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3074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3074A
KR20110103074A KR1020100022199A KR20100022199A KR20110103074A KR 20110103074 A KR20110103074 A KR 20110103074A KR 1020100022199 A KR1020100022199 A KR 1020100022199A KR 20100022199 A KR20100022199 A KR 20100022199A KR 20110103074 A KR20110103074 A KR 20110103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heet
hole
holes
display panel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전
유성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2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3074A/ko
Priority to US12/868,053 priority patent/US8625049B2/en
Priority to EP14004097.3A priority patent/EP2851742B1/en
Priority to CN2010800663226A priority patent/CN102859424A/zh
Priority to EP10846223.5A priority patent/EP2537064B1/en
Priority to CN201510011873.7A priority patent/CN104597659A/zh
Priority to PCT/KR2010/006982 priority patent/WO2011102585A1/en
Priority to EP20193171.4A priority patent/EP3761110B1/en
Priority to EP19153724.0A priority patent/EP3495879B1/en
Publication of KR20110103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074A/ko
Priority to US14/536,540 priority patent/USRE47135E1/en
Priority to US14/967,790 priority patent/USRE47541E1/en
Priority to US16/436,417 priority patent/USRE49403E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5Means for removing heat created by the light source from the packag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88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guide or other optical sheets in the packag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75Arrangements of multiple light guides
    • G02B6/0078Side-by-side arrangements, e.g. for large area displays
    • G02B6/008Side-by-side arrangements, e.g. for large area displays of the partially overlapping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학 어셈블리, 상기 광학 어셈블리를 수용하며, 바텀 플레이트와 서포팅 플레이트로 구성된 하우징, 상기 광학 어셈블리 상에 위치하며, 액티브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위치하는 커버 및 상기 광학 어셈블리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학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 시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티브 영역의 주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소형, 경량화 및 저소비전력 등의 장점으로 노트북 PC 및 모니터 시장은 물론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패널에 빛을 제공하고, 이러한 빛은 액정패널을 투과하게 된다. 이때, 액정패널은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이 배치된 형태에 따라 에지형과 직하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에지형은 광원이 액정패널의 측면에 배치되고, 도광판이 액정패널의 배면에 배치되어 액정패널의 측면에서 제공된 빛을 액정패널의 배면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직하형은 액정패널 배면에 다수의 광원들을 구비하고 다수의 광원들로부터 발광된 빛이 직접적으로 액정패널의 배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광원으로는 EL(electro luminescence),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HCFL(hot cathode fluorescent lamp),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중 LED는 소비 전력이 낮으며 발광 효율이 뛰어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광학시트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균일한 광을 공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학 어셈블리, 상기 광학 어셈블리를 수용하며, 바텀 플레이트와 서포팅 플레이트로 구성된 하우징, 상기 광학 어셈블리 상에 위치하며, 액티브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위치하는 커버 및 상기 광학 어셈블리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학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 시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티브 영역의 주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홀과 대응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커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티브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티브 영역의 주변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티브 영역의 외곽과 상기 커버의 사이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티브 영역의 주변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곽을 둘러싸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커버의 사이일 수 있다.
상기 홀은 상기 광학시트의 상변 및 하변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광학시트의 상변에 위치하는 상기 홀의 크기는 상기 광학시트의 하변에 위치하는 상기 홀의 크기와 다를 수 있다.
상기 광학시트의 상변에 위치하는 상기 홀의 크기는 상기 광학시트의 하변에 위치하는 상기 홀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광학시트의 상변에 위치하는 상기 홀의 장축 및 단축의 길이는 상기 광학시트의 하변에 위치하는 상기 홀의 장축 및 단축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홀은 상기 광학시트의 상변의 중심부와 가장자리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광학시트의 상변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상기 홀의 크기는 상기 광학시트의 상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기 홀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광학시트의 상변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상기 홀의 장축의 길이는 상기 광학시트의 상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기 홀의 장축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홀은 상기 광학시트의 적어도 일 변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홀은 상기 광학시트의 적어도 일 변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광학시트의 복수의 변들 중 어느 하나의 변에 형성된 상기 홀의 개수는 상기 광학시트의 다른 하나의 변에 형성된 상기 홀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상기 광학시트의 상변에 형성된 상기 홀의 개수는 상기 광학시트의 하변에 형성된 상기 홀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상기 홀은 상기 광학시트의 서로 마주보는 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학시트의 서로 마주보는 변에 각각 형성된 상기 홀의 위치는 서로 대칭일 수 있다.
상기 광학시트의 서로 마주보는 변에 각각 형성된 상기 홀의 위치는 서로 비대칭일 수 있다.
상기 홀은 상기 광학시트의 모든 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은 상기 광학시트의 모서리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돌기형상일 수 있다.
상기 홀의 크기와 상기 고정부의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홀의 크기는 상기 고정부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홀의 형상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오각형 이상의 다각형 및 원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광학 어셈블리는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측면에 위치하고, 제 1 층, 상기 제 1 층 상에 형성된 복수의 광원들 및 상기 복수의 광원들의 광이 방출되는 방향에 배치된 도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어셈블리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바닥면에 위치하고, 제 1 층, 상기 제 1 층 상에 형성된 복수의 광원들 및 상기 복수의 광원들의 광이 방출되는 방향에 배치된 도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어셈블리는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바닥면에 위치하고, 제 1 층, 상기 제 1 층 상에 형성된 복수의 광원들, 상기 복수의 광원들을 덮으며 상기 제 1 층 상에 형성된 제 2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일측에 형성된 복수의 데이터 구동회로들을 포함하며, 상기 홀은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들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학시트에 복수의 홀을 형성하고, 커버 또는 하우징에 복수의 고정부를 형성하여, 광학시트의 홀과 커버 또는 하우징의 고정부를 신뢰성 있게 결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에 의해 광학시트가 팽창될 때에는 홀과 고정부 사이의 일정 간격의 마진을 형성하여, 광학시트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학시트가 수축될 때에는 광학시트가 수축되지 않도록 고정부에서 광학시트에 텐션을 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광학시트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a 내지 도 4k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광학시트를 나타낸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과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광학시트의 홀과 하우징의 고정부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하우징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패널과 광학시트를 나타낸 도면.
