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027B1 -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027B1
KR101310027B1 KR1020117013140A KR20117013140A KR101310027B1 KR 101310027 B1 KR101310027 B1 KR 101310027B1 KR 1020117013140 A KR1020117013140 A KR 1020117013140A KR 20117013140 A KR20117013140 A KR 20117013140A KR 101310027 B1 KR101310027 B1 KR 101310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mage
color
track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3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3879A (ko
Inventor
킴 엔 매튜스
Original Assignee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93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24Colour asp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H04N13/31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the parallax barriers being time-varia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제 2 디스플레이에 대해 제 1 디스플레이를 정렬시키는(aligning) 것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는 서로 다른 인코딩 패턴을 갖고 있다. 또한 이 방법은 디스플레이 사이의 관계에서 위치를 결정하는 것과, 이 결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상에서 픽셀을 활성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METHOD OF IMPROVED THREE DIMENSIONAL DISPLAY TECHNIQUE}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3차원 이미지의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많은 시스템이 이미지, 비디오 및/또는 텍스트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를 활용한다. 디스플레이는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하지만, 현실적으로 2차원이라는 제약이 있다. 그러나 사람의 시각적 능력은 3차원의 이미지를 인식한다. 3차원(3D) 기술은 이러한 시각적 능력을 다루도록 설계된다. 예컨대 비디오 시청, 인터랙티브 게임(interactive games), 그리고 컴퓨터 애니메이션 및 설계에 이르기까지 액티비티(activities)에서 더 실감나는 3D 성능을 제공하는 것은 특별히 중요하다. 3D 디스플레이를 생성하는 것은 사용자의 눈의 각각에 서로 다른 뷰 포인트 이미지(different view point images)를 전달하는 것을 수반한다. 다른 뷰 포인트를 전달하는 솔루션은 스테레오스코픽 3D 디스플레이(stereoscopic 3D displays), 홀로그래픽 3D 디스플레이(holographic 3D displays) 혹은 오토스테레오스코픽 3D 디스플레이(autostereoscopic 3D displays) 중 하나로 분류될 수 있다.
스테레오스코피 디스플레이는 각각의 눈에 근소하게 차이가 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3D 이미지의 인식을 만들어낸다. 스테레오스코픽 3D 디스플레이 솔루션은 전형적으로 사용자 착용 능동 장비(the user wearing active equipment)(예컨대, 헤드웨어(headwear))를 수반한다. 헤드웨어는 각각의 눈의 전면에 개별 디스플레이 혹은 셔터(shutters)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것은 각각의 눈의 뷰 포인트의 전달을 디스플레이와 동기화한다. 선택적으로, 편광 안경(polarized glasses) 혹은 착색 필터(colored filters) 같은 수동형 안경(passive eyewear)을 착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솔루션의 각각은 사용자가 특별히 디자인된 헤드웨어를 구매 및 착용하고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더욱이, 각각의 솔루션은 특별히 디자인된 헤드웨어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정보를 특별하게 인코딩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홀로그래픽 3D 디스플레이는 원래의 장면에서 나온 것과 동일한 명시야(a light field)를 재생한다. 이 디스플레이는 정보를 광학적으로 저장, 검색 및 처리한다. 홀로그래픽 3D 디스플레이는 특별히 디자인된 헤드웨어를 필요로 하지 않지만, 특정 홀로그래픽 산광기로 덮인 회전 미러(a sinning mirror)와 고속 프로젝터(high speed projectors) 같은 전용 하드웨어를 필요로 하고, 복합 DVI(a complex Digital Visual Interface)를 필요로 한다. 이 성분들은 매우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필요로 하고 지나치게 비용을 추가시킬 수 있다.
오토스테레오스코픽 3D 디스플레이는 전형적으로 스테레오스코픽 3D 디스플레이와 유사한 솔루션을 이용하지만, 특별히 디자인된 안경이나 다른 헤드웨어를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시차 장벽 디스플레이(parallax barrier displays)는 두 개의 독립적인 층을 이용한다. 제 1 층에는 좌안 및 우안 뷰(view)의 조합이 배열된다. 반면에, 불투명 및 투명 장벽로 구성된 제 2 층은 예컨대 반대쪽 눈에 도달하는 각각의 뷰 포인트의 광을 제한할 것이다. 제 1 및 제 2 층의 위치지정은 "뷰잉 다이아몬드(viewing diamonds)"를 생성하는데, 이것은 이미지가 3차원으로 감지될 수 있는 특정 위치로 사용자를 제한한다. 사용자가 이러한 "뷰잉(viewing) 다이아몬드"에 자신의 머리를 위치시킬 때, 각각의 눈은 서로 다른 이미지를 보게 되어 3D 이미지를 감지하게 된다.
