나와 밀접하게 배치된다.
또는, 상기 결합가이드부는 상기 제2 면들 각각 밀접하게 배치되는 제1 결합가이드부 및 제2 결합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가이드부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수납 용기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1 스터드부와,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수납 용기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 스터드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스터드부를 상기 측벽에 고정시키는 고정 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스터드부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가이드부는 상기 수납 용기의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납 용기와 상기 외부 케이스 간을 결합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수납 용기의 측벽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도광판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수납 용기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내측벽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스터드부 및 상기 제1 스터드부를 상기 측벽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 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수납 용기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도광판의 일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과 밀접하게 배치된 제2 스터드부 및 상기 제2 스터드부를 상기 측벽에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 단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와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광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갖는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바닥면과 측벽들을 갖고 도광판을 수납하는 수납 용기와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수 납 용기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납 용기와 외부 케이스를 결합시키고 상기 도광판을 가이드하는 결합가이드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광판의 일면에는 상기 결합가이드부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가이드부는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 형상이다.
상기 결합가이드부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수납 용기의 내측으로 돌출된 스터드부 및 상기 스터드부를 상기 측벽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도광판의 일면과 평행한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양단부와 상기 도광판의 일면을 각각 연결하는 제2 면들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가이드부는 상기 제2 면들 중 어느 하나와 밀접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의하면, 결합가이드부를 이용하여 외부 케이스와의 결합은 물론, 도광판을 가이드함으로써 도광판을 수납하는 수납 용기의 설계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수납 용기(110), 램프 유닛(120), 도광판(130), 광학 유닛(140) 및 몰드 프레임(150)을 포함한다.
상기 수납 용기(110)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바닥면(111) 및 상기 바닥면 (111)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측벽(112)들을 포함한다. 상기 수납 용기(110)에는 바닥면(111) 및 측벽(112)들에 의하여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측벽(112)에는 결합가이드부(115)와 고정부(117)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가이드부(115)는 관 형상을 갖고서, 상기 측벽(112)으로부터 상기 수납 용기(11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가이드부(115)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결합 부재로 사용된다. 후속 조립 공정에 따라서 상기 결합가이드부(115)는 외부 케이스와 스크류를 통해 결합된다.
또한, 상기 결합가이드부(115)는 상기 수납 용기(11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가이드 부재로 사용된다. 상기 결합가이드부(115)는 상기 수납 용기(110)에 수납되는 도광판(130)의 측면(132)에 형성된 가이드 홈(132a)에 삽입되어 상기 도광판(130)의 y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결합가이드부(115)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관 형상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원형의 관 형상, 즉 원통 형상이다.
상기 고정부(117)는 상기 수납 용기(110)에 수납되는 광학 부재들(142,143,144)의 돌출부(145)가 안착되어, 상기 광학 부재들(142,143,144)이 y축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측벽(112)에 형성된 상기 고정부(117)는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광학 부재들(142,143,144)이 상기 수납 용기(110)에 정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가이드부(115)와 고정부(117)는 상기 측벽(112)들 중 상기 램프 유닛(120)과 접하지 않는 측벽(112)에 형성된다.
상기 램프 유닛(120)은 광을 출사하는 램프(121), 상기 램프(121)를 커버하는 램프 커버(122)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121)는 상기 도광판(130)의 입광면(131)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광을 출사한다. 상기 램프 커버(122)는 상기 램프(121)의 일부 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램프 커버(122)는 상기 램프(121)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도광판(130)의 입광면(131) 측으로 집광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램프 커버(122)는 상기 램프(121)를 감싸며, 더불어 상기 도광판(130)의 입광면(131)으로부터 연장된 배면의 일부 영역을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램프 커버(122)의 내측면에는 광을 반사하는 광반사층이 형성된다.
상기 도광판(130)은 상기 램프(121)와 나란하게 위치하는 입광면(131)과, 상기 입광면(131)과 제1 방향으로 직교하는 측면(132)과, 상기 입광면(131)과 제2 방향으로 직교하는 출사면(133)을 포함한다. 상기 측면(132)에는 상기 도광판(130)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132a)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132a)에 상기 결합가이드부(115)가 삽입되어 상기 도광판(130)의 유동을 방지한다.