도 8a 및 도 8d는 도 7의 C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며, 도 8b 및 도 8e는 도 7의 D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8c 및 도 8f는 도 7의 E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어셈블리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직하 방식의 광학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에지 방식의 광학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백라이트 유닛(120), 커버(130), 하우징(135), 구동부(140) 및 후면 케이스(1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화상이 구현되는 부분으로,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설로 대향하여 합착된 제 1 기판(111) 및 제 2 기판(1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TFT 어레이 기판으로 불리는 제 1 기판(111)에는 다수의 스캔 라인과 데이터 라인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교차하여 복수의 화소가 정의될 수 있다. 각각의 화소에는 신호를 온/오프할 수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TFT)가 구비되고, 박막 트랜지스터에 각각 연결된 화소전극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컬러필터 기판으로 불리는 제 2 기판(112)에는 복수의 화소에 각각 대응되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컬러필터 및 이들을 각각 둘러싸며 스캔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비표시소자를 가리는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을 덮는 투명한 공통전극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적어도 일 측에는 연성회로기판 또는 테이프캐리어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 TCP)와 같은 연결부재를 매개로 인쇄회로기판이 연결되어 모듈화 과정에서 하우징(135)의 배면으로 밀착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스캔 라인으로부터 전달되는 게이트 구동회로(113)의 온/오프 신호에 의해 각 스캔 라인 별로 선택된 박막 트랜지스터가 온(On)되면 데이터 구동회로(114)의 데이터 전압이 데이터 라인을 통해서 해당 화소전극으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의 전기장에 의해 액정분자의 배열방향이 변화되어 투과율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로의 빛을 제공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120)이 구비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광학 어셈블리(123) 및 광학 어셈블리(123) 상에 개재되는 복수의 광학시트(125)를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의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전술한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은 커버(130) 및 하우징(135)을 통해 모듈화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에 위치하는 커버(130)는 탑커버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상면 및 측면을 덮는 사각의 액자틀 형상으로, 커버(130)의 전면을 개구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에서 구현되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에 위치하는 하우징(135)은 바텀 플레이트(135a) 및 서포팅 플레이트(135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텀 플레이트(135a)는 바텀커버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이 결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초가 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각 모양의 하나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서포팅 플레이트(135b)는 커버(130)와 바텀 플레이트(135a)가 결합될 수 있도록 서포팅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에 위치하는 하우징(130)의 일면에는 구동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140)는 구동 제어부(141), 메인보드(142) 및 전원공급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141)는 타이밍 컨트롤러로 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각 구동회로에 동작 타이밍을 조절하는 구동부이고, 메인보드(142)는 타이밍 컨트롤러에 V싱크, H싱크 및 R, G, B 해상도 신호를 전달하는 구동부이며, 전원공급부(143)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에 전원을 인가하는 구동부이다.
상기 구동부(140)는 구동부 섀시(145)에 의해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에 위치하는 하우징(130)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140)는 후면 케이스(150)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전술한 백라이트 유닛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200)은 광학 어셈블리(210) 및 광학시트(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어셈블리(210)는 제 1 층(215), 복수의 광원(217), 반사층(220), 제 2 층(230) 및 확산판(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층(215) 상에 복수의 광원들(217)이 형성되며, 제 1 층(215) 상에 제 2 층(230)이 배치되어 복수의 광원들(217)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층(215)은 복수의 광원들(217)이 실장되는 기판일 수 있으며, 전원을 공급하는 어댑터(미도시)와 광원(217)을 연결하기 위한 전극 패턴(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의 상면에는 광원(217)과 어댑터(미도시)를 연결하기 위한 탄소나노튜브 전극 패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층(215)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유리,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실리콘(Si) 등으로 이루어져 복수의 광원들(217)이 실장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일 수 있으며,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광원(217)은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 칩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칩이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광원(217)으로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인 것을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광원(217)을 구성하는 LED 패키지는 발광면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 탑 뷰(Top View) 방식과 사이드 뷰(Side View) 방식으로 나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원(217)은 발광면이 상측을 향해 형성되는 탑 뷰 방식의 LED 패키지 및 발광면이 측면을 향해 형성되는 사이드 뷰 방식의 LED 패키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광원(217)이 사이드 뷰 방식의 LED 패키지인 경우를 설명하면, 복수의 광원들(217)은 각각 발광면이 측면에 배치되어, 측면 방향, 즉 제 1 층(215) 또는 반사층(220)이 연장된 방향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광원(217) 상에 형성된 제 2 층(230)의 두께를 감소시켜 백라이트 유닛(200), 더 나아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슬림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광원(217)은 적색, 청색, 녹색 등과 같은 컬러 중에서 적어도 한 컬러를 방출하는 유색 LED이거나 백색 LED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색 LED는 적색 LED, 청색 LED 및 녹색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의 배치 및 방출 광은 다양하게 변경 및 적용 가능하다.
한편, 제 1 층(215) 상에 배치되어 복수의 광원들(217)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 2 층(230)은 광원(217)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투과시킴과 동시에 확산시켜, 광원(217)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균일하게 디스플레이 패널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제 1 층(215) 상에는 광원(217)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층(220)이 위치할 수 있다. 반사층(220)은 제 1 층(215) 상의 광원(217)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반사층(220)은 광원(217)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반사하고, 제 2 층(230)의 경계로부터 전반사되는 광을 다시 반사시켜 광이 보다 넓게 퍼지도록 할 수 있다.
반사층(220)은 반사 물질인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은(Ag), 금(Ag) 또는 이산화 티타늄(TiO2)과 같이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반사층(220)은 상기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제 1 층(215) 상에 증착 또는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금속 잉크를 인쇄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증착하는 방법으로는 열증착법, 증발법 또는 스퍼터링법과 같은 진공증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코팅 또는 인쇄하는 방법으로는 프린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또는 실크 스크린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 1 층(215) 상에 위치한 제 2 층(230)은 광투과성 재질,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제 2 층(230)은 상기한 물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수지(resin)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광원(217)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확산되어 백라이트 유닛(200)이 균일한 휘도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 제 2 층(230)은 약 1.4 내지 1.6의 굴절율을 갖는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층(23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스틸렌(PS), 폴리에폭시(PE), 실리콘, 아크릴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층(230)은 광원(217) 및 반사층(220)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접착성을 가지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층(230)은 불포화 폴리에스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노말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노말부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히드록시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 아미드, 메티롤 아크릴 아미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 혹은 삼원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및 멜라민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2 층(230)은 액상 또는 겔(gel)상의 수지를 복수의 광원들(217) 및 반사층(220)이 형성된 제 1 층(215) 상에 도포한 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지지시트 상에 수지를 도포한 후 부분 경화하여 제 1 층(215) 상에 접착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제 2 층(230) 상에는 광원들(217)로부터 방출된 광이 상부로 확산될 수 있도록 확산판(240)이 구비될 수 있다. 확산판(240)은 제 2 층(230)에 접착될 수 있으며, 부가적인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접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광학 어셈블리(210) 상에 광학시트(250)가 위치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k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광학시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광학시트(250)는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시트 또는 광을 집광시키는 프리즘시트일 수 있다.
이러한 광학시트(250)는 커버 또는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 변에 복수의 홀(251)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광학시트(250)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광학시트(250)의 상변(255) 및 하변(256)에 복수의 홀(251)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광학시트(250)의 상변(255)은 추후 디스플레이 장치가 완성되어져 세워졌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변에 해당될 수 있고, 광학시트(250)의 하변(256)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변에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홀(251)들은 광학시트(250)의 적어도 일 변, 예를 들어 광학시트(250)의 상변(255) 및 하변(256)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252)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52)는 추후 하우징(135) 또는 커버(13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광학시트(250)의 일 변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부(252)에 형성된 홀(251)은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돌출부(252)는 하우징(135) 또는 커버(130)에 결합되기 용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우징(135) 또는 커버(130)와 맞닿는 영역이 큰 사각형 형상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복수의 홀(251)은 광학시트(250)의 복수의 변들 중 어느 하나의 변에 형성된 홀(251)의 개수보다 다른 하나의 변에 형성된 홀(251)의 개수가 더 많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홀(251)은 광학시트(250)의 하변(256)에 형성된 홀(251)의 개수보다 광학시트(250)의 상변(255)에 형성된 홀(251)의 개수가 더 많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학시트(250)의 상변(255)은 추후 디스플레이 장치가 세워졌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변에 해당되는 것으로, 중력에 의해 광학시트(250)가 아래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광학시트(250)의 하변(256)에 형성된 홀(251)의 개수가 더 많을 수 있다.