오토스테레오스코픽 3D 디스플레이를 생성하는 공지의 체계들은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시차 장벽 디스플레이의 고정형 구성으로 인해, 뷰잉이 사전 정의된 "뷰잉 다이아몬드"로 제한될 수 있다. 장벽 사이드웨이(the barrier sideways)를 조정하거나 혹은 디스플레이/마스크의 분리를 변경하기 위해 머리 위치 검출을 이용하는 오프셋 뷰잉(offset viewing)이 "뷰잉 다이아몬드"를 동적으로 조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지만, 만약 디스플레이에 대해 사용자의 머리가 기울어져 있거나 머리를 돌리고 있는 경우이거나 또는 사용자의 눈이 사실상 디스플레이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에 있는 경우라면, 이미지의 상부 혹은 하부 경계선에서의 왜곡이 초래된다. 이러한 오프 각도 보정(off-angle corrections)을 보상하기 위해, 시차 장벽 시스템은 복합 장벽/디스플레이 구성을 필요로 할 것이다. 둘째, 한정된 뷰잉 거리로 인해, 디스플레이내의 픽셀과 장벽 사이의, 이들의 분리로 인해 유발되는, 가현 거리(apparent distance)는 이 디스플레이 및 장벽이 디스플레이 평면을 가로질러 서로에 대해 동상 및 이상으로 움직이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위상 변이는 이미지를 수직으로 손상시키면서 디스플레이의 뷰잉 각도가 증가할수록 점점 더 선명해지는 매우 큰 어두운 밴드(bands)로 나타난다(즉, 밴딩(banding)).
그러므로, 사용자의 이용 가능한 위치를 최대화하는 오토스테레오스코픽 디스플레이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다차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을 위해,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고, 디스플레이 뷰(a display view)와 장벽 마스크 패턴(barrier mask pattern)을 동적으로 발생하여, 다차원 뷰잉(multidimensional viewing)을 실현한다.
제 1 양상에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적어도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정렬(aligning)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두 번째 디스플레이는 첫 번째 디스플레이에 제공되는 이미지를 마스크할 수 있다. 그 이후, 이 디스플레이는 다차원 이미지를 전달하기 위해 뷰 위치에 근거하여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오토스테레오스코픽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추적 시스템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 모듈은 추적 장치로부터의 입력을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그 이후, 제어 모듈은 사용자 위치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를 제어함으로써 다차원 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3D 이미지의 오토스테레오스코픽 전달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양상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계속해서 다른 양상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계속해서 또 다른 양상을 도시한다.
본 출원의 도면은 크기를 조정하지 않고 단지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특정 치수를 묘사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한 치수는 개시 내용의 검토를 통해 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결정될 수 있음이 강조된다.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한 콘텐트 전달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당한 연구 노력들을 기울여 왔다. 3D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허용하는 방법이 요구될 것이다. 따라서, 이용 가능한 사용자 위치를 늘일 수 있는 오토스테레오스코픽 솔루션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다차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고, 디스플레이 뷰와 장벽 마스크 패턴을 동적으로 발생하여, 다차원 뷰잉을 실현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오토스테레오스코픽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추적 시스템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 모듈은 추적 장치로부터의 입력을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그 이후, 제어 모듈은 사용자 위치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를 제어함으로써 다차원 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로 다른 이미지를 사용자의 좌안(130-1 내지 130-n)과 우안(131-1 내지 131-n)에 전달함으로써 제기되는 뷰잉 위치 제한이 예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이 위치(130-1/131-1 내지 130-n/131-n)에 위치될 때 이미지는 사용자에게 3D로 감지될 것이다. 