상기 광학 유닛(140)은 반사 부재(141)와 광학 부재들(142,143,144)을 포함한다. 상기 반사 부재(141)는 상기 도광판(130)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130)으로부터 누설된 광을 반사시킨다.
상기 광학 부재들(142,143,144)은 상기 도광판(130)의 위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130)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휘도 특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광학 부재들 (142,143,144)은 확산판 및 하나 이상의 프리즘 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몰드 프레임(150)은 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중앙이 개구된 개구부(151)를 포함하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을 갖으며, 상기 개구부(151)의 가장자리에는 지지부(152)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52)는 상기 몰드 프레임(150)의 아래에 배치된 상기 광학 부재들(142,143,144)의 가장자리 부분을 눌러 고정하고, 상기 몰드 프레임(150)의 위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미도시)을 가이드하여 안착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몰드 프레임(150)의 측벽에는 상기 결합가이드부(115)에 대응하는 홀(153)이 형성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결합가이드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가이드부(115)는 스터드(stud)(101)와 고정 단부(102)를 포함한다.
상기 스터드(101)는 관 형상을 가지며, 상기 관 형상의 내측면에는 나사산(103)이 형성된다. 상기 스터드(101)의 높이(h)는 상기 도광판(130)의 측면(132)에 형성된 가이드 홈(132a)의 깊이에 대응한다.
상기 고정 단부(102)는 다각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납 용기(110)의 측벽(112)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t)를 갖는다. 상기 고정 단부(102)는 상기 수납 용기(110)의 측벽(112)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결합가이드부(115)를 상기 수납 용기(110)에 고정시킨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납 용기와 도광판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수납 용기는 결합가이드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240)에는 상기 결합가이드부(230)에 대응하여 형성된 가이드 홈(241)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가이드부(230)는 상기 수납 용기의 측벽(210)의 일정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결합가이드부(230)는 상기 수납 용기의 내측으로 돌출된 스터드(231)와 상기 측벽(210)에 삽입되는 고정 단부(232)를 포함한다. 상기 스터드(231)는 일정한 높이(h)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나사산(233)이 형성된 내측벽을 갖는다.
상기 가이드 홈(241)은 상기 결합가이드부(230)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도광판(230)의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241)은 제1 면(242)과 상기 제1 면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된 두 개의 제2 면(243)들을 갖는 U자 형상이다. 상기 가이드 홈(241)의 깊이는 상기 스터드(231)의 높이(h)에 대응한다.
상기 가이드 홈(241)의 두 개의 제2 면(243)들 중 하나는 상기 스터드(231)와 밀접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의해 상기 가이드 홈(241)에 상기 스터드(231)가 삽입되고, 상기 제2 면(243)이 상기 스터드(231)에 밀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외력에 의해 상기 도광판(24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결합가이드부(230)는 커스터머의 외부 케이스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더불어, 수납 용기에 수납되는 상기 도광판(240)을 안정하게 가이드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납 용기와 도광판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 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도광판(270)은 가이드 홈(271)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 용기는 상기 가이드 홈(271)에 대응하여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 결합가이드부(250,26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홈(271)은 상기 제1 및 제2 결합가이드부(250,260)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도광판(270)의 측면(275)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271)은 제1 면(272)과 상기 제1 면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된 두 개의 제2 면(273,274)들을 갖는 U자 형상이다.