그리고, 광학시트(250)의 적어도 일 변에 형성된 복수의 홀(251)은 광학시트(250)의 서로 마주보는 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a 내지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시트(250)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변(255)과 하변(256)에 복수의 홀(251)이 위치할 수 있고, 광학시트(250)의 좌변(257)과 우변(258)에 복수의 홀(251)이 위치할 수 있으며, 광학시트(250)의 상변(255), 하변(256), 좌변(257) 및 우변(258)에 모두 복수의 홀(251)이 위치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도 4b를 참조하면, 광학시트(250)의 상변(255)에 형성된 복수의 홀(251)은 서로 마주보는 광학시트(250)의 하변(256)에 형성된 복수의 홀(251)과 서로 대칭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도 4a를 참조하면, 광학시트(250)의 상변(255)에 형성된 복수의 홀(251)은 서로 마주보는 광학시트(250)의 하변(256)에 형성된 복수의 홀(251)과 서로 비대칭으로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c 및 도 4d를 참조하면, 광학시트(250)의 모든 변, 예를 들어 상변(255), 하변(256), 좌변(257) 및 우변(258)에 복수의 홀(251)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시트(250)의 상변(255)에 배치된 복수의 홀(251)은 하변(256)에 배치된 복수의 홀(251)과 대칭으로 위치할 수 있고, 광학시트(250)의 좌변(257)에 배치된 복수의 홀(251)은 우변(258)에 배치된 복수의 홀(251)과 대칭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시트(250)의 상변(255)에 배치된 복수의 홀(251)은 하변(256)에 배치된 복수의 홀(251)과 비대칭으로 위치할 수 있고, 광학시트(250)의 좌변(257)에 배치된 복수의 홀(251)은 우변(258)에 배치된 복수의 홀(251)과 비대칭으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4e 및 도 4f를 참조하면, 광학시트(250)의 서로 마주보는 변, 예를 들어 좌변(257) 및 우변(258)에 복수의 홀(251)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광학시트(250)의 상변(255) 및 하변(256)에는 복수의 홀(251)이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시트(250)의 좌변(257)에 배치된 복수의 홀(251)은 우변(258)에 배치된 복수의 홀(251)과 대칭으로 위치할 수 있고,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시트(250)의 좌변(257)에 배치된 복수의 홀(251)은 우변(258)에 배치된 복수의 홀(251)과 비대칭으로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는 달리, 상기 홀(251)들은 광학시트(250)의 적어도 일 변, 예를 들어 광학시트(250)의 상변(255) 및 하변(256)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시트(250)의 적어도 일 변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홀(251)은 광학시트(250)의 서로 마주보는 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g 내지 도 4i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시트(250)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변(255)과 하변(256)의 내측에 복수의 홀(251)이 위치할 수 있고, 광학시트(250)의 좌변(257)과 우변(258)의 내측에 복수의 홀(251)이 위치할 수 있으며, 광학시트(250)의 상변(255), 하변(256), 좌변(257) 및 우변(258)의 내측에 모두 복수의 홀(251)이 위치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도 4g를 참조하면, 광학시트(250)의 상변(255)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홀(251)은 서로 마주보는 광학시트(250)의 하변(256)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홀(251)과 서로 비대칭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도 4h를 참조하면, 광학시트(250)의 좌변(257)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홀(251)은 서로 마주보는 광학시트(250)의 우변(258)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홀(251)과 서로 대칭으로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h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시트(250)의 모든 변의 내측, 예를 들어 상변(255), 하변(256), 좌변(257) 및 우변(258)의 내측에 복수의 홀(251)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4i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시트(250)의 서로 마주보는 변, 예를 들어 좌변(257) 및 우변(258)의 내측에 복수의 홀(251)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광학시트(250)의 상변(255) 및 하변(256)에는 복수의 홀(251)이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광학시트(250)의 홀(251)은 광학시트(250)의 모서리(259)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도 4j를 참조하면, 광학시트(250)의 네 모서리(259)에 복수의 홀(251)이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도 4k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시트(250)의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259)에 복수의 홀(251)이 각각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광학시트(250)는 적어도 일 변 또는 모서리에 복수의 홀(251)을 구비하여, 추후 하우징(135) 또는 커버(130)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광학시트와 하우징(135) 또는 커버(130)의 결합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광학적 특성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도 4a 내지 도 4k에 따른 광학시트의 홀의 배치는 본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광학시트가 커버 또는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을 정도면 광학시트의 일 변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광학시트는 하우징 또는 커버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커버와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커버(300)는 사각의 액자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을 커버하는 커버일 수 있다.
커버(300)의 측벽에는 광학시트(200)를 결합하는 고정부(310)가 위치할 수 있다. 고정부(310)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커버(300)의 적어도 일 측벽에 위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00)의 상측벽(321) 및 하측벽(322)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고정부(310)는 커버(300)의 좌측벽(323) 및 우측벽(324)에도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310)의 배치는 전술한 광학시트(250)의 홀(251)의 배치와 대응되게 위치할 수 있으며, 고정부(310)의 배치에 대해서는 전술한 광학시트(250)의 홀(251)의 배치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고정부(310)는 커버(300)의 측벽의 단차부(315)에 형성되어, 측벽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된 돌기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돌기형상은 예를 들어, 육면체, 원기둥 또는 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단차부(315)는 광학시트(250)의 돌출부(252)에 형성된 홀(251)이 안착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차부(315)에 형성된 고정부(310)는 단차부(315)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단차부(315)에 형성된 고정부(310)의 크기는 광학시트(250)의 돌출부(252)에 형성된 홀(251)과 동일하거나, 홀(251)보다 조금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광학시트(250)의 홀(251)이 커버(300)의 고정부(310)에 결합되어, 광학시트(350)를 커버(3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a의 구조와는 달리, 커버(300)의 측벽에는 단차부(315)가 일 측변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커버(300)의 상측벽(321)에 형성된 단차부(315)는 상측벽(321)에 전체적으로 형성되고, 커버(300)의 하측벽(322)에 형성된 단차부(315)도 하측벽(322)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차부(315)에 각각 고정부(31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한 단차부(315)로 인해, 앞서 설명한 도 4g 내지 도 4i에 도시한 광학시트, 즉 일 변의 내측에 복수의 홀이 형성된 광학시트가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광학시트에 형성된 복수의 홀이 커버(300)의 단차부(315)에 형성된 고정부(3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5c를 참조하면, 고정부(310)는 커버(300)의 모서리(325)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310)는 모서리(325)에 사선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커버(300)의 모서리(325)에 위치한 고정부(310)는 앞서 설명한 도 4j 및 도 4k에 도시한 광학시트, 즉 모서리에 복수의 홀이 형성된 광학시트가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광학시트(250)의 홀(251)과 커버(300)의 고정부(310)는 사각형 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광학시트의 홀과 커버의 고정부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광학시트(250)의 홀(251) 또는 커버(300)의 고정부(310)는 앞서 도면들로 설명된 바와 같이, 도 6의 (a)에 도시된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광학시트(250)의 홀(251) 또는 커버(300)의 고정부(310)는 도 6의 (b)와 같이 정사각형 또는 도 6의 (c)와 같이 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오각형 이상의 다각형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광학시트(250)의 홀(251) 또는 커버(300)의 고정부(310)는 도 6의 (d)와 같이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6의 (e)와 같이 타원형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광학시트(250)의 홀(251) 또는 커버(300)의 고정부(3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광학시트(250)의 홀(251)과 커버(300)의 고정부(310)가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느 형상이어도 상관 없다.