픽셀(103, 104)은 디스플레이 층(105)에 사상되고, 픽셀(103)이 경로(112-1 내지 112-n)를 경유해 좌안 뷰잉 영역(122-1 내지 122-n)으로 향하고 픽셀(104)은 경로(110-1 내지 110-n)를 경유해 우안 뷰잉 영역(120-1 내지 120-n)으로 향하도록 마스크 층(106)을 통해 퍼진다. 좌안 뷰잉 영역(122-1 내지 122-n)과 우안 뷰잉 영역(120-1 내지 120-n)은, 이 영역들이 "이중 이미지(double image)" 혹은 "착란(confusion)" 영역(121-1 내지 121-n) 및 검은 영역(dark zone)(123-1 내지 123-n)에 의해 분리되어야 한다는 제약을 받는다. 사용자 머리의 횡 변위(a lateral displacement)는 사용자의 눈이 뷰잉 영역(210-1/122-1 내지 120-n/122-n)을 벗어나게 하여, 3D로 감지하지 못하게 하고 이미지를 왜곡시키며 밴딩(banding)을 유발한다. 밴딩은 사용자의 이미지 감지시에 어두운 밴드가 끼어드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는, 동적인 사용자 위치를 보상하는 3D 디스플레이 시스템(201)이 예시된다. 3D 디스플레이 시스템(201)은 적어도 두 개의 액정(LCD) 패널(205, 206)을 포함한다. 이미지 층으로 불리는 제 1 패널(205)은 이후에 사용자(210)에게 표현될 좌측 이미지(220-1 내지 220-n)와 우측 이미지(221-1 내지 221-n)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이용될 것이다. 마스크 층으로 불리는 제 2 패널(206)은 이미지 층(205)의 앞이나 뒤에 위치되어, 제어 가능한 조명 장벽(controllable illumination barrier) 혹은 마스크를 형성한다. 마스크 층(206)은 적절한 좌측 및 우측 이미지를 사용자(210) 쪽으로 보낸다. 패널(205, 206)은 광원(204)으로부터의 편광이 사용자를 향해 관통할 수 있게 위치된다. 본 명세서에 더 자세히 설명되듯이 추적 시스템(202)은 디스플레이(205)의 이미지와 디스플레이(206)의 마스크를 조정하는 제어기(203)에 사용자(210)의 위치를 제공한다. 결국, 디스플레이 시스템(201)은 적절한 좌측 이미지(220-1 내지 220-n)와 우측 이미지(221-1 내지 221-n)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210)가 3D 이미지를 감지할 수 있게 한다.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디스플레이(205, 206)가 동일한 종류의 장치일 필요는 없으며, 예컨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디지털 광 처리기술(DLP), 표면 전도 전자 방출 소자 디스플레이(SED), 발광 다이오드(LE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혹은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같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대체 이용될 수도 있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디스플레이 시스템(201)이 단지 두 개의 디스플레이(205, 206)로만 한정될 필요가 없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도 1에 예시된 것처럼, 사용자의 눈이 좌안 뷰잉 영역(122-1 내지 122-n)과 우안 뷰잉 영역(120-1 내지 120-n) 내에서 적정 위치에 있지 않을 때 밴딩이 발생한다. 많은 요인들이 밴딩의 정도에 영향을 주므로, 밴딩의 영향을 완화하는 정렬 솔루션이 본 출원에서 제기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두 개의 디스플레이와 관련한 디스플레이 정렬 및 정렬 고려사항을 상세히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예시된다. 디스플레이(302)의 픽셀(301-1 내지 301-n)의 각각은 공간 해상도(303)와 컬러 인코딩 패턴(304)을 가질 것이다. 공간 해상도는 각각의 독립적인 픽셀의 단위 길이를 말하는 것이고, 컬러 인코딩 패턴은 픽셀과 관련한 채색(coloration)을 포함하는 컬러 시퀀스(sequence)를 말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306)의 픽셀(305-1 내지 305-n)의 각각도 공간 해상도(307)와 컬러 인코딩 패턴(308)을 가질 것이다.
요구되는 이미지 해상도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디스플레이(302)의 픽셀(301-1 내지 301-n) 사이의 공간 해상도(303)와 디스플레이(306)의 픽셀(305-1 내지 305-n) 사이의 공간 해상도(307)를 다르게 함으로써 밴딩이 완화됨이 관측되었다. 디스플레이(302, 306)의 공간 해상도를 다르게 하는 것은, 밴딩의 가현 공간 주파수(apparent spatial frequency)를 증가시킴으로써 각각의 밴드의 폭을 줄인다. 각각의 밴드 폭의 축소는 가현 해상도를 개선한다.