상기 가이드 홈(271)의 깊이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가이드부(250,260)의 돌출된 높이(h)에 대응한다. 상기 가이드 홈(271)의 두 개의 제2 면(243)들 중 하나는 상기 제1 결합가이드부(250)에 밀접하게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결합가이드부(260)에 밀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 결합가이드부(250)는 상기 측벽(210)의 제1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제1 결합가이드부(250)는 상기 수납 용기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1 스터드(251)와 상기 측벽(210)에 삽입되는 제1 고정 단부(25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스터드(251)는 일정한 높이(h)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나사산(253)이 형성된 내측벽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결합가이드부(260)는 상기 측벽(210)의 제2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제1 결합가이드부(260)는 상기 수납 용기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2 스터드(261)와 상기 측벽(210)에 삽입되는 제2 고정 단부(26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스터드(261)는 일정한 높이(h)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나사산(263)이 형성된 내측벽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상기 가이드 홈(271)에는 제1 및 제2 스터드(251,261)가 삽입된다. 상기 하나의 제2 면(273)은 상기 제1 스터드(251)에 밀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다른 하나의 제2 면(274)은 상기 제2 스터드(261)에 밀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270)의 유동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및 결합가이드부(250,260)는 외부 케이스와의 결합을 용이하고, 더불어, 수납 용기에 수납되는 상기 도광판(270)을 가이드 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수납 용기와 도광판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수납 용기는 결합가이드부(280)를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290)에는 상기 결합가이드부(280)에 대응하여 형성된 가이드 홈(291)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가이드부(280)는 상기 수납 용기의 측벽(210)의 일정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결합가이드부(280)는 상기 수납 용기의 내측으로 돌출된 스터드(281)와 상기 측벽(210)에 삽입되는 고정 단부(282)를 포함한다. 상기 스터드(281)는 일정한 높이(h)와 일정한 직경(w)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나사산(283)이 형성된 내측벽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홈(291)은 상기 결합가이드부(280)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도광판(290)의 측면(295)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 홈(291)의 폭 (w')은 상기 스터드(281)의 직경(w)과 거의 유사한 크기로 형성한다(w < w'). 상기 가이드 홈(291)은 제1 면(292)과 상기 제1 면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된 두 개의 제2 면(293)들을 갖는 U자 형상이다. 상기 가이드 홈(291)의 깊이는 상기 스터드(281)의 높이(h)에 대응한다.
이에 의해 상기 가이드 홈(291)에 상기 스터드(281)가 맞춤 형상으로 삽입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상기 도광판(240)의 유동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결합가이드부(280)는 외부 케이스와의 결합을 용이하고, 더불어, 수납 용기에 수납되는 상기 도광판(290)을 가이드 한다.
<실시예 2>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수납 용기(310), 램프 유닛(120), 도광판(330), 광학 유닛(140) 및 몰드 프레임(150)을 포함한다.
상기 수납 용기(310)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바닥면(311) 및 바닥면(311)으로부터 연장된 측벽(312)들을 포함한다. 상기 수납 용기(310)에는 바닥면(311) 및 측벽(312)들에 의하여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측벽(312)에는 결합가이드부(315)와 고정부(317)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가이드부(315)는 관 형상을 갖고서, 상기 측벽(312)으로부터 상기 수납 용기(310)의 내측 및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제1 스터드(315a) 및 제2 스터드(315b)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스터드(315a,315b)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스크류를 통해서 상기 수납 용기(310)와 외부 케이스를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제1 스터드(315a)는 상기 수납 용기(31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납 용기(310)에 수납되는 도광판(330)의 측면(335)에 형성된 가이드 홈(331)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 스터드(315a)는 외력에 의한 상기 도광판(330)의 유동을 방지시킨다. 상기 결합가이드부(315)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관 형상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원형의 관 형상, 즉 원통 형상이다.
상기 고정부(317)는 상기 수납 용기(110)에 수납되는 광학 부재들(142,143,144)의 돌출부(145)가 안착되어, 상기 광학 부재들(142,143,144)을 고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가이드부(315)와 고정부(317)는 상기 측벽(112)들 중 상기 램프 유닛(120)과 접하지 않는 측벽(310)에 형성된다.
상기 램프 유닛(120), 도광판(330), 광학 유닛(140) 및 몰드 프레임(150)은 도 1에 설명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결합가이드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가이드부(315)는 제1 스터드(315a)와, 제2 스터드(315b) 및 고정 단부(315c)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스터드(315a)는 상기 수납 용기(310)의 측벽(312)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관 형상을 가지며, 상기 관 형상의 내측면에는 나사산(315d)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스터드(315a)의 높이(h)는 상기 도광판(330)의 측면(335)에 형성된 가이드 홈(331)의 깊이에 대응한다. 상기 제1 스터드(315a)는 결합 부재 및 가이드 부재로 사용된다.
상기 제1 스터드(315a)의 내측면에는 나사산(315d)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나사산(315d)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제1 스터드(315a)는 가이드 부재로 사용된다.
상기 제2 스터드(315b)는 상기 수납 용기(310)의 측벽(312)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관 형상을 가지며, 상기 관 형상의 내측면에는 나사산(315d)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스터드(315b)는 결합 부재로 사용된다.