하기에서는, 광학시트(250)의 홀(251)과 커버(300)의 고정부(310)가 결합된 형상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에서는 광학시트(250)의 홀(251)과 커버(300)의 고정부(310)가 직사각형인 것을 예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커버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패널과 광학시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a 및 도 8d는 도 7의 C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며, 도 8b 및 도 8e는 도 7의 D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8c 및 도 8f는 도 7의 E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커버(300) 상에 디스플레이 패널(400)이 위치하고, 디스플레이 패널(400) 상에 광학시트(250)가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400)의 좌우측에는 복수의 게이트 구동회로(410)들이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패널(400)의 하부에는 디스플레이 패널(400)로부터 광학시트(250)의 위로 둘러싸며 배치된 인쇄회로기판(420)이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420)에는 복수의 데이터 구동회로(430)들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300) 상에 배치된 광학시트(250)는 커버(300)의 고정부(310)에 광학시트(250)의 홀(251)이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도 7의 A 영역을 살펴보면, 광학시트(310)의 상변에 배치된 돌출부(252)에 형성된 홀(251)은 커버(300)의 상측벽에 형성된 고정부(31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광학시트(250)의 홀(251)에 고정부(310)가 삽입된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의 B 영역을 살펴보면, 광학시트(310)의 하변에 배치된 돌출부(252)에 형성된 홀(251)은 커버(300)의 하측벽에 형성된 고정부(31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광학시트(250)의 돌출부(252)와 커버(300)의 고정부(310)는 디스플레이 패널(400)의 데이터 구동회로(430)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데이터 구동회로(430)가 커버(300)의 측면에 안착할 수 있는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고정부(310)는 데이터 구동회로(430)의 사이에 배치되고, 고정부(310)의 배치에 따라 광학시트(250)의 돌출부(252) 및 홀(251)도 데이터 구동회로(4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광학시트(250)의 상변에 배치된 홀(251)들 중 가장자리에 배치된 홀(251)과 고정부(310)가 결합된 C 영역을 확대한 도 8a를 참조하면, 홀(251)은 제 1 변(251a), 제 2 변(251b), 제 3 변(251c) 및 제 4 변(251d)를 포함하고, 고정부(310)는 홀(251)의 제 1 변(251a)과 마주보는 제 5 변(310a), 제 2 변(251b)과 마주보는 제 6 변(310b), 제 3 변(251c)과 마주보는 제 7 변(310c) 및 제 4 변(251d)과 마주보는 제 8 변(310d)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홀(251)의 제 1 변(251a)은 커버(300)와 인접한 변일 수 있고, 제 2 변(251b)은 커버(300)와 멀리 이격된 변일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광학시트(250)의 상변에 배치된 홀(251)들 중 가장자리에 배치된 홀(251)과 고정부(310)가 결합된 C 영역에서는, 홀(251)의 제 1 변(251a)과 고정부(310)의 제 5 변(310a) 간의 제 1 거리(d1), 홀(251)의 제 2 변(251b)과 고정부(310)의 제 6 변(310b) 간의 제 2 거리(d2), 홀(251)의 제 3 변(251c)과 고정부(310)의 제 7 변(310c) 간의 제 3 거리(d3) 및 홀(251)의 제 4 변(251d)과 고정부(310)의 제 8 변(310d) 간의 제 4 거리(d4)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 1 거리(d1)는 0.05 내지 0.3m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mm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 거리(d1)가 0.05mm 이상이면, 광학시트(250)가 광원의 열에 의해 팽창될 때, 광학시트(250)가 팽창되는 정도의 마진(margin)을 제공하여, 광학시트(250)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제 1 거리(d1)가 0.3mm 이하이면, 광학시트(250)로부터 열이 빠져나가 광학시트(250)가 수축될 때, 고정부(310)에 의해 광학시트(250)에 텐션이 부여되어 광학시트(250)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 2 거리(d2)는 0.1 내지 1m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mm일 수 있다. 여기서, 제 2 거리(d2)가 0.1mm 이상이면, 광학시트(250)가 광원의 열에 의해 팽창될 때, 광학시트(250)가 팽창되는 정도의 마진(margin)을 제공하여, 광학시트(250)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제 2 거리(d2)가 1mm 이하이면, 광학시트(250)로부터 열이 빠져나가 광학시트(250)가 수축될 때, 고정부(310)와 홀(251) 간의 제 2 거리(d2)가 커져 홀(251)이 고정부(3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 3 거리(d3) 및 제 4 거리(d4)는 각각 1 내지 5m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mm일 수 있다. 여기서, 제 3 거리(d3) 및 제 4 거리(d4)가 1mm 이상이면, 광학시트(250)가 광원의 열에 의해 팽창될 때, 광학시트(250)가 팽창되는 정도의 마진(margin)을 제공하여, 광학시트(250)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제 3 거리(d3) 및 제 4 거리(d4)가 5mm 이하이면, 고정부(310)와 홀(251) 간의 제 3 거리(d3) 및 제 4 거리(d4)가 커져 홀(251)과 고정부(3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광학시트(250)의 상변에 배치된 홀(251)들 중 중심부에 배치된 홀(251)과 고정부(310)가 결합된 D 영역을 확대한 도 8b를 참조하면, 홀(251)과 고정부(310)는 홀(251)의 제 1 변(251a)과 고정부(310)의 제 5 변(310a) 간의 제 5 거리(d5), 홀(251)의 제 2 변(251b)과 고정부(310)의 제 6 변(310b) 간의 제 6 거리(d6), 홀(251)의 제 3 변(251c)과 고정부(310)의 제 7 변(310c) 간의 제 7 거리(d7) 및 홀(251)의 제 4 변(251d)과 고정부(310)의 제 8 변(310d) 간의 제 8 거리(d8)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 5 거리(d5)는 0.05 내지 0.3m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mm일 수 있다. 여기서, 제 5 거리(d5)가 0.05mm 이상이면, 광학시트(250)가 광원의 열에 의해 팽창될 때, 광학시트(250)가 팽창되는 정도의 마진(margin)을 제공하여, 광학시트(250)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제 5 거리(d5)가 0.3mm 이하이면, 광학시트(250)로부터 열이 빠져나가 광학시트(250)가 수축될 때, 고정부(310)에 의해 광학시트(250)에 텐션이 부여되어 광학시트(250)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 6 거리(d6)는 0.1 내지 1m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mm일 수 있다. 여기서, 제 6 거리(d6)가 0.1mm 이상이면, 광학시트(250)가 광원의 열에 의해 팽창될 때, 광학시트(250)가 팽창되는 정도의 마진(margin)을 제공하여, 광학시트(250)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제 6 거리(d6)가 1mm 이하이면, 광학시트(250)로부터 열이 빠져나가 광학시트(250)가 수축될 때, 고정부(310)와 홀(251) 간의 제 6 거리(d6)가 커져 홀(251)이 고정부(3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 7 거리(d7) 및 제 8 거리(d8)는 각각 0.1 내지 1m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mm일 수 있다. 여기서, 제 7 거리(d7) 및 제 8 거리(d8)가 0.1mm 이상이면, 광학시트(250)가 광원의 열에 의해 팽창될 때, 광학시트(250)가 팽창되는 정도의 마진(margin)을 제공하여, 광학시트(250)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제 7 거리(d7) 및 제 8 거리(d8)가 1mm 이하이면, 광학시트(250)의 중심부에서 홀(251)과 고정부(310)가 광학시트(25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여, 광학시트(250)의 위치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도 8a 및 도 8b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광학시트(250)의 중심부(D)에 배치된 홀(251)과 고정부(310) 간의 제 7 거리(d7)와 제 8 거리(d8)는 광학시트(250)의 가장자리(c)에 배치된 홀(251)과 고정부(310) 간의 제 3 거리(d3)와 제 4 거리(d4)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학시트(250)의 중심부(D)에 배치된 홀(251)과 고정부(310) 간의 관계는 광학시트(250)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광학시트(250)의 전체적인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시트(250)의 팽창 또는 수축으로 인해 광학시트(25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학시트(250)의 가장자리(c)에 배치된 홀(251)과 고정부(310) 간의 관계는 광학시트(25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광학시트(250)의 팽창 또는 수축으로 인한 마진을 확보하기 위해, 제 3 거리(d3)와 제 4 거리(d4)가 클 수 있다.