그리고, 이러한 밴드는 디스플레이(302)의 픽셀(301-1 내지 301-n)의 컬러 인코딩 패턴(304)을 디스플레이(306)의 픽셀(305-1 내지 305-n)의 컬러 인코딩 패턴(308)과 반전 혹은 플리핑(flipping)함으로써 더 축소될 수 있다. 이 구성은 디스플레이(302, 306)의 컬러 인코딩 패턴이 역순으로 나타나게 만든다(예를 들면, 디스플레이(302)에 대해서는 RGB이고 디스플레이(306)에 대해서는 BGR로 나타남). 최종 시각적 효과는 예를 들면 적색, 녹색, 청색 대역이 디스플레이를 가로질러 서로 다른 위치에 나타나게 하여 이들의 명시도를 줄이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접 픽셀(401, 402) 사이의 컬러 상호간섭(crosstalk) 혹은 에일리어싱(aliasing)이 예시되어 있다. 픽셀(401)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컬러 필터(403-1 내지 403-3)의 불투명 정도를 변화시킴으로써 감지되는 컬러를 표현할 것이다. 픽셀(401)의 컬러 필터(403-1 내지 403-3)는 중첩하는 밴드(410 내지 413)를 포함한다. 중첩 밴드(411, 412)의 컬러 상호간섭은 이 상호간섭이 픽셀(401) 내에서 억제될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인접하는 픽셀(401, 402)이 사용자의 서로 다른 눈에 전달될 것이므로, 인접 픽셀(401, 402) 사이의 중첩 밴드(413)는 만약 이 픽셀(401, 402)이 동일한 컬러 필터(403-1 내지 403-3, 404-1 내지 404-3)로 각기 활성화되지 않는다면 왜곡을 일으킬 수도 있다.
도 2로 다시 돌아가서, 개선된 디스플레이(205, 206)는 인접 픽셀 사이의 컬러 상호간섭을 완화하는 솔루션도 포함할 것이다. 예를 들어, 레이저 공급원이나 LED 같은 고강도 광원(204)이 밴드 중첩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밴드 중첩은 지속형 광원(204)을 대신하여 스트로보스코픽 광원(204)을 이용함으로써 다루어질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205, 206)를 서로에 대해 근소 거리, 예컨대 0.25mm 내로 움직이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조명 플래시(204)와 디스플레이(205, 206)를 동기화시킴으로써, 좌측 및 우측 이미지가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205)가 인접 픽셀에 좌측 및 우측 이미지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되어 상호간섭을 완화할 수 있다. 추가로, 스트로보스코픽 광(204)의 이용은 디스플레이 시스템(201)의 가현 공간 해상도를 두 배로 만들어 준다.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이점을 달성하기 위해 개선안이 추가될 필요는 없으며 디스플레이 시스템(201)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다른 기술은 가능함을 쉽게 인지할 것이다. 예를 들어, RGB가 아닌 컬러 인코딩 패턴이 이용될 수도 있고, 시간적 컬러 합성(temporal color synthesis)이 픽셀 채색(coloration)을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으며, 혹은 필터, 예컨대 홀로그래픽 미러나 광학 필터가 광원 사이의 포인트를 뽑아내는(notch out) 대역 통과 필터를 생성함으로써 컬러 상호간섭을 줄이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510)를 추적하는 추적 시스템(501)(본 명세서에서 추적 수단으로도 불림)이 예시되어 있다. 추적 장치(503, 504)는 삼각 측량(501 내지 504)을 이용해 사용자(510)의 좌안(511)과 우안(512)의 위치를 계산하고, 눈의 위치(511, 512)를 제어기(502)에게 제공한다. 추적 장치(503, 504)는 사용자(510)의 좌안(511)과 우안(512)의 위치를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는 얼굴 추적 소프트웨어를 갖는 두 개의 추적 장치(503, 504)를 포함할 것이다. 당업자라면, 추적 장치(503, 504)가 동일한 종류의 장치가 아닐 수도 있고 적외선(IR) 거리 센서나 눈 추적 장치 같은 다른 장치들이 이용될 수도 있음을 쉽게 인지할 것이다.