상기 고정 단부(315c)는 다각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스터드(315a)의 일단부와 마주하는 제2 스터드(315b)의 일단부 상에 형성된다. 상기 고정 단부(315c)는 상기 수납 용기(310)의 측벽(312)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t)를 갖고, 상기 수납 용기(310)의 측벽(31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고정 단부(315c)가 상기 측벽(312)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1 스터드(315a)는 상기 수납 용기(31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스터드(315b)는 상기 수납 용기(3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수납 용기와 도광판을 확대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수납 용기(310)의 측벽(312)에는 결합가이드부(315)가 형성되고, 상기 도광판(330)에는 상기 결합가이드부(315)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33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가이드부(315)는 상기 수납 용기의 측벽(312)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며, 제1 스터드(315a)와, 제2 스터드(315b) 및 고정 단부(315c)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스터드(315a)는 상기 측벽(312)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고, 일정한 높이(h)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내측면에는 나사산(315d)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스터드(315b)는 상기 측벽(312)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일정한 높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내측면에는 상기 나사산(315d)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 단부(315c)는 상기 측벽(312)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t)를 갖고, 상기 제1 스터드(315a)와 제2 스터드(315b)의 경계선상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331)은 상기 결합가이드부(315)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도광판(330)의 측면(335)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331)은 제1 면(332)과 상기 제1 면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된 두 개의 제2 면(333)들을 갖는 U자 형상이다. 상기 가이드 홈(331)의 깊이는 상기 제1 스터드(315a)의 높이(h)에 대응한다.
상기 가이드 홈(331)의 두 개의 제2 면(333)들 중 하나는 상기 제1 스터드(315a)와 밀접하게 배치된다. 이에 의해 상기 가이드 홈(331)에 상기 제1 스터드(315a)가 삽입되고, 상기 제2 면(333)이 상기 제1 스터드(351a)에 밀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상기 도광판(330)의 유동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결합가이드부(315)는 외부 케이스와의 결합을 용이하고, 더불어, 수납 용기에 수납되는 상기 도광판(330)을 안정되게 가이드 한다.
<실시예 3>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수납 용기(410), 램프 유닛(120), 도광판(430), 광학 유닛(140) 및 몰드 프레임(150)을 포함한다.
상기 수납 용기(410)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바닥면(411) 및 바닥면(411)으로부터 연장된 측벽(412)들을 포함한다. 상기 수납 용기(410)에는 바닥면(411) 및 측벽(412)들에 의하여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측벽(412)에는 결합부(415)와 가이드부(416) 및 고정부(417)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415)는 나사산이 형성된 내측면을 포함하는 관 형상을 갖고서, 상기 측벽(412)으로부터 상기 수납 용기(4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415)는 상기 수납 용기(410)와 외부 케이스를 스크류를 통해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이다.
상기 가이드부(416)는 관 형상을 갖고서, 상기 측벽(412)으로부터 상기 수납 용기(41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416)는 상기 수납 용기(410)에 수납되는 상기 도광판(43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이다.
상기 고정부(417)는 상기 수납 용기(410)에 수납되는 광학 부재들(142,143,144)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광학 부재들(142,143,144)의 돌출부(145)가 안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부(415)와 상기 가이드부(416) 및 고정부(417)는 상기 측벽들 중 상기 램프 유닛(120)과 접하지 않는 측벽(412)에 형성된다.
상기 램프 유닛(120), 도광판(430), 광학 유닛(140) 및 몰드 프레임(150)은 도 1에 설명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수납 용기와 도광판을 확대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수납 용기(410)의 측벽(412)에는 결합부(415)와 가이드부(416)가 형성되고, 상기 도광판(330)에는 상기 가이드부(416)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43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415)는 상기 수납 용기의 측벽(412)의 제1 위치에 고정되며, 제1 스터드(415a) 및 제1 고정 단부(415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스터드(415a)는 상기 측벽(412)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일정한 높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내측면에는 나사산(415c)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고정 단부(415b)는 다각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납 용기(410)의 측벽(412)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t)를 갖고서 상기 측벽(41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부(416)는 상기 수납 용기의 측벽(412)의 제2 위치에 고정되며, 제2 스터드(416a) 및 제2 고정 단부(416b)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스터드(416a)는 상기 측벽(412)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고, 일정한 높이(h)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고정 단부(416b)는 다각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납 용기(410)의 측벽(412)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t)를 갖고서 상기 측벽(41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 홈(431)은 상기 가이드부(416)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도광판(430)의 측면(435)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431)은 U자 형상으로 제1 면(432)과 상기 제1 면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된 두 개의 제2 면(433)들을 갖는다. 상기 가이드 홈(431)의 깊이는 상기 제2 스터드(416a)의 높이(h)에 대응한다.