한편, 광학시트(250)의 하변에 배치된 홀(251)과 고정부(310)가 결합된 E 영역을 확대한 도 8c를 참조하면, 홀(251)과 고정부(310)는 홀(251)의 제 1 변(251a)과 고정부(310)의 제 5 변(310a) 간의 제 9 거리(d9), 홀(251)의 제 2 변(251b)과 고정부(310)의 제 6 변(310b) 간의 제 10 거리(d10), 홀(251)의 제 3 변(251c)과 고정부(310)의 제 7 변(310c) 간의 제 11 거리(d11) 및 홀(251)의 제 4 변(251d)과 고정부(310)의 제 8 변(310d) 간의 제 12 거리(d12)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 9 거리(d9)는 0.1 내지 1m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mm일 수 있다. 여기서, 제 9 거리(d9)가 0.1mm 이상이면, 광학시트(250)가 광원의 열에 의해 팽창될 때, 광학시트(250)가 팽창되는 정도의 마진(margin)을 제공하여, 광학시트(250)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제 9 거리(d9)가 1mm 이하이면, 광학시트(250)로부터 열이 빠져나가 광학시트(250)가 수축될 때, 고정부(310)에 의해 광학시트(250)에 텐션이 부여되어 광학시트(250)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 10 거리(d10)는 0.1 내지 1m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mm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0 거리(d10)가 0.1mm 이상이면, 광학시트(250)가 광원의 열에 의해 팽창될 때, 광학시트(250)가 팽창되는 정도의 마진(margin)을 제공하여, 광학시트(250)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제 10 거리(d10)가 1mm 이하이면, 광학시트(250)로부터 열이 빠져나가 광학시트(250)가 수축될 때, 고정부(310)와 홀(251) 간의 제 10 거리(d10)가 커져 홀(251)이 고정부(3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 11 거리(d11) 및 제 12 거리(d12)는 각각 1 내지 5m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mm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1 거리(d11) 및 제 12 거리(d12)가 1mm 이상이면, 광학시트(250)가 광원의 열에 의해 팽창될 때, 광학시트(250)가 팽창되는 정도의 마진(margin)을 제공하여, 광학시트(250)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제 11 거리(d11) 및 제 12 거리(d12)가 5mm 이하이면, 고정부(310)와 홀(251) 간의 제 11 거리(d11) 및 제 12 거리(d12)가 커져 홀(251)과 고정부(3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광학시트(25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251)은 디스플레이 패널(400)의 액티브 영역(Active area)의 주변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400)의 액티브 영역(Active area)은 디스플레이 패널(400)의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400)의 액티브 영역(Active area)의 주변은 디스플레이 패널(400)의 액티브 영역(Active area)의 외곽과 커버(300)의 사이일 수 있다. 여기서, 액티브 영역(Active area)의 외곽과 커버(300)의 사이는 액티브 영역(Active area)의 외곽부터 커버(300)에 걸쳐져 있는 영역을 말한다. 즉, 커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광학시트(250)의 형성된 홀(251)의 위치는 디스플레이 패널(400)과 커버(300) 사이에 위치하여 커버(300)의 고정부(310)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광학시트(250)에 구비된 홀(251)은 광학시트(250)의 상변(255) 및 하변(256)에 각각 위치하며, 광학시트(250)의 상변(255)에 위치하는 홀(251)의 크기는 광학시트(250)의 하변(256)에 위치하는 홀(251)의 크기와 다를 수 있다. 즉, 광학시트(250)의 상변(255)에 위치하는 홀(251)의 크기는 광학시트(250)의 하변(256)에 위치하는 홀(251)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도 8d은 도 7의 D 영역의 광학시트(250)의 홀(251)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e는 도 7의 E 영역의 광학시트(250)의 홀(251)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f는 도 7의 C 영역의 광학시트(250)의 홀(251)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d 및 도 8e를 참조하면, 도 8d에 도시된 광학시트(250)의 상변(255)에 위치하는 홀(251)의 장축(ℓ1) 및 단축(ℓ2)의 길이는 도 8e에 도시된 광학시트(250)의 하변(256)에 위치하는 홀(251)의 장축(ℓ3) 및 단축(ℓ4)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여기서, 홀(251)의 장축은 홀(251)의 x축 방향으로 가장 긴 축이며, 홀(251)의 단축은 y축 방향으로 가장 짧은 축일 수 있다.
즉, 광학시트(250)의 상변(255)에 위치하는 홀(251)의 크기가 광학시트(250)의 하변(256)에 위치하는 홀(251)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학시트(250)의 상변(255)에 위치하는 홀(251)은 광학시트(250)를 커버(300)에 고정하는 기준점으로 작용하여, 광학시트(250)가 열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광학시트(250)의 하변(256)에 위치하는 홀(251)은 광학시트(250)가 열에 의해 변형될 때의 마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d 및 도 8f를 참조하면, 도 8d에 도시된 광학시트(250)의 상변(255)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홀(251)의 장축(ℓ1)의 길이는 도 8f에 도시된 광학시트(250)의 상변(255)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홀(251)의 장축(ℓ5)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광학시트(250)의 상변(255)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홀(251)의 단축(ℓ2)의 길이는 광학시트(250)의 상변(255)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홀(251)의 단축(ℓ6)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즉, 광학시트(250)의 상변(255)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홀(251)의 크기가 광학시트(250)의 상변(255)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홀(251)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학시트(250)의 상변(255)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홀(251)은 광학시트(250)를 커버(300)에 고정하는 기준점으로 작용하여, 광학시트(250)가 열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광학시트(250)의 상변(255)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홀(251)은 광학시트(250)가 열에 의해 변형될 때의 마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에서는 커버(300)에 고정부(310)가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우징의 바텀 플레이트에도 고정부(31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a는 커버의 상변을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자른 단면도이고, 도 9b는 커버의 측변을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자른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버(300) 상에 디스플레이 패널(400)이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패널(400) 상에 광학시트(2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학시트(250)는 커버(300)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커버(300)의 측벽에 구비된 고정부(310)에 광학시트(250)의 홀(251)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광학시트(250) 상에는 광학 어셈블리(210)가 배치되고, 커버(300)와 바텀 플레이트(320)가 스크류(33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00)의 상변에서는 바텀 플레이트(320)의 측부가 커버(300)의 측부 내로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00)의 측변에서는 바텀 플레이트(320)가 커버(300)에 안착된 후 스크류(33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400), 광학시트(250) 및 광학 어셈블리(210)를 커버(300)와 바텀 플레이트(320)로 수납할 수 있으며, 커버(300)의 고정부(310)에 광학시트(250)의 홀(251)을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 어셈블리(210)의 광원들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해 수축 또는 팽창하여 광학시트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백라이트 유닛의 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도 1 내지 도 9b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광학 어셈블리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광학 어셈블리의 구조는 다양화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어셈블리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바텀 플레이트(510), 광학 어셈블리(540), 광학시트(560) 및 디스플레이 패널(580)을 포함할 수 있다.