당업자라면 또한 추적 수단은 중요하지 않고 제공되는 위치 정보가 중요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일부가 아닌 외부 추적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 위치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위치를 추적할 수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당업자라면, 위치 추적이 사용자의 눈에만 한정될 필요가 없음을 쉽게 인지할 것이다. 예를 들면, 머리 추적 시스템이 활용될 수도 있고, 눈의 위치는 소프트웨어로 계산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601)(픽셀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수단으로도 불림)이 디스플레이(605, 606)의 제어를 상세히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다. 제어기(603)는 디스플레이 시스템(601) 내부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일 수도 있는데, 이것은 추적 시스템(602)으로부터의 입력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605, 606)를 제어한다. 추적 시스템(602)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630)의 위치와 디스플레이(605, 606)의 기하학적 구조를 파악함으로써, 제어기(602)는 디스플레이(605) 상에서 이미지와 디스플레이(606) 상에서 마스크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어기(603)는 픽셀(611-1 내지 611-n)과 픽셀(612-1 내지 612-n)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함으로써 디스플레이(605) 상에서 이미지를 결정하고, 픽셀(620-1 내지 620-n)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함으로써 디스플레이(606) 상에 마스크를 생성한다. 이 마스크는 픽셀(611-1 내지 611-n)을 사용자(630)의 좌안(632)으로 향하게 하고, 픽셀(612-1 내지 612-n)을 사용자(630)의 우안(631)으로 향하게 한다. 사용자(630)의 우안(631)과 좌안(632)에 서로 다른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은 이 사용자(630)가 디스플레이(605) 상의 이미지를 3D로 감지하도록 만든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다른 기술들이 이용될 수도 있음을 쉽게 인지할 것이다. 눈(631, 632)의 각각의 위치에 대해 솔루션을 사전 계산하고, 그 다음에 디스플레이될 필요한 이미지가 결정된 이후의 최종 처리 단계로서 디스플레이(605, 606)를 수정함으로써 실시간 성능이 개선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605, 606)의 구성을 소프트웨어로 수정하는 이러한 유연성 때문에, 패널의 기계적 움직임은 최종 3D 이미지를 발생하는데 필요치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기(603)를 이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를 서브미크론 단위의 정확도로 정렬시키는 것을 필요로 하는 까다로운 제조 공정이 없어도 디스플레이에서의 결함 보정과 디스플레이의 상대 위치 보상을 허용한다.
또한, 당업자라면 제어기(603)는 디스플레이 시스템(601) 내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일 필요가 없다는 것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가령,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 시스템(601)의 외부 장치일 수 있거나 제어기(603)는 그래픽 처리 장치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특정 발명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설명에만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실시예로 설명되었더라도,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언급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 다양한 수정이나 추가를 행할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명세서에 설명된 예시의 실시예를 그대로 따르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에 대해 다양한 다른 수정, 배열 및 방법이 행해질 수 있음을 쉽게 인지할 것이다. 그러므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범주내에 있는 이러한 수정이나 실시예를 포괄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Claims (10)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컴퓨터에 의하여, 제 2 디스플레이에 대한 제 1 디스플레이의 정렬(alignment)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컴퓨터에 의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에 제 1 컬러 픽셀 인코딩 패턴을 부여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에 제 2 컬러 픽셀 인코딩 패턴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제 1 컬러 픽셀 인코딩 패턴과 상기 제 2 컬러 픽셀 인코딩 패턴은 서로 상이함―와,
    상기 컴퓨터에 의하여, 제 1 위치와 제 2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컴퓨터에 의하여,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상에서 픽셀을 활성화하는 단계와
    상기 컴퓨터에 의하여 상기 제 1 이미지, 상기 제 2 이미지,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상에서 픽셀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이미지는 상기 제 1 위치로 향하고, 상기 제 2 이미지는 상기 제 2 위치로 향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추적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우안의 위치 및 좌안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상에서 픽셀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상에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상에서 픽셀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상에 마스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로부터 복수의 제 1 픽셀을 상기 좌안 위치로 향하게 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로부터 복수의 제 2 픽셀을 상기 우안 위치로 향하게 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상에서 활성화되는 인접하는 픽셀들 사이에 발생하는 컬러 상호간섭을 컬러 상호간섭 필터(color crosstalk filter)를 이용하여 필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상에서 활성화되는 인접하는 픽셀들 사이에 발생하는 컬러 상호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를 통과하도록 광이 방출되는 스트로보스코픽 광원(a stroboscopic light source) 및,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사이의 상대적 디스플레이 움직임(relative display movement)을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5. 3D 이미지를 관람(viewing)하기 위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제어 모듈과,