상기 가이드 홈(431)의 두 개의 제2 면(433)들 중 하나는 상기 제2 스터드(416a)와 밀접하게 배치된다. 이에 의해 상기 가이드 홈(431)에 상기 제2 스터드(416a)가 삽입되고, 상기 제2 면(433)이 상기 제2 스터드(416a)에 밀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상기 도광판(430)의 유동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결합부(145)는 외부 케이스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가이드부(416)는 상기 수납 용기에 수납되는 상기 도광판(430)을 안정되게 가이드 한다.
<실시예 4>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표시 모듈은 광을 발생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BL)와 상기 광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DP)를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BL)는 제1 수납 용기(110), 램프 유닛(120), 도광판(130), 광학 유닛(140) 및 몰드 프레임(15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수납 용기(110)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바닥면(111) 및 상기 바닥면(111)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측벽(112)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수납 용기(110)에는 바닥면(111) 및 측벽(112)들에 의하여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측벽(112)에는 결합부(115)와 고정부(117)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15)는 관 형상을 갖고서, 상기 측벽(112)으로부터 상기 제1 수납 용기(11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15)는 스크류를 이용해 상기 제1 수납 용기(110)와 외부 케이스를 서로 결합시킨다. 상기 결합부(115)는 상기 제1 수납 용기(110)에 수납되는 도광판(130)의 측면(132)에 형성된 가이드 홈(132a)에 삽입되어 상기 도광판(130)의 유동을 방지시킨다. 상기 결합부(115)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관 형상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원형의 관 형상, 즉 원통 형상이다.
상기 고정부(117)는 상기 제1 수납 용기(110)에 수납되는 광학 부재들(142,143,144)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광학 부재들(142,143,144)의 돌출부(145)가 안착된다.
상기 램프 유닛(120)은 광을 출사하는 램프(121), 상기 램프(121)를 커버하는 램프 커버(122)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121)는 상기 도광판(130)의 입광면(131)과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광을 출사한다. 상기 램프 커버(122)는 상기 램프(121)의 일부 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램프 커버(122)는 상기 램프(121)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도광판(130)의 입광면(131)측으로 집광시킨다.
상기 도광판(130)은 상기 램프(121)와 나란하게 위치하는 입광면(131)과, 상기 입광면(131)과 제1 방향으로 직교하는 측면(132)과, 상기 입광면(131)과 제1 방향으로 직교하는 출사면(133)을 포함한다. 상기 측면(132)에는 상기 도광판(130)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132a)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132a)에 상기 제1 수납 용기(110)의 결합부(115)가 삽입되어 상기 도광판(130)의 유동을 방지한다.
상기 광학 유닛(140)은 반사 부재(141)와 광학 부재들(142,143,144)을 포함 한다. 상기 반사 부재(141)는 상기 도광판(130)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130)으로부터 누설된 광을 반사시킨다. 상기 광학 부재들(142,143,144)은 상기 도광판(130)의 위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130)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휘도 특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광학 부재들(142,143,144)은 확산 시트 및 하나 이상의 프리즘 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몰드 프레임(150)은 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중앙이 개구된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개구부(151)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51)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광학 부재들(142,143,144)의 가장자리 부분을 눌러 고정하는 지지부(152)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52)는 상기 몰드 프레임(150)의 위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미도시)을 가이드하여 안착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몰드 프레임(150)의 측벽에는 상기 결합부(115)에 대응하는 홀(153)이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DP)는 표시 패널(160)과, 구동 회로부(170) 및 제2 수납 용기(18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60)은 어레이 기판과 대향기판, 및 상기 기판들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60)은 상기 몰드 프레임(150)의 지지부(152) 위에 안착되고, 백라이트 어셈블리(BL)로부터 광을 받아 액정의 전기 광학적 성질에 의해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구동 회로부(170)는 게이트 구동부(171)와 데이터 구동부(173)를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171)는 상기 어레이 기판에 형성된 게이트 배선들에 게이트 신호들을 출력하며, 상기 데이터 구동부(173)는 상기 어레이 기판에 형성된 데이터 배선들에 데이터 신호들을 출력한다.