바텀 플레이트(510)는 광학 어셈블리(540) 및 광학시트(560)를 수납하는 것으로, 하우징의 바텀 커버일 수 있다.
바텀 플레이트(510)에 수납된 광학 어셈블리(540)는 제 1 층(541), 광원(542), 도광판(543) 및 반사판(5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층(541)은 복수의 광원들(542)이 실장되는 기판일 수 있으며, 전원을 공급하는 어댑터(미도시)와 광원(542)을 연결하기 위한 전극 패턴(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제 1 층(541)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유리,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실리콘(Si) 등으로 이루어져 복수의 광원들(542)이 실장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일 수 있으며,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광원(542)은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 칩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칩이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광원(542)으로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인 것을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광원(542)을 구성하는 LED 패키지는 발광면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 탑 뷰(Top View) 방식과 사이드 뷰(Side View) 방식으로 나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원(542)은 발광면이 상측을 향해 형성되는 탑 뷰 방식의 LED 패키지 및 발광면이 측면을 향해 형성되는 사이드 뷰 방식의 LED 패키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광판(543)은 광원(542)의 광이 방출되는 방향에 배치되며, 광원(542)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넓게 퍼지게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도광판(543)은 광원(542)과 인접하는 면이 단차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이웃하는 도광판(543)이 안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광판(543)의 하면은 상부로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광원(542)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상부로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판(544)은 도광판(543)의 하부에 배치되며, 도광판(543)에서 하부로 반사되는 광을 상부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층(541), 광원(542), 도광판(543) 및 반사판(544)을 포함하는 광학 어셈블리(540)는 에지 방식으로 광을 구현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술한 광학 어셈블리(540)는 바텀 플레이트(510)에 형성된 홈구조에 각각 결합하여, 바텀 플레이트(510)의 하면의 전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이 에지 방식으로 광을 구현하는 광학 어셈블리(540)는 바텀 플레이트(510)의 하면 전체에 형성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직하 방식으로 광을 구현하는 백라이트 유닛으로 작용할 수 있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바텀 플레이트(510)에 하면에 형성된 복수의 광학 어셈블리(540) 상에는 광학시트(560)가 위치할 수 있다. 광학시트(560)는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시트 또는 광을 집광시키는 프리즘시트일 수 있으며,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학시트(560)는 복수의 광학 어셈블리(540) 상에 안착될 수 있으며, 바텀 플레이트(510)의 측벽에 형성된 고정부(52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광학시트(560)는 전술한 제 1 실시 예의 도 4a 내지 4k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홀(56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텀 플레이트(510)도 전술한 제 1 실시 예의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고정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학시트(560)는 바텀 플레이트(510)의 측벽에 형성된 고정부(520)에 광학시트(560)의 홀(565)이 결합되어 바텀 플레이트(51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광학 어셈블리(540)의 광원(542)들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해 수축 또는 팽창하여 광학시트(56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백라이트 유닛의 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제 1 및 제 2 실시 예에 따른 직하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을 또 다른 형태의 직하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과 비교하면 하기와 같다.
도 12는 직하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600)은 바텀 플레이트(610), 반사판(620), 광원(630), 확산판(640) 및 광학시트(650)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판(620)은 바텀 플레이트(610)의 내면에 모두 위치하여 광원(63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상부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광원(630)은 냉음극관 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열음극관 형광램프(Hot Cathode Fluorescent Lamp: HCFL) 또는 외부전극 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로 위치할 수 있다.
확산판(640)은 광원(630)으로부터 방출되는 선형의 광을 확산시켜 면 형태의 광으로 바꿔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확산판(640)의 상부에 광학시트(650)가 위치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직하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600)은 직경이 큰 복수의 램프들을 광원(630)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광원(630)이 배치된 바텀 플레이트(610) 내의 공간이 매우 두껍다. 따라서, 백라이트 유닛(600)의 두께가 두꺼운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광원(630)과 광학시트(650) 사이의 간격이 매우 커, 광원(630)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광학시트(650)에까지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광학시트(650)가 광원(630)의 열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다.
반면,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크기가 매우 작은 LED 광원을 포함하는 광학 어셈블리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217)을 덮고 있는 제 2 층(230)이 위치하고, 제 2 층(230) 상에 접하여 형성된 확산판(240) 및 확산판(240) 상에 배치된 광학시트(250)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542), 도광판(543) 및 도광판(543) 상에 배치된 광학시트(560)가 위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크기가 매우 작은 LED 광원을 사용하고, LED 광원과 광학시트 사이의 공간이 매우 좁은 박형의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광학시트에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특히,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경우, LED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는 공간이 없다.
이에 따라,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에 의해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 광학시트가 수축 또는 팽창하여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 예에서는 광학시트에 복수의 홀을 형성하고, 바텀 플레이트에 복수의 고정부를 형성하여, 광학시트의 홀과 바텀 플레이트의 고정부를 결합할 수 있다.
그러므로,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에 의해 광학시트가 팽창될 때에는 홀과 고정부 사이의 일정 간격의 마진을 형성하여, 광학시트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학시트가 수축될 때에는 광학시트가 수축되지 않도록 고정부에서 광학시트에 텐션을 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광학시트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바텀 플레이트(710), 광학 어셈블리(740), 광학시트(760) 및 디스플레이 패널(780)을 포함할 수 있다.
바텀 플레이트(710)는 광학 어셈블리(740) 및 광학시트(760)를 수납하는 것으로, 하우징의 바텀 플레이트일 수 있다.
바텀 플레이트(710)에 수납된 광학 어셈블리(740)는 제 1 층(741) 및 광원(7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층(741)은 복수의 광원들(742)이 실장되는 기판일 수 있으며, 전원을 공급하는 어댑터(미도시)와 광원(742)을 연결하기 위한 전극 패턴(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제 1 층(741)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유리,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실리콘(Si) 등으로 이루어져 복수의 광원들(742)이 실장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일 수 있으며,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광원(742)은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 칩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칩이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광원(742)으로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인 것을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광원(742)을 구성하는 LED 패키지는 발광면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 탑 뷰(Top View) 방식과 사이드 뷰(Side View) 방식으로 나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원(742)은 발광면이 상측을 향해 형성되는 탑 뷰 방식의 LED 패키지 및 발광면이 측면을 향해 형성되는 사이드 뷰 방식의 LED 패키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광판(743)은 광원(742)의 광이 방출되는 방향에 배치되며, 광원(742)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넓게 퍼지게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반사판(744)은 도광판(743)의 하부에 배치되며, 도광판(743)에서 하부로 반사되는 광을 상부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층(741) 및 광원(742)을 포함하는 광학 어셈블리(740)는 바텀 플레이트(710)의 측면에 위치하여, 에지 방식으로 광을 구현하는 백라이트 유닛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편, 도광판(743) 상에는 광학시트(760)가 위치할 수 있다. 광학시트(760)는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시트 또는 광을 집광시키는 프리즘시트일 수 있으며,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학시트(760)는 도광판(760) 상에 안착될 수 있으며, 바텀 플레이트(710)의 측벽에 형성된 고정부(72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광학시트(760)는 전술한 제 1 실시 예의 도 4a 내지 4k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홀(76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텀 플레이트(710)도 전술한 제 1 실시 예의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고정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학시트(760)는 바텀 플레이트(710)의 측벽에 형성된 고정부(720)에 광학시트(760)의 홀(765)이 결합되어 바텀 플레이트(71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광학 어셈블리(740)의 광원(742)들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해 수축 또는 팽창하여 광학시트(76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백라이트 유닛의 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에지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을 다른 형태의 에지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과 비교하면 하기와 같다.