    상기 제어 모듈과 통신할 수 있게 접속되고,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추적 시스템과,
    상기 제어 모듈과 통신할 수 있게 접속된 제 1 디스플레이 및 제 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는 제 1 컬러 픽셀 인코딩 패턴을 갖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는 제 2 컬러 픽셀 인코딩 패턴을 가지며,
    상기 제 1 컬러 픽셀 인코딩 패턴 및 상기 제 2 컬러 픽셀 인코딩 패턴은 서로 상이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의 각각에서 픽셀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해 상기 추적 시스템에 의해 공급되는 위치를 이용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는 제 1 공간 해상도를 갖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는 제 2 공간 해상도를 가지며, 상기 제 1 공간 해상도 및 상기 제 2 공간 해상도는 상이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는 서로 다른 컬러 픽셀 인코딩 패턴을 달성하기 위해 시간적 컬러 합성(temporal color synthesis)을 이용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레이저 광원을 포함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컬러 상호간섭 필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트로보스코픽 광원 및 조정 가능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7013140A 2008-12-11 2009-11-12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1013100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316,277 US8587639B2 (en) 2008-12-11 2008-12-11 Method of improved three dimensional display technique
US12/316,277 2008-12-11
PCT/US2009/064101 WO2010068361A1 (en) 2008-12-11 2009-11-12 Method of improved three dimensional display techn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879A KR20110093879A (ko) 2011-08-18
KR101310027B1 true KR101310027B1 (ko) 2013-09-24

Family

ID=41478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3140A KR101310027B1 (ko) 2008-12-11 2009-11-12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87639B2 (ko)
JP (1) JP5432284B2 (ko)
KR (1) KR101310027B1 (ko)
CN (1) CN102246085B (ko)
SG (1) SG171729A1 (ko)
WO (1) WO20100683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87639B2 (en) * 2008-12-11 2013-11-19 Alcatel Lucent Method of improved three dimensional display technique
CN101562756A (zh) * 2009-05-07 2009-10-21 昆山龙腾光电有限公司 立体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立体显示拼接墙
JP5503750B2 (ja) * 2009-12-08 2014-05-28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 デベロップメント カンパニー エル.ピー. 3dディスプレイにおいてクロストークを補償する方法
JP5353770B2 (ja) * 2010-03-05 2013-11-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立体映像観察装置、立体映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903888B2 (ja) 2010-08-09 2012-03-28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補正方法
BR112013017234A2 (pt) * 2011-01-04 2016-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ositivo de exibição 3d, e método de exibição 3d
TWI449956B (zh) * 2011-08-23 2014-08-21 Acer Inc 主動式偏光三維顯示裝置
US9113043B1 (en) * 2011-10-24 2015-08-18 Disney Enterprises, Inc. Multi-perspective stereoscopy from light fields
US9165401B1 (en) 2011-10-24 2015-10-20 Disney Enterprises, Inc. Multi-perspective stereoscopy from light fields
KR101998687B1 (ko) * 2012-08-30 2019-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표시장치
US9265458B2 (en) 2012-12-04 2016-02-23 Sync-Think, Inc. Application of smooth pursuit cognitive testing paradigms to clinical drug development
US9380976B2 (en) 2013-03-11 2016-07-05 Sync-Think, Inc. Optical neuroinformatics
CN104978932A (zh) 2015-07-16 2015-10-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驱动电路、像素驱动方法和显示装置
CN104991349B (zh) * 2015-07-28 2017-06-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工作方法
US10321122B2 (en) 2016-04-14 2019-06-11 Gentex Corporation Vehicle display system providing depth information
JP7129475B2 (ja) 2017-09-27 2022-09-01 ジェンテ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調節補正を備えた全画面表示ミラー