상기 제2 수납 용기(180)는 액자 형상을 갖고서, 상기 제1 수납 용기(110)와 결합된다. 상기 제2 수납 용기(180)의 측벽(182)에는 상기 제1 수납 용기(110)의 측벽(112)에 형성된 결합부(115)에 대응하여 결합공(183)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수납 용기(180)와 제1 수납 용기(110)가 결합되어 표시 모듈이 완성된다. 이후, 외부 케이스와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결합부(115)와 결합공(183)을 통해 상호 결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도광판을 수납하는 수납용기의 측벽에 내측으로 돌출된 결합가이드부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수납 용기와 외부 케이스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도광판을 안정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 용기 내측으로 돌출된 결합가이드부를 마련함에 따라서, 표시 장치의 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가이드부를 통해서 상기 도광판을 가이드함에 따라서 별도의 도광판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의 설계가 불필요함에 따라서 상기 수납 용기의 디자인 설계 및 가공을 간단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7)

  1. 광을 출사하는 광원;
    상기 광의 경로를 가이드하여 출사하는 도광판;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측벽들을 갖고, 상기 도광판을 수납하는 수납 용기; 및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수납 용기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납 용기와 외부 케이스를 결합시키고 상기 도광판을 가이드하는 결합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일면에는 상기 결합가이드부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가이드부는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가이드부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수납 용기의 내측으로 돌출된 스터드부; 및
    상기 스터드부를 상기 측벽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도광판의 일면과 평행한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양단부와 상기 도광판의 일면을 각각 연결하는 두 개의 제2 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가이드부는 상기 제2 면들 중 어느 하나와 밀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가이드부는 상기 제2 면들 각각 밀접하게 배치되는 제1 결합가이드부 및 제2 결합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가이드부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수납 용기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1 스터드부;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수납 용기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 스터드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스터드부를 상기 측벽에 고정시키는 고정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터드부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가이드부는
    상기 수납 용기의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납 용기와 상기 외부 케이스 간을 결합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수납 용기의 측벽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도광판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수납 용기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내측벽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스터드부; 및
    상기 제1 스터드부를 상기 측벽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수납 용기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도광판의 일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과 밀접하게 배치된 제2 스터드부; 및
    상기 제2 스터드부를 상기 측벽에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3. 광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갖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바닥면과 측벽들을 갖고 도광판을 수납하는 수납 용기와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수납 용기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납 용기와 외부 케이스를 결합시키고 상기 도광판을 가이드하는 결합가이드부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일면에는 상기 결합가이드부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가이드부는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가이드부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수납 용기의 내측으로 돌출된 스터드부; 및
    상기 스터드부를 상기 측벽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도광판의 일면과 평행한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양단부와 상기 도광판의 일면을 각각 연결하는 제2 면들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가이드부는 상기 제2 면들 중 적어도 하나와 밀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050020129A 2005-03-10 2005-03-10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0947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129A KR100947533B1 (ko) 2005-03-10 2005-03-10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JP2005263331A JP4791112B2 (ja) 2005-03-10 2005-09-12 バックライト組立体及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TW095105972A TWI399589B (zh) 2005-03-10 2006-02-22 背光組件及具有該背光組件之顯示裝置
CN2006100595084A CN1831615B (zh) 2005-03-10 2006-03-10 背光组件和具有其的显示装置
US11/373,368 US7594746B2 (en) 2005-03-10 2006-03-10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129A KR100947533B1 (ko) 2005-03-10 2005-03-10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101A true KR20060099101A (ko) 2006-09-19
KR100947533B1 KR100947533B1 (ko) 2010-03-12

Family

ID=36970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129A KR100947533B1 (ko) 2005-03-10 2005-03-10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94746B2 (ko)
JP (1) JP4791112B2 (ko)
KR (1) KR100947533B1 (ko)
CN (1) CN1831615B (ko)