도 14는 에지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800)은 바텀 플레이트(810), 반사판(820), 광원(830), 도광판(840) 및 광학시트(850)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판(820)은 바텀 플레이트(810)의 내면에 모두 위치하여 광원(83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상부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광원(830)은 냉음극관 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열음극관 형광램프(Hot Cathode Fluorescent Lamp: HCFL) 또는 외부전극 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텀 플레이트(8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광판(840)은 광원(830)의 측부 및 바텀 플레이트(810)의 내부 전체에 걸쳐 위치할 수 있으며, 광원(83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반사하여 면 형태의 광으로 바꿔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도광판(840)의 상부에 광학시트(850)가 위치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에지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800)은 직경이 큰 형광 램프들을 광원(830)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광원(830)이 배치된 바텀 플레이트(810) 내의 공간이 매우 두껍다. 따라서, 백라이트 유닛(800)의 두께가 두꺼운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광원(830)과 광학시트(850) 사이의 간격이 매우 커, 광원(830)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광학시트(850)에까지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광학시트(850)가 광원(830)의 열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다.
반면, 전술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크기가 매우 작은 LED 광원을 포함하는 광학 어셈블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크기가 매우 작은 LED 광원을 사용하고, LED 광원과 광학시트 사이의 공간이 매우 좁은 박형의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광학시트에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형광 램프 광원과 동등 휘도로 광을 방출하기 위해, LED 광원에는 많은 양의 전류가 주입되어, 주입되는 전류가 늘어나면서 LED 저항에 따른 발열이 크게 발생한다. 이에 따라,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에 의해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 광학시트가 수축 또는 팽창하여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에지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은 광학시트에 복수의 홀을 형성하고, 바텀 플레이트에 복수의 고정부를 형성하여, 광학시트의 홀과 바텀 플레이트의 고정부를 결합할 수 있다.
그러므로,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에 의해 광학시트가 팽창될 때에는 홀과 고정부 사이의 일정 간격의 마진을 형성하여, 광학시트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학시트가 수축될 때에는 광학시트가 수축되지 않도록 고정부에서 광학시트에 텐션을 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광학시트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6)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학 어셈블리;
    상기 광학 어셈블리를 수용하며, 바텀 플레이트와 서포팅 플레이트로 구성된 하우징;
    상기 광학 어셈블리 상에 위치하며, 액티브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위치하는 커버; 및
    상기 광학 어셈블리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학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 시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티브 영역의 주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과 대응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커버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티브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인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티브 영역의 주변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티브 영역의 외곽과 상기 커버의 사이인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광학시트의 상변 및 하변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광학시트의 상변에 위치하는 상기 홀의 크기는 상기 광학시트의 하변에 위치하는 상기 홀의 크기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시트의 상변에 위치하는 상기 홀의 크기는 상기 광학시트의 하변에 위치하는 상기 홀의 크기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광학시트의 상변 및 하변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광학시트의 상변에 위치하는 상기 홀의 장축 및 단축의 길이는 상기 광학시트의 하변에 위치하는 상기 홀의 장축 및 단축의 길이보다 짧은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광학시트의 상변의 중심부와 가장자리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광학시트의 상변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상기 홀의 크기는 상기 광학시트의 상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기 홀의 크기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시트의 상변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상기 홀의 장축의 길이는 상기 광학시트의 상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기 홀의 장축의 길이보다 짧은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광학시트의 적어도 일 변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광학시트의 적어도 일 변의 내측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시트의 복수의 변들 중 어느 하나의 변에 형성된 상기 홀의 개수는 상기 광학시트의 다른 하나의 변에 형성된 상기 홀의 개수보다 많은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시트의 상변에 형성된 상기 홀의 개수는 상기 광학시트의 하변에 형성된 상기 홀의 개수보다 많은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광학시트의 서로 마주보는 변에 각각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시트의 서로 마주보는 변에 각각 형성된 상기 홀의 위치는 서로 대칭인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시트의 서로 마주보는 변에 각각 형성된 상기 홀의 위치는 서로 비대칭인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광학시트의 모든 변에 각각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광학시트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돌기형상인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홀의 크기와 상기 고정부의 크기는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홀의 크기는 상기 고정부의 크기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의 형상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오각형 이상의 다각형 및 원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어셈블리는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측면에 위치하고,
    제 1 층, 상기 제 1 층 상에 형성된 복수의 광원들 및 상기 복수의 광원들의 광이 방출되는 방향에 배치된 도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어셈블리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바닥면에 위치하고,
    제 1 층, 상기 제 1 층 상에 형성된 복수의 광원들 및 상기 복수의 광원들의 광이 방출되는 방향에 배치된 도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어셈블리는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바닥면에 위치하고,
    제 1 층, 상기 제 1 층 상에 형성된 복수의 광원들, 상기 복수의 광원들을 덮으며 상기 제 1 층 상에 형성된 제 2 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일측에 형성된 복수의 데이터 구동회로들을 포함하며, 상기 홀은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00022199A 2010-02-21 2010-03-12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1030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199A KR20110103074A (ko) 2010-03-12 2010-03-12 디스플레이 장치
US12/868,053 US8625049B2 (en) 2010-02-21 2010-08-25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CN201510011873.7A CN104597659A (zh) 2010-02-21 2010-10-12 显示装置
CN2010800663226A CN102859424A (zh) 2010-02-21 2010-10-12 背光单元和包括该背光单元的液晶显示器
EP10846223.5A EP2537064B1 (en) 2010-02-21 2010-10-12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EP14004097.3A EP2851742B1 (en) 2010-02-21 2010-10-12 Display device
PCT/KR2010/006982 WO2011102585A1 (en) 2010-02-21 2010-10-12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EP20193171.4A EP3761110B1 (en) 2010-02-21 2010-10-12 Backlight unit
EP19153724.0A EP3495879B1 (en) 2010-02-21 2010-10-12 Backlight unit
US14/536,540 USRE47135E1 (en) 2010-02-21 2014-11-07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14/967,790 USRE47541E1 (en) 2010-02-21 2015-12-14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16/436,417 USRE49403E1 (en) 2010-02-21 2019-06-10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199A KR20110103074A (ko) 2010-03-12 2010-03-12 디스플레이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946A Division KR101758259B1 (ko) 2016-12-26 2016-12-26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074A true KR20110103074A (ko) 2011-09-20

Family

ID=44476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199A KR20110103074A (ko) 2010-02-21 2010-03-12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8625049B2 (ko)
EP (4) EP2537064B1 (ko)
KR (1) KR20110103074A (ko)
CN (2) CN104597659A (ko)
WO (1) WO20111025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39814B2 (ja) * 2010-07-30 2012-10-03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CN102767761B (zh) * 2012-07-13 2016-03-3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模组
KR20140018608A (ko) * 2012-08-02 2014-0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JP2015088269A (ja) * 2013-10-29 2015-05-0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面光源装置、及び面光源装置の製造方法
CN103759227B (zh) * 2014-01-22 2016-03-3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光学膜片的定位装置