US11276360B2 (en) * 2018-07-27 2022-03-15 Kyocera Corporation Display device and mobile body
CN109188700B (zh) * 2018-10-30 2021-05-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光学显示系统及ar/vr显示装置
CN113917699B (zh) * 2021-11-02 2024-01-05 合肥京东方卓印科技有限公司 三维显示面板及其控制方法和三维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2572A (ja) * 1996-09-27 1998-05-29 Sharp Corp 空間光変調器、方向性ディスプレイ、および方向性光源
JPH11295656A (ja) * 1998-04-14 1999-10-29 Sanyo Electric Co Ltd 立体表示装置
US20080024598A1 (en) 2000-07-21 2008-01-31 New York University Autostereoscopic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82019A (en) * 1987-09-25 1989-03-28 Citizen Watch Co Ltd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5038216A (en) * 1989-04-20 1991-08-06 Eastman Kodak Company Automatic brightness algorithm in a slide to video transfer unit
JPH05100009A (ja) * 1991-10-14 1993-04-23 Mitsubishi Electric Corp 立体画像表示装置
FR2705008B1 (fr) * 1993-05-05 1995-07-21 Le Particulier Editions Sa Dispositif et systeme video autostereoscopique
JPH08223356A (ja) * 1994-12-13 1996-08-30 Fuji Xerox Co Ltd カラーリニアイメージセンサ及び画像処理装置
JP3459721B2 (ja) * 1995-05-22 2003-10-27 キヤノン株式会社 立体画像表示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立体画像表示装置
JP2778543B2 (ja) * 1995-07-27 1998-07-23 日本電気株式会社 立体表示装置
JP3155996B2 (ja) * 1995-12-12 2001-04-1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カラー液晶表示装置
US7190518B1 (en) * 1996-01-22 2007-03-13 3Ality, Inc. Systems for and methods of three dimensional viewing
US5973831A (en) * 1996-01-22 1999-10-26 Kleinberger; Paul Systems for three-dimensional viewing using light polarizing layers
EP0788008B1 (en) * 1996-01-31 2006-04-26 Canon Kabushiki Kaish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whose observation area is widened
US5966505A (en) * 1996-06-17 1999-10-12 Konica Corporation Image outputting method and converting information producing method
JP3300638B2 (ja) * 1997-07-31 2002-07-08 株式会社東芝 液晶表示装置
JP2000092520A (ja) * 1998-09-16 2000-03-31 Toshiba Corp 立体映像表示装置
US6356278B1 (en) * 1998-10-07 2002-03-12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asymmeteric supersampling rasterization of image data
US7145572B2 (en) * 1999-02-01 2006-12-05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ed images through the use of display device and display condition information
US7342721B2 (en) 1999-12-08 2008-03-11 Iz3D Llc Composite dual LCD panel display suitable for three dimensional imaging
JP3770459B2 (ja) * 2000-05-23 2006-04-26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3564417B2 (ja) * 2000-05-31 2004-09-08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カラー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97254A (ko) * 2001-03-09 2002-12-3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인덱스 타입의 화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3956337B2 (ja) * 2001-03-16 2007-08-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面順次カラー表示装置
JP2005501310A (ja) * 2001-05-02 2005-01-13 ビットストリーム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スケーリング方法及び/又は特定方向で情報媒体を表示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EP1393577A1 (en) * 2001-05-03 2004-03-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athode ray tube of the index tube type
DE60239678D1 (de) * 2001-06-01 2011-05-19 Sony Corp Aufgeteilte verzögerungsplatte mit positioniereinrichtung
US7027091B1 (en) * 2001-09-17 2006-04-11 Pixim, Inc. Detection of color filter array alignment in image sensors
GB2389728A (en) * 2002-06-11 2003-12-17 Sharp Kk Parallax barrier for autostereoscopic display
WO2004008226A1 (en) 2002-07-15 2004-01-22 Deep Video Imaging Limited Improved multilayer video screen
AU2003241209A1 (en) * 2002-11-29 2004-06-23 Adrian Gerardo Cornejo Reyes Device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ly-perceived images on a monitor with multiple liquid crystal screens
GB2399653A (en) * 2003-03-21 2004-09-22 Sharp Kk Parallax barrier for multiple view display
US7456851B2 (en) * 2003-05-20 2008-11-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patial compensation for pixel pattern on LCD displays
GB2405545A (en) * 2003-08-30 2005-03-02 Sharp Kk Multiple view directional display with parallax optic having colour filters.