TW (1) TWI399589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5517A (ko) * 2010-05-13 2011-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110133848A (ko) * 2010-06-07 2011-12-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313508B1 (ko) * 2010-10-12 2013-10-01 파나소닉 액정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406238B1 (ko) * 2006-11-20 2014-06-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분할형 샤시와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US8982299B2 (en) 2010-05-25 2015-03-17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disposed at different sides of a bottom cov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75778C (zh) * 2004-12-28 2009-12-30 夏普株式会社 背光单元和具有该背光单元的显示装置
KR20080032990A (ko) * 2006-10-12 2008-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4891114B2 (ja) * 2007-02-20 2012-03-07 三菱電機株式会社 面状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TWI394921B (zh) * 2008-09-22 2013-05-01 Sinology Entpr Ltd 具模組化光源之燈箱結構及其模組化光源結構
KR101507739B1 (ko) * 2008-12-26 2015-04-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와 그 제조 방법
KR100949118B1 (ko) * 2008-12-29 2010-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00127177A (ko) * 2009-05-25 2010-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의 백라이트 장치
USRE46781E1 (en) 2009-11-12 2018-04-10 Lg Electronics Inc.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101693655B1 (ko) 2009-11-12 2017-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10103074A (ko) 2010-03-12 2011-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8944718B2 (en) 2010-09-23 2015-02-03 C-Flex Bearing Co., Inc. Clamping bushing
JP2012109207A (ja) * 2010-10-18 2012-06-07 Meitaku Kogyo Kk 面照明体
JP5899722B2 (ja) * 2011-01-19 2016-04-06 三菱電機株式会社 面状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2014022209A (ja) 2012-07-19 2014-02-03 Rohm Co Ltd Led照明器具
KR101786884B1 (ko) * 2015-11-30 2017-10-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홀을 구비한 이형 디스플레이
KR102595455B1 (ko) * 2016-12-20 2023-10-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TWI715146B (zh) * 2019-08-13 2021-01-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其組裝的方法
EP4152086A4 (en) * 2020-05-13 2024-01-24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TWI815555B (zh) * 2022-07-14 2023-09-11 達擎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04284A (en) * 1963-10-31 1965-09-07 Henry H Merriman Threaded bushing insert
TW460854B (en) * 1999-07-13 2001-10-21 Sanyo Electric Co Flat display panel module and the display unit having the same
JP4330764B2 (ja) * 2000-06-09 2009-09-16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3847532B2 (ja) * 2000-07-05 2006-11-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モジュールおよびこの液晶モジュールを搭載した液晶モニター
KR100852167B1 (ko) * 2002-03-08 2008-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KR100840715B1 (ko) * 2002-05-28 2008-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TWI224705B (en) * 2003-02-25 2004-12-01 Chi Mei Optoelec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238B1 (ko) * 2006-11-20 2014-06-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분할형 샤시와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KR20110125517A (ko) * 2010-05-13 2011-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US8982299B2 (en) 2010-05-25 2015-03-17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disposed at different sides of a bottom cover
KR20110133848A (ko) * 2010-06-07 2011-12-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313508B1 (ko) * 2010-10-12 2013-10-01 파나소닉 액정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31615B (zh) 2010-05-26
TWI399589B (zh) 2013-06-21
TW200634409A (en) 2006-10-01
JP2006253108A (ja) 2006-09-21
CN1831615A (zh) 2006-09-13
US7594746B2 (en) 2009-09-29
KR100947533B1 (ko) 2010-03-12
JP4791112B2 (ja) 2011-10-12
US20060203519A1 (en) 200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7533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JP5372426B2 (ja) 表示装置、上部収納容器および表示装置の組立て方法
JP4664028B2 (ja)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ー及びこれを有する表示装置
KR100839163B1 (ko) 평판표시장치
KR101515459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595796B1 (ko) 면형상 조명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101386925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JP2005158707A (ja)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20100033196A (ko) 광학 부재용 지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00069365A (ko) 표시 패널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221128B1 (ko) 표시소자의 백라이트 유닛 및 그의 조립방법
JP2016029470A (ja) 表示装置
KR20110100039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JP2009211933A (ja) 表示装置
JP2002133935A (ja) 面光源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WO2011108294A1 (ja) 導光板、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2006195224A (ja) 液晶テレビジョン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120090313A (ko) 표시 장치
KR20080017551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US20160209579A1 (en) Display apparatus
KR20060105191A (ko) 표시 장치
KR10088763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937705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TWI774591B (zh) 顯示裝置、背光模組及其光源模組定位結構
KR101256667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