JP6354975B2 (ja) * 2014-02-28 2018-07-11 日本精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EP3188163B1 (en) * 2014-08-28 2022-04-06 Sony Group Corporation Display device
US9829746B2 (en) * 2014-11-19 2017-11-28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apparatus having optical sheet
JP6594161B2 (ja) * 2014-11-19 2019-10-23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
JP6285048B2 (ja) * 2014-11-28 2018-02-28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20160087945A (ko) * 2015-01-14 2016-07-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7924078B (zh) * 2015-08-31 2021-09-21 堺显示器制品株式会社 显示装置
JP6441488B2 (ja) * 2015-08-31 2018-12-19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5242429B (zh) * 2015-09-18 2018-09-04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具有防透光结构的背板和显示设备
WO2017082502A1 (en) 2015-11-12 2017-05-18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101717655B1 (ko) * 2015-11-30 2017-03-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홀을 구비한 이형 디스플레이
KR102519862B1 (ko) * 2015-12-24 2023-04-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시트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42626B1 (ko) 2018-03-13 2021-12-23 애플 인크.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들을 갖는 디스플레이들
US10871610B2 (en) * 2019-03-01 2020-12-22 Sharp Kabushiki Kaisha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CN210428033U (zh) * 2019-10-31 2020-04-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背光模组及显示装置
KR20210085846A (ko) * 2019-12-31 2021-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17529687A (zh) * 2022-04-20 2024-02-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模组及显示装置
TWI815555B (zh) * 2022-07-14 2023-09-11 達擎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TWI825976B (zh) * 2022-08-09 2023-12-11 瑞儀光電股份有限公司 背光模組及顯示裝置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7862A (en) 1996-11-25 1998-03-17 Taiwan Liton Electronic Co., Ltd. LED back light assembly
KR100452419B1 (ko) 1997-03-28 2004-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 구조
JP2002196312A (ja) * 2000-12-25 2002-07-12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KR100840235B1 (ko) 2001-08-29 2008-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JP2003107467A (ja) 2001-09-27 2003-04-09 Kawaguchiko Seimitsu Co Ltd 液晶表示装置のバックライト構造
KR100840715B1 (ko) 2002-05-28 2008-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40009902A (ko) 2002-07-26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장치
KR100884660B1 (ko) 2002-08-01 2009-02-18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KR100878206B1 (ko) * 2002-08-13 2009-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 시트,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장치
JP3717876B2 (ja) * 2002-08-28 2005-11-16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0493437B1 (ko) * 2003-03-17 2005-06-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모듈
JP4306289B2 (ja) 2003-03-18 2009-07-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5107181A (ja) 2003-09-30 2005-04-21 Sony Corp バックライト装置、液晶表示装置
TWI272421B (en) * 2004-05-13 2007-02-01 Au Optronics Corp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utilizing the same
JP4726456B2 (ja) 2004-09-28 2011-07-20 京セラ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0947533B1 (ko) 2005-03-10 2010-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TWI277804B (en) 2005-06-23 2007-04-01 Chi Mei Optoelectronics Corp Backlight unit and method to uniform the brightness thereof
JP4664757B2 (ja) * 2005-07-08 2011-04-06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照明装置
JP4722599B2 (ja) 2005-07-13 2011-07-13 富士通株式会社 電子画像データ検証プログラム、電子画像データ検証システム及び電子画像データ検証方法
TWM282189U (en) 2005-08-08 2005-12-01 Innolux Display Corp Backlight module
CN100483210C (zh) * 2005-10-18 2009-04-29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背光模组和液晶显示装置
KR20070063290A (ko) 2005-12-14 2007-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64761A (ko) 2005-12-19 2007-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수납 용기,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표시장치
KR100790697B1 (ko) 2006-02-21 2008-01-02 삼성전기주식회사 Led 백라이트 유닛
KR101210801B1 (ko) 2006-03-03 2012-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서랍의 소음 저감구조
KR101275254B1 (ko) 2006-05-03 2013-06-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는 액정 표시 장치
CN101089700B (zh) 2006-06-14 2010-09-08 奇美电子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模组
KR101096758B1 (ko) 2006-07-21 2012-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
JP4915911B2 (ja) 2006-10-02 2012-04-11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JP2008129259A (ja) * 2006-11-20 2008-06-05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シート、面光源装置、スクリーン、表示装置
KR101308007B1 (ko) 2007-01-31 2013-09-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319585B1 (ko) 2007-02-06 2013-10-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
US20080232134A1 (en) 2007-03-23 2008-09-25 Promate Electronic Co., Ltd. Replaceable LED light source device used in backlight module
KR20080087411A (ko) 2007-03-27 2008-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57693B1 (ko) 2007-05-10 2008-09-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
JP2008305713A (ja) 2007-06-08 2008-12-18 Fujifilm Corp 面状照明装置
CN201146014Y (zh) 2007-08-13 2008-11-05 海舟传媒发展(大连)有限公司 壁挂式多功能平面广告屏
JP5414224B2 (ja) 2007-10-19 2014-02-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
KR101289070B1 (ko) 2007-11-28 2013-07-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460155B1 (ko) 2008-01-15 2014-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WO2009107275A1 (ja) 2008-02-28 2009-09-03 シャープ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TW201022790A (en) 2008-12-12 2010-06-16 Au Optronics Corp Backlight module
KR20100077677A (ko) 2008-12-29 2010-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100122679A (ko) 2009-05-13 2010-11-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525839B1 (ko) 2009-05-25 2015-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37064A4 (en) 2013-08-14
US20110205464A1 (en) 2011-08-25
EP3761110B1 (en) 2023-11-29
EP2537064A1 (en) 2012-12-26
CN104597659A (zh) 2015-05-06
USRE47541E1 (en) 2019-07-30
CN102859424A (zh) 2013-01-02
EP2851742A1 (en) 2015-03-25
EP3495879B1 (en) 2020-12-02
WO2011102585A1 (en) 2011-08-25
USRE47135E1 (en) 2018-11-20
USRE49403E1 (en) 2023-01-31
EP2851742B1 (en) 2019-02-06
EP2537064B1 (en) 2015-04-01
EP3495879A1 (en) 2019-06-12
EP3761110A1 (en) 2021-01-06
US8625049B2 (en) 201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3074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8333822B (zh) 液晶显示装置
KR20110114268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WI528082B (zh) 照明系統及使用該照明系統的顯示裝置
KR10182443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519099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82403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41306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2013016445A (ja) 発光装置、表示装置、および反射部材の設計方法
KR20130039406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3231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29866A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5825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35645A (ko) 광학 어셈블리, 그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127387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26901A (ko)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7303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1859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24613A (ko)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3230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2069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26903A (ko)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73909A (ko) 광학 어셈블리, 그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