EP1668920A1 (en) * 2003-09-20 2006-06-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mproving image quality in an image display device
WO2005069269A1 (en) * 2004-01-20 2005-07-28 Ecrans Polaires Inc. Stereoscopic display system
WO2005106563A2 (de) 2004-05-05 2005-11-10 Spielberger Juergen System zum betrachten von stereoskopischen bildern
GB0410551D0 (en) * 2004-05-12 2004-06-16 Ller Christian M 3d autostereoscopic display
WO2006026354A2 (en) * 2004-08-25 2006-03-09 Newport Imaging Corporation Apparatus for multiple camera device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20060050384A1 (en) * 2004-09-08 2006-03-09 Eastman Kodak Company System for displaying images in auto-stereoscopic format
DE102004059729B3 (de) * 2004-12-11 2006-04-1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r autostereoskopischen Erzeugung von dreidimensionalen Bildinformationen aus gerasterten Subpixelauszügen und Anordnung zur Verfahrensdurchführung
US7397484B2 (en) * 2005-01-11 2008-07-08 Tpo Displays Corp.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US7764255B2 (en) * 2005-02-09 2010-07-27 Himax Technologies Limited Liquid crystal on silicon (LCOS) display driving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CN101180667B (zh) * 2005-04-01 2010-06-09 杜比实验室认证公司 三维彩色合成显示器及方法
JP4781351B2 (ja) * 2005-04-22 2011-09-28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0959103B1 (ko) * 2005-08-25 2010-05-2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07081137A (ja) * 2005-09-14 2007-03-29 Fujifilm Corp 光電変換素子及び固体撮像素子
US9131247B2 (en) * 2005-10-19 2015-09-08 Thomson Licensing Multi-view video coding using scalable video coding
GB2437553A (en) * 2006-04-28 2007-10-31 Sharp Kk Optical system with two spaced apart partial reflectors for display
KR101236520B1 (ko) * 2006-06-30 2013-02-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
US8085217B2 (en) * 2006-08-08 2011-12-27 Nvidia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mpensating for crosstalk during the display of stereo content
KR101266168B1 (ko) * 2006-08-16 2013-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7403180B1 (en) * 2007-01-29 2008-07-22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Hybrid color synthesis for multistate reflective modulator displays
US8107035B2 (en) * 2007-04-19 2012-01-31 Necsel Intellectual Property Laser backlighting for displays
KR100976284B1 (ko) * 2007-06-07 2010-08-1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촬상 장치
JP5683059B2 (ja) * 2007-09-28 2015-03-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素子
DE102007055026B4 (de) * 2007-11-15 2011-04-2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tostereoskopischen Darstellen von Bildinformationen
EP2249556A3 (en) * 2008-01-18 2011-09-28 Tessera Technologies Ireland Limite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20090282429A1 (en) * 2008-05-07 2009-11-1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Viewer tracking for displaying three dimensional views
US8587639B2 (en) * 2008-12-11 2013-11-19 Alcatel Lucent Method of improved three dimensional display technique
TWI459033B (zh) * 2009-01-22 2014-11-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立體顯示裝置
JP2011221180A (ja) * 2010-04-07 2011-11-04 Canon Inc 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2572A (ja) * 1996-09-27 1998-05-29 Sharp Corp 空間光変調器、方向性ディスプレイ、および方向性光源
JPH11295656A (ja) * 1998-04-14 1999-10-29 Sanyo Electric Co Ltd 立体表示装置
US20080024598A1 (en) 2000-07-21 2008-01-31 New York University Autostereoscopic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46085B (zh) 2014-11-19
JP2012511871A (ja) 2012-05-24
US20100149317A1 (en) 2010-06-17
SG171729A1 (en) 2011-07-28
JP5432284B2 (ja) 2014-03-05
US8587639B2 (en) 2013-11-19
WO2010068361A1 (en) 2010-06-17
CN102246085A (zh) 2011-11-16
KR20110093879A (ko)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027B1 (ko)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TWI497977B (zh) 顯示器
US10419746B2 (en) 3D display apparatus and 3D display method
JP6154323B2 (ja) 映像表示装置
US20140247329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CA2924030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5767293B2 (ja) 線光源を含む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10273013A (ja) 立体表示装置および方法
US20170127050A1 (en) Image data redundancy for high quality 3d
KR20110031461A (ko) 픽셀화된 조명 기구를 갖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US9995942B2 (en) Autostereoscopic 3D display device
JP2010518417A (ja) 表示デバイス
TWI458530B (zh) 娛樂顯示系統及其互動式立體顯示方法
US9883177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eye-tracking method thereof
US10025020B2 (en) Backlight apparatus and 3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911743B2 (en) Field of view expansion by color separation
KR20220058946A (ko) 렌티큘러 기반 조정가능한 백라이트를 사용한 멀티뷰 오토스테레오스코픽 디스플레이
WO2020080403A1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KR102279277B1 (ko) 다수의 시청자에게 최적의 3d을 제공할 수 있는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입체영상 표시방법
TWI429948B (zh) 裸眼式立體顯示器及其顯示方法
KR102633407B1 (ko) 배리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KR102302455B1 (ko) 배리어 패널 및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2232462B1 (ko)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US20140028812A1 (en) Three-dimensional video display apparatus
JP3739349B2 (ja) 三次元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6